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299A - 배출 디바이스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배출 디바이스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299A
KR20220107299A KR1020227023806A KR20227023806A KR20220107299A KR 20220107299 A KR20220107299 A KR 20220107299A KR 1020227023806 A KR1020227023806 A KR 1020227023806A KR 20227023806 A KR20227023806 A KR 20227023806A KR 20220107299 A KR20220107299 A KR 20220107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outlet head
outlet
head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인츠 페털리
Original Assignee
프랑케 카페마쉬넨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케 카페마쉬넨 아게 filed Critical 프랑케 카페마쉬넨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0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온수기, 상기 온수기로부터 뜨거운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브루잉 장치, 및 뜨거운 음료 라인을 통해 상기 브루잉 장치에 연결되는 배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또한 상기 배출 디바이스에 고정될 수 있고 분리된 식품 라인들을 통해 상기 배출 디바이스로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디바이스는 상기 출구 헤드가 밀봉 결합되게 하는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Description

배출 디바이스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본 발명은 온수기, 온수기로부터 뜨거운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브루잉 장치, 및 뜨거운 음료 라인을 통해 브루잉 장치에 연결되는 배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특히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부분적으로 커피 기반 음료를 조제하고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자동 커피 머신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음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다. 음료 변형을 선택한 후에, 커피 음료는 사용자 사양에 따라서 조제되고, 통합된 브루잉 장치에 의해 음료 출구로 분배된다. 앞서 언급한 뜨거운 음료 출구 외에, 우유, 우유 거품 또는 향료와 같은 추가 음료 성분을 위한 출구들이 자주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출구는 함께 그룹화되어, 자동 커피 머신에 고정 배열되는 출구 헤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출구 헤드 대신에, 출구 헤드에 부착된 출구에 포터필터(portafilter)가 밀봉식으로 고정되는 소위 포터필터 머신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포터필터는 커피 분말이 손으로 채워지고, 포터필터 머신에 고정되며, 사전 결정된 양의 뜨거운 물이 포터필터에 수용된 커피 필터와 커피 필터에 수용된 커피 분말 케이크를 통과할 때까지 뜨거운 물과 함께 가압되는 방식이다. 추가 음료 첨가제는 바리스타에 의해 커피 음료에 수동으로 추가된다.
마지막으로, 포터필터가 또한 사용되지만 통합된 커피 그라인더를 통해 분쇄된 커피 분말로 자동으로 채워지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커피 머신은 예를 들어 WO 2010 085850 A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커피 머신의 장점과 출구 헤드에 대한 교체 가능성 및 간단한 청소에 관한 포터필터 머신의 장점을 결합한 음료 제조기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파생될 수 있다.
서론에서 언급된 유형의 음료 제조기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제조기는, 배출 디바이스에 고정될 수 있고 별도의 식품 라인들을 통해 배출 디바이스로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을 분배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헤드를 포함하며, 배출 디바이스는 출구 헤드가 밀봉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출구 헤드는 커피와 같은 갓 끓인 뜨거운 음료를 위한 출구, 및 선택적으로 우유, 우유 거품 또는 향료와 같은 다른 음료 성분을 위한 추가 출구를 포함한다. 출구 헤드에 결합을 위한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청소 목적 또는 출구 헤드를 교체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간단한 제거를 허용한다. 이러한 출구 헤드는 특히 포터필터와 유사한 외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그 상부면은, 연결 개구를 구비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폐쇄되는 밀봉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포터필터의 형태를 하는 출구 헤드의 디자인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동작을 허용하며, 전문 바리스타 기계의 느낌과 매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출구 헤드에서 푸싱을 위한 선형 가이드를 가진다. 따라서, 출구 헤드는 예를 들어 전면으로부터 가이드 내로 밀리고, 간단한 방식으로 교환 또는 청소를 위해 당겨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프레싱 메커니즘을 통해, 연결 지점을 구비한 배출 디바이스의 밀봉 표면에 대해 출구 헤드를 프레싱하도록 구성된 작동 레버를 가진다. 그러므로, 작동 레버를 통해, 출구 헤드는 배출 디바이스에 대해 밀봉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연결 지점을 통해, 출구 헤드 상에 배열된 출구와 배출 디바이스로 안내되는 식품 라인 사이에 유체 연결이 만들진다. 밀봉 표면에 대한 프레싱에 의한 결합은 출구 헤드와 배출 디바이스 사이에 간단하고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허용한다. 특히 전술한 선형 가이드와 함께, 출구 헤드를 가이드에 삽입하고, 이어서 작동 레버에 의해 배출 디바이스에 대해 출구 헤드를 결합 및 잠그는 것에 의해 특히 간단한 작동이 초래된다.
모터는 또한 프레싱 메커니즘의 대안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는 배출 디바이스의 밀봉 표면에 대해 이러한 출구 헤드를 프레싱하기 위해 작동 레버와 같은 작동 요소를 작동시킬 때 배출 디바이스에 거슬러 출구 헤드를 이동시킨다.
추가 실시예에서,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또한 선형 가이드 및 프레싱 메커니즘 대신에, 특히 베이넛 폐쇄(bayonet closure)와 같은 회전식 체결의 형태를 하는 상이한 체결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상이한 음료 성분을 위한 복수의 연결 개구를 가지며, 상기 연결 개구는 식품 라인과 연통하고, 연결 헤드는 식품 라인에 대해 밀봉 결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출구 헤드는 특히 연결 개구의 일부 또는 심지어 전체에 대해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는 밀봉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출구 헤드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밀봉 표면은 나머지 연결 개구를 폐쇄하며, 즉 연결 개구는 출구 헤드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특히 배출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음료 성분이 하나의 연결 헤드에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분배될 수 있는 음료 변형의 사전 선택은 배출 디바이스에 결합된 연결 헤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별개의 출구 헤드가 에스프레소를 하나의 컵에 분배하기 위해(단일 꼭지), 에스프레소를 동시에 2개의 컵에 분배하기 위해(더블 꼭지), 또는 카푸치노와 라떼 마끼아또를 분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배출 디바이스의 개별 연결 개구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에 밀봉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밀봉부는 연결 헤드의 결합된 밀봉 표면에 대해 밀봉을 제공하거나 또는 출구 헤드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때 관련 연결 개구를 폐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출 디바이스는 배출 디바이스 및 이에 결합된 출구 헤드를 데우기 위한 히터를 가진다. 따라서, 뜨거운 음료는 예열된 배출 디바이스와 예열된 출구 헤드를 통해 분배되어서, 이러한 뜨거운 음료는 음료 용기로의 그 경로에서 냉각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출구 헤드의 열 결합은 특히 금속, 예를 들어 주조 알루미늄으로 설계될 수 있는 밀봉 표면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연결 헤드의 간단한 교환을 허용하기 때문에,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출구 헤드는 출구 헤드를 통해 분배될 수 있는 음료 유형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구비할 수 있고, 배출 디바이스는 식별자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기를 가진다. 식별자는 특히 RFID 태그, NFC 칩 등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판독될 수 있는 식별자일 수 있다. 유사하게, 출구 헤드 상의 식별자로서 광학적으로 또는 자기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기계적 코딩은 또한 예를 들어 상이한 길이의 핀 또는 돌출부, 및 배출 디바이스 상의 핀 길이의 기계적 스캐닝에 의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출구 헤드가 교환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상이한 음료 또는 음료의 세트를 위해 상이한 출구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출구 헤드는 배출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이한 출구 헤드의 식별자와 배출 디바이스에 배열된 판독기를 통해, 음료 제조기에 현재 결합되어 있는 출구 헤드의 유형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현재 결합되어 있는 출구 헤드를 이용하여 분배될 수 있는 선택을 위한 이러한 음료 또는 음료 변형을 제공하고 가능하게 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이를 위해, 음료 제조기는 컨트롤러, 및 신호 기술, 특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면에서 컨트롤러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이한 음료 또는 음료 변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이러한 경우에 음료 제조기에 의해 선택된 음료 또는 선택된 음료 변형의 자동 조제 및 분배를 개시하고, 대응하여 음료 제조기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는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식별자의 기능으로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합된 출구 헤드를 통해 분배될 수 있는 선택을 위한 음료 또는 음료 변형만을 제공하기 위해 판독기와 협력한다. 그러므로, 상이한 출구 헤드가 상이한 음료 또는 음료의 세트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가능한 음료의 사전 선택은 현재 사용되는 출구 헤드의 자동 인식을 통해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과 특징들을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배출 디바이스 및 결합된 출구 헤드를 구비하는 음료 제조기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2는 출구 헤드가 제거된 도 1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도시하고,
도 3a는 출구 헤드가 제거된 음료 제조기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배출 디바이스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4는 3개의 대안적으로 사용 가능한 출구 헤드를 구비하는 음료 제조기를 도시하며,
도 5는 음료 제조기의 물 흐름도를 도시한다.
자동 커피 머신의 형태를 하는 음료 제조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출구 헤드(3)를 위한 수용부를 가진 배출 디바이스(2)는 자동 커피 머신의 전면에 위치된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형태를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는 배출 디바이스(2) 위에 배열된다. 출구 개구(2)의 수용부에 수용된 출구 헤드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역할을 하는 작동 레버(5)는 그 측면에 위치된다. 배출 디바이스(2) 아래에는 드립 그리드(6)가 있는 수집 트레이(7)가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용기(8)는 출구 헤드(3) 아래의 드립 그리드(6)에 위치되고, 자동 커피 머신(1)에 의해 분배될 뜨거운 음료는 상기 음료 용기에 채워진다.
커피 콩을 위한 저장 용기(9)가 자동 커피 머신(1)의 상부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자동 커피 머신은 커피 콩을 부분적으로 분쇄하고 커피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통합 브루잉 장치 내로 채워진 통합 그라인더를 가진다.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기능은 종래의 자동 커피 머신에 대응한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4)에서 픽토그램의 형태로 도시된 음료 변형이 선택되고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시작 기호가 작동될 때, 선택된 음료의 자동 조제 및 분배가 일어난다. 이러한 경우에, 삽입된 출구 헤드(3)로 분배될 수 있는 음료 변형만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는 출구 헤드(3)가 제거된 자동 커피 머신(1)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작동 레버(5)는 출구 헤드(3)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전방으로 선회되고, 출구 헤드(3)는 배출 디바이스(2)의 가이드(2a)로부터 전방으로 당겨진다.
출구 헤드(3)는 종래의 포터필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핸들(3b)이 제공되는 캐리어(3a)를 가진다. 원형 밀봉 표면(10)은 캐리어(3a)의 상부면에 구성되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 내부에 위치되는 출구 헤드의 하부면 상의 출구(12a, 12b)에 대응하는 2개의 개구(11a, 11b)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개구(11a, 11b) 및 관련된 출구(12a, 12b)를 통해, 음료 성분이 배출 디바이스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도 3a에서, 자동 커피 머신은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로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출구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배출 디바이스(2)의 수용부(2b)를 아래에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 디바이스(2)의 하부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2개의 돌출부는 출구 헤드(3)를 위한 선형 가이드(2a)를 형성한다. 배출 디바이스(2)를 통해 분배될 수 있는 상이한 음료 성분을 위한 총 7개의 출구 개구(13a 내지 13g)는 수용부(2b)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음료 개구는 도 3b의 상세도에서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출구 헤드(3)의 밀봉 표면(10)에 대응하는 밀봉 표면(14)은 출구 개구(13a 내지 13g) 주위에 구성된다. 더욱이, 각각의 경우에, 삽입된 출구 헤드의 밀봉 표면(10)에 대해 출구 개구(13a 내지 13g)를 밀봉하는 환형 밀봉부가 출구 개구(13a 내지 13g) 주위에 위치된다. 중앙 출구 개구(13a)는 갓 내린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출구 개구(13b)는 우유 및 우유 거품을 분배하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 출구 개구(13c-13g)는 추가 음료 첨가제를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작동 레버(5)의 기능은 대응하는 프레싱 메커니즘, 예를 들어 레버 메커니즘 또는 피니언이 있는 톱니형 랙을 통해 수용부(2b)에 삽입된 출구 헤드(3)를 배출 디바이스(2)의 밀봉 표면(14)에 대해 프레싱하고, 그러므로 출구 헤드(3)를 배출 디바이스 및 출구 개구(13a 내지 13g)에 밀봉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모터로 작동되는 구동 유닛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유닛은 작동될 때,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5)를 통해, 출구 헤드를 배출 디바이스(2)의 밀봉 표면(14)에 대해 프레싱한다. 자연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작동 방향은 역전될 수 있으며, 즉, 출구 헤드는 수직 위치에서 잠기고, 전방으로 회전된 위치에서 잠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출구 개구(13a 내지 13g) 중 2개, 즉 출구 개구(13a 및 13b)만이 출구 헤드의 밀봉 표면(10)에 있는 관련된 개구(11a, 11b)를 통해 출구(12a, 12b)에 연결된다. 나머지 출구 개구(13c 내지 13g)는 출구 헤드(3)의 밀봉면(10)에 의해 유체 기밀 방식으로 폐쇄된다. 그러므로, 관련 음료 성분이 분배되지 않고 출구 헤드(3)를 사용할 때 이용 가능할 수 없도록, 이와 같이 폐쇄된 출구 개구(13c 내지 13g)를 통해 분배가 발생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도 4에서, 자동 커피 머신(1)은 3개의 교대로 사용 가능한 출구 헤드(3, 3', 3")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출구 헤드(3')의 경우에, 단 하나의 개구(11a)만이 밀봉 표면(10)에 존재한다. 이러한 것은 2개의 에스프레소 컵을 위한 더블 꼭지(12)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출구 헤드(3')를 사용하는 것으로, 에스프레소가 빼내져, 2개의 컵으로 동시에 분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우유 또는 우유 거품을 함유한 음료와 같은 다른 선택 옵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서 차단되고, 대응하는 픽토그램은 전혀 표시되지 않거나 회색으로 표시된다.
출구 헤드(3")의 경우에, 예를 들어 대응하는 출구(12a, 12b, 12d, 12g)에 대응하는 4개의 출구 개구(11a, 11b, 11d, 11g)가 존재한다. 따라서, 총 4개의 상이한 음료 성분이 이러한 출구 헤드를 사용하여 분배되고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 음료는 우유 거품 및 추가 액체 향료가 분배될 수 있다.
도 5에서, 자동 커피 머신에 설치될 수 있는 유압 회로가 물 흐름도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회로는 라인(22, 22')을 통해 브루잉 장치(21)에 연결된 온수기(20)를 가진다. 출구 측에서, 브루잉 장치(21)는 출구 라인(24)을 통해 배출 디바이스(2)에 연결된다. 브루잉 장치는 자동 커피 머신의 종래의 브루잉 유닛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브루잉 유닛은 예를 들어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EP 2561778 A1에 기재되어 있다. 브루잉 챔버를 통해 전도되는 물의 양은 유량계(28)를 통해 계량된다. 온수기(20)로부터의 뜨거운 물은 공급측에 연결된 물 펌프(29)를 통해 운반된다.
우유 시스템은 물 흐름도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우유 시스템은 우유 용기(31)가 있는 냉장고(30), 추출 라인을 통해 우유 용기(31)에 연결된 우유 펌프(32), 압력측에 있는 우유 펌프(32)에 연결되고 이 경우에 나선형 믹서로 설계된 역압 요소(34)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역압 요소(34)로서 단순한 다이어프램 또는 감소된 내경을 가지는 프레싱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공기 밸브(36)가 있는 공기 흡기 라인(35)이 또한 흡인 라인(33)으로 이어진다. 공기 밸브(36)는 본 발명에서 시계 방식으로 활성화되는, 즉 간헐적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구성된다. 역압 요소(34) 및 공기 밸브(36)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우유를 거품화하는 역할을 한다. 대응하는 우유 시스템은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EP 3 021 037 A1에 개시되어 있다.
우유 라인(37)은 압력 증가 요소(34)로부터 전환 밸브(38)로 이어지며, 이에 의해, 우유 펌프(32)에 의해 운반되는 우유 또는 우유 거품은 선택적으로 열적 블록(39)을 통해 또는 배출 디바이스(2)로 직접 전도될 수 있다. 대응하여 따뜻하거나 또는 차가운 우유(공기 밸브 폐쇄) 또는 따뜻하거나 또는 차가운 우유 거품(공기 밸브가 시계 방식으로 개폐)은 우유 시스템과 배출 디바이스(2)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가의 음료 성분, 예를 들어 시럽 향미료를 분배하기 위한 추가 디바이스(40)가 물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바이스(40)는 관련 향미료를 위한 저장 용기(41) 및 계량 펌프(42)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향미료는 식품 라인(43)을 통해 배출 디바이스(2)로 운반된다. 이 경우에, 디바이스(40)는 단지 예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별도의 식품 라인을 통해 배출 디바이스에 연결된, 추가 음료 성분을 위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추가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대응하는 시럽 스테이션은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EP 2 030 538에 개시되어 있다.
우유 냉장고(30)와 시럽 스테이션(40)은 일반적으로 음료 제조기에 인접하거나 카운터 아래에 설치되어 외부 공급 식품 라인을 통해 음료 제조기 및 배출 디바이스(2)에 연결되는 추가 기기로서 위치되는 별도의 기기로서 전형적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출 디바이스(2)는 3개의 음료 공급 라인, 즉 뜨거운 음료 라인(24), 우유 또는 우유 거품을 위한 라인(37'), 및 액체 향료용 식품 라인(43)을 가진다. 전술한 디자인의 출구 헤드(3)는 배출 디바이스(2)에 결합된다. 이러한 출구 헤드는 배출 디바이스(2)를 통해 전술한 식품 라인(24, 37', 43)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3개의 출구(12a, 12b, 12c)를 가진다.
배출 디바이스(2)는 또한 히터(25)를 갖고, 배출 디바이스(2)와 그에 결합된 출구 헤드(3)는 모두 히터에 의해 예열될 수 있다. 이는 분배 과정 동안 분배될 뜨거운 음료가 식는 상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우에, 출구 헤드(3)는 출구 헤드(3)와 배출 디바이스(2) 사이의 접촉 표면을 통해 가열된다.
도 5에서, 또한 배출 디바이스 상에 배열된 RFID 판독기(27)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RFID 태그(26)가 출구 헤드(3)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출구 헤드 및 이에 의해 분배될 음료 성분은 RFID 태그(26)를 통해 식별되어서, 관련 출구 헤드(3)에 의해 분배될 수 있는 음료 또는 음료 변형만이 음료 제조기의 대응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활성화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을 위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므로, 출구 헤드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다른 음료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온수기 및 스팀 발생기(50)가 물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수세 및 청소 목적을 위한 뜨거운 물뿐만 아니라 스팀을 제공한다. 스팀은 예를 들어 종래 구성의 스팀 라인(51) 및 스팀 랜스(52)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에서, 이러한 스팀 랜스는 개선된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출 디바이스(2)의 측면에 공지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스팀은 예를 들어 우유 또는 우유 거품을 재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 배출 디바이스(2)로 스팀 라인(51')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완전성을 위해 도시된 수세 라인 및 수세 또는 배수 밸브는 또한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다. 수세 라인 및 수세 또는 배수 밸브의 기능은 예를 들어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EP 2 583 596 A1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Claims (12)

  1. 온수기(20), 상기 온수기(20)로부터 뜨거운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브루잉 장치(21), 및 뜨거운 음료 라인(24)을 통해 상기 브루잉 장치(21)에 연결되는 배출 디바이스(2)를 포함하는, 특히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배출 디바이스(2)에 고정될 수 있고 분리된 식품 라인들(24, 37', 43)을 통해 상기 배출 디바이스(2)로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헤드(3)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디바이스(2)는 상기 출구 헤드(3, 3', 3")가 밀봉 결합되게 하는 기계적 인터페이스(2a, 2b, 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출구 헤드(3, 3', 3")에 푸싱을 위한 선형 가이드(2a)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프레싱 메커니즘을 통해, 연결 지점들(13a-13g)이 제공된 배출 디바이스(2)의 밀봉 표면(14)에 대해 출구 헤드(3, 3', 3")를 프레싱하도록 구성된 작동 레버(5)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작동 요소(5)를 통하여 작동되는 모터를 가지고, 상기 모터는 작동될 때 연결 지점들(13a-13g)이 제공된 배출 디바이스(2)의 밀봉 표면(14)에 대해 출구 헤드(3, 3', 3")를 프레싱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출구 헤드(3, 3', 3")에 결합을 위한, 회전식 체결부, 특히 베이넛 폐쇄부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상이한 음료 성분을 위한 복수의 연결 지점들(13a-13g)을 가지고, 상기 출구 헤드(3, 3', 3")는 연결 지점들에 밀봉 결합되며, 상기 출구 헤드(3, 3', 3")는 상기 연결 지점들(13a-13g)의 일부 수에 대해 대응하는 개구들(11a, 11b, 11d, 11g)을 가지는 밀봉 표면(10)을 가지며, 상기 출구 헤드(3, 3', 3")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밀봉 표면(10)은 나머지 연결 개구(11c, 11e, 11f)를 유체 밀봉하도록 폐쇄하는, 음료 제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개별 연결 지점(13a-13g)은 각각 밀봉부가 제공되는, 음료 제조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디바이스(2)는, 상기 배출 디바이스(2) 및 그에 결합된 출구 헤드(3, 3', 3")를 데우기 위한 히터(25)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헤드(3, 3', 3")에는, 비접촉 방식, 특히 RFID 태그로 판독될 수 있고 출구 헤드(3, 3', 3")를 통해 분배될 수 있는 음료 유형을 식별하는 식별자(26)가 제공되며, 상기 배출 디바이스(2)는 상기 식별자(26)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기(27)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컨트롤러, 및 신호 기술, 특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면에서 컨트롤러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이한 음료 또는 음료 변형이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료 제조기에 의해 선택된 음료 또는 선택된 음료 변형의 자동 분배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판독기(27)에 의해 판독된 식별자(26)의 기능으로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결합된 출구 헤드(3, 3', 3")를 통해 분배될 수 있는 선택된 음료 또는 음료 변형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판독기(27)와 협력하는, 음료 제조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헤드(3, 3', 3")는 포터필터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포터필터의 상부면은, 연결 개구(11a, 11b, 11d, 11g)를 구비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폐쇄되는 밀봉 표면(10)에 의해 형성되는, 음료 제조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배출 디바이스(2)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상이한 음료 또는 음료의 세트를 위한 복수의 출구 헤드(3, 3', 3")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0227023806A 2019-12-18 2020-12-10 배출 디바이스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KR20220107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34919.2 2019-12-18
DE102019134919.2A DE102019134919A1 (de) 2019-12-18 2019-12-18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mit Auslasseinrichtung
PCT/EP2020/085637 WO2021122335A1 (de) 2019-12-18 2020-12-10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mit auslass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299A true KR20220107299A (ko) 2022-08-02

Family

ID=7409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806A KR20220107299A (ko) 2019-12-18 2020-12-10 배출 디바이스를 가지는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012714A1 (ko)
EP (1) EP4076110B1 (ko)
JP (1) JP2023507030A (ko)
KR (1) KR20220107299A (ko)
CN (1) CN114828704B (ko)
BR (1) BR112022011997A2 (ko)
DE (1) DE102019134919A1 (ko)
DK (1) DK4076110T3 (ko)
ES (1) ES2959841T3 (ko)
MX (1) MX2022007494A (ko)
WO (1) WO20211223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5597A5 (de) * 1993-05-27 1995-08-31 Thermoplan Ag Auslasskopf für ein Gerät, insbesondere für ein Kaffeemaschinengerät.
ATE174773T1 (de) * 1996-07-22 1999-01-15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Kaffeemaschine
ITMI20021541A1 (it) * 2002-07-12 2004-01-12 De Longhi Spa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a base di caffe'
DE102007041022A1 (de) 2007-08-29 2009-03-05 Niro-Pla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eiten von aromatisierten Heißgetränken, insbesondere Kaffee und Tee
AU2010207886A1 (en) 2009-01-29 2011-08-11 Breville Pty Limited Espresso machine with grinder dosing control
DE202009001490U1 (de) * 2009-02-06 2010-08-05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Gerät zur Ausgabe von Getränken
DE102011110793A1 (de) * 2011-08-22 2013-02-28 Franke Kaffeemaschinen Ag Kaffeemaschine und Brühgruppe für eine Kaffeemaschine
DE102011084901A1 (de) 2011-10-20 2013-04-25 Franke Kaffeemaschinen Ag Vorrichtung zur Ausgabe von Milch und Verfahren zum Erwärmen von Milch
EP2732741B1 (de) * 2012-11-16 2017-08-02 Miele & Cie. KG Getränkebereiter mit einem Zentralauslauf
CN204345391U (zh) 2014-11-12 2015-05-20 通用电气照明解决方案有限公司 灯条及冷藏展示柜
AU2016351373A1 (en) * 2015-11-13 2018-06-28 IceColdNow, Inc. Coldwav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59841T3 (es) 2024-02-28
US20230012714A1 (en) 2023-01-19
DK4076110T3 (da) 2023-10-09
CN114828704B (zh) 2023-12-01
MX2022007494A (es) 2022-07-01
DE102019134919A1 (de) 2021-06-24
WO2021122335A1 (de) 2021-06-24
BR112022011997A2 (pt) 2022-08-30
CN114828704A (zh) 2022-07-29
JP2023507030A (ja) 2023-02-20
EP4076110B1 (de) 2023-09-06
EP4076110A1 (de)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4656B (zh) 具有人体工程学用户接口的饮料机器
JP5969038B2 (ja) ミルク泡立て装置およびこの種のミルク泡立て装置を有するコーヒーまたはエスプレッソマシンおよび自動飲料販売機
US9125521B2 (en) Combined multiple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brewing basket for use in same
CN107920684B (zh) 具有人体工程学出口的饮料机器
EP1909590B1 (en) Automatic flavoring dispenser for automated espresso machine
US9414711B2 (en) Coffee machine
CA2780698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EP1658796A2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ot drink
US20100187259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ilk-based products
US20100192782A1 (en) Coffee machine
EP2638833A1 (e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cleanable brewing head
AU2013303850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KR20020089447A (ko) 액체성 음료 분배 기계
CN216135667U (zh) 用于从至少一种调味剂制备冲泡的饮品的系统
KR20230144018A (ko)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2688450B1 (en) Pressure relief system for espresso maker
CN113453597B (zh) 咖啡机
US20230012714A1 (en) Beverage maker having an outlet device
RU2818889C1 (ru) Аппар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выпуск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EP3897316B1 (en) A coffee machine with integrated steam and hot water generation
RU28016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с распределением привода
JP7382397B2 (ja) 作動分配部を有する飲料マシン
EP4197406A1 (en) Discharge of rinsing water from a brew chamber of a beverage making device
US20230301459A1 (en) Beverage-Dispen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