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194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194A
KR20220105194A KR1020210006772A KR20210006772A KR20220105194A KR 20220105194 A KR20220105194 A KR 20220105194A KR 1020210006772 A KR1020210006772 A KR 1020210006772A KR 20210006772 A KR20210006772 A KR 20210006772A KR 20220105194 A KR20220105194 A KR 20220105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fr
disposed
sub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명
김상호
백수민
이지원
하주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194A/ko
Priority to US17/499,150 priority patent/US20220229297A1/en
Priority to CN202210015053.5A priority patent/CN114815242A/zh
Publication of KR2022010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H01L27/3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표시 장치는 광을 출광하는 일면,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 및 상기 일면으로 입사하는 적외선을 투과하는 복수의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출광되는 상기 광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적외선을 출광하는 복수의 적외선 광원; 및 상기 표시부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들 중에는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전자 장치들이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라고 칭해진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신체에 직접 착용되어, 이동성(portab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 례로서, 착용자의 두부 또는 머리에 장착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헤드 마운트 전자 장치)가 있다. HMD는 증강 현실(argu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씨-스루(see-through) 형태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제공하는 씨-클로즈드(see-closed) 형태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정확하게 산출하고, 착용 시 사용자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출광하는 일면,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 및 상기 일면으로 입사하는 광을 투과하는 제1 투과 영역, 상기 일면으로 입사하는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1 투과 영역과 이격된 제2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1 투과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렌즈;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면 상에 상기 제1 렌즈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투과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렌즈;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에 배치되고, 광을 출광하는 복수의 광원; 상기 표시부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제1 투과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카메라 센서; 및 상기 표시부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제2 투과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투과 영역,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1 카메라 센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렌즈의 중심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투과 영역,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2 카메라 센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렌즈의 중심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1 투과 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센서 렌즈 및 상기 제2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2 투과 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센서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에 배치되는 제1 센터 렌즈 및 상기 제2 홀에 배치되는 제2 센터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채널을 각각 제공하는 제1 서브 렌즈, 제2 서브 렌즈, 제3 서브 렌즈 및 제4 서브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서브 렌즈, 상기 제2 서브 렌즈, 상기 제3 서브 렌즈 및 상기 제4 서브 렌즈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제1 서브 렌즈에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제2 서브 렌즈에 배치되는 제2 광원, 상기 제3 서브 렌즈에 배치되는 제3 광원 및 상기 제4 서브 렌즈에 배치되는 제4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렌즈, 상기 제2 서브 렌즈, 상기 제3 서브 렌즈 및 상기 제4 서브 렌즈는 각각 표시부로부터 사용자의 안구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상기 제3 광원 및 상기 제4 광원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렌즈의 상기 경사면, 상기 제2 서브 렌즈의 상기 경사면, 상기 제3 서브 렌즈의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제4 서브 렌즈의 상기 경사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각각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제2 투과 영역 내에 배치되는 화소들의 단위 면적당 개수는 상기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영역 중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각각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광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층 및 상기 복수의 도전층을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투과 홀은 상기 복수의 도전층 및 상기 복수의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광된 광은 사용자의 동공에서 반사되고 상기 투과 영역을 투과하여 상기 제1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제2 카메라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제2 카메라 센서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동공 위치에 상응하는 출력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은 다채널 렌즈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동공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공에서 반사되어 상기 다채널 렌즈의 중심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고 표시부에 형성된 투광 영역을 투과한 상기 광을 카메라 센서로 수광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센서에 수광된 상기 광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채널 렌즈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동공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단계 전,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하는 단계 후, 상기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동공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다채널 렌즈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센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다채널 렌즈의 중심과 중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정확하게 산출하고, 착용 시 사용자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 및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P1'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P1'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P2'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표시 장치(1)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화상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제 외부의 사물들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씨-스루(see-through) 타입 및 외부의 사물과는 독립된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씨-클로즈드(see-closed)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씨-클로즈드 타입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메인 프레임(MF), 표시부(DP), 다채널 렌즈(LS) 및 커버 프레임(CF)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MF)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MF)은 사용자의 머리(얼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MF)에는 제1 렌즈(LS1), 제2 렌즈(LS2), 표시부(DP) 및 커버 프레임(CF)을 실장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MF)은 표시부(DP), 제1 렌즈(LS1), 제2 렌즈(LS2)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 프레임(MF)은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스트랩 또는 띠와 같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레임(MF)에는 제어부, 영상 처리부 및 렌즈 수납부 등이 더 실장될 수 있다.
표시부(DP)는 화상 및/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DP)는 화상 및/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DP_FS) 및 상기 전면(DP_FS)의 반대인 배면(DP_R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P)의 전면(DP_FS)으로부터 화상 및/또는 영상의 제공을 위한 광이 출광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DP)의 전면(DP_FS) 상에는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가 배치될 수 있고, 표시부(DP)의 배면(DP_RS) 상에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DP)는 메인 프레임(MF)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표시부(DP)는 표시 장치(1)의 설계, 예를 들면, 표시 장치(1)의 타입에 따라 불투명,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DP)는 후술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과 같은 전자 부품 또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식 단말기와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부(DP)는 화상 또는 영상의 표시를 위한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 패널(300)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채널 렌즈(LS)는 표시부(DP)에서 출사된 광을 통과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채널 렌즈(LS)는 표시부(DP)에서 출사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채널은 표시부(DP)로부터 출사된 광을 서로 다른 경로로 통과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DP)로부터 출사된 광은 각각의 채널에 입사되어 확대된 상이 사용자의 눈에 포커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안구와 표시부의 전면 사이에 개재되는 초점 광학계로 다채널 렌즈(LS)가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초점 광학계는, 예를 들면, 볼록 렌즈, 오목 렌즈, 구면 렌즈, 비구면 렌즈, 단일 렌즈, 복합 렌즈, 표준 렌즈, 협각 렌즈, 광각 렌즈, 고정 초점 렌즈, 가변 초점 렌즈 등 다양한 종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채널 렌즈(LS)는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는 표시부(DP)의 전면(DP_F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상응하여 표시부(DP)의 전면(DP_FS)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는 메인 프레임(MF)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는 표시부(DP)에 표시된 화상 및/또는 영상의 제공을 위한 광을 반사 및/또는 굴절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F)(사용자의 안구)에 대향하는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의 각 일측에는 복수의 광원(도 2의 '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CF)은 표시부(DP)의 배면(DP_RS) 상에 배치되어 표시부(DP)를 보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복수의 적외선 카메라(도 4 및 도 5의 'IFR_C1, IFR_C2' 참조)는 커버 프레임(CF)과 표시부(DP)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1)는 표시 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표시부(DP), 복수의 적외선 광원(도 2의 '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 참조) 및 복수의 적외선 카메라(도 4 및 도 5의 'IFR_C1, IFR_C2' 참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외선 카메라(도 4 및 도 5의 'IFR_C1, IFR_C2' 참조)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의 분석, 사용자의 동공(PP) 위치의 산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의 산출, 산출된 사용자의 동공(PP) 위치(시선 방향)에 기초한 이미지 프로세싱(이미지 매핑) 및 표시부(DP)에 처리된 이미지의 표시 등을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전용 프로세서 및/또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범용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 및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P1'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는 표시부(DP)의 전면(DP_FS) 상에 배치되되, 각각 사용자의 양 안에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DP)는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도 2의 수평 방향)으로 긴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제1 렌즈(LS1)는 표시부(DP)의 전면(DP_FS) 상의 일측(도 2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2 렌즈(LS2)는 표시부(DP)의 타측(도 2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는 표시부(DP)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는 각각 복수의 서브 렌즈(L11, L12, L13, L14, L21, L22, L23, L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렌즈는 각각 제1 렌즈 또는 제2 렌즈의 일부를 구성하는 렌즈렛(lensle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LS1)는 제1 서브 렌즈(L11), 제2 서브 렌즈(L12), 제3 서브 렌즈(L13) 및 제4 서브 렌즈(L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LS2)는 제5 서브 렌즈(L21), 제6 서브 렌즈(L22), 제7 서브 렌즈(L23) 및 제8 서브 렌즈(L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서브 렌즈(L11, L12, L13, L14, L21, L22, L23, L24)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렌즈(LS2)는 제1 렌즈(LS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제1 렌즈(LS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렌즈(LS1)는 평면상에서 대략적인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 렌즈(L11), 제2 서브 렌즈(L12), 제3 서브 렌즈(L13) 및 제4 서브 렌즈(L14)는 평면상에서 상기 원형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예를 들면, 클로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렌즈(L11), 제2 서브 렌즈(L12), 제3 서브 렌즈(L13) 및 제4 서브 렌즈(L14)는 각각 제1 렌즈(LS1)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상단, 좌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렌즈(L11), 제2 서브 렌즈(L12), 제3 서브 렌즈(L13) 및 제4 서브 렌즈(L14)는 상호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호 분리될 수도 있다.
도 3(a)는 사용자의 눈에 대향하는 제1 렌즈(LS1)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표시부(DP)에 대향하는 제1 렌즈(LS1)의 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더 참조하면, 제1 렌즈(LS1)는 대략적인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MF)(또는 사용자의 눈)에 대향하는 제1 렌즈(LS1)의 일측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표시부(DP)에 대향하는 제1 렌즈(LS1)의 타측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렌즈(LS1)의 중심에는 제1 렌즈(LS1)를 관통하는 제1 홀(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H1)은 제1 렌즈(LS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은 표시부(DP)의 두께 방향, 사용자가 표시부(DP)를 응시하는 방향 및/또는 표시부(DP)의 전면(표시부(DP)의 배면)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평면상에서, 제1 홀(H1)은 제1 렌즈(LS1)의 중심에 위치하고, 제1 서브 렌즈(LS11), 제2 서브 렌즈(LS12), 제3 서브 렌즈(LS13) 및 제4 서브 렌즈(LS1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홀(H1)을 통해 사용자의 동공(도 5의 'PP' 참조)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홀(H1)은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제1 홀(H1)의 직경은 약 0.5mm일 수 있으나, 제1 홀(H1)의 형상 및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홀(H1)의 내부에는 제1 센터 렌즈(CLS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터 렌즈(CLS1)는 제1 홀(H1)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센터 렌즈(CLS1)는, 예를 들면, 볼록 렌즈 및 오목 렌즈 등 다양한 종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터 렌즈(CLS1)는 사용자의 동공으로부터 반사되는 광(IFR)을 적절히 굴절 및/또는 반사하여 제1 카메라 센서(IFR_C1)에 포커싱되도록 함으로써, 표시 장치(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홀(H1)은 비어있는 상태(예를 들면, 공기에 의해 채워진 상태)로 남아있을 수도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LS1)와 마찬가지로, 제2 렌즈(LS2)는 대략적인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렌즈(LS2)의 제5 서브 렌즈(LS21), 제6 서브 렌즈(LS22), 제7 서브 렌즈(LS23) 및 제8 서브 렌즈(LS24)는 평면상에서 제2 렌즈(LS2)의 중심을 둘러싸는, 예를 들면, 클로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LS2)의 중심에는, 제1 렌즈(LS1)의 제1 홀(H1)과 유사하게, 제2 렌즈(LS2)를 관통하고, 제5 서브 렌즈(LS21), 제6 서브 렌즈(LS22), 제7 서브 렌즈(LS23) 및 제8 서브 렌즈(LS24)에 의해 둘러싸인 제2 홀(H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H2) 내에는 제1 센터 렌즈(CLS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2 센터 렌즈(CLS2)가 배치되거나, 제2 홀(H2)은 비어있는 상태(예를 들면, 공기가 채워진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 렌즈(LS11, LS12, LS13, LS14, LS21, LS22, LS23, LS24)는 각각 표시부(DP)의 전면(DP_FS)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지나가는 복수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DP)의 전면(DP_FS)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각각의 채널을 서로 다른 경로로 통과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렌즈들(LS11, LS12, LS13, LS14, LS21, LS22, LS23, LS24)은 표시부(DP)의 전면(DP_FS)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들을 각각 동일한 확대율을 가지도록 확대하거나, 서로 다른 확대율을 가지도록 확대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렌즈(LS11, LS12, LS13, LS14, LS21, LS22, LS23, LS24)를 통과한 광들은 각각 하나의 완전한 VR 영상의 구성을 위한 부분 영상 및/또는 부분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광들은 사용자의 동공에 포커싱되어 사용자에게 하나의 완전한 VR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렌즈(LS11)는 표시부(DP)의 일 영역(예를 들면, 도 5의 표시부(DP)의 상단)에서 출사되는 광(IMG1)이 지나가는 채널을 제공하고, 제4 서브 렌즈(LS14)는 표시부(DP)의 다른 영역(예를 들면, 도 5의 표시부(DP)의 하단)에서 출사되는 광(IMG2)이 지나가는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의 일 영역 및 타 영역은 각각 제1 서브 렌즈(LS11)와 중첩되는 영역 및 제4 서브 렌즈(LS14)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서브 렌즈(LS12) 및 제3 서브 렌즈(LS13)는, 제1 서브 렌즈(LS11) 및 제4 서브 렌즈(LS14)와 유사하게, 각각 표시부(DP)의 서로 다른 영역들에서 출사되는 광이 지나가는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서브 렌즈(LS11, LS12, LS13, LS14, LS21, LS22, LS23, LS24)를 통과하는 광은 2회의 굴절 및 2회의 반사를 거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은 제1 렌즈(LS1) 및 제2 렌즈(LS2)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은 메인 프레임(MF)(또는 사용자의 눈)에 대향하는 제1 렌즈(LS1)의 볼록한 일측 및 제2 렌즈(LS2)의 볼록한 일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은 사용자의 동공(도 5의 'PP' 참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IFR)을 발광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은,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출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은 제1 광원(IFR_L1), 제2 광원(IFR_L2), 제3 광원(IFR_L3), 제4 광원(IFR_L4), 제5 광원(IFR_L5), 제6 광원(IFR_L6), 제7 광원(IFR_L7) 및 제8 광원(IFR_L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IFR_L1), 제2 광원(IFR_L2), 제3 광원(IFR_L3), 제4 광원(IFR_L4), 제5 광원(IFR_L5), 제6 광원(IFR_L6), 제7 광원(IFR_L7) 및 제8 광원(IFR_L8)은 각각 제1 서브 렌즈(LS11), 제2 서브 렌즈(LS12), 제3 서브 렌즈(LS13), 제4 서브 렌즈(LS14), 제5 서브 렌즈(LS21), 제6 서브 렌즈(LS22), 제7 서브 렌즈(LS23) 및 제8 서브 렌즈(LS24)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8개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이 복수의 서브 렌즈(LS11, LS12, LS13, LS14, LS21, LS22, LS23, LS24) 마다 배치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의 개수는 8개 이하일 수 있고, 복수의 서브 렌즈(LS11, LS12, LS13, LS14, LS21, LS22, LS23, LS24)의 일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제1 광원(IFR_L1), 제2 광원(IFR_L2), 제3 광원(IFR_L3) 및 제4 광원(IFR_L4)은 제1 렌즈(LS1)의 경계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렌즈(LS1)의 중심 및/또는 제1 홀(H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5 광원(IFR_L5), 제6 광원(IFR_L6), 제7 광원(IFR_L7) 및 제8 광원(IFR_L8) 역시 제2 렌즈(LS2)의 경계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고, 제2 렌즈(LS2)의 중심 및/또는 제2 홀(H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에서, 제1 광원(IFR_L1) 및 제4 광원(IFR_L4)은 각각 제1 서브 렌즈(L11)의 경사면 및 제4 서브 렌즈(LS14)의 경사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렌즈(L11)의 경사면 및 제4 서브 렌즈(LS14)의 경사면은 표시부(DP)로부터 사용자의 안구(EB)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1 렌즈(LS1)의 폭이 좁아지도록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LS1)의 폭은 두께 방향 및/또는 사용자의 응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면, 도 5의 상하 방향으로 측정된 폭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광원(IFR_L2) 및 제3 광원(IFR_L3)은 각각 제2 서브 렌즈(LS12) 및 제3 서브 렌즈(LS13)에 제1 광원(IFR_L1) 및 제4 광원(IFR_L4)과 동일사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5 광원(IFR_L5), 제6 광원(IFR_L6), 제7 광원(IFR_L7) 및 제8 광원(IFR_L8)도 각각 제5 서브 렌즈(LS21), 제6 서브 렌즈(LS22), 제7 서브 렌즈(LS23) 및 제8 서브 렌즈(LS24)에 제1 광원(IFR_L1), 제2 광원(IFR_L2), 제3 광원(IFR_L3) 및 제4 광원(IFR_L4)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로 2개의 카메라 센서가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는 표시부(DP)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는 사용자의 동공(PP)으로부터 반사되는 광(IFR)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는 전방의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캡쳐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공(PP)의 위치 및 사용자의 응시 방향이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는 각각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는 제1 렌즈(LS1)와 중첩되는 제1 카메라 센서(IFR_C1) 및 제2 렌즈(LS2)와 중첩되는 제2 카메라 센서(IFR_C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 센서(IFR_C1) 및 제2 카메라 센서(IFR_C2)는 각각 평면상에서 제1 렌즈(LS1)의 중심 및 제2 렌즈(LS2)의 중심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센서(IFR_C1) 및 제2 카메라 센서(IFR_C2)는 표시부(DP)의 배면상에 각각 후술하는 제1 투과 영역(TR1) 및 제2 투과 영역(TR2)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 센서(IFR_C1)는 단면상에서 제1 홀(H1)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센서(IFR_C1)는 제1 센터 렌즈(CLS1), 제1 홀(H1) 및 사용자의 안구(EB)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RL)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카메라 센서(IFR_C2)는 단면상에서 제2 홀(H2)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카메라 센서와 표시부(DP)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센서 렌즈(S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 렌즈(SL)는 단면상에서 제1 카메라 센서(IFR_C1)와 후술하는 제1 투과 영역(TR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센서 렌즈(SL)는 제1 투과 영역(TR1)을 투과하여 제1 카메라 센서(IFR_C1)에 입사되는 광(IFR)을 굴절 및/또는 반사할 수 있다. 제1 센서 렌즈(SL)는 볼록 렌즈 및 오목 렌즈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렌즈(SL)는 사용자의 동공(PP)에서 반사된 적외선이 제1 카메라 센서(IFR_C1)로 포커싱되도록 최적화된 초점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렌즈(SL)는 제1 센터 렌즈(CLS1)와 함께 상기와 같은 초점 광학계를 이룰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1)는 제2 카메라 센서(IFR_C2)와 제1 투과 영역(TR1) 사이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2 투과 영역(TR2)을 투과한 광(IFR)을 제2 카메라 센서(IFR_C2)로 포커싱하는 제2 센서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복수의 투과 영역(TR1, TR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투과 영역(TR1, TR2)으로 2개의 투과 영역(TR1, TR2)이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투과 영역(TR1, TR2)은 표시부(DP)의 전면으로 입사하는 광의 대부분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복수의 투과 영역(TR1, TR2)은 특정 파장 영역대의 광, 예를 들면,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투과 영역(TR1, TR2)을 투과한 광(IFR)은 표시부(DP)의 배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투과 영역(TR1, TR2)은 제1 렌즈(LS1)와 중첩되는 제1 투과 영역(TR1) 및 제2 렌즈(LS2)와 중첩되는 제2 투과 영역(TR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과 영역(TR1) 및 제2 투과 영역(TR2)은 평면상에서 각각 제1 렌즈(LS1)의 중심 및 제2 렌즈(LS2)의 중심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과 영역(TR1)은 단면상에서 제1 카메라 센서(IFR_C1) 및 제1 홀(H1)(제1 센터 렌즈(CLS1))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과 영역(TR1)은 제1 홀(H1)(제1 센터 렌즈(CLS1))와 제1 카메라 센서(IFR_C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투과 영역(TR1)은 제1 카메라 센서(IFR_C1), 제1 홀(H1)(제1 센터 렌즈(CLS1)) 및 사용자의 안구(EB)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RL)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투과 영역(TR2)은 단면상에서 제2 카메라 센서(IFR_C2) 및 제2 홀(H2)(제2 센터 렌즈(CLS2))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투과 영역(TR1, TR2)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제1 투과 영역(TR1)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표시부(DP)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하되, 제1 투과 영역(TR1)에는 상기 복수의 화소(PX)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투과 영역(TR1) 내에는 복수의 화소(PX)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투과 영역(TR1) 내에는 화소(PX)가 배치되지 않으며, 표시부(DP)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 중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투과 홀(T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 홀(TH)은 특정 파장 영역대의 광, 예를 들면,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창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6에서 투과 홀(TH)은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DP)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기판, 기판(SUB)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층(120, 130, 140, 150) 및 이를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층(111, 112, 113, VIA1, VIA2) 및 발광층(E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은 연성 유리, 폴리이미드 등의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SUB)일 수도 있다. 도 7에서, 기판은 단일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판은 복수의 층, 예를 들면, 복수의 폴리이미드 기판층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버퍼층(BFF)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F)은 기판(SUB)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BFF)은 질화 규소(SiNx)막, 산화 규소(SiO2)막 및 산질화규소(SiOxNy)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05)은 버퍼층(BFF)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10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이룬다. 반도체층(105)은 표시 영역(DA)의 각 화소(PX)에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105)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은 반도체층(10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은 기판(SUB)의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은 게이트 절연 기능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11)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절연층(111)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도전층(120)은 제1 절연층(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층(12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GE), 유지 커패시터의 제1 전극(CE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도전층(12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120)은 상기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제2 절연층(112a)은 제1 도전층(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12a)은 제1 도전층(120)과 제2 도전층(130)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2 절연층(112a)은 제1 절연층(111)의 예시된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도전층(130)은 제2 절연층(112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전층(130)은 유지 커패시터의 제2 전극(C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층(130)의 물질은 상술한 제1 도전층(120)의 예시된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지 커패시터의 제1 전극(CE1)과 유지 커패시터의 제2 전극(CE2)은 제2 절연층(112a)을 통해 커페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13)은 제2 도전층(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113)은 상술한 제1 절연층(111)의 예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절연층(113)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후술할 제1 비아층(VIA1)의 예시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3 도전층(140)은 제3 절연층(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전층(140)은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고전위 전압 전극(ELVDDE) 및 신호 배선(PA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층(14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층(140)은 상기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3 도전층(140)은 적층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도전층(140)은 Ti/Al/Ti, Mo/Al/Mo, Mo/AlGe/Mo, Ti/Cu 등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도전층(140)은 Ti/Al/Ti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비아층(VIA1)은 제3 도전층(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아층(VIA1)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C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도전층(150)은 제1 비아층(VI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도전층(150)은 데이터 라인(DL), 연결 전극(CNE), 및 고전위 전압 배선(ELVDDL)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제1 비아층(VIA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S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제1 비아층(VIA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전위 전압 배선(ELVDDL)은 제1 비아층(VIA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고전위 전압 전극(ELVD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도전층(150)은 제3 도전층(140)의 예시 물질 중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아층(VIA2)은 제4 도전층(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비아층(VIA2)은 상술한 제1 비아층(VIA1)의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ANO)은 제2 비아층(VI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ANO)은 제2 비아층(VIA2)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연결 전극(CN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뱅크층(BANK)은 애노드 전극(ANO)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뱅크층(BANK)은 애노드 전극(ANO)을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층(BANK)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층(BANK)은 포토 레지스트,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화합물, 폴리아크릴계 수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PX)는 발광층을 노출하는 뱅크층의 개구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발광층(EL)은 애노드 전극(ANO) 상면 및 뱅크층(BANK)의 개구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L)과 뱅크층(BANK) 상에는 캐소드 전극(CAT)이 배치된다. 캐소드 전극(CAT)은 복수의 화소(PX)에 걸쳐 배치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박막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AT)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70)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덮을 수 있다. 박막 봉지층(170)은 무기막과 유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막일 수 있다. 예컨대, 박막 봉지층(170)은 순차 적층된 제1 봉지 무기막(171), 봉지 유기막(172), 및 제2 봉지 무기막(1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은 기판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는, 예를 들면, 디지타이저, 방열 부재, 차폐 부재 및 완충 부재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투과 영역(TR1)은 투과 홀(TH)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홀(TH)은 표시부(DP)(표시 패널)을 이루는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과 홀(TH)은 제1 비아층(VIA1), 제2 비아층(VIA1), 뱅크층(BNK)을 관통하고, 투과 홀(TH)을 통해 제3 절연층(113)이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봉지 무기막(171)과 제3 절연층(113)이 직접 접촉하고, 투과 홀(TH)의 내부는 봉지 유기막(172)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과 홀(TH)은 제1 비아층(VIA1)의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 예를 들면, 제3 절연층(113) 등을 더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뱅크층(BNK) 및/또는 제1 비아층(VIA1)까지만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투과 홀(TH)은 표시 패널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투과 영역(TR2)은 제1 투과 영역(TR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이 사용자의 안구(EB)에 인접한 제1 렌즈(LS1)의 일측 또는 제2 렌즈(LS2)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가 안구(EB)의 정면에 표시부(DP)의 복수의 투과 영역(TR1, TR2)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별도의 오차 보정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착용 시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과 사용자 간의 간섭 및/또는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와 사용자 간의 간섬을 방지하여 착용감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P1'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1 투과 영역(TR1) 내에 적어도 하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말로, 복수의 화소(PX)는 평면상에서, 예를 들면, 격자 형상 및/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되, 제1 투과 영역(TR1) 내에 위치하는 화소(PX)들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 투과 영역(TR1) 내에 배치되는 화소들(PX)의 단위 면적당 개수는 표시부(DP)의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된 영역, 예를 들면, 표시부(DP)(표시 패널)의 전면(DP_FS)의 적어도 일부 중 상기 제1 투과 영역(TR1) 외의 나머지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투과 영역(TR1) 내에 위치하는 화소(PX)들은 화소 그룹(PXG) 단위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화소 그룹(PXG)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 그룹(PXG)은 제1 광을 발광하는 하나의 픽셀, 제2 광을 발광하는 하나의 픽셀 및 제3 광을 발광하는 두 개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투과 홀(TH)은 제1 투과 영역(TR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투과 홀(TH) 사이에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투과 홀(TH)은 도 7의 투과 홀(TH)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투과 홀(TH)은 각각 평면상에서 대략적인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투과 홀(TH)은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투과 영역(TR2) 내에도 복수의 화소(PX)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투과 홀(TH)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제1 투과 영역(TR1) 내에 화소(PX)가 배치되는 점 외에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광원은 제1 렌즈(LS1)의 제1 홀(H1)에 배치되는 광원(IFR_L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광원(IFR_L1) 내지 제4 광원(IFR_L4)은 생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원(IFR_LC)은 단면상에서 제1 홀(H1)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광원(IFR_LC)은 단면상에서 제1 카메라 센서(IFR_C1), 제1 투과 영역(TR1), 제1 홀(H1) 및 사용자의 안구(EB)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RL)과 중첩될 수 있다.
광원(IFR_LC)은 제1 홀(H1)의 내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안구(EB)에 인접한 제1 렌즈(LS1)의 일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안구(EB)를 향해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IFR_LC)은 표시부(DP)에 대향하고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제1 렌즈(LS1)의 타측과 표시부(DP)의 전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원(IFR_LC)은 사용자의 안구(EB)를 향해 동공(PP)의 위치 검출을 위한 광, 예를 들면, 적외선 및/또는 자외선을 출광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렌즈(LS2)의 제2 홀(H2)에도 제1 홀(H1)에 배치되는 광원(IFR_L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광원(IFR_LC)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IFR_LC)이 제1 홀(H1)에 배치됨에 따라, 제1 홀(H1)의 크기 및 제1 센서 렌즈(SL)의 사이즈 등에 의해 제한되는 제1 카메라 센서(IFR_C1)의 화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보다 적은 개수의 광원(IFR_LC)이 요구되어 효율적인 광원(IFR_LC) 배치가 가능하다.
도 9의 실시예는 광원(IFR_LC)의 배치 외에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P2'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제1 투과 영역(TR1)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SL_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SL_M)는 제1 투과 영역(TR1)으로 입사하는 광(IFR)을 굴절 및/또는 반사하여 제1 카메라 센서(IFR_C1)로 포커싱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SL_M)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센서 렌즈(SL)가 생략되어 표시 장치(1)의 전체적인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SL_M)는, 예를 들면,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고점성 광반응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작은 물방울(droplet)을 제1 투과 영역(TR1) 내에 드랍 및 경화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SL_M)는 투과 홀(T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SL_M)만 도시되어 있으나, 투과 홀(TH) 내에는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SL_M)가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SL_M)는 표시 패널의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센서(IFR_C1)는 기판(SUB)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SL_M)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SL_M)의 곡률은 기판(SUB) 및 기판(SUB)과 마이크로 렌즈(SL_M) 사이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센서 렌즈(SL)가 생략되고, 제1 카메라 센서(IFR_C1)가 표시부(DP)(기판(SUB))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표시 장치(1)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1에서, 마이크로 렌즈(SL_M)는 제1 봉지 무기막(171) 상에 직접 배치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이크로 렌즈(SL_M)가 배치되는 층은 투과 홀(TH)이 관통하는 깊이 및/또는 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렌즈(SL_M)는 기판(SUB), 버퍼층(BFF), 제1 절연층(111), 제2 절연층(112a), 제3 절연층(113) 또는 제2 봉지 무기막(173) 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의 실시예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SL_M)의 배치 외에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의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은 다채널 렌즈(LS)에 배치된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으로부터 사용자의 동공(PP)을 향해 광(IFR)을 출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공(PP)에서 반사되어 상기 다채널 렌즈(LS)의 중심에 형성된 홀(H1, H2)을 통과하고 표시부(DP)에 형성된 투광 영역(TR1, TR2)을 투과한 상기 광(IFR)을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로 수광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센서(IFR_C1, IFR_C2)에 수광된 상기 광(IFR)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공(PP)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생략되거나, 본 명세서의 다른 기재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사용자의 양안에 상응하여 대칭인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사용자의 한쪽 눈에 상응하는 제1 렌즈(LS1), 제1 투과 영역(TR1), 제1 카메라 센서(IFR_C1) 및 이에 인접 배치되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5를 더 참조하면, 사용자가 표시 장치(1)를 착용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 장치(1)를 착용한 경우, 복수의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으로부터 사용자의 안구(EB)를 향해 광(IFR), 예를 들면, 적외선이 출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IFR_L1, IFR_L2, IFR_L3, IFR_L4, IFR_L5, IFR_L6, IFR_L7, IFR_L8)으로부터 출광된 광(IFR)은 사용자의 안구(EB)에서 반사되어 제1 홀(H1)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홀(H1)을 통과하는 광(IFR)은 제1 센터 렌즈(CLS1)에 의해 굴절 및/또는 반사되어 제1 투과 영역(TR1)으로 입사될 수 있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1 홀(H1)에 제1 센터 렌즈(CLS1)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안구(EB)에서 반사된 광(IFR)은 제1 홀(H1)을 그대로 통과하여 제1 투과 영역(TR1)에 입사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제1 홀(H1)에 광원(IFR_LC)이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안구(EB)에서 반사된 광(IFR)은 제1 렌즈(LS1)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렌즈(LS1)로 입사된 광(IFR)은 제1 렌즈(LS1)에 의해 굴절 및/또는 반사되어 제1 투과 영역(TR1)으로 입사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1 투과 영역(TR1)에 입사된 광(IFR)은 제1 투과 영역(TR1)을 투과하여 제1 센서 렌즈(SL)에 입사될 수 있다. 제1 센서 렌즈(SL)에 입사된 광(IFR)은 제1 센서 렌즈(SL)에 의해 굴절 및/또는 반사되어 제1 카메라 센서(IFR_C1)에 포커싱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제1 투과 영역(TR1)에 입사된 광(IFR)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굴절 및/또는 반사되어 제1 카메라 센서(IFR_C1)에 포커싱 될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 센서(IFR_C1)는 입사된 광(IFR)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기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안구(EB)의 특징점을 쉽게 포착하고, 렌즈 등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이미지 처리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후, 처리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동공(PP)을 포함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처리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동공(PP)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동공(PP)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사용자의 동공(PP)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동공(PP)과 그 주변의 콘트라스트를 이용하는 동공(PP) 추적 방식 또는 사용자의 홍채와 그 주변의 콘트라스트를 이용하는 윤부(limbus) 추적 방식 등 다양한 눈 추적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동공(PP)의 중심점과 사용자의 동공(PP)에서 반사된 광 또는 글린트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에 기초하여 산출된 벡터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공(PP)의 위치 및 이에 따른 사용자의 응시 방향이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응시 방향이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상응하는 출력 이미지가 표시부(DP)의 전면(DP_FS)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의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표시부(DP)에는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상응하는 출력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이미지는 하나의 VR 이미지를 이루는 분할 이미지 및 분할 영상을 포함하여, 표시 장치(1)는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상응하는 VR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DP: 표시부
LS: 다채널 렌즈
MF: 메인 프레임
CF: 커버 프레임

Claims (20)

  1. 광을 출광하는 일면,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 및 상기 일면으로 입사하는 광을 투과하는 제1 투과 영역, 상기 일면으로 입사하는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1 투과 영역과 이격된 제2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1 투과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렌즈;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면 상에 상기 제1 렌즈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투과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렌즈;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에 배치되고, 광을 출광하는 복수의 광원;
    상기 표시부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제1 투과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카메라 센서; 및
    상기 표시부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제2 투과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 영역,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1 카메라 센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렌즈의 중심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투과 영역,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2 카메라 센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렌즈의 중심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1 투과 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센서 렌즈 및 상기 제2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2 투과 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센서 렌즈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에 배치되는 제1 센터 렌즈 및 상기 제2 홀에 배치되는 제2 센터 렌즈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채널을 각각 제공하는 제1 서브 렌즈, 제2 서브 렌즈, 제3 서브 렌즈 및 제4 서브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서브 렌즈, 상기 제2 서브 렌즈, 상기 제3 서브 렌즈 및 상기 제4 서브 렌즈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제1 서브 렌즈에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제2 서브 렌즈에 배치되는 제2 광원, 상기 제3 서브 렌즈에 배치되는 제3 광원 및 상기 제4 서브 렌즈에 배치되는 제4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렌즈, 상기 제2 서브 렌즈, 상기 제3 서브 렌즈 및 상기 제4 서브 렌즈는 각각 표시부로부터 사용자의 안구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상기 제3 광원 및 상기 제4 광원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렌즈의 상기 경사면, 상기 제2 서브 렌즈의 상기 경사면, 상기 제3 서브 렌즈의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제4 서브 렌즈의 상기 경사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각각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제2 투과 영역 내에 배치되는 화소들의 단위 면적당 개수는 상기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영역 중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보다 작은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각각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광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층 및 상기 복수의 도전층을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투과 홀은 상기 복수의 도전층 및 상기 복수의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관통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광된 광은 사용자의 동공에서 반사되고 상기 투과 영역을 투과하여 상기 제1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제2 카메라 센서로 입사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제2 카메라 센서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동공 위치에 상응하는 출력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
  16. 다채널 렌즈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동공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공에서 반사되어 상기 다채널 렌즈의 중심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고 표시부에 형성된 투광 영역을 투과한 상기 광을 카메라 센서로 수광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센서에 수광된 상기 광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어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렌즈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동공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단계 전,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어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어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하는 단계 후, 상기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동공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어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다채널 렌즈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센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다채널 렌즈의 중심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1020210006772A 2021-01-18 2021-01-1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20220105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72A KR20220105194A (ko) 2021-01-18 2021-01-1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US17/499,150 US20220229297A1 (en) 2021-01-18 2021-10-1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2210015053.5A CN114815242A (zh) 2021-01-18 2022-01-07 显示装置及控制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72A KR20220105194A (ko) 2021-01-18 2021-01-1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194A true KR20220105194A (ko) 2022-07-27

Family

ID=8240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772A KR20220105194A (ko) 2021-01-18 2021-01-1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29297A1 (ko)
KR (1) KR20220105194A (ko)
CN (1) CN114815242A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964B2 (ja) * 1996-03-12 2006-05-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1108277A1 (ja) * 2010-03-05 2011-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方法
KR101431366B1 (ko) * 2010-07-20 2014-08-19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증강 현실 근접 감지
JP6140979B2 (ja) * 2012-11-09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及び方法
US10085005B2 (en) * 2015-04-15 2018-09-25 Lytro, Inc. Capturing light-field volume image and video data using tiled light-field cameras
JP2017169803A (ja) * 2016-03-23 2017-09-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079370A1 (en) * 2016-09-22 2018-03-22 Delphi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display with camera aperture therethrough
US10546518B2 (en) * 2017-05-15 2020-01-28 Google Llc Near-eye display with extended effective eyebox via eye tracking
KR102617230B1 (ko) * 2017-11-28 2023-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개인 몰입형 장치 및 그 표시장치
US10816810B1 (en) * 2019-04-08 2020-10-27 Htc Corporatio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15242A (zh) 2022-07-29
US20220229297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848409U (zh) 光学感测系统和电子设备
JP532988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856977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1322552B2 (en) Display apparatus
US11476446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2220053A1 (ja) 画像観察装置
US11818936B2 (en) Display device
US20220221721A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220105194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JP202315654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1789270B2 (en) Optical device
WO2022049906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2047608A (ja) 有機発光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および移動体
CN113707685A (zh) 电子设备
JP2022071516A (ja) 発光装置、表示装置、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00111308A (ko) 증강 현실 제공 장치
EP4296747A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475751B1 (ja) コリメート機能付き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xrグラス
JP7374949B2 (ja) 半導体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移動体、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230200141A1 (en) Display device
US20240184119A1 (en) Wearable device including an image display module
CN215869390U (zh) 光学感测系统和电子设备
WO2024053611A1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20373792A1 (en) Optical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WO2024116879A1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