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319A -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319A
KR20220104319A KR1020210006439A KR20210006439A KR20220104319A KR 20220104319 A KR20220104319 A KR 20220104319A KR 1020210006439 A KR1020210006439 A KR 1020210006439A KR 20210006439 A KR20210006439 A KR 20210006439A KR 20220104319 A KR20220104319 A KR 20220104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election
pressing member
switch
insect
cr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109B1 (ko
Inventor
김선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Priority to KR102021000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1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Insect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방충창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안전잠금수단을 개선하고, 안전잠금수단으로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자가 강제로 방범·방충창을 개방할 경우, 또는 안전잠금수단으로 잠김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어린이들이 원치않게 방범·방충창을 개방할 경우에 이를 즉시 알릴 수 있는 경보수단을 마련하며, 안전잠금수단과 경보수단의 조작이 연동되게 하여 방범 및 안전기능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는, 안전잠금수단과 경보수단을 구비하고, 안전잠금수단은 손잡이케이스의 상면에 형성한 가이드구멍에 안내되어 직선이동하는 모드선택부재와, 상기 모드선택부재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조작바로 이루어져 모드선택부재의 이동위치에 따라, 조작바가 경보수단의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방범·방충창의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유지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Safety Locking Apparatus for Window Preventing Crime and Insect}
본 발명은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어린이들이 쉽게 방범·방충창을 열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침입자에 의한 방범·방충창의 강제 개방이나 내부에서의 원치 않은 방범·방충창 개방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여 방범 및 안전 기능을 더욱 강화시킨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틀(1)의 레일에 적어도 한 쌍의 미닫이 창문(2,3)을 설치하여 창호틀(1)의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창문 개폐를 위해 주로 이동시키는 내측 창문(2)의 실외측에는 방범·방충창(4)을 설치하여 내측 창문(2)의 개방시에도 외부자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범·방충창의 잠금장치로서,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제10-1668632호에 알려진 방범·방충창용 자동 록킹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기술은 안전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방범·방충창이 닫힌 잠김상태에서 특정된 회전도구 없이는 방범·방충창의 잠김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잘못하여 방범·방충창을 열어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를 예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잠금장치로부터 분리된 특정된 회전도구를 안전잠금수단의 필수구성으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특정된 회전도구를 분실하지 않도록 잘 보관해야하는 관리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특정된 회전도구를 분실할 경우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회전도구를 마련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전잠금수단을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자가 강제로 방범·방충창을 개방할 경우가 있고, 또는 안전잠금수단을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잠김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어린이들의 장난으로 방범·방충창이 개방되어 추락의 염려가 있지만, 이 경우 종래에는 방범·방충창의 개방을 즉시 알릴 수 있는 경보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안전상 방범·방충창에 대해서도 이의 개선이 더욱 절실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범·방충창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안전잠금수단을 개선함으로써 안전잠금수단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분실의 경우 새로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잠금수단으로 어린이들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자가 강제로 방범·방충창을 개방할 경우, 또는 안전잠금수단으로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어린이들이 원치않게 방범·방충창을 개방할 경우에 이를 즉시 알릴 수 있는 경보수단을 마련하여 방범 및 안전에 대한 기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안전잠금수단과 경보수단의 사용여부를 매우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호틀에 고정설치되는 스트라이커;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응하는 위치의 방범·방충창에 고정설치되는 손잡이케이스; 상기 손잡이케이스에 설치되어 창호틀의 스트라이커에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와 걸림해제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록커; 상기 손잡이케이스 외부에서 누름조작 가능하게 손잡이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록커와 스트라이커의 걸림유지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누름부재를 구비하는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과 손잡이케이스의 대응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손잡이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 사이 거리가 근접한 상태에서 이격될 때 경보음을 울리는 부저와, 상기 부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와, 상기 전지에서 부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경보수단; 및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사용모드와,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를 조작하지 못하게 누름경로를 차단하는 제2 사용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안전잠금수단을 포함하는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면에 형성한 가이드구멍에 안내되어 직선이동하는 모드선택부재와, 상기 모드선택부재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조작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구멍에는 모드선택부재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정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선택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정지홈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정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모드선택부재의 정지돌기가 제1 정지홈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조작바의 일단이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바의 타단은 누름부재에서 이격되어 누름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사용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모드선택부재의 정지돌기가 제2 정지홈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조작바의 일단이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바의 타단이 누름부재의 누름경로를 차단하여 누름부재를 조작하지 못하게 하는 제2 사용모드를 수행하도록 된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사용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구멍의 제1 및 제2 정지홈 사이에는 제3 정지홈을 형성하며, 상기 모드선택부재의 정지돌기가 제3 정지홈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조작바의 일단이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조작바의 타단이 누름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누름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3 사용모드를 수행하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면에 내부로 관통 형성한 제1 및 제2 모드선택구멍과,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선택구멍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모드선택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드선택부재가 제1 모드선택구멍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모드선택부재의 끝단이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누름부재는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사용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모드선택부재를 제2 모드선택구멍에 삽입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고 모드선택부재의 끝단이 누름부재의 누름경로를 차단하여 누름부재를 누름조작하지 못하게 하는 제2 사용모드를 수행하도록 된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를 조작 가능하게 하는 제3 사용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제1 및 제2 모드선택구멍 사이에는 제3 모드선택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모드선택부재가 제3 모드선택구멍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누름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사용모드를 수행하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전 방범·방충창 잠금장치에 의하면, 방범·방충창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안전잠금수단의 모드선택부재가 손잡이케이스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됨에 따라, 종래에 안전잠금수단이 열쇠를 이용하는 자물쇠 방식인 것에 비하여 분실할 염려가 없어 분실로 인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방범·방충창의 잠금상태에서 외부침입에 의한 강제 개방이나 어린이들에 의해 원치않은 개방이 이루어질 때 즉시 경보수단의 부저가 울림에 따라, 이를 빠르게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방범·방충창에 대한 방범기능과 안전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잠금수단의 모드선택부재를 이동시키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경보수단의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되고, 이와 동시에 방범·방충창의 잠금상태가 유지 또는 해제되므로, 경보수단을 사용할 때에는 방범·방충창의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유지되고, 경보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방범·방충창의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게 할 수 있어 안전잠금수단과 경보수단의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 도 3 및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틀(W1)에 고정설치되는 스트라이커(11)와, 상기 스트라이커(11)에 대응하는 위치의 방범·방충창(W2)에 고정설치되는 손잡이케이스(12)를 구비하고, 손잡이케이스(12) 내에는 록커(13), 연동부재(15) 및 누름부재(16)가 설치된다.
손잡이케이스(12)는 방범·방충창(W2)을 개폐할 때 파지하는 손잡이 기능을 겸하는 외형을 가진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스본체(12a)와 바닥판(12b)으로 분리구성하여 조립함으로써 손잡이케이스(12) 내부에 잠금기능을 위한 부품들과 경보기능을 위한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록커(13)는, 손잡이케이스(12) 내부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방범·방충창(W2)을 열고 닫을 때 창호틀(W1)의 스트라이커(11)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한 것으로, 도 4a에서와 같이 방범·방충창(W2)을 닫게 되면 스트라이커(11)에 자동적으로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와, 도 4b에서와 같이 방범·방충창(W2)을 열기 위해 창호틀(W1)의 스트라이커(11)로부터 걸림해제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록커(13)와 손잡이케이스(12)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14)가 탄력설치되어 상기 록커(13)가 항상 잠금해제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4)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록커(13)측에 걸어 고정하고 타단은 손잡이케이스(12)측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연동부재(15)는 손잡이케이스(12) 내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록커(13)가 스트라이커(11)에 걸림유지된 잠금위치에서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연동부재(15)의 걸림돌기(15a)가 록커(13)의 걸림턱(13a)에 걸림유지되는 고정위치(도 4a 참조)와, 상기 록커(13)가 잠금해제위치로 회전하도록 연동부재(15)의 걸림돌기(15a)가 록커(13)의 걸림턱(13a)으로부터 걸림해제되는 고정해제위치(도 4b 참조)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동부재(15)와 손잡이케이스(12)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17)가 탄력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15)의 걸림돌기(15a)가 항상 록커(13)의 걸림턱(13a)에 걸림유지되는 고정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2 탄성부재(17)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일단은 연동부재(15)에 지지시키고, 타단은 손잡이케이스(12)에 지지시킴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누름부재(16)는 일부가 손잡이케이스(12)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잡이케이스(12) 외부에서 누름조작 가능하게 손잡이케이스(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동부재(15)를 밀어 고정위치에서 고정해제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누름부재(16)는 사용자가 방범·방충창(W2)을 열기 위해 손잡이케이스(12)를 파지할 때 왼손 또는 오른손에 따라 엄지 또는 검지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누름부재(16)의 누름조작과 방범·방충창(W2)을 여는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경보수단은 창호틀(W1)과 손잡이케이스(12) 사이의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한 제1 및 제2 센서(21,22)와, 손잡이케이스(12)에 설치된 부저(23), 전지(24) 및 스위치(25)로 이루어진다.
제1 센서(21)는 자석모듈로 이루어지고, 제2 센서(22)는 마그네틱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저(23)는 방범·방충창(W2)이 닫힌상태(도 4a 참조), 즉 상기 제1 센서(21)와 제2 센서(22)가 근접한 상태에서 제2 센서(22)가 제1 센서(21)를 감지하고, 이 상태에서 방범·방충창(W2)이 열린상태(도 4b 참조), 즉 제1 센서(21)와 제2 센서(22)가 이격되어 제2 센서(22)가 제1 센서(21)를 감지하지 못할 때, 경보음을 울리도록 하며, 상기 스위치(25)는 전지(24)에서 부저(23)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경보기능의 사용여부, 즉 작동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센서(21)인 자석모듈과 제2 센서(22)인 마그네틱센서는 근접센서의 일종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광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창호틀(W1)에 방범·방충창(W2)이 닫힌 상태에서 열릴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스위치(25)는 부저(23)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킴으로써 경보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케이스(12)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쉽게 스위치(25)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를 오프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지 않게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사용모드와,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를 조작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제2 사용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안전잠금수단을 더 포함한다.
안전잠금수단은, 손잡이케이스(12)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손잡이케이스(12)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케이스(12)의 상면에 형성한 가이드구멍(31)에 안내되어 직선이동하는 모드선택부재(32)와, 손잡이케이스(12) 내부에 위치하여 모드선택부재(32)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조작바(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구멍(31)에는 모드선택부재(32)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정지홈(31a,31b)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선택부재(32)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정지홈(31a,31b)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정지돌기(32a)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4a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재(32)의 정지돌기(32a)가 제1 정지홈(31a)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조작바(33)의 일단(33a)이 스위치(25)를 조작하여 '오프(Off)'시키고, 조작바(33)의 타단(33b)은 누름부재(16)에서 이격시켜 누름부재(16)의 누름조작이 가능한 제1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4c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재(32)의 정지돌기(32a)가 제2 정지홈(31b)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조작바(33)가 누름부재(16)쪽으로 일정거리 이동한 상태로서, 상기 조작바(33)의 일단(33a)이 스위치(25)에서 이격되어 스위치(25)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동작되게 하고, 조작바(33)의 타단(33b)은 누름부재(16)의 누름경로를 차단하여 누름부재(16)를 누름조작할 수 없게 하는 제2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금기능은, 도 4a에서와 같이 방범·방충창(W2)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케이스(12)를 파지하면 왼손 또는 오른손에 따라 엄지 또는 검지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누름부재(16)에 위치하여 누름부재(16)의 누름조작이 용이하고, 누름부재(16)를 누르면.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누름부재(16)가 연동부재(15)를 고정위치에서 고정해제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연동부재(15)의 이동으로 제2 탄성부재(17)가 압축되면서 록커(13)의 걸림턱(13a)으로부터 연동부재(15)의 걸림돌기(15a)가 걸림해제되고, 이로써 록커(13)는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14)에 의해 잠금위치에서 잠금해제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스트라이커(11)로부터 록커(13)를 걸림해제시켜 방범·방충창(W2)을 열 수 있다.
도 4b에서와 같이 방범·방충창(W2)이 열린 상태에서 방범·방충창(W2)을 닫게 되면, 록커(13)가 스트라이커(11)의 접촉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고 이로써 제1 탄성부재(14)가 압축되면서 록커(13)는 스트라이커(11)에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로 회전하여 자동 잠금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제2 탄성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연동부재(15)와 누름부재(16)는 다시 원위치하고, 연동부재(15)의 걸림돌기(15a)는 록커(13)의 걸림턱(13a)에 걸림유지되므로 도 4a에서와 같이 록커(13)와 스트라이커(11)의 자동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안전잠금수단의 모드선택부재(32)를 조작하여 정지돌기(32a)가 가이드구멍(31)의 제1 정지홈(31a)에 삽입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경보기능은 작동하지 않게 하면서 잠금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제1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정지홈(31a) 위치에서는 도 4a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재(32)와 함께 이동하는 조작바(33)의 일단(33a)이 경보수단의 스위치(25)에 근접하여 스위치레버를 누름조작하게 되고, 이로써 스위치(25)는 오프(Off)되어 부저(23)로 공급되는 전지(24)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경보기능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조작바(33)의 타단(33b)은 누름부재(1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되어 사용자가 누름부재(16)를 누름조작할 수 있고, 이로써 방범·방충창(W2)을 자유롭게 열고 닫아도 경보음은 울리지 않는다.
이러한 제1 사용모드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활동하는 시간에 어린이들에 의한 의도치 않은 방범·방충창(W2)의 개방 염려가 없을 때 경보음이 울리지 않도록 경보수단을 차단함과 동시에 방범·방충창(W2)을 자유롭게 열고 닫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어서, 도 2에서과 같이 사용자가 안전잠금수단의 모드선택부재(32)를 조작하여 정지돌기(32a)가 가이드구멍(31)의 제2 정지홈(31b)에 삽입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경보기능이 동작되게 함과 동시에, 누름부재(16)의 누름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방범·방충창(W2)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제2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에서는 도 4c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재(32)와 함께 이동하는 조작바(33)의 일단(33a)이 경보수단의 스위치(25)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25)가 온(On)되고, 이로써 전지(24)에서 부저(23)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경보기능이 작동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조작바(33)의 타단(33b)은 누름부재(16)에 근접하여 누름부재(16)의 누름경로를 차단하게 되므로 누름부재(16)를 누름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제2 사용모드는, 사용자가 외출하거나 취침할 때 침입자 또는 어린이들이 방범·방충창(W2)을 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범·방충창(W2)이 강제 또는 원치않게 개방될 때 경보수단의 부저(23)가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침입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어린이들에 의한 의도치 않은 방범·방충창(W2)의 개방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드선택부재(32)가 손잡이케이스(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아니므로, 별도 보관이 필요 없어 분실의 염려 없이 제1 및 제2 사용모드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잠금수단은 스위치(25)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누름부재(16)의 누름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사용모드를 구비하고, 가이드구멍(31)의 제1 및 제2 정지홈(31a,31b) 사이에는 제3 정지홈(31c)을 형성하며, 모드선택부재(32)의 정지돌기(32a)가 제3 정지홈(31c)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조작바(33)의 일단(33a)이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동작되게 하고, 조작바(33)의 타단(33b)이 누름부재(16)로부터 이격되어 누름부재(16)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3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더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안전잠금수단의 모드선택부재(32)를 조작하여 정지돌기(32a)가 가이드구멍(31)의 제3 정지홈(31c)에 삽입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누름부재(16)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잠금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제3 사용모드를 수행 할 수 있다.
즉, 제3 정지홈(31c) 위치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재(32)와 함께 이동하는 조작바(33)의 일단(33a)이 경보수단의 스위치(25)로부터 이격하여 스위치레버의 누름조작을 해제하게 되고, 이로써 스위치(25)는 온(On)되어 전지(24)에서 부저(23)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므로 경보수단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조작바(33)의 타단(33b)은 누름부재(1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 사용자가 누름부재(16)를 누름조작할 수 있어 방범·방충창(W2)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사용모드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활동하는 시간에 방범·방충창(W2)을 자유롭게 열 수 있도록 하면서도 어린이들에 의한 의도치 않은 방범·방충창(W2)의 개방이 염려될 때, 경보음이 울리도록 경보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추락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잠금수단은, 손잡이케이스(12)의 상면에 내부로 관통 형성한 제1 및 제2 모드선택구멍(131a,131b)과,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선택구멍(131a,131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모드선택부재(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드선택부재(132)가 제1 모드선택구멍(131a)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모드선택부재(132)의 끝단이 스위치(25)를 '오프(Off)'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지 않게 하면서 누름부재(16)는 누름조작할 수 있게 하는 제1 사용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모드선택부재(132)가 제2 모드선택구멍(131b)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스위치(25)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모드선택부재(132)의 끝단이 누름부재(16)의 누름경로를 차단하여 누름조작하지 못하게 하는 제2 사용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안전잠금수단의 모드선택부재(132)를 제1 모드선택구멍(131a)에 삽입시키면, 경보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면서 잠금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제1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모드선택구멍(131a) 위치에서는 도 8a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재(132)의 끝단이 경보수단의 스위치(25)에 근접하여 스위치레버를 누름조작하게 되고, 이로써 스위치(25)는 오프(Off)되어 부저(23)로 공급되는 전지(24)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경보기능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누름부재(16)의 누름경로는 차단되지 않아 누름조작할 수 있고, 이로써 방범·방충창(W2)을 자유롭게 열고 닫아도 경보음은 울리지 않는다.
이어서, 도 7에서과 같이 사용자가 안전잠금수단의 모드선택부재(132)를 제1 모드선택구멍(131a)에서 빼내어 제2 모드선택구멍(131b)에 삽입하면,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누름부재(16)의 누름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방범·방충창(W2)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제2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모드선택구멍(131b) 위치에서는 도 8b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재(132)가 제1 모드선택구멍(131a)에서 빠지는 과정에서 도 8b에서와 같이 스위치(25)의 스위치레버가 접촉해제되므로 스위치(25)가 온(On)되고, 이로써 전지(24)에서 부저(23)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경보기능이 작동 가능하게 되며, 모드선택부재(132)가 제2 모드선택구멍(131b)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모드선택부재(132)의 끝단이 누름부재(16)의 누름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누름부재(16)를 누름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모드선택부재(132)를 제1 또는 제2 모드선택구멍(131a,131b)에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하는 것이므로 손잡이케이스(12)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없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사용모드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에 따른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로서, 전술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잠금수단은 스위치(15)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누름부재(16)를 조작 가능하게 하는 제3 사용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12)의 제1 모드선택구멍(131a)과 제2 모드선택구멍(131b) 사이에는 제3 모드선택구멍(131c)을 형성하며, 모드선택부재(132)가 제3 모드선택구멍(131c)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스위치(25)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누름부재(16)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실시예의 작용에 더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안전잠금수단의 모드선택부재(132)를 제3 모드선택구멍(131c)에 삽입하게 되면,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누름부재(16)를 누름조작할 수 있는 제3 사용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재(132)가 제3 모드선택구멍(131c)에 끼워지는 위치에서는 모드선택부재(132)의 끝단이 스위치(25)와 누름부재(16)로부터 이격된 것이므로, 스위치(25)는 온(On)되어 전지(24)에서 부저(23)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므로 경보수단이 작동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누름부재(16)를 누름조작할 수 있어 방범·방충창(W2)을 열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 스트라이커 12 : 손잡이케이스
13 : 록커 14,17 : 제1 및 제2 탄성부재
15 : 연동부재 16 : 누름부재
21 : 자석모듈 22 : 마그네틱 센서
23 : 부저 24 : 전지
25 : 스위치 31 : 가이드구멍
31a,31b,31c : 제1 내지 제3 정지홈 32,132 : 모드선택부재
32a : 정지돌기 33 : 조작바
131a,131b,131c : 제1 내지 제3 모드선택구멍
W1 : 창호틀 W2 : 방범·방충창

Claims (5)

  1. 창호틀에 고정설치되는 스트라이커;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응하는 위치의 방범·방충창에 고정설치되는 손잡이케이스; 상기 손잡이케이스에 설치되어 창호틀의 스트라이커에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와 걸림해제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록커; 상기 손잡이케이스 외부에서 누름조작 가능하게 손잡이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록커와 스트라이커의 걸림유지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누름부재를 구비하는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과 손잡이케이스의 대응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손잡이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 사이 거리가 근접한 상태에서 이격될 때 경보음을 울리는 부저와, 상기 부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와, 상기 전지에서 부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경보수단; 및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사용모드와,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를 조작하지 못하게 누름경로를 차단하는 제2 사용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안전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면에 형성한 가이드구멍에 안내되어 직선이동하는 모드선택부재와, 상기 모드선택부재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조작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구멍에는 모드선택부재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정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선택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정지홈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정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모드선택부재의 정지돌기가 제1 정지홈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조작바의 일단이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바의 타단은 누름부재에서 이격되어 누름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사용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모드선택부재의 정지돌기가 제2 정지홈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조작바의 일단이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바의 타단이 누름부재의 누름경로를 차단하여 누름부재를 조작하지 못하게 하는 제2 사용모드를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사용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구멍의 제1 및 제2 정지홈 사이에는 제3 정지홈을 형성하며,
    상기 모드선택부재의 정지돌기가 제3 정지홈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조작바의 일단이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조작바의 타단이 누름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누름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3 사용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면에 내부로 관통 형성한 제1 및 제2 모드선택구멍과,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선택구멍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모드선택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드선택부재가 제1 모드선택구멍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모드선택부재의 끝단이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경보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누름부재는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사용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모드선택부재를 제2 모드선택구멍에 삽입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고 모드선택부재의 끝단이 누름부재의 누름경로를 차단하여 누름부재를 누름조작하지 못하게 하는 제2 사용모드를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를 조작 가능하게 하는 제3 사용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제1 및 제2 모드선택구멍 사이에는 제3 모드선택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모드선택부재가 제3 모드선택구멍에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스위치를 '온(On)'시켜 경보기능이 작동되게 하면서 누름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사용모드를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KR1020210006439A 2021-01-18 2021-01-18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KR10243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439A KR102431109B1 (ko) 2021-01-18 2021-01-18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439A KR102431109B1 (ko) 2021-01-18 2021-01-18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19A true KR20220104319A (ko) 2022-07-26
KR102431109B1 KR102431109B1 (ko) 2022-08-10

Family

ID=8260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439A KR102431109B1 (ko) 2021-01-18 2021-01-18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1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156A (ko) * 1997-11-03 1999-06-05 전주범 경보기능을 가지는 쇄정장치
KR101668632B1 (ko) * 2016-06-27 2016-10-24 이재선 방범·방충창용 자동 록킹장치
KR101849097B1 (ko) * 2017-07-11 2018-04-17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156A (ko) * 1997-11-03 1999-06-05 전주범 경보기능을 가지는 쇄정장치
KR101668632B1 (ko) * 2016-06-27 2016-10-24 이재선 방범·방충창용 자동 록킹장치
KR101849097B1 (ko) * 2017-07-11 2018-04-17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109B1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878B1 (en) Mortise lock
US20070119220A1 (en) Lockable rotary operating handle such device
JP2005533205A (ja) 扉の施錠装置
US6598439B1 (en) Lock-and-alarm assembly
US4648638A (en) Sliding door lock assembly
JPH0317362A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102431109B1 (ko)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JP4823874B2 (ja) 電気錠
KR102239569B1 (ko)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US20210355710A1 (en)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for a swing door
JP3809636B2 (ja) 錠装置
JP4587141B2 (ja) 施解錠機構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GB2572027A (en) Door lock device
JPH0513873Y2 (ko)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JPH0649778Y2 (ja) レバー型開閉用ハンドル
KR200289539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2628257B1 (ko) 잠금방지 버튼형 핸들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KR200302612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JP3587367B2 (ja) 防犯装置
JPH0341016Y2 (ko)
JPS5920520Y2 (ja) ソレノイド式インタ−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