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03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031A
KR20220102031A KR1020210004221A KR20210004221A KR20220102031A KR 20220102031 A KR20220102031 A KR 20220102031A KR 1020210004221 A KR1020210004221 A KR 1020210004221A KR 20210004221 A KR20210004221 A KR 20210004221A KR 20220102031 A KR20220102031 A KR 2022010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cover
refrigerator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031A/ko
Publication of KR2022010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2Doors that can be pivoted either left-handed or right-han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사용 중인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의 관련 부품을 보관 및 유지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냉장고 자체에 설치하여, 리버서블 도어힌지의 분실 또는 파손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미사용 중인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의 관련 부품을 보관 및 유지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냉장고 자체에 설치하여, 리버서블 도어힌지의 분실 또는 파손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내부 저장실에 저장된 식품 등을 저온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를 방열을 통하여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기로부터 제공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는 냉각작용에 의하여 저장실의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는 모세관이 구비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증발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냉매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압력을 낮추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는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냉매 배관을 통해서 유체 연결되어 있다.
저장실은 내부 유지 온도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할 수 있다. 통상 이들 저장실은 도어 또는 서랍을 통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저장실이 회전식 도어를 이용하여 개폐되는 냉장고의 경우에는 도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힌지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한편, 저장실을 구성하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각각 단일 도어를 통해서 개폐되는 단문형 냉장고의 경우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 도어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도어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수단은 리버서블 도어힌지로 알려져 있는 수단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59567에는, 단문형 냉장고의 도어를 양측으로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리버서블 도어힌지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리버서블 도어힌지는 도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시 전용으로 사용되는 도어힌지와, 도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시 전용으로 사용되는 도어힌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에서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 전용으로 사용되는 도어힌지 등의 부품은 냉장고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하여햐 한다.
따라서 분리된 도어힌지 등의 보관이 상황에 따라 분실되거나, 손상 및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도어의 회전방향 전환시에는 관련 부품을 재차 구매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59567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현재 사용되지 않는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의 관련 부품을 보관 및 유지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냉장고 자체에 설치하여, 리버서블 도어힌지의 분실 또는 파손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캐비닛, 도어, 및 적어도 하나의 도어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는,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 상기 도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제1 도어힌지와,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제2 도어힌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는 상기 제1 도어힌지와 상기 제2 도어힌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보관하는 힌지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미사용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의 관련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관 및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부품이 실장된 PCB기판, 및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PCB기판을 수납하는 PCB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는 상기 PCB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PCB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PCB기판을 수납하는 PCB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와 상기 PCB수용공간부는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기 PCB수용공간부보다 더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PCB수용부는,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케이스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상기 후면으로부터 제1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바닥면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상기 후면으로부터 제2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PCB수용공간부는 상기 제1 바닥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는 상기 제2 바닥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제1 깊이보다 더 작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어힌지 또는 상기 제2 도어힌지를 호환가능하게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고정리브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고정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도어힌지 또는 상기 제2 도어힌지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후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모두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어퍼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힌지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방향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로어 힌지가 되고, 상기 제2 도어힌지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제2 방향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로어 힌지가 된다.
또한, 상기 어퍼 힌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때 상기 어퍼 힌지의 노출된 외면을 덮는 제1 힌지커버와, 상기 어퍼 힌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때 상기 어퍼 힌지의 노출된 외면을 덮는 제2 힌지커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어퍼 힌지와 상기 제1 로어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때, 상기 제1 힌지커버가 상기 어퍼 힌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힌지커버는 상기 제2 로어 힌지와 함께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에 보관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어퍼 힌지와 상기 제2 로어 힌지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때, 상기 제2 힌지커버가 상기 어퍼 힌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힌지커버는 상기 제1 로어 힌지와 함께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에 보관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고정리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힌지커버 또는 상기 제2 힌지커버를 호환가능하게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의 관련 부품을 보관 및 유지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냉장고 자체에 설치하여, 리버서블 도어힌지의 분실 또는 파손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기존 냉장고에 적용되고 있는 PCB수용부의 일부를 힌지수용공간부로 활용하도록 하여 기존 제품에 대한 현저한 설계 변경 없이도 효과적으로 리버서블 도어힌지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비용 또는 설계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어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어퍼 힌지 및 힌지 커버의 분리 및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어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미들 힌지의 분리 및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어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로어 힌지의 분리 및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구비되는 PCB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PCB 수용부에 제2 로어 힌지가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PCB 수용부에 제2 힌지 커버가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PCB 수용부에 제2 로어 힌지와 제2 힌지 커버가 함께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PCB 수용부에 제1 로어 힌지와 제1 힌지 커버가 함께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실 도어(21) 및 냉동실 도어(22)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단면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로서 냉장실(R)과 냉동실(F)이 내부에 형성된 캐비닛(10)과, 냉장실(R) 및 냉동실(F)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구비한다.
냉장고 도어(20)는 냉장실(R)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F)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 도어(20)와 냉동실 도어(22)는 각각 개폐시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냉장실 도어핸들(211)과 냉동실 도어핸들(221)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의 회전방향 전환 시에 냉장실 도어핸들(211)과 냉동실 도어핸들(221)은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재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실 도어핸들(211)과 냉동실 도어핸들(221)은, 회전방향 전환 시에 좌측으로 이동되어 재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예시적으로 냉장실(R)이 냉동실(F) 위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1)가 도시되어 있지만, 냉동실(F)이 냉장실(R)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도시된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1)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캐비닛(10)은 냉장실(R)과 냉동실(F)을 구획하는 메인 배리어(17)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와, 냉장실(R)을 형성하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F)을 형성하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아우터 케이스(11)는 냉장고(1)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와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의 사이, 및 아우터 케이스(11)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사이에는 각각 발포성형 방식으로 형성되는 단열재(도 4의 19)가 채워질 수 있다.
냉장실(R)과 냉동실(F)은 전술한 메인 배리어(17)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하로 구획된 냉장실(R)과 냉동실(F)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14, 141, 142) 또는 서랍(15)으로 이루어진 수납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F)은 회전식 냉동실 도어(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회전식 냉동실 도어(31)는 냉동실(F)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냉동실(F)을 개폐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식 냉동실 도어(31)는 개폐시 회전방향이 전환되도록 리버스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31)의 하단 측은 로어 힌지(33)에 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냉동실 도어(31)의 상단 측은 미들 힌지(3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들 로어 힌지(33) 및 미들 힌지(32)의 위치 변경 또는 교체를 통해서 냉동실 도어(31)의 회전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냉동실 도어(31)의 회전방향 전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냉동실(F)의 내부에는 냉동실(F)의 후면을 형성하는 냉동실 리어 커버(도 4의 162)가 구비될 수 있다. 냉동실 리어 커버(16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 사이의 공간에는 냉동실 증발기(46)와 냉동실 팬/모터 조립체(49)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R)은 회전식 냉장실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는 냉장실(R)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냉장실(R)을 개폐한다. 냉동실 도어(31)와 마찬가지로 개폐시 회전방향이 전환되도록 리버스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21)의 상단 측은 어퍼 힌지(31)에 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냉장실 도어(21)의 하단 측은 미들 힌지(3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들 어퍼 힌지(31) 및 미들 힌지(32)의 위치 변경 또는 교체를 통해서 냉장실 도어(21)의 회전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의 회전방향 전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냉장실 도어(21)의 외측면에는 디스플레이(24)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는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온도 조절 등과 같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에는 도어 저장공간(212)을 형성하는 도어 수납부재(도 4의 2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어 수납부재(211)는 냉장실 도어(21)의 후면 즉, 냉장실(R)의 내측을 바라보는 면에서 냉장실(R)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어 수납 부재(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냉동실 증발기(46)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R)의 내부에는 냉장실(R)의 후면을 형성하고, 멀티 덕트(도 4의 161b)가 형성된 냉장실 리어 커버(161)가 구비될 수 있다. 냉장실 리어 커버(161)의 전면에는 멀티 덕트(161b)로부터 냉장실(R)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161a)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1)와, 압축기(4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42)와, 응축기(4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로서 모세관(capillary tube: 43, 44)과, 모세관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냉장실 증발기(45) 및 냉동실 증발기(46)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세관(43, 44)은 냉동실 증발기(46)로 유입될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모세관(43)과, 냉동실 증발기(46)로 유입될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모세관(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냉매를 냉장실(R)을 냉각하는 냉장실 증발기(45)로 안내하거나 냉매를 냉동실(F)을 냉각하는 냉동실 증발기(46)로 안내하는 전환 밸브(47)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전환 밸브(47)는 응축기(42)를 통과한 냉매를 제1 모세관(43)이나 제2 모세관(44)으로 선택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안내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장실 증발기(45)는 냉장실(R)의 뒤편으로서 아우터 케이스(11)와 냉장실 리어 커버(161) 사이의 공간 배치될 수 있으며, 냉장실 증발기(45)에 인접하게는 냉장실 증발기(45)에서 생성된 냉기의 송풍을 위한 냉장실 팬/모터 조립체(48)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냉동실 증발기(46)는 냉동실(F)의 뒤편으로서 아우터 케이스(11)와 냉동실 리어 커버(16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냉동실 증발기(46)에 인접하게는 냉동실 증발기(46)에서 생성된 냉기의 송풍을 위한 냉동실 팬/모터 조립체(49)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응축기(42), 전환 밸브(47), 모세관, 냉장실 증발기(45), 냉동실 증발기(46) 및 압축기(41)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사이클(40)을 구성한다.
냉매가 순환하는 폐쇄된 유체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들 냉매 사이클(40)의 구성물 들은 냉매 배관을 통해서 유체 연결된다
다만, 냉장실 증발기(45)와 냉동실 증발기(46)는 각각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내부에 구비되고, 그외 응축기(42), 모세관(43, 44) 및 압축기(41)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외부에 배치된다. 특히, 압축기(41)와 응축기(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스(11)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 사이로서 냉동실(F)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기계실(M)에 수용된다.
기계실(M)이 형성될 수 있도록 아우터 케이스(11)에 대향하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후면부의 하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R)의 내부에는 냉장실(R)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 온도센서(TS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냉동실(F)의 내부에는 냉동실(F)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 온도센서(TS2)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힌지(30)에 세부 구성 및 냉장고 도어(2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도어힌지(30)의 분리 및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냉장실 도어의 상단 측에 연결되는 어퍼 힌지(31) 및 힌지커버(34)의 분리 및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설치 상태에 냉장실 도어의 좌측 상단 측에 어퍼 힌지(3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때, 냉장실 도어는 개방 시에 상하방향(F-D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다른 한정이 없는 한 제1 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규정하고, 제2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규정하도록 한다.
도 6(a)에 도시된 초기 설치 상태에서 냉장실 도어의 개방 시 회전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즉 회전방향을 리버스하기 위해서는 냉장고(1) 본체와 냉장실 도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어 하네스(223)를 분리하고 힌지커버(34)를 분리하여야 한다.
힌지커버(34)는, 어퍼 힌지(31)의 노출된 외면을 덮도록 어퍼 힌지(31)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도어 하네스(223)가 연장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34)는, 냉장실 도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때 어퍼 힌지(31)에 결합되는 제1 힌지커버(34a)와, 냉장실 도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때 어퍼 힌지(31)에 결합되는 제2 힌지커버(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커버(34a)와 제2 힌지커버(34b)는 동시에 어퍼 힌지(31)에 결합될 수는 없으며, 택일적 그리고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6(a)에는 초기 상태에서 제1 힌지커버(34a)가 어퍼 힌지(31)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힌지커버(34a)는, 고정부커버(341a)의 후면에 형성된 체결후크(3411a)를 통해서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상단부(11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어 하네스(223)의 커넥터(2231)를 냉장고로부터 먼저 분리시킨 후에 제1 힌지커버(34a)의 체결후크(3411a)를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상단부(111)로부터 분리시키고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힌지커버(34a)가 분리되고 어퍼 힌지(3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커버(342a)에 자유단부 측에 형성되는 샤프트커버(343a)는 동시에 어퍼 힌지(31)의 힌지 샤프트(31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분리된 제1 힌지커버(34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B 수용부(50)에 형성된 힌지 수용공간부(515)로 수납될 수 있다.
제1 힌지커버(34a)가 분리되면 다음으로 어퍼 힌지(31)를 냉장고(1) 본체로부터 분리시킨다.
어퍼 힌지(31)의 고정부(311)는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상단부(111)의 좌측에 면접촉된 상태로 체결볼트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를 공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분리시키면 어퍼 힌지(31)는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7에는 냉장고(1)의 본체 및 냉장실 도어로부터 분리된 어퍼 힌지(3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 힌지(31)는 냉장실 도어의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리버서블 도어힌지로서 기능한다.
즉, 어퍼 힌지(31)는 냉장실 도어가 개방 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냉장실 도어가 개방 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냉장실 도어의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힌지(31)는 냉장실 도어가 개방 시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냉장실 도어의 상단 좌측을 힌지 샤프트(313)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 회전방향이 전환된 냉장실 도어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해서 어퍼 힌지(31)는 힌지 샤프트(313)를 지지하는 지지부(312)의 상면이 하면이 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뒤집힌 상태로 정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b)에는 이와 같이 지지부(312)의 상면과 하면이 뒤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뒤집힌 상태에서 힌지 샤프트(313)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힌지 샤프트(313)는 다시 하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도시된 공구(t)를 이용하여 지지부(312)에 재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힌지 샤프트(313)의 일단부(313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수나사부가 결합하는 지지부(312)의 결합홀에는 암사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힌지 샤프트(313)의 타단부(3132) 측에는 공구(t)가 형합하는 다면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퍼 힌지(31)의 정렬이 완료되면, 어퍼 힌지(31)는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상단부(111)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냉장고(1) 본체에 전술한 제1 체결볼트(b1)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즉,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상단부(111)의 우측에는 뒤집힌 상태의 어퍼 힌지(31)의 고정부(311)의 볼트홀(311h)에 대응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존 위치에서 사용되었던 제1 체결볼트(b1)를 볼트홀(311h)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제1 체결볼트(b1)를 조이는 방식으로 어퍼 힌지(31)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어퍼 힌지(31)의 체결 및 고정이 완료되면, 분리되어 있던 도어 하네스(223)의 커넥터(2231)를 다시 냉장실 도어에 연결하고, 제2 힌지커버(34b)를 어퍼 힌지(31) 및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상단부(111)에 결합시킨다. 제1 힌지커버(34a)와 동일하게 제2 힌지커버(34b)는 고정부커버(341b)에 형성된 체결후크(3411b)를 이용하여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상단부(111)의 우측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단순 삽입하고 샤프트커버(343b)를 힌지 샤프트(313) 측에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힌지커버(34b)는 어퍼 힌지(31)가 냉장실 도어의 개방 시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때만 전용으로 어퍼 힌지(3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미사용 상태에 있던 제2 힌지커버(34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B 수용부(50)에 형성된 힌지 수용공간부(515)에 보관되어 있던 상태였다. 제2 힌지커버(34b)의 수용 및 보관에 관한 내용은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냉장실 도어의 하단 및 냉동실 도어의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들 힌지(32)의 분리 및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힌지(32)는 상측의 냉장실 도어와 하측의 냉동실 도어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미들 힌지(32)의 지지부(322)는 냉장실 도어의 하단 및 냉동실 도어의 상단 사이로 연장된다. 이 때, 미들 힌지(32)의 지지부(322)의 단부 측에 배치되는 힌지 샤프트(323)는 지지부(322)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연장되어 있다.
도 9(a)를 기준으로 힌지 샤프트(323) 중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냉장실 도어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냉동실 도어의 상단에 연결된다.
미들 힌지(32)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냉장실 도어가 미들 힌지(32)로부터 먼저 분리되어야 한다.
냉장실 도어가 분리된 상태에서, 메인 배리어(17)의 전면부(171)에 면접촉된 상태로 제2 체결볼트(b2)로 고정되어 있던 미들 힌지(32)의 고정부(321)는, 제2 체결볼트(b2)를 분리하면 메인 배리어(17)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9(b)에는 메인 배리어(17) 및 냉동실 도어로부터 분리된 미들 힌지(32)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어퍼 힌지(31)와 동일하게 본 실시예에서 미들 힌지(32)는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의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리버서블 도어힌지로서 기능한다.
즉, 미들 힌지(32)는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가 개방 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냉장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가 개방 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냉장실 도어의 하단 및 냉동실 도어의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이 전환된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를 지지하기 위해서 미들 힌지(32)는 지지부(322)의 상면이 하면이 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뒤집힌 상태로 정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들 힌지(32)의 정렬이 완료되면, 미들 힌지(32)는 메인 배리어(17)의 전면부(171)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메인 배리어(17)에 전술한 제2 체결볼트(b2)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즉, 메인 배리어(17)의 전면부(171)의 우측에는 뒤집힌 상태의 미들 힌지(32)의 고정부(321)의 볼트홀(321h)에 대응되는 결합홀(172)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존 위치에서 사용되었던 제2 체결볼트(b2)를 결합홀(172)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단순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냉동실 도어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어 힌지(33)의 분리 및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어 힌지(33)는, 냉동실 도어의 개방 시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로어 힌지(33a)와, 냉동실 도어의 개방 시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로어 힌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어 힌지(33a)와 제2 로어 힌지(33b) 동시에 냉동실 도어에 결합될 수는 없으며, 택일적 그리고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10(a)에는 초기 상태에서 제1 로어 힌지(33a)가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하단부(112) 좌측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로어 힌지(33a)는, 고정부(331a)가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하단부(112) 좌측에 면접촉된 상태로 볼트홀(331ah)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3 체결볼트(b3)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체결볼트(b3)를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하단부(112)로부터 분리하면 제1 로어 힌지(33a)는 용이하게 아우터 케이스(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제1 로어 힌지(33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B 수용부(50)에 형성된 힌지 수용공간부(515)로 수납될 수 있다.
제1 로어 힌지(33a)의 분리가 완료되면, 제2 로어 힌지(33b)를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하단부(112) 우측에 결합시킨다.
제1 로어 힌지(33a)와 동일하게 제2 로어 힌지(33b)는 전술한 제3 체결볼트(b3)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즉, 아우터 케이스(11)의 전면 하단부(112) 우측에는 제2 로어 힌지(33b)의 고정부(331b)의 볼트홀(331bh)에 대응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존 위치에서 사용되었던 제3 체결볼트(b3)를 결합홀(미도시)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제2 로어 힌지(33b)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2 로어 힌지(33b)의 고정이 완료되면 제2 로어 힌지(33b)의 힌지 샤프트(333b)에 냉동실 도어(22)의 하단 좌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동실 도어(22)는 개방시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구비되는 PCB 수용부(50)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PCB 수용부(50)에 구비되는 힌지 수용공간부(515)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사용중인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을 보관 및 수납할 수 있는 수용부를 냉장고 자체에 설치하여 이들의 분실 또는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도 11에 도시된 힌지 수용공간부(515)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수용공간부(515)는 냉장고의 아우터 케이스(11)의 후면(113)에 배치되는 PCB 수용부(5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아우터 케이스(11)의 후면(113) 상단 좌측에 PCB 수용부(5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PCB 수용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PCB 수용부(50)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본체(51)를 구비한다. 케이스본체(51)는 아우터 케이스(11)의 후면(113)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아우터 케이스(11)의 후면(113)에 부착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가 별개로 제조되어 아우터 케이스(11)의 후면(113)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51)가 별개로 제조되어 아우터 케이스(11)의 후면(113)에 장착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케이스본체(51)의 후면(113)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후면에는 PCB 커버(5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PCB 커버(52)는 복수의 체결볼트(미도시)를 통해 케이스본체(51)의 본체테두리(5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PCB 커버(52)에는 복수의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부 볼트홀(521) 및 하부 볼트홀(522)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본체테두리(511)에는 상부 체결부(511h1)와 하부 체결부(511h2)가 형성된다.
박스 형상의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는 아우터 케이스(11)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바닥면이 구비된다.
복수의 바닥면은, 전술한 PCB기판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PCB수용공간부(512)를 구성하는 제1 바닥면(5121)을 포함한다.
제1 바닥면(5121)에는 PCB기판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닥면(5121)은 후술하는 제2 바닥면(5151) 및 제3 바닥면에 비해서 더 깊은 제1 깊이(d1)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깊이(d1)는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후면으로부터 냉장고의 전후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깊이로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바닥면은, 전술한 미사용중인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을 보관하기 위한 힌지 수용공간부(515) 및 하네스 고정공간부(514)를 형성하는 제2 바닥면(5151)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2 바닥면(5151)은 중력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제1 바닥면(512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바닥면(5151)은 제1 바닥면(5121)과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바닥면(5151) 상에 배치되는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과 PCB기판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바닥면(5121)에는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리브와,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구조물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닥면(5151)은 전술한 제1 바닥면(5121)에 비해서 더 작은 제2 깊이(d2)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바닥면은 전술한 하네스가 아우터 케이스(11)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하네스 인출공간부(513)를 형성하는 제3 바닥면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제3 바닥면은 제1 바닥면(5121)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본체테두리(511)의 하부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통로(511c)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통로(511c)는 PCB 수용부(5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열을 외부로 발산하고 PCB기판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확대도로서 힌지 수용공간부(515)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리브(53)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케이스 본체에는 미사용중인 리버서블 도어힌지 등을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리브(53)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복수의 고정리브(53)는 제1 로어 힌지(33a) 또는 제2 로어 힌지(33b)를 호환가능하게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제1 리브(531), 제2 리브(532), 제3 리브(533) 및 제4 리브(534)를 포함한다.
제1 리브(531)와 제2 리브(532)는 각각 제1 로어 힌지(33a) 또는 제2 로어 힌지(33b)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제1 리브(531)와 제2 리브(532)는 각각 제2 바닥면(515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바닥면(51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531)와 제2 리브(532)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리브(531)는 제1 로어 힌지(33a)의 지지부(332a)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리브(532)는 제2 로어 힌지(33b)의 지지부(332b)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리브(533)는, 제1 로어 힌지(33a)와 제2 로어 힌지(33b)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제3 리브(533)는 제2 바닥면(515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바닥면(51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리브(533)의 자유단부에는 체결후크(5331)가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후크(5331)는 제1 로어 힌지(33a)와 제2 로어 힌지(33b)의 지지부(332b)에 형성된 노치(3321b)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후크(5331)에 의해서, 제1 로어 힌지(33a)와 제2 로어 힌지(33b)의 전후방향 이동 및 이탈이 제한될 수 있으며, 제1 로어 힌지(33a)와 제2 로어 힌지(33b)가 탈착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제4 리브(534)는 제1 로어 힌지(33a)와 제2 로어 힌지(33b)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제4 리브(534)는, 본체테두리(511)와 제2 바닥면(5151)을 연결하는 하부 벽면부(511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하부 벽면부(511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4 리브(53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로어 힌지(33a)의 고정부(331a)와 제2 로어 힌지(33b)의 고정부(331b)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고정리브(53)는 제1 힌지커버(34a) 또는 제2 힌지커버(34b)를 호환가능하게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제5 리브(535), 제6 리브(536), 제7 리브(537) 및 제8 리브(538)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이들 제5 리브(535), 제6 리브(536), 제7 리브(537) 및 제8 리브(538)는 전술한 제1 리브(531) 내지 제4 리브(534)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5 리브(535)는 제1 힌지커버(34a) 또는 제2 힌지커버(34b)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제5 리브(535)는 제2 바닥면(515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바닥면(51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리브(535)는 하부 벽면부(511a)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힌지커버(34a)의 고정부커버(341a) 또는 제2 힌지커버(34b)의 고정부커버(341b)의 일측면에 면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6 리브(536)는 제2 바닥면(515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바닥면(51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6 리브(536)는 제5 리브(535)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6 리브(536)는 각각 제1 힌지커버(34a)의 고정부커버(341a) 또는 제2 힌지커버(34b)의 고정부커버(341b)의 타측면에 면접촉하여 제1 힌지커버(34a) 또는 제2 힌지커버(34b)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또한, 한 쌍의 제6 리브(536) 사이로 제1 힌지커버(34a)의 지지부커버(342a)와 제2 힌지커버(34b)의 지지부커버(342b)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6 리브(536)는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7 리브(537)는 제1 힌지커버(34a)의 지지부커버(342a) 또는 제2 힌지커버(34b)의 지지부커버(342b)에 접촉하여 제1 힌지커버(34a) 또는 제2 힌지커버(34b)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제7 리브(537)는 제2 바닥면(515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바닥면(51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7 리브(537)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7 리브(537) 사이로 제1 힌지커버(34a)의 지지부커버(342a) 또는 제2 힌지커버(34b)의 지지부커버(342b)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7 리브(537)는 각각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제7 리브(537)의 각각의 자유단부에는 체결후크(5371)가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후크(5371)는 제1 힌지커버(34a)의 지지부커버(342a) 또는 제2 힌지커버(34b)의 지지부커버(342b)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후크(5371)에 의해서, 제1 힌지커버(34a)와 제2 힌지커버(34b)의 전후방향 이동 및 이탈이 제한될 수 있으며, 제1 힌지커버(34a)와 제2 힌지커버(34b)가 탈착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제7 리브(537)는 각각 체결후크(5371)의 작용시 손상을 방지하고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한 보강리브(5372)를 구비할 수 있다.
제8 리브(538)는 제2 바닥면(515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바닥면(51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8 리브(538)는 하부 벽면부(511a)에 인접한 위치에 하부 벽면부(511a)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8 리브(538) 중에 좌측에 형성된 것은 제1 힌지커버(34a)의 지지부커버(342a)에 형성된 관통홀(3421a)에 삽입되며, 우측에 형성된 것은 제2 힌지커버(34b)의 지지부커버(342b)에 형성된 관통홀(3421b)에 삽입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로어 힌지(33b)와 제2 힌지커버(34b)가 힌지 수용공간부(515)에 수납되는 과정 및 수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로어 힌지(33b)는 지지부(332b)가 제2 바닥면(5151)에 밀착되는 형태로 그리고 고정부(331b)가 제2 바닥면(5151)과 대략 수직이 되는 형태로 수납된다.
제2 로어 힌지(33b)를 수납하기 위해, 먼저 노치(3321b)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부(332b)의 측면부를 제4 리브(534)와 제2 바닥면(5151) 사이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지지부(332b)의 상측을 강제로 밀어 넣어 지지부(332b)의 노치(3321b)에 제3 리브(533)의 체결후크(5331)가 걸림을 형성한다.
노치(3321b)에 제3 리브(533)의 체결후크(5331)가 걸림이 형성되면, 제3 리브(533)와 제4 리브(534)에 의해서 제2 로어 힌지(33b)의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상태로 제2 로어 힌지(33b)의 수납이 완료되게 된다.
이 때, 제1 리브(531)와 제2 리브(532)는 직접적으로 제2 로어 힌지(33b)에 밀착되는 상태는 아니지만, 제2 로어 힌지(33b)의 지지부(332b)는 제2 리브(532)에 의해서 우측방향 이동 및 이탈이 차단되는 상태가 되고 제2 로어 힌지(33b)의 고정부(331b)는 제1 리브(531)에 의해서 좌측방향 이동 및 이탈이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로어 힌지(33b)와 함께 수납되는 제2 힌지커버(34b)는 지지부커버(342b)가 제2 바닥면(5151)에 나란하게 제2 바닥면(5151)에 밀착되는 형태로 그리고 고정부커버(341b)가 제2 바닥면(5151)과 대략 수직이 되는 형태로 수납된다.
제2 힌지커버(34b)를 수납하기 위해, 제2 로어 힌지(33b)와는 달리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전방을 항해 수평이동된다.
즉, 제5 리브(535)와 제6 리브(536) 사이로 고정부커버(341b)를 삽입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제7 리브(537) 사이로 지지부커버(342b)가 삽입된다. 이 때, 지지부커버(342b)가 삽입되면서 한 쌍의 제7 리브(537)에 형성된 체결후크(5371)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와 동시에 지지부커버(342b)에 형성된 관통홀(3421b)로 한 쌍의 제8 리브(538) 중에서 우측 리브가 삽입된다.
지지부커버(342b)가 제2 바닥면(5151)에 정확히 밀착될 때까지 삽입되면, 그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변형되었던 제7 리브(537)의 체결후크(5371)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체결후크(5371)와 제2 힌지커버(34b)의 지지부커버(342b) 사이에 걸림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힌지커버(34b)의 수납이 완료되면, 제2 힌지커버(34b)의 고정부커버(341b)는 제5 리브(535) 및 제6 리브(536)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태가 되고, 지지부커버(342b)의 상부는 한 쌍의 제7 리브(537)에 의해서 지지되고 지지부커버(342b)의 하부는 제8 리브(538)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태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1의 단면도로서, 힌지 수용공간부(515)와 PCB수용공간부(512)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 수용공간부(515)는 PCB수용공간부(512)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PCB수용공간부(512)와 상하방향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또한, PCB수용공간부(512)는 제1 깊이(d1)를 갖는 제1 바닥면(5121) 상에 형성되며, 힌지 수용공간부(515)는 제1 깊이(d1)보다 더 작은 제2 깊이(d2)를 갖는 제2 바닥면(5151)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2 로어 힌지(33b)와 제2 힌지커버(34b)의 수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 로어 힌지(33b)와 제2 힌지커버(34b)가 PCB기판에 접촉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힌지 수용공간부(515)는 PCB수용공간부(512)의 하부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 로어 힌지(33b)와 제2 힌지커버(34b)의 수납 및 분리 과정에서 PCB기판과 접촉이 발생할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7에는 힌지 수용공간부(515)에 제1 로어 힌지(33a)와 제1 힌지 커버가 함께 수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로어 힌지(33a)와 제1 힌지 커버는 각각 전술한 제2 로어 힌지(33b)와 제2 힌지커버(34b)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납될 수 있다.
다만, 제2 로어 힌지(33b)와 비교하여 제1 로어 힌지(33a)는, 노치(3321a)를 기준으로 고정부(331a)와 힌지 샤프트(333a)가 서로 위치가 바뀐 좌우대칭 상태로 형성되기 된다. 따라서 제2 로어 힌지(33b)와 동일하게 제1 로어 힌지(33a)는 지지부(332a)가 제2 바닥면(5151)에 밀착되는 형태로 그리고 고정부(331a)가 제2 바닥면(5151)과 대략 수직이 되는 형태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커버(34b)와 비교하여 제1 힌지커버(34a)는, 지지부커버(342a)가 고정부커버(341a)와 접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대칭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힌지커버(34b)와 동일하게, 제1 힌지커버(34a)는 지지부커버(342a)가 제2 바닥면(5151)에 나란하게 제2 바닥면(5151)에 밀착되는 형태로 그리고 고정부커버(341a)가 제2 바닥면(5151)과 대략 수직이 되는 형태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냉장고 10: 캐비닛
11: 아우터 케이스 20: 냉장고 도어
21: 냉장실 도어 22: 냉동실 도어
30: 도어힌지 31: 어퍼 힌지
32: 미들 힌지 33: 로어 힌지
34: 힌지커버 50: PCB 수용부
512: PCB수용공간부 515: 힌지 수용공간부
52: PCB 커버 53: 고정리브
R: 냉장실 F: 냉동실

Claims (13)

  1.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하고,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힌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는,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 상기 도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제1 도어힌지와,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제2 도어힌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는 상기 제1 도어힌지와 상기 제2 도어힌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보관하는 힌지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2. 제1 항에서,
    전자부품이 실장된 PCB기판; 및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PCB기판을 수납하는 PCB수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는 상기 PCB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장고.
  3. 제2 항에서,
    상기 PCB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PCB기판을 수납하는 PCB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와 상기 PCB수용공간부는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는 냉장고.
  4. 제3 항에서,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기 PCB수용공간부 보다 더 하측에 형성되는 냉장고.
  5. 제3 항에서,
    상기 PCB수용부는,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케이스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상기 후면으로부터 제1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바닥면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상기 후면으로부터 제2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PCB수용공간부는 상기 제1 바닥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는 상기 제2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냉장고.
  6. 제5 항에서,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제1 깊이보다 더 작게 되는 냉장고.
  7. 제5 항에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어힌지 또는 상기 제2 도어힌지를 호환가능하게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고정리브를 구비하는 냉장고.
  8. 제7 항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도어힌지 또는 상기 제2 도어힌지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후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모두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어퍼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힌지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방향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로어 힌지가 되고,
    상기 제2 도어힌지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제2 방향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로어 힌지가 되는 냉장고.
  10. 제9 항에서,
    상기 어퍼 힌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때 상기 어퍼 힌지의 노출된 외면을 덮는 제1 힌지커버와, 상기 어퍼 힌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때 상기 어퍼 힌지의 노출된 외면을 덮는 제2 힌지커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 항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어퍼 힌지와 상기 제1 로어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때,
    상기 제1 힌지커버가 상기 어퍼 힌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힌지커버는 상기 제2 로어 힌지와 함께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에 보관되는 냉장고.
  12. 제10 항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어퍼 힌지와 상기 제2 로어 힌지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때,
    상기 제2 힌지커버가 상기 어퍼 힌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힌지커버는 상기 제1 로어 힌지와 함께 상기 힌지 수용공간부에 보관되는 냉장고.
  13. 제11 항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리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힌지커버 또는 상기 제2 힌지커버를 호환가능하게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기능하는 냉장고.
KR1020210004221A 2021-01-12 2021-01-12 냉장고 KR20220102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21A KR20220102031A (ko) 2021-01-12 2021-01-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21A KR20220102031A (ko) 2021-01-12 2021-01-1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31A true KR20220102031A (ko) 2022-07-19

Family

ID=8260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21A KR20220102031A (ko) 2021-01-12 2021-01-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0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567A (ko) 1999-12-30 2001-07-06 구자홍 냉장고용 리버서블 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567A (ko) 1999-12-30 2001-07-06 구자홍 냉장고용 리버서블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9401B1 (en) Refrigerator
US8376483B2 (en) Rotatable shelf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0479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ice machine thereof
US20180164017A1 (en) Refrigerator
US20150135760A1 (en) Refrigerator
US10852050B2 (en) Refrigerator
CN101191690A (zh) 冰箱
KR102567530B1 (ko) 냉장고
WO2009017286A1 (en) Refrigerator with evaporator installed in ice-making room
US20210239382A1 (en) Refrigerator
KR10067403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조절장치
JPH11311476A (ja) 冷蔵庫
BRPI0915379B1 (pt) aparelho refrigerador, condensador, e, sistema de resfriamento para um aparelho refrigerador.
KR101283190B1 (ko) 도어에 증발기가 설치된 냉장고
JP6678769B2 (ja) 冷蔵庫
KR20220102031A (ko) 냉장고
US20190331396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JP3989143B2 (ja) 冷蔵庫
JP2002115963A (ja) 冷蔵庫
US20170292771A1 (en) Refrigerator
JP5514037B2 (ja) 冷蔵庫
JP3653426B2 (ja) 冷蔵庫
JP2021101136A (ja) 冷蔵庫
US20230272956A1 (en) Refrigerator
KR2022004988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