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400A - 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 - Google Patents

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400A
KR20220102400A KR1020210004719A KR20210004719A KR20220102400A KR 20220102400 A KR20220102400 A KR 20220102400A KR 1020210004719 A KR1020210004719 A KR 1020210004719A KR 20210004719 A KR20210004719 A KR 20210004719A KR 20220102400 A KR20220102400 A KR 20220102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rizontal
heating
tilt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상훈
김학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스텍
Priority to KR102021000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400A/en
Publication of KR2022010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4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6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e.g. refractory materials, to rapid heat ch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6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with movable working chambers or hearths, e.g. tiltable, oscillating or describing a composed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0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27B3/205Bur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nd a fire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for reducing investment cost and reducing construction area by enabl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of a test body in one fire test apparatus. To this e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comprises: a horizontal body unit in which a horizontal heating space with an open top is formed, horizontal heating holes are formed to penetrate at least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and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can be sealed by the test body; a vertical body unit in which a vertical heating space with an open side is formed, vertical heating holes are formed to penetrate at least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can be sealed by the test body; and a buffer body unit which integrally connects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with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ody unit.

Description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와 이것을 이용한 화재시험장치{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nd fire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와 이것을 이용한 화재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화재시험장치에서 시험체의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를 모두 가능하게 하여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건축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와 이것을 이용한 화재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nd a fire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by enabl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of a test object in one fire test apparatus, reducing investment cost and reducing building area It relates to a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nd a fire test device using the same.

산업발달과 인구 집중 및 도시화 현상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가 요즘 추세이고, 그에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화재로 유도되어 그에 따른 물질적 피해와 인명피해가 급증하게 된다. 건축물의 화재시 구조부재는 고열에 노출되어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고, 고열에 따라서 그 설계강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은 화재시 구조물의 강도 저하로 인하여 종종 쉽게 건축물이 붕괴되어 막대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urbanization, the trend of building taller and larger buildings is these days, and accordingly, when a fire occurs, it is induced to a large-scale fire, resulting in a rapid increase in material and human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structural members are exposed to high heat and become structurally weak, and their design strength cannot be maintained according to high heat. Accordingly, in case of a fire, the structure is often easily collapsed due to a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structure, resulting in enormous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이와 같이 건축구조물에서 화재시 고열을 받는 구조부재는 이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물리적 및 열적특성 뿐만 아니라, 지지조건, 하중상태, 화재노출면에 따라서 사용성능의 한계 또는 구조적 파괴를 판단하게 되므로, 위의 영향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내화설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As such, structural members that receive high heat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structure are judged to have limitations in use performance or structural destruction according to the supporting conditions, load conditions, and fire exposure surfaces as well as the physical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m.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fire resistance of th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또한, 소형선박은 대형 상선에 비해 화재사고에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급속한 화재확산으로 인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고 선박 화재의 대다수는 난연성 페인트를 도포한 강화플라스틱 선박이 대다수를 차지할 정도로 화재에 취약하다. 따라서 이같은 문제로 해양수산부에서는 중장기적으로 화재에 취약하여 강화플라스틱 선박을 알루미늄 선박으로 개발보급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small ships are structurally more vulnerable to fire accidents than large merchant ships, so once a fire occurs,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it will lead to a major accident due to rapid fire spread. so vulnerable to fire. Therefore, due to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vulnerable to fire in the mid- to long-term,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reinforced plastic ships as aluminum ships.

하지만, 초고층 및 대공간 건축물에 사용되는 중장지간 부재, 예를 들면 4m,6m,10m 길이의 중장지간 보, 단주기둥, 슬래브, 접합부 프레임 및 데크플레이트, 선박용 데크 플레이트 등과 같은 다양한 실대형 실물부재로 이루어진 시험체의 수평 배치를 위해서는 별도의 수평 가열로를 사용해야 하고, 시험체의 수직 배치를 위해서는 별도의 수직 가열로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as mid-to-long span members used in high-rise and large-space buildings, for example, 4m, 6m, and 10m long span beams, short columns, slabs, junction frames and deck plates, and various real-size real members such as deck plates for ships, etc. A separate horizontal heating furnace must be used for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completed specimen, and a separate vertical heating furnace must be used for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specime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4937호 (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 실험용 수평 가열로, 2007. 04. 0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04937 (Title of the invention: Horizontal heating furnace for fire experiments of concrete structures, 2007. 04. 09. Announc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화재시험장치에서 시험체의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를 모두 가능하게 하여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건축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와 이것을 이용한 화재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reduce investment cost by enabl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in one fire test apparatus, and To provide a fire test apparatus using thi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상부가 개구된 수평가열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수평가열공이 관통 형성되며, 시험체에 의해 상기 수평가열공간이 밀폐 가능한 수평바디유닛; 일측면부가 개구된 수직가열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수직가열공이 관통 형성되며, 시험체에 의해 상기 수직가열공간이 밀폐 가능한 수직바디유닛; 및 상기 수평바디유닛의 일측면부와 상기 수직바디유닛의 타측면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버퍼바디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heating space with an open top, and at least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are formed through a horizontal heating hole, , a horizontal body unit capable of sealing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by the test body; a vertical body unit in which a vertical heating space with an open side portion is formed, a vertical heating hole is formed through at least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can be sealed by a test body; and a buffer body unit integral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ody unit.

상기 수평가열공간은, 수평격벽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1수평공간과, 상기 수평격벽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제2수평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평격벽에는, 상기 제1수평공간과 상기 제2수평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간연통부;가 관통 형성된다.The horizontal heating space is divided into a first horizontal space formed at an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a second horizontal space formed below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bas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wherei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includes the first horizontal space and A space communicating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horizontal space; is formed through.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상기 수평가열공과 상기 수직가열공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수평가열공간과 상기 수직가열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연소버너;를 더 포함한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bustion burner coupled to the horizontal heating hole and the vertical heating hole, respectively, and heating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여기서, 상기 연소버너는, 일측에는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가 구비되는 연소바디; 상기 연소바디로부터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되, 일측은 상기 연료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입구와 연결되는 연소노즐; 상기 연소노즐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에 의해 불꽃이 생성되도록 상기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상기 연소바디를 상기 수평바디유닛과 상기 수직바디유닛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연소바디와 상기 설치플레이트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가열공과 상기 수직가열공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상기 불꽃이 배출되는 화염경로가 구비된 단열블럭;을 포함한다.Here, the combustion burner, one side is provided with a fuel inlet through which fuel is injecte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a combustion nozzle that mixes and discharges the fuel and the air from the combustion body, one side connected to the fuel inle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 ignition unit igniting the fuel to generate a flame by the fuel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nozzle; an installation plat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mbustion body to the horizontal body unit and the vertical body unit, respectively; and an insulating block fitted with a flame path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body and the installation plate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heating hole and the vertical heating hole, respectively, and having a flame path through which the flame is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상기 수직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상기 수직바디유닛에 밀착 고정시키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수평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상기 수평바디유닛에 밀착 고정시키는 재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amp unit for closely fixing a test object sealing the vertical heating space to the vertical body unit; and a loading unit for closely fixing the test body sealing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to the horizontal body uni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any one of.

여기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기 수직가열공간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링크; 및 상기 파지링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직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지링크를 정역회전시키는 왕복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링크는, 상기 수직가열공간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왕복구동부와 링크 결합되는 구동지지부; 상기 구동지지부에서 연장되는 피벗지지부; 및 상기 파지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피벗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한다.Here, the clamp unit may include: a gripping link rotatably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and a reciprocating driving par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link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ody unit, and rotates the gripping link forward and backward, wherein the gripping link is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and rotatably coupled. and a driving support unit link-coupled to 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a pivot support extending from the driving support; and a close support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so as to press the test body sealing the vertical heating sp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ripping link.

여기서, 상기 재하유닛은, 상기 수평바디유닛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재하레일; 상기 재하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재하구동부; 한 쌍의 재하구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재하구동부가 상기 재하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평바디유닛의 상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재하바디; 상기 수평가열공간을 밀폐한 시험체에 적층 지지되는 재하치구; 및 상기 재하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재하치구를 가압하는 재하가압부;를 포함한다.Here, the loading unit, a pair of loading rail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ody unit; A pair of jaeha driving parts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jaeha rail; a jaeha body connecting a pair of loading driving units, and reciprocat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as the loading driving part rolls along the loading rail; a loading jig supported by lamination on a test body that has sealed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and a loading pressing unit coupled to the jaeha body and pressing the jaeha jig.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바닥에 구비되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설치되고, 직립 상태를 기준으로 일측면부가 개구된 틸팅가열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틸팅가열공이 관통 형성되고, 시험체에 의해 상기 틸팅가열공간이 밀폐 가능한 틸팅바디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틸팅바디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힌지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틸팅바디유닛을 회전시키는 틸팅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틸팅구동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직립하는 경우, 상기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는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일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구동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누운 경우, 상기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는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provided on the floor; A tilting body that is installed on the base unit and has a tilting heating space with one side open on the basis of an upright state, a tilting heating hole is formed through at leas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nd the tilting heating space can be sealed by a test body unit; a tilting hinge unit for rotatably coupling the tilting body unit with respect to the base unit; and a tilting drive unit that rotates the tilting body unit based on the base unit, wherein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upr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e unit,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is the tilting body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hen the tilting body unit lies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ing unit,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is disposed above the tilting body unit.

여기서, 직립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상부에는 틸팅배기부;가 관통 형성된다.Here, a tilting exhaust uni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body unit based on the upright state.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바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평배치라인;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누운 경우, 상기 틸팅배기부와 상기 수평배치라인을 연결시키는 수평조인트;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바닥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직배치라인;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직립하는 경우, 상기 틸팅배기부와 상기 수직배치라인을 연결시키는 수직조인트; 및 상기 수평배치라인과 상기 수직배치라인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arrangement lin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and arranged vertically on the floor; a horizontal joint connecting the tilting exhaust unit and the horizontal arrangement line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lying down; a vertical arrangement lin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and arranged horizontally with the floor; a vertical joint connecting the tilting exhaust unit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line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upright; and a connecting joint connecting the horizontal arrangement line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line.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상기 틸팅가열공에 결합되고,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가열하는 연소버너;를 더 포함한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bustion burner coupled to the tilting heating hole and heat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여기서, 상기 연소버너는, 일측에는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가 구비되는 연소바디; 상기 연소바디로부터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되, 일측은 상기 연료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입구와 연결되는 연소노즐; 상기 연소노즐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에 의해 불꽃이 생성되도록 상기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상기 연소바디를 상기 틸팅바디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연소바디와 상기 설치플레이트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가열공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불꽃이 배출되는 화염경로가 구비된 단열블럭;을 포함한다.Here, the combustion burner, one side is provided with a fuel inlet through which fuel is injecte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a combustion nozzle that mixes and discharges the fuel and the air from the combustion body, one side connected to the fuel inle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 ignition unit igniting the fuel to generate a flame by the fuel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nozzle; an installation plat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mbustion body to the tilting body unit; and an insulation block fitted with the tilting heating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body and the installation plate are integrally coupled, and provided with a flame path through which the flame is discharged.

여기서, 상기 연소버너는, 플랫버너로 이루어진다.Here, the combustion burner is composed of a flat burner.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직립한 경우,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상기 틸팅바디유닛에 밀착 고정시키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누운 경우,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상기 틸팅바디유닛에 밀착 고정시키는 재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amp unit for closely fixing a test object seal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to the tilting body unit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upright; And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lying down, a loading unit for closely fixing the test object seal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to the tilting body uni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any one of.

여기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기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링크; 상기 파지링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틸팅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지링크를 정역회전시키는 왕복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링크는, 상기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왕복구동부와 링크 결합되는 구동지지부; 상기 구동지지부에서 연장되는 피벗지지부; 및 상기 파지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피벗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한다.Here, the clamp unit may include: a gripping link rotatably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link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ilting body unit, and includes a reciprocating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gripping link forward and backward, wherein the gripping link is rotatably coupl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and , a driving support unit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by a link; a pivot support extending from the driving support; and a close support unit coupled to an end of the pivot support unit to press the test body seal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ripping link.

여기서, 상기 재하유닛은,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재하레일; 상기 재하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재하구동부; 한 쌍의 재하구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재하구동부가 상기 재하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함에 따라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상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재하바디;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밀폐한 시험체에 적층 지지되는 재하치구; 및 상기 재하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재하치구를 가압하는 재하가압부;를 포함한다.Here, the load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loading rail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tilting body unit; A pair of jaeha driving parts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jaeha rail; a jaeha body connecting a pair of loading driving units,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at the upper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as the loading driving part rolls along the loading rail; a reloading tool supported by lamination on a test body that closes the tilting heating space; and a loading pressing unit coupled to the jaeha body and pressing the jaeha jig.

여기서, 상기 재하구동부는, 상기 재하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재하브라켓; 상기 재하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재하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바퀴; 및 상기 레일바퀴에서 이격되어 상기 재하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재하레일에는, 상기 가이드바퀴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가이드;가 상기 재하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Here, the jaeha driving unit, jaeha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jaeha body; a rail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jaeha bracket to be able to roll in the jaeha rail; and a guide wheel spaced apart from the rail wheel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jaeha bracket, wherein the jaeha rail includes a rail guide to which the jaeha rail is coupled to be movable in a rolling manner; a lengthwise length of the jaeha rail is formed

여기서, 상기 재하치구는, 상기 재하가압부에 장착되는 제1슬래브; 상기 제1슬래브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래브; 상기 제2슬래브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슬래브; 상기 제3슬래브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슬래브; 및 시험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4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재하지지부;를 포함한다.Here, the loading fixture may include: a first slab mounted on the loading pressing unit; a second slab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lab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lab; a third slab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ab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slab; a fourth slab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lab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hird slab; and re-supporting part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ourth slab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test body.

여기서, 상기 재하치구는, 상기 제1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슬래브를 상기 제1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볼스크류; 상기 제2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제3슬래브를 상기 제2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볼스크류; 상기 제3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제4슬래브를 상기 제3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볼스크류; 및 상기 제4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재하지지부를 상기 제4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볼스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Here, the loading jig may include: a first ball screw coupled to the first slab and configured to move the second slab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lab as the first slab rotates; a second ball screw coupled to the second slab and configured to move the third slab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ab according to rotation; a third ball screw coupled to the third slab and configured to move the fourth slab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lab according to rotation; and a fourth ball screw coupled to the fourth slab and configured to move the support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slab according to rotation.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any one of.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를 포함하는 가열바디유닛; 상기 가열바디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바디유닛의 내부를 가열하는 연소유닛; 상기 연소유닛에 의해 상기 가열바디유닛의 내부에 생성된 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유닛; 및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을 필터링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집진유닛;을 포함한다.A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body unit includ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bustion unit coupled to the heating body unit to heat the inside of the heating body unit;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generated inside the heating body unit by the combustion unit; and a dust collecting unit filtering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discharging it into the atmosphere.

여기서, 상기 연소유닛은,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해당 가열공에 결합되고,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불꽃을 발생시키는 연소버너; 상기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 상기 연소버너와 상기 연료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연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료라인; 상기 연료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연료피팅;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공급팬; 상기 연소버너와 상기 공기공급팬을 연결하여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라인; 및 상기 공기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기피팅;을 포함한다.Here, the combustion unit may include: a combustion burner coupled to a corresponding heating hole in the heating body unit and generating a flame by mixing fuel and air; a fuel tank in which the fuel is stored; a fuel line connecting the combustion burner and the fuel tank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fuel; a fuel fitting provided in the fuel line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the fuel; an air supply fan for sucking the air; an air line connecting the combustion burner and the air supply fan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air; and an air fitting provided in the air line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the air.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가열바디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라인; 및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배출라인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 중 불티를 제거하는 불티방지부; 및 상기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을 냉각시키는 역화방지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Here,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line coupled to the heating body unit and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heating body unit; and a discharge fan that provides a suction force to the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generated by the heating body unit; prevention unit; and a flashback prevention chamber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and cooling the material generated by the heating body uni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any one of.

여기서, 상기 집진유닛은, 백필터 방식 또는 전기집진 방식으로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건식유닛;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에 흡착액을 분사하여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습식유닛; 상기 배출유닛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건식유닛과 상기 습식유닛 사이에서 전달되는 물질을 가열하는 예열히터; 및 상기 건식유닛과 상기 습식유닛을 통과한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필터링유닛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닛에는 상기 건식유닛과 상기 습식유닛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팬에는 상기 건식유닛과 상기 습식유닛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된다.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dry uni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by a bag filter method or an electric dust collecting method; a wet unit for spraying an adsorbent onto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 preheater for heating the material transferred between the dry unit and the wet unit by using the heat of th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an exhaust fan providing suction to the filtering unit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y unit and the wet unit, wherein any one of the dry unit and the wet un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The other one of the dry unit and the wet unit is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는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해당 가열공간의 개방될 때, 배출되는 물질을 상기 집진유닛에 전달하는 배연유닛;을 더 포함한다.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moke exhaust unit for transferring the discharged material to the dust collecting unit when the heating space is opened in the heating body unit.

여기서, 상기 배연유닛은, 상기 가열바디유닛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배연후드; 상기 배연후드에 포집되는 물질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연라인; 및 상기 배연후드를 통해 전달되는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배연라인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연팬;을 포함한다.Here, the exhaust unit may include: an exhaust hoo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body unit; a smoke line for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material collected in the smoke hood; and a smoke exhaust fan providing suction force to the exhaust line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exhaust hood.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는 상기 가열바디유닛의 온도를 감시하는 한편, 상기 연소유닛과 상기 배출유닛과 상기 집진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monitor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body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combustion unit, the exhaust unit,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와 이것을 이용한 화재시험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화재시험장치에서 시험체의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를 모두 가능하게 하여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건축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nd the fire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vestment cost and reduce the building area by enabling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in one fire test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바디유닛과 수직바디유닛과 버퍼바디유닛 사이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평가열공간과 수직가열공간 사이의 열전달을 방지하고, 가열온도곡선을 안정되게 준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heat transfer between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body unit and the vertical body unit and the buffer body unit, and the heating temperature curve can be stably applied mutatis mutandis.

또한, 본 발명은 수평가열공간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의 화재시험은 물론 제1수평공간에서 연소 반응을 구현하는 별도 자재의 화재시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the fire test of a separate material that implements the combustion reaction in the first horizontal space as well as the fire test of the test body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또한, 본 발명은 연소버너의 부가 구성을 통해 가열온도곡선을 준용하여 수평가열공간과 수직가열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균일하게 열복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radiate heat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by applying the heating temperature curve mutatis mutandis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또한, 본 발명은 연소버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연료의 발화를 안정화시키고, 수평바디유닛과 수직바디유닛에 각각 결합되는 연소바디 전면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ilize the ignition of fuel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and prevent overheating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mbustion body coupled to the horizontal body unit and the vertical body unit,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수직바디유닛에서 수직가열공간을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eal the vertical heating space in the vertical body unit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lamp unit.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를 이용한 수직가열공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시험체를 수직바디유닛에 안정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aling force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using the test body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lamp unit, and can stably and closely fix the test body to the vertical body unit.

또한, 본 발명은 재하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수평바디유닛에서 수평가열공간을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eal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in the horizontal body unit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재하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열에 따른 수평가열공간의 압력을 안정되게 지탱하고, 시험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pressure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according to heating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and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specimen.

또한, 본 발명은 틸팅바디유닛의 틸팅 구조를 통해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시험체의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를 일원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through the tilting structure of the tilting body unit, and unif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object.

또한, 본 발명은 배치라인들과 조인트들의 결합 관계를 통해 시험체의 배치 위치에 따라 가열에 의해 틸팅가열공간에 생성되는 물질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discharge of substances generated in the tilting heating space by heating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est body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ment lines and the joints.

또한, 본 발명은 연소버너의 부가 구성을 통해 가열온도곡선을 준용하여 틸팅가열공간을 균일하게 열복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radiate heat in the tilting heating space by applying the heating temperature curve mutatis mutandis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또한, 본 발명은 연소버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연료의 발화를 안정화시키고, 틸팅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연소바디 전면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ilize the ignition of fuel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and prevent overheating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mbustion body coupled to the tilting body unit.

또한, 본 발명은 시험체에 직접 열을 가하는 방식이 아니고, 가열로에서 시험체와 마주보는 후면과 후면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측면 중 적어도 측면에 설치된 플랫버너를 사용함에 따라 화염으로 인한 국부적인 위치에서의 이상 온도 상승과 불균일한 온도 분포를 방지할 수 있고, 해당 가열공간에서 균일하게 불꽃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열공간의 중간쯤에서 써머 임펙트 효과에 의해 열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화재 조건하에서 내화 성능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thod of applying heat directly to the test body, but by using a flat burn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rear face and the rear face of the test body in the heating furn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bnormal temperature rise and non-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to generate a flame uniformly in the heating space, an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heat concentration due to the thermal impact effect in the middle of the heating spac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results can be derived under possible fire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시험체의 수직 배치에 대응하여 틸팅바디유닛에서 틸팅가열공간을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eal the tilting heating space in the tilting body unit in response to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lamp unit.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를 이용한 틸팅가열공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시험체를 틸팅바디유닛에 안정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aling force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using the test body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lamp unit, and can stably and closely fix the test body to the tilting body unit.

또한, 본 발명은 재하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시험체의 수평 배치에 대응하여 틸팅바디유닛에서 틸팅가열공간을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eal the tilting heating space in the tilting body unit in response to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재하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열에 따른 틸팅가열공간의 압력을 안정되게 지탱하고, 시험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pressure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according to heating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and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specimen.

또한, 본 발명은 재하구동뷰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재하바디의 유동을 방지하고, 재하레일로부터 재하바디의 이탈을 방지하며, 재하레일에서 재하바디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low of the Jaeha body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Jaeha drive view,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Jaeha body from the Jaeha rail, and clarif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Jaeha body on the Jaeha rail.

또한, 본 발명은 재하치구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의 전체 면적에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고, 틸팅바디유닛과 시험체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pressing force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est body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jig, and to improve the bonding stability between the tilting body unit and the test body.

또한, 본 발명은 재하치구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의 크기에 따라 동일한 높이의 슬래브들 사이 간격을 조절하고, 시험체를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spacing between slabs of the same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body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jig, and stably press the test body.

또한, 본 발명은 화재시험장치를 통해 시험체의 화재시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fire test of the specimen through the fire tes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연소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해당 가열공간을 균일하게 열복사하고, 연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radiate heat to the corresponding heating space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unit, and improve fue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을 안정되게 안정되게 배출시키고, 불티 또는 열로부터 배출팬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and stably discharge the substances generated in the heating body unit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unit, and protect the exhaust fan from sparks or heat.

또한, 본 발명은 집진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이물질의 제거를 간편하게 하고,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prevent air pollution.

또한, 본 발명은 배연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화재시험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는 한편, 화재시험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cattering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place where the fire test apparatus is installed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smoke exhaust unit, while preventing air pollution in the place where the fire test apparatus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배연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열바디유닛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포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llecting power of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heating body unit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unit.

또한, 본 발명은 제어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화재시험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정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stability of the fire test apparatus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또한, 본 발명은 표준화재(CELLULOSIC FIRE)등급 및 탄화수소화재(HYDROCARBON FIRE)등급 조건의 온도 상승과 압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의 시험 절차에 적합하게 구축되어 내화구조에서 요구하는 시험방법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소형선박 내장재의 화재 안전성 및 내화 성능 시험이 가능한 내화구조, 방화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를 통해 알루미늄 소형선박 내장재의 실제 화재 시 발생하는 화재성상을 직접 측정할 수 있고, 화재 안전에 사용되는 다양한 화재인자를 분석하며, 알루미늄 소형선박 산업 전반에 걸쳐 국내외 화재안전 기준코드 및 규격 만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를 통해 요구되는 화재 온도곡선에 의한 구조 부재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고, 화재가혹도(Fire Severity), 화재강도(Fire Intensity)와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화재사고 재현 기술개발, 실물화재 사고 위험성 평가 기술개발, 구조 부재의 화재 저항 성능평가 인증 체계 구축, 화재 역학적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화재시험을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o suit the test procedures of the relevant regulations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can be adjusted under the conditions of CELLULOSIC FIRE and HYDROCARBON FIRE grades, so that not only the test method required in the fire-resistance structure, but also the aluminum It is possible to provide fire-resistance and fire-resistance structures capable of testing the fire safety an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interior materials for small ships. In addition, through the fire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fire properties that occur in the case of an actual fire of the interior materials of aluminum small ships, analyze various fire factors used for fire safety,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the fire safety standard codes and standards are satisfied. In addition, the safety of structural members can be evaluated by the fire temperature curve required through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severity and fire intensity is quantitatively measured to cause a fire accident. It become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fire tests for multiple purposes: re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real fire accident risk assessment technology development, fire res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structural members, and fire dynamics data.

또한, 본 발명은 건축법 등의 건축물 화재안전관련 규정 개정 및 정비를 향상시키고, 건축재료, 계획, 구조, 설비 등 분야별 유기적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며, 화재안전기준의 객관성, 합리성 확보에 따라 대국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evision and maintenance of regulations related to fire safety in buildings such as the Building Act, organically and complementary technology development for each field such as building materials, plans, structures, and facilities, and secures objectivity and rationality of fire safety standards Accordingly, public trust can be secured.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 내화/연소확대방지/피난안전기준의 제정과 관련한 기술 보급을 원활하게 하고, 건축구조 및 재료의 화재안전성 예측 기술 보급을 원활하게 하며, 화재안전 기술의 선진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dissemination of technolog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building fire resistance / prevention of expansion of combustion / evacuation safety standards, facilitates the spread of fire safety prediction technology of building structures and materials, and promotes advancement of fire safety technology. have.

또한, 본 발명은 화재 관련 선진 실험 및 연구기관(NIST, BRE 등)과의 기술협조체계를 구축하고, 국제적 화재안전기준 실험 및 인증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으며, ISO 등 선진화재관련 스탠다드 실험 및 인증이 가능하고, 방화 내화 안전설계법 개발을 위한 실험과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ablish a technical cooperation system with advanced fire-related test and research institutes (NIST, BRE, etc.), and can leap into an international fire safety standard test and certification institution, and test and certify advanced fire-related standards such as ISO This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conduct experiments and evalu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ire and fire safety design methods.

또한, 본 발명은 방화재료, 방화구조, 소방설비 등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고, 화재안전기술의 선진화 및 해외 수출에 기여하며, 화재관련 산업 및 민간과의 인프라구조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ctivating related industries such as fire protection materials, fire protection structures, and fire fighting equipment,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fire safety technology and exporting overseas, and building infrastructure with fire related industries and the private sector. have.

또한, 본 발명은 한계 내력 이하로 설계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below the limiting capacity to ensure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수평바디유닛에 연결되는 연소유닛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수직바디유닛에 연결되는 연소유닛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바디유닛에서의 가열온도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수평바디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연소버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클램핑유닛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재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재하유닛의 재하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틸팅바디유닛이 직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틸팅구동공간에 틸팅구동유닛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틸팅힌지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서 틸팅바디유닛이 누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mbustion unit connected to a horizontal body unit in a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mbustion unit connected to a vertical body unit in a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a heating temperature curve in the body unit in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mbustion burner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lamping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oading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ading fixture of the loading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body unit is erect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drive unit is disposed in the tilting drive spa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tilting hinge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body unit is lyin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와 이것을 이용한 화재시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nd a fire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는 시험체(A)에 대하여 표준 화재조건 하에 노출시킨 시험체(A)의 내화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바디유닛(100)과, 연소유닛(200)과, 배출유닛(500)과, 집진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easur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test object (A) exposed under standard fire conditions with respect to the test object (A), the heating body unit ( 100 ), a combustion unit 200 , a discharge unit 500 , and a dust collection unit 7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가열바디유닛(100)은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 및 열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하며, 시험체(A)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 가능하다. 가열바디유닛(100)에서는 시험체(A)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시험체(A)가 완전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가열바디유닛(100)에는 다양하게 크기 조절 가능한 시험체(A)가 장착 가능하다.In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body unit 100 has durability to sufficiently withstand external force and no deformation due to heat, and can safely and firmly support the test body A. In the heating body unit 100,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test body (A) is easy, and the test body (A) has a structure in which it can be completely adhered. The heating body unit 100 can be equipped with a test body (A) that can be adjusted in various sizes.

일예로, 가열바디유닛(100)은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하나의 화재시험장치에서 시험체(A)의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를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산업표준화규격에 제시된 온도 조건에서 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heating body unit 100 may include a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to 11 .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A) in one fire test apparatu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est to be conducted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s suggested in the industry standardization standar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상부가 개구된 수평가열공간(20a)이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수평가열공이 관통 형성되며 시험체(A)에 의해 수평가열공간(20a)이 밀폐 가능한 수평바디유닛(20)과, 일측면부가 개구된 수직가열공간(31)이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수직가열공이 관통 형성되며 시험체(A)에 의해 수직가열공간(31)이 밀폐 가능한 수직바디유닛(30)과, 수평바디유닛(20)의 일측면부와 수직바디유닛(30)의 타측면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버퍼바디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with an open top, and a horizontal heating hole is formed through at leas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nd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is formed by the test body (A). (20a) is a sealable horizontal body unit 20, a vertical heating space 31 with an open one side part is formed, at least a front part and a vertical heat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rear part, the vertical heating space by the test body (A) ( 31) may include a sealable vertical body unit 30 and a buffer body unit 40 integrally connecting one side portion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vertical body unit 30 .

수평가열공간(20a)은 수평격벽(23)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1수평공간(21)과, 수평격벽(23)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제2수평공간(2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격벽(23)에는 제1수평공간(21)과 제2수평공간(22)을 연통시키는 공간연통부(24)가 관통 형성된다.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can be divided into a first horizontal space 21 formed in the upper par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23 and a second horizontal space 22 formed in the lower part bas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23. have. A space communicating portion 24 for communicating the first horizontal space 21 and the second horizontal space 22 is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23 .

수평바디유닛(20)의 타측면부에는 수평가열공간(20a)에서 제2수평공간(22)과 연통되는 수평배기부(2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배기부(25)에는 후술하는 배출유닛(500)이 연결되어 연소에 의해 수평가열공간(20a)에서 생성된 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A horizontal exhaust portion 25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orizontal space 22 in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may be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 A discharg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exhaust unit 25 to discharge substances generated in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by combustion.

수평바디유닛(20)의 타측면부에는 수평배기부(25)에서 이격되어 작업자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점검구(26)가 구비될 수 있다. 점검구(26)는 수평배기부(25)에서 이격되어 수평바디유닛(20)의 타측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점검홀부와, 점검홀부를 개폐하는 점검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점검구(26)를 통해 제2수평공간(22)이 외부와 연통되면, 작업자는 제2수평공간(22)에 출입할 수 있고, 제2수평공간(22)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port 26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exhaust unit 25 to enable the worker to enter and exit. The inspection port 26 may include an inspection hole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exhaust unit 25 and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and an inspection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pection hole. Then, when the second horizontal space 22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inspection port 26 , the operator can enter and exit the second horizontal space 22 , and maintain the second horizontal space 22 .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직바디유닛(30)의 하부 또는 수직바디유닛(30)의 상부 또는 수직바디유닛(30)의 타측면부에는 수직배기부(미도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수직배기부(미도시)에는 후술하는 배출유닛(500)이 연결되어 연소에 의해 수직가열공간(31)에서 생성된 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vertical exhaust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body unit 30 or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ody unit 30 or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vertical body unit 30 . A discharg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haust unit (not shown) to discharge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by combustion.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평바디유닛(20)의 전면부와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평바디유닛(20)의 내부를 관찰함으로써, 시험체(A)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투시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투시창(미도시)은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관측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직바디유닛(30)의 전면부와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직바디유닛(30)의 내부를 관찰함으로써, 시험체(A)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수직투시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수직투시창(미도시)은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관측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viewing window (not shown) that can check the change of the test object A by observing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can be The horizontal viewing window (not shown) can be cooled using air to promote observation convenience. Similarly, by observing the inside of the vertical body unit 30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vertical body unit 30, a vertical viewing window (not shown) that can confirm the change of the test body A may be provided. . The vertical viewing window (not shown) can be cooled using air to promote observation convenience.

버퍼바디유닛(40)은 수평바디유닛(20)과 수직바디유닛(30) 사이의 열전달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화물 구조를 갖는다. 버퍼바디유닛(40)은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ffer body unit 40 has a refractory structure to prevent or minimize heat transfer between the horizontal body unit 20 and the vertical body unit 30 . The buffer body unit 40 may be made of a hollow housin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수직가열공간(31)은 폭 3.05m x 높이 3.05m의 시험체(A)를 시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공기의 입출력을 제어하여 수직가열공간(31)의 온도와 압력 제어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has a structure capable of testing the specimen A having a width of 3.05 m x a height of 3.05 m. By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of air,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수평가열공간(20a)은 폭 3m x 길이 4m의 시험체(A)를 시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공기의 입출력을 제어하여 수평가열공간(20a)의 온도와 압력 제어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has a structure capable of testing the specimen A having a width of 3 m x a length of 4 m. By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of air,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가열바디유닛(100)의 외부 케이싱은 금속플레이트로 마감되고, 보강재를 설치하여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지니도록 한다.The outer casing of the heating body unit 100 is finished with a metal plate, and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to have durability that can sufficiently withstand external force.

수직가열공간(31)과 수평가열공간(20a)의 내벽은 세라믹모듈로 시공한 후 캐스타블(castable)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수직가열공간(31)과 수평가열공간(20a)에서는 각각 최고 1,800℃까지 견딜 수 있다. 캐스타블을 시공할 때,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칩을 혼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충분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시험체(A) 충격에 의한 파손시 캐스타블 전체가 아닌 파손 부위를 개별 교체할 수 있도록 블럭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유리하다.The inner walls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and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may be finished with a castable after construction with a ceramic module. Then,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and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can withstand up to 1,800° C., respectively. When constructing castables, mix wire chips to prevent cracking, so that they have sufficient durability.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indicate the block structure so that the damaged part can be individually replaced, not the entire castable, when the specimen (A) is damaged by the impact.

가열바디유닛(100)의 벽을 형성하는 내화물은 단열벽돌로 이루어 제1레이어와, 제1레이어에 적층되는 단열벽돌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와, 제2레이어에 적층되는 단열패널로 이루어진 제3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레이어는 900kg/m3 이상의 밀도를 나타내고, 제2레이어는 최대 1,260℃를 견딜 수 있으며 제3레이어는 최대 1,000℃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The refractory material forming the wall of the heating body unit 100 is a first layer made of heat insulating bricks, a second layer made of heat insulating bricks stacked on the first layer, and a third layer made of heat insulating panels stacked on the second layer can be composed of At this time, the first layer exhibits a density of 900 kg/m3 or more, the second layer can withstand a maximum of 1,260°C, and the third layer can be designed to withstand a maximum of 1,000°C.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수평바디유닛(20)과 수직바디유닛(30)과 버퍼바디유닛(40)이 포함되는 가열바디유닛(100)을 바닥에 정위치시키는 베이스유닛(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osition the heating body unit 100 including the horizontal body unit 20, the vertical body unit 30 and the buffer body unit 40 on the floor. It may further include a base unit (10).

베이스유닛(10)에는 바닥으로부터 가열바디유닛(100)을 이격 지지하는 바디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unit 10 may have a body support part 11 for supporting the heating body unit 1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nd formed to protrud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수평가열공과 수직가열공에 각각 결합되고, 수평가열공간(20a)과 수직가열공간(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연소버너(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heating hole and the vertical heating hole, respectively, and a combustion burner 210 for heating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 ) may be further included.

연소버너(210)는 후술하는 연소유닛(200)에 포함된다.The combustion burner 210 is included in the combustion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연소버너(210)는 플랫버너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평가열공간(20a)과 수직가열공간(31)을 균일하게 열복사할 수 있고, 해당 가열공간으로 노출되는 연소버너(210)의 전면 과열을 방지하며, 내구성이 강하고, 연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combustion burner 210 can radiate heat uniformly to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as it is composed of a flat burner, and prevents overheating of the front of the combustion burner 210 exposed to the heating space. , durability is strong, and fue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연소버너(210)는 일측에는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223)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공기공간(221)과 연통되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222)가 구비되는 연소바디(220)와, 연소바디(220)로부터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되 일측은 연료입구(223)와 연결되고 타측은 공기입구(222)와 연결되는 연소노즐(230)과, 연소노즐(230)에서 배출되는 연료와 공기에 의해 불꽃이 생성되도록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225)와, 연소바디(220)를 수평바디유닛(20)과 수직바디유닛(3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플레이트(240)와, 연소바디(220)와 설치플레이트(24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가열공과 수직가열공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불꽃이 배출되는 화염경로(251)가 구비된 단열블럭(250)을 포함할 수 있다.Combustion burner 210 is provided with a fuel inlet 223 into which fuel is injected on one side and a combustion body 220 having an air inlet 222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ir space 221 on the other side, and combustion The fuel and air are mixed and discharged from the body 22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uel inlet 223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222, the combustion nozzle 230, and the fuel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nozzle 230. An ignition unit 225 for igniting fuel to generate a flame by air, and an installation plate 24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mbustion body 220 to the horizontal body unit 20 and the vertical body unit 30, respectively, and , In a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body 220 and the installation plate 240 are integrally coupled, the insulating block 250 is fitted with a horizontal heating hole and a vertical heating hole, respectively, and a flame path 251 through which a flame is emitted. can

연소버너(210)는 점화부(225)를 통해 생성된 불꽃의 불길을 탐지하는 불길탐지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길탐지부(226)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불길을 탐지할 수 있다.The combustion burner 210 may further include a flame detection unit 226 for detecting the flame of the flame generated through the ignition unit 225 . The flame detection unit 226 may detect a flame by using ultraviolet rays.

연소바디(220)는 공기공간(221)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공기공간(221)은 공기입구(222)와 연통되고, 연소바디(220)의 내부에는 연료입구(223)와 연결되는 연료관(224)이 구비될 수 있다. 연소바디(220)는 단열블럭(250)에 결합되고 연소노즐(230)이 결합되며 연소노즐(230)을 해당 가열공간 쪽으로 노출시키는 제1바디와, 제1바디와 결합되고 연료입구(223)와 공기입구(222)가 구비되는 제2바디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바디와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설치플레이트(240)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combustion body 220 may form a hollow enclosure in which the air space 221 is formed. In this case, the air space 221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222 , and a fuel pipe 224 connected to the fuel inlet 223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bustion body 220 . Combustion body 220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block 250, the combustion nozzle 230 is coupled, the first body exposing the combustion nozzle 230 toward the heating spac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fuel inlet 223 and a second body provided with an air inlet 222 .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plate 240 .

연소노즐(230)은 연료입구(223) 또는 연료관(224)과 연결되는 노즐관(231)과,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노즐헤드(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헤드(233)에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공기공간(221)과 연통되는 공기공급부(234)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combustion nozzle 230 may include a nozzle pipe 231 connected to the fuel inlet 223 or the fuel pipe 224 , and a nozzle head 233 for mixing and discharging fuel and air. Here, an air supply unit 234 communicating with the air space 221 may be formed through the nozzle head 233 to inject air.

설치플레이트(240)의 면적은 해당 가열공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해당 바디유닛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해당 가열공을 통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installation plate 24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orresponding heating hole, thereby simplifying coupling with the corresponding body unit and preventing leakage through the corresponding heating hole.

단열블럭(250)은 상술한 내화물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단열블럭(250)은 상술한 캐스타블을 포함할 수 있다. 화염경로(251)는 연소바디(220)가 결합되는 노즐지지부와, 노즐지지부와 연통되는 화염발생부(252)와, 화염발생부(252)보다 큰 폭을 형성하여 화염발생부(252)와 연통되는 화염버퍼부(253)와, 화염버퍼부(253)와 연통되고 화염버퍼부(253)로부터 해당 가열공간을 향해 폭이 확장되는 화염확산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block 250 may represent the above-described refractory structure. The insulating block 250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castables. The flame path 251 has a nozzle support part to which the combustion body 220 is coupled, a flame generator 252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support part, and a flame generator 252 to form a larger width than the flame generator 252. It may include a flame buffer unit 253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ame buffer unit 253 and a flame spread unit 254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ame buffer unit 253 and expands in width from the flame buffer unit 253 toward the corresponding heating space.

단열블럭(250)은 해당 가열공에서의 끼우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해당 가열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이 누설되는 방지할 수 있다.The insulating block 250 facilitates the fitting in the heating hole, and can prevent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space from leakin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는 연료와 공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연소버너(210)가 수평바디유닛(2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8세트가 장착되어 총 16세트가 장착되고, 수직바디유닛(3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4세트가 장착되어 총 8세트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ets of combustion burners 210 using fuel and air as heat sources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respectively, for a total of 16 sets. is mounted, and 4 sets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vertical body unit 30, respectively, showing that a total of 8 sets are mounted.

그리고 상호 인접한 연소버너(210) 사이에는 산업표준화규격에서 요구하는 온도센서(810)와 가열로내압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일정한 화재 시험 조건하에서의 내화 성능 시험을 원활히 할 수 있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810 and a furnace pressure sensor (not shown) required by industry standardization are installed between the adjacent combustion burners 210 to facilitate a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under certain fire test conditions.

그러면, 공기는 공기공급팬(290)으로부터 공급받고, 연료는 연료탱크(270)를 거쳐 정압으로 공급받게 된다.Then,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fan 290 , and fuel is supplied at a positive pressure through the fuel tank 27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수직가열공간(31)을 밀폐하는 시험체(A)를 수직바디유닛(30)에 밀착 고정시키는 클램프유닛(300)과, 수평가열공간(20a)을 밀폐하는 시험체(A)를 수평바디유닛(20)에 밀착 고정시키는 재하유닛(4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amp unit 300 for closely fixing the test body (A) sealing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to the vertical body unit (30), and a horizontal heating space ( 20a)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loading unit 400 for tightly fixing the test body (A) sealing the horizontal body unit (20).

클램프유닛(300)은 수직가열공간(31)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링크(320)와, 파지링크(320)에서 이격되어 수직바디유닛(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링크(320)를 정역회전시키는 왕복구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mp unit 3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ripping link 320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gripping link 32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ody unit 30 and gripped. It may include a reciprocating drive unit 310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link (320).

파지링크(320)는 수직가열공간(31)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왕복구동부(310)와 링크 결합되는 구동지지부(321)와, 구동지지부(321)에서 연장되는 피벗지지부(322)와, 파지링크(320)의 회전에 따라 수직가열공간(31)을 밀폐하는 시험체(A)를 가압하도록 피벗지지부(322)의 단부에 결합되는 밀착지지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link 320 is rotatably coupl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 and a driving support part 321 that is link-coupled to the reciprocating driving part 310 , and a pivot support part 322 extending from the driving support part 321 . ) and may include a close contact support portion 323 coupled to the end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322 to press the test body (A) sealing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ripping link 320 .

왕복구동부(310)는 수직바디유닛(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311)와, 유압에 의해 실린더(31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링크(320)의 구동지지부(321)에 링크 결합되는 피스톤(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310 is rotatably coupled to a cylinder 311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ody unit 30, and reciprocally coupled to the cylinder 311 by hydraulic pressure, and to the driving support 321 of the gripping link 320. It may include a piston 312 that is linked to the link.

그러면, 시험체(A)를 수직바디유닛(30)에 배치하고, 클램프유닛(300)이 동작됨에 따라 시험체(A)를 수직바디유닛(30)에 확실하게 밀폐 고정시킬 수 있다.Then, the test object (A) is placed on the vertical body unit (30), and as the clamp unit (300) is operated, the test object (A) can be securely sealed and fixed to the vertical body unit (30).

재하유닛(400)은 수평바디유닛(20)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재하레일(410)과, 재하레일(410)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재하구동부(450)와, 한 쌍의 재하구동부(450)를 연결하고 재하구동부(450)가 재하레일(410)을 따라 구름 이동함에 따라 수평바디유닛(20)의 상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재하바디(420)와, 수평가열공간(20a)을 밀폐한 시험체(A)에 적층 지지되는 재하치구(430)와, 재하바디(420)에 결합되고 재하치구(430)를 가압하는 재하가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Loading unit 400 is a pair of jaeha rails 410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and a pair of loading driving parts 450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jaeha rail 410 and , a pair of load driving units 450 are connected and the load driving unit 450 is capable of reciprocat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as the load driving unit 450 rolls along the load rail 410. And, horizontal heating The space 20a may include a loading fixture 430 stacked and supported on the test body A, which is sealed, and a loading pressure unit 440 coupled to the loading fixture 420 and pressurizing the loading fixture 430 .

재하유닛(400)에 의해 수평 배치되는 시험체(A)를 재하할 때, 수평 배치되는 시험체(A)의 구조 설계 조건을 실현할 수 있도록 재하유닛(400)은 시험체(A)를 가압할 수 있다.When loading the test body A horizontally arranged by the loading unit 400, the loading unit 400 can press the test body A so as to realize the structural design conditions of the horizontally arranged test body A.

재하레일(410)은 바닥 또는 후술하는 발판유닛(460) 또는 베이스유닛(10)에 지지되는 레일바닥부(411)와, 레일바닥부(411)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는 레일수직부(412)와, 레일바닥부(411)와 평행을 이루도록 레일바닥부(411)에서 이격되어 레일수직부(412)의 단부에 구비되는 레일수평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rail 410 includes a rail bottom 411 supported on the floor or a footrest unit 460 or base unit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rail vertical portion 412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rail bottom 411 . ) and may include a rail horizontal portion 413 provided at an end of the rail vertical portion 412 spaced apart from the rail bottom portion 411 to be parallel to the rail bottom portion 411 .

재하구동부(450)는 재하바디(4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재하브라켓(451)과, 재하레일(410)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재하브라켓(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바퀴(452)와, 레일바퀴(452)에서 이격되어 재하브라켓(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퀴(4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jaeha drive unit 450 includes a jaeha bracket 451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jaeha body 420, and a rail wheel 452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jaeha bracket 451 so as to be able to roll in the jaeha rail 410 and , may include a guide wheel 454 spaced apart from the rail wheel 452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jaeha bracket 451 .

재하구동부(450)는 재하브라켓(451) 또는 재하바디(420)에 구비되어 레일바퀴(452)를 회전시키는 재하모터(453)를 더 포함하여 재하유닛(400)의 자동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The loading driving unit 450 is provided on the loading bracket 451 or the loading body 420 to further include a loading motor 453 for rotating the rail wheel 452 to implement automatic movement of the loading unit 4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재하구동부(450)의 레일바퀴(452)는 레일바닥부(411)에서 구름 이동되도록 하고, 재하레일(410)에서 레일수평부(413)에는 재하구동부(450)의 가이드바퀴(454)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가이드(414)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가이드(414)는 재하레일(4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wheel 452 of the load driving unit 450 is rolled to move on the rail bottom 411, and the load driving unit 450 in the rail horizontal part 413 in the load rail 410. A rail guide 414 to which the guide wheel 454 of the rolling movement is coupled may be provided. The rail guide 414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aeha rail 410 .

재하바디(420)는 한 쌍의 재하구동부(450)에 각각 직립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재하수직부(421)와, 한 쌍의 재하수직부(421)를 연결하는 재하수평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재하수평부(422)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재하수직부(421)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다. 재하수평부(422)에는 재하가압부(440)가 결합된다.The load body 420 includes a pair of loading vertical parts 421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a pair of loading driving parts 450, respectively, and a horizontal loading part 422 connecting a pair of loading vertical parts 421. may include The loading horizontal part 422 is movable in the vertical loading part 421 through a separate driving means. The load pressing unit 440 is coupled to the load horizontal part 422 .

재하치구(430)는 슬래브 시험용으로 사용되고, 미설명부호 430a는 보 시험용의 하중치구이다.The load fixture 430 is used for a slab test, and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430a is a load fixture for a beam test.

재하치구(430)는 재하가압부(440)에 장착되는 제1슬래브(431)와, 제1슬래브(431)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슬래브(43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래브(432)와, 제2슬래브(432)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슬래브(432)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슬래브(433)와, 제3슬래브(433)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3슬래브(433)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슬래브와, 시험체(A)에 지지되도록 제4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재하지지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fixture 430 is formed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lab 431 mounted on the loading pressing unit 440 and the first slab 431, an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lab 431, respectively. The second slab 432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third slab 433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ab 432 and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slab 432, respectively. ), a fourth slab formed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lab 433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hird slab 433, respectively, and the fourth slab to be supported by the test body A It may include a back support portion 437 that is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제1슬래브(431)는 재하레일(410)과 교차되는 방향 또는 재하레일(410)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lab 431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jaeha rail 410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jaeha rail 410 .

제1슬래브(431)의 단부는 제2슬래브(432)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고, 제2슬래브(432)의 단부는 제3슬래브(433)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며, 제3슬래브(433)의 단부는 제4슬래브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여 재하치구(43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The end of the first slab 431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lab 432 , the end of the second slab 432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slab 433 , and the third slab 433 . The end of the fourth slab may support the central portion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reloading tool 430 .

재하치구(430)는 제1슬래브(431)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제2슬래브(432)를 제1슬래브(431)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볼스크류(435)와, 제2슬래브(432)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제3슬래브(433)를 제2슬래브(432)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볼스크류와, 제3슬래브(433)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제4슬래브를 제3슬래브(433)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볼스크류(436)와, 제4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재하지지부(437)를 제4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볼스크류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jig 430 is coupled to the first slab 431 and rotates to move the second slab 4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ll screw 435 and the second slab ( A second ball screw coupled to 432 and rotating the third slab 4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ab 432 and coupled to the third slab 433 and rotating to form a fourth slab At least among the third ball screw 436 that the third slab 433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ourth ball screw coupled to the fourth slab and moving the loading support part 43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ourth slab according to the rot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y on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볼스크류는 제1볼스류와 제3볼스크류(43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 screw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first ball screw and a third ball screw 436 .

재하가압부(440)는 유압액츄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재하가압부(440)는 보 시험용 가압부와 슬래브 시험용 가압부로 구분할 수 있다. 재하가압부(440)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재하바디(420)의 재하수평부(422)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재하가압부(440)는 제1슬래브(431)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어 재하치구(43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 hydraulic actuator may be applied to the load pressing unit 440 . The load pressing unit 440 may be divided into a pressing unit for a beam test and a pressing unit for a slab test. The loading pressing unit 440 is slidably movable in the loading horizontal portion 422 of the loading body 420 through a separate driving means. The loading pressing unit 440 may be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lab 431 to maintain the loading fixture 430 in a horizontal state.

재하유닛(400)은 작업자가 활동 가능한 발판유닛(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유닛(460)은 가열바디유닛(100)에서 적어도 수평바디유닛(20)의 상부에 수평 상태로 구비되는 발판부와, 바닥으로부터 발판부로의 이동을 위한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발판부의 가장자리와 계단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이 설치될 수 있다.The loading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scaffolding unit 460 in which the operator can be active. The scaffold unit 460 may include a scaffold provided in a horizontal state on at least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body unit 20 in the heating body unit 100 and a step for moving from the floor to the scaffold. Handrails for the safety of workers may be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footrest and the stairs.

다른 예로, 가열바디유닛(100)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하나의 화재시험장치에서 시험체(A)의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를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산업표준화규격에 제시된 온도 조건에서 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heating body unit 100 may include a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2 to 15 .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A) in one fire test apparatu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test to be conducted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s presented in the industry standardization standar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바닥에 구비되는 베이스유닛(10)과, 베이스유닛(10) 상에 설치되고 직립 상태를 기준으로 일측면부가 개구된 틸팅가열공간(51)이 형성되며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틸팅가열공이 관통 형성되고 시험체(A)에 의해 틸팅가열공간(51)이 밀폐 가능한 틸팅바디유닛(50)과, 베이스유닛(10)을 기준으로 틸팅바디유닛(5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힌지유닛(70)과, 베이스유닛(10)을 기준으로 틸팅바디유닛(50)을 회전시키는 틸팅구동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10 provided on the floor, and a tilting heating space 51 installed on the base unit 10 and having one side open on the basis of an upright state. ) is formed, the tilting heating hole is formed through at leas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nd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can be sealed by the test body (A). It may include a tilting hinge unit 70 for rotatably coupling the 50 , and a tilting drive unit 60 for rotating the tilting body unit 50 based on the base unit 10 .

그러면, 틸팅구동유닛(60)의 동작에 따라 틸팅바디유닛(50)이 직립하는 경우, 틸팅가열공간(51)의 개구부는 틸팅바디유닛(50)의 일측면부에 배치되고, 틸팅구동유닛(60)의 동작에 따라 틸팅바디유닛(50)이 누운 경우, 틸팅가열공간(51)의 개구부는 틸팅바디유닛(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n, when the tilting body unit 50 is er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e unit 60,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the tilting drive unit 60 ), when the tilting body unit 50 lies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body unit 50 .

베이스유닛(10)에는 바닥으로부터 가열바디유닛(100)을 이격 지지하는 바디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에는 틸팅구동유닛(60)이 안착 지지되도록 바닥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틸팅구동공간(1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unit 10 may have a body support part 11 for supporting the heating body unit 1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nd formed to protrude. The base unit 10 may have a tilting drive space 12 that is recessed from the floor so that the tilting drive unit 60 is seated and supported.

도시되지 않았지만, 틸팅바디유닛(50)이 누운 상태를 기준으로 틸팅바디유닛(50)의 전면부와 후면부와 일측면부와 타측면부와 바닥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틸팅바디유닛(50)의 내부를 관찰함으로써, 시험체(A)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틸팅투시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틸팅투시창(미도시)은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관측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rt, the rear part, one side part, the other side part, and the bottom surface part of the tilting body unit 50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tilting body unit 50 is lying on the in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50 By observing, a tilting sight window (not shown) that can confirm the change of the test object A may be provided. The tilting sight window (not shown) can be cooled using air to promote observation convenience.

틸팅가열공간(51)의 내벽은 세라믹모듈로 시공한 후 캐스타블(castable)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틸팅가열공간(51)에서는 각각 최고 1,800℃까지 견딜 수 있다. 캐스타블을 시공할 때,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칩을 혼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충분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시험체(A) 충격에 의한 파손시 캐스타블 전체가 아닌 파손 부위를 개별 교체할 수 있도록 블럭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유리하다.The inner wall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may be finished with a castable after construction with a ceramic module. Then, in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each can withstand a maximum of 1,800 ℃. When constructing castables, mix wire chips to prevent cracking, so that they have sufficient durability.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indicate the block structure so that the damaged part can be individually replaced, not the entire castable, when the specimen (A) is damaged by the impact.

직립 상태를 기준으로 틸팅바디유닛(50)의 상부에는 틸팅배기부(5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A tilting exhaust unit 52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body unit 50 based on the upright state.

틸팅힌지유닛(70)은 베이스유닛(10)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71)와, 틸팅바디유닛(50)에 구비되어 제1힌지부(71)에 링크 결합되는 제2힌지부(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hinge unit 70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71 provided in the base unit 10 and a second hinge portion 72 provided in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link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71 . ) may be included.

틸팅구동유닛(60)은 유압액츄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A hydraulic actuator may be applied to the tilting drive unit 6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시험체(A)의 수평 배치와 시험체(A)의 수직 배치를 위해 틸팅구동유닛(60)은 틸팅바디유닛(50)을 회전시킬 때, 0도에서 10도까지는 초저속으로 동작시키고, 10도 이상에서는 정속을 유지하며, 80도에서 90도까지 또는 70도에서 90도까지는 다시 초저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When the tilting drive unit 60 rotates the tilting body unit 50 for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test object (A)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object (A)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operates at ultra-low speed from 0 degrees to 10 degrees, maintains constant speed above 10 degrees, and can be operated again at ultra-low speed from 80 degrees to 90 degrees or 70 degrees to 90 degrees.

틸팅바디유닛(50)이 직립한 상태에서는 틸팅구동유닛(60)이 정지되어도 틸팅바디유닛(50)의 직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틸팅구동유닛(60)을 구성하고, 틸팅구동유닛(60)은 체크밸브 기능을 가진 유압 부품을 사용하여 누설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tilting body unit 50 is upright, the tilting drive unit 60 is configured so that the upright state of the tilting body unit 50 is maintained even when the tilting drive unit 60 is stopped, and the tilting drive unit 60 is checked Use hydraulic components with valve function to prevent leakage.

틸팅구동유닛(60)은 주위의 높은 열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패킹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A packing material designed to withstand high ambient heat may be applied to the tilting drive unit 60 .

제1힌지부(71)와 제2힌지부(72)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 특수강을 사용하여 가열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hinge part 71 and the second hinge part 72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heating furnace by using special steel having sufficient strength.

유압이 작동되는 부분 또는 틸팅바디유닛(50)의 회전에 따라 굴절되는 부분에서는 누설 및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내화 성능을 가진 플렉시블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A flexible material having a fire resistance performance may be applied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leakage and durability in the portion where the hydraulic pressure is operated or the portion that is refrac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ilting body unit 50 .

틸팅바디유닛(50)의 경사각은 엔코더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제어유닛(800)과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ilting body unit 5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800 to be described later using an encoder.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배출덕트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덕트유닛은 후술하는 배출유닛(500)에 포함될 수 있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duct unit. The discharge duct unit may be included in the discharg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배출덕트유닛은 틸팅바디유닛(50)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바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평배치라인(550)과, 틸팅바디유닛(50)이 누운 경우 틸팅배기부(52)와 수평배치라인(550)을 연결시키는 수평조인트(551)와, 틸팅바디유닛(5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바닥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직배치라인(560)과, 틸팅바디유닛(50)이 직립하는 경우 틸팅배기부(52)와 수직배치라인(560)을 연결시키는 수직조인트(561)와, 수평배치라인(550)과 수직배치라인(560)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duct unit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is disposed vertically on the floor with a horizontal arrangement line 550, and when the tilting body unit 50 lies down, a tilting exhaust unit 52 and a horizontal arrangement line 550 ), a vertical arrangement line 560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floor, and the tilting body unit 50 when the tilting exhaust unit (50) is upright ( 52) and a vertical joint 561 for connecting the vertical arrangement line 560, and a connecting joint 570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arrangement line 550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line 560 may be further included.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출덕트유닛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틸팅바디유닛(50)의 위치에 따라 배출덕트유닛을 개폐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discharge duct un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valv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duct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ilting body unit 50 .

그러면, 시험을 실시할 때는, 개폐밸브에 의해 틸팅가열공간(51)의 열이 배출덕트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n, when performing the te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exhaust duct unit by the on/off valve.

또한, 틸팅바디유닛(50)이 직립한 상태에서 연소에 의해 틸팅바디유닛(50)에서 생성된 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개폐밸브에 의해 틸팅바디유닛(50)의 틸팅배기부(52)와 수직조인트(561)와 수직배치라인(560)과 연결조인트(570)가 연통되도록 하고, 연결조인트(570)와 수평배치라인(550)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tilting body unit 50 is discharged by combustion while the tilting body unit 50 is upright, it is perpendicular to the tilting exhaust part 52 of the tilting body unit 50 by the on/off valve. The joint 561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line 560 and the connecting joint 57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joint 570 and the horizontal arrangement line 550 may be blocked.

또한, 틸팅바디유닛(50)이 누운 상태에서 연소에 의해 틸팅바디유닛(50)에서 생성된 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개폐밸브에 의해 틸팅바디유닛(50)의 틸팅배기부(52)와 수평조인트(551)와 수평배치라인(550)과 연결조인트(570)가 연통되도록 하고, 연결조인트(570)와 수직배치라인(560)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tilting body unit 50 is discharged by combus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body unit 50 is lying down, the tilting exhaust unit 52 and the horizontal joint of the tilting body unit 50 by an on/off valve 551 and the horizontal arrangement line 550 and the connecting joint 57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joint 570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line 560 may be blocked.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출덕트유닛에는 연소에 의해 틸팅가열공간(51)에서 생성된 물질을 냉각시키는 역화방지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discharge duct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lashback prevention chamber for cooling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by combus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틸팅가열공에 결합되고, 틸팅가열공간(51)을 가열하는 연소버너(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bustion burner 210 coupled to the tilting heating hole and heat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

연소버너(210)는 후술하는 연소유닛(200)에 포함된다.The combustion burner 210 is included in the combustion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연소버너(210)는 플랫버너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평가열공간(20a)과 수직가열공간(31)을 균일하게 열복사할 수 있고, 해당 가열공간으로 노출되는 연소버너(210)의 전면 과열을 방지하며, 내구성이 강하고, 연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combustion burner 210 can radiate heat uniformly to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as it is composed of a flat burner, and prevents overheating of the front of the combustion burner 210 exposed to the heating space. , durability is strong, and fue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연소버너(210)는 일측에는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223)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공기공간(221)과 연통되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222)가 구비되는 연소바디(220)와, 연소바디(220)로부터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되 일측은 연료입구(223)와 연결되고 타측은 공기입구(222)와 연결되는 연소노즐(230)과, 연소노즐(230)에서 배출되는 연료와 공기에 의해 불꽃이 생성되도록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225)와, 연소바디(220)를 틸팅바디유닛(5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플레이트(240)와, 연소바디(220)와 설치플레이트(24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틸팅가열공에 끼움 결합되고 불꽃이 배출되는 화염경로(251)가 구비된 단열블럭(250)을 포함할 수 있다.Combustion burner 210 is provided with a fuel inlet 223 into which fuel is injected on one side and a combustion body 220 having an air inlet 222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ir space 221 on the other side, and combustion The fuel and air are mixed and discharged from the body 22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uel inlet 223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222, the combustion nozzle 230, and the fuel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nozzle 230. An ignition unit 225 for igniting fuel to generate a flame by air, an installation plate 24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mbustion body 220 to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the combustion body 220 ar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240 is integrally coupled, it may include an insulating block 250 having a flame path 251 fitted to the tilting heating hole and emitting a flame.

연소버너(210)는 점화부(225)를 통해 생성된 불꽃의 불길을 탐지하는 불길탐지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길탐지부(226)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불길을 탐지할 수 있다.The combustion burner 210 may further include a flame detection unit 226 for detecting the flame of the flame generated through the ignition unit 225 . The flame detection unit 226 may detect a flame by using ultraviolet rays.

연소바디(220)는 공기공간(221)이 형성된 중공의 함체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공기공간(221)은 공기입구(222)와 연통되고, 연소바디(220)의 내부에는 연료입구(223)와 연결되는 연료관(224)이 구비될 수 있다. 연소바디(220)는 단열블럭(250)에 결합되고 연소노즐(230)이 결합되며 연소노즐(230)을 해당 가열공간 쪽으로 노출시키는 제1바디와, 제1바디와 결합되고 연료입구(223)와 공기입구(222)가 구비되는 제2바디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바디와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설치플레이트(240)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combustion body 220 may form a hollow enclosure in which the air space 221 is formed. In this case, the air space 221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222 , and a fuel pipe 224 connected to the fuel inlet 223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bustion body 220 . Combustion body 220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block 250, the combustion nozzle 230 is coupled, the first body exposing the combustion nozzle 230 toward the heating spac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fuel inlet 223 and a second body provided with an air inlet 222 .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plate 240 .

연소노즐(230)은 연료입구(223) 또는 연료관(224)과 연결되는 노즐관(231)과,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노즐헤드(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헤드(233)에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공기공간(221)과 연통되는 공기공급부(234)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combustion nozzle 230 may include a nozzle pipe 231 connected to the fuel inlet 223 or the fuel pipe 224 , and a nozzle head 233 for mixing and discharging fuel and air. Here, an air supply unit 234 communicating with the air space 221 may be formed through the nozzle head 233 to inject air.

설치플레이트(240)의 면적은 해당 가열공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해당 바디유닛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해당 가열공을 통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installation plate 24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orresponding heating hole, thereby simplifying coupling with the corresponding body unit and preventing leakage through the corresponding heating hole.

단열블럭(250)은 상술한 내화물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단열블럭(250)은 상술한 캐스타블을 포함할 수 있다. 화염경로(251)는 연소바디(220)가 결합되는 노즐지지부와, 노즐지지부와 연통되는 화염발생부(252)와, 화염발생부(252)보다 큰 폭을 형성하여 화염발생부(252)와 연통되는 화염버퍼부(253)와, 화염버퍼부(253)와 연통되고 화염버퍼부(253)로부터 해당 가열공간을 향해 폭이 확장되는 화염확산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block 250 may represent the above-described refractory structure. The insulating block 250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castables. The flame path 251 has a nozzle support part to which the combustion body 220 is coupled, a flame generator 252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support part, and a flame generator 252 to form a larger width than the flame generator 252. It may include a flame buffer unit 253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ame buffer unit 253 and a flame spread unit 254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ame buffer unit 253 and expands in width from the flame buffer unit 253 toward the corresponding heating space.

단열블럭(250)은 해당 가열공에서의 끼우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해당 가열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이 누설되는 방지할 수 있다.The insulating block 250 facilitates the fitting in the heating hole, and can prevent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space from leaking.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에는 연료와 공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연소버너(210)가 틸팅바디유닛(5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6세트가 장착되어 총 12세트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sets of combustion burners 210 using fuel and air as heat sources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tilting body unit 50, respectively, for a total of 12 sets. is shown to be installed.

그리고 상호 인접한 연소버너(210) 사이에는 산업표준화규격에서 요구하는 온도센서(810)와 가열로내압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일정한 화재 시험 조건하에서의 내화 성능 시험을 원활히 할 수 있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810 and a furnace pressure sensor (not shown) required by industry standardization are installed between the adjacent combustion burners 210 to facilitate a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under certain fire test conditions.

그러면, 공기는 공기공급팬(290)으로부터 공급받고, 연료는 연료탱크(270)를 거쳐 정압으로 공급받게 된다.Then,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fan 290 , and fuel is supplied at a positive pressure through the fuel tank 27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는 틸팅바디유닛(50)이 직립한 경우 틸팅가열공간(51)을 밀폐하는 시험체(A)를 틸팅바디유닛(50)에 밀착 고정시키는 클램프유닛(300)과, 틸팅바디유닛(50)이 누운 경우 틸팅가열공간(51)을 밀폐하는 시험체(A)를 틸팅바디유닛(50)에 밀착 고정시키는 재하유닛(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Clamp for closely fixing the specimen (A) seal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to the tilting body unit (50) when the tilting body unit (50) is uprigh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unit 300 and the loading unit 400 for closely fixing the test body A seal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to the tilting body unit 50 when the tilting body unit 50 is lying down. may include

클램프유닛(300)은 틸팅가열공간(51)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링크(320)와, 파지링크(320)에서 이격되어 틸팅바디유닛(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링크(320)를 정역회전시키는 왕복구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mp unit 300 includes a gripping link 320 rotatably coupl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and a gripping link 320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link 320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gripped. It may include a reciprocating drive unit 310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link (320).

파지링크(320)는 틸팅가열공간(51)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왕복구동부(310)와 링크 결합되는 구동지지부(321)와, 구동지지부(321)에서 연장되는 피벗지지부(322)와, 파지링크(320)의 회전에 따라 틸팅가열공간(51)을 밀폐하는 시험체(A)를 가압하도록 피벗지지부(322)의 단부에 결합되는 밀착지지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link 320 is rotatably coupl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 and a driving support 321 that is link-coupled to the reciprocating drive 310 , and a pivot support 322 extending from the driving support 321 . ) and a close contact support part 323 coupled to the end of the pivot support part 322 to press the test body A that seals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ripping link 320 .

왕복구동부(310)는 틸팅바디유닛(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311)와, 유압에 의해 실린더(31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링크(320)의 구동지지부(321)에 링크 결합되는 피스톤(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310 is rotatably coupled to a cylinder 311 rotatably coupled to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to the cylinder 311 by hydraulic pressure to be reciprocally coupled to the driving support 321 of the gripping link 320. It may include a piston 312 that is linked to the link.

그러면, 틸팅바디유닛(50)이 직립한 상태에서 시험체(A)를 틸팅바디유닛(50)에 배치하고, 클램프유닛(300)이 동작됨에 따라 시험체(A)를 틸팅바디유닛(50)에 확실하게 밀폐 고정시킬 수 있다.Then, the test object (A) is placed on the tilting body unit (50) in a state where the tilting body unit (50) is upright, and as the clamp unit (300) is operated, the test object (A) is securely attached to the tilting body unit (50) It can be tightly sealed.

재하유닛(400)은 틸팅바디유닛(50)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재하레일(410)과, 재하레일(410)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재하구동부(450)와, 한 쌍의 재하구동부(450)를 연결하고 재하구동부(450)가 재하레일(410)을 따라 구름 이동함에 따라 틸팅바디유닛(50)의 상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재하바디(420)와, 틸팅가열공간(51)을 밀폐한 시험체(A)에 적층 지지되는 재하치구(430)와, 재하바디(420)에 결합되고 재하치구(430)를 가압하는 재하가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Loading unit 400 is a pair of jaeha rails 410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a pair of jagging driving parts 450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jaeha rail 410 and , connecting a pair of loading driving parts 450 and reciprocat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50 as the loading driving part 450 rolls along the loading rail 410. And, tilting heating The space 51 may include a loading fixture 430 stacked and supported on the test body A, which is sealed, and a loading pressure unit 440 coupled to the loading body 420 and pressing the loading fixture 430 .

재하유닛(400)에 의해 수평 배치되는 시험체(A)를 재하할 때, 수평 배치되는 시험체(A)의 구조 설계 조건을 실현할 수 있도록 재하유닛(400)은 시험체(A)를 가압할 수 있다.When loading the test body A horizontally arranged by the loading unit 400, the loading unit 400 can press the test body A so as to realize the structural design conditions of the horizontally arranged test body A.

재하레일(410)은 바닥 또는 베이스유닛(10)에 지지되는 레일바닥부(411)와, 레일바닥부(411)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는 레일수직부(412)와, 레일바닥부(411)와 평행을 이루도록 레일바닥부(411)에서 이격되어 레일수직부(412)의 단부에 구비되는 레일수평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jaeha rail 410 includes a rail bottom part 411 supported on the floor or the base unit 10, a rail vertical part 412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rail bottom part 411, and a rail bottom part 411 ) and spaced apart from the rail bottom 411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include a rail horizontal portion 413 provided at the end of the rail vertical portion 412 .

재하구동부(450)는 재하바디(4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재하브라켓(451)과, 재하레일(410)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재하브라켓(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바퀴(452)와, 레일바퀴(452)에서 이격되어 재하브라켓(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퀴(4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jaeha drive unit 450 includes a jaeha bracket 451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jaeha body 420, and a rail wheel 452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jaeha bracket 451 so as to be able to roll in the jaeha rail 410 and , may include a guide wheel 454 spaced apart from the rail wheel 452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jaeha bracket 451 .

재하구동부(450)는 재하브라켓(451) 또는 재하바디(420)에 구비되어 레일바퀴(452)를 회전시키는 재하모터(453)를 더 포함하여 재하유닛(400)의 자동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The loading driving unit 450 is provided on the loading bracket 451 or the loading body 420 to further include a loading motor 453 for rotating the rail wheel 452 to implement automatic movement of the loading unit 40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재하구동부(450)의 레일바퀴(452)는 레일바닥부(411)에서 구름 이동되도록 하고, 재하레일(410)에서 레일수평부(413)에는 재하구동부(450)의 가이드바퀴(454)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가이드(414)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가이드(414)는 재하레일(4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wheel 452 of the load driving unit 450 is rolled to move on the rail bottom 411, and the load driving unit 450 in the rail horizontal part 413 in the load rail 410. A rail guide 414 to which the guide wheel 454 of the rolling movement is coupled may be provided. The rail guide 414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aeha rail 410 .

재하바디(420)는 한 쌍의 재하구동부(450)에 각각 직립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재하수직부(421)와, 한 쌍의 재하수직부(421)를 연결하는 재하수평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재하수평부(422)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재하수직부(421)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다. 재하수평부(422)에는 재하가압부(440)가 결합된다.The load body 420 includes a pair of loading vertical parts 421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a pair of loading driving parts 450, respectively, and a horizontal loading part 422 connecting a pair of loading vertical parts 421. may include The loading horizontal part 422 is movable in the vertical loading part 421 through a separate driving means. The load pressing unit 440 is coupled to the load horizontal part 422 .

재하치구(430)는 슬래브 시험용으로 사용되고, 미설명부호 430a는 보 시험용의 하중치구이다.The load fixture 430 is used for a slab test, and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430a is a load fixture for a beam test.

재하치구(430)는 재하가압부(440)에 장착되는 제1슬래브(431)와, 제1슬래브(431)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슬래브(43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래브(432)와, 제2슬래브(432)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슬래브(432)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슬래브(433)와, 제3슬래브(433)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3슬래브(433)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슬래브와, 시험체(A)에 지지되도록 제4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재하지지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fixture 430 is formed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lab 431 mounted on the loading pressing unit 440 and the first slab 431, an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lab 431, respectively. The second slab 432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third slab 433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ab 432 and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slab 432, respectively. ), a fourth slab formed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lab 433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hird slab 433, respectively, and the fourth slab to be supported by the test body A It may include a back support portion 437 that is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제1슬래브(431)는 재하레일(410)과 교차되는 방향 또는 재하레일(410)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lab 431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jaeha rail 410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jaeha rail 410 .

제1슬래브(431)의 단부는 제2슬래브(432)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고, 제2슬래브(432)의 단부는 제3슬래브(433)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며, 제3슬래브(433)의 단부는 제4슬래브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여 재하치구(43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The end of the first slab 431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lab 432 , the end of the second slab 432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slab 433 , and the third slab 433 . The end of the fourth slab may support the central portion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reloading tool 430 .

재하치구(430)는 제1슬래브(431)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제2슬래브(432)를 제1슬래브(431)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볼스크류(435)와, 제2슬래브(432)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제3슬래브(433)를 제2슬래브(432)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볼스크류와, 제3슬래브(433)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제4슬래브를 제3슬래브(433)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볼스크류(436)와, 제4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재하지지부(437)를 제4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볼스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jig 430 is coupled to the first slab 431 and rotates to move the second slab 4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ll screw 435 and the second slab ( A second ball screw coupled to 432 and rotating the third slab 4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ab 432 and coupled to the third slab 433 and rotating to form a fourth slab At least among the third ball screw 436 that the third slab 433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ourth ball screw that is coupled to the fourth slab and moves the loading support part 43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ourth slab as the fourth slab rotates It may further include any one.

재하가압부(440)는 유압액츄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재하가압부(440)는 보 시험용 가압부와 슬래브 시험용 가압부로 구분할 수 있다. 재하가압부(440)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재하바디(420)의 재하수평부(422)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재하가압부(440)는 제1슬래브(431)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어 재하치구(43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 hydraulic actuator may be applied to the load pressing unit 440 . The load pressing unit 440 may be divided into a pressing unit for a beam test and a pressing unit for a slab test. The loading pressing unit 440 is slidably movable in the loading horizontal portion 422 of the loading body 420 through a separate driving means. The loading pressing unit 440 may be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lab 431 to maintain the loading fixture 430 in a horizontal state.

상술한 가열바디유닛(100)에서 틸팅구동유닛(60)과, 클램프유닛(300)의 왕복구동부(310)와, 재하유닛(400)의 재하가압부(440)는 각각 유압잭을 사용하여 요구되는 하중을 실현할 수 있다. 클램프유닛(300)의 왕복구동부(310)와, 재하유닛(400)의 재하가압부(440)에 적용되는 유압잭은 시험체(A)의 최대 허용 변형을 수용할 능력이 있도록 한다.In the heating body unit 100 described above, the tilting drive unit 60, the reciprocating drive unit 310 of the clamp unit 300, and the load pressure unit 440 of the load unit 400 are each required using a hydraulic jack. load can be realized. The hydraulic jack applied to the reciprocating driving part 310 of the clamp unit 300 and the loading pressing part 440 of the loading unit 400 i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aximum allowable deformation of the test body (A).

이러한 유압잭은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소형으로 큰 힘을 얻을 수 있으며, 기계에 의하지 않고 함과 속도를 무단계로 간단히 변화할 수 있고,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전기와의 조합으로 간단히 자동제어가 가능하고, 전 부하 중에도 시동이 가능하고, 과부하 방지 대책이 간단하며, 공기압에 비하여 조작이 안전하고, 응답이 빠르며, 충격 진동 등을 용이하게 감쇄 할 수 있다.This hydraulic jack facilitates linear and rotary motion, can obtain large power in a small size, can simply change the speed and speed without using a machine, can be remotely controlled, and can be easily combined with electricity. Automatic control is possible, starting is possible even under full load, overload prevention measures are simple, operation is safe compared to pneumatic pressure, response is fast, and shock and vibration can be easily attenu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연소유닛(200)은 가열바디유닛(100)에 결합되어 가열바디유닛(100)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In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heating body unit 100 to heat the inside of the heating body unit 100 .

연소유닛(200)은 가열바디유닛(100)에서 해당 가열공에 결합되고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불꽃을 발생시키는 연소버너(210)와,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270)와, 연소버너(210)와 연료탱크(270)를 연결하여 연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료라인(260)과, 연료라인(260)에 구비되어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연료피팅과,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공급팬(290)과, 연소버너(210)와 공기공급팬(290)을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라인(280)과, 공기라인(280)에 구비되어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기피팅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bustion unit 200 includes a combustion burner 210 that is coupled to a corresponding heating hole in the heating body unit 100 and mixes fuel and air to generate a flame, a fuel tank 270 in which fuel is stored, and a combustion burner ( 210) and the fuel tank 270 to form a movement path of fuel, a fuel fitting provided in the fuel line 260 to control the amount of fuel supplied, and an air supply fan for sucking air 290, an air line 280 connecting the combustion burner 210 and the air supply fan 290 to form a movement path of air, and an air fitting provided in the air line 280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may include

연소버너(210)는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Combustion burner 210 will be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연료탱크(270)는 연료라인(26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료탱크(270)의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fuel tank 2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uel line 260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fuel tank 270 .

연료라인(260)은 연료탱크(270)로부터 가열바디유닛(100)까지 형성되는 연료메인라인과, 연료메인라인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료분기헤더와, 해당 가열바디유닛(100)에 설치된 연소버너(210)에 대응하여 연료분기헤더로부터 분기되는 연료분기라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fuel line 260 includes a fuel main line formed from the fuel tank 270 to the heating body unit 100 , a fuel branch header provided at an end of the fuel main line, and a combustion burner installed in the heating body unit 100 . Corresponding to 210, it can be divided into a fuel branch line branching from the fuel branch header.

연료피팅은 연료메인라인에 구비되어 연료탱크(270)로부터 전달되는 연료를 필터링하는 연료필터(261)와, 연료메인라인에 구비되어 필터링된 연료를 공급정압으로 조절하는 정압레귤레이터(262)와, 연료분기라인에 구비되어 공기 대비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비율레귤레이터(266)와, 연료분기라인에 구비되어 연료를 연소버너(210)에서 요구하는 연소정압으로 조절하는 연료리미트밸브(268)를 포함할 수 있다. 비율레귤레이터(266)는 해당 연소버너(210)에 대응되는 공기분기라인과 연결되도록 한다. 연료리미트밸브(268)는 연소버너(210)의 연료입구(223)에 결합될 수 있다.The fuel fitting includes a fuel filter 261 provided in the fuel main line to filter the fuel delivered from the fuel tank 270, and a static pressure regulator 262 provided in the fuel main line to adjust the filtered fuel to a positive supply pressure, It includes a ratio regulator 266 provided in the fuel branch line to control the amount of fuel versus air, and a fuel limit valve 268 provided in the fuel branch line to adjust the fuel to the combustion static pressure required by the combustion burner 210 . can do. The ratio regulator 266 is connected to the air branch line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burner 210 . The fuel limit valve 268 may be coupled to the fuel inlet 223 of the combustion burner 210 .

연료피팅은 연료메일라인에서의 연료 이동을 차단시키는 연료차단밸브(263)를 더 포함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연료피팅은 연료분기라인에서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분기제어밸브(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료피팅은 연료분기라인에서 연료의 유량 조절을 위해 분기제어밸브(265)의 선단에 구비되는 연료오리피스(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료피팅은 연료분기라인을 연료리미트밸브(268) 또는 연소버너(210)와 연결시키는 연료플렉시블(2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 fuel shut-off valve 263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fuel in the fuel mail line to prepare for a safety accident. The fuel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 branch control valve 265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fuel in the fuel branch line. The fuel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 fuel orifice 264 provided at the tip of the branch control valve 265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fuel in the fuel branch line. The fuel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 fuel flexible 267 connecting the fuel branch line to the fuel limit valve 268 or the combustion burner 210 .

연료피팅은 연료탱크(270)의 교체를 위해 연료라인(260)을 개폐하는 연료메인밸브(26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료피팅은 연료분기라인의 교체를 위해 연료분기헤더의 분기부를 개폐하는 연료분기밸브(2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 fuel main valve 260-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uel line 260 for replacement of the fuel tank 270 . The fuel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 fuel branch valve 260 - 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ranch of the fuel branch header for replacement of the fuel branch line.

연료피팅은 연료의 이동에 따른 압력을 감시하거나 조절하는 연료압력계(260-3, 260-4, 260-5, 26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fitting may further include fuel pressure gauges 260-3, 260-4, 260-5, and 260-6 for monitoring or adjusting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uel.

연소버너(210)에 공급되는 연료의 유량값은 온도센서(810)를 통해 취득한 해당 가열공간의 온도를 이용하여 분기제어밸브(26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flow rate value of the fuel supplied to the combustion burner 210 may be adjusted by the branch control valve 265 using the temperature of the corresponding heating space acqui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810 .

공기공급팬(290)은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연소버너(210)에 전달할 수 있다.The air supply fan 290 may deliver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force to the combustion burner 210 .

공기라인(280)은 공기공급팬(290)으로부터 가열바디유닛(100)까지 형성되는 공기메인라인과, 공기메인라인의 단부에 구비되는 공기분기헤더와, 해당 가열바디유닛(100)에 설치된 연소버너(210)에 대응하여 공기분기헤더로부터 분기되는 공기분기라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air line 280 includes an air main line formed from the air supply fan 290 to the heating body unit 100 , an air branch head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air main line, and combustion installed in the heating body unit 100 . It can be divided into an air branch line branching from the air branch header corresponding to the burner 210 .

공기피팅은 공기메인라인에 구비되어 공기공급팬(290)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메인밸브(281)와, 공기분기라인에 구비되어 공기분기라인을 통과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분기밸브(2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fitting includes an air main valve 281 provided in the air main line to control the air delivered from the air supply fan 290, and an air branch valve provided in the air branch line to control air passing through the air branch line ( 282) may be included.

공기피팅은 공기분기라인에서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오리피스(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피팅은 공기분기라인을 연소버너(210)와 연결시키는 공기플렉시블(2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n air orifice 283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air in the air branch line. The air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n air flexible 284 connecting the air branch line to the combustion burner 210 .

공기피팅은 공기의 이동에 따른 압력을 감시하거나 조절하는 공기압력계(280-1, 28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fitting may further include air pressure gauges 280-1 and 280-2 for monitoring or adjusting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ir.

연소버너(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값은 온도센서(810)를 통해 취득한 해당 가열공간의 온도를 이용하여 공기메인밸브(281) 또는 공기분기밸브(28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flow rate value of the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burner 210 may be adjusted by the air main valve 281 or the air branch valve 282 u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pace acqui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810 .

공기라인(28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해당 가열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활용할 수 있다.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line 280 may utiliz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배출유닛(500)은 연소유닛(200)에 의해 가열바디유닛(100)의 내부에 생성된 물질을 배출시킨다. 배출유닛(500)은 해당 가열공간이 폐쇄 또는 밀폐된 상태에서 해당 가열공간에서 생성된 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In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unit 500 discharges the material generated inside the heating body unit 100 by the combustion unit 200 . The discharge unit 500 may discharge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heating space in a closed or closed state of the heating space.

배출유닛(500)은 가열바디유닛(100)에 결합되고 가열바디유닛(100)에서 생성된 물질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라인(510)과, 가열바디유닛(100)에서 생성된 물질의 배출을 위해 배출라인(51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출팬(5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500 is coupled to the heating body unit 100 and a discharge line 510 that forms a movement path of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heated body unit 100, and discharges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heated body unit 100 For this purpose, it may include a discharge fan 530 that provides suction to the discharge line 510 .

배출유닛(500)은 배출라인(510) 상에 설치되고 가열바디유닛(100)에서 생성된 물질 중 불티를 제거하는 불티방지부(520)와, 배출라인(510) 상에 설치되고 가열바디유닛(100)에서 생성된 물질을 냉각시키는 역화방지챔버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510 and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510 and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510 and is installed on the heating body unit 100 and the fire prevention part 520 for removing the fire from among the substances generated in the heating body unit 100 . At least one of the flashback prevention chamber for cooling the material generated in (100) may be further included.

배출유닛(500)은 배출라인(510) 상에 설치되고, 배출라인(510)를 개폐하거나 배출라인(510)의 개도를 조절하는 배출밸브(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510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valve 5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line 510 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line 51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배출유닛(500)은 해당 배기부에 연결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배출유닛(500)은 배출덕트유닛의 연결조인트(570)에 연결되도록 한다.In the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exhaust unit, and in the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unit 500 is a connecting joint of the exhaust duct unit ( 570) to be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집진유닛(700)은 배출유닛(500)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을 필터링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시킨다.In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700 filters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500 and discharges it to the atmosphere.

집진유닛(700)은 백필터 방식 또는 전기집진 방식으로 배출유닛(500)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건식유닛(710)과, 배출유닛(500)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에 흡착액을 분사하여 배출유닛(500)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습식유닛(720)과, 배출유닛(500)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열을 이용하여 건식유닛(710)과 습식유닛(720) 사이에서 전달되는 물질을 가열하는 예열히터(730)와, 건식유닛(710)과 습식유닛(720)을 통과한 물질의 배출을 위해 필터링유닛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기팬(7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닛(500)에는 건식유닛(710)과 습식유닛(720)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고, 배기팬(740)에는 건식유닛(710)과 습식유닛(720)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는 배출유닛(500)과 건식유닛(710)과 습식유닛(720)과 배기팬(740)이 직렬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다.The dust collection unit 700 includes a dry unit 710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500 by a bag filter method or an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 and an adsorbent solution to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500 . Between the wet unit 720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500 by spraying, and the dry unit 710 and the wet unit 720 using the heat of th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500 It may include a preheater 730 that heats the material delivered from the evaporator, and an exhaust fan 740 that provides suction to the filtering unit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y unit 710 and the wet unit 720. . Either one of the dry unit 710 and the wet unit 72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unit 500 , and the other of the dry unit 710 and the wet unit 72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740 . In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unit 500, the dry unit 710, the wet unit 720, and the exhaust fan 740 are shown to be connected in series.

집진유닛(700)은 배기팬(740)에서 배출되는 물질을 대기로 전달하는 연도(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도(750)의 표면은 강판 6T 이상으로 제작되고, 내부에 단열재를 시공할 수 있다. 연도(750)의 표면 온도를 40 ℃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PID 제어 타입 자동 댐퍼를 배기팬(740) 입구에 설치하고, 배기팬(740) 입구의 온도를 200 ℃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연도(750)에는 가열바디유닛(100) 내부의 압력 제어용 배기댐퍼,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측정부,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700 may further include a flue 750 for transferring th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exhaust fan 740 to the atmosphere. The surface of the flue 750 is made of a steel plate 6T or more, and an insulating material can be constructed therein. A PID control type automatic damper may be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exhaust fan 740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lue 750 can be maintained at 40° C. or less,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of the exhaust fan 740 can be maintained at 200° C. or less. The flue 750 may be provided with an exhaust damper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heating body unit 100 ,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of the discharged material, and a temperature adjusting unit of the discharged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는 가열바디유닛(100)에서 해당 가열공간의 개방될 때, 배출되는 물질을 집진유닛(700)에 전달하는 배연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연유닛(600)은 해당 가열공간이 개방될 때, 가열공간에서 배출되는 물질을 집진유닛(7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moke exhaust unit 600 that delivers the material discharged to the dust collection unit 700 when the heating space is opened in the heating body unit 100 . . The smoke exhaust unit 600 may deliver th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heating space to the dust collecting unit 700 when the corresponding heating space is opened.

배연유닛(600)은 가열바디유닛(10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배연후드(610)와, 배연후드(610)에 포집되는 물질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연라인(620)과, 배연후드(610)를 통해 전달되는 물질의 배출을 위해 배연라인(62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연팬(6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unit 600 includes a smoke exhaust hood 610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body unit 100, a smoke line 620 that forms a movement path of the material collected in the exhaust hood 610, and a smoke hood ( It may include a smoke exhaust fan 630 that provides suction force to the exhaust line 620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the 610 .

배연유닛(600)은 배연라인(620)을 개폐하거나 배연라인(620)의 개도를 조절하는 배연밸브(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unit 600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valve 640 for opening/closing the exhaust line 620 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exhaust line 6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는 가열바디유닛(100)의 온도를 감시하는 한편, 연소유닛(200)과 배출유닛(500)과 집진유닛(7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body unit 100,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bustion unit 200, the exhaust unit 500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700. 800) may be further included.

제어유닛(800)은 가열바디유닛(100)이 온도를 감시하여 도 4에 도시된 가열온도곡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800 enables the heating body unit 100 to implement the heating temperature curve shown in FIG. 4 by monitoring the temperature.

가열온도곡선은 표준화재곡선(ISO 834 curve)을 따르도록 한다. 표준화재곡선은 T = 345Log10(8t+1)+20 인 관계식을 만족한다.The heating temperature curve should follow the standard material curve (ISO 834 curve). The standardization curve satisfies the relation T = 345Log 10 (8t+1)+20.

또한, 필요에 따라 연소버너(210)의 교체가 이루어진다면, 하기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탄화수소곡선(Hydrocarbon Curve), 외부 화재에 대한 노출곡선(Curve of exposure to external fire), 느린 가열곡선(Slow heating curve)을 따를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mbustion burner 210 is replaced as needed, the hydrocarbon curve, the curve of exposure to external fire, and the slow heating curve shown in the graph below ) can be followed.

탄화수소곡선은 T = 1080(1-0.325e-0.167t-0.675e-2.5t) 인 관계식을 만족하고, 외부 화재에 대한 노출곡선은 T = 660(1-0.687e-0.32t-0.313e-3.8t)+20 인 관계식을 만족하면, 느린 가열곡선은 T = 345Log10(8(t-20)+1)+20 인 관계식을 만족하게 된다. 여기서, T는 가열바디유닛(100)의 내부 평균온도(℃)이고, t는 시간(min)을 나타낸다.The hydrocarbon curve satisfies the relation T = 1080 (1-0.325e-0.167t-0.675e-2.5t), and the exposure curve to external fire is T = 660 (1-0.687e-0.32t-0.313e-3.8). If the relational expression t)+20 is satisfied, the slow heating curve satisfies the relational expression T = 345Log 10 (8(t-20)+1)+20. Here, T is the internal average temperature (℃) of the heating body unit 100, t represents the time (min).

표준시간-가열온도곡선에서 면적 대비 규정된 가열로 내부의 온도센서(810)로 기록된 평균온도곡선면적의 백분율편차는 다음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In the standard time-heating temperature curve, the percentage deviation of the area of the average temperature curve recor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810 inside the specified heating furnace compared to the area should be within the following range.

a) 5 < t ≤ 10 에서 de ≤ 15%a) 5 < t ≤ 10 with de ≤ 15%

b) 10 < t ≤ 30 에서 de = 15-0.5(t-10)%b) de = 15-0.5(t-10)% for 10 < t ≤ 30

c) 30 < t ≤ 60 에서 de = 5-0.083(t-30)%c) de = 5-0.083(t-30)% for 30 < t ≤ 60

d) 60 < t 에서 de = 2.5%d) at 60 < t, de = 2.5%

여기서 백분율편차는

Figure pat00001
인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한다. A는 가열로의 실행 평균시간-가열온도곡선의 면적이고, As는 가열로의 표준시간-가열온도곡선의 면적이며, t는 시간(min)을 나타낸다.where the percentage deviation is
Figure pat00001
to satisfy the human relational expression. A is the area of the average running time-heating temperature curve of the furnace, As is the area of the standard time-heating temperature curve of the furnace, and t represents the time (min).

상술한 모든 면적은 a)의 경우 1분 간격, b), c), d)의 경우 5분 간격을 초과하지 않는 간격으로 면적을 합산하여 계산하며, 시간은 0부터 한다. 시험의 첫 10분 이후 온도센서(810)로 읽은 개별 온도는 표준시간-가열온도곡선의 온도와 100℃ 이상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당량의 가연성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시험체(A)의 경우, 백분율편차는 10분 범위 내에서 초과될 수도 있으며, 초과된 백분율편차는 다량의 가연성 재료의 갑작스런 착화로 인한 것이라는 것이 명확하게 인식되어야 한다.All the above-mentioned areas are calculated by summing the areas at intervals not exceeding 1 minute intervals in case of a), and intervals of 5 minutes in case of b), c), and d), and the time starts from 0. The individual temperature read by the temperature sensor 810 after the first 10 minutes of the test should not differ by more than 100°C from the temperature of the standard time-heating temperature curve. In the case of specimen (A) containing a significant amount of combustible material, it should be clearly recognized that the percentage deviation may be exceeded within the range of 10 minutes, and that the excess percentage deviation is due to the sudden ignition of a large amount of combustible material.

온도센서(8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다양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810 may measure various temperatures in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온도센서(810)는 가열로 내부에서 고정됨에 있어서 온도센서(810)가 열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지지되고, 온도센서(810)의 위치 변경을 쉽게 할 수 있으며, 고온에서 충분한 내구성을 지닐 수 있다. 가열로 내부의 온도측정에 대해서 온도센서(810)는 가열로에 구비된 가이드용 내열 파이프에 장착된다.Since the temperature sensor 810 is fixed inside the heating furnace, the temperature sensor 810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deformed by heat,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810 can be easily changed, and it can have sufficient durability at high temperatures. For temperature measurement inside the heating furnace, the temperature sensor 810 is mounted on a guide heat-resistant pipe provided in the heating furnace.

온도센서(810)는 가열로에 고정되는 고정형과 위치 변경이 가능한 이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810 may be divided into a fixed type fixed to the heating furnace and a movable type capable of changing a position.

이러한 온도센서(810)는 해당 가열공간의 온도, 시험체(A) 주위의 온도, 시험체(A)에서 비가열면의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81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pace, the temperature around the test body A, the temperature of the non-heated surface of the test body A, and the like.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유닛(800)에는 가열로 내의 압력 등을 측정하기 위해 압력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80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to measure the pressure in the heating furnace.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유닛(800)에는 시험체(A)에 접촉하지 않고 변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변위계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800 may be provided with a non-contact displacement meter that measures the displacement without contacting the test body A.

이러한 제어유닛(800)은 다양한 시험체(A)의 종류에 따라 급가열 및 자연 냉각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므로, 내구성과 광범위한 턴다운 비율(Turn-Down Ratio)을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control unit 800 repeatedly uses rapid heating and natural cool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various test bodies A, durability and a wide turn-down ratio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에서 제어유닛(800)은 PLC에 의한 자동 제어 방식을 사용하고, 온도제어는 Full Automatic PID 제어 방식을 적용하며, 유량 및 비례제어 방식으로 표준화재규격에서 요구하는 시험 조건을 자동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In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800 uses an automatic control method by PLC, and applies a Full Automatic PID control method for temperature control, and a flow rate and proportional control method in the standardized standard. The required test conditions can be met automatic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는 화재시험장치를 모니터링하거나 화재시험장치의 정보들을 수집 관리하는 관리서버(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server 900 that monitors the fire test apparatus or collects and manages information of the fire test apparatus.

관리서버(900)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등과 같은 국내 관련 시험기관에서 신뢰성이 확보된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다.Management server 900 may be applied to a program that has secured reliability in domestic related testing institution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Shipbuilding and Marine Equipment, Korea Construction Living Environment Testing Institute, and the like.

제어유닛(800)과 관리서버(9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하나의 화면에서 모든 운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작은 화면 전환을 배제하는 것이 유리하다.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management server 900, it is advantageous to exclude small screen switching so that all operating conditions can be grasped on one possible screen for user convenience.

제어유닛(800)과 관리서버(9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는 화재시험장치의 현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시험장치의 진행 사항을 설정 감시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management server 900 can easily grasp the status of the fire test apparatus, and set and monitor the progress of the fire test apparatus.

제어유닛(800)과 관리서버(9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도, 압력 등의 데이터 값의 그래프화를 통해 시험 추이를 손쉽게 파악 가능하며, 프로그램 메인화면에서 연소버너(210)의 연소 상태 및 시험에 필요한 다양한 온도, 압력 등의 값을 한 화면 상에 나타내어 시험 현황 화면을 통해 화재시험장치의 작동상태의 유무와 데이터를 손쉽게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test trend through graphing of data values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management server 900, and the combustion state and test of the combustion burner 210 on the program main screen. Various values of temperature, pressure, etc. required for the test are displayed on one scree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re test device and data can be easily grasped at a glance through the test status screen.

관리서버(900)에서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HMI,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을 적용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900 may apply a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HMI).

상술한 수직수평겸용 가열로와 이것을 이용한 화재시험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화재시험장치에서 시험체(A)의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를 모두 가능하게 하여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건축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nd the fire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vestment cost and reduce the building area by enabling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A) in one fire test apparatus. .

또한, 수평바디유닛(20)과 수직바디유닛(30)과 버퍼바디유닛(40) 사이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평가열공간(20a)과 수직가열공간(31) 사이의 열전달을 방지하고, 가열온도곡선을 안정되게 준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body unit 20 and the vertical body unit 30 and the buffer body unit 40, heat transfer between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is prevented, and the heating temperature The curve can be applied mutatis mutandis stably.

또한, 수평가열공간(20a)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A)의 화재시험은 물론 제1수평공간(21)에서 연소 반응을 구현하는 별도 자재의 화재시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it is possible to enable a fire test of a separate material that implements a combustion reaction in the first horizontal space (21) as well as a fire test of the test body (A).

또한, 연소버너(210)의 부가 구성을 통해 가열온도곡선을 준용하여 수평가열공간(20a)과 수직가열공간(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균일하게 열복사할 수 있다.In addition, heat radiation can be uniformly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by applying the heating temperature curve mutatis mutandis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210 .

또한, 연소버너(2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연료의 발화를 안정화시키고, 수평바디유닛(20)과 수직바디유닛(30)에 각각 결합되는 연소바디(220) 전면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ignition of fuel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210 and prevent overheating of the front of the combustion body 220 coupled to the horizontal body unit 20 and the vertical body unit 30, respectively.

또한, 클램프유닛(3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수직바디유닛(30)에서 수직가열공간(31)을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eal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in the vertical body unit 30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lamp unit 300 .

또한, 클램프유닛(3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A)를 이용한 수직가열공간(31)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시험체(A)를 수직바디유닛(30)에 안정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force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31 using the test body (A) can be improv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lamp unit (300), and the test body (A) can be stably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body unit (30).

또한, 재하유닛(4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수평바디유닛(20)에서 수평가열공간(20a)을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eal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in the horizontal body unit (20)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400).

또한, 재하유닛(4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열에 따른 수평가열공간(20a)의 압력을 안정되게 지탱하고, 시험체(A)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ressure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20a according to the heating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400, and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test body (A).

또한, 틸팅바디유닛(50)의 틸팅 구조를 통해 틸팅가열공간(51)의 개구부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시험체(A)의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를 일원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can be easily adjusted through the tilting structure of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the horizontal arrangement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A can be unified.

또한, 배치라인들과 조인트들의 결합 관계를 통해 시험체(A)의 배치 위치에 따라 가열에 의해 틸팅가열공간(51)에 생성되는 물질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charge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by heating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est body A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ment lines and the joints.

또한, 연소버너(210)의 부가 구성을 통해 가열온도곡선을 준용하여 틸팅가열공간(51)을 균일하게 열복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ly radiate heat in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by applying the heating temperature curve mutatis mutandis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210 .

또한, 연소버너(2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연료의 발화를 안정화시키고, 틸팅바디유닛(50)에 결합되는 연소바디(220) 전면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ignition of fuel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210 and prevent overheating of the front of the combustion body 220 coupled to the tilting body unit 50 .

또한, 시험체(A)에 직접 열을 가하는 방식이 아니고, 가열로에서 시험체(A)와 마주보는 후면과 후면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측면 중 적어도 측면에 설치된 플랫버너를 사용함에 따라 화염으로 인한 국부적인 위치에서의 이상 온도 상승과 불균일한 온도 분포를 방지할 수 있고, 해당 가열공간에서 균일하게 불꽃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열공간의 중간쯤에서 써머 임펙트 효과에 의해 열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화재 조건하에서 내화 성능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a method of applying heat directly to the specimen (A), but using a flat burn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rear and the rear facing the specimen (A) in the heating furn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bnormal temperature rise and non-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at the location, to generate a flame uniformly in the heating space, an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heat concentration due to the thermal impact effect in the middle of the heating space.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results under reliable fire conditions.

또한, 클램프유닛(3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시험체(A)의 수직 배치에 대응하여 틸팅바디유닛(50)에서 틸팅가열공간(51)을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eal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in the tilting body unit 50 in response to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A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lamp unit 300 .

또한, 클램프유닛(3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A)를 이용한 틸팅가열공간(51)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시험체(A)를 틸팅바디유닛(50)에 안정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lamp unit 300, the sealing force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using the test body (A) can be improved, and the test body (A) can be stably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ilting body unit (50).

또한, 재하유닛(4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시험체(A)의 수평 배치에 대응하여 틸팅바디유닛(50)에서 틸팅가열공간(51)을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eal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in the tilting body unit 50 in response to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test body (A)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400).

또한, 재하유닛(4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열에 따른 틸팅가열공간(51)의 압력을 안정되게 지탱하고, 시험체(A)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400,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ressure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51 according to heating, and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test body (A).

또한, 재하구동뷰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재하바디(420)의 유동을 방지하고, 재하레일(410)로부터 재하바디(420)의 이탈을 방지하며, 재하레일(410)에서 재하바디(420)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jaeha driving view, the flow of the jaeha body 420 is prevented, and the jaeha body 420 from the jaeha rail 4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jaeha body 420 in the jaeha rail 410 is The round-trip movement can be made clear.

또한, 재하치구(4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A)의 전체 면적에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고, 틸팅바디유닛(50)과 시험체(A)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jig 430, the pressing force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est body (A), and the bonding stability of the tilting body unit 50 and the test body (A) can be improved.

또한, 재하치구(4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시험체(A)의 크기에 따라 동일한 높이의 슬래브들 사이 간격을 조절하고, 시험체(A)를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fixture 430, the distance between the slabs of the sam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body A, and the test body A can be stably pressed.

또한, 화재시험장치를 통해 시험체(A)의 화재시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test of the specimen (A)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fire test device.

또한, 연소유닛(2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해당 가열공간을 균일하게 열복사하고, 연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bustion unit 200, it is possible to uniformly radiate heat to the corresponding heating space and improve fuel efficiency.

또한, 배출유닛(5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열바디유닛(100)에서 생성된 물질을 안정되게 안정되게 배출시키고, 불티 또는 열로부터 배출팬(530)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stably discharge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heating body unit 100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unit 500, and to protect the exhaust fan 530 from sparks or heat.

또한, 집진유닛(7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이물질의 제거를 간편하게 하고,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700,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prevent air pollution.

또한, 배연유닛(6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화재시험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는 한편, 화재시험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cattering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place where the fire test apparatus is installed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smoke exhaust unit 600 , while preventing air pollution in the place where the fire test apparatus is installed.

또한, 배연유닛(6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열바디유닛(100)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포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llecting power of th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heating body unit 100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unit (600).

또한, 제어유닛(8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화재시험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정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80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fire test apparat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또한, 시험 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시험 물량을 소진시킬 수 있고, 연간 20억원 이상의 수입과 연평균 20% 정도의 성장이 예상된다.In addition, as the test volume increases, the test volume can be quickly exhausted, and annual revenues of more than 2 billion won and annual average growth of about 20% are expected.

또한, 표준화재(CELLULOSIC FIRE)등급 및 탄화수소화재(HYDROCARBON FIRE)등급 조건의 온도 상승과 압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의 시험 절차에 적합하게 구축되어 내화구조에서 요구하는 시험방법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소형선박 내장재의 화재 안전성 및 내화 성능 시험이 가능한 내화구조, 방화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를 통해 알루미늄 소형선박 내장재의 실제 화재 시 발생하는 화재성상을 직접 측정할 수 있고, 화재 안전에 사용되는 다양한 화재인자를 분석하며, 알루미늄 소형선박 산업 전반에 걸쳐 국내외 화재안전 기준코드 및 규격 만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험장치를 통해 요구되는 화재 온도곡선에 의한 구조 부재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고, 화재가혹도(Fire Severity), 화재강도(Fire Intensity)와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화재사고 재현 기술개발, 실물화재 사고 위험성 평가 기술개발, 구조 부재의 화재 저항 성능평가 인증 체계 구축, 화재 역학적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화재시험을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built to suit the test procedures of related regulations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can be controlled under the conditions of CELLULOSIC FIRE and HYDROCARBON FI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re-resistance structure and fire-resistance structure capable of testing the fire safety an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In addition, through the fire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fire properties that occur during an actual fire of the interior materials of aluminum small ships, analyze various fire factors used for fire safety,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the fire safety standard codes and standards are satisfied. In addition, the safety of structural members can be evaluated by the fire temperature curve required through the fir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severity and fire intensity is quantitatively measured to cause a fire accident. It will be possible to use various fire tests for multiple purposes: re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real fire accident risk assessment technology development, fire res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structural members, and fire dynamic data.

또한, 건축법 등의 건축물 화재안전관련 규정 개정 및 정비를 향상시키고, 건축재료, 계획, 구조, 설비 등 분야별 유기적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며, 화재안전기준의 객관성, 합리성 확보에 따라 대국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revision and maintenance of regulations related to building fire safety, such as the Building Act, are improved, and technology is developed organically and complementary to each other by field such as building materials, plans, structures, and facilities. reliability can be ensured.

또한, 건축물 내화/연소확대방지/피난안전기준의 제정과 관련한 기술 보급을 원활하게 하고, 건축구조 및 재료의 화재안전성 예측 기술 보급을 원활하게 하며, 화재안전 기술의 선진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issemination of technologi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fire resistance/combustion expansion prevention/evacuation safety standards in buildings, facilitate the dissemination of fire safety prediction technologies for building structures and materials, and promote the advancement of fire safety technologies.

또한, 화재 관련 선진 실험 및 연구기관(NIST, BRE 등)과의 기술협조체계를 구축하고, 국제적 화재안전기준 실험 및 인증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으며, ISO 등 선진화재관련 스탠다드 실험 및 인증이 가능하고, 방화 내화 안전설계법 개발을 위한 실험과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technical cooperation system with advanced fire-related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s (NIST, BRE, etc.) , it is possible to conduct experiments and evalu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ire and fire resistance safety design methods.

또한, 방화재료, 방화구조, 소방설비 등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고, 화재안전기술의 선진화 및 해외 수출에 기여하며, 화재관련 산업 및 민간과의 인프라구조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related industries such as fire protection materials, fire protection structures and firefighting equipment,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fire safety technology and exporting it abroad, and establishing an infrastructure structure with fire-related industries and the private sector.

또한, 한계 내력 이하로 설계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afety can be secured by designing below the limiting strength.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may be modified or changed.

A: 시험체 100: 가열바디유닛 10: 베이스유닛
11: 바디지지부 12: 틸팅구동공간 20: 수평바디유닛
20a: 수평가열공간 21: 제1수평공간 22: 제2수평공간
23: 수평격벽 24: 공간연통부 25: 수평배기부
26: 점검구 30: 수직바디유닛 31: 수직가열공간
40: 버퍼바디유닛 50: 틸팅바디유닛 51: 틸팅가열공간
52: 틸팅배기부 60: 틸팅구동유닛 70: 틸팅힌지유닛
71: 제1힌지부 72: 제2힌지부 200: 연소유닛
210: 연소버너 220: 연소바디 221: 공기공간
222: 공기입구 223: 연료입구 224: 연료관
225: 점화부 226: 불길탐지부 230: 연소노즐
231: 노즐관 233: 노즐헤드 234: 공기공급부
240: 설치플레이트 250: 단열블럭 251: 화염경로
252: 화염발생부 253: 화염버퍼부 254: 화염확산부
260: 연료라인 260-1: 연료메인밸브 260-2: 연료분기밸브
260-3, 260-4, 260-5, 260-6: 연료압력계 261: 연료필터
262: 정압레귤레이터 263: 연료차단밸브 264: 연료오리피스
265: 분기제어밸브 266: 비율레귤레이터 267: 연료플렉시블
268: 연료리미트밸브 270: 연료탱크 280: 공기라인
280-1, 280-2: 공기압력계 281: 공기메인밸브
282: 공기분기밸브 283: 공기오리피스 284: 공기플렉시블
290: 공기공급팬 300: 클램프유닛 310: 왕복구동부
311: 실린더 312: 피스톤 320: 파지링크
321: 구동지지부 322: 피벗지지부 323: 밀착지지부
400: 재하유닛 410: 재하레일 411: 레일바닥부
412: 레일수직부 413: 레일수평부 414: 레일가이드
420: 재하바디 421: 재하수직부 422: 재하수평부
430: 재하치구 430a: 하중치구 431: 제1슬래브
432: 제2슬래브 433: 제3슬래브 434: 제4슬래브
435: 제1볼스크류 436: 제3볼스크류 437: 재하지지부
440: 재하가압부 450: 재하구동부 451: 재하브라켓
452: 레일바퀴 453: 재하모터 454: 가이드바퀴
460: 발판유닛 500: 배출유닛 510: 배출라인
520: 불티방지부 530: 배출팬 540: 배출밸브
550: 수평배치라인 551: 수평조인트 560: 수직배치라인
561: 수직조인트 570: 연결조인트 600: 배연유닛
610: 배연후드 620: 배연라인 630: 배연팬
640: 배연밸브 700: 집진유닛 710: 건식유닛
720: 습식유닛 730: 예열히터 740: 배기팬
750: 연도 800: 제어유닛 810: 온도센서
900: 관리서버
A: test body 100: heating body unit 10: base unit
11: body support 12: tilting driving space 20: horizontal body unit
20a: horizontal heating space 21: first horizontal space 22: second horizontal space
23: horizontal bulkhead 24: space communication unit 25: horizontal exhaust unit
26: inspection port 30: vertical body unit 31: vertical heating space
40: buffer body unit 50: tilting body unit 51: tilting heating space
52: tilting exhaust unit 60: tilting drive unit 70: tilting hinge unit
71: first hinge part 72: second hinge part 200: combustion unit
210: combustion burner 220: combustion body 221: air space
222: air inlet 223: fuel inlet 224: fuel pipe
225: ignition unit 226: flame detection unit 230: combustion nozzle
231: nozzle tube 233: nozzle head 234: air supply
240: installation plate 250: insulation block 251: flame path
252: flame generating unit 253: flame buffer unit 254: flame spreading unit
260: fuel line 260-1: fuel main valve 260-2: fuel branch valve
260-3, 260-4, 260-5, 260-6: fuel pressure gauge 261: fuel filter
262: static pressure regulator 263: fuel shutoff valve 264: fuel orifice
265: branch control valve 266: ratio regulator 267: fuel flexible
268: fuel limit valve 270: fuel tank 280: air line
280-1, 280-2: air pressure gauge 281: air main valve
282: air branch valve 283: air orifice 284: air flexible
290: air supply fan 300: clamp unit 310: reciprocating drive unit
311: cylinder 312: piston 320: gripping link
321: driving support 322: pivot support 323: close support
400: jaeha unit 410: jaeha rail 411: rail bottom part
412: rail vertical portion 413: rail horizontal portion 414: rail guide
420: lower body 421: load vertical part 422: load horizontal part
430: second fixture 430a: load fixture 431: first slab
432: second slab 433: third slab 434: fourth slab
435: the first ball screw 436: the third ball screw 437: support branch
440: load pressure unit 450: load drive unit 451: load bracket
452: rail wheel 453: jaeha motor 454: guide wheel
460: scaffold unit 500: discharge unit 510: discharge line
520: fire prevention part 530: exhaust fan 540: exhaust valve
550: horizontal arrangement line 551: horizontal joint 560: vertical arrangement line
561: vertical joint 570: connecting joint 600: exhaust unit
610: exhaust hood 620: exhaust line 630: exhaust fan
640: exhaust valve 700: dust collection unit 710: dry unit
720: wet unit 730: preheater 740: exhaust fan
750: year 800: control unit 810: temperature sensor
900: management server

Claims (25)

상부가 개구된 수평가열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수평가열공이 관통 형성되며, 시험체에 의해 상기 수평가열공간이 밀폐 가능한 수평바디유닛;
일측면부가 개구된 수직가열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수직가열공이 관통 형성되며, 시험체에 의해 상기 수직가열공간이 밀폐 가능한 수직바디유닛; 및
상기 수평바디유닛의 일측면부와 상기 수직바디유닛의 타측면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버퍼바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a horizontal body unit having a horizontal heating spac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t least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having horizontal heating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and sealing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by a test body;
a vertical body unit in which a vertical heating space with an open side portion is formed, a vertical heating hole is formed through at least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can be sealed by a test body; and
and a buffer body unit for integral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od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열공간은,
수평격벽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1수평공간과, 상기 수평격벽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제2수평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평격벽에는, 상기 제1수평공간과 상기 제2수평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간연통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is
It is divided into a first horizontal space formed in the upper part bas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a second horizontal space formed in the lower part bas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The horizontal bulkhead, a space communicating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first horizontal space and the second horizont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is formed 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열공과 상기 수직가열공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수평가열공간과 상기 수직가열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연소버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bustion burner coupled to the horizontal heating hole and the vertical heating hole, respectively, and heating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and the vertical heating sp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버너는,
일측에는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가 구비되는 연소바디;
상기 연소바디로부터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되, 일측은 상기 연료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입구와 연결되는 연소노즐;
상기 연소노즐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에 의해 불꽃이 생성되도록 상기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상기 연소바디를 상기 수평바디유닛과 상기 수직바디유닛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연소바디와 상기 설치플레이트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가열공과 상기 수직가열공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상기 불꽃이 배출되는 화염경로가 구비된 단열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mbustion burner is
a combustion body having a fuel inlet into which fuel is injected at one side and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at the other side;
a combustion nozzle that mixes and discharges the fuel and the air from the combustion body, one side connected to the fuel inle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 ignition unit igniting the fuel to generate a flame by the fuel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nozzle;
an installation plat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mbustion body to the horizontal body unit and the vertical body unit, respectively; and
In a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body and the installation plate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 insulating block fitted with the horizontal heating hole and the vertical heating hole, respectively, and provided with a flame path through which the flame is discharged; vertical horizont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Combined heating furn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상기 수직바디유닛에 밀착 고정시키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수평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상기 수평바디유닛에 밀착 고정시키는 재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According to claim 1,
a clamp unit for closely fixing the test body sealing the vertical heating space to the vertical body unit; and
a loading unit for closely fixing the test body sealing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to the horizontal body unit;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기 수직가열공간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링크; 및
상기 파지링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직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지링크를 정역회전시키는 왕복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링크는,
상기 수직가열공간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왕복구동부와 링크 결합되는 구동지지부;
상기 구동지지부에서 연장되는 피벗지지부; 및
상기 파지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피벗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lamp unit is
a gripping link rotatably coupl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and
It is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link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ody unit, and a reciprocating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gripping link forward and reverse.
The grip link is
a driving support part rotatably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vertical heating space and linked to the reciprocating driving part;
a pivot support extending from the driving support; and
and a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하유닛은,
상기 수평바디유닛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재하레일;
상기 재하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재하구동부;
한 쌍의 재하구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재하구동부가 상기 재하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평바디유닛의 상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재하바디;
상기 수평가열공간을 밀폐한 시험체에 적층 지지되는 재하치구; 및
상기 재하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재하치구를 가압하는 재하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ading unit,
a pair of jaeha rail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ody unit;
A pair of jaeha driving parts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jaeha rail;
a jaeha body connecting a pair of loading driving units, and reciprocat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body unit as the loading driving part rolls along the loading rail;
a loading jig supported by lamination on a test body that has sealed the horizontal heating space; and
It is coupled to the jaeha body, the loading pressurizing part for pressing the jaeha jig;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omprising a.
바닥에 구비되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설치되고, 직립 상태를 기준으로 일측면부가 개구된 틸팅가열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틸팅가열공이 관통 형성되고, 시험체에 의해 상기 틸팅가열공간이 밀폐 가능한 틸팅바디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틸팅바디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힌지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틸팅바디유닛을 회전시키는 틸팅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틸팅구동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직립하는 경우, 상기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는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일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구동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누운 경우, 상기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는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a base unit provided on the floor;
A tilting body that is installed on the base unit and has a tilting heating space with one side open on the basis of an upright state, a tilting heating hole is formed through at leas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nd the tilting heating space can be sealed by a test body unit;
a tilting hinge unit for rotatably coupling the tilting body unit with respect to the base unit; and
Including; a tilting drive unit for rotating the tilting body unit based on the base unit;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er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e unit,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When the tilting body unit lies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ing unit,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is disposed above the tilting body unit.
제8항에 있어서,
직립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상부에는 틸팅배기부;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바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평배치라인;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누운 경우, 상기 틸팅배기부와 상기 수평배치라인을 연결시키는 수평조인트;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바닥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직배치라인;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직립하는 경우, 상기 틸팅배기부와 상기 수직배치라인을 연결시키는 수직조인트; 및
상기 수평배치라인과 상기 수직배치라인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9. The method of claim 8,
A tilting exhaust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body unit based on the upright state,
a horizontal arrangement lin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and disposed vertically on the floor;
a horizontal joint connecting the tilting exhaust unit and the horizontal arrangement line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lying down;
a vertical arrangement lin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and arranged horizontally with the floor;
a vertical joint connecting the tilting exhaust unit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line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upright; and
A joint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arrangement line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l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가열공에 결합되고,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가열하는 연소버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9. The method of claim 8,
Combined to the tilting heating hole, the combustion burner for heat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버너는,
일측에는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가 구비되는 연소바디;
상기 연소바디로부터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되, 일측은 상기 연료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입구와 연결되는 연소노즐;
상기 연소노즐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에 의해 불꽃이 생성되도록 상기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상기 연소바디를 상기 틸팅바디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연소바디와 상기 설치플레이트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가열공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불꽃이 배출되는 화염경로가 구비된 단열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mbustion burner is
a combustion body having a fuel inlet into which fuel is injected at one side and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at the other side;
a combustion nozzle that mixes and discharges the fuel and the air from the combustion body, one side connected to the fuel inle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 ignition unit igniting the fuel to generate a flame by the fuel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nozzle;
an installation plat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mbustion body to the tilting body unit; and
and an insulation block fitted with the tilting heating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body and the installation plate are integrally coupled, and provided with a flame path through which the flame is discharged.
제3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버너는, 플랫버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11. The method of claim 3 or 10,
The combustion burner is a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at bur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직립한 경우,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상기 틸팅바디유닛에 밀착 고정시키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틸팅바디유닛이 누운 경우,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상기 틸팅바디유닛에 밀착 고정시키는 재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9. The method of claim 8,
a clamp unit for closely fixing a test object seal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to the tilting body unit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upright; and
When the tilting body unit is lying down, a loading unit for closely fixing the test object seal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to the tilting body unit;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기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링크;
상기 파지링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틸팅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지링크를 정역회전시키는 왕복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링크는,
상기 틸팅가열공간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왕복구동부와 링크 결합되는 구동지지부;
상기 구동지지부에서 연장되는 피벗지지부; 및
상기 파지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밀폐하는 시험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피벗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lamp unit is
a gripping link rotatably coupl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link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ilting body unit, and a reciprocating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gripping link forward and reverse.
The grip link is
a driving support unit rotatably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tilting heating space and linked to 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a pivot support extending from the driving support; and
and a vertical/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omprising a; a close-contact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end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so as to press the test body sealing the tilting heating sp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ripping link.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하유닛은,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재하레일;
상기 재하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재하구동부;
한 쌍의 재하구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재하구동부가 상기 재하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함에 따라 상기 틸팅바디유닛의 상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재하바디;
상기 틸팅가열공간을 밀폐한 시험체에 적층 지지되는 재하치구; 및
상기 재하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재하치구를 가압하는 재하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loading unit is
a pair of jaeha rail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tilting body unit;
A pair of jaeha driving parts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jaeha rail;
a jaeha body connecting a pair of loading driving units,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at the upper side of the tilting body unit as the loading driving part rolls along the loading rail;
a reloading tool supported by lamination on a test body that closes the tilting heating space; and
It is coupled to the jaeha body, the loading pressurizing part for pressing the jaeha jig;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omprising a.
제7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하구동부는,
상기 재하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재하브라켓;
상기 재하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재하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바퀴; 및
상기 레일바퀴에서 이격되어 상기 재하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재하레일에는, 상기 가이드바퀴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가이드;가 상기 재하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16. The method of claim 7 or 15,
The load driving unit,
Jaeha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Jaeha body;
a rail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jaeha bracket to be able to roll in the jaeha rail; and
A guide wheel spaced apart from the rail wheel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jaeha bracket; includes,
The jaeha rail, a rail guide to which the guide wheel is coupled to be capable of roll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hea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aeha rail.
재7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하치구는,
상기 재하가압부에 장착되는 제1슬래브;
상기 제1슬래브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래브;
상기 제2슬래브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슬래브;
상기 제3슬래브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슬래브; 및
시험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4슬래브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재하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Again according to claim 7 or 15,
The rehearsal district is
a first slab mounted on the load pressing unit;
a second slab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lab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lab;
a third slab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ab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slab;
a fourth slab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lab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hird slab; and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ad support part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ourth slab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test bod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하치구는,
상기 제1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슬래브를 상기 제1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볼스크류;
상기 제2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제3슬래브를 상기 제2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볼스크류;
상기 제3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제4슬래브를 상기 제3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볼스크류; 및
상기 제4슬래브에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재하지지부를 상기 제4슬래브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볼스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겸용 가열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rehearsal district is
a first ball screw coupled to the first slab and configured to move the second slab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lab according to rotation;
a second ball screw coupled to the second slab and configured to move the third slab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ab according to rotation;
a third ball screw coupled to the third slab and configured to move the fourth slab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lab according to rotation; and
a fourth ball screw coupled to the fourth slab and configured to move the support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slab according to rotation;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1항, 제2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직수평겸용 가열로를포함하는 가열바디유닛;
상기 가열바디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바디유닛의 내부를 가열하는 연소유닛;
상기 연소유닛에 의해 상기 가열바디유닛의 내부에 생성된 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유닛; 및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을 필터링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집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험장치.
Claims 1, 2, 8, 9. A heating body unit compris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ed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a combustion unit coupled to the heating body unit to heat the inside of the heating body unit;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generated inside the heating body unit by the combustion unit; and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filtering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discharging it into the atmospher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은,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해당 가열공에 결합되고,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불꽃을 발생시키는 연소버너;
상기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
상기 연소버너와 상기 연료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연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료라인;
상기 연료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연료피팅;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공급팬;
상기 연소버너와 상기 공기공급팬을 연결하여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라인; 및
상기 공기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기피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험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mbustion unit is
a combustion burner coupled to a corresponding heating hole in the heating body unit and generating a flame by mixing fuel and air;
a fuel tank in which the fuel is stored;
a fuel line connecting the combustion burner and the fuel tank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fuel;
a fuel fitting provided in the fuel line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the fuel;
an air supply fan for sucking the air;
an air line connecting the combustion burner and the air supply fan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air; and
and an air fitting provided in the air line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the ai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가열바디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라인; 및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배출라인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 중 불티를 제거하는 불티방지부; 및
상기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생성된 물질을 냉각시키는 역화방지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험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discharge unit is
a discharge line coupled to the heating body unit and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material generated in the heating body unit; and
Including a;
a fire prevention unit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and configured to remove fire from among the materials generated by the heating body unit; and
a flashback prevention chamber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and cooling the material generated by the heating body unit; Fire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any one of.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닛은,
백필터 방식 또는 전기집진 방식으로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건식유닛;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에 흡착액을 분사하여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물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습식유닛;
상기 배출유닛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건식유닛과 상기 습식유닛 사이에서 전달되는 물질을 가열하는 예열히터; 및
상기 건식유닛과 상기 습식유닛을 통과한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필터링유닛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닛에는 상기 건식유닛과 상기 습식유닛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팬에는 상기 건식유닛과 상기 습식유닛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험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dust collection unit,
a dry uni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by a bag filter method or an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
a wet unit for spraying an adsorbent onto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 preheater for heating the material transferred between the dry unit and the wet unit by using the heat of th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and an exhaust fan providing suction power to the filtering unit for discharging substanc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dry unit and the wet unit.
Any one of the dry unit and the wet un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Fire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dry unit and the wet unit is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바디유닛에서 해당 가열공간의 개방될 때, 배출되는 물질을 상기 집진유닛에 전달하는 배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험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e tes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a smoke exhaust unit for transferring the discharged material to the dust collecting unit when the heating space is opened in the heating body uni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연유닛은,
상기 가열바디유닛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배연후드;
상기 배연후드에 포집되는 물질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연라인; 및
상기 배연후드를 통해 전달되는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배연라인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험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exhaust unit is
a smoke hoo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body unit;
a smoke line for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material collected in the smoke hood; and
and a smoke exhaust fan providing suction force to the exhaust line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delivered through the smoke hoo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바디유닛의 온도를 감시하는 한편, 상기 연소유닛과 상기 배출유닛과 상기 집진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험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a control unit that monitor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body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combustion unit, the exhaust unit,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KR1020210004719A 2021-01-13 2021-01-13 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 KR202201024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719A KR20220102400A (en) 2021-01-13 2021-01-13 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719A KR20220102400A (en) 2021-01-13 2021-01-13 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400A true KR20220102400A (en) 2022-07-20

Family

ID=8260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719A KR20220102400A (en) 2021-01-13 2021-01-13 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40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37B1 (en) 2005-06-16 2007-04-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orizontal Furnace for Fire Experiment of Concrete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37B1 (en) 2005-06-16 2007-04-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orizontal Furnace for Fire Experiment of Concret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25571B (en) Flame safety system for in situ process analyzer
Rui et al. Hydrogen-air explosion with concentration gradients in a cubic enclosure
CN107402226B (en) Fire resistance test device and method for concrete roof of underground space structure
JP2011164101A (en) Resident measuring system of charging level of blast furnace
KR100977617B1 (en) 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CN108022496A (en) Tunnel fire test device and test method of a kind of top containing crossbeam
KR101264246B1 (en) Multipurpose vertical test furnace having flat-type burner for evaluating fire resistance capacity of vertical structure member, and heating method using the same
Obmiński Asbestos in building and its destruction
KR20220102400A (en) 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
CN109115831A (en) A kind of fire-proof sealing material fire resistance experimental rig
KR20120070087A (en) 10mw type large scale calorimeter
KR20230108984A (en) Heating furnac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nd fire experiment device using this
CN111829893A (en) Creep, carbonization and damp-heat coupling effect test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Kim et al. Sprinkler protection of exterior glazing
Littlewood et al. In-construction tests show rapid smoke spread across dwellings
KR20120070088A (en) 10mw type large scale calorimeter
JP4039017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precision processing equipment
CN208548089U (en) A kind of tunnel fire test device of the top containing crossbeam
Costello The fire performance of post-tensioned timber buildings
Yu et al. Fire test study of full-scale air-supported membrane structure in large space
Tamanini et al. Mixture reactivity in explosions of stratified fuel/air layers
Coutin et al. Glove box fire behavior in free atmosphere
KR102289465B1 (en) Fire door fireproof test device and test method capable of to simultaneous test
Parkes The impact of size and location of pool fires on compartment fire behaviour.
Work et al. BP OIL--TOLEDO REFIN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