KR20220107903A -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903A
KR20220107903A KR1020210097722A KR20210097722A KR20220107903A KR 20220107903 A KR20220107903 A KR 20220107903A KR 1020210097722 A KR1020210097722 A KR 1020210097722A KR 20210097722 A KR20210097722 A KR 20210097722A KR 20220107903 A KR20220107903 A KR 2022010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page
page element
determin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254B1 (ko
Inventor
바오치우 쿠이
루이두안 왕
후아 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를 개시하고, 전자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인해,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 및 초점의 이동 방향을 통해, 초점 이동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초점 이동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하여,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DETERMINING FOCUS POSITION}
본 출원은 전자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회 발전에 따라 전자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가 점점 더 많은 사용자에게 수용되고 있다. 그중에서, 스마트 텔레비전은 사용자의 다양하고 개별적인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텔레비전 제품이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인터넷(Internet) 응용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개방형 운영체제와 칩을 구비하고, 개방형 응용 플랫폼을 갖추고 있으며, 인간-컴퓨터의 양방향 인터랙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비디오, 오락,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체험을 제공하므로, 이제는 텔레비전의 발전 추세가 되었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풍부한 인간-컴퓨터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이 제공하는 페이지(예를 들어,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 또는 메뉴)에서,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상하좌우 오퍼레이션하여 초점을 윈도우, 버튼, 조목 등 요소로 이동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초점의 이동 방식은 스마트 텔레비전이 제공하는 페이지에 있는 모든 요소를 수집해야 하고, 관련 계산을 수행하여 초점 이동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했다. 그러나, 상기 이동 방식은 페이지에 있는 모든 요소에 대해 계산을 수행해야 하며 페이지 요소의 증가함에 따라 초점의 이동 오퍼레이션이 점점 느려져서 사용자의 사용 체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여 초점 이동이 느린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제1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로딩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제1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2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로딩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2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인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Figure pat00001
)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Figure pat00002
)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단계;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을 때까지 상급 페이지 요소를 계속 검색하여,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지 못한 경우,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상기 초점의 상기 현재 위치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초점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경우, 상기 초점을 상기 현재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는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는 제2 획득 모듈;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는 제3 획득 모듈; 및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거리를 획득하며; 상기 다수의 제1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로딩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다수의 제1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가 아닌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거리를 획득하며; 상기 다수의 제2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로딩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다수의 제2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인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4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4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고;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고;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을 때까지 상급 페이지 요소를 계속 검색하여,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지 못한 경우,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상기 초점의 상기 현재 위치를 기록하는 기록 모듈; 상기 초점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경우, 상기 초점을 상기 현재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3 측면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수행하여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제4 측면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 중의 명령이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전자 기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제5 측면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통신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전자 기기를 통해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며, 그 다음,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며, 및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여,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로인해,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 및 초점의 이동 방향을 통해, 초점 이동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초점 이동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하여,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이하 설명에서 일부 제기되고, 다른 일부는 이하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하여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행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지고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페이지 요소의 개략도이고;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페이지 요소의 개략도이고;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페이지 요소의 개략도이고;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페이지 요소의 개략도이고;
도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1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페이지 요소의 개략도이고;
도1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페이지 요소의 개략도이고;
도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따로 포시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 방식은 본 출원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나타낸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사용하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하나" 및 "당해"는, 문맥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또한 다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이해해야 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열거된 관련 아이템의 임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설명할 수 있지만, 상기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같은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분하도록 사용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제1 정보는 또한 제2 정보로 부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정보는 또한 제1 정보로 부를 수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어 "만약" 및 "…이라면"은 "…할 때" 또는 "…경우"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될 것인 바, 그 중 시종일관하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을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당해 전자 기기는 스마트 텔레비전, 리모컨이 있는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여기서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에 처리 어셈블리, 저장 어셈블리 및 구동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구동 어셈블리 및 처리 어셈블리는 통합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당해 저장 어셈블리는 저장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고, 당해 처리 어셈블리는 저장 어셈블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당해 장치는 전자 기기에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에서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도록 하고,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며, 그 다음,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며, 및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여,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혀여, 초점 이동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한다. 전자 기기는 스마트 텔레비전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실시예에서 설명된 초점은 스마트 텔레비전의 초점일 수 있으며, 즉, 스마트 텔레비전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 또는 메뉴에서 사용자 리모컨의 상하좌우 오퍼레이션에 따라 대응하는 오퍼레이션 윈도우, 버튼, 이미지, 조목 등 요소로 이동하여 당해 요소를 초점 상태로 변환하고, 초점 상태로 변환된 요소에 대하여 클릭 등 진일보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초점 상태의 요소에 대하여 초점 프레임(초점 틀) 또는 변색 등 더욱 다양화된 시각 효과를 더할 수 있고, 당해 시각 효과는 직관적으로 리모컨의 상하좌우 오퍼레이션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인간-컴퓨터 인터랙션에 의해 대응하는 요소를 선택하는 목적을 달성하도록 한다. 초점 프레임(초점 틀)은 보편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자주 사용되는 방식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획득 알고리즘에 따라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획득 알고리즘은 실제 상황에 따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단계 102,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는 먼저 미리 설정된 획득 알고리즘에 따라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여, 즉 초점 상태의 요소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 103,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한다. 이동 방향은 상, 하, 좌, 우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컨의 상, 하, 좌 또는 우 버튼을 오퍼레이션하여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당해 제어 명령을 전자 기기에게 송신한다. 당해 리모컨은 블루투스 리모컨 또는 적외선 리모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리모컨의 상, 하, 좌 또는 우 버튼을 오퍼레이션하여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당해 제어 명령을 전자 기기에게 송신한다. 전자 기기는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한 다음, 당해 제어 명령을 획득(수신)할 수 있고, 또한 당해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도록 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실시예에서 설명된 초점의 이동 방향은 리모컨의 상, 하, 좌 또는 우 버튼과 대응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의 상 버튼을 오퍼레이션하여 제어 명령을 송신할 때, 전자 기기가 당해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은 상이고; 사용자가 리모컨의 좌 버튼을 오퍼레이션하여 제어 명령을 송신할 때, 전자 기기가 당해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은 좌이다.
단계 104,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한다.
레이아웃 방향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인 경우, 요소 B의 레이아웃 방향이 횡방향이고, 즉 요소 b1, b2, b3 및 b4는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현재 페이지 요소가 요소 X1인 경우, 요소 X1의 레이아웃 방향이 종방향이고, 즉 요소 A, B 및 C는 횡방향으로 배역된다. 즉,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은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급 서브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실시예에서 설명된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은 현재 페이지의 고유 속성일 수 있으며, 직접 획득할 수 있다. 당해 고유 속성은 관련 기술자가 페이지 디자인할 때 코드에 한정된 속성일 수 있다. 즉, 페이지에서의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은 페이지의 디자인 완료될 때 이미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는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한 다음, 현재 페이지 요소의 고유 속성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당해 고유 속성을 해석하여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도록 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페이지가 전자 기기에 의해 로딩되는(즉, 전자 기기가 페이지의 생성 코드를 수행함) 과정에서, 관련된 고유 속성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당해 고유 속성을 전자 기기에게 제공하여 전자 기기가 수요에 따라 직접 획득(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105,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이동 방향이 위 또는 하인 경우, 레이아웃 방향이 종방향일 때의 방향과 일치하고; 이동 방향이 좌 또는 우인 경우, 레이아웃 방향이 횡방향일 때의 방향과 일치하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당해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또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가 아닌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가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한 다음,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직접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전자 기기에 의해 초점을 당해 위치의 페이지 요소 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즉 당해 위치의 페이지 요소를 초점 상태로 변환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인지 여부를 진일보 판단할 수 있고, 아닌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전자 기기에 의해 초점을 당해 위치의 페이지 요소 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즉 당해 위치의 페이지 요소를 초점 상태로 변환한다.
더 나아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고,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임을 가정한다. 초점의 이동 방향이 위인 경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요소 B의 상급 페이지 요소 X1로 되돌아갈 수 있고, 또한 요소 X1에서의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 다음 초점을 당해 위치의 페이지 요소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초점의 이동 방향이 좌인 경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이동 방향측이 요소 B의 에지가 아닌 것을 판정할 수 있고, 요소 B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 다음 초점을 당해 위치의 페이지 요소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먼저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고, 그 다음,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여,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로인해,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 및 초점의 이동 방향을 통해, 초점 이동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초점 이동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하여,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페이지 요소가 B임을 가정하면,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는 b1, b2, b3 및 b4일 수 있다. 요소 b1, b2, b3 및 b4는 페이지의 최소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가 텔레비전 드라마 선택 페이지인 경우, 요소 b1, b2, b3 및 b4, 그리고 요소 a1、a2、a3 및 a4는 텔레비전 드라마일 수 있고, 요소 B 및 요소 A는 가상 요소일 수 있고,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실시예에서 설명된 가상 요소는 관련 기술자가 페이지 디자인할 때 코드에 한정된 것일 수 있고, 또한 당해 가상 요소의 최소 요소는 한 줄 또는 한 열의 설정일 수 있다.
단계 302,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거리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알고리즘에 따라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거리 알고리즘은 실제 상황에 따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단계 303, 다수의 제2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가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가 아닌 것을 판단한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할 수 있고, 또한 미리 설정된 거리 알고리즘에 따라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그 다음 당해 다수의 제2 거리에 따라 다수의 제2 거리 중의 최단 거리를 결정하고, 당해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여, 초점을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한다. 즉,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초점 상태로 변환한다.
더 나아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인 것을 가정하고,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이 횡방향이다. 전자 기기가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우인 경우, 전자 기기는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요소 B의 에지가 아닌 것을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요소 b1과 요소 b2, 요소 b1과 요소 b3, 및 요소 b1과 요소 b4 사이의 거리(즉, 제2 거리 1, 2 및 3)를 각각 계산하여 최단 거리를 획득하고, 그 다음 당해 최단 거리에 따라 요소 b2를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로 결정하여, 초점을 요소 b2 위에 멈추게한다(즉, 요소 b2가 초점 상태로 변환됨). 이로인해, 요소 B 내의 모든 서브요소 만 계산하면 되므로 계산량이 크게 줄어들어 초점 이동의 위치를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1,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페이지 요소를 B로 가정하면,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는 b1, b2, b3 및 b4일 수 있다.
단계 502,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로딩 순서에 따라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실시예에서 설명된 로딩 순서는 페이지 디자인의 로딩 전략에 따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으며, 당해 로딩 전략은 관련된 페이지 개발자에 의해 요구에 따라 캘리브레이션된 것일 수 있다. 그 외에, 페이지가 전자 기기에 의해 로딩되는(즉, 전자 기기가 페이지의 생성 코드를 수행함) 과정에서, 페이지의 각 요소의 로딩 순서를 전자 기기에게 제공하여 전자 기기가 수요에 따라 직접 획득(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503, 다수의 제2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가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가 아닌 것을 판단한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여, 로딩 순서에 따라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그 다음 당해 다수의 제2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여, 초점을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한다. 즉,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초점 상태로 변환한다.
더 나아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인 것을 가정하고,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이다. 전자 기기가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우인 경우, 전자 기기는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요소 B의 에지가 아닌 것을 판정할 수 있고, 요소 b2, 요소 b3 및 요소 b4의 로딩 순서를 각각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제일 먼저 로딩된 요소를 타겟 요소(즉,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로 하여, 그 다음 초점을 타겟 요소 위에 멈추게한다(즉, 타겟 요소가 초점 상태로 변환됨).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또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인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가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인 것을 판단한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고,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임을 가정한다. 전자 기기가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좌인 경우,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요소 B의 에지인 것을 판정할 수 있고, 그리고 요소 B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 X1로 되돌아가서, 요소 X1 내에는 요소 A, 요소 B 및 요소 C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요소 X1 내의 타겟 요소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요소 A를 타겟 요소로 결정한다. 그 다음, 전자 기기가 요소 b1과 요소 a1, 요소 b1과 요소 a2, 요소 b1과 요소 a3, 및 요소 b1과 요소 a4 사이의 거리를 각각 계산하여 최단 거리를 획득하고, 그 다음 당해 최단 거리에 따라 요소 a1을 초점 이동의 위치로 결정한다. 또는, 전자 기기가 요소 a1, 요소 a2, 요소 a3 및 요소 a4의 로딩 순서를 획득할 수 있고, 그리고 당해 로딩 순서에 따라 초점 이동의 위치를 결정하여, 예를 들어, 요소 a1 위로 이동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실시예에서 설명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은 실제 상황에 따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은 당해 웹페이지를 디자인하는 관련 기술자에 의해 편집될 수 있고, 당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은 초점의 이동 방향을 바꾸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좌향을 위향으로 바꾸고, 우향을 하향으로 바꿀수 있으며, 여기서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 그 외에, 당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은 초점의 이동 방향에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있는 경우, 초점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요소를 타겟 요소로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4의 위치이고(즉, 요소 b4는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고,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임을 가정한다. 전자 기기가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우인 경우,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요소 B의 에지인 것을 판정할 수 있고, 그리고 요소 B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 X1로 되돌아가서, 요소 X1 내에는 요소 A, 요소 B, 요소 C 및 요소 D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요소D를 요소 X1 내의 타겟 요소로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전자 기기가 요소 b4와 요소 d1, 요소 b4와 요소 d2, 및 요소 b4와 요소 d3 사이의 거리를 각각 계산하여 최단 거리를 획득하고, 그 다음 당해 최단 거리에 따라 요소 d2를 초점 이동의 위치로 결정한다. 또는, 전자 기기가 요소 d1, 요소 d2 및 요소 d3의 로딩 순서를 획득할 수 있고, 그리고 당해 로딩 순서에 따라 초점 이동의 위치를 결정하여, 예를 들어, 요소 d1위로 이동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단계,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가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판단한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고, 그리고,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여 당해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한 경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전술한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01,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고, 초점의 이동 방향은 위인 것을 가정하면, 상급 페이지 요소 X1 내의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는 a1, a2, a3 및 a4일 수 있다. 요소 X1은 세개의 하급 서브요소, 즉, 요소 A, 요소 B 및 요소 C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02,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거리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알고리즘에 따라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 703, 다수의 제1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가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다는 것을 판단한 경우, 초점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당해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부터 타겟 페이지 요소(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요소 A)를 먼저 결정하고, 그 다음, 타겟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알고리즘에 따라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그 다음 당해 다수의 제1 거리에 따라 다수의 제1 거리 중의 최단 거리를 결정하여, 당해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한다. 즉,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초점 상태로 변환한다.
더 나아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며,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이고, 요소 B의 상급 페이지 요소 X1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종방향인 것을 가정한다. 전자 기기가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위인 경우,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요소 B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 X1로 되돌아가며, 그 다음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X1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다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타겟 요소를 먼저 결정할 수 있다. 요소 X1 내에는 요소 A, 요소 B 및 요소 C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전자 기기가 요소 A를 타겟 요소로 결정한 다음, 전자 기기가 요소 b1과 요소 a1, 요소 b1과 요소 a2, 요소 b1과 요소 a3, 및 요소 b1과 요소 a4 사이의 거리(즉, 제1 거리 1, 2, 3 및 4)를 각각 계산할 수 있으며, 최단 거리를 획득하고, 그 다음 당해 최단 거리에 따라 요소 a1을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로 결정하고, 초점을 요소 a1 위에 멈추게한다(즉, 요소 a1이 초점 상태로 변환됨). 이로인해, 요소 A 내의 모든 서브요소 만 계산하면 되므로 계산량이 크게 줄어들어 초점 이동의 위치를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01,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고, 초점의 이동 방향은 위인 것을 가정하면, 상급 페이지 요소 X1 내의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는 a1, a2, a3 및 a4일 수 있다. 요소 X1은 세개의 하급 서브요소, 즉, 요소 A, 요소 B 및 요소 C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02,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로딩 순서에 따라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단계 903,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로딩 순서에 따라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가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다는 것을 판단한 경우, 초점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당해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부터 타겟 페이지 요소(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요소 A)를 먼저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타겟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여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그리고 로딩 순서에 따라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당해 다수의 제1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한다. 즉,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초점 상태로 변환한다.
더 나아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며,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이고, 요소 B의 상급 페이지 요소 X1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종방향인 것을 가정한다. 전자 기기가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위인 경우,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요소 B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 X1로 되돌아가며, 그 다음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X1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다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타겟 요소를 먼저 결정할 수 있다. 요소 X1 내에는 요소 A, 요소 B 및 요소 C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전자 기기가 요소 A를 타겟 요소로 결정한 다음, 요소 a1, 요소 a2, 요소 a3 및 요소 a4의 로딩 순서를 각각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제일 먼저 로딩된 요소를 타겟 요소(즉,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로 하여, 그 다음 초점을 타겟 요소 위에 멈추게한다(즉, 타겟 요소가 초점 상태로 변환됨).
더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당해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을 때까지 상급 페이지 요소를 계속 검색하여,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지 못한 경우, 사용자에게 리마인드(예를 들어, 음성 리마인드, 문자 리마인드 등, 여기서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며,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이고, 요소 B의 상급 페이지 요소 X1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이고, 요소 X1의 상급 페이지 요소 Y1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종방향인 것을 가정한다. 전자 기기가 획득한 초점의 이동 방향이 하인 경우,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B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요소 B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 X1로 되돌아가며, 그 다음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X1의 레이아웃 방향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요소 X1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 Y1로 되돌아가서, 그 다음 전자 기기가 당해 초점의 이동 방향이 요소 Y1의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다는 것을 판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 Y1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당해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기록하고, 초점이 현재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경우, 초점을 현재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가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 기기가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초점이 현재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경우 초점을 현재 위치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의 현재 위치는 요소 b1의 위치이고(즉, 요소 b1은 초점 상태임), 현재 페이지 요소는 요소 B이며, 요소 B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횡방향이고, 요소 B의 상급 페이지 요소 X1 내의 레이아웃 방향은 종방향인 것을 가정한다.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가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초점이 요소 a4의 위치에 있는 경우, 만약 이때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초점을 제어하여 우쪽으로 이동하면, 초점은 요소 B위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전자 기기는 이전의 기록에 따라 요소 b1의 위치를 초점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도2, 도4, 도6, 도8,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요소를 포함하는 요소 A, 요소 B, 요소 C 및 요소 D 등 요소는 모두 가상 요소일 수 있고, 당해 가상 요소는 관련 기술자가 페이지 디자인할 때 코드에 한정된 것일 수 있고, 또한 요소 A, 요소 B, 요소 C 및 요소 D 등 요소 중의 최소 요소는 모두 한 줄 또는 한 열의 설정일 수 있다.
본 출원 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은 먼저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고, 그 다음,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여,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로인해,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 및 초점의 이동 방향을 통해, 초점 이동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초점 이동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하여,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도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초점 위치 결정 장치는 전자 기기에 구성되어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고, 그 다음,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여,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현하여 초점 이동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초점 위치 결정 장치(1200)는 제1 획득 모듈(1210), 제1 결정 모듈(1220), 제2 획득 모듈(1230), 제3 획득 모듈(1240) 및 제2 결정 모듈(1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획득 모듈(1210)은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도록 사용된다.
제1 결정 모듈(1220)은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제2 획득 모듈(1230)은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도록 사용된다.
제3 획득 모듈(1240)은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도록 사용된다.
제2 결정 모듈(1250)은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결정 모듈(1230)은 구체적으로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거리를 획득하고; 다수의 제1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결정 모듈(1230)은 구체적으로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로딩 순서에 따라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다수의 제1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장치(1200)는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제3 결정 모듈은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가 아닌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3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거리를 획득하고; 다수의 제2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3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로딩 순서에 따라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와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다수의 제2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초점을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장치(1200)는 제4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결정 모듈은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인 경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4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고;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결정 모듈(1230)은 구체적으로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고;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결정 모듈(1230)은 또한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을 때까지 상급 페이지 요소를 계속 검색하여,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고;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지 못한 경우,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위치 결정 장치(1200)는 기록 모듈 및 위치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기록 모듈은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기록하도록 사용된다.
위치 결정 모듈은 초점이 현재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경우, 초점을 현재 위치로 위치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에서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당해 실시예의 초점 위치 결정 장치에도 적용되어,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 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는 제1 획득 모듈을 통해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제1 결정 모듈을 통해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며, 그 다음, 제2 획득 모듈을 통해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며, 그 다음 제3 획득 모듈을 통해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여, 초점의 이동 방향이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결정 모듈을 통해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초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로인해,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 및 초점의 이동 방향을 통해, 초점 이동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초점 이동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하여,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또한 전자 기기가 제공되어,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명령을 수행하여 전술한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출원은 또한 저장 매체가 제공되는다.
저장 매체 중의 명령이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전자 기기로 하여금 전술한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출원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는다.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전자 기기로 하여금 전술한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3에 도시된 전자 기기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능 및 사용 범위에 대해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0)는 프로세서(111)를 포함하며,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11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또는 메모리(116)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113)에 로딩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어 각종 적절한 동작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RAM(113)에, 또한 전자 기기(1000)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111), ROM(112) 및 RAM(113)는 버스(114)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출력(I/O, Input/Output) 인터페이스(115)도 버스(114)에 연결되어 있다.
하기 부품도 I/O 인터페이스(115)에 연결되는 바,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116); 및 LAN(근거리 통신망, Local Area Network) 카드, 모뎀 등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하는 통신 부분(117), 통신 부분(117)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처리를 수행하며; 드라이브(118)도 필요에 따라 I/O 인터페이스(115)에 연결된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과정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적재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흐름도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 부분(117)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및 설치될 수 있다.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1)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본 출원의 방법에서 제한된 상기 기능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또한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같은 명령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명령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도록 전자 기기(1000)의 프로세서(1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하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일 수 있으며, 당해 프로그램은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이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출원에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시그널 매체는 기저 대역에 있는 또는 반송파의 일부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속에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적재되어 있다. 상기 전파된 데이터 시그널은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으며, 전자 시그널, 광학 시그널 또는 상기의 임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시그널 매체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이외의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이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송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는 임의의 적절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무선, 유선, 광학 케이블, RF 등, 또는 상기의 임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기술 방안은 적어도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 및 초점의 이동 방향을 통해, 초점 이동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초점 이동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하여,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고려하여 개시된 발명을 실행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안을 쉽게 생각해 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고 본 출원에서 개시되지 않은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지식 또는 기존의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출원은 위에서 설명되어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Claims (24)

  1. 초점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제1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로딩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제1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가 아닌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제2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로딩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제2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인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단계;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을 때까지 상급 페이지 요소를 계속 검색하여,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지 못한 경우,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상기 초점의 상기 현재 위치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초점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경우, 상기 초점을 상기 현재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방법.
  12. 초점 위치 결정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서의 초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초점이 있는 현재 페이지 요소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초점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는 제2 획득 모듈;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을 획득하는 제3 획득 모듈; 및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제1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거리를 획득하며;
    상기 다수의 제1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1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로딩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3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다수의 제1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3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가 아닌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제2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거리를 획득하며;
    상기 다수의 제2 거리 중의 최단 거리에 따라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2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의 로딩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로딩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4 페이지 서브요소와 상기 초점의 현재 위치 사이의 다수의 제2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다수의 제2 우선순위 중의 최고 우선순위에 따라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을 상기 타겟 제4 페이지 서브요소에 멈추게하도록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이 상기 레이아웃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측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에지인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상급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서, 대응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4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고;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의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고;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하나 이전 페이지 요소의 레이아웃 방향이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을 때까지 상급 페이지 요소를 계속 검색하여,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상급 페이지 요소에서 상기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초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상급 페이지 요소를 찾지 못한 경우,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에서의 상기 초점의 상기 현재 위치를 기록하는 기록 모듈;
    상기 초점이 상기 현재 페이지 요소로 되돌아가는 경우, 상기 초점을 상기 현재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위치 결정 장치.
  23. 전자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수행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4.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 중의 명령이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전자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초점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097722A 2021-01-25 2021-07-26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566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093219.0 2021-01-25
CN202110093219.0A CN112468880B (zh) 2021-01-25 2021-01-25 焦点位置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903A true KR20220107903A (ko) 2022-08-02
KR102566254B1 KR102566254B1 (ko) 2023-08-11

Family

ID=7480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722A KR102566254B1 (ko) 2021-01-25 2021-07-26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39989A1 (ko)
EP (1) EP4033772A1 (ko)
JP (1) JP7262526B2 (ko)
KR (1) KR102566254B1 (ko)
CN (1) CN1124688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1092B (zh) * 2022-02-21 2023-03-17 海看网络科技(山东)股份有限公司 一种epg网格化布局下自动获取焦点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2243A1 (en) * 2005-10-24 2007-04-26 Allen Sean D Focus management system
US20180113579A1 (en) * 2016-10-26 2018-04-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browsing content from multiple content applications on an electronic device
CN108235091A (zh) * 2018-01-25 2018-06-29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以及基于显示设备中访问主页应用上内容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7738A1 (en) * 2001-07-13 2015-03-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US20030106057A1 (en) * 2001-12-05 2003-06-05 Predictive Networks, Inc. Television navigation program guide
CN1459975A (zh) * 2002-05-15 2003-12-03 金宝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在视窗中直觉式移动焦点的方法及其装置
US20050108750A1 (en) * 2003-11-17 2005-05-19 Sony Corporation, A Japanese Corporation Candidate data selection an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2006079281A (ja) * 2004-09-08 2006-03-23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FR2891428A1 (fr) * 2005-09-27 2007-03-30 Thomson Licensing Sas Procede de navigation dans une liste par defilement continu d'une caracteristique graphique, et terminal associe.
US8245154B2 (en) * 2006-11-03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st-recently-used task switching among parent and child windows
KR100992155B1 (ko) * 2008-11-20 2010-11-04 (주)피엑스디 사용자 편의에 최적화된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방법
US8281258B1 (en) * 2010-03-26 2012-10-02 Amazon Technologies Inc. Object traversal to select focus
KR20110138925A (ko) * 2010-06-22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088639B (zh) * 2011-01-21 2013-05-22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Iptv机顶盒浏览器页面的导航控制方法
JP5408208B2 (ja) * 2011-03-30 2014-0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609521B (zh) * 2012-02-10 2016-12-14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网页焦点元素的切换方法及数字电视接收终端
KR101890624B1 (ko) * 2012-04-12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US9395898B2 (en) * 2012-12-14 2016-07-19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85931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손 움직임 감지를 통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40245353A1 (en) * 2013-02-27 2014-08-2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media listings
US9357250B1 (en) * 2013-03-15 2016-05-31 Apple Inc. Multi-screen video user interface
CN103530028A (zh) * 2013-10-08 2014-01-2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光标操作方法及装置
CN103702230B (zh) * 2013-12-13 2017-12-12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及装置
JP6885289B2 (ja) * 2017-09-29 2021-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CN108156510B (zh) * 2017-12-27 2021-09-28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页面焦点处理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147250B2 (ja) * 2018-05-09 2022-10-0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447484B (zh) * 2020-03-31 2022-04-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节目指南epg的加载方法及装置、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2243A1 (en) * 2005-10-24 2007-04-26 Allen Sean D Focus management system
US20180113579A1 (en) * 2016-10-26 2018-04-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browsing content from multiple content applications on an electronic device
CN108235091A (zh) * 2018-01-25 2018-06-29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以及基于显示设备中访问主页应用上内容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2526B2 (ja) 2023-04-21
US20220239989A1 (en) 2022-07-28
EP4033772A1 (en) 2022-07-27
CN112468880A (zh) 2021-03-09
KR102566254B1 (ko) 2023-08-11
CN112468880B (zh) 2021-04-30
JP2022113627A (ja)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52442B (zh) 显示操作引导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15755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searching for video content
US201903542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U2581840C2 (ru) Регистрация для поисков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системного уровня
CN113434067A (zh) 针对用户选择内容的动作建议
US20140245205A1 (en) Keyboard navigation of user interface
US20160269795A1 (en) Instructing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smart television interface
US20160255298A1 (en) Instruction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smart television interface
JP5472118B2 (ja) 操作支援方法、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装置、及び操作支援プログラム
JP2013534345A (ja) ディスプレイ上のオブジェクトの強調
US20150169138A1 (en) Multi-modal content consumption model
KR20220107903A (ko) 초점 위치 결정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US9049323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content displaying program
CN113268687B (zh) 一种确定元素渲染位置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4242986B2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
CN109857314B (zh) 有屏设备的手势控制方法和装置
KR101229495B1 (ko) 웹 페이지의 탭 인덱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10780A (ko)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 장치, 시스템 및 원격 터치 입력 장치
US20140324809A1 (en) Search engine control
EP4099146A1 (en) Screen partition display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220004295A1 (en) Page navig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1755199B2 (en) Linear on-screen keyboard with floating utility keys
KR101456935B1 (ko) 브라우저 상에서 부분적 콘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H06332660A (ja) 情報処理装置
CN116974433A (zh) 一种页面元素焦点跳转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