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862A - 사용자 그룹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그룹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862A
KR20220099862A KR1020210002233A KR20210002233A KR20220099862A KR 20220099862 A KR20220099862 A KR 20220099862A KR 1020210002233 A KR1020210002233 A KR 1020210002233A KR 20210002233 A KR20210002233 A KR 20210002233A KR 20220099862 A KR20220099862 A KR 20220099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search query
group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빈
황민
구상모
이재의
임지훈
진연진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862A/ko
Priority to JP2022000266A priority patent/JP2022106675A/ja
Publication of KR20220099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제공 방법은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그룹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USER GROUP}
본 개시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확산 및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진, 그림, 동영상 등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s; SNS) 플랫폼, 콘텐츠 공유 플랫폼 등에 업로드함으로써 자신의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콘텐츠 공유 플랫폼 등에는 수많은 콘텐츠가 공유되고 있어, 사용자가 콘텐츠 검색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상품 및 서비스를 광고하기 위한 콘텐츠들이 많이 공유되고 있어, 사용자는 광고성 정보가 아닌 실제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찾기 위해 수많은 검색 결과들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장치)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시스템(장치)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제공 방법은,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들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이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픽 객체는 제2 사용자가 그룹과 연관된 콘텐츠를 미리 결정된 횟수 이상 업로드하였음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콘텐츠 중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나머지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콘텐츠 중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나머지 콘텐츠보다 크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로부터 사업적 목적의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콘텐츠 중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는, 정보 제공 방법.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검색 질의와 연관된 각 콘텐츠에 포함된 제1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검색 질의와 관련이 없는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콘텐츠 중 제1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신뢰도 점수가 높은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신뢰도 점수가 낮은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콘텐츠는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이미지와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를 각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 각각의 신뢰도 점수는 제1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사이의 연관성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 각각의 신뢰도 점수는 사용자 지정 태그의 구체화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더 크게 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더 진하게 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로부터 업로드할 제2 이미지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이미지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지정 태그를 기술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와 제2 이미지 사이의 연관성 점수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직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해당 콘텐츠가 신뢰할 수 있는 콘텐츠인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업적 목적을 포함하는 콘텐츠들이 필터링됨으로써, 사용자는 홍보성/광고성 콘텐츠가 아닌 콘텐츠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사업적 목적을 가진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임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를 수용할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해시태그가 무분별하게 태그 되어, 검색 질의와 연관성이 낮은 콘텐츠가 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실제 검색 의도에 따라, 검색 질의와 연관성이 있는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검색 질의와 연관성이 높은 콘텐츠를 먼저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콘텐츠에 포함된 해시태그가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연관된 정도를 직관적으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할 때 해시태그를 무분별하게 기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할 때 해시태그를 오기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를 확인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들을 제공받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필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 질의와 관련이 없는 콘텐츠를 필터링 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들을 제공받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가 각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 및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계정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생성하고 이용하는 계정 또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콘텐츠'는 이미지, 텍스트 및/또는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포함된 사용자 지정 태그는 해당 콘텐츠와 연관되어 있는 사용자 지정 태그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지정 태그'는 사용자가 콘텐츠에 연관시키는 태그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태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들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정 태그는 해시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지정 태그를 통해 해당 사용자 지정 태그가 연관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콘텐츠에 사용자 지정 태그를 연관시킴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그룹'은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 관심 콘텐츠, 사용자들의 프로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을 그루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은 '반려동물 그룹', '비즈니스 그룹', '요리/베이킹 그룹', '육아/교육 그룹', '운동/헬스 그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그룹은 복수의 서브 그룹(또는 하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헬스 그룹은 수영 그룹, 다이어트 그룹, 축구 그룹 등의 서브 그룹(또는 하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육아/교육 그룹은 영유아 육아 그룹, 아동 육아 그룹, 청소년 교육 그룹 등의 서브 그룹(또는 하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를 확인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동작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이미지, 텍스트 및/또는 사용자 지정 태그(예를 들어, 해시태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00)는 검색 질의(search query)를 입력함으로써,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태그(예를 들어, 검색 질의와 동일한 해시태그,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검색 질의와 유사한 해시태그 등)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0)가 검색 인터페이스 상에 '강아지'라는 검색 질의를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120) 상에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콘텐츠는 USER A가 업로드한 강아지 이미지, USER A가 입력한 텍스트('이쁜 우리 진돌이 진돌아 행복하자'), 그리고 USER A가 입력한 사용자 지정 태그(#애완동물, #산책, #공원나들이, #진돗개, #멍멍이, #강아지, #행복, #내사랑, #고양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의 콘텐츠 검색 결과로서 콘텐츠와 함께, 해당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예를 들어, 이름, 프로필 사진 등)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122)를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ER A의 이름, 프로필 사진, USER A가 속한 '반려동물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122)가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객체(122)는 아이콘, 스티커, 배지(badge),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래픽 객체(122)는 텍스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속한 그룹은 해당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들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객체(122)는 사용자가 해당 그룹과 연관된 콘텐츠를 미리 결정된 횟수 이상 업로드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객체(122)는 USER A가 업로드한 콘텐츠 중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가 일정 비율 이상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속한 그룹 정보를 해당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높은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들) 및/또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또는 정보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또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사이의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음성 메시징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음성 통화 서비스,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 제공/검색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및 PC 단말(2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해당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대한 정보 등을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10)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PC 단말(2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정보 제공/검색 서비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316, 336)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정보 제공 서비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등)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 등)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은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마이크 모듈,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사용자 단말(210)의 메모리(312)에 로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3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4)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요청을 네트워크(220) 및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입출력 장치(320)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디스플레이 출력 가능 장치(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 음성 출력 가능 장치(예: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320)를 통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4)는 복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314)는 복수의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해당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3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4)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들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334)는 해당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 등)를 메모리(332)에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들(412, 414, 416, 418)을 제공받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내의 "타임라인" 기능을 통해 검색 질의를 입력하고, 해당 검색 질의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동작(410) 및 제2 동작(420)을 통해 자신이 입력한 검색 질의와 관련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동작(410)은 사용자가 검색 질의(예를 들어, 강아지)를 입력한 예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은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과 같은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412, 414, 416, 418)를 수신할 수 있다.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412, 414, 416, 418)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복수의 콘텐츠(412, 414, 416, 418)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아지'라는 검색 질의를 입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태그(#강아지)를 포함하는 콘텐츠들(412, 414, 416, 418)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들(412, 414, 416, 418) 중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예를 들어, 반려동물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예를 들어, 412)를 나머지 콘텐츠(414, 416, 418)보다 우선하여(또는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들(412, 414, 416, 418) 중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예를 들어, 반려동물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예를 들어, 412)를 나머지 콘텐츠(414, 416, 418)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본인이 입력한 검색 질의(강아지)와 관련성이 높은 콘텐츠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2 동작(42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콘텐츠들(412, 414, 416, 418) 중 하나(412)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콘텐츠(412)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426)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강아지 이미지), 텍스트('이쁜 우리 진돌이 진돌아 행복하자'), 사용자 지정 태그(#애완동물, #산책, #공원나들이, #진돗개, #멍멍이, #강아지, #행복)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426)를 업로드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422) 및 해당 사용자가 속한 그룹(예를 들어, 반려동물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424)가 콘텐츠(426)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그래픽 객체(424)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는 경우, 그래픽 객체(424)와 연관된 그룹(예를 들어, 반려동물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또는 사용자 계정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그래픽 객체(424)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는 경우, 그래픽 객체(424)와 연관된 그룹(예를 들어, 반려동물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검색 결과로서 4 개의 콘텐츠(412, 414, 416, 418)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임의의 수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512)를 필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필터링 아이콘(520)을 터치 입력 등을 이용하여 선택함으로써, 검색 결과에서 사업적 목적의 콘텐츠('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들)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동작(510) 및 제2 동작(530)을 통해 사업적 목적의 콘텐츠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동작(510)은 사용자가 검색 질의(예를 들어, 다이어트)를 입력한 예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512, 516)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512, 516)는 검색 질의(다이어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태그(#다이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512)는 '비즈니스 그룹'에 속한 USER A가 업로드한 콘텐츠이고, 콘텐츠(516)는 '비즈니스 그룹'이 아닌 '운동/건강 그룹'에 속한 USER B가 업로드한 콘텐츠일 수 있다. 여기서, '비즈니스 그룹'은 사업적 목적을 위해 생성된 사용자 계정 및/또는 사업적 목적을 가진 콘텐츠를 주로 업로드하는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홍보 및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거나, 외부 링크를 포함하는 콘텐츠는 사업적 목적을 가진 콘텐츠로 판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매를 유도하거나 쪽지를 유도하는 등의 콘텐츠는 사업적 목적을 가진 콘텐츠로 판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업적 목적을 가진 콘텐츠를 미리 결정된 수 이상 또는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으로 업로드한 사용자는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USER A가 업로드한 콘텐츠(512)를 USER A의 프로필 정보 및 USER A가 속한 '비즈니스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514)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USER B가 업로드한 콘텐츠(516)를 USER B의 프로필 정보 및 USER B가 속한 '운동/건강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518)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518)는 USER B가 '운동/건강 그룹'과 연관된 콘텐츠(예를 들어, 운동, 건강, 다이어트, 헬스 등과 연관된 콘텐츠)를 미리 결정된 횟수 이상 업로드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래픽 객체(518)는 USER B가 업로드한 콘텐츠들이 '운동/건강 그룹'과 연관된 콘텐츠를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동작(530)은 사용자가 사업적 목적의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아이콘(520)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비즈니스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필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비즈니스 그룹'에 속한 USER A가 업로드한 콘텐츠(512)가 제거되고,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지 않는 USER B 및 USER C가 업로드한 콘텐츠(532, 534)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광고, 홍보, 판매 등 사업적 목적을 갖는 콘텐츠가 아닌 실제로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검색된 복수의 콘텐츠 중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나머지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다이어트'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 중 '운동/건강 그룹'에 속하는 USER B 및 USER C 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나머지 콘텐츠(예를 들어, '#다이어트'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 '운동/건강 그룹'에 속하지 않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는 2 개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임의의 수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사용자가 필터링 아이콘(520)을 선택하면 '비즈니스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가 제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즈니스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가 자동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 질의와 관련이 없는 콘텐츠(618)를 필터링 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필터링 아이콘(620)을 터치 입력 등을 이용하여 선택함으로써, 검색 결과에서 검색 질의와 관련이 없는 콘텐츠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동작(610) 및 제2 동작(630)을 통해 검색 질의와 관련이 없는 콘텐츠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동작(610)은 사용자가 검색 질의(예를 들어, 강아지)를 입력한 예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612, 614, 616, 618)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612, 614, 616, 618)는 검색 질의(강아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태그(#강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612, 614, 616) 각각에 포함된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의 신뢰도 점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반면, 콘텐츠(618)에 포함된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의 신뢰도 점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는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사이의 연관성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사이의 연관성 점수가 높으면 해당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높고,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사이의 연관성 점수가 낮으면 해당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618)에 포함된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의 신뢰도 점수는, 콘텐츠(618)에 포함된 이미지가 고양이 이미지라는 분석 결과에 따라 낮게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분석 및 신뢰도 점수(연관도 점수) 결정을 위해, 인공신경망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모델, 확률 모델 등의 이미지 분석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미지 분석 및 신뢰도 점수 판정을 위해,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사이의 신뢰도 점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동작(630)은 사용자가 검색 질의와 관련이 없는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아이콘(620)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콘텐츠를 필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콘텐츠(618)가 제거되고,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콘텐츠(612, 614, 616, 632)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검색 질의와 관련 있는 콘텐츠 즉, 실제로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는 4 개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임의의 수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사용자가 필터링 아이콘(620)을 선택하면 검색 질의와 관련 없는 콘텐츠가 제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검색 질의와 관련 없는 콘텐츠가 자동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검색 질의와 연관된 각 콘텐츠에 포함된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들(710, 720)을 제공받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검색 질의(예를 들어, 강아지)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검색 질의와 연관된 콘텐츠(710, 720)가 표시될 수 있다.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710, 720)는 각각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태그(712, 72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710, 720) 각각에 포함된 사용자 지정 태그는 서로 상이한 신뢰도 점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질의 '강아지'와 연관된 제1 콘텐츠(710)의 이미지는 강아지 이미지로 판정되어,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712)의 신뢰도 점수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반면, 제2 콘텐츠(720)의 이미지는 고양이 이미지로 판정되어,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722)의 신뢰도 점수가 낮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뢰도 점수가 높은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신뢰도 점수가 낮은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 질의(강아지)와 연관된 콘텐츠(710, 720)는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태그(#강아지)(712, 722)의 신뢰도 점수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뢰도 점수가 높은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712)를 포함하는 제1 콘텐츠(710)가 신뢰도 점수가 낮은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722)를 포함하는 제2 콘텐츠(720)보다 우선하여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검색 질의와 관련 높은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에는 2 개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임의의 수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810, 820, 830)가 각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콘텐츠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지정 태그(810, 820, 8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강아지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810), '#강아지'(820) 그리고 '#고양이'(83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지정 태그(810, 820, 830)는 각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지정 태그(810, 820, 830) 각각의 신뢰도 점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사이의 연관성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지정 태그(810, 820, 830) 각각의 신뢰도 점수는 사용자 지정 태그의 구체화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구체화 점수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나타내는 의미의 구체성을 수치화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개념의 단어보다 하위 개념의 단어에 더 높은 구체화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810)와 '#강아지'(820)는 강아지 이미지와 연관성 점수가 높게 산출되고, 사용자 지정 태그 '#고양이'(830)는 강아지 이미지와 연관성 점수가 낮게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810)가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820)보다 하위 개념에 해당하므로 구체화 점수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각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는 연관성 점수와 구체화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연관성 점수와 구체화 점수에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810)의 신뢰도 점수가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820)의 신뢰도 점수보다 높게 산출되고,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820)의 신뢰도 점수가 사용자 지정 태그 '#고양이'(830)의 신뢰도 점수보다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더 크게 표시되거나 더 진하게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보다 우선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810)는 가장 큰 크기로(또는 가장 진하게) 표시될 수 있고, 다음으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 '#강아지'(820)는 중간 크기로 표시될 수 있고, 가장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 '#고양이'(830)는 가장 작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정 태그가 신뢰도 점수에 따라 '#진돗개'(810), '#강아지'(820) 그리고 '#고양이'(830) 순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콘텐츠에 대해 가장 높은 신뢰도 점수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서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에 포함된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에 따라 사용자 지정 태그의 크기를 달리하여 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포함된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에 따라 사용자 지정 태그의 색채, 채도, 명도, 굵기, 글꼴, 기울기, 밑줄 여부 등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내의 "타임라인" 기능을 통해 콘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업로드할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미지와 연관된 사용자 지정 태그를 기술한 후 콘텐츠 업로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해 꽃 이미지를 선택하고, 꽃 이미지와 연관된 사용자 지정 태그로서 '#꽃', '#식물', '#식물원' 및 '#진돗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지정 태그 각각의 신뢰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는 사용자 지정 태그와 이미지 사이의 연관성 점수 및/또는 사용자 지정 태그의 구체화 점수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정 태그 '#꽃', '#식물' 및 '#식물원'은 꽃 이미지와 연관성이 높으므로 신뢰도 점수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는 꽃 이미지와 연관성이 낮으므로 신뢰도 점수가 낮게 산출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경고 메시지(910)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돗개'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진돗개'가 게시물에 적합한 해시태그가 맞습니까?"라는 경고 메시지(910)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아니오"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가 삭제된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지정 태그 '#진돗개'를 대체할 사용자 지정 태그를 추천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경고 메시지(910)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 지정 태그는 다른 색(빨간 색)으로 표시되거나 해당 사용자 지정 태그에 밑줄이 표시되거나 경고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지정 태그를 입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시간으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가 콘텐츠 업로드 요청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10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방법(1000)은 프로세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정보 제공 방법(1000)은 프로세서가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외부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1010). 여기서, 외부 장치는 도 2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일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1020). 일 실시예에서,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검색 질의와 연관된 각 콘텐츠에 포함된 제1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03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콘텐츠 중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나머지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복수의 콘텐츠 중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나머지 콘텐츠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신뢰도 점수가 높은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신뢰도 점수가 낮은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040). 그 후, 프로세서는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050). 여기서,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은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객체는 제2 사용자가 그룹과 연관된 콘텐츠를 미리 결정된 횟수 이상 업로드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콘텐츠는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이미지와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를 각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더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더 진하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 각각의 신뢰도 점수는 제1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사이의 연관성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 각각의 신뢰도 점수는 사용자 지정 태그의 구체화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로부터 사업적 목적의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요청을 수신하고, 복수의 콘텐츠 중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로부터 검색 질의와 관련이 없는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복수의 콘텐츠 중 제1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로부터 업로드할 제2 이미지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이미지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지정 태그를 기술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와 제2 이미지 사이의 연관성 점수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를 판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1110, 11120) 및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내의 "타임라인" 등에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예를 들어, 상세 프로필 정보 등), 선택된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1110, 11120)(예를 들어, 배지 형태의 그래픽 객체) 및 선택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 등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가 속한 복수의 그룹 각각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가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속한 복수의 그룹 중 일부(예를 들어, 상위 n개)와 연관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USER A가 반려동물 그룹과 육아 그룹에 속하는 경우, 반려동물 그룹과 연관된 배지 형태의 그래픽 객체(1110), 육아 그룹과 연관된 배지 형태의 그래픽 객체(1120)가 USER A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속한 복수의 그룹 중 해당 사용자의 활동성이 높은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가 우선하여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성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그룹(예를 들어, 반려동물 그룹)과 연관된 콘텐츠를 제2 그룹(예를 들어, 육아 그룹)과 연관된 콘텐츠 보다 많이 업로드한 경우, 제1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성이 제2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성보다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그룹(예를 들어, 반려동물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1110)가 육아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1120)보다 우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각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1110, 1120)가 동일한 크기로 표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활동성이 높은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가 사용자의 활동성이 낮은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보다 크게 또는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110: 사용자 단말
120: 디스플레이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이 결정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그룹과 연관된 콘텐츠를 미리 결정된 횟수 이상 업로드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나머지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나머지 콘텐츠보다 크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사업적 목적의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비즈니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상기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각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상기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질의와 관련이 없는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제1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상기 검색 질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신뢰도 점수가 높은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신뢰도 점수가 낮은 제1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는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콘텐츠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를 각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 각각의 신뢰도 점수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사용자 지정 태그 사이의 연관성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지정 태그 각각의 신뢰도 점수는 사용자 지정 태그의 구체화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정보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더 크게 표시되는, 정보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 지정 태그가 더 진하게 표시되는, 정보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업로드할 제2 이미지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지정 태그를 기술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와 상기 제2 이미지 사이의 연관성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지정 태그의 신뢰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사용자 단말로서,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검색 질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질의와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연관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210002233A 2021-01-07 2021-01-07 사용자 그룹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99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33A KR20220099862A (ko) 2021-01-07 2021-01-07 사용자 그룹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2000266A JP2022106675A (ja) 2021-01-07 2022-01-04 情報提供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33A KR20220099862A (ko) 2021-01-07 2021-01-07 사용자 그룹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862A true KR20220099862A (ko) 2022-07-14

Family

ID=8240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233A KR20220099862A (ko) 2021-01-07 2021-01-07 사용자 그룹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2106675A (ko)
KR (1) KR20220099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75A1 (ko) 2022-08-10 2024-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75A1 (ko) 2022-08-10 2024-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6675A (ja)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278B1 (ko) 친구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
CN109002490B (zh) 用户画像生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WO2017133343A1 (zh) 一种图片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302085B (zh) 即时通讯群组的推荐方法及系统
KR101722687B1 (ko) 객체간 또는 객체와 유저간에 정보 제공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저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US20170063753A1 (en) Suggesting object identifiers to include in a communication
CN109074358A (zh) 提供与用户兴趣有关的地理位置
US10380256B2 (en) Technologies for automated context-aware media curation
US11928133B2 (en) Unit group generation and relationship establishment
KR20160042891A (ko) 검색 결과 증강 기법
CN106687954A (zh) 内容界面布局构造
US10719791B2 (en) Topic-based place of interest discovery feed
KR20210130583A (ko)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10157462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reputation badge for video chat
US20150186530A1 (en) Point of interest tagging from social feeds
JP2021503111A (ja) 位置データを含むコンテンツを利用する推薦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374156B1 (ko)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부동산 매물 추천 방법
CN108351891A (zh) 基于计算装置的属性的信息排名
CN107667383B (zh) 推断用于与数字助理一起使用的提示
KR20220099862A (ko) 사용자 그룹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851622A (zh) 文本生成方法和装置
KR102306841B1 (ko) 유아동의 방과 후 교육 매칭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417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463550B1 (ko) 지역 기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158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vatar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