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511A - 장식봉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 Google Patents

장식봉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511A
KR20220100511A KR1020210188195A KR20210188195A KR20220100511A KR 20220100511 A KR20220100511 A KR 20220100511A KR 1020210188195 A KR1020210188195 A KR 1020210188195A KR 20210188195 A KR20210188195 A KR 20210188195A KR 20220100511 A KR20220100511 A KR 20220100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ods
base panel
hole
ro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498B1 (ko
Inventor
박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쓰리
Priority to KR102021018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4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 F21V11/04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천장에 부착되며 다수개의 통공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베이스판넬; 상기 베이스판넬의 다수개의 통공에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봉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봉체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넬의 하부중심에 전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되 광원 주변에 다수의 장식봉이 불규칙한 상태로 배열되어 빛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막대 형상 쉐도우를 벽면이나 천장에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봉을 구비한 조명등기구{Lighting fixtures with decorative rods}
본 발명은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쉐도우를 벽면이나 천장에 표출시킬 수 있는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시설이나, 사무실,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공간 내에서는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되는데, 조명등은 그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본래의 목적은 물론 실내인테리어와 조화로운 디자인을 갖고 있어 실내 인테리어를 보다 품위있고 개성있게 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조명등은 실내 전체의 조명을 목적으로 하기도 하는 반면, 특정한 부분이나 장소 또는 방향을 비추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조명등에서 발산되는 빛은 보다 은은하게 표출되도록 하기 위해 램프갓을 구비하여 빛의 색상이나 조도를 변경시켜줄 수 있도록 하였으나 연출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1203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되 광원 주변에 다수의 장식봉이 불규칙한 상태로 배열되어 빛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막대 형상 쉐도우를 벽면이나 천장에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 부착되며 다수개의 통공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베이스판넬; 상기 베이스판넬의 다수개의 통공에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봉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봉체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넬의 하부중심에 전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봉체 중에서 안쪽의 봉체의 길이가 바깥쪽의 봉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봉체는 베이스판넬의 상부면에 걸려지도록 상단부에는 상기 통공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가 형성된다.
상기 봉체는 통공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머리부에 걸린채 흔들리도록 한 것이다.
상기 통공은 길이를 갖는 장공이거나 다수의 톱니를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져 봉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되 광원 주변에 다수의 장식봉이 불규칙한 상태로 배열되어 빛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막대 형상 쉐도우를 벽면이나 천장에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설치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에서 '봉체'의 움직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통공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를 나타낸 도면대용사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설치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에서 '봉체'의 움직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통공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를 나타낸 도면대용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천장(T)에 부착되며 다수개의 통공(120)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베이스판넬(100); 베이스판넬(100)의 다수개의 통공(120)에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봉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개의 봉체(200)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베이스판넬(100)의 하부중심부위에 전등(300)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봉체(200) 중에서 안쪽의 봉체(200)의 길이가 바깥쪽의 봉체(2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일뿐이며 이와 반대로 안쪽 봉체(200)가 짧고 바깥쪽 봉체(200)가 길게 형성될 수 있음도 당연할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체(200)는 베이스판넬(100)의 상부면에 걸려지도록 상단부에는 상기 통공(120)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2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봉체(200)는 통공(12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머리부(220)에 걸린채 흔들리도록 한 것이다.
봉체(200)가 흔들림으로써 쉐도우가 움직이게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보다 향상된 심미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공(120a)은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써 봉체(200)를 이동시켜 위치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는 통공(120b)은 다수의 톱니(11b)를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져 봉체(200)의 위치를 이동시켜 위치조절 후 일시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수의 톱니(11b)들은 장공의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산과 골이 연속하되 마주보는 한쌍의 산과 산(이를 피치라 한다.)의 간격은 봉체(200)가 약간 힘을 주어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한개의 피치가 봉체(200)의 고정위치가 될 수 있으므로 여러개의 피치를 이용하여 봉체(200)를 필요에 따라 위치 이동시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공(120a,120b) 내에서 봉체(20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인접된 봉체(200)들 간의 간격을 조밀하게 하거나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쉐도우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어 심미감의 조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판넬 120 : 통공
120a,120b : 통공 200 : 봉체
220 : 머리부 300 : 전등
11b ; 톱니

Claims (1)

  1. 천장에 부착되며 다수개의 통공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베이스판넬;
    상기 베이스판넬의 다수개의 통공에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봉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봉체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넬의 하부중심에 전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봉체는 베이스판넬의 상부면에 걸려지도록 상단부에는 상기 통공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체는 통공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머리부에 걸린채 흔들리도록 한 것이며,
    상기 다수개의 봉체 중에서 안쪽의 봉체의 길이가 바깥쪽의 봉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안쪽의 봉체가 짧고 바깥쪽 봉체가 길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통공은 길이를 갖는 장공이거나 또는 통공은 다수의 톱니를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져 봉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다수의 톱니들은 장공의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산과 골이 연속하되 마주보는 한쌍의 산과 산의 간격은 봉체가 약간 힘을 주어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여
    한개의 피치가 봉체의 고정위치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여러개의 피치를 이용하여 봉체를 필요에 따라 위치 이동시켜 인접된 봉체들 간의 간격을 조밀하게 하거나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쉐도우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KR1020210188195A 2021-01-07 2021-12-27 장식봉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KR102505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95A KR102505498B1 (ko) 2021-01-07 2021-12-27 장식봉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002 2021-01-07
KR1020210188195A KR102505498B1 (ko) 2021-01-07 2021-12-27 장식봉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002 Division 2021-01-07 2021-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511A true KR20220100511A (ko) 2022-07-15
KR102505498B1 KR102505498B1 (ko) 2023-03-06

Family

ID=8240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195A KR102505498B1 (ko) 2021-01-07 2021-12-27 장식봉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4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9489A (en) * 1927-05-24 Anton dvokak
US20040141328A1 (en) * 2003-01-17 2004-07-22 Stone John D Lighting fixtures having releasably attachable objects and methods for trimming lighting fixtures
JP3130820U (ja) * 2007-01-29 2007-04-12 川口木材株式会社 額縁等の吊り下げ金具
KR200437675Y1 (ko) * 2006-10-31 2007-12-17 윤길호 등기구용 장식판
KR20150012038A (ko) 2013-07-24 2015-02-03 (주)세종라이팅 투광장식봉을 갖는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820B2 (ja) * 1997-02-03 2001-01-3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子部品挿入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9489A (en) * 1927-05-24 Anton dvokak
US20040141328A1 (en) * 2003-01-17 2004-07-22 Stone John D Lighting fixtures having releasably attachable objects and methods for trimming lighting fixtures
KR200437675Y1 (ko) * 2006-10-31 2007-12-17 윤길호 등기구용 장식판
JP3130820U (ja) * 2007-01-29 2007-04-12 川口木材株式会社 額縁等の吊り下げ金具
KR20150012038A (ko) 2013-07-24 2015-02-03 (주)세종라이팅 투광장식봉을 갖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498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47047B2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pot reflectors
NZ520431A (en) Lamp
KR101368254B1 (ko) 천정설치가 용이한 조명기구
KR102505498B1 (ko) 장식봉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20200000580U (ko) 램프의 조사각도 변경이 용이한 조명기구
KR20110118400A (ko) 조사각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명등기구
KR20100005124U (ko) 조명등 갓
KR200387742Y1 (ko) 조명등
JP5296391B2 (ja) 照明装置
KR200382069Y1 (ko) 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KR101283547B1 (ko) 회전가능한 플러그를 구비한 조명등기구 연결장치
KR20100011567U (ko) 조명등
KR100978365B1 (ko) 하측 조명부를 구비한 벽체 설치용 조명기구
KR200410780Y1 (ko) 조명등
KR200380066Y1 (ko) 장식물 걸이용 슬라이드 결합관을 갖는 천장용 조명등
KR200272238Y1 (ko) 조명기구용 소켓장치
KR200386149Y1 (ko) 조명등용 전등갓
KR20100004772U (ko) 조명등 케이스
KR20060120775A (ko) 엘이디 장식조명등
KR200309313Y1 (ko) 대나무를 이용한 스포트라이트 겸용 간접 조명장치
KR200358855Y1 (ko) 장식용 조명등
KR20100003593U (ko) 장식조명장치
KR200264620Y1 (ko) 이중조명 구조를 갖는 조명기구
JP3982169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