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617B1 - 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 Google Patents

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617B1
KR100977617B1 KR1020090084198A KR20090084198A KR100977617B1 KR 100977617 B1 KR100977617 B1 KR 100977617B1 KR 1020090084198 A KR1020090084198 A KR 1020090084198A KR 20090084198 A KR20090084198 A KR 20090084198A KR 100977617 B1 KR100977617 B1 KR 10097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gas
combustion
combustion gas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상훈
조성호
홍용의
유용호
김흥열
이봉재
신현준
권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9008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6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2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 G01N25/2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n combustion or catalytic oxidation, e.g. of components of gas m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7/00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 G01N7/02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by absorption, adsorption, or combustion of components and measurement of the change in pressure or volume of the remainder
    • G01N7/06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by absorption, adsorption, or combustion of components and measurement of the change in pressure or volume of the remainder by combustion al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PURPOSE: A measuring system of a burning test for a room corner is provided to obtain accurate data by collecting combustion gas and filtering the collected combustion gas. CONSTITUTION: A measuring system of a burning test for a room corner comprises a main housing(10), a duct(20), an exhaust hood(30), a fixed test table(40), a main test room(50), a moving unit, a combustion gas analyzing unit, and a burner(41). The duc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ain housing. The exhaust hood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the duct. The fixed test table is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exhaust hood and performs a fire test. The main test room is separa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housing. The moving unit automatically moves the main test room. The combustion gas analyzing unit measures combustion gas exhausted from the exhaust hood. The burner is installed in the fixed test table or the main test room.

Description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본 발명은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용 자재의 화재의 모의시험을 통해 화재 발생물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함은 물론 가구류 및 전자제품의 연소시험(Furniture Calorimeter)을 함께 병행할 수 있는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measure data on fires through simulation tests of fires of building materials, as well as to burn furniture and electronic products (Furniture Calorimeter). It is related with the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which can be parallel.

일반적으로 점화 후, 화재로의 전개는 여러 가지 다른 경로를 거쳐 발생할 수 있으며, 가연성 물질의 물리적 위치뿐만 아니라, 그 외의 환경 조건 등에 의존하기도 한다. 통상 화재는 세 단계로 체계화하여 설명할 수 있다.In general, after ignition, the development into a fire can occur through several different routes, depending on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combustible material as well as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Fire can usually be described in three stages.

화재의 진행 1단계는 착화이고, 제2단계는 연소, 제3단계는 화재의 전이이다. 이러한 3가지 단계별 화재 진행시, 1단계에서는 착화시간(Ignition Time)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2단계에서는 산소소모량(OXygen Production Rate)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3단계에서는 열방출률(HeatRelease Rate) 및 연기발생량(Smoke Production Rate) 등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stage of the fire is ignition, the second stage is combustion, and the third stage is the transition of fire. During these three stages of fire, the ignition time can be measured in the first stage, the oxygen production rate can be measured in the second stage, and the heat release rate in the third stage. And smoke production rate (Smoke Production Rate) can be measured.

상기 각 단계에서의 연소 분해 생성물의 조성은 다르며, 이는 각 단계에서의 연기 밀도, 온도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더구나 화재 시나리오에 있어서는 특히 순간적인 열의 유동성, 산소의 공급, 연소 가스의 방출설비 등에 관한 정보가 요구된다.The composition of the combustion cracking product in each step is different, which affects the smoke density, temperature, etc. in each step. In addition, in fire scenarios, information on instantaneous heat fluidity, oxygen supply, combustion gas release equipment, and the like is required.

제품의 실제적인 화재 성능에 대한 평가는 실제 크기의 시험편으로 얻어질 수 있고, 많은 인자들이 연기의 생성과, 생성된 연기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특정 소재의 연기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화재의 전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Evaluation of the actual fire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obtained with specimens of actual size, and many factors affect the production of smok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pro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a fire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of a particular material.

한편, 최근에는 테스트룸 내에서 건축용 자재 등의 화재실험을 통해 화재 시험시 발생하는 열방출률, 연기발생률, 산소소비량, 일산화 및 이산화탄소 생성량 등을 측정하기 위한 소위 '룸 코너 테스터(Room Corner Tester)'라는 시험장비가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시험장비는 테스트룸 내에서 샌트위치판넬 등의 건물구조에서 패널 내부로의 연소 확산, 화재거동 등을 평가하기 위한 장비이다.Recently, the so-called 'Room Corner Tester' for measuring the heat release rate, smoke generation rate, oxygen consumpti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generation, etc., generated during a fire test through a fire test of building materials in a test room. Test equipment is being introduced. These test equipments are for evaluating the spread of combustion, fire behavior, etc. in the inside of panels in the building structure such as the sandwich panel in the test room.

그런데, 실제 화재시에는 건축용 자재에 의한 화재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에 있는 책상, 의자, 냉장고 등의 가구 및 전자제품도 점화의 원인이 되는 만큼 이에 대한 화재시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However, in the actual fire, not only fire caused by building materials, but also furniture and electronic products such as desks, chairs, refrigerators, etc. in the building should be evaluated for the fire test.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가구 및 전자제품의 화재시험 평가는 건축용 자재의 시험평가와는 다른 조건하에서 실험을 해야 하므로, 건축용 자재 등의 화재시험을 위한 '룸 코너 테스터'와는 별도로 시험 장비를 구성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고, 두 가지의 연소시험을 할 경우에는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fire test evaluation of the furniture and electronic products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conduc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from the test evalua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Therefore, test equipment should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room corner tester' for the fire test of the building material. There is a problem, and when two combustion tests are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certain time interv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스트룸 내에서의 건축용 자재의 연소시험과 가구 및 전자제품의 화재시험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룸 코너 연소 시험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and more specifically, a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with improved structure so that a combustion test of building materials in a test room and a fire test of furniture and electronics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룸 코너 연소 시험 측정시스템은,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입구에 설치되며, 연소시험을 위한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모아져 상기 덕트로 안내되게 하는 배출후드와; 상기 배출후드의 직 하방에 설치되어, 가구 및 가전제품의 화재시험을 위한 고정 시험대와; 상기 고정 시험대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서 건축용자재의 화재시험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출입구를 가지는 메인 테스트룸과; 상기 메인 테스트룸을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과; 상기 배출후드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측정하는 연 소가스 분석장치; 및 상기 고정 시험대 또는 상기 메인 테스트룸에 설치하여 원격에서 점화 및 소등을 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버너;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가스 분석장치는, 상기 덕트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유속에 의한 차압을 측정하여 질량유속을 산출하는 질량유속 측정기와;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계와; 상기 연소가스에 함유된 산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가스분석기와; 상기 연소가스 내의 연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덕트에 설치되는 광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housing; A duct installed on the main housing; A discharge hood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duct and configured to collect combustion gas generated in a fire for a combustion test and to be guided to the duct; It is installed directly below the discharge hood, and a fixed test bench for the fire test of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A main test room installed inside the main housing so as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ed test bench, and having a doorway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fire test of the building material is discharged; A mobile unit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main test room; Combustion gas analysis device for measuring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od; And a burner installed in the fixed test bench or the main test room and controlled to ignite and extinguish from a remote location, wherein the combustion gas analyzer measures a differential pressure due to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duct. A mass flow rate measuring device for calculating a mass flow rate; A plurality of thermometer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A gas analyz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oxygen,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And an optical unit installed in the duct to measure the amount of smoke in the combustion gas.

여기서, 상기 메인 테스트룸은, 상기 고정 시험대 쪽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제외한 6면이 폐쇄되며, 비 연소성 재질로 형성된 룸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룸 본체의 내부 코너 쪽 벽면에 실험용 시편을 설치하고, 그 코너 바닥부분에 상기 버너를 설치하여 점화시켜 연소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버너로 프로판 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면서 자동으로 점화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버너 자동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in test room includes a room body formed of a non-combustible material in which six surfaces except for an entrance opening to the fixed test bench are closed, and an experimental specimen is installed on an inner corner wall of the room bod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burner automatic control device which installs the burner at the corner bottom so as to be ignited and combusted, and automatically controls ignition and extinction while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propane gas to the burner.

또한, 상기 버너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로 형성된 버너 박스와; 상기 버너박스 내부의 바닥부에 적층되는 자갈층과; 상기 자갈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모래층과; 상기 자갈층의 바닥과 상기 자갈층과 모래층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거즈와; 연소용 프로판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용 소켓과; 원격에서 조작하여 가스를 점화할 수 있도록 상기 버너박스에 설치되는 스파크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burner may further include: a burner box formed of stainless steel; A gravel layer stacked on a bottom portion of the burner box; A sand layer stacked on top of the gravel layer; A metal gauz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gravel layer and the gravel layer and the sand layer; A gas supply socket for supplying combustion propane ga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park generator which is installed in the burner box to ignite the gas to operate remotely.

또한, 상기 가스분석기는,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샘플링하는 샘 플링프로브와; 상기 샘플링프로브에서 채집된 연소가스를 처리하는 가스처리부와; 가스처리부에서 처리된 연소가스를 분석하는 가스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처리부는, 연소가스의 그을음을 걸러내는 필터와; 연소가스에 포함한 수분을 걸러내는 콜드트랩과; 연소가스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gas analyzer may further include a sampling probe for sampling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duct; A gas processor which processes the combustion gas collected by the sampling probe; And a gas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the combustion gas treated by the gas processor, wherein the gas processor comprises: a filter for filtering soot of the combustion gas; A cold trap for filter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ump for forcibly transferring the combustion gas.

또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 테스트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메인 하우징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테스트룸의 상부에 연결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mobile unit, 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the floor inside the main housing; A guide member installed below the main test room and moved along the guide rail; A movable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housing so as to be reciprocated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test roo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power for reciprocating the movable member.

또한, 상기 고정 시험대에서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연소시험시 발생되는 복사열을 측정하기 위한 복사열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adiant hea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radiant hea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test of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in the fixed test bench.

본 발명의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에 따르면, 룸 코너 연소시험을 위한 메인 테스트룸을 이동 배출후드 쪽으로 자동으로 접근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배출후드의 직 하방에 고정 시험대를 설치하여 가구 및 전자제품의 연소시험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두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연소 시험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연속해서 서로 다른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test room for the room corner combustion test is installed to be automatically approached and spaced toward the mobile discharge hood, and a fixed test bench is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discharge hood to provide furniture and By having a configuration for the combustion test of electronics, two different kinds of combustion tests can be executed in one system, and different combustion tests can be carried out in succession.

특히, 메인 테스트룸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한 연소시험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main test room can be moved automatically, the operation is easy and rapid combustion test is possible.

또한, 연소 시험시 발생되는 외기 열(복사열)을 측정하기 위한 복사열 측정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외기로의 화염전파 가능성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further comprising a radiant hea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heat of the outside air (radiation hea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te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sibility of flame propagation to the outside air can be measur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fire.

그리고 버너를 원격에서 자동으로 점화 및 소등 시킬 수 있으며, 연료인 프로판 가스의 공급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연소시험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면서도 과학적으로 수행하여 얻어내는 측정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urner can be automatically ignited and turned off remotely, and the supply amount of propane gas, which is a fuel,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data obtained by performing combustion tests more easily, conveniently and scientifically. Can be.

또한, 연소가스를 채집하고, 채집된 연소가스를 필터링하고, 수분을 제거한 뒤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시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시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the combustion gas, filtering the collected combustion gas, and after removing the moisture to analyze more accurate test data can be obta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도 1b, 도 2, 도 3, 도 4, 도 5a, 도 5b, 도 5c,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은, 메인 하우징(10)과, 메인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20)와, 덕트(20)의 입구에 설치되며 연소시험을 위한 화재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모아져 상기 덕트(20)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후드(30)와, 상기 배출후드(30)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 시험대(40)와, 고정시험대(4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설치되는 메인 테스트룸(50)과, 메인 테스트룸(50)을 이동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이동유 닛(60)과, 복사열 측정장치(70)와, 상기 배출후드(30)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측정하는 연소가스 분석장치(100)를 구비한다.1A, 1B, 2, 3, 4, 5A, 5B, 5C, 6, 7, 8, 9 and 10,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includes a combustion gas generated by a fire for a combustion test, which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main housing 10, the duct 2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housing 10, and the duct 20. Is collected and guided to be discharged to the duct 20, the fixed test bench 4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hood 30, the fixed test bench 40 is installed and approached apart Measures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main test room 50, the moving unit 60 for movably driving the main test room 50, the radiant heat measuring device 70, and the discharge hood 30. Combustion gas analysis device 100 is provided.

상기 메인 하우징(10)은 전방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양측벽 및 상부벽 및 후면벽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며, 비 연소재질 예컨대, 금속판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The main housing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is open, has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both side walls, the top wall and the back wall, and is formed of a non-combustion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plate.

상기 메인 하우징(10)의 상부에는 덕트(20)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20)는 광물 면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 덕트(20)에 후술할 연소가스 분석장치(100)가 연결되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샘플링하여 분석하게 된다.The duct 2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10. These ducts 20 are insulated with mineral surfaces. The duct 20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analysis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to sample and analyze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상기 배출후드(30)는 메인 하우징(10)의 개방된 입구 쪽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시험대(40)의 직 상부에 설치된다. 이 배출후드(30)의 상부 쪽에 덕트(20)가 연결되어 배출후드(30)를 통해 모아진 연소가스가 덕트(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배출후드(3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성을 가진다.The discharge hood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n inlet side of the main housing 10, and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fixed test bench 40. The duct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hood 30 may allow the combustion gas collected through the discharge hood 3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ct 20. The discharge hood 30 has a configuration that narrows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고정 시험대(40)는 가구 및 가전제품의 연소시험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배출후드(30)의 직 하방 바닥면에 일정 너비 및 높이로 설치된다. 이 고정시험대(40)에는 실험시 테스트 룸(50) 내에서 사용했던 버너(41)를 이동시켜 설치한 뒤 연소시험을 하게 된다. 즉, 통상적으로 가구나 가전제품은 건축자재나 건물과는 별개로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룸 내에서가 아닌 열린 공간에서 연소시험을 실행함으로써, 가구 및 가전제품의 연소로 인한 화재요소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 fixed test bench 40 is provided for the combustion test of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directly below the discharge hood (30). The stationary test bench 40 is burned after the burner 41 used in the test room 50 is moved and installed in the test room 50. In other words, in general, furniture and appliances are installed separately from building materials and buildings, so that combustion tests are conducted in an open space rather than in a room, thereby more accurately measuring the fire factors caused by the combustion of furniture and appliances. You can do it.

상기 메인 테스트룸(50)은 룸 본체(51)와, 룸 본체(51) 내부에 설치되는 버너(52)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데스트룸(50)은 메인 하우징(10) 내부에서 고정 시험대(4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메인 테스트룸(50)은 그 내부에서 연소시험에 의해 발생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출입구(51a)를 가진다. 상기 출입구(51a)는 고정 시험대(40) 쪽으로 향하고 있는 전방벽에 일정 넓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테스트룸(50)의 내부에서 샌드위치 판넬과 같은 건축용 자재의 연소 시험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메인 테스트룸(50) 내부의 천정을 따라 가이드 되어 출입구(51a)의 상부를 통해 이동되면서 배출후드(30)로 모두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출입구(51a)는 연소가스를 배출후드(30) 쪽으로 모두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배출후드(30)에 마주하는 전면벽에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테스트룸(50)은 출입구(51a)를 제외한 6면이 모두 폐쇄되어 실링 처리된 육면체 구조를 가지며, 비 연소성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 테스트룸(50)은 벽 물질은 건축용 석재 블럭(block)(예 셀 방식 콘크리트), 석고 판 또는 섬유 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in test room 50 includes a room body 51 and a burner 52 installed inside the room body 51. The main test room 5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ed test bench 40 in the main housing 10. This main test room 50 has an entrance and exit 51a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test is discharged. The entrance 51a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front wall facing the fixed test bench 40. Therefore,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test of the building material such as the sandwich panel in the main test room 50 is discharge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ceiling inside the main test room 50 and mov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entrance 51a. Both are guided to the hood 30 to be discharged. As such, the entrance and exit 51a is formed on the front wall facing the discharge hood 30 so as to guide the combustion gas toward the discharge hood 30. The main test room 50 has a hexagonal structure in which all six surfaces except the entrance and exit 51a are closed and sealed, and is formed of a non-combustible material. For example, the main test room 50 may be made of wall material from building stone blocks (eg cell concrete), gypsum board or fibreboard.

상기 구성의 메인 테스트룸(50) 내부의 코너부분에 시험용 시편(건축용 자재)을 직각으로 수직 배치하고, 그 코너 부분의 바닥에 버너(41)를 위치시킨다. 상기 버너(41)는 원격에서 점화 및 소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버너(41)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버너(41)는 버너박스(41a)와, 상기 버너박스(41a)의 내부 바닥에 적층된 자갈층(41b)과, 자갈층(41b)의 상부에 적층되는 모래층(41c) 및 상기 버너박스(41a) 내부로 프로판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파이프에 연결되어 프로 판 가스를 토출하는 가스 공급용 소켓(41d)을 가진다. 모래층(41c)의 상부에는 스파크 발생기(232)가 설치되어 원격에서 자동으로 스파크를 발생시켜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41e는 버너박스(41a)를 받치는 박스 다리를 나타낸다. 또한 자갈층(41b)과 모래층(41c)이 섞이는 것을 차단하고, 상부의 모래층(41c)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거즈(41f,41g)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물론, 버너박스(41a)의 바닥에도 상기 가스 공급용 소켓(41d)으로 자갈 등이 유입되어 막히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금속거즈(41h)가 더 설치될 수 있다.A test specimen (building material) is vertically disposed at a right angle at a corner portion inside the main test room 5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burner 41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corner portion. The burner 41 can be ignited and turned off remotely. This burner 4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burner 41 includes a burner box 41a, a gravel layer 41b stack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burner box 41a, a sand layer 41c stacked on the gravel layer 41b, and the burner box 41a. It is connected to a supply pipe for supplying propane gas therein, and has a gas supply socket 41d for discharging propane gas. The spark generator 232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and layer 41c to automatically generate and ignite the spark remotely. In FIG. 6, reference numeral 41e denotes a box leg that supports the burner box 41a.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metal gauzes 41f and 41g are further provided to block mixing of the gravel layer 41b and the sand layer 41c and to prevent the upper sand layer 41c from scattering. Of course, the metal gauze 41h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urner box 41a to block the inflow of gravel and the like into the gas supply socket 41d.

여기서 상기 버너(41)의 점화 및 소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버너 자동 제어장치(200)를 도 9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 the burner automatic control device 200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ignition and the extinguishing of the burner 4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버너 자동 제어장치(200)는 프로판 가스 공급부(210)와, 가스 공급부(210)에서 버너(41)로 프로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가스 공급회로(220)와, 버너(41)에 설치되는 스파크 발생기(230)와, 버너(41)의 소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기(240)(UV Detector) 및 가스 공급회로 제어부(250)를 구비한다.The burner automatic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propane gas supply unit 210, a gas supply circuit 220 installed on a supply pipe for supplying propane gas from the gas supply unit 210 to the burner 41, and a burner 41. A spark generator 230 is installed in the) and a detector 240 (UV detector) and a gas supply circuit controller 250 for checking whether the burner 41 is turned off.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스 공급회로(220)를 통해서 가스 공급부(210)의 프로판 가스를 버너(41)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그 가스의 공급량을 각각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가스 공급회로(220)는 가스 공급관(221)과, 가스 공급관(221)에 설치되는 메인 솔레노이드밸브(225) 및 보조 솔레노이드밸브(227)를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들(225,227)은 가스 공급회로 제어부(250)에 의해 개폐 정도가 제어된다. 상기 감지기(240)에서 버너(40) 모두가 소등인 것으로 감지 된 경우, 가스 공급회로 제어부(250)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25,227)를 제어하여 곧바로 가스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공급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opane gas of the gas supply unit 210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burner 41 through the gas supply circuit 220,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gas can be controlled. To this end, the gas supply circuit 220 includes a gas supply pipe 221, a main solenoid valve 225 and an auxiliary solenoid valve 227 installed in the gas supply pipe 221. The solenoid valves 225 and 227 ar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by the gas supply circuit controller 250. When it is detected that all the burners 40 are turned off in the detector 240, the gas supply circuit controller 250 controls the solenoid valves 225 and 227 to immediately cut off the gas supply or reduce the amount of supply. do.

상기 스파크 발생기(230)는 버너(41)에 설치되며, 원격에서 구동 제어됨으로써 스파크를 발생시켜 공급되는 프로판 가스를 점화할 수 있도록 한다.The spark generator 230 is installed in the burner 41, and is controlled to be driven remotely to generate a spark to ignite the propane gas supplied.

상기 구성을 가지는 가스 공급회로(220)는 메인 테스트룸(50)의 외부에 설치되며, 가스 공급회로 제어부(25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고, 수동으로 실험자에 의해 조작될 수도 있다.The gas supply circuit 22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main test room 50, and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gas supply circuit controller 250, or may be manually operated by an experimenter.

상기 이동유닛(60)은 메인 테스트룸(50)을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하우징(10)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1)과, 메인 테스트룸(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62)와, 상기 메인 하우징(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동부재(63)와, 상기 가동부재(63)를 구동시키는 구동부(64)를 구비한다.The mobile unit 60 is to move the main test room 50 automatically, the guide rail 61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housing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test room 50 is installed A guide member 62 moving along the guide rail 61, a movable member 63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10, and a driving unit 64 for driving the movable member 63. Equipped.

상기 가이드레일(61)은 한 쌍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며, 메인 테스트룸(50)을 메인 하우징(10) 내부에서 고정 시험대(20) 쪽으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62)는 가이드레일(61) 상에 위치하도록 메인 테스트룸(5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례로서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이드부재(62)로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메인 테스트룸(50)은 가이드부재(62)가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구름 이동함에 따라서 직선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guide rails 61 are installed side by side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fixed to guide the main test room 50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housing 10 toward the stationary test bench 20. The guide member 62 is installed below the main test room 50 to be positioned on the guide rail 61, and may include a guide roller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62 may include a sliding member. Therefore, the main test room 50 is capable of reciprocating in a straight line as the guide member 62 slides or rolls along the guide rail 61.

상기 가동부재(63)는 메인 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한궤도 상태로 설치되는 벨트 또는 체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동부재(63)는 지지롤(65)에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며, 연결부재(66)에 의해 메인 테스트룸(50)의 상부에 연결된다.The movable member 63 is installed in the main housing 10 so as to be movable, and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member 63 is preferably a belt or a chain installed in an endless track state. The movable member 63 is support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oll 65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test room 50 by the connecting member 66.

상기 구동부(64)는 구동모터(64a)와, 구동모터(64a)의 구동력을 상기 지지롤(65)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64b)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64a)는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그 구동은 시스템 전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300)에 의해 구동제어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64b)는 하나 이상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기어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unit 64 includes a drive motor 64a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64b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64a to the support roll 65. The driving motor 64a may be driven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driving may be driven by a system controller 300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entire system.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64b may include a gear train including one or more gears,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스템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구동모터(64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메인 테스트룸(50)을 '룸코너 테스트위치'(배출후드 쪽으로 이동된 상태) 또는 '가구 테스트위치'(배출후드에서 멀어진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룸코너 테스트'와 '가구 테스트'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실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실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안전하고 정확한 시험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in test room 50 is' room corner test position '(moved toward the discharge hood) or' by driving the drive motor 64a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ystem controller 30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ove to the 'furniture test location' (away from the discharge hood), so that the 'room corner test' and the 'furniture test' can be carried out in one system, and the experiment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This reduces the time required and enables safe and accurate testing.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61) 상으로 구름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재(62)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전동모터(6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전동모터(67)는 메인 테스트룸(50)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구동축의 구동기어가 상기 가이드부재(62)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가이드부재(62; 롤러)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메인 테스트룸(50)이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moving unit 6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n electric motor 67 installed to rotationally drive the guide member 62 installed to roll on the guide rail 61. ) May be included. The electric motor 67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test room 50, the drive gear of the drive shaft is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62 to directly rotate the guide member 62 (roller) when driving, The test room 50 may be driven to reciprocate along the guide rail 61.

상기와 같은 이동유닛(60,60') 이외에도 다양한 예가 가능할 수 있다.Various examples may b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mobile units 60 and 60 'as described above.

상기 연소가스 분석장치(100)는 질량유속 측정기(110)와, 온도계(120)와, 가스분석기(130) 및 레이저를 이용한 광학유닛(140)을 구비한다.The combustion gas analyz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ass flow rate measuring instrument 110, a thermometer 120, a gas analyzer 130, and an optical unit 140 using a laser.

질량유속 측정기(110)는 덕트 내의 흐르는 연소가스의 질량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유속프로브(111)와, 유속프로브(111)에서 걸리는 가스유량에 따라 양쪽 유량 압력차를 구해 연소가스의 배출속도를 측정하는 차압력 변환기(112)를 구비한다. 상기 유속프로브(11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를 가지는 한 쌍의 오리피스관(111a,111b)을 가지며, 덕트(20) 내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덕트(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속프로브(111)가 결합되는 제1구멍(20a)과, 상기 온도계(120)가 연결되는 제2구멍(20b), 가스분석기(130)가 연결되는 제3구멍(20c) 및 광학유닛(140)이 결합되는 제4구멍(20d)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The mass flow rate measuring instrument 110 calculates the flow rat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low rate probe 111 installed to measure the mass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 the duct and the gas flow rate applied to the flow rate probe 111 to obtain the discharge rate of the combustion gas. It is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transducer 112 for measuring. The flow rate probe 111 has a pair of orifice tubes 111a and 111b having opening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is install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duct 20. As shown in FIG. 7, the duct 20 includes a first hole 20a to which the flow rate probe 111 is coupled, a second hole 20b to which the thermometer 120 is connected, and a gas analyzer 130. The third hole 20c to be connected and the fourth hole 20d to which the optical unit 140 is coupled are sequentially formed.

상기 온도계(120)는 덕트(2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The thermometer 12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duct 20.

상기 가스분석기(130)는 덕트(20)에 설치되어 연소가스를 샘플링하는 샘플링프로브(131)와, 가스처리부(132) 및 가스분석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샘플링프로브(131)는 덕트(20)를 중심을 통과하여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가스 유입구(131a)가 연소가스의 배출방향의 반대측에 다수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The gas analyzer 130 includes a sampling probe 131 installed in the duct 20 to sample combustion gas, a gas processor 132, and a gas analyzer 133. The sampling probe 131 is installed to cross the duct 20 through the cent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as inlets 131a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상기 가스처리부(1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프로브(131)에서 포집된 연소가스에 포함된 그을음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32a)와, 수증기나 수분을 응결시켜 제거하기 위해 연소 가스 이송관(134)에 설치되는 콜드트랩(cold trap)(132b)과, 포집되는 연소가스를 펌핑하여 강제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펌프(132c)와, 연소가스의 상태(예를 들어 수분의 함량)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감시부(132d)와, 압력조절부(132e), 압력게이지(132f) 등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가스처리부(132)에 의하면 샘플링프로브(131)에서 포집된 연소가스에 포함된 그을음, 수분 등을 제거한 뒤, 연소가스에 포함된 산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의 가스만이 가스 분석부(133)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8, the gas processing unit 132 includes a filter 132a for filtering soot included in the combustion gas collected by the sampling probe 131, and a combustion gas for condensing and removing water vapor and moisture. Cold trap 132b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134, a transfer pump 132c for pumping and forcibly moving the captured combustion gas, and the state of the combustion gas (for example, water content) And a plurality of monitoring units 132d, pressure regulators 132e, pressure gauges 132f, and the like, which are installed to visually check the number. According to the gas processing unit 132 of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removing the soot, moisture,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collected by the sampling probe 131, only the gas, such as oxygen,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etc., included in the combustion gas is analyzed by the gas analyzer ( 133).

상기 가스분석부(133)에서는 전달되는 연소가스를 분석하여, 산소량, 일산화탄소량 및 이산화탄소량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분석된 데이터들을 컴퓨터(135)로 전달된다.The gas analyzer 133 may analyze the combustion gas delivered to analyze the amount of oxygen,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The analyzed data is transferred to the computer 135.

상기 광학유닛(140)은 덕트(20)를 빠져나가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연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광 발생기(141)와, 레이저광 발생기(141)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레이저광 발생기(141)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레이저광 수광센서(142)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광 발생기(141)와 레이저광 수광센서(142) 사이에는 다수의 렌즈유닛(143,144)이 배치되어 레이저광의 이동을 가이드 하여 레이저광의 직진성을 확보하고, 레이저광 수광센서(142)로 레이저광이 모아져 수광될 수 있도록 하여 레어저광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여주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광학유닛(140)을 이용하여 연소가스 중의 연기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레이저광 발생기(141)에서 일정 밝기로 조사된 레이저광은 덕트(20)를 통과하여 반대쪽 레이저광 수광센서(142)에서 수광되는데, 연기의 밀도에 비례하여 수광량이 감소하게 되어 결국 연기의 밀도를 알아낼 수 있게 된다.The optical unit 140 is for measuring the smok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exiting the duct 20, the laser light generator 141 and the laser light generator 141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aser light generator 141 Laser light receiving sensor 142 for receiving the laser light irradiated from the. A plurality of lens units 143 and 144 are disposed between the laser light generator 141 and the laser light receiving sensor 142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aser light to secure the straightness of the laser light. The light can be collected and receiv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laser light measurement. Using the optical unit 140 of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ensity of the smoke in the combustion gas. That is, the laser light irradiated at a constant brightness from the laser light generator 141 passes through the duct 20 and is received by the laser light receiving sensor 142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nsity of the smoke. The density can be determined.

상기 구성 이외에도, 메인 테스트룸(50)의 외부에 설치되어 메인 테스트룸(5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대기 온도를 측정하는 대기온도센서와, 메인 테스트룸(50) 주변의 대기압을 감기하는 대기압 센서와, 메인 테스트룸(50) 주변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tmospheric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utside the main test room 50 to measure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main test room 50,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sensor wind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round the main test room 50.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hygrometer for measuring the relative humidity around the main test room (50).

또한, 상기 복사열 측정장치(70)는 메인 테스트룸(50)의 외부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정도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시험대(20)에서 가구 및 전자제품의 연소 시험시 발생하는 복사열을 원격에서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복사열 측정장치(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71)에 의해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폴대(72)와, 폴대(72)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73) 및 지지브라켓(73) 상에 설치되는 측정부(74)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복사열 측정장치(70)를 이용하여 화재 시험시 발생하는 화재로 인해 주변에 미치는 간접화재 및 화재의 전이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adiant heat measuring device 70 is installed outside the main test room 50, one or more preferably three or more different locations are installed in the fixed test bench 20 to burn furniture and electronics The radiant heat generated during the test is measured remotely. As shown in FIG. 10, the radiant heat measuring device 70 includes a pole 72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edestal 71, a support bracket 73 installed on the pole 72, and a support. The measuring unit 74 is provided on the bracket (73). By using the radiant heat measuring device 70 of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indirect fire and the transition of the fire due to the fire generated during the fire test.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 시험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측정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asurement method using a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구 및 전자제품의 화재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테스트룸(50)이 배출후드(30)에서 벗어나도록 메인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 시험대(40) 상에 버너(41)를 설치하고, 그 버너(41)에 인접하게 시편(시험용 가구;1)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버 너(41)로 프로판 가스를 공급하면서 스파크 발생기(230)를 제어하여 점화시킨다. 그러면 고정 시험대(40) 상에 설치된 시편(1)이 발화되면서 연소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order to perform a fire test of furniture and electronics, as shown in Figure 3, the main test room 50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housing 10 so as to escape from the discharge hood 30 The burner 41 is installed on the stationary test bench 40, and a specimen (test furniture) 1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burner 41. Then, the spark generator 230 is controlled and ignited while supplying propane gas to the burner 41. Then, the specimen 1 installed on the fixed test bench 40 is burned while ignited.

이러한 시편(1)의 연소실행은 완전연소 될 때까지 이루어지거가, 특정 정해진 시간동안 이루어지면서 평가될 수 있다. 실행 파라미터들(Parameter)은 Heat Production, Smoke Production, 수평 화염 전파, 떨어지는 화염 비말(飛沫, flaming droplet)과 분자(미립자, particle)이다.The combustion run of such a specimen 1 can be evaluated until it has been completely burned, 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un parameters are Heat Production, Smoke Production, Horizontal Flame Propagation, Flaming Droplets, and Molecules (Particles).

이때, 어떤 측정은 자동으로 실행되고, 어떤 측정은 육안으로 관찰해야 된다. 덕트(20)에서는 온도, 빛의 감쇠(減衰, light attenuation), 산소(O2)와 이산화탄소(CO2), 몰분율(mole fraction, 소량)과 유체 흐름에 의하여 유도된 차압 측정을 위한 구성요소들(111,112)(131)(140)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착된다. 상기 구성요소들(111,112)(131)(140)을 통해 측정되는 데이터는 자동으로 컴퓨터(135)에 기록되고 체적유량(volume flow), 열방출률(heat release rate, HRR)과 연기발생률(smoke production rate, SPR)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At this time, some measurement is performed automatically, and some measurement must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In the duct 20, components for measuring differential pressure induced by temperature, light attenuation, oxygen (O 2) and carbon dioxide (CO 2 ), mole fraction, and fluid flow (111, 112) 131 and 140 are mount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measured through the components 111, 112, 131, 140 are automatically recorded on the computer 135 and the volume flow, heat release rate (HRR) and smoke production rate (smoke production) rate (SPR).

또한, 복사열 측정장치(70)를 배치한 상태에서 실행되므로, 시편(1)의 연소시 발생되는 복사열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시험시 외기로 방사되는 열유속을 측정하여 실재 화재시 외기로의 화염전파 가능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adiation heat measuring apparatus 70 is disposed, the radiation hea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specimen 1 can be measured and obtained. Therefore, by measuring the heat flux radiated to the outside air during the fire tes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sibility of flame propagation to the outside air in the case of a real fire.

한편, 시각적인 관찰은 수평 불꽃과 화염 비말(飛沫, flaming droplet)과 분자(미립자, particle)의 낙하를 관찰하게 된다.Visual observation, on the other hand, observes the fall of horizontal flames, flaming droplets, and molecules (particles).

또한, 복수의 온도계(120)를 통해 연소가스의 온도 T1, T2, T3를 측정함은 물론, 대기 온도를 최소한 일정 기간 측정하여 기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T1, T2, T3 through the plurality of thermometers 120, as well a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nd recorded at least for a certain period.

그리고 연소에 앞서서 자연상태의 데이터(대기압,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Measure and record the natural data (atmospheric pressure and relative humidity) prior to combustion.

그리고 정밀시계(chronometer)로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고 데이터를 자동 기록하기 시작한다. 기록될 데이터들은 버너(41)에 공급되는 프로판 가스의 질량유량, 유압프로브(111)를 통해 측정되는 덕트(20) 내에서의 차압, 상기 광학유닛(140)에서 측정되는 레이저광 수광량(%로 표시), 그리고 샘플링프로브(131)를 통해 샘플링된 가스를 분석한 산소 몰분율, 이산화탄소 몰분율, 메인 테스트룸(50)으로 진입되는 대기 온도(T0)를 포함한다.It starts to measure time with a chronometer and automatically records data. The data to be recorded are the mass flow rate of propane gas supplied to the burner 41,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duct 20 measured through the hydraulic probe 111, and the laser light received amount measured in the optical unit 140 (%). Display), and an oxygen mole fraction, a carbon dioxide mole fraction, and an atmospheric temperature T0 that enters the main test room 50 by analyzing the gas sampled through the sampling probe 131.

상기와 같이 가구 및 전자제품과 같은 시편(1)의 연소시험이 마무리되면, 곧 이어서 메인 테스트룸(50)을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 3의 가상선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테스트룸(50)이 배출후드(30)의 측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메인 테스트룸(50)의 출입구(51a)에서 나오는 연소가스가 곧바로 배출후드(30)로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이러한 메인 테스트룸(50)의 이동은 시스템 제어부(300)에서 구동부(64)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mbustion test of the specimen (1), such as furniture and electronics as described above is finished, the main test room 50 is subsequent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ure 3 to be in the same state as the virtual line of FIG. That is, the test room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discharge hood 30 so that the combustion gas coming from the entrance 51a of the main test room 50 can be immediately guided to the discharge hood 30 to be discharged. . The movement of the main test room 5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unit 64 in the system control unit 300.

이와 같이 메인 테스트룸(50)을 연소시험 위치로 이동시킨 뒤, 그 내부에 상시 버너(41)를 이동시켜 위치시킨 뒤, 프로판 가스를 공급하면서 스파크 발생기(230)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점화시킨다. 이에 따라서 메인 테스트룸(50) 내의 코 너 부분에 설치된 시편(샌드위치 판넬 등의 건축용 자재)을 발화시켜서 건축용 자재의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화재요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메인 테스트룸(50) 내에서 발생된 화재로 이한 연소가스는 메인 테스트룸(50)의 천정을 따라 출입구(51a)로 빠져나와서 배출후드(30)로 안내된다. 그리고 배출후드(30)로 모아진 연소가스는 덕트(20)를 통해 배출되면서 일부 샘플링되어 연소가스를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After moving the main test room 50 to the combustion test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urner 41 is always positioned and positioned therein, and the spark generator 230 is driven and ignited automatically while supplying propane gas. Accordingly, by igniting the specimen (building material such as sandwich panel)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main test room 5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fire element generated when a fire of the building material occurs. The combustion gas caused by the fire generated in the main test room 50 exits the entrance 51a along the ceiling of the main test room 50 and is guided to the discharge hood 30. And the combustion gas collected in the discharge hood 30 is discharged through the duct 20 can be partly sampled and used to analyze the combustion gas.

한편,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은, 실험시 점화원인 가스의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시험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원격에서 버너(41)의 점화 및 소등을 자동으로 제어하고나,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정확하게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bustion test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can be carried out while precisely controlling the combustion test, because i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flow rate of the gas that is the ignition source during the experiment, the burner (41) By controlling the ignition and extinguishing of) automatically or manually, the combustion test can be performed safely and accurately.

또한, 메인 테스트룸(50)을 자동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2가지 이상의 다른 종류의 화재발생 실험을 하나의 측정시스템을 통해 실행할 수 있으며, 그 실행 시간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main test room 50 to automatically move the position, it is possible to run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fire experiments through one measurement system,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execution time continuously .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1A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1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bile unit shown in Figure 1a.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1A;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덕트 및 배출후드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Figure 5a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duct and the exhaust hood shown in Figure 1a.

도 5b는 연소가스 분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B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ustion gas analysis device.

도 도 5c는 도 5b의 광학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Figure 5c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optical unit of Figure 5b.

도 6은 버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burner.

도 7은 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duct.

도 8은 가스분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 gas analyzer.

도 9는 버너로 프로판가스를 공급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propane gas is supplied to a burner.

도 10은 복사열 측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10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radiant hea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메인 하우징 20..덕트10. Main housing 20. Duct

30..배출 후드 40..고정 시험대30. Drain hood 40. Fixed test bench

41..버너 50..메인 테스트룸41..Burner 50..Main test room

60,60'..이동유닛 61..가이드레일60,60 '.. Moving Unit 61..Guide Rail

62..가이드부재 63..가동부재62. Guide member 63. Moving member

64..구동부 70..복사열 측정장치64. Driving part 70. Radiation heat measuring device

100..연소가스 분석장치 110..질량유속 측정부100. Combustion gas analyzer 110. Mass flow rate measuring unit

120..온도계 130..가스분석기120. Thermometer 130. Gas analyzer

140..광학유닛 200..컴퓨터140. Optical unit 200. Computer

210..가스 공급부 220..가스 공급회로210. Gas supply unit 220. Gas supply circuit

250..가스 공급회로 제어부 300..시스템 제어부250. Gas supply circuit control unit 300. System control unit

Claims (6)

메인 하우징과;A main housing; 상기 메인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와;A duct installed on the main housing; 상기 덕트의 입구에 설치되며, 연소시험을 위한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모아져 상기 덕트로 안내되게 하는 배출후드와;A discharge hood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duct and configured to collect combustion gas generated in a fire for a combustion test and to be guided to the duct; 상기 배출후드의 직 하방에 설치되어, 가구 및 가전제품의 화재시험을 위한 고정 시험대와;It is installed directly below the discharge hood, and a fixed test bench for the fire test of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상기 고정 시험대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서 건축용자재의 화재시험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출입구를 가지는 메인 테스트룸과;A main test room installed inside the main housing so as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ed test bench, and having a doorway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fire test of the building material is discharged; 상기 메인 테스트룸을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과;A mobile unit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main test room; 상기 배출후드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측정하는 연소가스 분석장치; 및Combustion gas analysis device for measuring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od; And 상기 고정 시험대 또는 상기 메인 테스트룸에 설치하여 원격에서 점화 및 소등을 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버너;를 포함하며,A burner installed in the fixed test bench or the main test room and controlled to ignite and turn off the lamp remotely; 상기 연소가스 분석장치는,The combustion gas analysis device, 상기 덕트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유속에 의한 차압을 측정하여 질량유속을 산출하는 질량유속 측정기와;A mass flow rate measuring device for calculating a mass flow rate by measuring a differential pressure due to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duct;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계와;A plurality of thermometer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상기 연소가스에 함유된 산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가스분석기와;A gas analyz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oxygen,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상기 연소가스 내의 연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덕트에 설치되는 광학유닛;을 포함하며,And an optical unit installed in the duct to measure the amount of smoke in the combustion gas. 상기 이동유닛은,The mobile unit,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A guide rail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main housing; 상기 메인 테스트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와;A guide member installed below the main test room and moved along the guide rail; 상기 메인 하우징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테스트룸의 상부에 연결되는 가동부재와;A movable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housing so as to be reciprocated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test room; 상기 가동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And a driving unit providing power for reciprocating the movabl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테스트룸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test room, 상기 고정 시험대 쪽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제외한 6면이 폐쇄되며, 비 연소성 재질로 형성된 룸 본체를 포함하며,Six sides except for the door opening toward the fixed test bench is closed, and includes a room body formed of a non-combustible material, 상기 룸 본체의 내부 코너 쪽 벽면에 실험용 시편을 설치하고, 그 코너 바닥부분에 상기 버너를 설치하여 점화시켜 연소될 수 있도록 하며,An experimental specimen is installed on the inner corner wall of the room body, and a burner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rner to ignite the combustion. 상기 버너로 프로판 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면서 자동으로 점화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버너 자동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And a burner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gnition and extinction while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propane gas to the bur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rner, 스테인레스스틸 재질로 형성된 버너 박스와;A burner box formed of stainless steel; 상기 버너박스 내부의 바닥부에 적층되는 자갈층과;A gravel layer stacked on a bottom portion of the burner box; 상기 자갈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모래층과;A sand layer stacked on top of the gravel layer; 상기 자갈층의 바닥과 상기 자갈층과 모래층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거즈와;A metal gauz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gravel layer and the gravel layer and the sand layer; 연소용 프로판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용 소켓과;A gas supply socket for supplying combustion propane gas; 원격에서 조작하여 가스를 점화할 수 있도록 상기 버너박스에 설치되는 스파크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And a spark generator installed in the burner box to ignite the gas by remotely operating the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석기는,The gas analyzer of claim 1, wherein the gas analyzer includes: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샘플링하는 샘플링프로브와;A sampling probe for sampling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duct; 상기 샘플링프로브에서 채집된 연소가스를 처리하는 가스처리부와;A gas processor which processes the combustion gas collected by the sampling probe; 가스처리부에서 처리된 연소가스를 분석하는 가스분석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gas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combustion gas treated in the gas processing unit, 상기 가스처리부는,The gas processing unit, 연소가스의 그을음을 걸러내는 필터와;A filter for filtering soot of the combustion gas; 연소가스에 포함한 수분을 걸러내는 콜드트랩과;A cold trap for filter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연소가스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ement system comprising a; pump for forcibly transferring the combustion gas. 삭제delete 제1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험대에서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연소시험시 발생되는 복사열을 측정하기 위한 복사열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The room corner combustion test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radiant hea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radiant heat generated during a combustion test of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on the fixed test bench.
KR1020090084198A 2009-09-07 2009-09-07 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KR100977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198A KR100977617B1 (en) 2009-09-07 2009-09-07 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198A KR100977617B1 (en) 2009-09-07 2009-09-07 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617B1 true KR100977617B1 (en) 2010-08-24

Family

ID=4275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198A KR100977617B1 (en) 2009-09-07 2009-09-07 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617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3392A (en) * 2011-08-31 2012-01-18 中国科学技术大学 Simulation test device for melting flow combustion behavior of thermoplastic material
CN102928551A (en) * 2012-10-26 2013-02-13 上海化工研究院 Rotary chemical substance combustibility sieving device
KR101727591B1 (en) * 2016-06-21 2017-04-17 대한민국 Educational fire visualization apparatus
CN109856179A (en) * 2019-01-24 2019-06-07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It a kind of Strile-back experiment equipment and is strile-backd the method for critical condition and parameter based on the device to test
KR101988252B1 (en) 2018-11-30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flame ignition of test sample by infrared ray (ir)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CN112485295A (en) * 2020-11-09 2021-03-1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Integrated test platform for fire resistance of external heat source of oil-immersed transformer
KR20220066546A (en) 2020-11-16 2022-05-24 강소영 Apparatus for testing gas property
KR102631463B1 (en) 2022-11-30 2024-01-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of ordinary temperature water for radiation heat measuring sensor of real scale fire experiment laboratory, and radiation heat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150B1 (en) 2005-07-19 2006-09-28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A device for non-conbustibility test of materials
KR100686374B1 (en) 2005-01-22 2007-02-22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System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by burning of a test materials
KR20080033837A (en) * 2006-10-12 2008-04-17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System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by burning of a test object in real f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74B1 (en) 2005-01-22 2007-02-22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System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by burning of a test materials
KR100629150B1 (en) 2005-07-19 2006-09-28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A device for non-conbustibility test of materials
KR20080033837A (en) * 2006-10-12 2008-04-17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System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by burning of a test object in real fi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화재소방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30-36 (2004.11.01.)*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3392A (en) * 2011-08-31 2012-01-18 中国科学技术大学 Simulation test device for melting flow combustion behavior of thermoplastic material
CN102928551A (en) * 2012-10-26 2013-02-13 上海化工研究院 Rotary chemical substance combustibility sieving device
KR101727591B1 (en) * 2016-06-21 2017-04-17 대한민국 Educational fire visualization apparatus
KR101988252B1 (en) 2018-11-30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flame ignition of test sample by infrared ray (ir)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CN109856179A (en) * 2019-01-24 2019-06-07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It a kind of Strile-back experiment equipment and is strile-backd the method for critical condition and parameter based on the device to test
CN109856179B (en) * 2019-01-24 2023-11-24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Backfire experimental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backfire critical conditions and parameters thereof
CN112485295A (en) * 2020-11-09 2021-03-1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Integrated test platform for fire resistance of external heat source of oil-immersed transformer
KR20220066546A (en) 2020-11-16 2022-05-24 강소영 Apparatus for testing gas property
KR102631463B1 (en) 2022-11-30 2024-01-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of ordinary temperature water for radiation heat measuring sensor of real scale fire experiment laboratory, and radiation heat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617B1 (en) System of room corner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KR100977618B1 (en) Single burning items system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by burning of a object
CN203535890U (en) Fire simulation testing platform for charging and replacing station of electric automobiles
CN102735415A (en) Underground highway tunnel fire disaster experiment simulating device adopting vertical shaft to carry out natural smoke extraction
Bryant et al. The NIST 3 megawatt quantitative heat release rate facility
KR101832256B1 (en) An integrated equipment for characteristic test of smoke and heat
KR20120070087A (en) 10mw type large scale calorimeter
Bryant et al. The NIST 3 megawatt quantitative heat release rate facility-description and procedures
KR20080033837A (en) System for testing and estimating fire property by burning of a test object in real fire
CN111175436B (en) Experimental device for be used for simulating slot fire and put out a fire
KR101269119B1 (en) 10㎿ type large scale calorimeter
CN114047225A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non-carbonized material combustion behavior based on temperature and heat flow distribution
CN104865289A (en) Flooring material heat radiation tester
CN109557242A (en) A kind of asphalt material flame retardant property test equipment and method
CN1448711A (en) A fire hazard detecting integrated model experiment checkout apparatus
Ghanekar et al. In-situ measurement of water-vapor in fire environments using a real-time tunable diode laser based system
CN206672497U (en) Industrial production line fire simulation experimental apparatus
Tiwar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diesel fire toxicity in a compartment under different pool locations
Wieczorek et al. An evaluation of the global equivalence ratio concept for compartment fires: data analysis methods
CN109856179B (en) Backfire experimental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backfire critical conditions and parameters thereof
Wickström et al. The development of a full-scale room fire test
EP3381520B1 (en) Combustion arrester test systems and methods
KR102631463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of ordinary temperature water for radiation heat measuring sensor of real scale fire experiment laboratory, and radiation heat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Obach Effects of Initial Fire Attack Suppression Tactics on the Firefighter and Compartment Environments
RU174688U1 (en) Installation for determining the fire hazard of condensed materials during their thermal de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