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146A -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146A
KR20220103146A KR1020227020617A KR20227020617A KR20220103146A KR 20220103146 A KR20220103146 A KR 20220103146A KR 1020227020617 A KR1020227020617 A KR 1020227020617A KR 20227020617 A KR20227020617 A KR 20227020617A KR 20220103146 A KR20220103146 A KR 20220103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cast
mode
terminal
multicast service
uni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710B1 (ko
Inventor
전화 셰
옌샤 장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관련 출원의 상호 인용]
본 개시는 2020년 1월 2일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No.202010001920.0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개시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서비스는 유니캐스트 서비스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고,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사용자 가입 과정을 정의하였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치는 직접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신할 수 있다.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에서, 현재 아직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NR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토론하지 않았고,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을 구현하는 것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었다.
NR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단말에 적용되고,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고,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한다.
제3 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며,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단말을 더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한다.
제5 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제1 단말을 더 제공한다.
제6 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를 멀티캐스트로 전환하는 요청을 수신하며;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NR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이 구현된다. 그리고, 유니캐스트를 멀티캐스트로 전환하는 요청을 통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어, 유니캐스트 모드로부터 멀티캐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차지하는 자원을 감소하고,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사용될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을 통해 다른 도면을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1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이고 전부가 아님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중의 용어 “포함하다”와 이들의 임의의 형식은, 이를 제외하지는 않게 포함되는 상황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이 포함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설비는 반드시 명확하게 이러한 단계와 유닛을 나열할 필요가 없고,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설비의 고유의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의 적어도 그 중의 하나를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의 A, 단독의 B 및 A가 B가 모두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는 예를 들고, 예증 또는 설명하는 것을 표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으로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에 비하여 더욱 바람직하거나 또는 더욱 장점을 갖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아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소개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이거나, 또는 향상된 롱텀에볼루션(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또는 차후 향상된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과 네트워크 장치(12)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말(11)은 사용자 장치 또는 기타 단말 측 장치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핸드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 단말 측 장치일 수 있고,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11)의 구체적인 유형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12)는 5G 기지국, 또는 차후 버전의 기지국,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 중의 기지국일 수 있거나, 또는 노드 B, 향상된 노드 B, 또는 송수신점(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또는 접근점(Access Point, AP),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기타 용어로 불릴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기만 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기술적 용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12)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 또는 보조 노드(Secondary Node, SN)일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지 5G 기지국을 예로 들었지만, 네트워크 장치의 구체적인 장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의 흐름도로서, 해당 방법은 제1 단말에 적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201 단계: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다.
202 단계: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네트워크 장치는 유니캐스트 모드를 사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또한 멀티캐스트 모드를 사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유니캐스트 모드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 중인 단말(즉 사용자) 수량이 비교적 적을 때, 네트워크 장치는 유니캐스트 모드를 통하여 각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로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방식은 실제 수요에 의하여 설정을 진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하기 어느 하나의 트리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방식1: 제2 단말이 제1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을 송신한다.
방식2: 어느 한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을 송신한다.
방식3: 네트워크 장치가 현재 유니캐스트 모드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 중인 단말 수량에 기반하여 트리거시킨다.
방식4: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을 요청하는 단말 수량에 기반하여 트리거시킨다.
상기 방식1에 대해, 상기 제2 단말은 제1 단말을 제외한 기타 단말로 이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2 단말이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흥미를 가질 때, 해당 제1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을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시킨다.
상기 방식2에 대해, 어느 한 제1 단말이 능동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로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을 송신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어느 한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한 경우, 네트워크 장치로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을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시킨다.
상기 방식3에 대해, 미리 프로토콜을 통하여 제2 미리 설정된 값을 정의할 수 있고, 현재 유니캐스트 모드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 중인 단말 수량이 해당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때,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시킨다.
상기 방식4에 대해,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단말의 총량을 통계할 수 있고, 총량이 제3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때,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시킨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한 두 개 방식을 결합시켜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방식1과 방식3에 기반하거나, 또는 방식1과 방식4에 기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식1과 방식3에 대응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때,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시키며; 또는 방식1과 방식4에 대응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때,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에 기반하여,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은 목표 모드에 따라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나머지 서비스 데이터(또는 나머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속하여 유니캐스트 모드로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멀티캐스트 모드와 유니캐스트 모드로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단지 유니캐스트 모드에 따라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은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 수신을 시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또한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은 응용 계층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고,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한다. 이로써 NR 시스템 중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을 구현한다. 그리고,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통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모드를 개변시킬 수 있어, 유니캐스트 모드로부터 멀티캐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차지하는 자원을 낮추고,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에 따라, 상기 목표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목표 모드를 결정하고, 또한 목표 모드를 결정한 후,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면, 목표 모드에 멀티캐스트 모드가 포함된다고 결정한다. 나아가, 목표 모드는 또한 유니캐스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할 때, 목표 모드에 유니캐스트 모드가 포함된다고 결정한다.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결정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모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또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정상적인 수신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종 유니캐스트 모드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목표 모드는 유니캐스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목표 모드는 멀티캐스트 모드와 유니캐스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 정보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리스트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의 방식을 통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의 단말로 MBMS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단말은 해당 MBMS 리스트에 기반하여 해당 단말이 지정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네트워크 장치와 제1 단말의 이해의 일치성을 향상시켜, 더욱 잘 유니캐스트 모드로부터 멀티캐스트 모드로 전환의 목적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단말은 또한 하기 각 상황에 따라 상응한 단말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바, 아래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에 기반하여 또한 네트워크 장치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현재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제1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바, 이때 상기 목표 모드에 멀티캐스트 모드와 유니캐스트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은, 또한 제1 응답 메시지는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제1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은, 또한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에 대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전송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 등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단말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에 대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에 기반하여,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는 제1 단말의 수량 값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수량 값과 제1 미리 설정된 값의 크기 관계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량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때, 상기 전송 모드에 멀티캐스트 모드가 포함된다고 결정한다. 해당 제1 미리 설정된 값은 프로토콜이 약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자체로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진일보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한 경우, 제1 단말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지만,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링크(즉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가 아직 구축되지 않았다면, 제1 단말은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과정을 개시하여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할 것을 요청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이 재차 제2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을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할 것을 요청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치와 제1 단말의 이해의 일치성을 향상시켜, 네트워크 장치의 유니캐스트 모드를 멀티캐스트 모드로 전환에 대한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셀 시스템 메시지에 포함된 목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에 대응되는 수신 방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킬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을 해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 후,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기 때문에,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자원 점용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때, 유니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하나의 타이머를 유지할 수 있는 바, 만일 타이머 작동 기간 내에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를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 해당 타이머를 가동시키고,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고, 제1 단말이 아직 멀티캐스트 모드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유니캐스트 모드로부터 멀티캐스트 모드로 전환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를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고, 더는 계속하여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시도하지 않는다.
나아가,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제1 단말은 또한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킬 것을 요청하여,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자원 점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직접 지시 정보를 통하여 제1 단말의 수신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모드(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결정한 후, 상기 제1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 또는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지시 정보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내에 위치하는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 또는 유니캐스트 모드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은 하기 행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멀티캐스트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기 때문에, 멀티캐스트 모드가 차지하는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유니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유니캐스트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 지시 정보를 통하여 제1 단말이 유니캐스트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지시하기 때문에, 제1 단말이 재차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시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의 일치성을 확보하고, 제1 단말의 전기량 소모를 낮출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하는 제1 단말은 줄곧 유니캐스트 모드를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하는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환될 때, 또한 재차 멀티캐스트 모드로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전부 또는 일부 제1 단말이 유니캐스트 모드로부터 멀티캐스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개시를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현 과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301 단계: 유니캐스트 방식을 통하여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서비스1을 수신하는 사용자 수량이 비교적 적으면, 컨텐츠 제공업자(Content Provider)는 유니캐스트 방식을 통하여 복수의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302 단계: 제2 단말이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을 개시한다. 다시 말하면, 제2 단말은 어느 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흥미를 가지면,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서비스1이 유니캐스트 방식을 통하여 제공 중이고, 새 사용자 단말(즉 제2 단말)은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과정을 개시하여 멀티캐스트 세션에 가입할 것을 요청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은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은 멀티캐스트 서비스 정보(예를 들면 Multicast IP 또는 멀티캐스트 그룹 아이디(Temporary Mobile Group Identifier, TMGI))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단말은 또한 유니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바, 해당 유니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메시지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여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유니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 구축 요청 메시지(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으로 이해할 수 있다.
303 단계: 컨텐츠 제공업자(즉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 Broadcast Service, MBS) 컨텐츠 제공업자)가 어느 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유니캐스트 제공 방식으로부터 멀티캐스트 제공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 중이거나 수신 요청한 단말 총 수량을 통계하는 것을 통하여 판단하는 바, 만일 사용자 총 수량이 미리 설정된 역치를 초과하면, 유니캐스트 제공 방식으로부터 멀티캐스트 제공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한다.
304 단계: 컨텐츠 제공업자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 중인 제1 단말로 유니캐스트 수신 모드에서 멀티캐스트 수신 모드로 전환할 것을 요청한다. 해당 요청 정보는 응용 계층 데이터를 통하여 요청한 것일 수 있다.
305 단계: 유니캐스트로 수신하는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이 그 주변 셀의 시스템 메시지를 검출하는 것을 통하여 셀이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셀 시스템 메시지가 이가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지시하면, 제1 단말은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306 단계: 선택적으로, 만일 유니캐스트로 수신하는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것을 검출하면,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과정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지만,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링크가 아직 구축되지 않았다면, 제1 단말은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과정을 개시하여 멀티캐스트 채널을 구축할 것을 요청한다.
307 단계: 선택적으로, 만일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것을 검출하면, 모드 전환 요청에 응답한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또한 유니캐스트를 멀티캐스트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하면, 유니캐스트 수신 모드를 멀티캐스트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동의한다고 답변하는 바, 제1 단말은 응용 계층(예를 들면 IP 리포트)을 통하여 모드 전환 요청에 답변할 수 있다.
308 단계: 컨텐츠 제공업자가 제1 단말의 모드 전환 응답을 수신하고, 정식으로 유니캐스트로부터 멀티캐스트로 전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수신한 모드 전환 응답 총 수량에 기반하여 판단하는 바, 만일 총 수량이 미리 설정된 역치를 초과하면, 정식으로 유니캐스트로부터 멀티캐스트로 전환하기로 결정한다.
309 단계: 제1 단말이 유니캐스트 방식을 통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아울러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를 대기한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측이 제공한 멀티캐스트 수신 방법에 의하여 특정의 시간-주파수 위치(만일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이 시스템 메시지에서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수신 방법을 지시하면, 제1 단말은 셀의 시스템 메시지를 읽는 것을 통하여 어떻게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알게 됨)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310 단계: 멀티캐스트 모드를 통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해제한다. 만일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측이 제공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수신 방법을 통하여 특정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면,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유니캐스트 제공 방식으로부터 멀티캐스트 제공 방식으로 전환한 것으로 판단하고, PDU 세션 해제 과정을 개시하여 유니캐스트 링크를 해제할 것을 요청한다. 추가적으로, 제1 단말이 RRC 연결 해제 과정을 개시하여 아이들 상태로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바, 예를 들면 제1 단말은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 외 수신하여야 하는 기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없으면, RRC 연결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할 것을 요청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또한 하나의 타이머를 유지할 수 있는 바, 만일 타이머 작동 기간 내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단말은 여전히 유니캐스트 수신 방식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은 모드 전환 응답 요청을 송신한 후, 하나의 타이머를 가동시키고,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고, 제1 단말이 아직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가 유니캐스트 제공 방식을 멀티캐스트 제공 방식으로 전환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제1 단말은 계속하여 유니캐스트 수신 방식을 유지하고, 더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시도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단말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유니캐스트 모드로부터 멀티캐스트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고, 제1 단말은 PDU 세션 해제 과정을 개시하여 유니캐스트 링크를 해제할 것을 요청하거나 또는 RRC 연결 해제 과정을 개시하여 아이들 상태로 진입할 것을 요청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 나머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정식으로 유니캐스트 제공 방식으로부터 멀티캐스트 제공 방식으로 전환한 것을 지시하면, 제1 단말은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유니캐스트 링크를 해제하고,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계속하여 유니캐스트 모드로 제공할 것을 지시하면, 제1 단말은 계속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단말 나머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계속하여 유니캐스트 모드로 제공할 것을 지시하면, 제1 단말은 계속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유지하고, 더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시도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더는 멀티캐스트 자원 위치를 검출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로서, 해당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401 단계: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바,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제2 단말이 송신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제1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을 수신할 때,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은,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유니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중의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니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은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에 대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전송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제1 응답 메시지이며,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제2 응답 메시지이며,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제2 응답 메시지이며,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목표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는 제1 단말의 수량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량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때, 상기 전송 모드에 멀티캐스트 모드가 포함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모드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 또는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실시방식으로서, 그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이루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제1 단말의 구조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500)은,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며;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제1 수신 모듈(50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500)은,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에 따라 상기 목표 모드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을 송신하는 제5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6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때, 유니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서,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인 제7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3 수신 모듈;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인 제8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멀티캐스트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500)은,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유니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4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유니캐스트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은 도 2의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이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600)는,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바,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제1 송신 모듈(60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송신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제2 단말이 송신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제1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을 수신할 때,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은,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유니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중의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니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은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600)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에 대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5 수신 모듈;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전송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제9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제1 응답 메시지이며,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제2 응답 메시지이며,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제2 응답 메시지이며,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는 제1 단말의 수량 값을 결정하며; 상기 수량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때, 상기 전송 모드에 멀티캐스트 모드가 포함된다고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600)는,
상기 목표 모드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하는 구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600)는,
상기 제1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 또는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제10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600)는,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는 도 4의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일 제1 단말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도로서, 해당 제1 단말(700)은 무선 주파수 유닛(701), 네트워크 모듈(702), 오디오 출력 유닛(703), 입력 유닛(704), 센서(705), 디스플레이 유닛(706), 사용자 입력 유닛(707), 인터페이스 유닛(708), 메모리(709), 프로세서(710) 및 전원(711)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도 7에 도시된 제1 단말 구조가 제1 단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제1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장치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며;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710)와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도 2의 방법 실시예 중의 제1 단말이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신 과정의 신호의 수신과 송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온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710)로 전송하여 처리를 진행하며;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702)을 통하여 사용자를 위하여 무선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를 도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 접속하며, 스트림 미디어를 접속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703)은 무선 주파수 유닛(701) 또는 네트워크 모듈(7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7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고 또한 소리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703)은 또한 제1 단말(700)이 실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703)은 스피커, 부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7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유닛(7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7041)와 마이크(7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7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가 취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한다. 처리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706)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미지 처리장치(7041)의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7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701) 또는 네트워크 모듈(702)을 거쳐 송신을 진행한다. 마이크(7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 후의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 무선 주파수 유닛(701)을 거쳐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는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된다.
제1 단말(700)은 또한 적어도 한 가지 센서(705)를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 센서는 환경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바, 여기서, 환경 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7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제1 단말(700)이 귀가로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7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닫을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 상(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탐지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탐지할 수 있으며, 제1 단말 자세(예를 들면 가로/세로 스크린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조절),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를 들면 계보기, 두드림) 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센서(7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유닛(7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706)은 디스플레이 패널(7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7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7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제1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 입력 유닛(707)은 터치 패널(7071) 및 다른 입력 장치(7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7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칭하고, 사용자의 그 위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7071) 상 또는 터치 패널(7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7071)은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또한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며,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전송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전환시켜, 다시 프로세서(71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710)가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 및 실행한다. 그리고, 저항식, 전기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 음파 등 여러 유형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7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7071) 외, 사용자 입력 유닛(707)은 또한 다른 입력 장치(7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른 입력 장치(7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진일보로, 터치 패널(7071)은 디스플레이 패널(7061) 상에 커버될 수 있고, 터치 패널(7071)이 그 위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7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하고, 그 후 프로세서(710)가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7061) 상에서 상응한 시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7에서 터치 패널(7071)과 디스플레이 패널(7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제1 단말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였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7071)과 디스플레이 패널(7061)을 집적시켜 제1 단말의 입력과 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여기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708)은 외부 장치와 제1 단말(700)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7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입력을 제1 단말(7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또는 제1 단말(700)과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7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09)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저장 구역과 데이터 저장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구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사운드 플레이 기능, 이미지 플레이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구역에는 핸드폰의 사용에 따라 구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통신록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709)는 고속 무작위 접속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기억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기억 소자이다.
프로세서(710)는 제1 단말의 제어 센터로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와 선로를 이용하여 전체 제1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709)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 또는 실행하며, 메모리(70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제1 단말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7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여기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7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단말(700)은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711)(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원(7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7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700)은 일부 도시되지 않은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제1 단말을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710), 메모리(709), 메모리(7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에 관한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800)는 프로세서(801), 송수신기(802), 메모리(803)와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송수신기(802)는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바,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801)와 송수신기(802)는 도 4의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서, 버스 구조는 임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와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프로세서(801)가 대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803)가 대표하는 메모리의 여러 가지 회로로 한데 연결된다. 버스 구조는 또한 예를 들면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와 전력 관리 회로 등 여러 가지 기타 회로를 한데 연결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은 모두 당업계의 공지의 상식이기 때문에 본문에서는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02)는 복수의 소자일 수 있는 바,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고, 전송 매체 상에서 기타 여러 가지 기타 장치와 통신을 제공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804)는 또한 필요한 장치를 내부 연결/외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연결하는 장치에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801)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적인 관리를 책임지고, 메모리(803)는 프로세서(801)가 조작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801), 메모리(803), 메모리(803)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에 관한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에 관한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거나, 또는 해당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측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에 관한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설비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기지국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의 힌트 하에서 본 개시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0)

  1. 제1 단말에 적용되고,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에 따라, 상기 목표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2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킬 것을 요청하기 위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받지 못할 때, 유니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 멀티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받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멀티캐스트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모드가 유니캐스트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받을 때, 상기 유니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유니캐스트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14.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고,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목표 모드는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제2 단말이 송신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제1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을 수신받을 때,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캐스트 세션 가입 요청은,
    멀티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휴대한 유니캐스트 세션 구축 요청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에 대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응답 메시지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응답 메시지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외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응답 메시지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목표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멀티캐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에 동의하는 제1 단말의 수량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량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때, 상기 전송 모드에 멀티캐스트 모드가 포함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모드가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제1 단말이 멀티캐스트 모드 또는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모드 데이터 채널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것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유니캐스트 모드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
  26.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송신한,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며,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단말.
  27. 제1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을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니캐스트에서 멀티캐스트로의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목표 모드에 따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목표 모드는 유니캐스트 모드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8.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제1 단말.
  29.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네트워크 장치.
  3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20617A 2020-01-02 2020-12-31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KR102615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01920.0A CN113067793B (zh) 2020-01-02 2020-01-02 多播业务的传输方法、传输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202010001920.0 2020-01-02
PCT/CN2020/141913 WO2021136473A1 (zh) 2020-01-02 2020-12-31 多播业务的传输方法、传输处理方法及相关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146A true KR20220103146A (ko) 2022-07-21
KR102615710B1 KR102615710B1 (ko) 2023-12-19

Family

ID=7655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617A KR102615710B1 (ko) 2020-01-02 2020-12-31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22050A1 (ko)
EP (1) EP4087283A4 (ko)
JP (1) JP7377366B2 (ko)
KR (1) KR102615710B1 (ko)
CN (1) CN113067793B (ko)
WO (1) WO20211364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29A1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Mcpt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8544B (zh) * 2019-11-07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设备
CN115827284B (zh) * 2023-02-20 2023-07-21 北京象帝先计算技术有限公司 片上系统、电子组件、电子设备和传输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8204A (zh) * 2015-03-17 2015-09-16 华中科技大学 一种lte中的单播多播转换控制方法
CN109982266A (zh) * 2017-12-28 2019-07-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产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63260B (zh) * 2006-10-14 2011-04-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承载变化的系统、装置和方法
CN102158918B (zh) * 2010-02-12 2013-12-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网络跨区切换方法和系统
US9226265B2 (en) * 2011-04-15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Demand-bas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anagement
US9826502B2 (en) * 2011-07-25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handoff triggering between unicast and multicast services
US9030988B2 (en) * 2012-06-29 2015-05-12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multicast/broadcast and unicast service
CN108781479B (zh) * 2016-03-31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播传输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7167648A1 (en) * 2016-03-31 2017-10-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O2019223005A1 (en) * 2018-05-25 2019-11-28 Qualcomm Incorporated Mixed mode multicast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8204A (zh) * 2015-03-17 2015-09-16 华中科技大学 一种lte中的单播多播转换控制方法
CN109982266A (zh) * 2017-12-28 2019-07-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产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29A1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Mcpt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6473A1 (zh) 2021-07-08
CN113067793A (zh) 2021-07-02
JP7377366B2 (ja) 2023-11-09
KR102615710B1 (ko) 2023-12-19
CN113067793B (zh) 2022-08-12
EP4087283A1 (en) 2022-11-09
US20220322050A1 (en) 2022-10-06
JP2023508739A (ja) 2023-03-03
EP4087283A4 (en)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5710B1 (ko)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WO2019214706A1 (zh) 接入控制方法、消息广播方法及相关设备
US20230041176A1 (en) Paging response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20169028A1 (zh) 副链路组播通信的配置方法和终端
WO2021027921A1 (zh) 切换配置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20199919A1 (zh) 上报方法、配置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1836311B (zh) 能力协商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20220322051A1 (en) Multicast service processing method, multicast service configur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US20220053585A1 (en) Method for pc5 link establishment, device, and system
US20220141734A1 (en) Network switching method
WO2021190589A1 (zh) 业务的接收方法、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EP3499857B1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301509B (zh)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1836210B (zh) 多媒体多播广播业务的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JPWO2021136473A5 (ko)
CN110944086B (zh) 一种通话保持方法及电子设备
CN111800879B (zh) Mbms、单播数据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WO2020244479A1 (zh) 连接管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163343A (zh) 一种计数方法、设备及系统
CN113453160A (zh)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