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534A -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 Google Patents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534A
KR20220103534A KR1020210006273A KR20210006273A KR20220103534A KR 20220103534 A KR20220103534 A KR 20220103534A KR 1020210006273 A KR1020210006273 A KR 1020210006273A KR 20210006273 A KR20210006273 A KR 20210006273A KR 20220103534 A KR20220103534 A KR 2022010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mini
hook
hydraulic
hoo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순
이기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Priority to KR102021000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534A/ko
Publication of KR2022010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02F3/4135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with grabs mounted directly on a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with several digging elements or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는, 미니 포크레인의 붐의 단부에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부의 일측에 고정형 후크부가 형성되고, 하부의 타측에 고정형 후크부와 대응되도록 가동형 집게부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본체와, 그리고 상기 후크 본체의 상부에 모터축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가동형 집게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기어가 마련되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니 포크레인에 고정형 후크부, 가동형 집게부 및 유압모터가 마련된 후크 본체를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하여 하나의 집게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별도의 집게 설치 및 해체시 발생되는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이 배제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HYDRAULICS TONGS STRUCTURE FOR MINI EXCAVATOR}
본 발명은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니 포크레인에 장착되어 각종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는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붐의 단부에 버킷이나 유압브레이커와 같은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장착되어 필요한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버킷은 땅을 파고 긁어낸 후 담아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유압브레이커는 암반이나 콘크리트와 같이 단단한 대상물을 타격하여 균열을 발생하여 부수는 용도로 사용되며, 리퍼는 버킷으로 굴삭이 어려운 지반을 타격시켜 긁어내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굴삭기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을 주로 수행하며, 근래에 들어서는 석재(예를 들면, 경계석, 조경석 등)나 큰 목재 등과 같은 특정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에도 사용되고 있으나, 굴삭기의 바스켓으로는 특정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운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56465호(등록일: 2011. 10. 26.)에는 "포크레인용 보조집게"가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56465호에서는 포크레인의 바스켓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암에 설치된 브래킷에 집게본체를 결합하여 상기 집게본체와 상기 바스켓 사이에 석재나 목재가 끼워져 물리도록 바스켓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석재나 목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석재나 목재를 효과적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스켓을 분리하지 않고 집게본체만을 탈착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개시된 포크레인 구조에서는 집게를 브라켓에 설치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집게를 브라켓에 결합시키기 위한 핀(미도시)이나 볼트 등을 제거한 후, 대략 70~80kg에 육박하는 집게를 들어올리거나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집게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77364호(등록일자: 2017년09월05일)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754호(등록일자:2015년03월24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미니 포크레인에 집게 형상의 후크 본체를 장착하고, 유압모터에 의해 후크 본체를 동작시켜 각종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니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별도의 집게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복잡하고 어려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미니 포크레인의 붐의 단부에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부의 일측에 고정형 후크부가 형성되고, 하부의 타측에 고정형 후크부와 대응되도록 가동형 집게부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본체와, 그리고 상기 후크 본체의 상부에 모터축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가동형 집게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기어가 마련되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 본체는 가동형 집게부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회동기어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형 집게부는 동력전달기어의 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동력전달기어와 맞물리는 피동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 본체는 하부의 타측에 집게부를 설치하기 위한 집게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집게 설치부에 핀을 매개로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붐의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 본체의 상부에는 연결후크와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결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니 포크레인에 고정형 후크부, 가동형 집게부 및 유압모터가 마련된 후크 본체를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하여 하나의 집게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별도의 집게 설치 및 해체시 발생되는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이 배제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포크레인에 장착된 유압식 집게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집게가 미니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집게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집게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집게에 설치되는 집게부의 조립순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집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는, 후크 본체(10)와, 그리고 유압모터(2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후크 본체(10)는 미니 포크레인(도면에 미도시)의 붐(1)의 단부에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후크 본체(10)의 상부에는 붐(1)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후크(2)와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결바(11)가 형성된다. 즉, 후크 본체(10)는 연결바(11)와 연결후크(2)와 상호 간의 연결구조에 의해 붐(1)의 단부에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후크 본체(10)의 신속하고 편리한 장착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후크 본체(10)는 유압모터(20)의 동작에 의해 독립적인 하나의 집게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고정형 후크부(12)와, 가동형 집게부(13)와, 동력전달기어(15)를 포함한다.
고정형 후크부(12)는 후크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일정한 곡률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동형 집게부(13)의 미 설치상태에서 단독적인 굴착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가동형 집게부(13)는 후크 본체(10)의 하부 타측에 고정형 후크부(1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동형 집게부(13)는 유압모터(20)의 동작시 동력전달기어(15)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후크 본체(10)에 대해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가동형 집게부(13)는 동력전달기어(15)와 맞물리는 피동기어(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피동기어(14)는 동력전달기어(15)의 동력에 의해 가동형 집게부(13)를 후크 본체(10)에 대해 일정범위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동력전달기어(15)는 후크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동력전달기어(15)는 유압모터(20)의 동력을 가동형 집게부(13)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압모터(20)는 후크 본체(10)의 상부에 모터축(21)을 매개로 설치된다. 모터축(21)에는 동력전달기어(15)와 맞물리는 회동기어(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압모터(20)는 미니 포크레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모터축(21)과 회동기어(22)를 정역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회동기어(22)의 동력은 동력전달기어(15)를 통해 가동형 집게부(13)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동형 집게부(13)는 후크 본체(10)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집게 설치부(16)에 핀(17)을 매개로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동형 집게부(13)는 동력전달기어(15)와 피동기어(14) 간의 연결구조에 의해 핀(17)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고, 후크 본체(10)에 설치 및 해체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후크 본체(10)는 각종 대상물의 운반을 위해 미니 포크레인의 붐(1)의 단부에 장착되는 과정이 선행된다. 즉, 후크 본체(10)는 연결바(11)와 연결후크(2) 상호 간의 단순화된 연결구조에 의해 미니 포크레인에 대해 편리한 장착 혹은 해체 가능한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종래의 미니 포크레인에 별도의 집게를 설치시 발생되는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을 생략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크 본체(10)를 미니 포크레인에 장착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각종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는 집게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후크 본체(10)는 유압모터(20)의 동작시 모터축(21)에 형성된 회동기어(22)의 동력이 동력전달기어(15)를 통해 피동기어(14)로 전달되고, 가동형 집게부(13)는 피동기어(14)에 의해 핀(17)을 중심으로 후크 본체(10)와 가깝거나 멀어지도록 회동됨으로써, 고정형 후크부(12)와 가동형 집게부(13)에 의해 하나의 집게를 형성하여 각종 대상물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후크 본체(10)는 가동형 집게부(13)의 분리 후, 고정형 후크부(12)에 의해 단독적인 굴착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니 포크레인의 굴착 작업을 위해 별도의 장비로 새롭게 장착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는, 미니 포크레인에 고정형 후크부(12), 가동형 집게부(13) 및 유압모터(20)가 마련된 후크 본체(10)를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하여 하나의 집게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별도의 집게 설치 및 해체시 발생되는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이 배제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후크 본체
11: 연결바 12: 고정형 후크부
13: 가동형 집게부 14: 피동기어
15: 동력전달기어 16: 집게 설치부
17: 핀
20: 유압모터
21: 모터축 22: 회동기어

Claims (4)

  1. 미니 포크레인의 붐의 단부에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부의 일측에 고정형 후크부가 형성되고, 하부의 타측에 고정형 후크부와 대응되도록 가동형 집게부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본체; 및
    상기 후크 본체의 상부에 모터축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가동형 집게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기어가 마련되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본체는 가동형 집게부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회동기어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형 집게부는 동력전달기어의 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동력전달기어와 맞물리는 피동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본체는 하부의 타측에 집게부를 설치하기 위한 집게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집게 설치부에 핀을 매개로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의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 본체의 상부에는 연결후크와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결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KR1020210006273A 2021-01-15 2021-01-15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KR20220103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73A KR20220103534A (ko) 2021-01-15 2021-01-15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73A KR20220103534A (ko) 2021-01-15 2021-01-15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34A true KR20220103534A (ko) 2022-07-22

Family

ID=8260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273A KR20220103534A (ko) 2021-01-15 2021-01-15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5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54Y1 (ko) 2015-02-04 2015-04-02 김수철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KR101777364B1 (ko) 2016-09-30 2017-09-12 주식회사 휴먼레이저 쟁기날이 구비된 굴삭기용 집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54Y1 (ko) 2015-02-04 2015-04-02 김수철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KR101777364B1 (ko) 2016-09-30 2017-09-12 주식회사 휴먼레이저 쟁기날이 구비된 굴삭기용 집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5867A (en) Triple-purpose attachment
KR100930959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US3915501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impact rock-breaker
CA2037202C (en) Universal excavator with auxiliary tool supply means and bucket scraper
US4466494A (en) Implement with gripping arm assembly for a backhoe
CN108071133A (zh) 模块化地面接合工具系统
US3527362A (en) Crane attachment for backhoe
US6023863A (en) Frost hook attachment for back-hoe
KR20220103534A (ko) 미니 포크레인의 유압식 집게 구조
CN211340943U (zh) 全回转式多用途挖掘机铲斗
KR101742006B1 (ko) 굴삭기용 복합형 어태치먼트
KR102300610B1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JP2013241727A (ja) フロントローダ
JP2011026887A (ja) 杭引抜き用作業機
KR102513000B1 (ko) 미니 포크레인의 기계식 집게 구조
CN204530810U (zh) 铲斗连杆组件
KR102431480B1 (ko) 집게 유닛을 구비하는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101006305B1 (ko) 전자석을 이용한 굴삭기의 버켓체결장치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FI130509B (fi) Itseliikkuva työkone
JPH0235119A (ja) ショベル系掘削機の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
KR101542545B1 (ko)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CN214657312U (zh) 多功能铲斗装置和作业机械
JPH10195911A (ja) 建設機械の掘削混合撹拌装置
JP3677905B2 (ja) 建設機械の作業機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