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461A - 금속재료의 절삭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금속재료의 절삭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461A
KR20220101461A KR1020210003511A KR20210003511A KR20220101461A KR 20220101461 A KR20220101461 A KR 20220101461A KR 1020210003511 A KR1020210003511 A KR 1020210003511A KR 20210003511 A KR20210003511 A KR 20210003511A KR 20220101461 A KR20220101461 A KR 20220101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waste
metal cutting
steam
convey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21000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1461A/ko
Publication of KR20220101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 B65G19/16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the impellers being elements having an area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at of the conduit cross-section
    • B65G19/165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the impellers being elements having an area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at of the conduit cross-section the impellers being endless helical sp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5/00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가공 등의 과정에서 금속가공 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되는 금속 절삭폐기재의 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로서,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제(cutting fluid), 도료, 방수제 등의 각종 부착물을 단시간에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가열 분해해 없앨 수 있고 산화를 막아, 고제품 비율(yield by weight)로 처리능력이 높고, 자원 절약성,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컴팩트하고 안전성, 취급성, 공간절약성이 뛰어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금속재료의 절삭폐기물 처리장치{Cutting waste treatment equipment for metal materials}
본 발명은 절삭가공 등의 과정에서 금속가공 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되는 금속 절삭폐기재의 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로서,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제(cutting fluid), 도료, 방수제 등의 각종 부착물을 단시간에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가열 분해해 없앨 수 있고 산화를 막아, 고제품 비율(yield by weight)로 처리능력이 높고, 자원 절약성,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컴팩트하고 안전성, 취급성, 공간절약성이 뛰어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종래, 금속 가공으로 발생하는 금속 절삭폐기재는 융해로로 용융 재생되어 각 금속 자원으로서 재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절삭 가공이나 연삭가공 등의 금속 가공시 발생하는 금속 절삭폐기재의 표면에는 절삭유제(cutting fluid)나 금속 가공시에 발생한 금속의 미분, 바이트 쓰레기 등이 부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금속 절삭폐기재를 지금으로 해서 재생하는 경우에는 그 전 공정으로서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제(cutting fluid)를 건조시켜 없앨 필요가 있다. 그 건조 방법으로서 400℃~600℃의 열풍에 따라 절삭유제(cutting fluid)를 증발시키는 단순한 건조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건조 방법에서는 절삭유제(cutting fluid)의 유분(기름기)는 완전히 건조 시키지 않고, 절삭유제(cutting fluid) 유래 유분(기름기)나 탄소 성분이 금속 절삭폐기재표면에 잔류해, 금속 절삭폐기재를 용해로에 투입했을 때에, 흑연이나 발화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건조 중 금속 절삭폐기재를 교반하는 것으로써 발생하는 분진이나 금속 절삭폐기재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금속 미분이나 바이트 쓰레기가 원인에서 분진 폭발(dust explosion)을 일으키는 위험성도 있었다.
그래서, 이들의 금속 절삭폐기재를 고효율로 재이용할 수 있는 환경 부하가 적은 건조 방법 및 건조 장치(drying equipment)가 요구되고 있었다.
일 예로 절삭유, 금속 절삭폐기재, 바이트 쓰레기가 부착한 금속 절삭폐기재를 건조로내에서 다공질재나, 고체산촉매, 고체 염기 촉매중 어느쪽이든 1이상을 함유하는 건조 처리재와 혼합해, 건조 처리재에서 절삭유제(cutting fluid)에 유래하는 유분(기름기)를 건조시키는 금속 절삭폐기재의 건조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해당 종래 기술은 금속 절삭폐기재의 건조 방법은 절삭유제(cutting fluid)가 부착한 금속 절삭폐기재과 건조 처리재를 건조로내에서 혼합해,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제(cutting fluid)를 건조, 접촉 분해(catalytic cracking) 하는 것으로써, 건조 후금속 절삭폐기재에서 잔류 탄소(carbon residue)가 현저하게 적고, 금속 절삭폐기재를 융해로에 투입했을 때의 흑연이나 발화의 발생을 막을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건조 후금속 절삭폐기재의 산화도가 낮게, 금속의 재생 제품 비율(yield by weight)이 뛰어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건조 처리재의 공급량을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어, 또, 건조 끝난 금속 절삭폐기재과 건조 처리재를 완전히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건조 처리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한 제어로 각종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제(cutting fluid), 도료, 방수제 등의 각종 부착물을 단시간에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가열 분해해 없앨 수 있어 고제품 비율(yield by weight)로 자원 절약성,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컴팩트하고 안전성, 취급성, 공간절약성이 뛰어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발명은 상기 요망에 응하는 것이며,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제(cutting fluid), 도료, 방수제 등의 각종 부착물을 단시간에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가열 분해해 없앨 수 있고 산화를 막아, 고제품 비율(yield by weight)로 처리능력이 높고, 자원 절약성,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컴팩트하고 안전성, 취급성, 공간절약성이 뛰어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는 금속 절삭폐기재의 부착물을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로 가열 분해하는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 이고,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내에 횡가 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와 상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상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와 상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하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배출부와 상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에 상기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상기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를 구비해 상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가, 상기 가열로에 관설 된 통 모양의 반송로와 가스 도통로를 가져 상기 반송로에 안 꽂아진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상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와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하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배출부와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에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를 가지는 것으로,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금속 절삭폐기재가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에서 반송되어 금속 절삭폐기재 배출부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에,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제(cutting fluid), 도료, 방수제 등의 각종 부착물을, 증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에 의해서 단시간에 가열 분해해 없앨 수 있어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난다.
또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교반 날개가 가스 도통로를 가지는 것으로,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가 가스 도통로를 통과해 반송로의 구석구석까지 널리 퍼져, 금속 절삭폐기재과 확실히 접촉해 부착물을 가열 분해할 수 있어 가열 분해의 효율성,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난다.
그리고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교반 날개가 가스 도통로를 가지는 것으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부착물이 가열 분해되어 발생하는 분해 가스를 가스 도통로를 따라서 매끄럽게 이동시켜 반송로로부터 배출할 수 있어 분해 가스의 배출성이 뛰어난다.
그리고 건조 처리재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만으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부착물을 가열 분해해 제거할 수 있어 자원 절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금속 절삭폐기재에 건조 처리재 등이 부착하는 것이 없고, 건조 처리재 등을 분리하는 기구나 공정이 불필요하고, 부착물이 없는 금속 절삭폐기재를 얻을 수 있어 또 산화에 의한 열화도 막을 수 있기 위해, 고제품 비율(yield by weight)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재생성(recycling)이 뛰어난다.
또한 교반날개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반송로내의 금속 절삭폐기재의 체류 시간을 컨트롤(control)할 수 있으므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크기, 형상, 부피 비중 혹은 부착물의 종류 등에 따르고, 필요한 체류 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써, 금속 절삭폐기재의 부착물을 확실히 가열 분해할 수 있어 조작성, 범용성, 처리 효율성이 뛰어난다.
여기서,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가 스크레퍼(scraper) 컨베이어나 스크루(screw) 컨베이어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다량의 금속 절삭폐기재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장치의 자동화가 용이하고 조작성, 작업 효율성이 뛰어난다. 즉,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에는 셔터(photographic shutter)식의 계량 댐퍼(damper) 등을 구비해도 무관하다.
도 1 중, 도면부호 1은 알루미늄(aluminium), 아연, 구리, 철 등 금속이나 놋쇠, 알루미늄(aluminium), 스테인리스(stainless) 등(stainless steel)의 합금의 가공시 혹은 이들의 금속제품의 폐기시 발생하는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나 연삭유 등의 절삭유제(cutting fluid), 도료, 방수제 등의 각종 부착물의 가열 분해에 이용되는 실시 형태 1에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이다.
또한 도면부호 3은 가열로 2내에 횡가 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 1의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이며, 도면부호 4 a, 4 b는 상하2단에 배설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 3의 반송로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5는 상단옆의 반송로 4 a의 상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 1의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이고, 도면부호 5 a는 반송로 4 a와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 5를 접속하는 공급관이며, 도면부호 6은 하단옆의 반송로 4 b의 하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 1의 금속 절삭폐기재 배출부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7은 보일러(boiler) 등에 따라 발생하는 건조 포화 증기(dry saturated steam)를 가열해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를 발생시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 3에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를 공급하는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 1의 증기 공급부이다.
도면부호 8은 버너(burner)나 전기 히터(electric heater) 등을 이용해 열풍을 발생시켜 블로어로 가열로 2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 3의 반송로 4 a, 4 b와의 사이 열풍을 불어오는 것으로 반송로 4 a, 4 b를 외부로부터 가열하는 열풍 발생기이다.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 5는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금속 절삭폐기재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 5가 스크레퍼(scraper) 컨베이어나 스크루(screw) 컨베이어 등을 구비하는 경우는 다량의 금속 절삭폐기재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장치의 자동화가 용이하고 조작성, 작업 효율성이 뛰어난다. 또,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 5에 셔터(photographic shutter)식의 계량 댐퍼(damper) 등을 구비해도 무관하다.
즉,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 5의 전후에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등을 설치했을 경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 3의 반송로 4 a, 4 b내의 기밀성을 올려 산소 농도(oxygen concentration)를 제어할 수 있어 금속 절삭폐기재의 산화를 막을 수 있다.
또, 금속 절삭폐기재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해서, 금속 절삭폐기재 파단이나 절단 등을 실시하는 전단식(1축전단 파쇄기 등 )이나 충격식(해머 분쇄기(hammer crusher) 등 )의 전처리 장치(pre-treatment equipment)를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 3의 상류측에 설치했을 경우, 금속 절삭폐기재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어 가열 분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풍 발생기 8으로 가열로 2로 반송로 4 a, 4 b와의 사이 열풍을 불어오는 것으로, 반송로 4 a, 4 b를 외부로부터 가열할 수 있어 반송로 4 a, 4 b내부의 온도 저하를 막아 부착물을 단시간에 가열 분해할 수 있어 효율성이 뛰어난다.
도 2(a)는 실시 형태 1의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의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를 나타내는 요부단면 모식 정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A-A선 실시 단면 측면도이다.
도 2(a) 중 도면부호 11은 상단의 반송로 4 a의 하류측의 저면측과 하단의 반송로 4 b의 상류측의 상면측을 연통시키는 연통부이고, 도면부호 12 a, 12 b는 반송로 4 a, 4 b에 각각 안 꽂아진 교반 날개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13 a, 13 b는 교반 날개 12 a, 12 b의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이고 도면부호 14 a, 14 b는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 13 a, 13 b의 중심부에 형성된 가스 도통로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15 a, 15 b는 상단의 교반날개 12 a의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 13 a의 긴 방향(longer direction)의 양단부에 배설된 축지부이고 도면부호 15 c, 15 d는 하단의 교반날개 12 b의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 13 b의 긴 방향(longer direction)의 양단부에 배설된 축지부이다.
도면부호 19 a, 19 b는 상단의 교반날개 12 a의 축지부 15 b 및 하단의 교반날개 12 b의 축지부 15 d에 연결된 구동 모터(drive motor)이다.
도 2 중, 16은 각각의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 13 a, 13 b의 내주측을 90도 간격에서 축방향에 고정하는 4개소의 고정부, 17은 증기 공급부 7(도 1 참조)으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 3의 반송로 4 a, 4 b를 접속하는 증기 공급관, 18은 증기 공급관 17으로 접속되어 반송로 4 a, 4 b의 긴 방향(longer direction)에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증기 분사구이다.
교반날개 12 a, 12 b의 고정부 16은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 13 a, 13 b의 내주측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좋지만, 각강이나 환강 등의 봉재 혹은 각파이프나 환파이프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고정부 16이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 13 a, 13 b의 내주측을 단으로부터 단까지 축방향에 관통해 고정하는 것으로써,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고정부 16의 수는 3개 내지 8개로 했다. 고정부 16의 수가 3개 보다 적게 되는 것에 따라, 강성이 저하되어 교반날개 12 a, 12 b가 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8개 보다 많아지는 것에 따라, 고정부 16과 고정부 16과의 간격이 좁아져, 고정부 16으로 둘러싸인 가스 도통로 14 a, 14 b를 증기나 분해 가스가 통과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상단과 하단의 반송로 4 a, 4 b의 내경은 같아도 차이가 나도 좋고, 각각의 반송로 4 a, 4 b의 내경에 따르고, 교반날개 12 a, 12 b의 외경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상단과 하단의 교반날개 12 a, 12 b의 날개 13 a, 13 b 피치나 회전수도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고, 적당, 선택할 수 있다.
반송로 4 a, 4 b의 긴 방향(longer direction)에 따라서 복수의 증기 분사구 18을 설치하는 것으로, 반송로 4 a, 4 b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효율적으로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를 널리 퍼지게 할 수 있어 금속 절삭폐기재과의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의 공급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난다. 또, 증기 분사구 18의 1개소당 증기압력을 내려 효율적으로 증기를 공급할 수 있어 증기가 지나치게 공급되어 숏패스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난다. 게다가 증기 분사구 18으로부터 분사되는 증기압력을 내리는 것으로, 분진 폭발(dust explosion)의 위험성이 있는 알루미늄 등(aluminium)의 미분의 비산을 막을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난다.
즉, 반송로 4 a, 4 b의 둘레의 벽에 구멍을 뚫어 증기 분사구 18을 형성해, 반송로 4 a, 4 b의 둘레의 벽의 외주면측에서 증기 공급관 17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써, 반송로 4 a, 4 b의 내부에 돌기물이 없고, 교반날개 12 a, 12 b와의 간섭을 막을 수 있어 교반날개 12 a, 12 b와 반송로 4 a, 4 b의 내주면과의 틈새를 작게 해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의 숏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의 증기 공급부 7으로부터 공급되는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는 도 2의 증기 공급관 17을 통해 각각의 증기 분사구 18으로부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 3의 반송로 4 a, 4 b의 내부에 분사된다. 또, 도 1의 열풍 발생기 8으로 발생한 300℃~650℃의 열풍은 도 2의 가열로 2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 3의 반송로 4 a, 4 b와의 사이 불어오는 것으로 반송로 4 a, 4 b를 외부로부터 가열한다. 즉, 열풍 발생기 8을 이용하는 대신에, 배관 가열?보온용 재킷(book jacket) 히터 등(electron tube heater)을 이용해 반송로 4 a, 4 b를 가열해도 무관하다.
도 2에 있어서 구동 모터(drive motor) 19 a로 교반날개 12 a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금속 절삭폐기재는 상단의 반송로 4 a에 따라서 하류측(도 2(a)의 우측에서 좌측)에 반송되어 연통부 11을 통해 하단의 반송로 4 b의 상류측에 낙하한다. 구동 모터(drive motor) 19 b로 교반날개 12 b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금속 절삭폐기재는 하단의 반송로 4 b에 따라서 하류측(도 2(a)의 좌측에서 우측)에 반송된다. 금속 절삭폐기재가 반송로 4 a, 4 b를 통과하는 동안에, 증기 분사구 18으로부터 분사되는 100℃~200℃의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150℃~600℃의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에 따라,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수분이 증발해, 절삭유제(cutting fluid), 도료, 방수제 등의 부착물이 가열 분해되어 제거된다.
도 1에 있어서 배기가스 배출부 9에는 블로어(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고 있어 부착물의 가열 분해에 의해서 반송로 4 a, 4 b의 내부에서 발생한 분해 가스나 증기는 흡인되어 교반 날개 12 a, 12 b의 가스 도통로 14 a, 14 b를 통해 배기가스 배출부 9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분해 가스는 열교환기(heat exchanger)로 냉각한 후, 습식 스크러버(wet scrubber)로 포집하는 것으로써, 미연가스(unburned gas) 폭발이나 분해 가스에 동반해 배출되는 알루미늄 등(aluminium)의 미분에 의한 분진 폭발(dust explosion)을 막을 수 있다. 이 때, 분해 가스를 냉각해 얻을 수 있는 유분(기름기)와 수분은 에멀션화(emulsion) 해 연료로서 재이용할 수도 있다. 즉, 부착물의 가열 분해에 의해서 발생하는 분해 가스의 안전한 처리, 탈취 등의 목적으로, 연소 처리해도 좋고, 한층 더 그 배열을 열풍 발생기 8으로 이용해도 무관하다.
우선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상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와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하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배출부와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에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를 가지는 것으로,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금속 절삭폐기재가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에서 반송되어 금속 절삭폐기재 배출부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에, 금속 절삭폐기재에 부착한 절삭유제(cutting fluid), 도료, 방수제 등의 각종 부착물을, 증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에 의해서 단시간에 가열 분해해 없앨 수 있어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난다.
그리고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가, 가열로에 관설 된 통 모양의 반송로와 가스 도통로를 가져 반송로에 안 꽂아진 교반 날개를 가지는 것으로, 교반 날개에서 금속 절삭폐기재를 반송하면서, 증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와 금속 절삭폐기재를 확실히 접촉시키고, 금속 절삭폐기재의 표면에 부착한 부착물을 효율적으로 가열 분해할 수 있어 부착물 제거의 효율성, 확실성이 뛰어난다.
또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교반 날개가 가스 도통로를 가지는 것으로,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가 가스 도통로를 통과해 반송로의 구석구석까지 널리 퍼져, 금속 절삭폐기재과 확실히 접촉해 부착물을 가열 분해할 수 있어 가열 분해의 효율성,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난다.
그리고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교반 날개가 가스 도통로를 가지는 것으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부착물이 가열 분해되어 발생하는 분해 가스를 가스 도통로를 따라서 매끄럽게 이동시켜 반송로로부터 배출할 수 있어 분해 가스의 배출성이 뛰어난다.
통 모양의 반송로에 가스 도통로를 가지는 교반 날개가 안 꽂아지는 것으로, 로타리 킬른 등에 비해 쓸데 없는 공간이 적고, 장치를 컴팩트화 할 수 있어 공간절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방열 손실도 적고, 가열의 효율성이 뛰어난다.
건조 처리재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만으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부착물을 가열 분해해 제거할 수 있어 자원 절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금속 절삭폐기재에 건조 처리재 등이 부착하는 것이 없고, 건조 처리재 등을 분리하는 기구나 공정이 불필요하고, 부착물이 없는 금속 절삭폐기재를 얻을 수 있어 또 산화에 의한 열화도 막을 수 있기 위해, 고제품 비율(yield by weight)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재생성(recycling)이 뛰어난다.
교반날개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반송로내의 금속 절삭폐기재의 체류 시간을 컨트롤(control)할 수 있으므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크기, 형상, 부피 비중 혹은 부착물의 종류 등에 따르고, 필요한 체류 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써, 금속 절삭폐기재의 부착물을 확실히 가열 분해할 수 있어 조작성, 범용성, 처리 효율성이 뛰어난다.
교반 날개가,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인 것으로, 금속 절삭폐기재의 반송 효율이 높고,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의 공급량을 저감해 효율적으로 부착물을 가열 분해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성, 컴팩트성이 뛰어난다.
그리고 교반 날개가,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인 것으로, 여러가지 형상이나 부피 비중의 금속 절삭폐기재에 대해서, 교반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반송로내의 금속 절삭폐기재의 체류 시간을 정확하게 컨트롤(control)해 부착물을 확실히 가열 분해할 수 있어 가열 분해 처리의 확실성, 안정성이 뛰어난다.
또한 교반 날개가,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의 중심부에 형성된 가스 도통로와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의 내주측을 축방향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것으로, 스크루(screw) 피더(feeder)와 동등한 강성과 반송 효율, 금속 절삭폐기재의 반송의 정량성을 유지한 채로, 증기나 분해 가스의 배출성을 큰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부착물의 가열 분해의 효율성이 뛰어난다.
그리고 교반 날개가,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의 내주측을 축방향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것으로, 교반 날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날개의 두께를 얇게 해 교반 날개의 경량화를 도모해, 날개와 반송로 내표면과의 마찰을 경감할 수 있어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내구성, 장수명성이 뛰어난다.
또한 교반 날개가, 리본 모양(ribbon base)의 날개의 내주측을 축방향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것으로, 교반 날개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브리켓(briquette)이나 다이캐스트의 바리 등의 덩어리진 상태의 금속 절삭폐기재 혹은 여러가지 형상이나 비중의 금속 절삭폐기재에 대해서도, 날개 변형이나 파손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금속 절삭폐기재를 확실히 반송할 수 있어 금속 절삭폐기재의 반송의 신뢰성, 확실성이 뛰어난다.

Claims (1)

  1. 금속 절삭폐기재의 부착물을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로 가열 분해하는 금속 절삭폐기재 처리장치 이고,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내에 횡가 된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와 상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상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공급부와 상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의 하류측에 연설(連設)된 금속 절삭폐기재 배출부와 상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에 상기 포화 증기(saturated steam) 및/또는 상기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를 구비해 상기 금속 절삭폐기재 반송부가, 상기 가열로에 관설 된 통 모양의 반송로와 가스 도통로를 가져 상기 반송로에 안 꽂아진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KR1020210003511A 2021-01-11 2021-01-11 금속재료의 절삭폐기물 처리장치 KR20220101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11A KR20220101461A (ko) 2021-01-11 2021-01-11 금속재료의 절삭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11A KR20220101461A (ko) 2021-01-11 2021-01-11 금속재료의 절삭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461A true KR20220101461A (ko) 2022-07-19

Family

ID=8260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511A KR20220101461A (ko) 2021-01-11 2021-01-11 금속재료의 절삭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14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5265A (zh) * 2022-08-01 2022-11-22 遂川和创金属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弃钕铁硼磁材的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5265A (zh) * 2022-08-01 2022-11-22 遂川和创金属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弃钕铁硼磁材的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365265B (zh) * 2022-08-01 2023-09-26 遂川和创金属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弃钕铁硼磁材的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9758B2 (ja) 混合物および混合廃棄物の脱脂およびリサイクル装置
JP5088919B2 (ja) セメント焼成装置及び廃棄物の処理方法
JP2007091771A (ja) 加熱処理装置
KR20200011460A (ko) 냉각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디코팅 시스템
KR20220101461A (ko) 금속재료의 절삭폐기물 처리장치
JP2021181035A (ja) 熱分解装置
EP2789912A1 (en) Plasma Melting Furnace, System and Method for Waste Treatment
JP6580065B2 (ja) 一体化された排気ガス処理部を有するチップ乾燥機
KR101223910B1 (ko) 폐활성탄 재생장치
KR20220101463A (ko) 금속폐기물 절삭커터
WO2019085542A1 (zh) 一种微波等离子体处理塑料垃圾装置
JP6133485B1 (ja) 金属屑処理装置
JP2009203474A (ja) 熱処理装置および熱分解方法
JP2009281671A (ja) 粉粒体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JP6072335B1 (ja) 金属屑処理装置
WO2017213159A1 (ja) 金属屑処理装置
KR20190129327A (ko) 금속 칩 처리장치
KR20180091110A (ko) 고 유기 병행 탈코팅 가마
JP2009138089A (ja) 多段スクリュー炭化装置
KR20190129328A (ko) 금속 칩의 가공 재생처리기
KR20200052724A (ko) 플라스틱 사출 수지찌꺼기 재처리장치
JP4908914B2 (ja) アルミニウム切粉等の処理装置
EP3106529A1 (en) Method and plant of treating and smelting metals
KR20080014963A (ko) 열을 이용하여 코팅 및/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N106017045A (zh) 一种铝屑干燥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