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47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478A
KR20220102478A KR1020210004858A KR20210004858A KR20220102478A KR 20220102478 A KR20220102478 A KR 20220102478A KR 1020210004858 A KR1020210004858 A KR 1020210004858A KR 20210004858 A KR20210004858 A KR 20210004858A KR 20220102478 A KR20220102478 A KR 2022010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ir
heat exchanger
inle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식
서기원
문성국
최우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478A/ko
Priority to CN202111564779.6A priority patent/CN114763930B/zh
Publication of KR2022010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열교환기와 마주하는 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송풍입구가 형성되며 토출구와 마주하는 측면에 송풍출구가 형성되는 내측하우징 및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가 송풍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내측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돌기를 구비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의 흡입부에서 발생되는 유동박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천장형, 벽걸이형 및 스탠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토출구가 캐비닛의 전면이나 측면에 형성되고, 흡입구가 캐비닛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캐비닛의 양측에 구비된 토출구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5738호, 공개일자: 2011년 05월 04일, 발명의 명칭: 멀티 토출형 에어컨)은, 실내열교환기를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본체 내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을 구비한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실내열교환기를 감싸도록 프레임에 고정되며, 실내열교환기에서 형성된 냉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유로가이드부재 및 유로가이드부재에서 유도된 냉기를 전면으로 토출하는 상부토출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부토출케이스로 안내하는 별도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지 못하므로,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상부토출구로 이동하는 기류 중에 일부가 상부토출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며 토출되는 공기 흐름에 함께 하지 못하고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선행기술의 실내열교환기와 상부토출구 사이에서 토출기류의 유동박리가 발생하므로, 압력손실에 의한 유동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행기술은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차가운 기류가 상부토출케이스의 외측으로 토출되지 못하고 상부토출케이스의 내측에 머물며 순환하므로, 상부토출케이스의 외측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기술은 상부토출케이스의 외측에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토출케이스의 내측에 별도의 단열재를 설치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부토출케이스로 안내하는 별도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토출기류의 박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열교환기와 상부토출구 사이에서 발생되는 토출기류의 유동박리로 인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토출케이스의 내측에 머무는 냉각기류로 인해 상부토출케이스의 외측에 이슬맺힘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토출케이스의 내측에 별도의 단열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상부토출케이스의 외측에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에어가이드를 통해 송풍모듈부로 이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의 출구와 송풍모듈부의 입구가 에어가이드에 의해 연결되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모듈부로 이동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에어가이드로 이동될 때 유동박리에 의한 유동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곡면을 형성하는 에어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므로, 열교환기에서 송풍모듈부의 입구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박리를 감소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 기류에 의해 캐비닛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의 전열면적과 송풍모듈부의 송풍입구 사이에 에에가이드가 설치되므로 송풍기류의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케비닛의 내측에서 송풍기류의 유동 박리에 의한 와류 발생을 감소시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가 후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전면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모듈부 및 열교환기와 송풍모듈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모듈부의 송풍입구로 안내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어셈블리와 도어 어셈블리와 열교환 어셈블리와 송풍모듈부와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모듈부는, 캐비닛의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 및 전방송풍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며 캐비닛의 양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방송풍모듈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와 상기 캐비닛은 이격되며, 에어가이드와 캐비닛의 사이에는 단열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에어가이드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입부와, 가이드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송풍입구로 안내하는 가이드배출부 및 가이드유입부와 가이드배출부를 연결하는 가이드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유입부의 폭방향 길이는, 열교환기의 폭방향 길이 보다 크거나 같다. 또한 가이드유입부는 사각형 또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가이드유입부와 상기 열교환기는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유입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부는, 가이드배출부와 연결되며 송풍모듈부와 마주하는 지지몸체 및 지지몸체와 가이드유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부는, 가이드배출부와 연결되며 송풍모듈부와 마주하는 지지몸체와, 지지몸체의 테두리와 가이드유입부를 연결하는 연결테두리 및 연결테두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배출부로 안내하는 내측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부는, 연결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요철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배출부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배출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가이드몸체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는, 가이드배출부가 복수로 구비되는 제1에어가이드와, 제1에어가이드의 하측에 연이어 설치되며 가이드배출부가 복수로 구비되는 제2에어가이드 및 제1에어가이드와 제2에어가이드의 경계에 설치되며 제1에어가이드와 제2에어가이드 사이의 공기 이동을 차단하는 에어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는, 지지몸체에서 열교환기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에어가이드의 내측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에어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에어가이드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가이드배출부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전방송풍모듈 및 전방송풍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는 측방송풍모듈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가 후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전면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모듈부 및 열교환기와 송풍모듈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모듈부의 송풍입구로 안내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가 에어가이드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유입통로부와, 유입통로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송풍입구로 안내하는 배출통로부와, 유입통로부와 배출통로부를 연결하는 연결몸체부 및 연결몸체부에서 송풍모듈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송풍모듈부의 외측에 접하는 서포트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입통로부는, 열교환기의 외측에 위치하는 통로격벽 및 통로격벽과 연결몸체부를 연결하며 통로격벽과 단차를 이루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지지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격벽은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며, 연결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브라켓은, 연결몸체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서포트다리 및 서포트다리를 연결하며 송풍모듈부의 외측 곡면 형상을 따라 오목한 장착홈부를 구비하는 서포트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브라켓은 연결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에어가이드를 따라 송풍모듈부로 안내되어 토출기류의 유동박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박리 현상의 감소로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와 캐비닛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부에 의해 캐비닛에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와 캐비닛 사이에 이슬맺힘 방지를 위한 별도의 단열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에어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에어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에어가이드와 제2에어가이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가 제1송풍모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와 제1송풍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가 제1송풍모듈과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가 제1송풍모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가 제1송풍모듈과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전체구성]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1)의 실내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캐비닛(11)어셈블리와 도어 어셈블리(40)와 열교환 어셈블리(70)와 송풍모듈부(80)와 에어가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1)는, 공기조화기(1)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어셈블리(10), 캐비닛 어셈블리(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방토출구(15) 및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토출구(14)를 개폐하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어 어셈블리(40), 캐비닛 어셈블리(10)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모듈부(80), 송풍모듈부(8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어셈블리(70), 캐비닛 어셈블리(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800) 및 열교환 어셈블리(70)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모듈부(8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300)를 포함한다.
[캐비닛 어셈블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어셈블리(10)는, 흡입구(12)와 토출구(13)를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30) 및 캐비닛(11)의 상측에 설치되는 탑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1)은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12)가 후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13)가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1)은, 후방으로 흡입구(12)를 형성하고, 내측에 열교환기(71)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몸체(20)와, 캐비닛몸체(20)의 개구된 전면에 배치되는 프런트캐비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몸체(20)의 개구된 전면에는 프런트캐비닛(22)이 배치되며, 캐비닛몸체(20)의 개구된 상면에는 탑커버(34)가 배치된다. 캐비닛몸체(20)의 내부에 열교환기(71)와, 전방송풍모듈(82)과, 측방송풍모듈(9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구성물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캐비닛몸체(20)의 내측에는 열교환기(71)가 장착되는 열교환기(71) 장착부재(미도시)와, 전방송풍모듈(82)이 장착되는 전방송풍 장착부재(미도시)와, 측방송풍모듈(90)이 장착되는 측방송풍 장착부재(미도시)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몸체(20)의 후방에는 흡입구(12)가 형성되며, 흡입구(12)에는 필터 어셈블리(80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800)는, 캐비닛몸체(20)의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8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0)는 캐비닛몸체(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베이스부(30)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30)와 캐비닛몸체(20)의 전면에 프런트캐비닛(22)이 배치된다. 프런트캐비닛(22)은 실내기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방송풍모듈(82)과 마주하는 프런트캐비닛(22)에는 전방토출구(15)가 형성된다. 열교환 어셈블리(70)에 의해 열교환이 완료된 공기가 전방송풍모듈(82)에 의해 가속되어 전방토출구(15)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프런트캐비닛(22)에는, 실내공간의 조건을 감지하는 카메라센서(32)가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센서(32)는 프런트캐비닛(22)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조건이란, 실내공간의 크기,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수, 재실자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
도어 어셈블리(40)는, 프런트캐비닛(22)에 형성되는 전방토출구(15)를 개폐하고 전방토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방 도어모듈(45)과, 캐비닛(1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토출구(14)를 개폐하는 측면 도어모듈(50)과, 측면토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히든 베인모듈(60)을 포함한다.
전방 도어모듈(45)은, 전방토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폐쇄하는 최후방 위치와,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최전방 위치 사이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한다.
전방 도어모듈(45)이 최전방 위치로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지향기류를 생성하는 운전 모드는, 간접풍 운전모드와 구분되어 직접풍 운전모드로 설정된다.
전방 도어모듈(45)은 최후방 위치와 최전방 위치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면맞춤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면맞춤 위치는, 전방 도어모듈(45)의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46)이 프런트캐비닛(22)의 전방면과 대략 동일 평면이 되는 위치이다.
면맞춤 위치에 전방 도어 모듈이 정지되면, 전방 도어모듈(45)의 외면의 형상에 의해 전방토출구(15)로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이 아닌 전방토출구(15)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운전모드는 간접풍 운전모드로 규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모듈의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46)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유닛(미도시)에 의해 생성되는 빛은 아우터패널(46)을 거쳐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46)은, 사용자에게 실내기의 운전 상태, 실내기 주변의 공기질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게 된다.
측면 도어모듈(50)은, 캐비닛 어셈블리(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토출구(14)를 개폐하는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측면 도어모듈(50)은, 실내기가 전체적으로 작동이 중단된 상태 및 실내기의 전방송풍모듈(82)만 작동되는 상태와 같이 측방송풍모듈(90)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14)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측방송풍모듈(90)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 도어모듈(50)이 측면토출구(14)를 패쇄하므로, 측면토출구(14)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캐비닛(11)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캐비닛(11)의 내부로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 도어모듈(5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면토출구(14)를 개폐하는 한 쌍의 측면 도어(52)와, 각각의 측면 도어(52)에 구동력을 생성하는 측면 도어 구동부(54)와, 각각의 측면 도어(52) 및 측면 도어 구동부(54)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프레임(56)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도어(52)는, 측면토출구(14)를 완전히 폐쇄하는 최전방 위치로부터, 측면토출구(14)를 완전히 개방하는 최후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사용자에 대한 심미감을 형성하고 프런트캐비닛(22)과 캐비닛몸체(20)에 대한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측면 도어(52)는 캐비닛 어셈블리(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소정의 폭으로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측면 도어(52)의 외면은 캐비닛몸체(20)과 프런트캐비닛(22)과 동질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 도어 구동부(54)는 전동방식으로 측면 도어(52)를 구동한다. 또한 측면 도어 구동부(54)는, 기어모터와, 기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선형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모터는, 고정부재에 해당하는 서포트프레임(56)에 고정되어 있으며, 피니언기어에 기어물림되는 랙기어는 측면 도어(52)의 내측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52)는 캐비닛 어셈블리(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측면 도어(52)의 폭에 비해서 높이가 매우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 구동부만으로는 개별 측면 도어(52)를 효과적으로 구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개별 측면 도어(52)에 대해서 각각 2개씩 측면 도어 구동부(54)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도어 구동부(54)는 측면 도어(52)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프레임(56)은 측면 도어(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캐비닛몸체(20)과 프런트캐비닛(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프레임(56)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토출구(14)가 형성된다.
측면토출구(14)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측면 베인(214)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베인(214)은, 서포트프레임(5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측면 베인(214)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캐비닛(11)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히든 베인모듈(60)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복수의 측면 베인(214)에 의해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지향기류는 전방방향에 대해서 약 25도 내외의 유효 토출각을 갖는 토출기류로서 규정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프레임(56)에 구비되는 측면 베인(21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베인이 서포트프레임(56)이 아닌 다른 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측면 베인(214)이 후술하는 측방송풍모듈(9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포트프레임(56)에 측면 베인(214)이 구비되고, 내측하우징에 측면 베인(214)이 동시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히든 베인모듈(60)은 측면토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전방지향기류를 측방지향기류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14)에 배출되는 공기는 서포트프레임(56)의 측면 베인(214) 또는 토출가이드(190)의 측면 베인(214)에 의해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히든 베인모듈(60)은 전방지향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베인으로서 역할을 한다. 전방지향기류의 방향 전환은, 측면토출구(14)의 전방 측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히든 베인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
보다 상세히는, 히든 베인모듈(60)의 히든 베인은 측방송풍모듈(90)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 중일 경우에는 프런트캐비닛(22)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히든 베인은 측면토출구(14)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지향기류가 유지된다.
다만, 직접풍 모드로부터 간접풍 모드로 전환을 위해서 히든 베인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면, 히든 베인은 전술한 수납 위치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개시된다. 수평 이동이 개시되면, 히든 베인은 최종 전개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된 후 정지된다.
히든 베인이 최종 전개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되면, 측면토출구(14)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히든 베인에 의해서 저항을 받게 되고, 특히 측면토출구(14)의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는 직접적으로 히든 베인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다.
이 때, 측면토출구(14)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가장 빠르다. 따라서 히든 베인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후방 측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에 의해서 측면토출구(14)를 통과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캐비닛(11)의 양측에 구비된 측면토출구(14)는, 좌측면토출구(14)와 우측면토출구(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좌측면토출구(14) 및 우측면토출구(14)에 대응하여 각각 좌측 히든 베인(62) 및 우측 히든 베인(64)이 한 개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좌측 히든 베인(62) 및 우측 히든 베인(64)이 각각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히든 베인 구동부(미도시)는 전동방식으로 히든 베인을 구동할 수 있도록 기어모터와, 기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미도시)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선형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모듈부]
송풍모듈부(80)는, 열교환기(71)의 전면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13)를 향한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80)는, 캐비닛(11)의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82) 및 전방송풍모듈(82)의 하측에 위치하며 캐비닛(11)의 양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80)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전방송풍모듈(82)과 3개의 측방송풍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82)과 측방송풍모듈(90)은 열교환 어셈블리(7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82)은 측방송풍모듈(9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전방송풍모듈(82)은 프런트캐비닛(22)에 형성된 전방토출구(15)로 공기를 토출한다.
전방송풍모듈(82)은, 전방송풍팬(84), 전방송풍모터(도시생략), 전방송풍팬하우징(86) 및 전방하우징부(8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방송풍모듈(82)은, 전방송풍하우징과 전방하우징부(87) 및 전방 도어모듈(45)로 인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의 원거리로 배출되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되거나 공기가 전방토출구(15)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간접풍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전방하우징부(87)와 전방송풍팬하우징(86)의 사이에 전방송풍팬(8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가이드(300)를 따라 전방송풍팬하우징(86)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방송풍팬(84)의 동작에 의해 전방토출구(15)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측방송풍모듈(9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측방송풍모듈(90)은 전방송풍모듈(82)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90)은 복수 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90) 각각은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토출구(14)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90)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제1송풍모듈(92)과 제2송풍모듈(94)과 제3송풍모듈(9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모듈(92)은 전방송풍모듈(82)의 하측에 연이어 설치된다. 제2송풍모듈(94)과 제3송풍모듈(96)은 제1송풍모듈(92)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1송풍모듈(92)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송풍모듈(92)은, 송풍팬과 내측하우징과 측방송풍모터(220)를 포함한다.
측방송풍모듈(90)은 열교환기(71)의 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에어가이드(300)를 통해 흡입한다. 그리고 측방송풍모듈(90)을 통과한 공기는 측면토출구(14)를 통해 캐비닛(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9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측면토출구(14) 또는 토출가이드(190)에 설치된 측면 베인(214)에 의해 토출기류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14)의 측면 베인(214) 또는 토출가이드(190)의 측면 베인(214)에 의해 결정되는 기류를 전방지향기류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열교환 어셈블리]
열교환 어셈블리(70)는 캐비닛(11)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교환 어셈블리(70)는, 캐비닛(11)의 내측에 위치하며, 흡입구(12)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71)와, 열교환기(71)로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72)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71)는 캐비닛(11)의 내측에 위치하며, 흡입구(12)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열교환기(71)는 송풍모듈부(80)의 후방에 배치된다. 열교환기(71)는 흡입구(12)와 토출구(13)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기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71)는 필터 어셈블리(800)와 송풍모듈부(80)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열교환기(71)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90)과, 전방송풍모듈(82)이 상하로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
필터 어셈블리(800)는 흡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 어셈블리(800)는 캐비닛(11)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800)는 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12)에 배치되어, 흡입구(12)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800)는 흡입구(12)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810)을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800)의 필터모듈(810)은 흡입구(12)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810)은, 캐비닛몸체(20)의 흡입구(12) 좌측을 커버하는 제1필터모듈(812)과, 캐비닛몸체(20)의 흡입구(12) 우측을 커버하는 제2필터모듈(8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810)은, 흡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큰 먼지가 걸러지는 프리필터(820), 이온화부로 이온화된 공기 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부 및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810)은 프리필터(820)가 장착되는 필터케이스(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케이스(830)에는 프리필터(820)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된다. 필터케이스(830)는 프리필터(820)가 장착되는 면에서 수직리브(832)와 수평리브(83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리브(832)와 수평리브(834)는 서로 격자형태를 형성하며, 필터케이스(8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프리필터(820)는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필터모듈(810)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의 세부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8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모듈부(80)는 전방송풍모듈(82)과 측방송풍모듈(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측방송풍모듈(90)은 제1송풍모듈(92)과 제2송풍모듈(94)과 제3송풍모듈(9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모듈(92)은, 송풍팬과 내측하우징과 측방송풍모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은 열교환기(71)의 전면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13)를 향한 방향으로 송풍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9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측방송풍모듈(9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3개의 모듈을 포함한다. 이들 3개의 모듈은 배치되는 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이며,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열교환기(71)를 거친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토출구(14)를 통해 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90)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제1송풍모듈(92)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송풍모듈(92)에 설명되는 내용은 제2송풍모듈(94)과 제3송풍모듈(96)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송풍팬]
송풍팬은 내측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토출구(13)를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은, 내측하우징의 중심에 위치하며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송풍팬으로 사류팬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일 뿐 다른 종류의 팬도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내측하우징]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하우징은 송풍팬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열교환기(71)와 마주하는 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송풍입구(152)가 형성된다. 또한 내측하우징은 캐비닛(11)의 토출구(13)와 마주하는 측면에 송풍출구(19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출구(192)는 내측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내측하우징은, 송풍팬하우징(150)과 토출가이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를 통해 내측하우징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며,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송풍팬하우징]
송풍팬하우징(150)은 송풍팬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형을 형성하는 송풍입구(152)와 비원형으로 이루어진 전방배출구(15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하우징(150)의 내측면에는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 에어가이드면(160)이 형성된다.
송풍팬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팬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방향을 1차적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하우징(150)은 송풍팬의 후방에 위치하며, 토출가이드(190)는 송풍팬의 전방에 위치한다. 송풍팬하우징(150)과 토출가이드(190)는 송풍팬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에 적용되는 송풍팬은, 회전축이 캐비닛(11)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사류팬을 송풍팬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사류팬이 적용된 송풍팬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회전속도 성분을 가진 상태로, 대략 회전축에 수직한 사선방향으로 배출된다. 송풍팬하우징(150)은 이와 같이 회전축에 수직한 사선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방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하우징(150)은 송풍입구(152)가 원형이 되고, 전방배출구(154)는 사각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사각형상의 전방배출구(154)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송풍팬하우징(150)의 전방측에는 정사각형상의 전방배출구(154)를 구비하는 하우징베이스(1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원형으로 이루어진 송풍입구(152)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고리형상의 벨마우스(170)가 위치한다. 송풍팬의 입구돌기가 벨마우스(170)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송풍팬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공기 중의 일부가 송풍팬과 송풍팬하우징(15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송풍팬의 입구로 다시 돌아오는 공기의 회풍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벨마우스(170)는 송풍입구(152)와 마주하는 송풍팬하우징(150)의 내측에 환형으로 설치된다. 벨마우스(170)는 송풍팬에 구비된 입구돌기의 단부를 감싸는 오목한 형상의 종단면을 구비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벨마우스(170)는, 송풍팬하우징(150)의 중앙에 형성된 송풍입구(15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벨마우스(170)는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전방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벨마우스(170)는, 적어도 일부분이 송풍팬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벨마우스(170)는, 송풍팬의 입구에서 흡입 유동을 가이드함으로써, 제1송풍모듈(92)의 흡입, 토출 성능이 향상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벨마우스(170)와 연결된 제1 에어가이드면(160)의 후방은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므로, 벨마우스(17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마찰저항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공기 송풍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에어가이드면(160)은,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맴돌이 또는 와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고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곡면 형상의 돔 모양을 갖는다.
팬수용부의 내측면에 의해서 유동방향이 전환된 공기의 유동은 소정의 회전속도 성분을 가진 상태로 1차적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되고, 2차적으로 토출가이드(190)에 의해서 측면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다.
따라서 제1 에어가이드면(160)의 내측면은, 회전하면서 송풍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압력이 회복될 수 있도록 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캐비닛(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토출구(14)는, 송풍팬하우징(150)의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의 전방 측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송풍팬은, 회전축이 캐비닛(11)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성을 갖는 상태로 송풍팬하우징(150)의 내부에 수용된다. 송풍팬은 후방에 형성된 송풍팬하우징(150)의 송풍입구(152)로 유입되는 공기가 중앙 측으로 흡입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사선방향으로 배출되는 사류팬이 적용된다.
[토출가이드]
토출가이드(190)는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를 측면토출구(14)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토출가이드(190)는 송풍팬하우징(150)의 전방배출구(154)에 결합하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13)로 안내하는 송풍출구(192)가 폭방향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가이드(190)의 후면에는 제1 에어가이드면(160)에 의해 안내된 공기의 유동을 토출구(13)를 향한 측방으로 안내하는 제2 에어가이드면(200)이 형성된다. 제1 에어가이드면(160)과 제2 에어가이드면(200) 사이에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된다.
토출가이드(190)는, 송풍팬하우징(150)의 전방에 결합되어 송풍팬하우징(150)에 의해 1차적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 공기의 유동을 2차적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토출가이드(190)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94)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94)는 전후방향으로 두께가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평판 형상을 갖는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94)의 후방 중앙측에는 송풍팬을 지지함과 동시에 측방송풍모터(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모터안착부(196)가 형성된다. 모터안착부(196)의 후방 형상은 송풍팬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송풍팬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된 모터안착부(196)는 오목한 홈부를 형성하는 송풍팬의 내부로 삽입된다.
모터안착부(196)의 전방 형상은 후방을 향해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오목한 홈부를 형성하는 모터안착부(196)의 내측에 측방송풍모터(220)가 장착된다.
모터안착부(196)의 전방 내부에는 3개의 체결보스(197)가 구비된다. 측방송풍모터(220)의 고정을 위한 모터브라켓(222)이 체결보스(197)에 고정된다.
토출가이드(190)의 중앙부는 대체로 평면을 형성하며, 토출가이드(190)의 양측 날개는 전방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송풍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한다.
베이스플레이트(194)의 폭방향 양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194)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서 굽어지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에어가이드면(200)이 설치된다.
제2 에어가이드면(200)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서, 공기의 유로 단면적이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확장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2 에어가이드면(200)은, 베이스플레이트(194)의 후면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에어가이드면(16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송풍팬하우징(150)의 제1 에어가이드면(160)을 통해 1차적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되어 토출가이드(190)의 후면 측으로 안내된다.
[에어가이드]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에어가이드(31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3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가이드(300)는,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의 유로를 원형유로로 변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열교환기(71)의 출구와 송풍모듈부(80)의 입구가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연결되므로,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모듈부(80)로 이동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곡면을 형성하는 에어가이드(300)를 따라 이동하므로, 열교환기(71)에서 송풍모듈부(80)의 입구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박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71)의 전열면적과 송풍모듈부(80)의 송풍입구(152) 사이에 에에가이드가 설치되므로 송풍기류의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케비닛의 내측에서 송풍기류의 유동 박리에 의한 와류 발생을 감소시켜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가이드(300)는 사각형의 가이드유입부(340)와 원형의 가이드배출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모듈부(80)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유입부(340)의 폭은 전체적으로 열교환기(71)를 커버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71)의 폭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된다.
에어가이드(300)는 열교환기(71)와 송풍모듈부(80)의 사이에 설치되며,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모듈부(80)의 송풍입구(152)로 안내하는 관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에어가이드(300)와 캐비닛(11)은 이격되며, 에어가이드(300)와 캐비닛(11)의 사이에는 단열공간부(7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가이드(300)와 캐비닛(11) 사이에 이슬맺힘 방지를 위한 별도의 단열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300)는,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입부(340)와, 가이드유입부(34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송풍입구(152)로 안내하는 가이드배출부(350) 및 가이드유입부(340)와 가이드배출부(350)를 연결하는 가이드몸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유입부(340)의 폭방향 길이는, 열교환기(71)의 폭방향 길이 보다 크거나 같다. 또한 가이드유입부(340)는 사각형 또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7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가이드유입부(340)와 열교환기(71)는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유입부(34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입부(340)는 제1가이드유입부(311)와 제2가이드유입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유입부(311)의 하측에 제2가이드유입부(321)가 위치한다.
제1가이드유입부(311)로 유입된 공기는 제1가이드배출부(312)를 통해 전방송풍모듈(82)로 이동하며, 제2가이드배출부(314)를 통해 제1송풍모듈(92)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가이드유입부(321)로 유입된 공기는 제3가이드배출부(350)를 통해 제2송풍모듈(94)로 이동하며, 제4가이드배출부(324)를 통해 제3송풍모듈(96)로 이동한다.
제1가이드유입부(311)와 제2가이드유입부(321)는 직사각형의 입구를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배출부(350)는 원형 형상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배출부(350)는 복수로 구비되며, 가이드몸체부(36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배출부(350)를 통과한 공기가 누설없이 송풍팬하우징(150)의 내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배출부(350)는 송풍팬하우징(150)의 후측에 접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배출부(350)는, 제1가이드배출부(312)와 제2가이드배출부(314)와 제3가이드배출부(350)와 제4가이드배출부(324)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배출부(312)는 전방송풍모듈(82)에 연결되며, 제2가이드배출부(314)는 제1송풍모듈(92)에 연결되며, 제3가이드배출부(350)는 제2송풍모듈(94)에 연결되며, 제4가이드배출부(324)는 제3송풍모듈(96)에 연결된다.
제1가이드배출부(312)와 제2가이드배출부(314)와 제3가이드배출부(350)와 제4가이드배출부(324)는 원형의 출구를 형성한다.
또한 전방송풍모듈(82)에 접하는 제1가이드배출부(312)는 오목한 홈 형상의 제1곡면접합부(313)를 구비한다. 제1곡면접합부(313)가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전방송풍모듈(82)에 접하므로, 제1가이드배출부(312)는 전방송풍모듈(82)에 면접촉되어 차가운 공기가 에어가이드(300)의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한다.
또한 제1송풍모듈(92)에 접하는 제2가이드배출부(314)는 오목한 홈 형상의 제2곡면접합부(315)를 구비한다. 제2곡면접합부(315)가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1송풍모듈(92)에 접하므로, 제2가이드배출부(314)는 제1송풍모듈(92)에 면접촉되어 차가운 공기가 에어가이드(300)의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한다.
또한 제2송풍모듈(94)에 접하는 제3가이드배출부(350)는 오목한 홈 형상의 제3곡면접합부(323)를 구비한다. 제3곡면접합부(323)가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2송풍모듈(94)에 접하므로, 제3가이드배출부(350)는 제2송풍모듈(94)에 면접촉되어 차가운 공기가 에어가이드(300)의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한다.
또한 제3송풍모듈(96)에 접하는 제4가이드배출부(324)는 오목한 홈 형상의 제4곡면접합부(325)를 구비한다. 제4곡면접합부(325)가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3송풍모듈(96)에 접하므로, 제4가이드배출부(324)는 제3송풍모듈(96)에 면접촉되어 차가운 공기가 에어가이드(300)의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한다.
가이드몸체부(360)는 가이드유입부(340)와 가이드배출부(35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부(360)는, 가이드배출부(350)와 연결되며 송풍모듈부(80)와 마주하는 지지몸체 및 지지몸체와 가이드유입부(340)를 연결하는 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몸체는 가이드배출부(350)에 연결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부(360)는, 제1에어가이드(310)에 설치되는 제1지지몸체(317) 및 제2에어가이드(320)에 설치되는 제2지지몸체(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17)는 제1가이드배출부(312)와 제2가이드배출부(314)에 연결되는 판 형상이며, 송풍모듈부(80)와 마주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지지몸체(327)는 제3가이드배출부(350)와 제4가이드배출부(324)에 연결되는 판 형상이며, 송풍모듈부(80)와 마주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몸체는 지지몸체와 가이드유입부(34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몸체는, 제1가이드몸체부(316)와 제1가이드유입부(311)를 연결하는 제1연결몸체(318) 및 제2가이드몸체부(326)와 제2가이드유입부(321)를 연결하는 제2연결몸체(3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유입부(311)와 제2가이드유입부(321)는 사각형의 통로를 형성하며, 제1가이드배출부(312)와 제2가이드배출부(314)와 제3가이드배출부(322) 및 제4가이드배출부(324)는 원형의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연결몸체(318)와 제2연결몸체(328)가 곡면 형상을 구비하므로, 가이드유입부(340)에서 가이드배출부(350)로 이동하는 공기가 원형의 배출부로 수렴되는 과정에서 맴돌이 또는 난류 등이 생성됨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가이드유입부(340)와 가이드배출부(350)와 가이드몸체부(360)를 포함하는 에어가이드(300)는 제1에어가이드(310)와 제2에어가이드(320)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300)는, 가이드배출부(350)가 복수로 구비되는 제1에어가이드(310)와, 제1에어가이드(310)의 하측에 연이어 설치되며 가이드배출부(350)가 복수로 구비되는 제2에어가이드(320) 및 제1에어가이드(310)와 제2에어가이드(320)의 경계에 설치되며 제1에어가이드(310)와 제2에어가이드(320) 사이의 공기 이동을 차단하는 에어차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가이드(310)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배출부(350)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전방송풍모듈(82) 및 전방송풍모듈(82)의 하측에 위치하는 측방송풍모듈(90)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에어가이드(310)의 후방에는 제1가이드유입부(311)가 설치되며, 제1에어가이드(310)의 전방에는 제1가이드배출부(312)와 제2가이드배출부(3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가이드유입부(311)는 제1가이드몸체부(316)에 의해 제1가이드배출부(312) 및 제2가이드배출부(314)에 연결된다.
제1가이드몸체부(316)는 제1지지몸체(317)와 제1연결몸체(318)를 포함하며, 제1가이드유입부(3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1가이드배출부(312)와 제2가이드배출부(314)로 안내한다.
제2에어가이드(320)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배출부(350)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측방송풍모듈(90)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에어가이드(320)의 후방에는 제2가이드유입부(321)가 설치되며, 제2에어가이드(320)의 전방에는 제3가이드배출부(350)와 제4가이드배출부(3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유입부(321)는 제2가이드몸체부(326)에 의해 제3가이드배출부(322) 및 제4가이드배출부(324)에 연결된다.
제2가이드몸체부(326)는 제2지지몸체(327)와 제2연결몸체(328)를 포함하며, 제2가이드유입부(3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3가이드배출부(350)와 제4가이드배출부(324)로 안내한다.
에어차단부(330)는 지지몸체에서 열교환기(7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에어가이드(300)의 내측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300)는 제1에어가이드(310)와 제2에어가이드(3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에어가이드(310)와 제2에어가이드(320)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에어가이드(300)는 제1에어가이드(310)와 제2에어가이드(320)에 있는 공기가 혼합됨을 차단한다.
[공기조화기의 공기흐름]
캐비닛(11)의 흡입구(12)를 통해 공기조화 대상의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구(12)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800)를 통과하며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열교환기(71)를 통과하며 냉매와 열교환을 한 공기는 에어가이드(300)를 통해 전방송풍모듈(82)과 측방송풍모듈(90)로 공급된다. 그리고 캐비닛(1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에어가이드(30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에어가이드(300)를 따라 송풍모듈부(80)로 안내되므로, 열교환기(71)에서 송풍모듈부(80)로 이동하는 기류의 유동박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만약 에어가이드(3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열교환기(71)에서 송풍모듈부(80)로 이동하는 공기는 캐비닛(11)의 내측에 접하며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유동박리가 발생한다.
열교환기(71)에서 송풍모듈부(80)로 이동하는 기류 중의 일부가 캐비닛(11)의 측면에 마찰되어 흡입유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박리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유동박리에 의해 압력손실이 발생되며, 유동소음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열교환기(71)를 통과한 차가운 기류가 캐비닛(11)의 내측에 머물며 순환하는 경우, 캐비닛(11) 외부의 고온 다습한 환경조건과 만나 캐비닛(11)의 외측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모듈부(8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형성하는 에어가이드(300)를 설치하므로, 열교환기(71)에서 송풍모듈부(80)로 이동하는 기류의 박리 현상이 저감되어 유동 소음을 낮출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의 내측에는 곡면이 구비되어 공기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며, 유동박리 현상을 저감시키므로, 유동 박리에 의한 와류 발생으로 유동소음이 증가하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71)를 통과한 냉각 기류가 에어가이드(300)를 통해 송풍모듈부(80)로 이동하므로, 캐비닛(11)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에어가이드(300)와 캐비닛(11)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부(700)에 의해 단열층이 형성되므로, 캐비닛(11)에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열교환기(71)와 송풍모듈부(80)의 사이에 설치된 에어가이드(300)를 통해 공기 유동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에어가이드(300)의 외측면과 캐비닛(11) 사이 공간에 중공 단열 영역인 단열공간부(700)가 형성됨에 따라 캐비닛(11)의 외측에 생기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가이드(300)와 단열공간부(700)의 사용에 의해, 캐비닛(11)에 이슬맺힘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단열재를 사용자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료비 및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풍모듈부(80)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유동박리를 제거하여 유동소음을 낮추며, 유동박리에 의해 캐비닛(11) 겉면에 발생되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류가 열교환기(71)를 통과하여 송풍모듈부(80)로 이동할 때, 캐비닛(11)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유동박리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가이드(300)를 별도로 설치하므로, 유동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며, 캐비닛(11)과 가이드부 사이의 단열효과를 갖을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400)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400)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에어가이드(420)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에어가이드(410)와 제2에어가이드(42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400)는 가이드몸체부(460)의 외측 테두리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4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400) 대비 가이드몸체부(460)의 형상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거의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교환기(71)의 출구와 송풍모듈부(80)의 입구가 에어가이드(400)에 의해 연결되므로,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모듈부(80)로 이동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가이드(400)는 사각형의 가이드유입부(440)와 원형의 가이드배출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400)는,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입부(440)와, 가이드유입부(44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송풍입구(152)로 안내하는 가이드배출부(450) 및 가이드유입부(440)와 가이드배출부(450)를 연결하는 가이드몸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7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가이드유입부(440)와 열교환기(71)는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유입부(44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입부(440)는 제1가이드유입부(411)와 제2가이드유입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유입부(411)의 하측에 제2가이드유입부(421)가 위치한다.
제1가이드유입부(411)로 유입된 공기는 제1가이드배출부(412)를 통해 전방송풍모듈(82)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가이드유입부(421)로 유입된 공기는 제2가이드배출부(422)를 통해 제1송풍모듈(92)로 이동하며, 제3가이드배출부(450)를 통해 제2송풍모듈(94)로 이동하며, 제4가이드배출부(424)를 통해 제3송풍모듈(96)로 이동한다.
제1가이드유입부(411)와 제2가이드유입부(421)는 직사각형의 입구를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배출부(450)는 원형 형상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배출부(450)는 복수로 구비되며, 가이드몸체부(46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배출부(450)를 통과한 공기가 누설없이 송풍팬하우징(150)의 내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배출부(450)는 송풍팬하우징(150)의 후측에 접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배출부(450)는, 제1가이드배출부(412)와 제2가이드배출부(422)와 제3가이드배출부(450)와 제4가이드배출부(424)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배출부(412)는 전방송풍모듈(82)에 연결되며, 제2가이드배출부(422)는 제1송풍모듈(92)에 연결되며, 제3가이드배출부(450)는 제2송풍모듈(94)에 연결되며, 제4가이드배출부(424)는 제3송풍모듈(96)에 연결된다.
제1가이드배출부(412)와 제2가이드배출부(422)와 제3가이드배출부(450)와 제4가이드배출부(424)는 원형의 출구를 형성한다.
또한 제1송풍모듈(92)에 접하는 제2가이드배출부(422)는 오목한 홈 형상의 곡면안착부(423)를 구비한다. 제2곡면접합부(315)가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1송풍모듈(92)에 접하므로, 제2가이드배출부(422)는 제1송풍모듈(92)에 면접촉되어 차가운 공기가 에어가이드(400)의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한다.
곡면안착부(423)와 같은 구조가 제1가이드배출부(412)와 제3가이드배출부(450)와 제4가이드배출부(424)에도 구비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몸체부(460)는 가이드유입부(440)와 가이드배출부(45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부(460)는, 가이드배출부(450)와 연결되며 송풍모듈부(80)와 마주하는 지지몸체(462)와, 지지몸체(462)와 이격되며 지지몸체(462)의 외측에 사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연결테두리(464)와, 연결테두리(464)와 지지몸체(462)를 연결하는 내측몸체(466) 및 내측몸체(466)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한 요철돌기(46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분리몸체(414)는 제1가이드유입부(411)와 제1가이드배출부(412)를 연결하며, 제1가이드유입부(411)에서 제1가이드배출부(412)를 향하여 공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가이드몸체부(460)는 제2가이드유입부(421)와 제2가이드배출부(422), 제3가이드배출부(423) 및 제4가이드배출부(424)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2가이드유입부(42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제2가이드배출부(422), 제3가이드배출부(423) 및 제4가이드배출부(424)로 안내한다.
제2가이드유입부(421)는 사각형의 통로를 형성하며, 제2가이드배출부(422)와 제3가이드배출부(423) 및 제4가이드배출부(424)는 원형의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내측몸체(466)가 곡면 형상을 구비하므로, 가이드유입부(440)에서 가이드배출부(450)로 이동하는 공기가 원형의 배출부로 수렴되는 과정에서 맴돌이 또는 난류 등이 생성됨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가이드유입부(440)와 가이드배출부(450)와 가이드몸체부(460)를 포함하는 에어가이드(400)는 제1에어가이드(410)와 제2에어가이드(420)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400)는, 가이드배출부(450)가 단수로 구비되는 제1에어가이드(410)와, 제1에어가이드(410)의 하측에 연이어 설치되며 가이드배출부(450)가 복수로 구비되는 제2에어가이드(420) 및 제2에어가이드(42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에어차단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가이드(410)에 구비된 가이드배출부(450)는 전방송풍모듈(82)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제1가이드유입부(411)는 제1가이드분리몸체(414)에 의해 제1가이드배출부(412)에 연결된다.
제1가이드분리몸체(414)는 제1가이드유입부(4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1가이드배출부(412)로 안내한다.
제2에어가이드(420)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배출부(450)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측방송풍모듈(90)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에어가이드(420)의 후방에는 제2가이드유입부(421)가 설치되며, 제2에어가이드(420)의 전방에는 제2가이드배출부(422)와 제3가이드배출부(450)와 제4가이드배출부(4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유입부(421)는 가이드몸체부(460)에 의해 제2가이드배출부(422)와 제3가이드배출부(423) 및 제4가이드배출부(424)에 연결된다.
가이드몸체부(460)는 지지몸체(462)와 연결테두리(464)와 내측몸체(466)와 요철돌기(468)를 포함하며, 제2가이드유입부(4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2가이드배출부(422)와 제3가이드배출부(450)와 제4가이드배출부(424)로 안내한다.
에어차단부(430)는 제2에어가이드(420)에서 열교환기(7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에어가이드(420)의 내측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400)는 제2에어가이드(420) 후측으로 돌출되며, 제2가이드배출부(422)와 제3가이드배출부(450)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에어가이드(400)는 제2가이드배출부(422)와 제3가이드배출부(450)로 토출되는 공기가 혼합됨을 차단한다.
한편 가이드몸체부(460)는, 연결테두리(46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요철 형상을 형성하므로 가이드몸체부(460)의 구조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500)가 제1송풍모듈(92)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500)와 제1송풍모듈(9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500)는, 송풍팬을 구비한 송풍모듈부(80)에 단일 통로를 형성한다. 에어가이드(500)는 송풍팬의 개수에 맞게 에어가이드(500)를 설치하므로 각 송풍팬의 독립적인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5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500) 대비 형상의 일부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거의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교환기(71)의 출구와 송풍모듈부(80)의 입구가 에어가이드(500)에 의해 연결되므로,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모듈부(80)로 이동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가이드(500)는 사각형의 가이드유입부(540)와 원형의 가이드배출부(5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500)는,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입부(540)와, 가이드유입부(54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송풍입구(152)로 안내하는 가이드배출부(550) 및 가이드유입부(540)와 가이드배출부(550)를 연결하는 가이드몸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부(560)는, 가이드배출부(550)와 연결되는 지지몸체(562)와, 지지몸체(562)와 가이드배출부(550)를 연결하며 내측에 곡면을 구비하는 연결몸체(5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송풍모듈부(80)의 제1송풍모듈(92)과 마주하는 지지몸체(562)의 단부에는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안착곡면부(566)가 설치된다.
가이드몸체부(560)는 제1송풍모듈(92)로 이동하는 공기의 단일 통로를 형성하며, 안착곡면부(566)가 제1송풍모듈(92)의 후방에 구비된 볼록한 곡면에 접하며 면접촉을 하므로, 냉각된 공기가 에어가이드(500)의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600)가 제1송풍모듈(92)과 열교환기(71)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600)가 제1송풍모듈(92)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600)가 제1송풍모듈(92)과 열교환기(71)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12)가 후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13)가 측면에 형성되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내측에 위치하며 흡입구(12)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71)와, 열교환기(71)의 전면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13)를 향한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모듈부(80) 및 열교환기(71)와 송풍모듈부(80)의 사이에 설치되며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모듈부(80)의 송풍입구(152)로 안내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71)가 에어가이드(60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600)는, 열교환기(71)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열교환기(71)를 지지하는 유입통로부(610)와, 유입통로부(6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송풍입구(152)로 안내하는 배출통로부(620)와, 유입통로부(610)와 배출통로부(620)를 연결하는 연결몸체부(630) 및 연결몸체부(630)에서 송풍모듈부(8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송풍모듈부(80)의 외측에 접하는 서포트브라켓(6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입통로부(610)는, 열교환기(71)의 외측에 위치하는 통로격벽(612) 및 통로격벽(612)과 연결몸체부(630)를 연결하며 통로격벽(612)과 단차를 이루며 열교환기(71)를 지지하는 지지격벽(61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격벽(614)은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며, 연결몸체부(63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지지격벽(614)은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므로, 지지격벽(614)의 내측을 이동하는 공기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서포트브라켓(640)은, 연결몸체부(630)에 연결되는 복수의 서포트다리(642) 및 서포트다리(642)를 연결하며 송풍모듈부(80)의 외측 곡면 형상을 따라 오목한 장착홈부(646)를 구비하는 서포트연결부재(6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브라켓(640)은 연결몸체부(63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공기조화기
10: 캐비닛 어셈블리
11: 캐비닛 12: 흡입구 13: 토출구 14: 측면토출구 15: 전방토출구
20: 캐비닛몸체 22: 프런트캐비닛
30: 베이스부 32: 카메라센서 34: 탑커버
40: 도어 어셈블리
45: 전방 도어모듈 46: 아우터패널
50: 측면 도어모듈 52: 측면 도어 54: 측면 도어 구동부 56: 서포트프레임
60: 히든 베인모듈 62: 좌측 히든 베인 64: 우측 히든 베인
70: 열교환 어셈블리 71: 열교환기 72: 냉매관
80: 송풍모듈부
82: 전방송풍모듈 84: 전방송풍팬 86: 전방송풍팬하우징 87: 전방하우징부
90: 측방송풍모듈
92: 제1송풍모듈 94: 제2송풍모듈 96: 제3송풍모듈
100: 송풍팬
140: 내측하우징
150: 송풍팬하우징 152: 송풍입구 154: 전방배출구 160: 제1 에어가이드면 170: 벨마우스 180: 하우징베이스
190: 토출가이드 192: 송풍출구 194: 베이스플레이트 196: 모터안착부 197: 체결보스 200: 제2 에어가이드면 214: 측면 베인
220: 측방송풍모터 222: 모터브라켓
300: 에어가이드
310: 제1에어가이드 311: 제1가이드유입부 312: 제1가이드배출부 313: 제1곡면접합부 314: 제2가이드배출부 315: 제2곡면접합부 316: 제1가이드몸체부 317: 제1지지몸체 318: 제1연결몸체
320: 제2에어가이드 321: 제2가이드유입부 322: 제3가이드배출부 323: 제3곡면접합부 324: 제4가이드배출부 325: 제4곡면접합부 326: 제2가이드몸체부 327: 제2지지몸체 328: 제2연결몸체
330: 에어차단부 340: 가이드유입부 350: 가이드배출부 360: 가이드몸체부
700: 단열공간부
800: 필터 어셈블리 810: 필터모듈 812: 제1필터모듈 814: 제2필터모듈 820: 프리필터 830: 필터케이스 832: 수직리브 834: 수평리브
400: 에어가이드
410: 제1에어가이드 411: 제1가이드유입부 412: 제1가이드배출부 414: 제1가이드분리몸체
420: 제2에어가이드 421: 제2가이드유입부 422: 제2가이드배출부 423: 곡면안착부 423: 제3가이드배출부 424: 제4가이드배출부 460: 가이드몸체부
430: 에어차단부 440: 가이드유입부 450: 가이드배출부
460: 가이드몸체부 462: 지지몸체 464: 연결테두리 466: 내측몸체 468: 요철돌기
500: 에어가이드
540: 가이드유입부 550: 가이드배출부 560: 가이드몸체부 562: 지지몸체 564: 연결몸체 566: 안착곡면부
600: 에어가이드 610: 유입통로부 612: 통로격벽 614: 지지격벽 620: 배출통로부 630: 연결몸체부 640: 서포트브라켓 642: 서포트다리 644: 서포트연결부재 646: 장착홈부

Claims (20)

  1.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가 후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모듈부;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모듈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송풍모듈부의 송풍입구로 안내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캐비닛은 이격되며,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는 단열공간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입부;
    상기 가이드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입구로 안내하는 가이드배출부; 및
    상기 가이드유입부와 상기 가이드배출부를 연결하는 가이드몸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가이드유입부와 상기 열교환기는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입부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열교환기의 폭방향 길이 보다 크거나 같은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입부는 사각형 또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배출부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배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송풍모듈부와 마주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가이드유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출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몸체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입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 및
    상기 전방송풍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캐비닛의 양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측방송풍모듈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이어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배출부가 복수로 구비되는 제1에어가이드;
    상기 제1에어가이드의 하측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배출부가 복수로 구비되는 제2에어가이드; 및
    상기 제1에어가이드와 상기 제2에어가이드의 경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에어가이드와 상기 제2에어가이드 사이의 공기 이동을 차단하는 에어차단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가이드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가이드배출부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방송풍모듈 및 상기 전방송풍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방송풍모듈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배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송풍모듈부와 마주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테두리와 상기 가이드유입부를 연결하는 연결테두리; 및
    상기 연결테두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이드배출부로 안내하는 내측몸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지지몸체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에어가이드의 내측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에어차단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부는, 상기 연결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요철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가 후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모듈부;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모듈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송풍모듈부의 송풍입구로 안내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가 상기 에어가이드에 장착되는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유입통로부;
    상기 유입통로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입구로 안내하는 배출통로부;
    상기 유입통로부와 상기 배출통로부를 연결하는 연결몸체부; 및
    상기 연결몸체부에서 상기 송풍모듈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송풍모듈부의 외측에 접하는 서포트브라켓;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통로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에 위치하는 통로격벽; 및
    상기 통로격벽과 상기 연결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통로격벽과 단차를 이루며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지지격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격벽은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브라켓은, 상기 연결몸체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서포트다리; 및
    상기 서포트다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모듈부의 외측 곡면 형상을 따라 오목한 장착홈부를 구비하는 서포트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브라켓은 상기 연결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10004858A 2021-01-13 2021-01-13 공기조화기 KR20220102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858A KR20220102478A (ko) 2021-01-13 2021-01-13 공기조화기
CN202111564779.6A CN114763930B (zh) 2021-01-13 2021-12-20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858A KR20220102478A (ko) 2021-01-13 2021-01-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478A true KR20220102478A (ko) 2022-07-20

Family

ID=8236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858A KR20220102478A (ko) 2021-01-13 2021-01-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2478A (ko)
CN (1) CN1147639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94262A1 (en) * 2022-12-26 2024-07-03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722B1 (ko) * 2015-01-23 2015-09-21 황용희 풍량 가변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791056B1 (ko) * 2015-07-21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482213B (zh) * 2015-08-27 2020-10-02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混流空调
CN205481341U (zh) * 2016-01-15 2016-08-17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室内机及空调器
CN106403018A (zh) * 2016-08-17 2017-02-15 泰铂(上海)实业有限公司 具有多段式蒸发器的空调立柜
CN107120733A (zh) * 2017-06-13 2017-09-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208025799U (zh) * 2018-03-19 2018-10-30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防凝露结构以及空调器
CN108151281B (zh) * 2018-03-19 2023-07-18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防凝露结构以及空调器
CN109579137A (zh) * 2018-11-29 2019-04-05 广东Tcl智能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器
CN110594865A (zh) * 2019-10-30 2019-12-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2319908U (zh) * 2020-09-28 2021-0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落地式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63930A (zh) 2022-07-19
CN114763930B (zh)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885B1 (ko) 공기조화기
US11255570B2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4502057B2 (ja) 床置型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220081615A (ko) 공기조화기
US20050287945A1 (en) Ventilating system
JP3724273B2 (ja) 送風機、送風システム、送風システムの送風方法
KR20220102478A (ko) 공기조화기
CN114623491A (zh) 空调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200111059A (ko) 공기조화기
KR102501953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06002070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16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071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530500B2 (ja) 床置型空気調和装置
CN101008511A (zh) 空调的室内单元
KR1008376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230213213A1 (en) Air conditioner
JP2000329370A (ja) 壁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5164206A (ja) 空調用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220081613A (ko) 공기조화기
CN100513918C (zh) 空气调节器
KR2005005790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30159331A (ko) 공기조화기
JP2001012779A (ja) 竜巻気流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