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342A -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 Google Patents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342A
KR20220107342A KR1020210009842A KR20210009842A KR20220107342A KR 20220107342 A KR20220107342 A KR 20220107342A KR 1020210009842 A KR1020210009842 A KR 1020210009842A KR 20210009842 A KR20210009842 A KR 20210009842A KR 20220107342 A KR20220107342 A KR 2022010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windshield
louver
scree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수
Original Assignee
허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경수 filed Critical 허경수
Priority to KR102021000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342A/ko
Publication of KR2022010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2Means to increase gliss, light, sound 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기의 팬과 방풍막이 서로 연동하여 실외기의 팬이 회전하면, 방풍막이 자동으로 상측으로 올라가 개방됨과 동시에 더운 열기는 배출 덕트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출하므로, 더운 열기가 실내에 머물지 않게 됨과 동시에 실내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할 수 있어 세이빙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실외기의 팬 전방에 설치되며 중앙에 삽입공과 테두리가 경사진 고정캡; 상기 고정캡의 삽입공에 삽입되며, 선단에 지지판이 형성된 주름관 형태의 배출 덕트; 창틀에 설치되며 실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풍막이 롤 형태로 형성된 방풍스크린; 상기 방풍스크린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텐방충망; 상기 스텐방충망의 전방에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고정형 날개가 상하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루버; 상기 실외기와 방풍막에 연결 설치된 작동센서를 통하여 실외기의 작동과 방충막의 개폐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Multi-purpose louver device for outdoor unit}
본 발명은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기의 팬과 방풍막이 서로 연동하여 실외기의 팬이 회전하면, 방풍막이 자동으로 상측으로 올라가 개방됨과 동시에 더운 열기는 배출 덕트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출하므로, 더운 열기가 실내에 머물지 않게 됨과 동시에 실내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할 수 있어 세이빙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에어컨을 설치시에 실외기는 건물 외부에 설치된다. 하지만, 무게가 상당한 실외기를 건물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설치하기도 곤란하며, 외부충격으로 인해 떨어지게 되면 큰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컨의 설치시 실외기(1)를 주거공간 내부에 설치하고 있고, 실외기(1)의 전방에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루버(2)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루버(2)는 수동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에어컨의 작동시 사용자가 직접 설치된 장소까지 가서 루버(2)에 부착된 손잡이(3)를 작동하여 개폐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에어컨의 작동시 불규칙한 루버의 작동으로 인해 실외기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야 할 일산화탄소 등이 주거공간에 유입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거나 실외기의 열기가 빠져나가지 않아 실외기 내부에 있는 압축기의 고장 및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2093061호인 자동 및 수동 겸용 에어컨실외기의 루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 및 수동 겸용 에어컨실외기의 루버장치는 구동수단의 정, 역회전에 따라 작동바가 회동되거나 또는 작동바를 사용자가 직접 회동시킴으로써, 루버체의 전체적인 개폐작동이 수행되어 자동 및 수동으로 실외기실의 개방 또는 밀폐작동이 이루어지면서도 수동방식으로 설계된 기존의 루버장치에도 자동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컨실외기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전류센서 또는 동작센서로 구성하여, 에어컨 작동 여부에 따라 실외기실에 대한 개방 또는 밀폐작용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어 에어컨으로부터 발생한 열풍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발명은 실외기의 더운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겨울철에는 루버를 닫아 미사용하게 되나, 루버 슬랫의 틈 사이로 냉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실내 난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름철에 실외기는 가동하면, 더운 공기가 바로 배출되지 않고 머무르다가 배출되기 때문에 일부는 배출되고, 일부는 실내로 유입되어서 난방에도 손실 요인이 발생하여 에너지 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3061호 "자동 및 수동 겸용 에어컨실외기의 루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인의 특허등록 제10-1957679호인 미세먼지 차단 스크린 창을 개량한 특허로서, 실외기의 팬과 방풍막이 서로 연결되어 작동하므로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더운 열기를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므로, 더운 열기가 실내에 머물지 않게 됨과 동시에 실내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외기의 팬 전방에 설치되며 중앙에 삽입공과 테두리가 경사진 고정캡; 상기 고정캡의 삽입공에 삽입되며, 선단에 지지판(225)이 형성된 주름관 형태의 배출 덕트; 창틀에 설치되며 실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풍막이 롤 형태로 형성된 방풍스크린; 상기 방풍스크린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텐방충망; 상기 스텐방충망의 전방에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고정형 날개가 상하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루버; 상기 실외기와 방풍막에 연결 설치된 작동센서를 통하여 실외기의 작동과 방충막의 개폐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는 본 발명은 실외기의 더운 열기를 배출 덕트를 통해 외부로 직접 배출 분사하므로 실내에 더운 열기가 머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쪽으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하여 에너지 세이빙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는 겨울철에 방풍막이 밀폐되어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는 별도의 스텐방충망 을 추가로 설치하는 비용과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방풍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실외기(1)의 팬(4)과 방풍막(280)이 서로 연동하여 실외기(1)의 팬(4)이 회전하면, 방풍막(280)이 자동으로 상측으로 올라가 개방됨과 동시에 팬(4)에서 발생하는 더운 열기는 배출 덕트(220)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출하므로 더운 열기가 실내에 머물지 않게 되고, 실내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을 극대화 할수 있는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200)를 제공한다.
상기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200)는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삽입공(211)과 테두리가 경사진 고정캡(210)과, 고정캡(210)의 삽입공(211)에 삽입되며 선단에 지지판(225)이 형성된 주름관 형태의 배출 덕트(220)와, 창틀에 설치되며 방풍막(280)이 롤 형태로 형성된 방풍스크린(240)과, 방풍스크린(240)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텐방충망(230)과, 스텐방충망(230)의 전방에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고정형 날개(236)가 상하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루버(235)와, 실외기(1)의 팬(4)과 방풍막(280)의 회전축(285)이 연동되게 하는 작동센서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캡(210)은 중앙에 배출 덕트(220)가 삽입되는 삽입공(211)을 형성하고, 테두리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삽입된 배출 덕트(22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고정캡(210)은 실외기의 팬 구멍 전방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배출 덕트(220)는 주름관으로 전면에 주름관을 지지하는 지지판(221)을 부착하고, 후면은 고정캡(210)의 삽입공(211)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상기 지지판(221)은 방풍막(251)의 후면에 위치하여 배출 덕트(220)의 내부를 통과하는 더운 열기를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스텐방충망(230)은 방풍스크린(24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실내로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루버(235)는 수평으로 돌출되면서 전방이 경사지게 절곡된 고정형 날개(236)를 상하 이정 간격으로 다수를 고정 설치하며, 고정형 날개(236)는 항상 개방되어 있으면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방풍스크린(240)은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케이스(250)와, 측면 마감캡(260)과, 가이드레일(270) 및 방풍막(28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단케이스(250)은 케이스(251)와 덮개(252)로 이루어져 있고, 케이스(251)에서 덮개(252)를 분리 및 재결합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51)는 수직 상태의 수직판과 ㄱ자 형태의 케이스가 일체형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케이스(251)의 하단에는 ㄷ자 형태의 걸림홈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252)는 케이스(251)의 전면 부분을 가리며, 상단에 ㄱ자 형태의 걸림 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덮개(252)의 걸림 돌기를 케이스(261)의 걸림홈에 삽입하여 전면을 가리거나, 분리하여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마감캡(260)은 내면에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 가이드 홈(261)을 형성하고, 외면 테두리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며, 하측 면에 사각 형태의 수직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70)은 측면 마감캡(260)의 하단에 결합하며, 전면 중앙에 개방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측면 마감캡(260)의 수직 돌기가 삽입되는 사각의 결합홈을 형성된 사각 프레임으로, 개방홈의 후방에 고정봉(275)을 삽입하고, 고정봉(275)의 하단을 하단캡의 봉삽입홈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에 하단캡을 가이드 레일(270)의 하측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70)의 고정봉(275)은 방풍막(280)의 한쪽 끝단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펼쳐서 고정봉(275)의 외면에 감싸서 서로 맞닿도록 한 후에 박음질하거나 접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방풍막(280)은 바람과 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재질을 사용하며, 케이스(251)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285)의 외면에 롤 형태로 감아서 사용한다. 상기 회전축(285)의 한쪽에 감속기를 설치하여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방풍막(280)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단바(281)를 형성한다.
상기 방풍막(280)은 겨울철에는 밀폐하고, 여름철에는 개방하여 흡입과 배기 기압을 맞출 수 있게 되고,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방풍막(280)은 롤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수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풍막(280)은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작동센서(290)는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외기에 설치되는 센서(291)와, 방풍막(280)의 회전축(285)에 설치되는 전동 실린더(292)와, 센서(291)의 신호를 전동 실린더(292)로 전달하여 방풍막(280)을 개폐하는 주제어기(293)로 구성한다.
상기 주제어기(292)는 실외기(1)의 센서(291)와 전동 실린더(292)를 신호 전선(294)으로 연결하며, 센서(291)의 신호를 받아 전동 실린더(292)를 작동한다.
상기 주제어기(292)는 외부 전원을 공급 받으며, 리모컨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292)는 실외기(1)가 동작할때만 방풍막(280)이 개방되며, 동작 정지시에는 자동으로 방풍막(280)이 내려오도록 센서에서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전동 실린더(292) 쪽으로 동작 명령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풍막(280)이 밀폐된 상태에서 실외기(1)의 팬(4)이 회전하게 되면, 팬(4)에 설치된 센서(291)의 전기 신호를 주제어기(293)에 전달되고, 주제어기(293)는 전동 실린더(292)에 작동 명령을 전기 신호를 전달하여 첨부된 도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85)이 회전하면서 방충막(28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한다.
이와 동시에 실외기(1)에서 발생하는 더운 열기는 배출 덕트(220)를 통과하면서 스텐방충망(230)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로 인해 더운 열기가 실내에 머무르지 않고 직접 외부로 배출 분사시키므로 실내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하여 냉방시 에너지 절약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의 팬(4)이 회전을 멈추게 되면, 이를 센서(291)가 주제어기(293)에 전기 신호를 보내고, 주제어기(293)는 전동 실린더(292)를 작동하여 방풍막(280)을 자동로 내려오게 되고 하단바(281)가 창틀의 하단을 밀폐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1)를 가동하지 않을 때는 방풍막(280)이 밀폐되어 외부의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스텐방충망(230)은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며, 고정형 루버 날개(231)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200: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210:고정캡 211:삽입공
220:배출 덕트 225:지지판
230:스텐방충망 235:루버
236:고정형 날개 240:방풍스크린
280:방풍막 290:작동센서

Claims (1)

  1. 실외기의 팬 전방에 설치되며 중앙에 삽입공과 테두리가 경사진 고정캡;
    상기 고정캡의 삽입공에 삽입되며, 선단에 지지판이 형성된 주름관 형태의 배출 덕트;
    창틀에 설치되며 실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풍막이 롤 형태로 형성된 방풍스크린;
    상기 방풍스크린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텐방충망;
    상기 스텐방충망의 전방에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고정형 날개를 상하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루버;
    상기 실외기와 방풍막에 연결 설치된 작동센서를 통하여 실외기의 작동과 방충막의 개폐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KR1020210009842A 2021-01-25 2021-01-25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KR20220107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842A KR20220107342A (ko) 2021-01-25 2021-01-25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842A KR20220107342A (ko) 2021-01-25 2021-01-25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342A true KR20220107342A (ko) 2022-08-02

Family

ID=8284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842A KR20220107342A (ko) 2021-01-25 2021-01-25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3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061B1 (ko) 2019-03-07 2020-03-24 박선은 자동 및 수동 겸용 에어컨실외기의 루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061B1 (ko) 2019-03-07 2020-03-24 박선은 자동 및 수동 겸용 에어컨실외기의 루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58060U (zh) 通风采光排烟天窗
JP2005105732A (ja) 換気機能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CN104736789B (zh) 具有通风结构的窗
JP4735451B2 (ja) 通風建物
KR100508797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20220107342A (ko) 실외기용 다목적 루버 장치
CN117052273A (zh) 智能生态窗系统及其控制方法
CN216592082U (zh) 一种幕墙通风器
KR200319639Y1 (ko) 창문용 블라인드
KR100628982B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0374308Y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CN111549899B (zh) 一种房屋通风系统
KR20090028667A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JP2739272B2 (ja) 空気調和機
KR20040092401A (ko) 창문용 블라인드
CN205477314U (zh) 一种一体化窗
CN216346823U (zh) 一种门窗通风器
JP3366992B1 (ja) 自動換気装置付き建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ガラリ
JP2005146838A (ja) 建物
KR200418516Y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Roulet et al. Specific devices for natural ventilation
KR102153461B1 (ko) 열교환 환기장치의 개폐기구
JP3041918U (ja) 吹き込み防止換気口
CN215859848U (zh) 换气窗
SU1195148A1 (ru) Система солнечного отоплени зда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