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48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487A
KR20220104487A KR1020210006840A KR20210006840A KR20220104487A KR 20220104487 A KR20220104487 A KR 20220104487A KR 1020210006840 A KR1020210006840 A KR 1020210006840A KR 20210006840 A KR20210006840 A KR 20210006840A KR 20220104487 A KR20220104487 A KR 20220104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e
microphone
do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박창현
조수호
김병목
손종현
임봉근
황재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487A/ko
Priority to EP21919870.2A priority patent/EP4220053A4/en
Priority to PCT/KR2021/017462 priority patent/WO2022154246A1/ko
Publication of KR2022010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487A/ko
Priority to US18/310,883 priority patent/US202302729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는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상단에 배치되고,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는, 기판에 지지되어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도어 상단으로 돌출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음성 입력홀과, 상기 음성 입력홀과 상기 마이크가 연결되도록 상기 음성 입력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마이크홀을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커버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도어에 마이크가 장착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본체의 전면에는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가 음성을 이용하여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냉장고의 경우 두 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 도어의 개폐 또는 냉장고의 조작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냉장고에 마이크를 배치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동작을 제어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마이크는 음성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본체 또는 도어의 전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마이크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이크홀이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냉장고의 외관이 저해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가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도어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음성을 잘 인식할 수 있지만,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의 배면을 바라보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인식률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음성인식이 가능하도록 도어의 전방과 후방 모두에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개선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상단에 배치되고,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는, 기판에 지지되어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도어 상단으로 돌출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음성 입력홀과, 상기 음성 입력홀과 상기 마이크가 연결되도록 상기 음성 입력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마이크홀을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커버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입력홀 및 마이크홀은 상기 커버의 좌우측 양 끝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홀은 상기 커버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개구와, 상기 커버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 개구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 개구와 상기 후면 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홀은 상기 연결관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음성 입력홀과 함께 T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한 쌍의 음성 입력홀과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홀과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음성 입력홀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한 쌍의 마이크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한 쌍의 마이크가 지지되는 한 쌍의 마이크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가 부착되는 한 쌍의 실링부재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와 상기 기판은 각각 상기 마이크홀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한 쌍의 마이크로 전달되도록 관통되는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는 고무 재질 또는 포론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는 상기 기판에 밀착되어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한 쌍의 스크류에 의해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스크류가 체결되는 한 쌍의 제1체결홀과 한 쌍의 제2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매쉬 또는 방수 재질의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실링부재 부착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커버가 결합되는 캡 도어와, 상기 캡 도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기 음성 입력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의 상부가 관통되는 커버 관통홀이 마련된 캡 도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를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마이크 지지부에 지지시키고,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실링부재 부착부에 부착시킨 후, 상기 기판을 상기 커버에 결합시키고, 상기 커버를 상기 캡 도어에 결합시킨 후, 상기 캡 도어 커버를 상기 캡 도어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상단에 배치되고,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는, 상기 도어 상단으로 돌출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음성 입력홀과, 상기 음성 입력홀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마이크홀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커버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마이크홀과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에 지지되어 상기 마이크홀을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입력홀 및 마이크홀은 상기 커버의 좌우측 양 끝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재 및 마이크는 상기 한 쌍의 마이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와 상기 기판은 각각 상기 마이크홀과 연결되는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홀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는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캡 도어와 상기 캡 도어 상부를 커버하는 캡 도어 커버를 포함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상단에 배치되고,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는, 기판에 지지되어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캡 도어 상부에 결합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음성 입력홀과, 상기 음성 입력홀과 상기 마이크가 연결되도록 상기 음성 입력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마이크홀을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커버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 도어 커버는 상기 음성 입력홀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가 관통되는 커버 관통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도어의 전방과 후방 양방향에서 음성인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장치의 유무와 관계없이 공용화된 캡 도어 커버를 사용할 수 있어 투자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에 마이크 장치와 캡 도어 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에 음성 입력홀과 마이크홀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에서 마이크와 실링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을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가 기판에 지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기판에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기판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스크류에 의해 커버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커버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장치가 스크류에 의해 캡 도어 상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 커버가 캡 도어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 커버가 캡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캡 도어에 커버와 캡 도어 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 커버가 캡 도어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 커버가 캡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장치가 냉장고에 적용되는 예를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가전제품인 에어컨, 세탁기, 오븐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과, 내상(11)과 외상(13)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20)을 단열시키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실(20)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25) 및 저장용기(26)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의 저장실(21, 23)로 분할될 수 있으며, 파티션(15)은 저장실(20) 내부에 가로로 결합되어 저장실(20)을 상부 저장실인 냉장실(21)과 하부 저장실인 냉동실(23)로 분할하는 제1 파티션(17)과, 냉동실(23)에 세로로 결합되어 냉동실(23)을 좌측의 제1 저장실(미도시)과 우측의 제2 저장실(미도시)로 분할하는 제2 파티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3)은 전체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제1 저장실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2 저장실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제1 저장실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2 저장실은 냉동실 및 냉장실 모두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실(20)의 분할은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각각의 저장실(21, 23)은 상기의 구성과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냉장실(21)과 냉동실(23)은 각각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장실(21)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동실(23)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는 냉장실 도어 손잡이(32)에 의해 각각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는 냉동실 도어 손잡이(34)에 의해 각각 개폐될 수 있다. 냉동실(23)을 개폐하는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와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각각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가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 중 하나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음성을 이용하여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에 마이크 장치와 캡 도어 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에 음성 입력홀과 마이크홀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장치(100)는 냉장실 도어(31) 상부의 캡 도어(40)에 결합될 수 있다. 마이크 장치(100)는 캡 도어(40)의 마이크 장치 안착부(41)에 안착될 수 있다. 마이크 장치(100)는 사용자가 음성을 이용하여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 장치(100)는 캡 도어(40)에 결합되는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장치(100)는 커버(110)에 체결되는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장치(100)는 기판(120)에 지지되어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마이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장치(100)는 기판(120)과 커버(110)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장치(100)는 커버(110)에 형성된 음성 입력홀(111) 및 마이크홀(115)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마이크(130)로 입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버(110)는 냉장실 도어(31) 상단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110)는 냉장실 도어(31) 상단의 캡 도어(40)에 결합될 수 있다. 캡 도어(40) 상부는 캡 도어 커버(5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커버(110)는 캡 도어 커버(50)의 커버 관통홀(51)을 통해 캡 도어 커버(5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110)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 입력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홀(111)은 커버(110)의 좌우측 양 끝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110)는 음성 입력홀(1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음성 입력홀(111)이 형성된 상부 부분이 커버 관통홀(51)을 관통하여 캡 도어 커버(50)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음성 입력홀(111)은 커버(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홀(111)은 커버(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 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홀(111)은 커버(110)를 관통하여 전면 개구(112)와 후면 개구(113)를 연결하는 연결관(114)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31)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전면 개구(112)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31)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후면 개구(113)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음성 입력홀(111)의 냉장실 도어(31)의 전방과 후방으로 모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실 도어(31)의 개폐와 관계 없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는 효과적으로 음성 입력홀(111)로 입력되어 마이크(13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커버(110)는 음성 입력홀(111)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마이크(130)로 전달하는 마이크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홀(115)은 음성 입력홀(11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마이크홀(115)은 음성 입력홀(111)의 연결관(114)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마이크홀(115)은 음성 입력홀(111)과 함께 T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마이크홀(115)은 커버(110)의 좌우측 양 끝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면 개구(112)와 후면 개구(113)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마이크홀(115)을 통해 마이크(130)로 정확하게 입력될 수 있다.
커버(110)는 스크류(S)에 의해 캡 도어(40)에 결합되는 결합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캡 도어(40)는 스크류(S)에 의해 커버(110)가 결합되는 마이크 장치 결합홀(4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가 캡 도어(40)의 마이크 장치 안착부(41)에 안착되면, 스크류(S)로 결합홀(116)과 마이크 장치 결합홀(43)을 결합하여 커버(110)가 캡 도어(4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 참조)
커버(110)는 스크류(S)에 의해 기판(120)이 체결되는 제2체결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0)은 스크류(S)에 의해 커버(110)의 제2체결홀(117)에 체결되는 제1체결홀(12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참조)
기판(120)은 마이크(130)가 지지되는 마이크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0)은 실링부재(140)가 부착되는 실링부재 부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0)은 음성 입력홀(111) 및 마이크홀(115)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마이크(130)로 전달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관통홀(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관통홀(125)은 실링부재(140)의 제1관통홀(14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관통홀(141)은 마이크홀(115)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입력홀(111)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마이크홀(115), 제1관통홀(141), 제2관통홀(125)을 통해 마이크(130)로 입력될 수 있다. 기판(120)은 스크류(S)에 의해 커버(110)에 체결되는 제1체결홀(12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참조)
마이크(130)는 기판(120)의 마이크 지지부(121)에 지지될 수 있다. 마이크(130)는 한 쌍의 음성 입력홀(111)과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130)는 마이크홀(115)과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음성 입력홀(11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30)는 음성 입력홀(111), 마이크홀(115), 제1관통홀(141), 제2관통홀(125)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7 참조)
실링부재(140)는 기판(120)과 커버(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기판(120)이 커버(11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기판(120)이 커버(11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고무 재질 또는 포론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기판(120)이 커버(1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음성 입력홀(111)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고 마이크(13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마이크홀(115)과 연결되는 제1관통홀(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홀(141)은 기판(120)의 제2관통홀(125)과 연결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기판(120)에 밀착되어 제2관통홀(125)을 통해 마이크(130)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기판(120)을 커버(110)에 체결하는 스크류(S)에 의해 기판(120)에 더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양면 테이프(14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40)의 일면에는 양면 테이프(143)가 부착되어 실링부재(140)는 기판(120)의 실링부재 부착부(123)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 참조)
실링부재(140)는 매쉬 또는 방수 재질의 방수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40)의 양면 테이프(143)가 부착된 면과 반대쪽 면에는 방수부재(145)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기판(120)에 밀착되어 제2관통홀(125)을 통해 마이크(130)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방수부재(145)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물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참조)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기판(120)에 마이크(130)가 지지되고, 실링부재(140)가 부착된 후 기판(120)을 커버(110)에 결합시켜 마이크 장치(100)가 조립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에서 마이크와 실링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가 기판에 지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기판에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기판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스크류에 의해 커버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커버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0)의 일면에는 마이크(130)가 지지되는 마이크 지지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기판(120)의 다른 면에는 실링부재(140)가 부착되는 실링부재 부착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우선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30)를 기판(120)의 마이크 지지부(121)에 지지시킬 수 있다. 마이크(130)가 기판(120)에 지지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40)를 기판(120)의 실링부재 부착부(123)에 부착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140)가 기판(120)에 부착되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S)로 기판(120)의 제1체결홀(127)을 커버(110)의 제2체결홀(117)에 체결할 수 있다. 마이크(130)가 지지되고 실링부재(140)가 부착된 기판(120)이 커버(110)에 체결되면 마이크 장치(100)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장치가 스크류에 의해 캡 도어 상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 커버가 캡 도어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 커버가 캡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장치(100)가 조립되면, 마이크 장치(100)를 캡 도어(40)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캡 도어(40)의 상부에는 마이크 장치(100)가 안착되는 마이크 장치 안착부(41)가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 장치(100)를 마이크 장치 안착부(41)에 안착시킨 후 스크류(S)로 마이크 장치(100)를 캡 도어(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스크류(S)는 커버(110)에 형성된 결합홀(116)과 캡 도어(40)의 마이크 장치 결합홀(43)에 결합되어 마이크 장치(100)가 캡 도어(4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장치(100)가 캡 도어(40)에 결합되면, 캡 도어 커버(50)를 캡 도어(40)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캡 도어 커버(50)가 캡 도어(40) 상부에 결합되면, 캡 도어 커버(50)에 형성된 커버 관통홀(51)을 통해 마이크 장치(100)의 커버(110) 상부 부분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커버(110)에 형성된 음성 입력홀(111)이 캡 도어 커버(50)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캡 도어에 커버와 캡 도어 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 커버가 캡 도어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도어 커버가 캡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장치가 없는 냉장고의 경우에는 커버(150)가 캡 도어(4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150)는 스크류(S)에 의해 캡 도어(4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50)에는 결합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S)는 커버(150)에 형성된 결합홀(156)과 캡 도어(40)의 마이크 장치 결합홀(43)에 결합되어 커버(150)가 캡 도어(4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마이크 장치의 유무와 관계 없이 캡 도어(40)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도어 커버(50)를 동일하게 제조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마이크 장치의 유무와 관계 없이 커버 관통홀(51)이 형성된 캡 도어 커버(50)를 제조하면, 커버 관통홀(51)을 커버해야 하기 때문에, 캡 도어(40) 상부에 커버(15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150)가 캡 도어(40) 상부에 결합되면,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도어 커버(50)를 캡 도어(40)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캡 도어 커버(50)가 캡 도어(40) 상부에 결합되면, 캡 도어 커버(50)에 형성된 커버 관통홀(51)은 커버(15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때, 커버(150)에는 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 관통홀(51)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커버 관통홀(51)을 커버만 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 장치의 유무와 관계없이 공용화된 캡 도어 커버(50)를 사용할 수 있어 투자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내상
13 : 외상 15 : 파티션
17 : 제1파티션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3 : 냉동실 25 : 선반
27 : 저장용기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2 : 냉장실 도어 손잡이
33 : 냉동실 도어 34 : 냉동실 도어 손잡이
35 : 도어가드
40 : 캡 도어 41 : 마이크 장치 안착부
43 : 마이크 장치 결합홀
50 : 캡 도어 커버 51 : 커버 관통홀
100 : 마이크 장치
110, 150 : 커버 111 : 음성 입력홀
112 : 전면 개구 113 : 후면 개구
114 : 연결관 115 : 마이크홀
116, 156 : 결합홀 117 : 제2체결홀
120 : 기판 121 : 마이크 지지부
123 : 실링부재 부착부 125 : 제2관통홀
127 : 제1체결홀
130 : 마이크
140 : 실링부재 141 : 제1관통홀
143 : 양면 테이프 145 : 방수부재

Claims (20)

  1.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상단에 배치되고,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는,
    기판에 지지되어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도어 상단으로 돌출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음성 입력홀과, 상기 음성 입력홀과 상기 마이크가 연결되도록 상기 음성 입력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마이크홀을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커버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홀 및 마이크홀은 상기 커버의 좌우측 양 끝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홀은 상기 커버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개구와, 상기 커버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 개구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 개구와 상기 후면 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홀은 상기 연결관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음성 입력홀과 함께 T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한 쌍의 음성 입력홀과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홀과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음성 입력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한 쌍의 마이크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한 쌍의 마이크가 지지되는 한 쌍의 마이크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가 부착되는 한 쌍의 실링부재 부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와 상기 기판은 각각 상기 마이크홀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한 쌍의 마이크로 전달되도록 관통되는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는 고무 재질 또는 포론 테이프로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는 상기 기판에 밀착되어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한 쌍의 스크류에 의해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가 밀착되도록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스크류가 체결되는 한 쌍의 제1체결홀과 한 쌍의 제2체결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매쉬 또는 방수 재질의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실링부재 부착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커버가 결합되는 캡 도어와, 상기 캡 도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기 음성 입력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의 상부가 관통되는 커버 관통홀이 마련된 캡 도어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마이크 지지부에 지지시키고,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실링부재 부착부에 부착시킨 후, 상기 기판을 상기 커버에 결합시키고, 상기 커버를 상기 캡 도어에 결합시킨 후, 상기 캡 도어 커버를 상기 캡 도어 상부에 결합시키는 냉장고.
  16.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상단에 배치되고,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는,
    상기 도어 상단으로 돌출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음성 입력홀과, 상기 음성 입력홀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마이크홀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커버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마이크홀과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에 지지되어 상기 마이크홀을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마이크;
    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홀 및 마이크홀은 상기 커버의 좌우측 양 끝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재 및 마이크는 상기 한 쌍의 마이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와 상기 기판은 각각 상기 마이크홀과 연결되는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홀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는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
  20.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캡 도어와 상기 캡 도어 상부를 커버하는 캡 도어 커버를 포함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상단에 배치되고,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는,
    기판에 지지되어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캡 도어 상부에 결합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음성 입력홀과, 상기 음성 입력홀과 상기 마이크가 연결되도록 상기 음성 입력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마이크홀을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커버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캡 도어 커버는 상기 음성 입력홀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가 관통되는 커버 관통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006840A 2021-01-18 2021-01-18 냉장고 KR20220104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840A KR20220104487A (ko) 2021-01-18 2021-01-18 냉장고
EP21919870.2A EP4220053A4 (en) 2021-01-18 2021-11-25 FRIDGE
PCT/KR2021/017462 WO2022154246A1 (ko) 2021-01-18 2021-11-25 냉장고
US18/310,883 US20230272968A1 (en) 2021-01-18 2023-05-0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840A KR20220104487A (ko) 2021-01-18 2021-01-1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487A true KR20220104487A (ko) 2022-07-26

Family

ID=8244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840A KR20220104487A (ko) 2021-01-18 2021-01-1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2968A1 (ko)
EP (1) EP4220053A4 (ko)
KR (1) KR20220104487A (ko)
WO (1) WO20221542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258B2 (ja) * 1992-09-02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防水型ステレオマイクロホン及び防水型ステレオマイクロホンを有する防水撮影用ケース
JP2013110632A (ja) * 2011-11-22 2013-06-06 Toshiba Corp 集音装置及び集音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KR102658311B1 (ko) * 2017-02-08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98224B1 (ko) * 2018-01-08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CN110873497A (zh) * 2018-08-30 2020-03-10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2633905B1 (ko) * 2019-01-31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리 입력이 가능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20053A1 (en) 2023-08-02
US20230272968A1 (en) 2023-08-31
EP4220053A4 (en) 2024-05-22
WO2022154246A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2518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102312690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20040187510A1 (en) Refrigerator
KR20080079112A (ko) 냉장고
KR102615047B1 (ko) 냉장고
US10197327B2 (en) Refrigerator and basket assembly thereof
WO2021104048A1 (zh) 门体及具有其的冰箱
KR20210106270A (ko) 냉장고
KR20220068124A (ko) 냉장고
EP4040092B1 (en) Refrigerator
KR20220104487A (ko) 냉장고
EP2982918B1 (en) Door hol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398631B1 (ko) 김치저장고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
KR100704661B1 (ko) 김치냉장고
KR100483067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발포구조
US11988437B2 (en) Refrigerator
KR100376793B1 (ko)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커버 체결부 구조
CN208312817U (zh) 冰箱
WO2014194954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storage for storing a door-reversal kit
KR20220068119A (ko) 냉장고
KR20230092339A (ko) 가전 기기
KR20030004764A (ko) 양면개폐가 가능한 냉장고
KR20210156142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20740A (ko) 냉장고
KR20210157286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