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468A -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linear compress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linear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468A
KR20220105468A KR1020210008195A KR20210008195A KR20220105468A KR 20220105468 A KR20220105468 A KR 20220105468A KR 1020210008195 A KR1020210008195 A KR 1020210008195A KR 20210008195 A KR20210008195 A KR 20210008195A KR 20220105468 A KR20220105468 A KR 20220105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value
ambient temperature
pist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8484B1 (en
Inventor
이성우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484B1/en
Publication of KR2022010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4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mpress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measu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mpressor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The compressor controller compa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mpres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and adjust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mpressor decrease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levitation force of a piston decreases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herefore, even if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mpressor decreases, the friction between the piston and a cylinder decreases or does not occur, reducing the possibility of compressor failure.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및 리니어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장고{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LINEAR COMPRESSOR}The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nd the refrigerator including a linear compressor TECHNICAL FIELD

본 명세서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및 리니어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linear compressor.

압축기는 냉매 또는 그 이외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이는 기계 장치로서,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가전 제품에서 사용된다.A compressor is a mechanical device that increases pressure by compressing a refrigerant or various other working gases, and is used in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air conditioners.

압축기는 내부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따라서 여러 종류로 구별될 수 있다. 압축기는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입 및 토출되는 압축 공간이 형성되고,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입 및 토출되는 압축 공간이 형성되고,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 선회 스크롤(orbit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입 및 토출되는 압축 공간이 형성되고,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분류될 수 있다.Compressors may b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internal structures and operating principles. In the compressor, a compression space for suction and discharge of working gas is formed between a piston and a cylinder, and a reciprocating compressor that compresses a refrigerant while a piston moves linearly and reciprocates inside the cylinder, an eccentrically rotating roller and a cylinder A compression space for suction and discharge of the working gas is formed between the rotary compressor, which compresses the refrigerant while the roller rotates eccentrically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between the orbiting scroll and the fixed scroll It may be classified as a scroll compressor in which a compression space in which the working gas is sucked and discharged is formed, and the orbiting scroll rotates along the fixed scroll to compress the refrigerant.

최근에는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직선모터의 가동자에 피스톤을 직접 연결하여 모터의 직선운동으로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니어 압축기에서 냉매는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서 흡입 및 압축된 후 외부로 토출된다.Recently, among reciprocating compressors, a linear compressor in which a piston is directly connected to a mover of a linear motor and the piston is reciprocated by a linear motion of the motor is widely used. In a linear compressor, the refrigerant is sucked in and compressed by a piston reciprocating linear motion inside the cylinder by a linear moto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선행문헌(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32556호)에는 왕복동식 압축기(리니어 압축기)의 구조가 개시된다.The structure of a reciprocating compressor (linear compressor) is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32556).

보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에는 오일과 같은 윤활제에 의해서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가 윤활되는 압축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압축기, 즉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로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됨으로써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유체 베어링이 형성되는 유체 베어링 방식 또는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 방식의 리니어 압축기가 개시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ior literature, a fluid bearing is form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by bypass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compressor, that is, the piston and the cylin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of the compressor in which the piston and the cylinder are lubricated by a lubricant such as oil. A fluid bearing type or an oilless bearing type linear compressor is disclosed.

선행문헌에 개시된 유체 베어링 방식의 리니어 압축기에서는 피스톤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때, 토출되는 냉매의 일부(이하, 베어링 냉매)가 실린더 내부로 유입된다.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베어링 냉매는 피스톤에 부상력을 제공한다. 베어링 냉매가 제공하는 부상력에 의해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부상함으로써 피스톤과 실린더가 서로 마찰되지 않는다.In the fluid bearing type linear compressor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when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piston is discharged, a part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hereinafter, the bearing refrigerant) flows into the cylinder. The bear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ylinder provides levitation force to the piston. As the piston floats inside the cylinder by the levitation force provided by the bearing refrigerant, the piston and the cylinder do not rub against each other.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리니어 압축기의 주변 온도가 낮아지면 리니어 압축기의 냉력이 감소하면서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베어링 냉매의 양이 감소한다.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베어링 냉매의 양이 감소하면 피스톤의 부상력이 약해지면서 왕복 운동 과정에서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 외부 또는 실린더 내부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 또는 실린더의 마모는 압축기의 성능 저하 또는 압축기의 고장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linear compressor decreases, the cooling power of the linear compressor decreases and the amount of the bear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ylinder decreases. When the amount of bear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ylinder decreases,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weakens and friction occurs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during the reciprocating motion. As a result, wear may occur outside the piston or inside the cylinder. Such wear of the piston or cylinder may cause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compressor or failure of the compressor.

본 명세서의 목적은 리니어 압축기의 주변 온도가 낮아질 때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베어링 냉매에 의한 피스톤의 부상력을 높임으로써 피스톤과 실린더의 마찰이 감소되고 피스톤 또는 실린더의 마모가 방지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및 리니어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increase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by the bear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ylinde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linear compressor is lowered, thereby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and preventing wear of the piston or cylinder. An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cluding a linear compressor.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은 주변 온도가 낮아질 때 피스톤 또는 실린더의 마모를 방지함으로써 리니어 압축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리니어 압축기 및 냉장고의 고장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compressor by preventing abrasion of the piston or cylinde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ered, an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linear compressor and the refrigerator.

본 명세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mentione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realized by the elem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recited in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 제어기는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압축기 주변의 온도를 측정한다. 압축기 제어기는 압축기 주변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measu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mpressor while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The compressor controller compa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mpres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and adjust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 제어기는 압축기 주변 온도가 낮아지면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기본 스트로크 값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 제어기는 압축기가 구동될 때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이 최저 스트로크 값보다 낮은 값이 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기본 스트로크 값보다 높아지면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여 피스톤의 토크가 증가한다.More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a value higher than the basic stroke valu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decrease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control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not to be lower than the lowest stroke value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refore, when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becomes higher than the basic stroke value,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ncreases and the torque of the piston increases.

피스톤의 토크가 증가하면 피스톤에 의해서 압축된 후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 즉 토출 냉매의 압력이 증가한다. 토출 냉매의 압력이 증가하면 압축기 구동 과정에서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베어링 냉매의 양이 증가한다. 베어링 냉매의 양이 증가하면 피스톤의 부상력이 증가하므로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마찰이 감소한다.When the torque of the piston increas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compressed by the piston, that is,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increases. Wh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refrigerant increases, the amount of the bear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ylind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ncreases. As the amount of bearing refrigerant increases,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increases, thus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이처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압축기 주변 온도가 감소할수록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피스톤의 부상력이 감소하는 현상이 개선된다. 따라서 압축기 주변 온도가 감소하더라도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마찰이 줄어들거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압축기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감소한다.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decrease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decreases by increasing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s improved. Accordingly, even if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is reduced, friction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is reduced or not generate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compresso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은, 압축기의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변 온도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온도 값과 상기 기준 온도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receiving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of the compressor, comparing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comparing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상기 주변 온도 값이 속하는 기준 온도 범위와 대응되는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ncludes adjusting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a value corresponding to a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o which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belong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상기 최저 스트로크 값은 증가하도록 설정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west stroke value is set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기본 스트로크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온도 값이 상기 기준 온도 값 미만이면 상기 최저 스트로크 값을 상기 기본 스트로크 값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p of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ncludes: 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setting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as a predetermined basic stroke value; and setting the lowest stroke value to a value higher than the basic stroke value if th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ncludes set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를 압축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되는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 제어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therein,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refrigerant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s disposed inside a machine room formed inside the cabinet, and an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nd a compress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는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고, 상기 주변 온도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주변 온도 값과 상기 기준 온도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receives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ompare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compare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상기 주변 온도 값이 속하는 기준 온도 범위와 대응되는 값으로 조절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adjus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a value corresponding to a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o which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belong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상기 최저 스트로크 값은 증가하도록 설정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west stroke value is set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 제어기는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기본 스트로크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변 온도 값이 상기 기준 온도 값 미만이면 상기 최저 스트로크 값을 상기 기본 스트로크 값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a predetermined basic stroke valu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 the lowest stroke value is set to a value higher than the basic stroke valu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 제어기는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set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니어 압축기의 주변 온도가 낮아질 때 피스톤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함으로써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베어링 냉매에 의한 피스톤의 부상력이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마찰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피스톤 또는 실린더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linear compressor is lowered,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due to the bear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ylinder is not reduced by increasing the stroke value of the piston. Accordingly, since friction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does not occur in the process of the piston reciprocating inside the cylinder, wear of the piston or the cylinde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니어 압축기의 주변 온도가 낮아질 때 피스톤 또는 실린더의 마모가 방지되므로 리니어 압축기의 성능 저하가 방지되고 리니어 압축기 및 냉장고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줄어든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wear of the piston or cylinder is prevente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linear compressor is lowered,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compressor is prevented and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linear compressor and the refrigerator is reduced.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리니어 압축기의 구동 시간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 및 리니어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리니어 압축기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 및 리니어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간의 차이값에 따른 피스톤과 실린더 간 마찰력의 변화를 나타나는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리니어 압축기의 구동 시간에 따라서 실린더가 받는 하중의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ell and a shell cover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isassembled.
4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V-V' of FIG. 2 .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inear compressor an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driving time of the linear compressor.
11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frictional force between a piston and a cylinder according to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inear compressor an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linear compressor.
12 and 13 are graphs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magnitude of a load received by a cylinder according to a driving time of the linear compressor.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practi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캐비닛(2)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장고 도어(3)를 포함한다.1 ,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cabinet 2 forming an exterior and at least one refrigerator door 3 coupled to the cabinet 2 .

캐비닛(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4)이 구비된다. 냉장고 도어(3)는 저장실(4)을 개폐하도록 캐비닛(2)의 전면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저장실(4)은 냉장실 및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각각의 저장실은은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At least one storage compartment 4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2 . The refrigerator door 3 may be rotatably or slidab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2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4 . The storage compartment 4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and each storage compartment may be partitioned by a silver partition wall.

또한 캐비닛(2)의 내부에는 압축기(10)가 배치되는 기계실(5)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5)은 캐비닛(2)의 후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기계실(5) 및 압축기(10)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실시예에 따라서 기계실(5) 및 압축기(10)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machine room 5 in which the compressor 10 is disposed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2 . As shown in FIG. 1 , the machine room 5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rear side of the cabinet 2 .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machine room 5 and the compressor 10 shown in FIG. 1 is merely exemplary, and the machine room 5 and the compressor 10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저장실이 낮은 온도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저장실 내부로 냉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냉기 공급을 위해 압축기(10)가 구동되면, 압축기(10)는 가스 형태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키고,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액화된다. 응축기에서 나온 냉매는 증발기를 거치면서 열교환을 통해 증발기 주변의 공기 온도를 낮추어 냉기가 생성된다.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10)로 공급되어 냉매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냉매가 순환됨으로써 저장실 내부에 냉기가 공급된다.In order to maintain the storage chamber at a low temperature, cold air must be supplied into the storage chamber.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to supply cold air, the compressor 10 sucks and compresses a gaseous refrigerant, and the compressed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 is liquefied through the condenser.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goes through the evaporator and heat exchanges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around the evaporator to generate cold air.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supplied to the compressor 10 again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This process is repeated and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so that cold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축기 제어기에 의해서 압축기(10)가 구동되거나 압축기(10)의 구동이 정지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유체 베어링 방식 또는 오일리스 베어링 방식의 리니어 압축기이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mpressor 10 is driven or the compressor 10 is stopped by the compressor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 . Also,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linear compressor of a fluid bearing type or an oilless bearing type.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ell and a shell cover of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isassembl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쉘(101) 및 쉘(101)에 결합되는 쉘 커버(102, 103)를 포함한다. 넓은 의미에서, 쉘 커버(102, 103)는 쉘(101)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2 and 3 ,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shell 101 and shell covers 102 and 103 coupled to the shell 101 . In a broad sense, the shell covers 102 , 103 may be understood as one component of the shell 101 .

쉘(101)의 하측에는 레그(50)가 결합될 수 있다. 레그(50)는 압축기(10)가 설치되는 제품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레그(50)는 앞서 설명한 냉장고(1)의 기계실(5)에 결합될 수 있다.A leg 50 may b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hell 101 . The leg 50 may be coupled to the base of the product on which the compressor 10 is installed. In other words, the leg 50 may be coupled to the machine room 5 of the refrigerator 1 described above.

쉘(101)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로 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쉘(101)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shell 10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r an axial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shell 101 is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쉘(101)의 외면에는 터미널(108)이 설치될 수 있다. 터미널(108)은 외부 전원과 모터 어셈블리(140, 도 4 참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코일(141c, 도 4 참조)의 리드선에 연결될 수 있다.A terminal 108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ell 101 . The terminal 108 is a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motor assembly 140 (refer to FIG. 4 ), and may be connected to a lead wire of the coil 141c (refer to FIG. 4 ).

터미널(108)의 외측에는 브라켓(109)이 설치된다. 브라켓(109)은 터미널(108)을 둘러싸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한다. 브라켓(109)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터미널(108)을 보호한다.A bracket 109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terminal 108 . Bracket 109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s surrounding terminal 108 . The bracket 109 protects the terminal 108 from external impact.

쉘(101)의 양측부는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개구된 쉘(101)의 양측부에는 쉘 커버(102, 103)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쉘 커버(102, 103)는 쉘(101)의 개구된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1 쉘커버(102) 및 쉘(101)의 개구된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2 쉘커버(103)를 포함한다. 쉘 커버(102, 103)에 의하여 쉘(101)의 내부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Both sides of the shell 101 are configured to be opened. Shell covers 102 and 103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ed shell 101 . More specifically, the shell covers 102 and 103 include a first shell cover 102 coupled to an open one side of the shell 101 and a second shell cover 103 coupled to the other open side of the shell 101 . ) is included.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101 may be sealed by the shell covers 102 and 103 .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쉘커버(102)는 압축기(10)의 우측부에 배치되며, 제2 쉘커버(103)는 압축기(10)의 좌측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쉘커버(102) 및 제2 쉘커버(10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the first shell cover 10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mpressor 10 , and the second shell cover 103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ompressor 10 . Accordingly, the first shell cover 102 and the second shell cover 103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또한 압축기(10)는 쉘(101) 또는 쉘 커버(102, 103)와 연결되며 냉매를 흡입하거나 토출하는 복수의 파이프(104, 105, 106)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ressor 10 is connected to the shell 101 or the shell cover 102, 10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104, 105, 106 for sucking 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복수의 파이프(104, 105, 106)는 압축기(10) 내부로 냉매를 흡입시키는 흡입 파이프(104), 압축기(10)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 파이프(105), 냉매 보충을 위하여 압축기(10)에 냉매를 주입하기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포함된다.The plurality of pipes 104 , 105 , 106 includes a suction pipe 104 for sucking the refrigerant into the compressor 10 , a discharge pipe 105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0 , and a compressor for replenishing the refrigerant. A process pipe 106 for injecting refrigerant into 10 is included.

흡입 파이프(104)는 제1 쉘커버(102)에 결합될 수 있다. 냉매는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축방향을 따라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된다.The suction pipe 104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hell cover 102 . The refrigerant is sucked into the compressor 10 along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suction pipe 104 .

토출 파이프(105)는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축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압축된다. 압축된 냉매는 토출 파이프(105)를 통하여 압축기(10) 외부로 배출된다. 토출 파이프(105)는 제1 쉘커버(102)보다 제2 쉘커버(103)와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105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101 . The refrigeran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104 is compressed while flow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05 . The discharge pipe 105 may be disposed to be more adjacent to the second shell cover 103 than the first shell cover 102 .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압축기(10)의 내부로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The process pipe 106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101 . The operator may inject the refrigerant into the compressor 10 through the process pipe 106 .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토출 파이프(10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토출 파이프(105)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10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의 높이는 레그(50)로부터 수직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측정된 파이프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토출 파이프(105)와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작업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The process pipe 106 may be coupled to the shell 101 at a different height than the discharge pipe 105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ischarge pipe 105 . Here, the height of the pipe means the distance from the leg 50 to the pipe measured in the vertical (or radial) direction. Since the discharge pipe 105 and the process pipe 106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101 at different heights, work convenience can be promoted.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결합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쉘(101)의 내주면에는 제2 쉘커버(103)의 적어도 일부분이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쉘커버(103)의 적어도 일부분은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주입된 냉매의 저항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hell cover 103 may be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101 corresponding to the point at which the process pipe 106 is coupled. In other word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hell cover 103 may act as a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injected through the process pipe 106 .

따라서, 냉매의 유로관점에서,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유로 크기는 쉘(101)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면서 제2 쉘커버(103)에 의해 작아지고 제2 쉘커버(103)를 지나면서 다시 커진다. 냉매가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과하면서 냉매의 압력이 감소하여 냉매의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from the viewpoint of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the size of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process pipe 106 is reduced by the second shell cover 103 while entering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101 and the second shell cover 103 . increases again as it passes through As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process pipe 106 ,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ecreases, so that the refrigerant is vaporized.

제1 쉘커버(102)의 내측면에는 커버 지지부(102a)가 구비된다. 커버 지지부(102a)에는 후술할 제2 지지장치(185)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02a) 및 제2 지지장치(185)는 압축기(10)의 본체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압축기(10)의 본체는 쉘(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압축기(10)의 본체는 전후 왕복운동 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룰 포함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hell cover 102 is provided with a cover support portion (102a). A second support device 185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cover support portion 102a. The cover support portion 102a and the second support device 185 are means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10 . Here,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10 refers to a component provided in the shell 101 . For example,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10 includes a driving part that reciprocates back and forth and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driving part.

압축기(10)의 구동부는, 후술할 피스톤(130), 마그넷 프레임(138), 영구자석(146), 서포터(137) 및 흡입 머플러(150)를 포함한다.그리고 지지부는, 후술할 공진스프링(176a,176b), 리어 커버(170), 스테이터 커버(149), 제1 지지장치(165) 및 제2 지지장치(185)를 포함한다.The driving part of the compressor 10 includes a piston 130, a magnet frame 138, a permanent magnet 146, a supporter 137, and a suction muff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upport part is a resonance spring (to be described later) 176a and 176b), a rear cover 170 , a stator cover 149 , a first support device 165 , and a second support device 185 .

제1 쉘커버(102)의 내측면에는 스토퍼(102b)가 구비된다. 스토퍼(102b)는 압축기(10)의 운반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하여, 압축기의 본체, 특히 모터 어셈블리(140)가 쉘(101)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102b)는 후술할 리어 커버(17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압축기(10)에 흔들림이 발생할 때, 리어 커버(170)가 스토퍼(102b)에 간섭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14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stopper 102b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hell cover 102 . The stopper 102b prevents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in particular, the motor assembly 140 from being damaged by colliding with the shell 101 due to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ompressor 10 . The stopper 102b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cover 170 to be described later.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compressor 10 , the rear cover 170 interferes with the stopper 102b, thereby preventing the shock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tor assembly 140 .

쉘(101)의 내주면에는 스프링체결부(101a)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체결부(101a)는 상기 제2 쉘커버(10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체결부(101a)는 후술할 제1 지지장치(165)의 제1 지지스프링(166)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체결부(101a)와 제1 지지장치(165)가 결합됨으로써, 압축기(10)의 본체는 쉘(101)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101 is provided with a spring fastening portion (101a). For example, the spring fastening portion 101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shell cover 103 . The spring fastening portion 101a may be coupled to a first support spring 166 of a first support device 165 to be described later. As the spring fastening portion 101a and the first supporting device 165 are coupled,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10 may be stably supported inside the shell 101 .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V-V′ of FIG. 2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실린더(120),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30) 및 피스톤(13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어셈블리(140)를 포함한다.4 and 5 ,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pplies a driving force to the cylinder 120 , the piston 130 reciprocating linearly within the cylinder 120 , and the piston 130 . It includes a motor assembly 140 to provide.

또한, 압축기(10)는 피스톤(130)에 연결되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150)를 포함한다.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흡입 머플러(150)를 거쳐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동된다. 냉매가 흡입 머플러(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소음이 저감된다.In addition, the compressor 10 is connected to the piston 130 and includes a suction muffler 150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from the refrigeran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104 . The refrigeran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104 flows into the piston 130 through the suction muffler 150 . In the process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uffler 150 , the flow noise of the refrigerant is reduced.

흡입 머플러(150)는 복수의 머플러(151, 152, 153)를 포함한다. 복수의 머플러(151, 152, 153)는 서로 결합되는 제1 머플러(151), 제2 머플러(152) 및 제3 머플러(153)를 포함한다.The suction muffler 150 includes a plurality of mufflers 151 , 152 , 153 . The plurality of mufflers 151 , 152 , and 153 include a first muffler 151 , a second muffler 152 , and a third muffler 153 coupled to each other.

제1 머플러(151)는 피스톤(1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2 머플러(152)는 제1 머플러(151)의 후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3 머플러(153)는 제2 머플러(152)를 내부에 수용하며, 제1 머플러(151)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냉매의 유동방향 관점에서,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제3 머플러(153), 제2 머플러(152) 및 제1 머플러(151)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소음이 저감된다.The first muffler 151 is disposed inside the piston 130 , and the second muffler 152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muffler 151 . In addition, the third muffler 153 accommodates the second muffler 152 therein, and may extend to the rear of the first muffler 151 . From the viewpoint of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104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hird muffler 153 , the second muffler 152 , and the first muffler 151 . In this process, the flow noise of the refrigerant is reduced.

제1 머플러(151)와 제2 머플러(152)가 결합되는 경계면에는 머플러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머플러 필터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머플러 필터의 외주부는 제1, 2 머플러(151, 152)의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A muffler filter (not shown) may be disposed at the interface where the first muffler 151 and the second muffler 152 are coupled. The muffler filter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uffler filter may be suppo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ufflers 151 and 152 .

이하에서 "축 방향"은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 즉 도 5에서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축 방향" 중에서 흡입 파이프(104)로부터 압축 공간(P)을 향하는 방향, 즉 냉매가 유동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피스톤(13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압축 공간(P)은 압축될 수 있다.Hereinafter, “axial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iston 130 reciprocates, that is, a horizontal direction in FIG. 5 . Among the "axial directions", the direction from the suction pipe 104 to the compression space P,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referred to as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rear". For example, when the piston 130 moves forward, the compression space P may be compressed.

또한 이하에서 "반경 방향"은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도 5에서 세로 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hereinafter, "radial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ston 130 reciprocates, and means a vertical direction in FIG. 5 .

피스톤(130)은 원통형상의 피스톤 본체(131) 및 피스톤 본체(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플랜지(132)를 포함한다. 피스톤 본체(131)는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며, 피스톤 플랜지(132)는 실린더(120)의 외측에서 왕복 운동한다.The piston 130 includes a cylindrical piston body 131 and a piston flange 132 extending radially from the piston body 131 . The piston body 131 reciprocates inside the cylinder 120 , and the piston flange 132 reciprocates outside the cylinder 120 .

또한, 피스톤(130)은 냉매가 유동되는 흡입공(133) 및 흡입공(133)를 개폐하는 흡입밸브(135)를 포함한다. 흡입공(133)은 피스톤 본체(131)의 전면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iston 130 includes a suction hole 133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a suction valve 1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hole 133 . The suction hole 133 is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piston body 131 .

또한, 피스톤(130)은 흡입밸브(135)를 피스톤(130)에 체결시키는 밸브 체결부재(134)를 더 포함한다. 밸브 체결부재(134)는 흡입밸브(135)를 관통하여 피스톤 본체(131)의 전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ston 130 further includes a valve fastening member 134 for fastening the suction valve 135 to the piston 130 . The valve fastening member 134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piston body 131 through the suction valve 135 .

실린더(120)는 피스톤(130)을 수용한다. 실린더(120)는 제1 머플러(151) 및 피스톤 본체(131)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실린더(120)의 내부에는 피스톤(130)에 의하여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공간(P)이 형성된다.The cylinder 120 houses the piston 130 . The cylinder 120 may accommodate the first muffler 15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iston body 131 . A compression space P in which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by the piston 130 is formed in the cylinder 120 .

또한 압축기(10)는 토출커버(160) 및 토출밸브 어셈블리(161, 163)를 포함한다. 토출커버(160)는 압축 공간(P)의 전방에 설치되어 압축 공간(P)에서 배출된 냉매가 유동되는 토출공간(160a)을 형성한다. 토출공간(160a)은 토출커버(160)의 내부 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공간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통될 수 있다.Also, the compressor 10 includes a discharge cover 160 and discharge valve assemblies 161 and 163 . The discharge cover 16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ompression space (P) to form a discharge space (160a) in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space (P) flows. The discharge space 160a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 portions partitioned by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cover 160 . The plurality of space portions may be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토출밸브 어셈블리(161, 163)는 토출커버(160)에 결합되며 압축 공간(P)에서 압축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161, 163)에는, 상기 압축 공간(P)의 압력이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냉매를 상기 토출공간(160a)으로 유입시키는 토출 밸브(161) 및 상기 토출 밸브(161)와 토출커버(160)의 사이에 제공되어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조립체(163)가 포함된다.The discharge valve assemblies 161 and 163 are coupled to the discharge cover 160 and selectively discharg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space P. In the discharge valve assemblies 161 and 163, a discharge valve 161 and the discharge valve 161 that are opened when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space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charge pressure to introduce a refrigerant into the discharge space 160a; and a spring assembly 163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cover 160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included.

스프링 조립체(163)는 밸브 스프링(163a) 및 밸브 스프링(163a)을 토출커버(160)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부(163b)를 포함한다. 밸브 스프링(163a)은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프링지지부(163b)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밸브 스프링(163a)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The spring assembly 163 includes a valve spring 163a and a spring support portion 163b for supporting the valve spring 163a to the discharge cover 160 . The valve spring 163a includes a leaf spring. The spring support part 163b may be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valve spring 163a by an injection process.

토출 밸브(161)는 밸브 스프링(163a)에 결합되며, 토출 밸브(161)의 후방부 또는 후면은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토출 밸브(161)가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되면 압축 공간(P)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토출 밸브(161)가 실린더(12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압축 공간(P)은 개방되어 압축 공간(P) 내부의 압축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valve 161 is coupled to the valve spring 163a, and a rear or rear surface of the discharge valve 161 is disposed to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120 . When the discharge valve 161 is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120 , the compression space P maintains a closed state, and when the discharge valve 161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120 , the compression space P is opened. The compressed refrigerant inside the compression space P may be discharged.

압축 공간(P)은 흡입밸브(135)와 토출 밸브(16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흡입밸브(135)는 압축 공간(P)의 일측에 형성되고, 토출 밸브(161)는 압축 공간(P)의 타측, 즉 흡입밸브(135)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The compression space P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suction valve 135 and the discharge valve 161 . The suction valve 13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P, and the discharge valve 161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P,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valve 135 .

피스톤(130)이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 하는 과정에서, 압축 공간(P)의 압력이 흡입압력 이하가 되면 흡입밸브(135)가 개방되어 냉매는 압축 공간(P)으로 흡입된다. 반면에, 압축 공간(P)의 압력이 흡입압력 이상이 되면 흡입밸브(135)가 닫힌 상태에서 압축 공간(P)의 냉매가 압축된다.In the process of the piston 130 reciprocating linear motion inside the cylinder 120, when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space P becomes less than the suction pressure, the suction valve 135 is opened and the refrigerant is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P. .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space (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uction pressure,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space (P) is compress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suction valve (135).

압축 공간(P)의 압력이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 스프링(163a)이 전방으로 변형하면서 토출 밸브(161)를 개방시키고, 냉매는 압축 공간(P)으로부터 토출되어 토출커버(160)의 토출공간으로 배출된다. 냉매의 배출이 완료되면, 밸브 스프링(163a)은 토출 밸브(161)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토출 밸브(161)가 닫혀지도록 한다.When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space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charge pressure, the valve spring (163a) is deformed forward to open the discharge valve (161), and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space (P) to discharge the discharge cover (160). discharged into space. When the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is completed, the valve spring 163a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the discharge valve 161 to close the discharge valve 161 .

토출 커버(160)의 토출공간(160a)을 유동하는 냉매를 배출시키도록 토출 커버(160)에 커버파이프(162a)가 결합된다. 커버파이프(162a)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pipe 162a is coupled to the discharge cover 160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space 160a of the discharge cover 160 . The cover pipe 162a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커버파이프(162a)를 유동하는 냉매를 토출 파이프(105)로 전달하도록 커버파이프(162a)에 루프 파이프(162b)가 결합된다. 루프 파이프(162b)의 일측은 커버파이프(162a)에 결합되며, 타측은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op pipe 162b is coupled to the cover pipe 162a to transfer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ver pipe 162a to the discharge pipe 105 . One side of the roof pipe 162b may be coupled to the cover pipe 162a ,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105 .

루프 파이프(162b)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루프 파이프(162b)는 커버파이프(162a)로부터 쉘(101)의 내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파이프(162b)는 감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oof pipe 162b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ng. In addition, the roof pipe 162b may extend from the cover pipe 162a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101 in a round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105 . For example, the loop pipe 162b may have a wound shape.

또한 압축기(10)는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실린더(120)를 고정시킨다. 실린더(120)는 프레임(110)의 내측에 압입(press fitting)될 수 있다. 실린더(120) 및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pressor 10 also includes a frame 110 . The frame 110 fixes the cylinder 120 . The cylinder 120 may be press-fitt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10 . The cylinder 120 and the frame 110 may be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terial.

프레임(110)은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실린더(120)는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용된다. 토출커버(160)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rame 11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ylinder 120 . The cylinder 1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110 . The discharge cover 16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10 by a fastening member.

실린더(120)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본체(121) 및 실린더 본체(121)의 전방부 외측에 구비되는 실린더 플랜지(122)를 포함한다. 실린더 본체(121)는 축방향의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실린더 본체(121)의 외주면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ylinder 120 includes a cylinder body 121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cylinder flange 122 provided outside the front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121 . The cylinder body 121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entral axis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frame 110 . According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12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110 .

모터 어셈블리(140)는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스테이터(141),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48) 및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146)을 포함한다.The motor assembly 140 includes an outer stator 141 fixed to the frame 110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cylinder 120 , an inner stator 148 and an outer stator 14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tator 141 . ) and a permanent magnet 146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tator 148 .

영구자석(146)은 아우터 스테이터(141) 및 이너 스테이터(148)와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한다. 영구자석(146)은 1개의 극을 가지는 단일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3개의 극을 가지는 복수의 자석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146 may reciprocate in a straight line by mutual electromagnetic force with the outer stator 141 and the inner stator 148 . The permanent magnet 146 may be composed of a single magnet having one pole, or a plurality of magnets having three poles are combined.

영구자석(146)은 마그넷 프레임(138)에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넷 프레임(138)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다.The permanent magnet 146 may be installed in the magnet frame 138 . The magnet frame 138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outer stator 141 and the inner stator 148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 프레임(138)은 피스톤 플랜지(132)에 결합되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영구자석(146)은 마그넷 프레임(138)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146)이 왕복 운동할 때, 피스톤(130)은 영구자석(146)과 함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As shown in FIG. 5 , the magnet frame 138 is coupled to the piston flange 132 to extend radially outward and may be bent forward. The permanent magnet 146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agnet frame 138 . Therefore, when the permanent magnet 146 reciprocates, the piston 130 reciprocates in the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ermanent magnet 146 .

아우터 스테이터(141)는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 및 스테이터 코어(141a)를 포함한다.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는 보빈(141b) 및 보빈(141b)의 원주 방향으로 권선된 코일(141c)을 포함한다.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는 코일(141c)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외부로 인출 또는 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단자부(141d)를 더 포함한다.The outer stator 141 includes coil winding bodies 141b, 141c, and 141d and a stator core 141a. The coil winding bodies 141b, 141c, and 141d include a bobbin 141b and a coil 141c wou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bbin 141b. The coil winding bodies 141b, 141c, and 141d further include a terminal portion 141d for guiding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coil 141c to be drawn out 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tator 141 .

스테이터 코어(141a)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이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복수의 코어 블럭을 포함한다. 복수의 코어 블럭은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tator core 141a includes a plurality of core blocks i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ions are stack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core blocks may be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winding body (141b, 141c, 141d).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에는 스테이터 커버(149)가 제공된다.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부는 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부는 스테이터 커버(149)에 의하여 지지된다.A stator cover 149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tator 141 . One side of the outer stator 141 is supported by the frame 110 ,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the stator cover 149 .

스테이터 커버(149)와 프레임(110)은 커버체결부재(149a)에 의해 체결된다. 커버체결부재(149a)는 스테이터 커버(149)를 관통하여 프레임(110)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며 프레임(110)에 마련된 체결홀에 결합될 수 있다.The stator cover 149 and the frame 110 are fastened by the cover fastening member 149a. The cover fastening member 149a extends forward toward the frame 110 through the stator cover 149 and may be coupled to a fastening hole provided in the frame 110 .

이너 스테이터(148)는 프레임(110)의 외주에 고정된다.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이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너 스테이터(148)를 구성한다.The inner stator 148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110 . A plurality of laminations are stack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frame 110 to constitute the inner stator 148 .

코일(141c)에 소정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가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 전기장에 의해서 영구자석(146)이 전자기력을 부여받아 피스톤(130)과 함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As a predetermined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41c, the outer stator 141 and the inner stator 148 form an electric field. By this electric field, the permanent magnet 146 may receive electromagnetic force to reciprocate in the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iston 130 .

코일(141c)에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 영구자석(146)의 왕복운동 속도 및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모터 어셈블리(140)에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 피스톤(130)의 운동이 변화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speed and distance of the permanent magnet 146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coil 141c. That is, the movement of the piston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motor assembly 140 .

압축기(10)는 피스톤(130)을 지지하는 서포터(137)를 더 포함한다. 서포터(137)는 피스톤(130)의 후측에 결합되며, 그 내측에는 흡입 머플러(150)가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피스톤 플랜지(132), 마그넷 프레임(138) 및 서포터(137)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The compressor 10 further includes a supporter 137 for supporting the piston 130 . The supporter 137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piston 130 , and the suction muffler 150 is disposed inside the piston 130 to pass therethrough. The piston flange 132 , the magnet frame 138 , and the supporter 137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서포터(137)에는 밸런스 웨이트(179)가 결합된다. 밸런스 웨이트(179)의 중량은 압축기 본체의 운전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 balance weight 179 is coupled to the supporter 137 . The weight of the balance weight 179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ng frequency range of the compressor body.

압축기(10)는 스테이터 커버(149)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2 지지장치(185)에 의하여 지지되는 리어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The compressor 10 further includes a rear cover 170 coupled to the stator cover 149 and extending rearward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device 185 .

리어 커버(170)는 3개의 지지레그를 포함한다. 3개의 지지레그는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에 결합된다. 3개의 지지레그와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 사이에, 스페이서(181)가 개재된다. 스페이서(181)의 두께에 따라서 스테이터 커버(149)로부터 리어 커버(170)의 후단부까지의 거리가 결정된다. 리어 커버(170)는 서포터(137)에 탄성 지지된다.The rear cover 170 includes three support legs. The three support legs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ator cover 149 . A spacer 181 is interposed between the three support leg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tator cover 149 . The distance from the stator cover 149 to the rear end of the rear cover 17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pacer 181 . The rear cover 17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upporter 137 .

또한 압축기(10)는 리어 커버(170)에 결합되어 흡입 머플러(150)로의 냉매 유입을 가이드하는 유입 가이드부(156)를 더 포함한다. 유입 가이드부(156)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입 머플러(15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ressor 10 further includes an inflow guide part 156 coupled to the rear cover 170 to guide the refrigerant inflow into the suction muffler 150 .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guide part 156 may be inserted into the suction muffler 150 .

또한 압축기(10)는 피스톤(130)의 공진 운동을 위하여 각 고유 진동수가 조절된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ressor 1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nce springs 176a and 176b each of which natural frequencies are adjusted for the resonance motion of the piston 130 .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은 서포터(137)와 스테이터 커버(149)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1 공진스프링(176a) 및 서포터(137)와 리어 커버(170)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2 공진스프링(176b)을 포함한다.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의 작용에 의하여, 압축기(1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구동부의 안정적인 움직임이 보장되며, 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이 감소한다.The plurality of resonance springs 176a and 176b include a first resonance spring 176a supported between the supporter 137 and the stator cover 149 and a second resonance spring 176a supported between the supporter 137 and the rear cover 170 . It includes a resonance spring (176b). By the action of the plurality of resonance springs 176a and 176b, stabl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reciprocating inside the compressor 10 is ensured, and vibration or noise gener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is reduced.

서포터(137)는 제1 공진스프링(176a)에 결합되는 제1 스프링지지부(137a)를 포함한다.The supporter 137 includes a first spring support portion 137a coupled to the first resonance spring 176a.

또한 압축기(10)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 주변의 부품간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한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ressor 10 includes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127, 128, 129a, 129b) for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parts around the frame (110).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는 프레임(110)과 토출커버(16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1 실링부재(127)를 포함한다. 제1 실링부재(127)는 프레임(110)의 제1 설치홈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127 , 128 , 129a and 129b include a first sealing member 127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rame 110 and the discharge cover 160 are coupled. The first sealing member 127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of the frame 110 .

또한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는 프레임(110)과 실린더(12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2 실링부재(128)를 포함한다. 제2 실링부재(128)는 프레임(110)의 제2 설치홈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127, 128, 129a, 129b) includes a second sealing member (128)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rame 110 and the cylinder 120 are coupled. The second sealing member 128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of the frame 110 .

또한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는 실린더(120)와 프레임(110) 사이에 제공되는 제3 실링부재(129a)를 포함한다. 제3 실링부재(129a)는 실린더(120)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실린더홈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링부재(129a)는 프레임의 내주면과 실린더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포켓의 냉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프레임(110)과 실린더(1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127, 128, 129a, 129b) includes a third sealing member (129a) provided between the cylinder (120) and the frame (110). The third sealing member 129a may be disposed in a cylinder groov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cylinder 120 . The third sealing member 129a prevents the refrigerant in the gas pocket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cylinder 120 .

또한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는 프레임(110)과 이너 스테이터(148)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4 실링부재(129b)를 포함한다. 제4 실링부재(129b)는 프레임(110)의 제3 설치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는 링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127 , 128 , 129a and 129b include a fourth sealing member 129b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rame 110 and the inner stator 148 are coupled. The fourth sealing member 129b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installation groove of the frame 110 . The first to fourth sealing members 127, 128, 129a, and 129b may have a ring shape.

또한 압축기(10)는 압축기(10)의 본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장치(165)와 압축기(10)의 본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장치(185)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ressor 10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ing device 165 suppor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10 and a second supporting device 185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10 .

제1 지지장치(165)는 제2 쉘커버(103)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토출커버(160)에 결합되어 압축기(10)의 본체를 탄성 지지한다. 제2 지지장치는 제1 쉘커버(102) 및 리어 커버(170)에 결합되어 압축기(10)의 본체를 탄성 지지한다.The first support device 16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hell cover 103 and is coupled to the discharge cover 160 to elastically support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10 . The second support device is coupled to the first shell cover 102 and the rear cover 170 to elastically support the main body of the compressor 10 .

제1 지지장치(165)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체결부(101a)에 결합되는 제1 지지스프링(166)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지지장치(18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지지부(102a)에 결합되는 제2 지지스프링(186)을 포함한다. The first support device 165 includes a first support spring 166 coupled to the spring fastening portion 101a shown in FIG. 3 .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device 185 includes a second support spring 186 coupled to the cover support portion 102a shown in FIG. 3 .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피스톤(130)에 베어링 냉매를 공급하는 베어링 유로를 포함한다. 베어링 냉매는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내벽 사이에 공급되어 베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냉매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bearing flow path for supplying a bearing refrigerant to the piston 130 . The bearing coolant is supplied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120 to perform a bearing function.

베어링 냉매는 피스톤(130)에 의해 압축된 냉매 중 일부이다. 피스톤(130)에 의해 압축 공간(P)에서 압축된 냉매는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되는 냉매 중 일부 냉매(베어링 냉매)는 프레임(110) 및 실린더(120)를 통과하여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공급될 수 있다.The bearing refrigerant is a part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piston 130 .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space P by the piston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some refrigerant (bearing refrigerant)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may be supplied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through the frame 110 and the cylinder 120 .

베어링 유로는 실린더(120)에 형성되는 실린더 베어링 유로(125, 126) 및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프레임 베어링 유로(114)를 포함한다. 피스톤(130)에 의해 압축된 냉매 중 적어도 일부는 실린더 베어링 유로(125, 126) 및 프레임 베어링 유로(114)로 유동되어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공급될 수 있다.The bearing passage includes cylinder bearing passages 125 and 126 formed in the cylinder 120 and a frame bearing passage 114 formed in the frame 1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piston 130 may flow to the cylinder bearing passages 125 and 126 and the frame bearing passage 114 to be supplied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

프레임 베어링 유로(114)는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프레임 베어링 유로(114)는 프레임(110)의 전면에서 상기 실린더(120)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 베어링 유로(114)는 축방향을 따라서 비스듬하게 배치된다.The frame bearing passage 114 is formed through the frame 110 . The frame bearing passage 114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10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120 . Referring to FIG. 5 , the frame bearing flow path 114 is disposed obliquely along the axial direction.

실린더 베어링 유로는 가스유입부(126) 및 실린더 노즐(125)을 포함한다.The cylinder bearing passage includes a gas inlet 126 and a cylinder nozzle 125 .

가스유입부(126)는 실린더 본체(12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가스유입부(126)는 축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실린더 본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스유입부(126)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가스유입부(126)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gas inlet 126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121 . The gas inlet 126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121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the axial dir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lurality of gas inlet 126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two gas inlets 12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실린더 노즐(125)은 가스유입부(126)에서 실린더 본체(121)의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특히, 실린더 노즐(125)은 가스유입부(126)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ylinder nozzle 125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gas inlet 126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121 . In particular, the cylinder nozzle 125 may extend radially inward from the gas inlet 126 .

베어링 냉매는 압축기(10)를 유동하는 냉매 중 일부에 해당된다. 따라서 베어링 냉매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압축기(10)에 의해 압축되는 냉매의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실린더 노즐(125)의 직경을 조절하여 베어링 냉매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bearing refrigerant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mpressor 10 .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the bearing refrigerant is too large, the amount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0 is reduced.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nozzle 125, the amount of the bearing refrigera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실린더(120)와 프레임(110)의 사이에는 가스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본체(121)의 외주면과 프레임(1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베어링 유로(114)를 따라 유동된 냉매가 가스유입부(126)로 유동될 수 있다.A gas pocket may be formed between the cylinder 120 and the frame 110 . A predetermined bearing refrigerant may flow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12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110 . Accordingly, the refrigerant flowing along the frame bearing passage 114 may flow to the gas inlet 126 .

가스유입부(126)를 통과한 냉매, 즉 베어링 냉매는 실린더 노즐(125)을 통하여 실린더 본체(121)의 내주면과 피스톤 본체(131)의 외주면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베어링 냉매는 피스톤(130)에 부상력을 제공하여 피스톤(130)이 왕복 운동할 때 실린더 본체(121)의 내주면과 마찰을 최소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냉매는 피스톤(130)의 외주면으로 공급되어 피스톤(130)을 실린더(120)과 이격시킨다. 따라서 피스톤(130)의 왕복 운동과정에서 실린더(120) 및 피스톤(130)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된다.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as inlet 126 , that is, the bearing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12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body 131 through the cylinder nozzle 125 . The bearing refrigerant provides levitation force to the piston 130 to minimize frictio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121 when the piston 130 reciprocates. More specifically, the bearing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30 to separate the piston 130 from the cylinder 120 . Accordingly, friction between the cylinder 120 and the piston 130 is minimiz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13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낮아지면 압축기(10)의 냉력이 감소하면서 실린더(120) 내부로 유입되는 베어링 냉매의 양이 감소한다. 실린더(120) 내부로 유입되는 베어링 냉매의 양이 감소하면 피스톤(130)의 부상력이 약해지면서 왕복 운동 과정에서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의 마찰이 커진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130)의 외부면 또는 실린더(120)의 내부면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피스톤(130) 또는 실린더(120)의 마모는 압축기(10)의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피스톤(130) 또는 실린더(120)의 마모가 심화되면 피스톤(130) 또는 실린더(120)의 표면 일부가 뜯겨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과적으로 압축기(10)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lowered,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the bear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ylinder 120 is reduced. When the amount of the bearing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ylinder 120 is reduced,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130 is weakened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is increased in the reciprocating motion process. Accordingly, wear may occu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ston 13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120 . Wear of the piston 130 or the cylinder 120 causes the performance of the compressor 10 to deteriorate. In addition, when the wear of the piston 130 or the cylinder 120 intensifies, a phenomenon in which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piston 130 or the cylinder 120 is torn off may occur. As a result, this phenomenon may lead to a malfunction of the compressor 10 .

이하에서는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낮아질 때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압축기(10)의 제어 방법이 기술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compressor 10 for reducing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lowered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메인 제어기(20), 온도 센서(214), 제어 패널(206), 압축기 제어기(204), 압축기(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main controller 20 , a temperature sensor 214 , a control panel 206 , a compressor controller 204 , and a compressor 10 . .

온도 센서(214)는 압축기(10)의 주변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214)의 예시로서 냉장고(1)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장고(1)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 또는 기계실(5)의 내부에 배치되어 기계실(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계실 온도 센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온도 센서(214)로서 외기 온도 센서가 사용될 경우, 냉장고(1) 외부의 온도, 즉 외기 온도는 압축기(10)가 배치되는 기계실(5) 내부의 온도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온도 센서(214)는 측정된 온도 값, 즉 주변 온도 값을 메인 제어기(20)에 전달한다.The temperature sensor 214 measur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 As an example of the temperature sensor 214,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1 to measur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1 or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5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chine room 5 a machine room temperature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is used as the temperature sensor 214 ,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1 , that is, the outside temperature may be regarded as the same as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chine room 5 in which the compressor 10 is disposed. The temperature sensor 214 transmits a measured temperature value, that is,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to the main controller 20 .

제어 패널(206)은 냉장고의 사용을 위한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기능 및 냉장고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패널(206)을 통해서 저장실, 즉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설정 온도를 각각 입력하거나 저장실의 구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패널(206)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저장실의 설정 온도 또는 현재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제어 패널(206)을 통해서 입력하는 냉장실(130)의 설정 온도 값 또는 냉동실(140)의 설정 온도 값은 메인 제어기(20)에 전달된다.The control panel 206 has an input function for inputting a command or information for use of the refrigerator and a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set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respectively, or change the driving mo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control panel 206 .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206 displays the set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input by the user or the current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hamber. The set temperature valu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0 or the set temperature valu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40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panel 206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20 .

제어 패널(206)의 예시로서 터치에 의한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제어 패널(206)의 다른 예시로서 물리적인 입력 버튼 및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들 수 있다.An example of the control panel 206 is a touch panel having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by touch. 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panel 206 may include a physical input button and a display panel on which information is displayed.

제어 패널(206)은 캐비닛(2)의 단부 또는 도어(3)의 외부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제어 패널(206)의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The control panel 206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cabinet 2 o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3 , but the position of the control panel 206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메인 제어기(20)는 제어 패널(206)을 통해서 입력되는 저장실의 설정 온도 값 및 고내 온도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측정되는 저장실의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main controller 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value of the storage chamber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206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measured by the storage chamber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output a signa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기(20)에 의해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압축기 제어기(204)에 공급된다. 예컨대 메인 제어기(20)는 압축기 구동 신호 또는 압축기 정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압축기 제어기(204)에 공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main controller 20 is supplied to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 For example, the main controller 20 may supply either a compressor drive signal or a compressor stop signal to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압축기 제어기(204)는 메인 제어기(20)가 공급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압축기(10)를 구동시킨다. 메인 제어기(20)로부터 압축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에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서 압축기(10)가 구동된다. 반대로 메인 제어기(20)로부터 압축기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 이에 따라서 압축기(10)의 구동이 정지된다.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rives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upplied by the main controller 20 . Upon receiving the compressor driving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20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compressor 10 . Accordingly, the compressor 10 is driven. Conversely, upon receiving a compressor stop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20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tops supplying power to the compressor 10 .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opp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은 피스톤(130)의 상사점과 하사점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면 피스톤(130)의 이동 거리가 길어져 피스톤(10)의 토크가 증가하고,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이 감소하면 피스톤(130)의 이동 거리가 짧아져 피스톤(10)의 토크가 감소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may control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iston 130 . Therefore, when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iston 130 is increased, and the torque of the piston 10 increases. When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decrease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iston 130 is shortened. The torque of the piston 10 decreas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가 구동될 때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이 최저 스트로크 값보다 낮은 값이 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최저 스트로크 값은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의미하며, 압축기(10)의 최초 구동 시 미리 정해진 기본 스트로크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높아지면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여 피스톤의 토크가 증가하고, 최저 스트로크 값이 낮아지면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이 감소하여 피스톤의 토크가 감소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control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not to be lower than the lowest stroke value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The lowest stroke value mean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stroke values of the compressor 10 , and is set as a predetermined basic stroke value when the compressor 10 is initially driven. Therefore, when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and the torque of the piston increases, and when the minimum stroke value decrease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decreases and the torque of the piston decreases. do.

압축기(10)는 압축기 제어기(204)에 의한 전력 공급에 의해서 구동된다. 압축기(10)가 구동되면 압축기(10)에 의해서 압축되는 냉매가 저장실의 후면에 배치되는 증발기로 공급되면서 저장실 내부로 냉기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하강한다. 반대로 압축기(10)의 구동이 정지되면 저장실 내부로의 냉기 공급이 중단되어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상승한다.Compressor 10 is driven by power supply by compressor controller 204 .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0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dispos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and cold air is supplied into the storage chamber. Accordingly,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hamber decreases. Conversely,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opped, the supply of cold air into the storage chamber is stopped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hamber ris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 제어기(204)는 온도 센서(214)에 의해서 측정되는 주변 온도 값을 입력는다. 압축기 제억(204)는 온도 센서(214)로부터 직접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메인 제어기(20)롤 통해서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herein,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inputs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214 . The compressor control unit 204 may receive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directly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14 , or may receive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through the main controller 20 .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한다.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과 기준 온도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할 수 있다.Compressor controller 204 compare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may adjust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이하에서는 압축기 제어기(204)가 주변 온도 값에 따라서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실시예들이 기술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in which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adjust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are described.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냉장고(1)가 전원 온 상태가 되어 압축기(10) 구동 제어가 시작되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온도 센서(214)에 의해서 측정되는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는다(702).When the refrigerator 1 is turned on and the compressor 10 driving control is started,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receives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14 ( 702 ).

압축기 제어기(204)는 입력된 주변 온도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한다(704).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 온도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압축기 제어기(204)는 입력된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 중 어느 온도 범위에 속하는지 판별한다.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compares the input ambient temperature valu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70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ne or more reference temperature ranges may be set.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to which temperature range the input ambient temperature value belongs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과 기준 온도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한다(706).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adjust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 706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706)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주변 온도 값이 속하는 기준 온도 범위와 대응되는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p 706 of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ludes adjusting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o which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belongs. do.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최저 스트로크 값은 증가하도록 설정된다.Als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west stroke value is set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706)는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값 이상이면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기본 스트로크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주변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 미만이면 최저 스트로크 값을 기본 스트로크 값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step 706 of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set to a predetermined basic stroke value. setting, and 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setting the lowest stroke value to a value higher than the basic stroke value.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706)는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s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p 706 of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ludes set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냉장고(1)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802), 압축기 제어기(204)는 메인 제어기(20)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압축기(10)의 구동을 제어한다(804).When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urn on the power of the refrigerator 1 ( 802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20 ( 804 ). .

압축기(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안 압축기 제어기(204)는 온도 센서(214)에 의해서 측정되는 압축기(10)의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는다(806).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receives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of the compressor 1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14 ( 806 ).

압축기 제어기(204)는 입력된 주변 온도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값과 비교한다(808). 예컨대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인 -8℃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기준 온도 값은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Compressor controller 204 compares the input ambient temperature valu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808). For example,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8°C, which is a reference temperature value. Here,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is a value that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만약 주변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인 -8℃ 이상이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기본 스트로크 값(예컨대, 8mm)으로 설정한다(810). 이에 따라서 압축기 제어기(204)는 기본 스트로크 값을 최저 스트로크 값으로 설정하고 단계(804)로 복귀한다.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of −8° C.,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a predetermined basic stroke value (eg, 8 mm) ( 810 ). Compressor controller 204 accordingly sets the base stroke value to the lowest stroke value and returns to step 804 .

만약 주변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인 -8℃ 미만이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기본 스트로크 값(예컨대, 8mm)보다 큰 값(예컨대, 10mm)으로 설정한다(812). 다시 말해서,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지면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한다.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of −8° C.,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a value (eg, 10 mm) greater than the basic stroke value (eg, 8 mm) ( 812 ). ). In other words,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increas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압축기 제어기(204)는 새로 설정된 최저 스트로크 값(예컨대, 10mm)에 기초하여 단계(804)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서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므로 압축기(10)의 토크가 증가한다. 압축기(10)의 토크가 증가하면 피스톤(130)에 의해서 압축된 후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다시 말해서 냉매의 토출 압력이 증가한다. 냉매의 토출 압력이 증가하면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공급되는 냉매, 즉 베어링 냉매의 양이 증가하므로 피스톤(130)의 부상력이 감소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므로 피스톤(130)이나 실린더(120)의 마모 발생율이 감소한다.Compressor controller 204 returns to step 804 based on the newly set lowest stroke value (eg, 10 mm). Accordingly, since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 torq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When the torq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compressed by the piston 130, that is,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When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the refrigerant supplied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that is, the amount of the bearing refrigerant increases, so that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130 does not decrease. Accordingly, since friction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is reduced, the wear rate of the piston 130 or the cylinder 120 is reduced.

도 8의 실시예에서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을 2개의 기준 범위(-8℃ 이상, -8℃ 미만)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최저 스트로크 값을 2개의 스트로크 값(8mm, 10mm)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그러나 기준 범위 및 스트로크 값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compare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with two reference ranges (greater than -8 ° C, less than -8 ° C),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lowest stroke value is set to two stroke values (8 mm, 10mm). However, the reference range and the number of stroke values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냉장고(1)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902), 압축기 제어기(204)는 메인 제어기(20)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압축기(10)의 구동을 제어한다(904).When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urn on the power of the refrigerator 1 ( 902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20 ( 904 ). .

압축기(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안 압축기 제어기(204)는 온도 센서(214)에 의해서 측정되는 압축기(10)의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는다(906).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receives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of the compressor 1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14 ( 906 ).

압축기 제어기(204)는 입력된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별한다(908). 예컨대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이 제1 기준 범위(-8℃ 미만이고 -10℃ 이상)에 포함되는지 판별한다.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range ( 908 ). For example,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falls within a first reference range (below -8°C and above -10°C).

단계(908)에서 주변 온도 값이 제1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제1 스트로크 값(예컨대, 10mm)으로 설정하고(910), 단계(904)로 복귀한다.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included in the first reference range in step 908,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a predetermined first stroke value (eg, 10 mm) (910), and in step 908 . Return to (904).

단계(908)에서 주변 온도 값이 제1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별한다(912). 예컨대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이 제2 기준 범위(-10℃ 미만이고 -12℃ 이상)에 포함되는지 판별한다.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reference range in step 908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range ( 912 ). For example,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falls within the second reference range (below -10°C and above -12°C).

단계(912)에서 주변 온도 값이 제2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제2 스트로크 값(예컨대, 12mm)으로 설정하고(914), 단계(904)로 복귀한다.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falls within the second reference range in step 912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a second predetermined stroke value (eg, 12 mm) ( 914 ); Return to (904).

단계(912)에서 주변 온도 값이 제2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제3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별한다(916). 예컨대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이 제3 기준 범위(-12℃ 미만)에 포함되는지 판별한다.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not included in the second reference range in step 912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included in the third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 916 ). For example,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falls within a third reference range (less than -12°C).

단계(916)에서 주변 온도 값이 제3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제3 스트로크 값(예컨대, 14mm)으로 설정하고(918), 단계(904)로 복귀한다.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falls within the third reference range in step 916 ,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a third predetermined stroke value (eg, 14 mm) ( 918 ); Return to (904).

단계(916)에서 주변 온도 값이 제3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 제4 기준 범위(-8℃ 이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하고, 최저 스트로크 값을 기본 스트로크 값(예컨대, 8mm)으로 설정하고(920), 단계(904)로 복귀한다.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not included in the third reference range in step 916,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determines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included in the fourth reference range (-8°C or higher), and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as the basic stroke value (eg, 8 mm) 920 , and return to step 904 .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서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지더라도 압축기(10)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므로 압축기(10)의 토크가 증가한다. 압축기(10)의 토크가 증가하면 피스톤(130)에 의해서 압축된 후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다시 말해서 냉매의 토출 압력이 증가한다. 냉매의 토출 압력이 증가하면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공급되는 냉매, 즉 베어링 냉매의 양이 증가하므로 피스톤(130)의 부상력이 감소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므로 피스톤(130)이나 실린더(120)의 마모 발생율이 감소한다.9,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et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Accordingly, even 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and thus the torq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When the torq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compressed by the piston 130, that is,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When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the refrigerant supplied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that is, the amount of the bearing refrigerant increases, so that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130 does not decrease. Accordingly, since friction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is reduced, the wear rate of the piston 130 or the cylinder 120 is reduced.

도 9의 실시예에서 압축기 제어기(204)는 주변 온도 값을 4개의 기준 범위(-8℃ 이상, -8℃ 미만이고 -10℃ 이상, -10℃ 미만이고 -12℃ 이상, -12℃ 미만)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최저 스트로크 값을 4개의 스트로크 값(8mm, 10mm, 12mm, 14mm)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그러나 기준 범위 및 스트로크 값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compressor controller 204 set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to four reference ranges (above -8°C, below -8°C and above -10°C, below -10°C and above -12°C, below -12°C. ) and set the lowest stroke value to any one of the four stroke values (8mm, 10mm, 12mm, 14mm)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However, the reference range and the number of stroke values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10은 리니어 압축기의 구동 시간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 및 리니어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inear compressor an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driving time of the linear compressor.

도 10에는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10℃일 때 압축기(10)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1002)(이하, 흡입 압력) 및 피스톤(130)에 의해서 압축기(10) 내부에서 압축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1004, 1006)(이하, 토출 압력)이 각각 도시된다.In FIG. 10 ,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10° C., the pressure 1002 (hereinafter, suction pressure) of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ompressor 10 and the piston 130 are compressed inside the compressor 10. Pressures 1004 and 1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charge pressures)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outside are shown respectively.

또한 도 10에서 토출 압력(1004)은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8mm로 설정되었을 때의 압력이고, 토출 압력(1006)은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10mm로 설정되었을 때의 압력이다.In addition, in FIG. 10 , the discharge pressure 1004 is the pressure when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set to 8 mm, and the discharge pressure 1006 is the pressure when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set to 10 mm. to b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달라지더라도 냉매의 흡입 압력(1002)은 일정하다. 그러나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증가함에 따라서 냉매의 토출 압력은 증가한다.As shown in FIG. 10 , the suction pressure 1002 of the refrigerant is constant even if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changed. However, as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따라서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8mm일 때 토출 압력(1004)과 흡입 압력(1002)의 차이값은 0.8이 되고,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10mm일 때 토출 압력(1006)과 흡입 압력(1002)의 차이값은 1.1이 된다. 다시 말해서,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증가할수록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차이값도 증가한다.Therefore, when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8 mm,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1004 and the suction pressure 1002 is 0.8, and when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10 mm, the discharge pressure 1006 and The difference value of the suction pressure 1002 becomes 1.1. In other words, as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suction pressure also increases.

결국 도 10에 따르면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증가할수록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토출 압력) 및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차이값이 증가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이와 같은 특성을 기초로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낮아질수록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피스톤(130)의 부상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FIG. 10 , as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 pressure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suction pressure increas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wer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the lower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130 by increasing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This is prevented.

도 11은 리니어 압축기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 및 리니어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간의 차이값에 따른 피스톤과 실린더 간 마찰력의 변화를 나타나는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frictional force between a piston and a cylinder according to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inear compressor an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linear compressor.

도 11에서 가로 축은 냉매의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압력차를 나타내고, 세로 축은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의 마찰력과 비례하는 값인 마찰 입력값을 나타낸다.In FIG. 11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suction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 friction input value that is proportional to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

도 11에서 마찰 입력값이 W1에 도달하면 실린더(120) 내에서 피스톤(130)이 완전히 부상하여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완전 부상 영역) 또한 마찰 입력값이 W1에서 W2 사이이면 피스톤(130)이 실린더(120) 내에서 부상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경계 마찰이 발생한다. (경계 마찰 영역) 피스톤(130)이 실린더(120) 내에서 부상하지 않은 상태, 다시 말해서 압축기(10)가 전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찰 입력값은 W2보다 큰 값을 갖는다. (미운전 영역) 다시 말해서, 마찰 입력값이 클수록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충분한 양의 베어링 냉매가 공급되지 못함을 의미한다.In FIG. 11 , when the friction input value reaches W1 , the piston 130 completely floats in the cylinder 120 , so that friction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does not occur. (Complete floating region) Also, when the friction input value is between W1 and W2, boundary friction occurs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while the piston 130 floats in the cylinder 120. (Boundary friction region) In a state in which the piston 130 does not float in the cylinder 120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or 10 is not driven at all, the friction input value has a value greater than W2 . (Non-operated region) In other words, as the friction input value increases, it means that a sufficient amount of bearing refrigerant is not supplied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

도 11에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8mm일 때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압력차에 따른 마찰 입력 값의 변화량(1104) 및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10mm일 때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압력차에 따른 마찰 입력 값의 변화량(1106)이 각각 도시된다.11 shows the amount of change 1104 in the friction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suction pressure when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8 mm, and the discharge pressure and suction when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10 mm. A change amount 1106 of the friction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pressure is shown, respectively.

또한 도 11에서 포인트(1112)는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5℃일 때 측정된 값이고, 포인트(1114) 및 포인트(1116)은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25℃일 때 측정된 값이다.Also, in FIG. 11 , a point 1112 is a value measure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5°C, and a point 1114 and a point 1116 are a value measure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25°C. It is the measured value.

도 11을 참조하면,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5℃일 때에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과 관계없이 냉매의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압력차는 P2가 되고 마찰 입력값은 W1이 된다. (포인트(1112) 참조) 다시 말해서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5℃일 때에는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과 관계없이 피스톤(130)이 실린더(120) 내부에서 완전히 부상하여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마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1 ,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5°C,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suction pressure of the refrigerant becomes P2 and the friction input value becomes W1 regardless of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 . (See point 1112 ) In other words,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5° C., regardless of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 the piston 130 completely floats inside the cylinder 120 and the piston 130 ) and almost no friction between the cylinder 120 .

그러나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25℃로 하강한 경우,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8mm로 설정되면 냉매의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압력차는 P2로 낮아지면서 마찰 입력값이 W2로 증가한다. (포인트(1114) 참조) 이에 따라서 피스톤(130)은 실린더(120) 내부에서 완전히 부상하지 못하고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경계 마찰이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drops to -25°C, when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set to 8 mm,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suction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s lowered to P2, and the friction input value is set to W2. increases (See point 1114 ) Accordingly, the piston 130 does not fully float inside the cylinder 120 , and boundary friction occurs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

한편,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25℃로 하강한 경우,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10mm로 설정되면 냉매의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압력차는 P2로 낮아지지만 마찰 입력값이 W1으로 유지된다. (포인트(1116) 참조) 이 경우 냉매의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압력차가 낮아지더라도 피스톤(130)의 토크가 증가하면서 냉매의 토출 압력이 증가하므로 최저 스트로크 값이 8mm일 때에 비해서 베어링 냉매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130)이 실린더(120) 내부에서 완전히 부상하여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에 마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drops to -25° C., when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set to 10 mm,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suction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s lowered to P2, but the friction input value is W1 is maintained as (Refer to point 1116) In this case, even if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suction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ecreases, the torque of the piston 130 increases and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this increases Accordingly, the piston 130 completely floats inside the cylinder 120 , so that friction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hardly occurs.

이처럼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낮아질수록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증가시키면 피스톤(130)을 완전 부상 영역에 머물도록 할 수 있으므로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의 마찰 발생 가능성이 감소한다.As such, a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lowered, if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increased, the piston 130 can stay in the fully floating region, so friction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is possible. This decreases.

도 12 및 도 13은 리니어 압축기의 구동 시간에 따라서 실린더가 받는 하중의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2 and 13 are graphs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magnitude of a load received by a cylinder according to a driving time of the linear compressor.

도 12는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25℃이고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8mm일 때 압축기(10)의 구동 시간에 따라서 실린더(120) 외측 하부면에서 측정된 실린더(120)가 받는 하중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 12 shows the cylinder 120 measured from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120 according to the driving time of the compressor 10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25° C. and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8 mm. It represents the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load received.

또한 도 13은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25℃이고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10mm일 때 압축기(10)의 구동 시간에 따라서 실린더(120) 외측 하부면에서 측정된 실린더(120)가 받는 하중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13 shows the cylinder 120 measured from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120 according to the driving time of the compressor 10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25° C. and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10 mm. ) represents the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load receiv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25℃이고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8mm일 때에는 피스톤(130)이 실린더(120) 내부에서 완전히 부상하지 못하여 하중 값의 최대 값이 500까지 도달한다.As shown in FIG. 12 ,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25° C. and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8 mm, the piston 130 does not completely float inside the cylinder 120, so that the The maximum value reaches 500.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25℃이고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10mm일 때에는 피스톤(130)이 실린더(120) 내부에서 완전히 부상하므로 하중 값의 최대 값은 400까지 도달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13 ,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25° C. and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s 10 mm, the piston 130 completely floats inside the cylinder 120, so that the load value The maximum value reaches up to 400.

결국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25℃일 때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높을수록 피스톤(130)의 부상력이 커지므로 피스톤(130)이 실린더(120) 내부에서 완전히 부상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is -25 ℃, the higher the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the greater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130, so that the piston 130 can float completely inside the cylinder 120. hav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특성에 따라서 압축기(10)의 주변 온도가 낮아질수록 압축기(10)의 최저 스트로크 값이 증가함으로써 피스톤(130)의 부상력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의 마찰 발생 가능성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피스톤(130)이나 실린더(120)의 마모 또는 고장 발생 가능성이 감소하고, 냉장고(1)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decreas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10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levitation force of the piston 130 .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friction between the piston 130 and the cylinder 120 is reduced. As a result, the likelihood of wear or failure of the piston 130 or the cylinder 120 may be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frigerator 1 may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명세서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ffect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0)

압축기의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변 온도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온도 값과 상기 기준 온도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receiving an ambient temperature value of the compressor;
comparing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How to control a linear compres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상기 주변 온도 값이 속하는 기준 온도 범위와 대응되는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s
adjusting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a value corresponding to a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o which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belongs
How to control a linear compres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상기 최저 스트로크 값은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st stroke value is set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How to control a linear compres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기본 스트로크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온도 값이 상기 기준 온도 값 미만이면 상기 최저 스트로크 값을 상기 기본 스트로크 값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s
setting a minimum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as a predetermined basic stroke valu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nd
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setting the lowest stroke value to a value higher than the basic stroke value
How to control a linear compres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s
and set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How to control a linear compressor.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를 압축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되는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는 주변 온도 값을 입력받고, 상기 주변 온도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주변 온도 값과 상기 기준 온도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을 조절하는
냉장고.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room is formed;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a refrigerant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chamber and is disposed inside a machine room formed inside the cabinet;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Comprising a compress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 compressor controller
receiving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omparing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adjusting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refriger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상기 주변 온도 값이 속하는 기준 온도 범위와 대응되는 값으로 조절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pressor controller
adjusting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o which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belongs
refrigera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상기 최저 스트로크 값은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owest stroke value is set to increas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refriger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제어기는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최저 스트로크 값을 미리 정해진 기본 스트로크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변 온도 값이 상기 기준 온도 값 미만이면 상기 최저 스트로크 값을 상기 기본 스트로크 값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pressor controller
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lowest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is set as a predetermined basic stroke value,
If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setting the lowest stroke value to a value higher than the basic stroke value
refriger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제어기는
상기 주변 온도 값이 낮아질수록 상기 압축기의 스트로크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pressor controller
Set to increase the stroke value of the compressor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lue decreases
refrigerator.
KR1020210008195A 2021-01-20 2021-01-20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linear compressor KR1024584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95A KR102458484B1 (en) 2021-01-20 2021-01-20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linea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95A KR102458484B1 (en) 2021-01-20 2021-01-20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linear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468A true KR20220105468A (en) 2022-07-27
KR102458484B1 KR102458484B1 (en) 2022-10-24

Family

ID=8270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195A KR102458484B1 (en) 2021-01-20 2021-01-20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linear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4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407B1 (en) * 1997-11-07 2000-04-01 구자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linear compressor
KR100314070B1 (en) * 1999-10-26 2001-11-15 구자홍 Operating method of linear compressor
KR20190000590A (en)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KR102106011B1 (en) * 2018-09-13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407B1 (en) * 1997-11-07 2000-04-01 구자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linear compressor
KR100314070B1 (en) * 1999-10-26 2001-11-15 구자홍 Operating method of linear compressor
KR20190000590A (en)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KR102106011B1 (en) * 2018-09-13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484B1 (en)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5081B2 (en) Linear compressor
EP3242021B1 (en) Linear compressor
EP3346127B1 (en) Linear compressor
US20170314542A1 (en) Linear compressor
US10288054B2 (en) Linear compressor
EP3343033B1 (en) Linear compressor
US9726164B2 (en) Linear compressor
KR101990140B1 (en)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80093526A (en) Linear compressor
KR10245848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linear compressor
EP362362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KR101990146B1 (en)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259660B1 (en) Linear compressor
KR101990136B1 (en)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65540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KR102209350B1 (en) Linear compressor
US11905940B2 (en) Linear compressor
US11952992B2 (en) Linear compressor
KR20180077774A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20240102459A1 (en) Linear compressor
US20220220953A1 (en) Linear compressor
KR20220092022A (en) Linear compressor
KR20200053781A (en) Linear compressor
KR20220080600A (en) Linear compressor
KR20200059566A (en) Linear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