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385A -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385A
KR20220105385A KR1020210008004A KR20210008004A KR20220105385A KR 20220105385 A KR20220105385 A KR 20220105385A KR 1020210008004 A KR1020210008004 A KR 1020210008004A KR 20210008004 A KR20210008004 A KR 20210008004A KR 20220105385 A KR20220105385 A KR 20220105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rash test
vehicle body
piston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385A/ko
Publication of KR2022010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돌시험용 차체(10)를 이용한 충돌시험시에 실차의 충돌사고 때와 같이 승객안전공간(4)으로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이 실시간으로 밀려서 들어오는 상황을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 안전에 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승객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속장치(에어백, 시트벨트 등)를 개발할 때에 성능향상을 이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APPARATUS FOR INDUCTION DEFORMATION OF PASSENGER SAFETY ZONE AT TESTING CRASH SIMULATION}
본 발명은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속장치(에어백, 시트벨트 등)의 성능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이다.
차량의 안전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으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차량 충돌시험이다.
이와 같은 충돌시험은 차량의 충돌시에 차체의 변형과 그에 따라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 그리고 에어백의 전개상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것이다.
실제 차량이 주행 중에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차량 내부의 실내인테리어 부품들은 승객안전공간으로 밀려서 들어오게 되고, 이와 같이 승객안전공간으로 밀려서 들어온 실내인테리어의 부품들에 의해 승객의 부상이 가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승객안전공간은 전방의 엔진룸 공간 및 후방의 트렁크룸 공간을 제외하고, 실제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는 실내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통상적인 충돌시험은 영구변형이 없도록 보강된 충돌시험용 차체에 인체 모형에 해당하는 더미(dummy)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충돌시험용 차체를 대차 또는 충돌부재 또는 충돌벽(barrier)에 충돌시켜서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의 모의 충돌시험장비(sled)는 차량 내부의 실내인테리어 부품들이 모두 고정된 상태(정적인 상태)로 되어 있어서,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으로 실내인테리어 부품들이 실시간으로 밀려서 들어오는 상황을 구현할 수가 없는 바, 이로 인해 충돌시험을 통해 확보한 승객 안전에 대한 데이터가 실체 차량의 충돌사고 때와 차이가 많이 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충돌시험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가 실차의 충돌사고 때와 차이가 많이 나게 되면, 승객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속장치(에어백, 시트벨트 등)의 개발에 있어 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럴 경우 실차에서의 승객은 큰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56577호
본 발명은,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으로 실내인테리어에 해당하는 부품이 실시간으로 밀려서 들어오는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로서, 충돌시험을 통해 확보한 승객 안전에 대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승객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속장치(에어백, 시트벨트 등)를 개발함에 있어 성능향상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는, 충돌시험시 사용되는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작동시 고압의 작동공압을 발생하는 공압발생기; 상기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으로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부재; 및 상기 피스톤부재와 결합되면서 충돌시험용 차체에 구비된 실내인테리어 부품과 결합되고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으로 피스톤부재와 함께 이동할 때에 충돌시험용 차체에 구비된 승객안전공간으로 실내인테리어 부품이 돌출되도록 실내인테리어 부품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작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고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을 피스톤부재로 전달하며 피스톤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부재에는 다수개의 벤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작동속도는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의 압력크기 및 벤트홀의 총단면적 크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압발생기는 전류 인가시 작동해서 공압을 발생하는 에어백 인플레이터로서 에어백 인플레이터는 교체 가능한 구조로 충돌시험용 차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고 작동블록과 연결되어서 작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모션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블록과 이격된 위치에서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된 스톱퍼블록; 및 상기 작동블록과 스톱퍼블록을 연결하는 충격감쇠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톱퍼블록은 리니어모션가이드내에서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후 특정된 위치에서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감쇠기구는 작동블록과 스톱퍼블록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댐퍼; 및 상기 댐퍼마다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블록은 피스톤부재와 결합되고 리니어모션가이드와 연결되어서 리니어모션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연결되고 실내인테리어 부품과 결합된 제2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제1블록에 대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제2블록과 결합된 실내인테리어 부품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는, 충돌시험용 차체를 이용한 충돌시험시에 실차의 충돌사고 때와 같이 승객안전공간으로 실내인테리어 부품이 실시간으로 밀려서 들어오는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승객 안전에 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차의 충돌사고 때와 같이 승객안전공간으로 밀려서 들어온 실내인테리어 부품에 의해 승객의 부상이 가중되는 상황을 고려해서 승객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속장치(에어백, 시트벨트 등)를 개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구속장치의 성능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승용 차량에서 충격흡수공간과 승객안전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가 구비된 충돌시험용 차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가 결합된 부위의 측면도,
도 4는 도 3과 관련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승용 차량을 참고로 살펴보면 전방에 위치한 엔진룸 공간(1)과 후방에 위치한 트렁크룸 공간(2)은 충돌 및 추돌사고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공간(3)으로 분류되고, 실제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는 실내공간은 승객안전공간(4)으로 분류된다.
실제 차량이 주행 중에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차량 내부의 실내인테리어 부품들은 승객안전공간(4)으로 밀려서 들어오게 되고, 이와 같이 승객안전공간(4)으로 밀려서 들어온 실내인테리어의 부품들에 의해 승객의 부상이 가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장치는, 실차와 같이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4)으로 실내인테리어에 해당하는 부품이 실시간으로 밀려서 들어오는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승객 안전에 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시험시 사용되는 충돌시험용 차체(1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작동시 고압의 작동공압을 발생하는 공압발생기(100), 상기 공압발생기(100)에서 발생된 공압으로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부재(200), 및 상기 피스톤부재(200)와 결합되면서 충돌시험용 차체(10)에 구비된 실내인테리어 부품(20)과 결합되고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으로 피스톤부재(200)와 함께 이동할 때에 충돌시험용 차체(10)에 구비된 승객안전공간(4)으로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이 돌출되도록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작동블록(300)을 포함한다.
충돌시험용 차체(10)는 영구변형이 없도록 보강된 스틸재질의 차체이고,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은 일실시예로 카울크로스멤버가 될 수 있다.
도 5에서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을 기준으로 우측의 공간이 승객이 탑승하는 실내공간 즉 충돌시험에서 더미가 안착되는 승객안전공간(4)이 된다.
공압발생기(100)는 일예로 전류 인가시 작동해서 공압(또는 고압의 가스)을 발생하는 에어백 인플레이터이며, 에어백 인플레이터는 교체 가능한 구조로 충돌시험용 차체(2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충돌시험용 차체(10)에 고정되고 공압발생기(100)에서 발생된 공압을 피스톤부재(200)로 전달하며 피스톤부재(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실린더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실린더부재(400)의 내부 일측에 공압발생기(100)가 위치하고, 실린더부재(400)의 내부 타측에 피스톤부재(200)가 위치하며, 따라서 공압발생기(100)가 작동해서 고압의 공압이 발생하면, 발생된 공압은 실린더부재(400)를 통해 피스톤부재(200)로 전달되고, 피스톤부재(200)는 공압을 전달받아서 실린더부재(400)를 따라 직선 이동한다.
실린더부재(400)에서 피스톤부재(200)가 위치하는 타측부에 다수개의 벤트홀(410)이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부재(200)의 작동속도는 공압발생기(100)에서 발생된 공압의 압력크기 및 벤트홀(410)의 총단면적 크기(개수, 직경크기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시험용 차체(10)에 고정되고 작동블록(300)과 연결되어서 작동블록(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모션가이드(500, Linear-Motion Guide)를 더 포함한다.
리니어모션가이드(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상하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작동블록(300)은 2개의 리니어모션가이드(500)사이에 위치해서 상하측이 모두 리니어모션가이드(500)에 안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작동블록(300)은 피스톤부재(200)와 결합되고 리니어모션가이드(500)와 연결되어서 리니어모션가이드(5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블록(310), 및 상기 제1블록(310)과 연결되고 실내인테리어 부품(20)과 결합된 제2블록(320)을 포함한다.
제1블록(310)과 제2블록(320)은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이며, 이에 따라 제2블록(320)은 제1블록(310)에 대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제2블록(320)과 결합된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2블록(320)의 전후방향 회전을 통해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의 전후방향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충돌사고시 승객안전공간(4)으로 밀려서 들어오는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의 이동거리, 충격시점, 충격력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블록(300)과 이격된 위치에서 충돌시험용 차체(10)에 고정되게 결합된 스톱퍼블록(600), 및 상기 작동블록(300)과 스톱퍼블록(600)을 연결하는 충격감쇠기구(700)를 더 포함한다.
스톱퍼블록(600)은 2개의 리니어모션가이드(500)사이에 위치하고, 리니어모션가이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위치이동 후에는 특정된 위치에서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의 결합에 의해 충돌시험용 차체(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충격감쇠기구(700)는 작동블록(300)과 스톱퍼블록(600)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댐퍼(710), 및 상기 댐퍼(710)마다 결합된 스프링(720)을 포함한다.
댐퍼(710)는 공압댐퍼 또는 유압댐퍼가 될 수 있고, 스프링(720)은 압축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충돌시험용 차체(10)에서 승객안전공간(4)에 인체 모형인 더미를 안착시킨 후, 충돌시험용 차체(10)를 일정 속도로 이동시켜 대차 또는 충돌부재 또는 충돌벽(barrier)에 충돌시켜서 충돌에 대한 여러 가지 상황의 데이터를 확보한다.
충돌시험용 차체(10)가 대차 또는 충돌부재 또는 충돌벽에 충돌하는 상황에서 에어백 인플레이터로 구성된 공압발생기(100)로 전류를 인가시켜서 공압발생기(100)를 작동시킨다.
공압발생기(100)의 작동으로 고압의 공압이 발생하면, 피스톤부재(200)는 실린더부재(400)를 따라 이동하고, 피스톤부재(200)와 연결된 작동블록(300)은 리니어모션가이드(50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작동블록(300)의 이동에 의해 작동블록(300)과 연결된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은 충돌시험용 차체(10)의 승객안전공간(4)으로 돌출되게 이동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충돌시험용 차체(10)를 이용한 충돌시험시에 실차의 충돌사고 때와 같이 승객안전공간(4)으로 실내인테리어 부품(20)이 실시간으로 밀려서 들어오는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승객 안전에 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차의 충돌사고 때와 같이 승객안전공간(4)으로 밀려서 들어온 실내인테리어 부품(20)에 의해 승객의 부상이 가중되는 상황을 고려해서 승객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속장치(에어백, 시트벨트 등)를 개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구속장치의 성능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엔진룸 공간 2 - 트렁크룸 공간
3 - 충격흡수공간 4 - 승객안전공간
10 - 충돌시험용 차체 20 - 실내인테리어 부품
100 - 공압발생기 200 - 피스톤부재
300 - 작동블록 310 - 제1블록
320 - 제2블록 400 - 실린더부재
410 - 벤트홀 500 - 리니어모션가이드
600 - 스톱퍼블록 700 - 충격감쇠기구

Claims (9)

  1. 충돌시험시 사용되는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작동시 고압의 작동공압을 발생하는 공압발생기;
    상기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으로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부재; 및
    상기 피스톤부재와 결합되면서 충돌시험용 차체에 구비된 실내인테리어 부품과 결합되고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으로 피스톤부재와 함께 이동할 때에 충돌시험용 차체에 구비된 승객안전공간으로 실내인테리어 부품이 돌출되도록 실내인테리어 부품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작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고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을 피스톤부재로 전달하며 피스톤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에는 다수개의 벤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작동속도는 공압발생기에서 발생된 공압의 압력크기 및 벤트홀의 총단면적 크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압발생기는 전류 인가시 작동해서 공압을 발생하는 에어백 인플레이터로서 에어백 인플레이터는 교체 가능한 구조로 충돌시험용 차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고 작동블록과 연결되어서 작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모션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록과 이격된 위치에서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된 스톱퍼블록; 및
    상기 작동블록과 스톱퍼블록을 연결하는 충격감쇠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블록은 리니어모션가이드내에서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후 특정된 위치에서 충돌시험용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쇠기구는 작동블록과 스톱퍼블록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댐퍼; 및
    상기 댐퍼마다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록은 피스톤부재와 결합되고 리니어모션가이드와 연결되어서 리니어모션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연결되고 실내인테리어 부품과 결합된 제2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제1블록에 대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제2블록과 결합된 실내인테리어 부품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KR1020210008004A 2021-01-20 2021-01-20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KR20220105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04A KR20220105385A (ko) 2021-01-20 2021-01-20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04A KR20220105385A (ko) 2021-01-20 2021-01-20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85A true KR20220105385A (ko) 2022-07-27

Family

ID=8270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004A KR20220105385A (ko) 2021-01-20 2021-01-20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53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577A (ko)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차량의 충돌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577A (ko)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차량의 충돌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887B1 (ko) 활강기 시험 장치
US6644723B2 (en) Vehicle occupant side crash protection system
US7543475B2 (en) Device for simulating a side collision of a motor vehicle
US6256601B1 (en) Rollover test sled
KR102651824B1 (ko) 루프 에어백 장치
US6283508B1 (en) Dynamic knee protection device
US6142564A (en) Rearward moving seat with breakaway latch
KR20220105385A (ko) 충돌시험시 승객안전공간 변형 유도장치
CN110087955B (zh) 用于乘用车前部区域的保险杠组件
KR20200091753A (ko) 자동차용 시트의 충격 방어 장치
KR100794012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20220114752A (ko) 충돌시험장치
KR20220114192A (ko) 충돌시험장치
Wesely et al. Potential of a time-triggered crash system of a steering column on driver injuries
Elmarakbi et al. Crashworthiness improvement of vehicle-to-rigid fixed barrier in full frontal impact using novel vehicle's front-end structures
CN221883057U (zh) 加速台车侧面碰撞装置
CN106828220A (zh) 车辆座椅及车辆
Claeson et al. The door mounted inflatable curtain
KR101921302B1 (ko) 기계적인 트리거 기능을 이용한 응답성능 개선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Mahmood et al. Characterization of frontal crash pulses
KR20200127874A (ko) 셀 구조의 자동차 후드 및 자동차용 패널
JP2006015855A (ja) 乗員保護装置
KR200291128Y1 (ko) 유압식 안전 범퍼
KR20220026391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장치
KR19990059396A (ko) 복동식 슬레드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