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615A - 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615A
KR20220107615A KR1020210010433A KR20210010433A KR20220107615A KR 20220107615 A KR20220107615 A KR 20220107615A KR 1020210010433 A KR1020210010433 A KR 1020210010433A KR 20210010433 A KR20210010433 A KR 20210010433A KR 20220107615 A KR20220107615 A KR 2022010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ser
recognition
platform
oper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0909B1 (en
Inventor
한용구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909B1/en
Publication of KR2022010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6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n entrance recognition unit installed at an entrance and recognizing a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platform recognition unit installed at a platform and recognizing th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by tracking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based on a user recognition sequence about the entrance and the platform; and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for calling the elevator to the platform when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is predic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discriminate elevator calling and efficiently control an elevator operation by predic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the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according to a user's recognition sequence.

Description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건물에 진입(進入) 또는 진출(進出)하려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하여 승강기 운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ireless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using a mobile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to recognize a user who wants to enter or exit a building and predict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Thus, it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that can efficiently control elevator operation.

최근 승강기와 모바일의 무선장치 연동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승강기 시스템에서 탑승하는 사람의 모바일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인식하여 승강기 호출 및 목적지 등록할 수 있는 승강기 자동 호출 및 목적지 등록 기술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모바일 무선 인식 방식은 사용자 소지의 모바일 단말이 인식되면 사용자가 실제로 승강기의 탑승 의도가 없어도 승강기를 호출하여 불필요한 정차를 하게 되어 승강기의 운행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Recently, technologies for using the wireless device interlocking between elevators and mobil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Representatively, there is an elevator automatic call and destination registration technology capable of wirelessly recognizing a person's mobile terminal (eg, a smart phone) in an elevator system to call an elevator and register a destination. However, in the existing mobile wireless recognition method, when the user's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the user calls the elevator and makes an unnecessary stop even if the user does not actually intend to board the elevator, thereby reduc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elevator.

또한,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통해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인식할 경우 블루투스 전파의 특성상 전파 세기 범위가 유동적으로 변하므로 전파 영향권의 경계선에 위치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이 경우 승강기의 무분별한 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is recogniz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Bluetooth, etc., the range of the radio wave strength varies flexibly due to the nature of the Bluetooth radio wave, so it can be recognized repeatedly if it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radio wave influence sphere. can

한국등록특허 제10-2097755(2020.03.31)호는 실시간 이동형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통신방식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연동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공동현관문이나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에 각각의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입주민이 공동현관문에 접근하여 도어폰에서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호출을 요청하거나 NFC카드를 태그하지 않아도 무접촉방식으로 입주민을 식별하여 공동현관문이 자동으로 열리고, 공동현관문이 열리면 공동현관문에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에 설치된 디바이스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연동하여 호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 Patent No. 10-2097755 (2020.03.31)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elevator automatic call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real-time mobile service, and each device is attached to a common entrance door or elevator call button of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n apartment. installed to identify residents in a contactless way without requiring residents to access the common front door and enter a password on the door phone, request a call, or tag an NFC card, and the common front door automatically opens. Disclosed is a technology that can interlock a call by sending a call signal from a device installed on the front door to a device installed on the elevator call butt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3959(2019.09.05)호는 개인 이동 단말기 및 엘리베이터 서비스 요청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주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무선 신호 장치를 포함하며, 탑승자가 휴대하는 개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와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값을 검출하고 신호 강도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점보다 크거나 또는 같을 때 엘리베이터 서비스 요청 명령을 무선 신호 장치로 자동으로 전송하여 탑승자의 엘리베이터 호출 경험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03959 (2019.09.05) relates to a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requesting an elevator service, including a wireless signal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system to broadcast a wireless signal to the surroundings, By using a portable personal mobile terminal to detect the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radio signal and the radio signal, and when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elevator service request command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radio signal device to call the elevator of the passenger We are disclosing technologies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experience.

한국등록특허 제10-2097755(2020.03.3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97755 (2020.03.3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3959(2019.09.0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03959 (2019.09.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건물에 진입(進入) 또는 진출(進出)하려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하여 승강기 운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user who wants to enter or exit a building using a mobile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and predicts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Mobile wireless recognition that can efficiently control the elevator ope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based 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출입구 및 승강장에서의 무선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승강기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기까지 왔는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하여 승강기를 호출하고 목적층을 등록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by checking whether the us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arrives at the elevator through wireless recognition at the entrance and the platform, and calls the elevator and registers the destination flo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승강기로 이동하고 있는지 방향을 예측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승강기를 탑승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만 승강기를 호출하여 승강기의 무분별한 호출을 줄이고, 불필요한 정차를 방지하여 승강기의 운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moving in the elevator, calls the elevator only when the user actually intends to board the elevator, reduces indiscriminate calls of the elevator, and prevents unnecessary stop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that can increase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는 출입구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출입구 인식부, 승강장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승강장 인식부, 상기 출입구와 승강장의 사용자 인식 순서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하는 승강기 탑승 예측부, 및 상기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가 예측된 경우 상기 승강장으로 승강기를 호출하는 승강기 운행 제어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mobile radio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is installed at the doorway and recognizes th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platform and controls th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platform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n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user's elevator boarding intention by track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recognition sequence of the entrance and the platform, and the user's elevator boarding intention is predicted and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that calls the elevator to the platform.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이동형 무선 비콘이고, 상기 출입구 인식부는 상기 출입구 위치를 기준으로 전파범위 내에 있는 상기 무선 비콘을 스캔하여 상기 출입구에 근접한 상기 무선 비콘을 소지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be a mobile wireless beacon, and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may scan the wireless beacon within a propagation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oorway to recognize a user possessing the wireless beacon close to the doorway.

상기 출입구 인식부는 상기 출입구에 근접한 사용자의 인식 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The doorway recognition unit may open or close the doorway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lose to the doorway is recognized.

상기 승강장 인식부는 상기 승강장 위치를 기준으로 전파범위 내에 있는 상기 무선 비콘을 스캔하여 상기 승강장에 근접한 상기 무선 비콘을 소지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may scan the wireless beacon within a radio wave range based on the platform location to recognize a user possessing the wireless beacon close to the platform.

상기 승강기 탑승 예측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구 인식부에서 1차 인식되고 상기 승강장 인식부에서 2차 인식되면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현재 승강장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고 추적하고 상기 승강기에 탑승 의도가 있는 경우로 예측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승강장 인식부에서 1차 인식되고 상기 출입구 인식부에서 2차 인식되면 승강기에서 하차하여 건물 진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로 예측할 수 있다.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tracks that the user is first recognized by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and recognized secondarily by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enters the building and is currently in a position close to the platform, and predicts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And, when the user is first recognized by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and is recognized secondarily by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user gets off the elevator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entering the building.

상기 승강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가 예측된 경우 상기 승강기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승강기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가 이탈하는 경우 승강기 탑승의지가 없는 것으로 예측하여 상기 승강기의 호출을 취소하고, 호출된 상기 승강기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이탈하는 경우 승강기 탑승을 한 것으로 예측하여 상기 승강기의 호출을 유지할 수 있다.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calls the elevator when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is predicted, and when the user leaves before the called elevator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platform, predicts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and calls the elevator Cancel and maintain the call of the elevator by predicting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elevator when the user leaves after the called elevator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platform.

상기 승강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승강기의 호출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층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목적층을 호출한 상기 승강기에 등록하고, 상기 승강기의 호출 취소시 등록된 목적층을 함께 취소할 수 있다.When the elevator is called, if there is a user's destination floo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registers the destination floor in the elevator that called, and cancels the registered destination floor together when the elevator call is cancelled. have.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건물에 진입(進入) 또는 진출(進出)하려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하여 승강기 운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user who wants to enter or exit a building using a mobile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and predicts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Operation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는 모바일 무선 인식 장치를 출입구와 승강장에 이중화하여 모바일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로 승강기를 탑승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만 승강기를 호출하여 승강기의 무분별한 호출을 줄이고 불필요한 정차를 방지하여 승강기의 운행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mobile wireless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by det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with the mobile device by dualizing the mobile wireless recognition device at the entrance and the platform. By calling the elevator only when the user actually intends to board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reduce indiscriminate calls of the elevator and prevent unnecessary stops,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elev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는 이미 호출 및 등록된 승강기라도 사용자가 승강장을 이탈하면 이를 취소하여 승강기의 운행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중화된 무선 인식 장치가 순서대로 인식될 경우에만 출입구 열림 또는 승강기 호출이 동작 되도록 하여 전파 특성이 갖는 범위가 유동적으로 변하여 발생하는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The mobile wireless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peration time of the elevator by canceling the elevator operation when the user leaves the platform even if the elevator is already called and register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lfunction caused by flexibly changing the range of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by allowing the door opening or elevator call to operate only when it is recognized as indic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운행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승강기 운행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가 건물 외부로 진출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승강기 운행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process performed 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process performed when a user enters a building 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process performed when a user advances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 출입구 개폐 장치(150) 및 승강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 an entrance opening/closing device 150 , and an elevator 170 .

사용자 단말(110)은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는 모바일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전송 주기에 따라 식별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자신의 비콘 식별정보(beacon ID)를 발신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mobile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10 through a network and can be interlocked. 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transmission period.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10 may periodically transmit its own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acon I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비콘(Beacon)은 블루투스 비콘(Bluetooth Beacon)이라고도 하며,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비콘은 위치를 알려주는 기준점 역할을 수행하고 정보 전달은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WiFi) 비콘, 블루투스 비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A beacon, also called a Bluetooth beac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 smart device in a short distance and transmitting necessary data. The beacon acts as a reference point to inform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is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and infrared. can be classified as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이동하는 비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소지 용이한 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moving beacon.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wearable device that is easy for a user to poss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은 모바일 무선 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및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하여 승강기(170)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인식을 위한 인식 장치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인식 장치와 별도로 구현된 경우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NFC, UWB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출입구 개폐 장치(150) 및 승강기(17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출입구 개폐 장치(150) 및 승강기(17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is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70 by recognizing the user and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and predicting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can b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recognition device for user recognition therein, and when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recogni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exchange data.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10 by being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NFC, or UWB.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doorway opening/closing device 150 and the elevator 17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doorway opening/closing device 150 and the elevator 170 .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건물 출입구와 승강장에 무선 인식장치를 이중 설치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예측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방향이 승강장을 근접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승강기 탑승 의도가 있다고 보고 승강기(170)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이동을 원하는 목적층을 입력받아 승강기 호출과 함께 목적층 자동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승강기 호출 이후에 사용자의 승강기 이탈이 인식되면 승강기 호출을 취소할 수 있고, 이때 등록한 목적층도 함께 취소할 수 있다.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can predict the user's moving direction by installing a wireless recognition device at the building entrance and the platform, and reports that the user intends to board the elevator only when the user's moving direction is close to the platform. can be called.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interwork with the user terminal 110 to receive a destination floor from which the user wants to move, and perform automatic registr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together with an elevator call.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30 may cancel the elevator call when the user's departure from the elevator is recognized after the elevator call, and in this case, the registered destination floor may also be cancelled.

출입구 개폐 장치(150)는 건물 출입구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구 개폐 장치(150)는 출입구 주변의 사용자 인식 여부에 따라 출입구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구 개폐 장치(150)는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통신을 통해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사용자 진입 또는 진출 알림이 전송되면 출입구 도어를 구동시켜 개방하고 일정시간 경과후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50 may correspond to a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building entrance door. In an embodiment, the door opening/closing device 150 may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way according to whether a user around the entrance is recognized. Here, the doorway opening/closing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when a user entry or exit notific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through communication, the door is opened by driving the doorway and opened at a predetermined time. The closed state can be maintained after time elapses.

승강기(170)는 고층 건물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행선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승강기(170)는 작동 방식에 따라 로프식, 유압식, 권동식, 순환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170)는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승강기(170)들은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기(170)는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의 호출에 따라 해당 층으로 이동할 수 있고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를 통해 목적층이 등록될 수 있다.The elevator 170 may correspond to a device capable of moving to a destination floor desired by a user in a high-rise building. The elevator 170 may be classified into a rope type, a hydraulic type, a winding type, a circulation type, etc.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In an embodiment, the elevator 170 may be connected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elevators 17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 Here, the elevator 170 may move to the corresponding floor according to the call of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 and the destination floor may be registered through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출입구 인식부(210), 승강장 인식부(230),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 승강기 운행 제어부(27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include an entrance/exit recognition unit 210 , a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 an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70 . can

출입구 인식부(210)는 건물의 출입구 위치에 설치되고 출입구 주변의 사용자 단말(11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구 인식부(210)는 무선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어 비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입구 인식부(210)는 출입구 위치를 기준으로 전파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110)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건물 진입 또는 진출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이동형 무선 비콘에 해당할 수 있고 출입구 인식부(21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로 무선 비콘을 스캔하여 무선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210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location of the building and may recognize th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around the entrance. In an embodiment,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less recognition module to receiv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recognize the user entering or exiting the building by 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110 within the radio wave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Here,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mobile wireless beacon, and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perform wireless recognition by scanning the wireless beacon with a wireless access point.

출입구 인식부(210)는 전파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송되는 비콘 식별정보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출입구 인식부(210)는 사용자 단말(110)과의 거리가 가깝게 될수록 즉, 사용자가 출입구에 근접할수록 신호 세기가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멀어질수록 신호 세기가 감소하게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구 인식부(210)는 검출된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 인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출입구 인식부(210)는 사용자 인식이 결정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목적층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detect a signal strength by receiving a signal of th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within the radio range.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detect that the signal strength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110 increases, that is, the closer the user approaches the doorway, and the signal strength decreases as the distance increases. In an embodiment,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determine the user recognition only when the detected signal streng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When the user recognition is determined,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receive an input of the destination floor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10 .

출입구 인식부(210)는 출입구 위치에 사용자 인식이 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110)의 비콘 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제1 인식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제1 인식신호에는 사용자 인식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출입구 인식부(210)는 사용자 제1 인식신호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입력된 목적층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구 인식부(210)는 사용자가 인식되면 출입구 개폐장치(150)를 작동시켜 출입구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provide a user first recognition signal including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10 when the user is recognized at the entrance location. Here, the user first recognition signal may further include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 recognition time.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may provide the target floor information input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user's first recognition signal. 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is recognized,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operates the doorway opening and closing device 150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way.

승강장 인식부(230)는 건물내 승강기 승강장 위치에 설치되고 승강장 주변의 사용자 단말(11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장 인식부(230)는 무선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어 비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승강장 인식부(230)는 승강장 위치를 기준으로 전파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110)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승강장 진입 또는 진출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이동형 무선 비콘에 해당할 수 있고 승강장 인식부(23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로 무선 비콘을 스캔하여 무선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is installed at the elevator platform in the building and may recognize th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around the platform. In an embodiment,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less recognition module to receiv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recognize the user's entry or exit from the platform by 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110 within the radio wave range based on the platform location. Here,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mobile wireless beacon, and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perform wireless recognition by scanning the wireless beacon with a wireless access point.

승강장 인식부(230)는 전파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송되는 비콘 식별정보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승강장 인식부(230)는 사용자 단말(110)과의 거리가 가깝게 될수록 즉, 사용자가 승강장에 근접할수록 신호 세기가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멀어질수록 신호 세기가 감소하게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장 인식부(230)는 검출된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 인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승강장 인식부(230)는 사용자 인식이 결정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목적층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detect a signal strength by receiving a signal of th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within the radio range.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detect that the signal strength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110 increases, that is, the closer the user approaches the platform, and the signal strength decreases as the distance increases. In an embodiment,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user recognition only when the detected signal streng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receive a destination floor input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10 when user recognition is determined.

승강장 인식부(230)는 승강장 위치에 사용자 인식이 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110)의 비콘 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제2 인식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제2 인식신호에는 사용자 인식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승강장 인식부(230)는 사용자 제2 인식신호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목적층이 입력되면 입력된 목적층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provide a second user recognition signal including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10 when the user is recognized at the platform location. Here, the user's second recognition signal may further include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 recognition time.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may provide the input destination floor information together when the destination floor is input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10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user's second recognition signal.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는 출입구 인식부(210) 및 승강장 인식부(230)로부터 사용자의 이동속도에 따라 시간차를 가지고 사용자 인식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되는 사용자 인식신호들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방향 및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는 사용자의 인식 위치 및 인식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추적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실제로 승강기의 탑승 의도가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는 동일한 비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1 인식신호와 제2 인식신호가 일정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현재 승강장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고 추적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 의도가 있는 경우로 예측할 수 있다.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may receive a user recognition signal with a ti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from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210 and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and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through the received user recognition signals and an elevator boarding intention. In an embodiment,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may track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recognized position and the recognized order, and may predict whether the user actually intends to board the elevator. Here, when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receives the user's first recognition signal and the second recognition signal including the sam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equen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user enters the building and is close to the current platform It can be tracked that there is in the elevator, and at this tim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user intends to board the elevator.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는 동일한 비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1 인식신호와 제2 인식신호가 일정간격을 두고 역순으로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가 승강장 위치에서 출입구 위치로 이동 방향을 추적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가 건물 외부로 진출하려는 경우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는 사용자 제1 인식신호만 수신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건물내 진입하여 승강기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 등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로 예측할 수 있다.When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receives the user's first recognition signal and the second recognition signal including the sam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verse ord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user can track the movement direction from the platform position to the entrance position, , at this tim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user intends to advance outside the building. Also, when only the user's first recognition signal is received,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may predict that the user enters the building and moves through the stairs without using the elevator.

승강장 운행 제어부(270)는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가 예측된 경우 승강기(170)를 호출할 수 있다. 승강장 운행 제어부(270)는 승강기(170)가 해당 층에 도착하기 전에 사용자가 승강장의 자리를 이탈하여 승강장 인식부(230)를 통해 사용자 인식이 안될 경우 승강기(170)의 호출을 취소할 수 있다. 승강장 운행 제어부(270)는 승강기(170)의 호출시 사용자의 목적층 입력이 있는 경우 호출한 승강기(170)에 목적층을 등록하여 사용자가 승강기(170) 탑승시 목적층을 승강기(170) 내에서 입력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목적층까지 승강기(170)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운행 제어부(270)는 승강기(170)의 호출이 취소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등록된 목적층을 함께 취소할 수 있다.The platform operation control unit 270 may call the elevator 170 when the user's elevator boarding intention is predicted through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 The platform operation control unit 270 may cancel the call of the elevator 170 when the user leaves the platform before the elevator 170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he user is not recognized through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 The platform operation control unit 270 registers the destination floor in the called elevator 170 when the user inputs the destination floor when the elevator 170 is called, and sets the destination floor when the user boards the elevator 170 in the elevator 17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70 up to a desired destination floor even if it is not input in . In an embodiment,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270 may cancel the registered destination floor of the corresponding user when the call of the elevator 170 is canceled.

제어부(290)는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출입구 인식부(210), 승강장 인식부(230),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 및 승강기 운행 제어부(2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 and a control flow between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 and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270 . Or you can manage the data fl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운행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process performed 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출입구 인식부(210) 및 승강장 인식부(230)를 통해 출입구 및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인식 모듈을 통해 이중으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단계 S310).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승강기 탑승 예측부(250)를 통해 사용자 인식 순서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여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단계 S330).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승강기 운행 제어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가 예측된 경우 승강기(170)를 호출할 수 있다(단계 S350).Referring to FIG. 3 ,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double recognize the user through the wireless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the platform through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210 and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230 (step S310 ). ).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30 may predict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by track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recognition sequence through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50 (step S330).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call the elevator 170 when the user's intention to ride the elevator is predicted through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250 (step S3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승강기 운행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process performed when a user enters a building 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가 건물 외부에서 출입구로 이동하면(①), 출입구 인식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을 1차 무선 인식할 수 있다(②). 출입구 인식부(410)는 사용자가 인식되면 출입구 개폐 장치(150)를 동작시켜 건물 출입구를 자동으로 열 수 있다(③). 출입구 인식부(410)는 승강기 탑승 예측부(450)에 사용자 진입을 통신으로 알림 전송할 수 있다(④).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출입구를 통과한 사용자가 승강기 승강장으로 이동하면(⑤), 승강장 인식부(4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을 2차 무선 인식할 수 있다(⑥). 승강장 인식부(430)는 승강기 탑승 예측부(450)에 사용자 접근을 통신으로 알림 전송할 수 있다(⑦). 승강기 탑승 예측부(450)는 출입구 사용자 인식 알림 및 승강장 사용자 인식 알림을 통해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⑧). 여기에서, 승강기 탑승 예측부(450)를 별도 구성으로 구현하였지만, 승강기 인식부(430)에 포함시켜 출입구 인식부(410)에서 승강기 인식부(430)에 사용자 진입을 통신으로 알리고 승강기 인식부(430)에서 사용자가 인식되면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승강기를 탑승하려는 의도로 승강장으로 이동한 경우로 예측할 수 있다.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가 예측된 경우 승강기 운행 제어부(47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목적층을 입력 받아 승강기(170)를 호출하고 승강기(170)에 목적층을 자동 등록할 수 있다(⑨). 승강기 운행 제어부(470)는 사용자 단말(110)에 할당 호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승강기 운행 제어부(470)는 할당된 승강기(170)가 승강장에 도착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110)이 승강장 인식부(430)의 전파범위에서 이탈하면(⑩), 승강기(170) 호출 및 목적층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⑪). 승강기 운행 제어부(470)는 승강기(170) 도착후에 사용자 단말(110)이 승강장 인식부(430)의 전파범위에서 이탈하면 사용자가 승강기(170)에 탑승한 경우로 인식하여 승강기(170) 호출 및 목적층 등록을 유지시킨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the entrance (①),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first wirelessly recognize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410 (②). ). When the user is recognized,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410 may operate the doorway opening/closing device 150 to automatically open the building entrance (③).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410 may transmit notification of user entry to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450 through communication (④). When the user who has passed through the doorway moves to the elevator platform (⑤),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perform a secondary wireless recogni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430 (⑥).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430 may transmit notification of user access to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450 through communication (⑦).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450 may predict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through the doorway user recognition notification and the platform user recognition notification (⑧). Here,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450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but by including it in the elevator recognition unit 430,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410 informs the elevator recognition unit 430 of the user's entry by communication, and the elevator recognition unit ( When the user is recognized in 430),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user moves to the platform with the intention of entering the building and boarding the elevator. When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is predicted,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receives the destination floor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470, calls the elevator 170, and sends the destination floor to the elevator 170. can be automatically registered (⑨).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470 may transmit assigned numb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 If the user terminal 110 deviates from the radio range of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430 before the assigned elevator 170 arrives at the platform (⑩),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470 may call the elevator 170 and register the destination floor. can be canceled (⑪).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470 recognizes that when the user terminal 110 departs from the propagation range of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430 after the arrival of the elevator 170, it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elevator 170 and calls the elevator 170 and Maintain destination regist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가 건물 외부로 진출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승강기 운행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process performed when a user advances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서 승강장으로 이동하면(①), 승강장 인식부(4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을 1차 무선 인식할 수 있다(②). 승강장 인식부(430)는 사용자가 인식되면 출입구 인식부(410)에 사용자 진출을 통신으로 알림 전송할 수 있다(③).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가 출입구로 이동하면(④), 출입구 인식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을 2차 무선 인식할 수 있다(⑤). 출입구 인식부(410)는 승강장 인식부(430)를 통해 승강장에서 사용자가 1차 인식된 후 출입구에서 2차로 인식되면 사용자가 건물 외부로 진출하려는 의도로 예측하여 출입구 개폐 장치(150)를 동작시켜 건물 출입구를 자동으로 열 수 있다(⑥). 출입구 인식부(410)는 사용자가 출입구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출입구 닫힘을 유지시킨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platform (①),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first wirelessly recognize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430 (②). ). When the user is recognized,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430 may transmit notification of the user's entry to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410 through communication (③). When the user moves to the entrance (④),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30 may wirelessly recognize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410 (⑤).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410 predicts that the user intends to enter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hen the user is recognized as the second at the entrance after the user is first recognized on the platform through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430 and operate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50 Building entrances can be opened automatically (⑥). The doorway recognition unit 410 maintains the doorway closed when the user does not move to the doorway.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는 건물 출입구 및 승강기 승강장에서 사용자 소지의 모바일 단말을 이중으로 무선 인식하여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로 승강기를 탑승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만 승강기를 호출하여 승강기의 무분별한 호출을 줄이고 불필요한 정차를 방지하여 승강기의 운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미 호출 및 등록된 승강기라도 사용자가 승강장을 이탈하면 이를 취소하여 승강기의 운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The mobile wireless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recognize the user's moving direction by wirelessly recognizing the user's mobile terminal at the building entrance and the elevator platform double, and predicting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In fact, by calling the elevator only when there is an intention to actually board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discriminate calls of the elevator and prevent unnecessary stops,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elevator. In addition, even if the elevator has already been called and registered, if the user leaves the platform, it can be canceled to reduce the operating time of the elevator.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는 출입구와 승강장의 순서대로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에만 승강기의 호출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인식을 위한 전파 특성이 갖는 범위가 유동적으로 변하여 반복적으로 인식되어 발생하는 오동작을 줄일 수 있고 모바일 연동 승강기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mobile wireless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lows the elevator call to be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is recognized in the order of the entrance and the platform, so that the range of the radio wave characteristic for wireless recognition is flexibly changed and repeatedly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lfunctions caused by this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obile-linked elevator contro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170: 출입구 개폐 장치 170: 승강기
210, 410: 출입구 인식부 230, 430: 승강장 인식부
250, 450: 승강기 탑승 예측부 270, 470: 승강기 운행 제어부
290: 제어부
100: elevator oper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110: user terminal 130: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70: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elevator
210, 410: entrance recognition unit 230, 430: platform recognition unit
250, 450: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270, 470: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290: control unit

Claims (7)

출입구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출입구 인식부;
승강장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승강장 인식부;
상기 출입구와 승강장의 사용자 인식 순서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를 예측하는 승강기 탑승 예측부; 및
상기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가 예측된 경우 상기 승강장으로 승강기를 호출하는 승강기 운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a doorway recognition unit installed at the doorway and recognizing th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platform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a platform and recognizing th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n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by track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recognition sequence of the entrance and the platform; and
and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for calling the elevator to the platform when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is predi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이동형 무선 비콘이고,
상기 출입구 인식부는
상기 출입구 위치를 기준으로 전파범위 내에 있는 상기 무선 비콘을 스캔하여 상기 출입구에 근접한 상기 무선 비콘을 소지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It is a mobile wireless beacon,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The mobile radio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scanning the radio beacon within the radio wave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oorway, the user holding the wireless beacon close to the doorway is recogniz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인식부는
상기 출입구에 근접한 사용자의 인식 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way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lose to the doorway is recogniz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인식부는
상기 승강장 위치를 기준으로 전파범위 내에 있는 상기 무선 비콘을 스캔하여 상기 승강장에 근접한 상기 무선 비콘을 소지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Mobile radio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scanning the wireless beacon within a radio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latform to recognize a user possessing the wireless beacon close to the platfor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탑승 예측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구 인식부에서 1차 인식되고 상기 승강장 인식부에서 2차 인식되면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현재 승강장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고 추적하고 상기 승강기에 탑승 의도가 있는 경우로 예측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승강장 인식부에서 1차 인식되고 상기 출입구 인식부에서 2차 인식되면 승강기에서 하차하여 건물 진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evator boarding prediction unit
When the user is first recognized by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and secondly recognized by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the user enters the building and tracks that he is in a position close to the current platform, and predicts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Mobile wireless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is recognized first by the platform recognition unit and the second recognition by the entrance recognition unit,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gets off the elevator and moves toward the building entr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의도가 예측된 경우 상기 승강기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승강기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가 이탈하는 경우 승강기 탑승의지가 없는 것으로 예측하여 상기 승강기의 호출을 취소하고, 호출된 상기 승강기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이탈하는 경우 승강기 탑승을 한 것으로 예측하여 상기 승강기의 호출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If the user's intention to board the elevator is predicted, the elevator is called, and if the user leaves before the called elevator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platform,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does not intend to board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call is canceled and called. Mobile wireless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leaves the elevator after the elevator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platform,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call is maintain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운행 제어부는
상기 승강기의 호출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층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목적층을 호출한 상기 승강기에 등록하고, 상기 승강기의 호출 취소시 등록된 목적층을 함께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elevator is called, if there is a user's destination floo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destination floor is registered in the elevator, and when the elevator call is canceled, the registered destination floor is canceled together. Recognition-bas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KR1020210010433A 2021-01-25 2021-01-25 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KR102450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33A KR102450909B1 (en) 2021-01-25 2021-01-25 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33A KR102450909B1 (en) 2021-01-25 2021-01-25 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15A true KR20220107615A (en) 2022-08-02
KR102450909B1 KR102450909B1 (en) 2022-10-06

Family

ID=8284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33A KR102450909B1 (en) 2021-01-25 2021-01-25 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90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134A (en) * 2007-07-25 2009-02-0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ing and going with smart tag
KR20170121018A (en) * 2016-04-24 2017-11-01 (주)참슬테크 Doorway access apparatus for automatic sliding
KR20190103959A (en) 2018-02-28 2019-09-0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A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requesting elevator service
KR102097755B1 (en) 2019-05-22 2020-04-06 정의석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call interlocking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al-time mobile service
KR20200087355A (en) * 2019-01-02 2020-07-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Terminal and method for public house control using IoT
JP6747626B1 (en) * 2019-03-15 2020-08-2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134A (en) * 2007-07-25 2009-02-0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ing and going with smart tag
KR20170121018A (en) * 2016-04-24 2017-11-01 (주)참슬테크 Doorway access apparatus for automatic sliding
KR20190103959A (en) 2018-02-28 2019-09-0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A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requesting elevator service
KR20200087355A (en) * 2019-01-02 2020-07-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Terminal and method for public house control using IoT
JP6747626B1 (en) * 2019-03-15 2020-08-2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KR102097755B1 (en) 2019-05-22 2020-04-06 정의석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call interlocking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al-time mobile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909B1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682B2 (en) Pre-call scheduling assistant
CN109071152B (en) Mobile device state management and location determination
EP2605990B1 (en) Passenger flow management system
US10081511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elevator calls
JP5560307B2 (en) Elevator system
US8439169B2 (en) Elevator group supervision controlling apparatus
WO2013033879A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erving elevators in response to each prompted car call
JP5854887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US2017005778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bridge
JP5740511B2 (en) Elevator system
CN105905712B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engaging elevator
CN105502111A (en) Elevator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bluetooth and elevator access dispatching method
WO2019015642A1 (en) Smart guidance for controlling passenger to enter correct elevator car
KR20190010481A (en) Seamless tracking of passenger flow in the elevator car
JP2006096517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05255320A (en) Registering device for elevator
JP5975807B2 (en) Elevator system
JP2011063417A (en) Elevator system
KR102046829B1 (en) Elevator interlocking control apparatus
KR102450909B1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based on mobile wireless recognition
CN104261213B (en) Passenger flow management system
JP2012035966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KR20050076197A (en) Calling and reservstion apparatus for elevator and method thereof
JP2000143106A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200416178Y1 (en) A Calling Device For Elevator Wherein Parking Lot And A Calling System For Elevator Wherein Parking 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