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639A -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639A
KR20220107639A KR1020210010496A KR20210010496A KR20220107639A KR 20220107639 A KR20220107639 A KR 20220107639A KR 1020210010496 A KR1020210010496 A KR 1020210010496A KR 20210010496 A KR20210010496 A KR 20210010496A KR 20220107639 A KR20220107639 A KR 20220107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anion animals
composition
paste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주
장현덕
박동우
호명진
박준수
정민영
박현진
김민섭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즈워크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즈워크,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즈워크
Priority to KR102021001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639A/ko
Publication of KR2022010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4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으로써 수용성과 지용성을 모두 포함하되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 계면활성제, 포화지방유 및 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aste composition for companion animal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성분으로써 수용성과 지용성을 모두 포함하되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저출산 및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을 인식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웰 케어(well-care)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각종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사료, 보조사료, 껌 등의 간식류, 음료, 영양제 등의 다양한 펫푸드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영양제의 경우 대부분 정제(tablet)의 형태로 제조되고 있는데 이를 반려동물에게 직접 투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한다 하더라도 그 역시 번거롭고 사료와의 혼합도 잘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투여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짜먹는 형테의 영양제, 즉 페이스트(paste) 형태의 영양제가 제안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태의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활성성분과 페이스트 자체의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해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페이스트 조성물에는 기능성 성분으로써 수용성 및 지용성 성분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경우 각 성분에 대한 분산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성분들 역시 물리적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보관 기간 중 상분리, 침전, 응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 분해되어 함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성분들의 상분리를 막고 잘녹지 않은 성분들을 용해시키기 위해 다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많을수록 섭취 후 위장관 내 부작용,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유의 쓴맛으로 인해 기호성이 떨어지는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성분으로써 수용성과 지용성을 모두 포함하되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 계면활성제, 포화지방유 및 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글루코사민, 콜라겐 및 수용성 비타민류를 포함하며, 상기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루테인 및 지용성 비타민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상기 수상은 1 내지 5 중량부(%), 상기 유상은 10 내지 60 중량부(%), 상기 포화지방유는 5 내지 35 중량부(%), 상기 단백질은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감미제, 착향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식물유와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혼합한 유상, 및 물과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혼합한 수상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유상에 포화지방유를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유상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유상에 식물성 단백질을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유상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수상을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에 의하면, 물리화학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영양제로써 높은 기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 직후와 40℃ 조건에서 5개월간 보관한 후의 성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울러, 본원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수상,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유상,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제, 포화지방유, 및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감미제, 착향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함량으로,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유상은 10 내지 6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내지 5 중량부(%), 수상은 1 내지 5 중량부(%), 포화지방유는 5 내지 35 중량부(%), 단백질은 10 내지 40 중량부(%), 감미제 또는 착향제는 0.01 내지 0.1 중량부(%), 보존제는 0.01 내지 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기능성 성분은 수용성 활성성분과 지용성 활성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용성 활성성분에는 글루코사민, 콜라겐, 수용성 비타민류(B1_티아민, B2_리보플라빈, B3_니코틴산아마이드, B5_판토텐산, B6_피리독신, B7_바이오틴, B9_엽산, B12_시아노코발리민, C_아스코르브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지용성 활성성분으로는 루테인, 지용성 비타민류(A_레티놀, D_콜리칼시페롤, E_토코페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 성분의 효능으로서, 글루코사민은 관절염, 골관절염 등의 관절질환을 예방하며 반려동물의 뼈와 근육, 연골을 강화하며 슬개구 탈구를 예방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 또한 콜라겐은 피부, 혈관, 뼈 등 체내 모든 결합조직의 주된 단백질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물질이며, 이는 실내 생활 위주의 반려동물에게 자주 발생하는 면역력 부족, 피부질환, 탈모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루테인은 눈의 황반변성과 백내장 예방에 좋은 물질이며 눈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에 있어 건강한 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산화성 스트레스 및 청색광의 고에너지 광자로부터 눈을 안전하게 지키는데 도움을 준다.
반려동물은 체내에서 오메가 3, 오메가 6 등 필수 지방산을 생성할 수 없기에 식이로 섭취해야 하며, 이를 보충하기 위해 유상의 구성으로 식물유를 선택하였다. 상기 식물유는 올리브유, 카놀라유, 아마인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씨유, 포도씨유, 호두기름, 면실유, 아보카도유, 브라질너트유, 아몬드유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유는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 함량이 초과될 경우 페이스트 제조 후 또는 보관 중에 상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는 오일과 물을 유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페이스트 내 첨가되는 물질 중 서로 혼합되기 어려운 두 물질 간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사용 가능한 유화제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소르베이트(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tween 60 또는 80), 레시틴, 사포닌 등이 있다. 유화제의 일일 허용 기준치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는 0 ~ 125 mg/kg, 자당지방산에스터는 0 ~ 30 mg/kg,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 에스터는 0 ~ 20 mg/kg,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터(폴리소르베이트류)는 0~25 mg/kg으로 특정량 이상 섭취 시 체내에 5일 이상 머물며 피부질환, 안질환, 심장질환, 신경정신질환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줄이고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식물성 유화제류를 포함시켰으며, 일반적인 건강기능성 식품에서의 유화제 함량 대비 소량인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시켰다.
포화지방유지는 페이스트의 점도, 침전 등과 같은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시키며 반려동물들의 기호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사용 가능한 포화지방유지로는 팜유, 시어 버터, 코코넛 오일, 아르간 오일, 콩 기름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화지방유지는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시켜 혼합될 수 있으며, 포화지방유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면 상분리, 침전, 응집 등의 물리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단백질은 대두, 서리태, 강낭콩, 등을 가공한 단백질 분말류를 사용하였으며 상분리, 침전, 응집 등의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시키며 단백질 공급을 통해 반려동물의 영양소 공급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사용 가능한 단백질류로는 두류를 가공한 분리대두단백 ISP, 수프로 661, 탈지대두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성 단백질류는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명시된 것보다 단백질류의 함량이 적을 경우 상분리가 일어났으며, 물리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조성물은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미제, 착향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향제는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첨가제로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기향, 훈제향, 각종 과일향, 견과류 향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착향제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존제는 조성물의 보관 시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첨가제이며, 예를 들어, 소르빈산 칼륨, 벤조산 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보존제는 각각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제조방법은,
(a) 식물유 및 지용성 성분을 혼합하여 유상을 제조하며 물 및 수용성 성분을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혼합된 유상에 포화지방유지를 포함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혼합된 유상에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에서 혼합된 유상에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e) 상기 (d)에서 혼합된 유상에 (a)에서 제조된 수상을 포함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f) 상기 (e)에서 혼합된 조성물을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믹서( mixer) 등을 통해 균질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20>
하기 표 1 및 표2의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20의 반려동물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커에 식물유, 오일 형태의 루테인 원료, 지용성 비타민류(A, D, E)를 넣고 교반하면서 포화지방유지와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추가하여 15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시켰다. 추가로 단백질류를 넣고 교반하면서 단백질류를 분산시켰으며 글루코사민, 콜라겐, 수용성 비타민류, 착향제, 보존제가 포함된 수상(물)을 넣고 혼합하였다. 조성물들의 균질화를 위하여 호모게나이저(IKA Homogenizer, Germany)를 이용하여 15,000 rpm에서 10분간 균질화하여 페이스트 제형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카놀라유 35 - - 36 - - 45 - - 50
포도씨유 - 35 - - 45 - - 50 - -
올리브유 - - 30 - - 49 - - 40 -
레시틴 2 2 2 - - 5 2 2 - -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1 0.1 1 0.5 0.5 - 1 - 2 3
폴리소르베이트 80 - - - 2 2 - - 0.1 - -
코코넛 오일 32 32 35 15 23 10 10 15 20 15
수프로 661 20 20 20 35 20 25 - - - 20
분리대두단백 ISP - - - - - - 30 20 25 -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5 5
향미료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글루코사민 염산염 3.35 - - 3.35 - - 3.35 3.35 3.35 -
루테인 오일 - 0.02 - - - 0.02 - - - 0.02
저분자 콜라겐 - - 0.15 - 0.15 - - - - -
Vitamin B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Vitamin B2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Vitamin B3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Vitamin B5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Vitamin B6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Vitamin B7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Vitamin B9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Vitamin B12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Vitamin C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sodium selenite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Vitamin A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Vitamin D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Vitamin E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포타시움 소르베이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구성성분(%)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카놀라유 45 - - - 50 45 35 35 - -
포도씨유 - - 38 - - - - - 35 -
올리브유 - 55 - 46 - - - - - 35
레시틴 2 2 2 2 2 2 2 2 2 2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 1 - 2 3 1 0.1 0.1 - -
폴리소르베이트 80 - - 0.1 - - - - - 0.1 0.1
코코넛 오일 20 5 20 15 5 15 32 32 32 32
수프로 661 23 25 30 - - 15 20 22.5 10 10
분리대두단백 ISP - - - 25 30 13 5 - 12.5 12.5
1 3 2.5 1.5 5 1 2.5 2.5 2.5 2.5
글리세린 5 5 5 5 5 5 - 2.5 2.5 2.5
향미료 0.05 0.05 - - 0.05 0.05 0.05 0.05 0.05 0.05
글루코사민 염산염 - - - - - 3.35 3.35 - - -
루테인 오일 0.02 0.02 - - - - - 0.02 0.02 -
저분자 콜라겐 - - 0.15 0.15 0.15 - - - - 0.15
Vitamin B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Vitamin B2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Vitamin B3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Vitamin B5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Vitamin B6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Vitamin B7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Vitamin B9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Vitamin B12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Vitamin C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sodium selenite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Vitamin A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Vitamin D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Vitamin E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포타시움 소르베이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3의 조성 및 함량으로 비교예 1 내지 10의 반려동물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 - 20의 제조방법에 준한다.
구성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카놀라유 45 - - 60 - - 35 35 28 -
포도씨유 - 45 - - 55 - - - - -
올리브유 - - 20 - - 20 - - - -
레시틴 2 2 2 - - 1 2 2 2 -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1 0.1 1 0.5 0.5 - 1 1 1 1
폴리소르베이트 80 - - - 2 2 - - - - 2
코코넛 오일 - 2.5 50 25 25 20 - - - 35
수프로 661 40 40 15 10 5 50 - 50 50 45
분리대두단백 ISP - - - - - - 50 - - -
2.5 2.5 2.5 2.5 2.5 2.5 2.5 5 10 10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5 -
향미료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글루코사민 염산염 3.35 - - 3.35 - - 3.35 - - 3.35
루테인 오일 - 0.02 - - 0.02 - - 0.02 - -
저분자 콜라겐 - - 0.15 - - 0.15 - - 0.15 -
Vitamin B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Vitamin B2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Vitamin B3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0.00009
Vitamin B5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0.024
Vitamin B6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0.0029
Vitamin B7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0.00021
Vitamin B9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0.00045
Vitamin B12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Vitamin C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sodium selenite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Vitamin A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Vitamin D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Vitamin E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포타시움 소르베이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의 물리적 안정성 관찰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조성물 각각을 40℃ 조건에서 5개월 간 보관 후 다음 시험방법으로 상분리, 침전, 응집 및 이물 생성을 육안으로 평가한다.
1) 검체를 40℃ 조건에서 꺼내어 균일하게 혼합한다.
2) 1)의 액을 실온에서 30분간 보관한다.
3) 2)의 액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상분리, 침전, 응집 및 이물생성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해당 결과는 표 4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는 실시예 1, 2, 3과 비교예 1, 2, 3의 제조직후의 성상(A)과 40℃ 조건에서 5개월 간 보관 후의 성상(B)을 대표적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양한 페이스트 조성물의 실시예 1 내지 20은 모두 활성성분 및 기타 성분들이 고르게 또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상태였으며, 40 ℃의 보관조건 및 5개월간의 보관조건에서도 고르게 분산되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10의 조성물의 일부는 제조직후 성분들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거나 응집되는 성상을 확인하였으며, 40 ℃에서 5개월간의 보관조건에서 모두 상 분리 및 응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형 설게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제조직후 성상 40℃ 5개월 보관 후 성상
실시예 1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2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3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4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5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6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7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8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9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0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1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2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3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4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5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6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7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8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19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실시예 20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비교예 1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2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3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4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5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6 성분들이 응집되어 있음 (부적합) 성분들이 응집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7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8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9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 상 분리되어 있음 (부적합)
비교예 10 성분들이 응집되어 있음 (부적합) 성분들이 응집되어 있음 (부적합)
실험예 2 :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불의 화학적 안정성 관찰
실시예 1, 2, 3 조성물을 제조한 후 40 ℃의 조건에서 5개월간 보관하여 함량 변화 또는 감소의 화학적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제조직 후 글루코사민 및 루테인의 함량을 HPLC로 분석하고 5개월 뒤 동일 샘플을 분석하여 함량의 변화 또는 감소를 평가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분석에 사용한 HPLC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글루코사민 분석방법
사용기기 : Shimadzu UFLC XR HPLC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 184 nm)
컬럼 : Fortic C18 column, 250x4.6mm, 5 um particle size
이동상 : Ammonium dihydrogen phophate : Acetonitrile = 95 : 5
유속 : 0.5 ml/min
2) 루테인 분석방법
사용기기 : Shimadzu UFLC XR HPLC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 447 nm)
컬럼 : C18, 250 mm x 4.6 mm, 5 um particle size
이동상 : Acetonitrile : methanol : tetrahydrofuran = 50 : 35 : 15
유속 : 0.7 ml/min
제조직후 함량평가 결과 40℃ 5개월 보관 후 함령평가 결과
글루코사민 함량 루테인 함량 글루코사민 함량 루테인 함량
실시예 1 105 ± 3.0 (적합) 99 ± 1.1 (적합) 99 ± 4.5 (적합) 95 ± 3.8 (적합)
실시예 2 98 ± 1.8 (적합) 99 ± 2.5 (적합) 97 ± 0.7 (적합) 97 ± 1.0 (적합)
실시예 3 101 ± 3.2 (적합) 97 ± 3.0 (적합) 99 ± 1.1 (적합) 97 ± 2.7 (적합)
평가결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페이스트 조성물의 실시예 1, 2, 3에 대하여 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함량의 감소는 없었으며, 가속 조건에서 기능성 성분들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실험예 3 : 반려동물 기호성 평가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조성물에 대한 기호성 평가를 위하여 전문가 입회하에 5마리(포메라이안1, 포메라이안2, 셔틀랜드쉽독1, 셔틀랜드쉽독2, 프렌치불독)의 기호성을 평가하였다(2 mg/kg 이상). 평가 대상의 견종은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양육되는 중, 소형견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평가 방법으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2 Bowl Test 방법으로, 총 시험 기간은 5일 동안 진행하였다. 해당 시험의 반려동물의 정보 및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페이스트 조성물 (실시예 1)의 기호성은 평가한 5마리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일자 실험정보 포메라이안1 포메라이안2 셔틀랜드쉽독1 셔틀랜드쉽독2 프렌치블독
20.11.16 <2bowl>
좌: 실시예 1(10g)
우 : 마이뷰(10g)
개발제품 V (6ml) V (8ml) V (20ml) V (10ml)
시판품 V (5ml)
20.11.17 <2bowl>
좌: 실시예 1(10g)
우 : 마이뷰(10g)
개발제품 V (6ml) V (8ml) V (15ml) V (20ml) V (10ml)
시판품
20.11.18 <2bowl>
좌: 실시예 1(10g)
우 : 마이뷰(10g)
개발제품 V (6ml) V (8ml) V (22ml) V (11ml)
시판품 V (14ml)
20.11.19 <2bowl>
좌: 실시예 1(10g)
우 : 마이뷰(10g)
개발제품 V (7ml) V (8ml) V (20ml) V (10ml)
시판품 V (15ml)
20.11.20 <2bowl>
좌: 실시예 1(10g)
우 : 마이뷰(10g)
개발제품 V (6ml) V (8ml) V (20ml) V (12ml)
시판품 V (14ml)

Claims (8)

  1.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 계면활성제, 포화지방유 및 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글루코사민, 콜라겐 및 수용성 비타민류를 포함하며, 상기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루테인 및 지용성 비타민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유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감미제, 착향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8. (1) 식물유와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혼합한 유상, 및 물과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혼합한 수상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유상에 포화지방유를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유상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유상에 식물성 단백질을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유상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수상을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010496A 2021-01-25 2021-01-25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7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96A KR20220107639A (ko) 2021-01-25 2021-01-25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96A KR20220107639A (ko) 2021-01-25 2021-01-25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39A true KR20220107639A (ko) 2022-08-02

Family

ID=8284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96A KR20220107639A (ko) 2021-01-25 2021-01-25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6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2083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25-гидроксивитамин d3
US20210322371A1 (en) Nanosized carotenoid cyclodextrin complexes
EP2238843A1 (en) Compositions of fat-soluble active ingredients containing protein-polysaccharide conjugates
JP2009505809A (ja) 乳化剤系、その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使用
US20200315965A1 (en) Nanoemulsion concentrate formulations and methods
CN103269605A (zh) 包含植物蛋白-大豆多糖复合物的脂溶性活性成分的组合物
AU2017361526B2 (en) Liquid allerg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050083894A (ko) 근육 증가용 제제
EP2403362B1 (de) Pulverförmige zusammensetzungen von astaxanthin-derivaten ii
CN109414052B (zh) 凝胶状食品组合物和使用其的食品
KR20190142773A (ko) 캡슐화된 영양학적 및 약학적 조성물
AU2010229066A1 (en) Nutri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curcuminoi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6080269B2 (ja) 飼料用組成物、飼料、及び飼料の製造方法
JP2019206518A (ja) 油脂含有組成物及び経口製剤
JP2000106844A (ja) 水分散性カロテノイド組成物
JP3781157B2 (ja) 嚥下困難者用粉末栄養組成物
JP4703388B2 (ja) チオクト酸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342550B2 (ja) 水溶性ヘミ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製剤
EP3351118A1 (en) Fat-soluble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microcapsule and uses thereof and process of preparation
KR20220107639A (ko) 반려동물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0923309B1 (en) Dry fish feed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CA3069967A1 (en) Methods for making mixed allergen compositions
AU2017101336A4 (en) Nutritional paste
JPH0394660A (ja) 粉末栄養組成物
JPH07147932A (ja) 液状高エネルギー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