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827A -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827A
KR20220105827A KR1020210008663A KR20210008663A KR20220105827A KR 20220105827 A KR20220105827 A KR 20220105827A KR 1020210008663 A KR1020210008663 A KR 1020210008663A KR 20210008663 A KR20210008663 A KR 20210008663A KR 20220105827 A KR20220105827 A KR 20220105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rail
ball bearing
magnet
len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상훈
송윤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827A/ko
Priority to PCT/KR2022/001131 priority patent/WO2022158902A1/ko
Priority to EP22742878.6A priority patent/EP4283389A1/en
Publication of KR2022010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제1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 아래에 배치되며 제2 렌즈부를 포함하는 제2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 아래에 배치되는 제3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넷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마그넷 홀더 상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요크,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의 중심은 상기 광축 및 상기 마그넷의 중심을 지나는 제1 평면과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휴대폰 등의 이동 단말기, 노트북, 드론, 차량 등 다양한 장치에 장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장치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 포커스(autofocus,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줌(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영상 흔들림 방지(image stabilization, IS)기술을 채용하여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흔들림 방지(IS) 기술에는 광학적 영상 흔들림 방지(OIS; optical image stabilizer)기술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흔들림 방지기술 등이 있다. 여기서 OIS기술은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이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흔들림 방지기술은 기계적인 방식과 전자적인 방식으로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이며 최근 OIS기술이 더 많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OIS 기능 구현을 위해 빛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반사 부재,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구동부에서 인가되는 구동력으로 상기 반사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여 빛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로 코일, 마그넷 등을 포함하는 VCM(Voice Coil Motor) 방식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반사 부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 포커스 또는 줌(zooming)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액추에이터(actuator)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추에이터는 마그넷, 코일, 볼 베어링 등을 포함하며 전자기력에 의해 형성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액추에이터의 기구적 움직임에 의한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가 발생하며, 이러한 마찰 토크에 의해 구동력 감소, 소비 전력 증가, 제어 특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복수의 렌즈군(lens group)을 이용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간격, 얼라인(align) 뿐만 아니라 복수의 렌즈군들과 이미지 센서와의 얼라인이 잘 맞아야 하는데 렌즈군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 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액추에이터가 볼 베어링을 포함할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은 광학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기구적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볼 베어링, 상기 볼 베어링과 접하는 구성들 예컨대, 상기 볼 베어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등의 치수, 형태 등을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관리 인자가 많아질수록 산포가 넓어지는 문제가 있고, 제품 불량 또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산포와 불량을 감소할 수 있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향상된 다양한 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손떨림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컴팩트(compact)하게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향상된 오토 포커스(AF)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렌즈군 이동 시 발생하는 디센터, 틸트, 마찰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제1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 아래에 배치되며 제2 렌즈부를 포함하는 제2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 아래에 배치되는 제3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넷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마그넷 홀더 상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요크,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의 중심은 상기 광축 및 상기 마그넷의 중심을 지나는 제1 평면과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의 중심은 상기 제1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의 중심은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의 중심은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의 중심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 홀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마그넷 홀더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볼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마그넷 홀더 및 상기 요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광축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볼 베어링 및 상기 광축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볼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는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오버랩되고,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 홀더는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접하는 제1 단차부 및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접하는 제2 단차부 포함하고, 상기 광축 및 상기 마그넷 홀더의 중심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단차부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접하며 상기 제1 단차부와 마주하는 제1 레일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접하며 상기 제2 단차부와 마주하는 제2 레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은 서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단차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3 단차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4 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차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3 및 제4 단차면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레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3 레일면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4 레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일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3 및 제4 레일면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레일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단차면이 형성하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선에서 상기 제4 레일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선에서 상기 제2 레일면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1 방향 거리는 상기 제3 단차면과 상기 제3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1 방향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차면과 상기 제2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3 방향 거리는 상기 제4 단차면과 상기 제4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3 방향 거리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볼 베어링은 상기 제1 단차면, 상기 제2 단차면,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과 접하고, 상기 제2 볼 베어링은 상기 제3 단차면, 상기 제4 단차면, 상기 제3 레일면 및 상기 제4 레일면 중 적어도 2개의 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볼 베어링은 상기 제3 단차면 및 상기 제3 레일면과 접하고, 상기 제4 단차면 및 상기 제4 레일면과 이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차면과 상기 제2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3 방향 거리는 상기 제4 단차면과 상기 제4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3 방향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또는 줌(Zoom)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상술한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또한, 외부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입사한 광은,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입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마그넷의 중십보다 그 중심이 상부에 위치한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넷과 요크 사이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하며 제2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부와 마그넷 홀더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마그넷 홀더와의 접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레일에 대한 치수, 형태 등의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고, 불량에 대한 산포를 감소시킬 수 향상된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상기 마그넷과 요크 사이에 형성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의 얼라인 특성 및 다른 렌즈 어셈블리와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향상된 화질 및 해상력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거리, 예컨대 무한대(Infinity) 내지 근거리(약 30mm)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무한대(Infinity) 내지 근거리(약 30mm)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광학계의 전체 길이가 증가하지 않고 고정된 TTL 값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어 보다 컴팩트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AF) 동작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향상된 화질 및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프리즘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프리즘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손떨림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향상된 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상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마그넷 홀더 및 제1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구동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제1 구동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볼 베어링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제1 구동부의 다른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구동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프리즘 홀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프리즘 유닛, 무빙 플레이트 및 하우징 홀더의 배치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22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2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x축, y축, z축 방향에서 제2 방향인 y축 방향은 광축(optic axis) 방향 또는 이와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 및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 및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를 수용하는 보호 케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오토 포커스(Auto Focus; AF)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오토 포커스(AF) 및 줌(zoom)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복수의 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렌즈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오토 포커스(AF) 기능을 제공하거나, 오토 포커스(AF) 및 줌(zoom)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입사된 광은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에 먼저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에 입사된 광은 광의 경로가 변화되어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에 입사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280)에 입사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상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마그넷 홀더 및 제1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커버 부재, 제1 렌즈 어셈블리(210), 제2 렌즈 어셈블리(220), 제3 렌즈 어셈블리(230), 이미지 센서부, 제1 회로기판(150), 제1 구동부(410), 마그넷 홀더(310) 및 제1 가이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10) 및 상기 하부 커버(1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어셈블리(210, 220, 230) 상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10) 및 상기 하부 커버(120)는 그 사이에 배치된 렌즈 어셈블리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10) 및 상기 하부 커버(1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어셈블리(210, 220, 23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는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는 광축 방향(y축 방향,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는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보다 이미지 센서(28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211) 및 상기 제1 렌즈(211)를 수용하는 제1 렌즈 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는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광축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보다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와 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와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 사이에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221) 및 상기 제2 렌즈(221)를 수용하는 제2 렌즈 배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렌즈(221)의 매수는 상기 제1 렌즈(211)의 매수보다 적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는 광축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는 상기 제1 및 제2 렌즈 어셈블리(210, 220)보다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와 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 사이에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3 렌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렌즈(231) 및 상기 제3 렌즈(231)를 수용하는 제3 렌즈 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렌즈(231)의 매수는 상기 제1 렌즈(211)의 매수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231)의 매수는 상기 제2 렌즈(221)의 매수보다 적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는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광축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광축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어셈블리(210, 220, 230)보다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와 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를 통해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에 입사된 광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이미지 센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28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280)는 상기 제1 렌즈부, 상기 제2 렌즈부 및 상기 제3 렌즈부 순서로 지나는 광을 수집하여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280)는 그 중심이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부의 렌즈들(211, 221, 231)의 광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280)의 광축과 상기 렌즈들(211, 221, 231)의 광축은 얼라이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은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은 상기 커버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은 상기 상부 커버(110) 및 상기 하부 커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은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은 상기 이미지 센서(280), 상기 제1 구동부(4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은 경성 인쇄회로기판(Rigid PCB),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igid 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패턴이 있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일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를 광축 방향(y축 방향,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제1 기판(411), 코일(412), 마그넷(413) 및 요크(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411)은 상기 제1 회로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411)은 상기 코일(4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411)은 경성 인쇄회로기판(Rigid PCB),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igid 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패턴이 있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412)은 상기 제1 기판(4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412)은 상기 제1 기판(41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412)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 기판(4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412)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일측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코일(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코일(412)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는 상기 제1 기판(4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는 상기 제1 기판(411)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411)은 상기 코일(412) 및 상기 요크(4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는 상기 볼 베어링(3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마그넷(413)과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는 상기 마그넷(413)과의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마그넷(413)이 배치된 상기 마그넷 홀더(310)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가 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414)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와 상기 제1 가이드부(330)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350)이 상기 구성들(310, 330)과 점 접촉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411) 상에는 위치 검출 센서(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검출 센서는 자기 센서(magnetic senso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검출 센서는 홀 센서와 같은 고체 자기 센서, 코일형 자기 센서 또는 공명형 자기 센서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위치 검출 센서는 상기 마그넷(413)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41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그넷 홀더(310)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 구동부(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상기 제2 렌즈 배럴(222)과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착 부재는 아크릴 수지계(Acrylic resin), 알파-올레핀계(alpha-Olefin resin), 우레탄 수지계(Polyuretheane resin), 우레탄수지 용제(Polyurethane solvent type), 폴리우레탄수지(TPU), 에테르계 셀룰로오스(Ethercellulose), 에폭시수지계(Epoxy resin), 실리콘계(Silicone adhesives), 폐놀수지계(Phenolic resin), 폴리이미드계(Polyimide), 폴리스티렌수지(Polystyrene solvent type), 폴리비닐알코올계(Polyvinylalcohol, PVAL), 멜라민수지계(Melamine resin) 등의 접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마그넷 홀더(310)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상기 제1 구동부(410)의 마그넷(413)이 배치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상기 코일(412)와 마주하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 홀더(3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상기 제1 구동부(41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단차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11)는 상기 코일(412)과 마주하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31)는 볼 베어링(350)의 배치를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홀더(310)의 타측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차부(331)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복수의 단차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차부(331)는 제1 단차부(331a) 및 제2 단차부(3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부(331a) 및 상기 제2 단차부(331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부(331a) 및 상기 제2 단차부(331b)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차부(331a)는 광축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차부(331b)는 광축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의 타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구동부(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요크(4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와 결합한 제2 렌즈 어셈블리(220)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상기 제1 가이드부(330)를 따라 광축 방향(y축 방향,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레일(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331)은 마그넷 홀더(310)와 마주하는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일면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일(33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복수의 레일(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일(331)은 제1 레일(331a) 및 제2 레일(3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331a) 및 상기 제2 레일(331b)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331a) 및 상기 제2 레일(331b)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레일(331a)은 상기 광축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일(331b)은 상기 광축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331a) 및 상기 제2 레일(331b)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레일(331a) 및 상기 제 2레일(331)은 광축 방향(y축 방향, 제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331a) 및 상기 제2 레일(331b)은 상기 제1 단차부(331a) 및 상기 제2 단차부(331b)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331a)은 상기 제1 단차부(331a)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일(331b)은 상기 제2 단차부(331b)와 제1 방향으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볼 베어링(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베어링(350)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구성(310, 330)을 이격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구동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볼 베어링(350)을 매개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볼 베어링(350)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 베어링(350)은 상기 제1 단차부(331a) 및 상기 제1 레일(331a)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 베어링(35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상기 제1 단차부(331a) 및 상기 제1 레일(331a)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상기 제1 단차부(331a) 및 상기 제1 레일(331a) 각각과 적어도 한점 이상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상기 제1 레일(33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베어링(350)은 상기 제2 단차부(331b) 및 상기 제2 레일(331b)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 베어링(35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상기 제2 단차부(331b) 및 상기 제2 레일(331b)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상기 제2 단차부(331b) 및 상기 제2 레일(331b) 각각과 적어도 한점 이상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상기 제2 레일(331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 및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 및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상기 광축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상기 광축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격벽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13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130)는 광축 방향(제2 방향,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130)는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 및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130)는 상기 제1 및 제3 렌즈 어셈블리(210, 23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 부재(130)의 일 끝단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격벽 부재(130)의 타 끝단은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130)는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 및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 부재(130)는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210) 및 상기 제3 렌즈 어셈블리(230)가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130)는 스토퍼(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1)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와 마주하는 상기 격벽 부재(13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1)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1)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가 광축 방향(y축 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부재(13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는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330)가 복수의 레일(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레일(331)이 손상되어도 나머지 하나로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레일(331)에서 볼 베어링(350)의 마찰력 이슈가 발생하여도 나머지 레일을 통해 볼 베어링(350)이 구름 구동을 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330)가 복수의 레일(331)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얼라인(align) 특성 및 다른 렌즈 어셈블리와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초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향상된 화질 및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마그넷 홀더(31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마그넷 홀더(310)의 단차부(311a, 311b)는 복수의 단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부(331a)는 제1 단차면(SS1) 및 제2 단차면(S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면(SS1)은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면(SS1)은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제1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면(SS1)은 제2 및 제3 방향(y축, 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면(SS1)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단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차면(SS2)은 상기 제1 단차면(SS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으로 상기 제1 단차면(SS1)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면(SS2)은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면(SS2)은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제3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면(SS2)은 제1 및 제2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차면(SS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단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면(SS1) 및 상기 제2 단차면(SS2)은 설정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면(SS1) 및 상기 제2 단차면(SS2)이 형성하는 각도는 직각(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면(SS1) 및 상기 제2 단차면(SS2)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면(SS1) 및 상기 제2 단차면(SS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부(331b)는 제3 단차면(SS3) 및 제4 단차면(SS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면(SS3)은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면(SS3)은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제1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면(SS3)은 제2 및 제3 방향(y축, 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단차면(SS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단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면(SS3)은 상기 제1 단차면(SS1)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면(SS3)은 상기 제1 단차면(SS1)과 동일한 제2 및 제3 방향(y축, z축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차면(SS4)은 상기 제3 단차면(SS3)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으로 상기 제3 단차면(SS3)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4 단차면(SS4)은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4 단차면(SS4)은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제3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차면(SS4)은 제1 및 제2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단차면(SS4)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단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단차면(SS4)은 상기 제2 단차면(SS2)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차면(SS4)은 상기 제2 단차면(SS2)과 동일한 제1 및 제2 방향(x축, y축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면(SS3) 및 상기 제4 단차면(SS4)은 설정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면(SS3) 및 상기 제4 단차면(SS4)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1 단차면(SS1) 및 상기 제2 단차면(SS2)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단차면(SS3) 및 상기 제4 단차면(SS4)이 형성하는 각도는 직각(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면(SS3) 및 상기 제4 단차면(SS4)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단차면(SS3) 및 상기 제4 단차면(SS4)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직선(C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직선(CL)은 상기 광축과 상기 마그넷 홀더(310)의 중심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즉, 상기 마그넷 홀더(310)는 상기 제1 직선(CL)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B1)과 하부 영역(B2)이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차부(331a) 및 상기 제2 단차부(331b) 또한 상기 제1 직선(CL)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직선(CL)에서 상기 제1 단차면(SS1)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직선(CL)에서 상기 제3 단차면(SS3)의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직선(CL)에서 상기 제2 단차면(SS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직선(CL)에서 상기 제4 단차면(SS4)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3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레일(331)은 복수의 레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331a)은 제1 레일면(RS1) 및 제2 레일면(R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면(RS1)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면(RS1)은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제1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면(RS1)은 제2 및 제3 방향(y축, 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면(RS1)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단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면(RS1)은 상기 제1 단차면(SS1)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일면(RS2)은 상기 제1 레일면(RS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하는 면으로 상기 제1 레일면(RS1)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면(RS2)은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면(RS2)은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제3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면(RS2)은 제1 및 제2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차면(SS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단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은 설정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1 단차면(SS1) 및 상기 제2 단차면(SS2)이 형성하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이 형성하는 각도는 약 90도 초과 12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도 이하일 경우, 상기 제1 단차부(331a) 및 상기 제1 레일(331a)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의 마찰 토크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력 감소, 소비 전력 증가, 제어 특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가 120도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구동부(410)에 의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이동 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에 디센터(decenter)나 틸트(til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얼라인 특성이 저하되어 화질 및 해상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이 형성하는 각도는 구동력 및 얼라인 특성을 고려하여 약 90도 초과 내지 약 11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331b)은 제3 레일면(RS3) 및 제4 레일면(RS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은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제1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은 제2 및 제3 방향(y축, 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레일면(RS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단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은 상기 제1 레일면(RS1)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은 상기 제1 레일면(RS1)과 동일한 제2 및 제3 방향(y축, z축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상기 제4 레일면(RS4)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으로 상기 제3 레일면(RS3)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제2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제1 및 제2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단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상기 제2 레일면(RS2)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상기 제2 레일면(RS2)과 동일한 제1 및 제2 방향(x축, y축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설정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3 단차면(SS3) 및 상기 제4 단차면(SS4)이 형성하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이 형성하는 각도는 약 90도 초과 12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도 이하일 경우, 상기 제2 단차부(331b) 및 상기 제2 레일(331b)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의 마찰 토크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력 감소, 소비 전력 증가, 제어 특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가 120도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구동부(410)에 의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이동 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에 디센터(decenter)나 틸트(til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얼라인 특성이 저하되어 화질 및 해상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이 형성하는 각도는 구동력 및 얼라인 특성을 고려하여 약 90도 초과 내지 약 11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통과하는 상기 제1 직선(CL)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C1)과 하부 영역(C2)은 서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직선(CL)은 상기 광축,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레일(331a) 및 상기 제2 레일(331b)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고, 각각의 레일면(RS1, RS2, RS3, RS4)의 제1 내지 제3 방향(x, y, z축 방향)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제1 직선(CL)을 기준으로 상하(z축 방향)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직선(CL)에서 상기 제4 레일면(RS4)까지의 거리(h2)는 상기 제1 직선(CL)에서 상기 제2 레일면(RS2)까지의 거리(h1)와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직선(CL)에서 상기 제4 레일면(RS4)까지의 거리(h2)는 상기 제1 직선(CL)에서 상기 제2 레일면(RS2)까지의 거리(h1)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상기 제1 직선(CL)을 기준으로 상하(z축 방향)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면(SS1)과 상기 제1 레일면(RS1)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차면(SS2)과 상기 제2 레일면(RS2)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차면(SS3)과 상기 제3 레일면(RS3)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4 단차면(SS4)과 상기 제4 레일면(RS4)은 제4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단차면(SS1)과 상기 제1 레일면(RS1) 사이의 제1 방향 거리는 상기 제3 단차면(SS3)과 상기 제3 레일면(RS3) 사이의 제1 방향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차면(SS2)과 상기 제2 레일면(RS2) 사이의 제3 방향 거리는 상기 제4 단차면(SS4)과 상기 제4 레일면(RS4) 사이의 제3 방향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4 단차면(SS4)과 상기 제4 레일면(RS4) 사이의 제3 방향 거리는 상기 제2 단차면(SS2)과 상기 제4 레일면(RS4) 사이의 제3 방향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부(330)가 비대칭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3 방향에 대한 상술한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구동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3의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제1 구동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볼 베어링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부(410)에서 마그넷(413)의 착자 방식은 수직 착자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413)의 N극과 S극은 모두 상기 코일(412)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412)에서 전류가 지면에서 수직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흐르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마그넷(413)의 N극 및 S극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410)의 N극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자력(DM)이 가해지고(자력의 방향은 도시된 방향의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일 수 있음), N극에 대응하는 상기 코일(412) 영역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전류(DE)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전자기력(DEM)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410)의 S극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자력(DM)이 가해지고, S극에 대응하는 상기 코일(412)에서 지면에 수직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전류(DE)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전자기력(DEM)이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구동부(410)에서 상기 코일(412)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마그넷(413)이 배치된 상기 마그넷 홀더(310), 상기 마그넷 홀더(310)와 결합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전류 방향에 따른 전자기력(DEM)에 의해 광축 방향(y축 방향, 제2 방향)으로 제1 가이드부(330)의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력(DEM)은 상기 코일(412)에 가해지는 전류(DE)에 비례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오토 포커싱(AF) 동작 시 렌즈의 디센터(decenter) 또는 틸트(tilt)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렌즈 사이의 얼라인(align)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화각이 변화하거나 초점 이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향상된 화질 및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구동부(410)의 코일(412), 마그넷(413) 및 요크(414) 각각은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412)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은 상기 광축에서 제1 및 제2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제1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코일(412)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코일(412)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은 상기 제1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은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는 상기 코일(412) 및 상기 마그넷(413)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크(414)는 상기 코일(412) 및 상기 마그넷(413)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414)는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414)의 중심(CP2)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과 대응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요크(414)의 중심(CP2)은 광축,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을 지나는 상기 제1 평면보다 상부(z축 방향 기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414)의 중심(CP2)은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은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보다 상기 요크(414)의 제3 방향(z축 방향) 길이의 약 10% 내지 약 30%만큼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이 약 10% 미만인 상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마그넷(413)과 요크(414)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직 방향(z축 방향) 인력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이 점 접촉하는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이 약 30%를 초과한 상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마그넷(413)과 요크(414)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직 방향 인력의 크기가 지나치게 증가할 수 있고, 수평 방향(x축 방향) 인력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레일(331a) 및 상기 제2 레일(331b)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350)의 구동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의 얼라인(align)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은 볼 베어링(350)의 접점 개수 감소, 발생하는 인력 제어, 얼라인 특성 등을 고려하여 15% 내지 약 25%만큼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요크(414)의 중심(CP2)이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2)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넷(413)과 요크(414) 사이에는 수평 및 수직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도 15와 같이 상기 제1 단차면(SS1), 상기 제2 단차면(SS2),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과 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4점(P1, P2, P3, P4)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410)에 구동력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도 16과 같이 상기 제3 단차면(SS3) 및 상기 제3 레일면(RS3)과 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4 단차면(SS4) 및 상기 제4 레일면(RS4)과 이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상기 제4 단차면(SS4) 사이,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상기 제4 레일면(RS4)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2점(P5, P6)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410)에 구동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제3 단차면(SS3), 상기 제4 단차면(SS4),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 중 적어도 2개의 면과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구동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최소 2점 접촉 예컨대 2점 내지 제4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제1 가이드부(330)에 의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얼라인 특성 및 다른 렌즈 어셈블리와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향상된 화질 및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에서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이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볼 베어링(350)과 접촉하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접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4점(P1, P2, P3, P4)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2점(P5, P6)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레일에 대한 치수, 형태 등의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볼 베어링(350)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수가 감소할 수 있어, 상기 제1 가이드부(330)에 대한 산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의 제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서 제1 구동부의 다른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이용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구동부(410)의 코일(412), 마그넷(413) 및 요크(414) 각각은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412)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은 상기 광축에서 제1 및 제2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제1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코일(412)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코일(412)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413)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은 상기 제1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은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는 상기 코일(412) 및 상기 마그넷(413)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크(414)는 상기 코일(412) 및 상기 마그넷(413)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414)는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414)의 중심(CP2)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중심,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중심과 대응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요크(414)의 중심(CP2)은 광축, 상기 요크(414)의 중심(CP1),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을 지나는 상기 제1 평면보다 하부(z축 방향 기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414)의 중심(CP2)은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은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보다 상기 요크(414)의 제3 방향(z축 방향) 길이의 약 10% 내지 약 30%만큼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이 약 10% 미만인 하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마그넷(413)과 요크(414)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직 방향(z축 방향) 인력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이 점 접촉하는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이 약 30%를 초과한 하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마그넷(413)과 요크(414)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직 방향 인력의 크기가 지나치게 증가할 수 있고, 수평 방향(x축 방향) 인력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레일(331a) 및 상기 제2 레일(331b)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350)의 구동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의 얼라인(align)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은 볼 베어링(350)의 접점 개수 감소, 발생하는 인력 제어, 얼라인 특성 등을 고려하여 15% 내지 약 25%만큼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요크(414)의 중심(CP2)이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2)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넷(413)과 요크(414) 사이에는 수평 및 수직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상기 제3 단차면(SS3), 상기 제4 단차면(SS4), 상기 제3 레일면(RS3) 및 상기 제4 레일면(RS4)과 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4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410)에 구동력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상기 제1 단차면(SS1) 및 상기 제1 레일면(RS1)과 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차면(SS2) 및 상기 제2 레일면(RS2)과 이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상기 제2 단차면(SS2) 사이,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과 상기 제2 레일면(RS2)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2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410)에 구동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제1 단차면(SS1), 상기 제2 단차면(SS2), 상기 제1 레일면(RS1) 및 상기 제2 레일면(RS2) 중 적어도 2개의 면과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구동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최소 2점 접촉 예컨대 2점 내지 제4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에서 상기 요크(414)의 중심(CP3)이 상기 코일(412)의 중심(CP1)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CP3)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볼 베어링(350)과 접촉하는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접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볼 베어링(350b)은 4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1 볼 베어링(350a)은 2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레일에 대한 치수, 형태 등의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볼 베어링(350)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수가 감소할 수 있어, 상기 제1 가이드부(330)에 대한 산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의 제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 각각의 (b) 그래프에서 X축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의 이동 거리(d, mm)를 의미하고, Y축은 단위 전류당 힘(mN/mA)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코일(412), 마그넷(413) 및 요크(414)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410)를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였다. 자세하게, 상기 코일(412), 상기 마그넷(413) 및 상기 요크(414)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하였다.
이때, 상기 요크(414)의 제3 방향(z축 방향) 길이를 후술할 비교예의 요크(414)의 제3 방향 길이보다 약 25% 이상 길게 형성하여, 상기 요크(414)의 중심이 상기 코일(412)의 중심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마그넷(413)과 상기 요크(414)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코일(412), 마그넷(413) 및 요크(414)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410)를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였다. 자세하게, 상기 코일(412), 상기 마그넷(413) 및 상기 요크(414)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하였다.
이때, 상기 요크(414)의 중심이 상기 코일(412)의 중심 및 상기 마그넷(413)의 중심과 동일 평면 사에 배치되도록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마그넷(413)과 상기 요크(414)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을 측정하였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제1 구동부(410)에서 상기 마그넷(413)과 상기 요크(414)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 비교예에 따른 제1 구동부(410)는 상기 마그넷(413)과 상기 요크(414) 사이에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부(410)는 상기 마그넷(413)과 요크(414) 사이에 제1 방향(x축 방향) 뿐만 아니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하는 반면 실시예의 경우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는 인가되는 구동력으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를 효과적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넷 홀더(3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330)와 접하는 상기 볼 베어링(350)의 접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이드부(330)의 레일에 대한 치수, 형태 등의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제1 가이드부(330)에 대한 산포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제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구동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프리즘 무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는 카메라 모듈(10)에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는 하우징(2200), 제2 구동부(2300), 프리즘 유닛(2400), 홀더(2500), 무빙 플레이트(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200)은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을 수용할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00)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오픈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00)은 리지드(rigid)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2200)은 소정의 신뢰성을 가지는 수지, 금속, 세라믹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00)의 바닥면 상에는 하부 커버(2110)가 배치될 수 있고, 후면에는 후방 커버(21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부(2300)는 제2 기판(2310), 코일부(2330) 및 마그넷부(2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2310)은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233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2310)은 경성 인쇄회로기판(Rigid PCB),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igid 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패턴이 있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2330)는 상기 제2 기판(2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23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부(2330)는 제1 코일(2331), 제2 코일(2332) 및 제3 코일(2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2331), 상기 제2 코일(2332) 및 상기 제3 코일(2333)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판(2310)은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코일(2331) 및 상기 제2 코일(233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 기판(2310)의 제1 및 제2 면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코일(2333)은 상기 제2 기판(2310)의 제1 및 제2 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부(23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부(2350) 상기 코일부(23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2351), 제2 마그넷(2352) 및 제3 마그넷(2353)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마그넷(2351)은 상기 제2 기판(2310)의 제1 면 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2351)은 상기 제1 코일(2331)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2351)은 후술할 프리즘 유닛(2400)의 제1 외측면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그넷(2352)은 상기 제2 기판(2310)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그넷(2352)은 상기 제2 코일(2332)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그넷(2352)은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제2 외측면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마그넷(2353)은 상기 제2 기판(2310)의 제3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마그넷(2353)은 상기 제3 코일(2333)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마그넷(2353)은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제3 외측면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2300)는 요크부(2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크부(237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크부(2370)는 상기 코일부(2330) 및 상기 마그넷부(235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요크(2371), 제2 요크(2372) 및 제3 요크(23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요크들(2371, 2372, 2373)은 각각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마그넷들(2351, 2352, 2353)에 대한 자속 차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요크(2371)는 상기 제1 코일(2331) 및 상기 제1 마그넷(2351)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요크(2371)와 상기 제1 코일(2331) 사이에 상기 제1 마그넷(235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요크(2372)는 상기 제2 코일(2332) 및 상기 제2 마그넷(2352)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요크(2372)와 상기 제2 코일(2332) 사이에 상기 제2 마그넷(235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요크(2373)는 상기 제3 코일(2333) 및 상기 제3 마그넷(2353)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요크(2373)와 상기 제3 코일(2333) 사이에 상기 제3 마그넷(235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2300)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코일(2331)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홀센서(HS1), 상기 제2 코일(2332)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홀센서(HS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센서(HS1) 및 상기 제2 홀센서(HS2) 각각은 상기 제1 마그넷(2351) 및 상기 제2 마그넷(235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3 코일(2333)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홀센서(H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홀센서(HS3)는 하나 또는 도면과 같이 복수로 제공되어 상기 제3 마그넷(2353)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2300)는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을 틸팅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구동부(230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을 제1 축 또는 제2 축으로 틸팅 제어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200)은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을 수용할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00)은 복수의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200)은 상기 제2 기판(2310)의 제1 면과 대응되는 제1 내측면, 상기 제2 기판(2310)의 제2 면과 대응되는 제2 내측면 및 상기 제2 기판(2310)의 제3 면과 대응되는 제3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하우징(2200)은 상기 제1 코일(2331)과 대응되는 제1 내측면 및 상기 제2 코일(2332)과 대응되는 제2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면 및 상기 제2 내측면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200)은 제3 내측면, 제4 내측면 및 제5 내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측면은 상기 제3 코일(2333)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두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측면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내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내측면은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4 내측면은 프리즘(2410)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내측면은 오픈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내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내측면은 상기 제4 내측면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5 내측면은 부분적으로 오픈될 수 있고, 후술할 홀더(2500)가 상기 오픈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프리즘 무버(243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00)은 복수의 하우징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홀은 상기 하우징(2200)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우징 홀은 제1 하우징 홀(H1), 제2 하우징 홀(H2) 및 제3 하우징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홀(H1)은 상기 제1 내측면과 대응되는 외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홀(H1)은 상기 제1 코일(2331)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홀(H1)은 상기 제1 코일(2331)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코일(2331)은 상기 제1 하우징 홀(H1)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홀(H2)은 상기 제2 내측면과 대응되는 외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홀(H1)은 상기 제1 하우징 홀(H1)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홀(H2)은 상기 제2 코일(2332)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 홀(H2)은 상기 제2 코일(2332)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코일(2332)은 상기 제2 하우징 홀(H2)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홀(H1)은 상기 제2 하우징 홀(H2)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 홀(H3)은 상기 제3 내측면과 대응되는 외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 홀(H3)은 상기 제3 코일(2333)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 홀(H3)은 상기 제3 코일(2333)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코일(2333)은 상기 제3 하우징 홀(H3)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 홀(H3)은 상기 제1 하우징 홀(H1)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H2)과 상이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하우징 홀(H3)의 크기는 상기 제1 하우징 홀(H1)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H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200)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200)은 제5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1 홈(2210h1) 및 제2 홈(2210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2210h1) 및 상기 제2 홈(2210h2)은 상기 하우징(2200)의 제5 내측면에서 이와 대응되는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2210h1) 및 상기 제2 홈(2210h2)은 후술할 무빙 플레이트(2600)의 제2 이동부(262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2210h1) 및 상기 제2 홈(2210h2)은 상기 제2 이동부(262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2210h1) 및 상기 제2 홈(2210h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홈(2210h1) 및 상기 제2 홈(2210h2)은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홈(2210h1) 및 상기 제2 홈(2210h2)은 상기 제2 이동부(2620)에 의한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틸트 구동 시 스토퍼(stopp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하우징(2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상기 하우징(2200)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프리즘(2410) 및 상기 프리즘(2410)을 지지하는 프리즘 무버(2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2410)은 직각 프리즘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2410)은 외부에서 입사된 광의 방향을 반사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리즘(2410)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에 입사된 광의 경로를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상기 프리즘(24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2410)은 상기 프리즘 무버(24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상기 프리즘(2410)을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오픈될 수 있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외측면이 오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상기 프리즘(2410)과 대응되는 외측면이 오픈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제1 공간(2435)으로 정의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2435)은 상기 프리즘(24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2435)은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2410)은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제1 공간(2435)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복수의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복수의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상기 하우징(2200)의 제1 내측면과 대응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내측면과 대응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상기 하우징(2200)의 제3 내측면과 대응되는 제3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외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외측면 사이에서 두 외측면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외측면은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바닥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상기 제5 내측면과 대응되는 제5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외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외측면 사이에서 두 외측면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고, 상기 제3 외측면과 연결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 무버(2430)는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세스 각각은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세스는 제1 리세스(2430R1), 제2 리세스(2430R2) 및 제3 리세스(2430R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2430R1)는 상기 제1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2430R1)는 상기 제1 하우징 홀(H1)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세스(2430R2)는 상기 제2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2430R2)는 상기 제2 하우징 홀(H2)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2430R2)는 상기 제1 리세스(2430R1)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리세스(2430R3)는 상기 제3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세스(2430R3)는 상기 제3 하우징 홀(H3)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리세스들(2430R1, 2430R2, 2430R3) 내에는 상기 마그넷부(2350) 및 상기 요크부(237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마그넷(2351) 및 상기 제1 요크(2371)는 상기 제1 리세스(2430R1) 내에, 상기 제2 마그넷(2352) 및 상기 제2 요크(2372)는 상기 제2 리세스(2430R2) 내에, 상기 제3 마그넷(2353) 및 상기 제3 요크(2373)는 상기 제3 리세스(2430R3) 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요크들(2371, 2372, 2373) 및 상기 마그넷들(2351, 2352, 2353)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세스는 제4 리세스(2430R4), 제5 리세스(2430R5), 제6 리세스(2430R6) 및 제7 리세스(2430R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2430R4), 상기 제5 리세스(2430R5), 상기 제6 리세스(2430R6) 및 상기 제7 리세스(2430R7)는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제5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2430R4) 및 상기 제5 리세스(2430R5)는 후술할 무빙 플레이트(260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2430R4) 및 상기 제5 리세스(2430R5)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제1 이동부(2610)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2430R4) 및 상기 제5 리세스(2430R5)는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제5 외측면에서 상기 프리즘(2410)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이동부(261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2430R4) 및 상기 제5 리세스(2430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리세스(2430R4) 및 상기 제5 리세스(2430R5)는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리세스(2430R4) 및 상기 제5 리세스(2430R5)는 상기 제1 이동부(2610)에 의한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틸트 구동 시 스토퍼(stopp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6 리세스(2430R6) 및 상기 제7 리세스(2430R7)는 상기 제4 리세스(2430R4) 및 상기 제5 리세스(2430R5)와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6 및 제7 리세스(2430R6, 2430R7)는 상기 제4 및 제5 리세스(2430R4, 2430R5)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4 및 제5 리세스(2430R4, 2430R5)는 상기 제6 및 제7 리세스(2430R6, 2430R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 리세스(2430R6) 및 상기 제7 리세스(2430R7)는 상기 하우징(2200)의 제5 내측면에 형성된 오픈 영역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6 리세스(2430R6) 및 상기 제7 리세스(2430R7)는 상기 하우징(2200)의 오픈 영역을 통해 삽입된 상기 홀더(2500)의 끝단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 리세스(2430R6) 및 상기 제7 리세스(2430R7)는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제5 외측면에서 상기 프리즘(2410)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리세스(2430R6) 및 상기 제7 리세스(2430R7)는 상기 홀더(2500)의 끝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2500)는 양 끝단은 상기 제6 리세스(2430R6) 및 상기 제7 리세스(2430R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홀더(2500)는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2500)는 상기 하우징(2200)의 제5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홀더(2500)는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제5 외측면, 상기 하우징(2200)의 제5 내측면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2500)는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2500)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2200)의 외측면 상에는 제5 마그넷(271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5 마그넷(2710)과 마주하는 상기 홀더(2500)의 일면 상에는 제6 마그넷(27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마그넷(2710) 및 상기 제6 마그넷(272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거나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5 마그넷(2710) 및 상기 제6 마그넷(2720)은 도 27 및 도 28과 같이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두 구성 사이에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2500)와 상기 프리즘 유닛(2400) 사이에는 척력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척력에 의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는 상기 하우징(2200) 및 상기 프리즘 유닛(2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는 상기 하우징(2200)의 제5 내측면과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제5 외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는 상기 하우징(2200)의 상기 제1 홈(2210h1) 및 상기 제2 홈(2210h2),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상기 제4 리세스(2430R4) 및 상기 제5 리세스(2430R5)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 이동부(2610) 및 제2 이동부(2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2610)는 상기 프리즘 유닛(2400)과 마주하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26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1 이동부(2611) 및 제1-2 이동부(2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이동부(2611) 및 상기 제1-2 이동부(261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이동부(2611) 및 상기 제1-2 이동부(2612)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일면 상에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 이동부(2611)는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제4 리세스(2430R4)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이동부(2611)는 상기 제4 리세스(2430R4)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이동부(2612)는 상기 프리즘 무버(2430)의 제5 리세스(2430R5)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이동부(2612)는 상기 제5 리세스(2430R5)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2610)는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이 틸트할 경우,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틸트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 이동부(2610)를 회전축으로 제3 방향(z축 방향, 상하 방향)으로 틸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동부(2610)는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이 설정된 각도로 제3 방향으로 틸트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부(2620)는 상기 하우징(2200)과 마주하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타면은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일면과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부(262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1 이동부(2621) 및 제2-2 이동부(2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이동부(2621) 및 상기 제2-2 이동부(262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이동부(2621) 및 상기 제2-2 이동부(2622)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타면 상에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1 이동부(2621) 및 상기 제2-2 이동부(2622)는 상기 제1-1 이동부(2611) 및 상기 제1-2 이동부(2612) 사이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이동부(2621)는 상기 하우징(2200)의 제1 홈(2210h1)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이동부(2621)는 상기 제1 홈(2210h1)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이동부(2622)는 상기 하우징(2200)의 제2 홈(2210h2)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2 이동부(2622)는 상기 제2 홈(2210h2)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부(2620)는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이 틸트할 경우,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의 틸트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2 이동부(2620)를 회전축으로 제1 방향(x축 방향, 좌우 방향)으로 틸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이동부(2620)는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이 설정된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틸트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9는 도 22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2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상기 제2 구동부(2300)의 구동력에 의해 제1 축 또는 제2 축으로 틸팅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 틸팅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제1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z축 방향(제3 방향,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축 틸팅은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제3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x축 방향(제1 방향, 좌우 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제2 이동부(2620)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형성하는 가상의 제1 직선을 축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3 코일(2333)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제3 코일(2333) 및 상기 제3 마그넷(2353) 사이에는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발생한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제1 방향(x축 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동부(2620)는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이 설정된 방향, 설정된 각도로 틸트하기 위해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부(2620)는 상기 하우징(2200)에 형성된 제1 홈(2210h1) 및 제2 홈(2210h2)에 의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이 설정된 각도 범위를 초과하여 틸트하지 않도록 스토퍼(stopp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상기 무빙 플레이트(2600)의 제1 이동부(2610)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형성하는 가상의 제2 직선을 축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코일(2331)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2331) 및 상기 제1 마그넷(2351) 사이에는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일(233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제2 코일(2332) 및 상기 제2 마그넷(2352) 사이에는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은 발생한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제3 방향(z축 방향)인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틸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동부(2610)는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이 설정된 방향, 설정된 각도로 틸트하기 위해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부(2610)는 상기 프리즘 무버(2430)에 형성된 제4 리세스(2430R4) 및 제5 리세스(2430R5)에 의해, 상기 프리즘 유닛(2400)이 설정된 각도 범위를 초과하여 틸트하지 않도록 스토퍼(stopp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는 복수의 코일(2331, 2332, 2333), 복수의 마그넷(2351, 2352, 2353)을 포함하는 VCM(Voice Coil Motor) 방식의 제2 구동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제2 구동부(2300)에 의해 입사된 광의 이동 경로를 제1 축 및/또는 제2 축으로 제어하여 OIS(optical image stabilizer)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는 OIS 구현 시 디센터(decent),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0)는 후면에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자동 초점(Auto focus), 줌(zoom) 기능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촬영 모드 또는 화상 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이동 단말기(30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 단말기(3000)의 전면에도 상기 카메라 모듈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제1 카메라 모듈(10A) 및 제2 카메라 모듈(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A)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B)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 및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AF) 기능과 함께 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제1 및 제3 렌즈 어셈블리(210, 230)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220)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광학계의 전체 길이(TTL)는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무한대(Infinity) 내지 근거리(약 30mm)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 예컨대 광학계의 전체 길이가 증가하지 않고 촬영할 수 있어 컴팩트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3000)는 자동 초점 장치(3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3010)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301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이 저하되는 조건, 예컨대 10m 이하의 근접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3010)는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VCSEL)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3000)는 플래쉬 모듈(30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모듈(3030)은 내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모듈(3030)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작동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이 적용된 차량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40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4210, 4230) 및 카메라 모듈(4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4100)은 상기 차량의 전면, 후면, 측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정지 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4100)은 상술한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1000) 및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은 AF 또는 줌 기능과 함께 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 모듈(4100)은 상기 차량(4000)에 배치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카메라 모듈(4100)은 차량(4000)의 전방 영상 또는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 센서를 통해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4100)은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미식별 상황을 판단하고 미식별시 가상 차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4100)은 상기 차량(4000)의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러한 전방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영상 정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4100)이 촬영한 영상에 차선, 인접차량, 주행 방해물 및 간접도로 표시물에 해당하는 중앙 분리대, 연석, 가로수 등의 오브젝트가 포함될 경우, 프로세서는 이러한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4100)을 통해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 정보를 더 보완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영상에 촬영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카메라 모듈
1000: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 2000: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
210: 제1 렌즈 어셈블리 220: 제2 렌즈 어셈블리
230: 제3 렌즈 어셈블리 280: 이미지 센서
310: 마그넷 홀더 330: 제1 가이드부
410: 제1 구동부

Claims (20)

  1. 제1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 아래에 배치되며 제2 렌즈부를 포함하는 제2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 아래에 배치되는 제3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넷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마그넷 홀더 상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요크;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의 중심은 상기 광축 및 상기 마그넷의 중심을 지나는 제1 평면과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중심은 상기 제1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의 중심은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의 중심은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의 중심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홀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마그넷 홀더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볼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마그넷 홀더 및 상기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광축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볼 베어링; 및
    상기 광축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크는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오버랩되고,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오버랩되지 않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홀더는,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접하는 제1 단차부; 및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접하는 제2 단차부 포함하고,
    상기 광축 및 상기 마그넷 홀더의 중심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단차부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9.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접하며 상기 제1 단차부와 마주하는 제1 레일;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접하며 상기 제2 단차부와 마주하는 제2 레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은 서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단차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3 단차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4 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차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3 및 제4 단차면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한 카메라 액추에이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제1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레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2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3 레일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4 레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일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3 및 제4 레일면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한 카메라 액추에이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일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단차면이 형성하는 각도보다 큰 카메라 액추에이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선에서 상기 제4 레일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선에서 상기 제2 레일면까지의 거리보다 긴 카메라 액추에이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1 방향 거리는 상기 제3 단차면과 상기 제3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1 방향 거리와 동일한 카메라 액추에이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면과 상기 제2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3 방향 거리는 상기 제4 단차면과 상기 제4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3 방향 거리와 다른 카메라 액추에이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베어링은 상기 제1 단차면, 상기 제2 단차면,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과 접하고,
    상기 제2 볼 베어링은 상기 제3 단차면, 상기 제4 단차면, 상기 제3 레일면 및 상기 제4 레일면 중 적어도 2개의 면과 접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베어링은 상기 제3 단차면 및 상기 제3 레일면과 접하고, 상기 제4 단차면 및 상기 제4 레일면과 이격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면과 상기 제2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3 방향 거리는 상기 제4 단차면과 상기 제4 레일면 사이의 상기 제3 방향 거리보다 작은 카메라 액추에이터.
  19.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또는 줌(Zoom)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제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19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입사한 광은,
    상기 제2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제1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입사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008663A 2021-01-21 2021-01-21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05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63A KR20220105827A (ko) 2021-01-21 2021-01-21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CT/KR2022/001131 WO2022158902A1 (ko) 2021-01-21 2022-01-21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22742878.6A EP4283389A1 (en) 2021-01-21 2022-01-21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63A KR20220105827A (ko) 2021-01-21 2021-01-21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827A true KR20220105827A (ko) 2022-07-28

Family

ID=8260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663A KR20220105827A (ko) 2021-01-21 2021-01-21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58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9146A1 (en) Camera actuator
KR102560396B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101762A (ko) 카메라 모듈
US20230209162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013978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78103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US20230185052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KR20220162547A (ko) 렌즈 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05827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11048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20011519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62522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132986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4283389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220023194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07482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384649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20230213837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EP4134735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220162534A (ko) 렌즈 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53955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185161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20230049342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20162563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36831A (ko) 반사부재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