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810A -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810A
KR20220099810A KR1020210002137A KR20210002137A KR20220099810A KR 20220099810 A KR20220099810 A KR 20220099810A KR 1020210002137 A KR1020210002137 A KR 1020210002137A KR 20210002137 A KR20210002137 A KR 20210002137A KR 20220099810 A KR20220099810 A KR 20220099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ster
harrow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244B1 (ko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2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10Lifting or clea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베이터에 대한 써레의 탈부착과 써레의 분리 보관을 손쉽게 하는 개선된 접이식 써레 받침부재를 구비한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상부 또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써레연결대(100)와, 상기 써레연결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실린더(25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써레판(200)과,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써레판(200)에 설치되어 써레를 받쳐주는 써레 받침부재(3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는,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써레판(200)에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제1힌지홀(311)과 제1고정홀(312)이 형성된 캐스터 브라켓(310); 상기 제1힌지홀(311)과 제1고정홀(312)에 일측 단부가 각각 제1힌지축(325)과 제1고정축(326)으로 결합되어 제1고정축(326)의 결합유무에 따라 회동되거나 또는 고정되게 구비되며, 타측 단부에 제2힌지홀(322)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320); 상기 제2힌지홀(322)에 제2힌지축(335)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되도록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에 제1고정축(326)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제2고정축(336)으로 고정되는 캐스터 프레임(330);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캐스터 브라켓(3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표면에 프레임 고정홀(34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40);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캐스터 프레임(300) 또는 지지프레임(320)을 상기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축(350);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캐스터(36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A HARROW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베이터에 대한 써레의 탈부착과 써레의 분리 보관을 손쉽게 하는 개선된 접이식 써레 받침부재를 구비한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을 경작하는 경우에는 모내기에 앞서 로터베이터로 경운한 뒤 써레로 평탄하게 고르게 된다.
써레는 공지된 바와 같이, 로터베이터와 연결되는 써레연결대(써레프레임)와, 써레연결대의 후단에 결합되는 써레판과, 써레판을 상승 및 하강이동시켜 주는 실린더를 기본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써레판은 중앙써레판과 이 중앙써레판의 양측에 회동되어 접어지도록 구비된 좌우 외측써레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써레작업 시 좌우 외측써레판을 펼쳐 기다란 일(―)자형으로 형성되게 한 상태로 무논의 지면에 써레판이 완만한 각도로 접촉되게 하여 트랙터가 전진하면서 무논을 평탄하게 고르게 된다.
상기한 써레는 특허등록 제10-1347330호에와 같이, 로터베이터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키기 위해 캐스터를 포함한 써레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기재된 써레 받침부재는 지지프레임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써레연결대에 접어 고정함으로써 로터베이터에 결합시킨 후에도 별도로 분리 보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지지프레임의 길이가 상당함에 따라 전방으로 회동시켜 써레연결대의 하면에 접어놓은 경우에는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캐스터가 로터베이터의 후부커버와 근접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이 상태로 써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써레작업 중 트랙터의 후진 시 부주의로 인하여 써레가 무논에 박히는 등 후방충돌이 발생되어 외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압력에 의해 써레가 로터베이터가 구비된 전방으로 억지이동되고 그와 함께 캐스터가 로터베이터의 후부커버(뒷문짝)에 접촉되면서 강하게 눌려져서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7330호(2013.12.26., 트랙터용 써레)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7463호(2015.09.23., 트랙터용 써레)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캐스터 프레임을 힌지결합시켜 접힘동작되게 구비함으로써 써레 받침부재의 미사용시 캐스터 프레임을 지지프레임에 접힘동작시켜 줌은 물론 지지프레임이 써레연결대에 접혀지게 한 상태로 고정시켜 주도록 하며, 캐스터의 위치를 로터베이터 방향이 아닌 써레판 방향에 근접되게 구비하여 써레의 후방충돌 등으로 외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캐스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상부 또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써레연결대(100)와, 상기 써레연결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실린더(25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써레판(200)과,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써레판(200)에 설치되어 써레를 받쳐주는 써레 받침부재(3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는,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써레판(200)에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제1힌지홀(311)과 제1고정홀(312)이 형성된 캐스터 브라켓(310); 상기 제1힌지홀(311)과 제1고정홀(312)에 일측 단부가 각각 제1힌지축(325)과 제1고정축(326)으로 결합되어 제1고정축(326)의 결합유무에 따라 회동되거나 또는 고정되게 구비되며, 타측 단부에 제2힌지홀(322)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320); 상기 제2힌지홀(322)에 제2힌지축(335)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되도록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에 제1고정축(326)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제2고정축(336)으로 고정되는 캐스터 프레임(330);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캐스터 브라켓(3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표면에 프레임 고정홀(34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40);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캐스터 프레임(300) 또는 지지프레임(320)을 상기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축(350);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캐스터(3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의 폭은 지지프레임(320)과 캐스터 프레임(330)의 폭보다 넓고,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폭은 지지프레임(32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대해 캐스터 프레임이 접힘동작되는 경우에 캐스터 프레임(330)의 내측공간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삽입되면서 접혀지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은 상기 캐스터(360)의 전체 또는 후면부분이 내부로 수용되어 외부노출이 차단되도록 하방 또는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캐스터(360)가 로터베이터 또는 써레판과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써레연결대(100)에 설치되고,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캐스터 브라켓(310)의 형성부위까지 길게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1고정축(326)으로 지지프레임(320)과 함께 캐스터 브라켓(3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에는 캐스터 브라켓(31)에 형성된 제1고정홀(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고정홀(331)이 형성되며,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의 미사용 시, 상기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4고정홀(331)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캐스터 프레임(330)을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에 따르면, 캐스터 프레임이 지지프레임에 접힘동작되면서 캐스터가 로터베이터가 아닌 써레판과 근접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외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캐스터가 로터베이터 후부커버에 접촉될 가능성이 없거나 극히 적어 캐스터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가 설치된 트랙터용 써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를 보인 측면상태도,
도 3은 도 2에서 캐스터프레임을 회동시켜 지지프레임에 접어놓은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의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를 보인 측면상태도,
도 6은 도 5에서 캐스터프레임을 회동시켜 지지프레임에 접어놓은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의 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를 보인 측면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캐스터프레임을 회동시켜 지지프레임에 접어놓은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의 분리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를 보인 측면상태도,
도 12는 도 11에서 캐스터프레임을 회동시켜 지지프레임에 접어놓은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써레 받침부재의 분리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의 상부 또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써레연결대(100)와, 상기 써레연결대(100)의 후단과 결합되게 설치되어 실린더(25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써레판(200)과,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써레판(200)에 설치되어 써레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써레 받침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써레연결대(100)는 상측에서 바라볼 경우에 '∥'자형 또는 '∪'자형이나 'ㅂ'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단부가 로터베이터의 상부에 직접 힌지결합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베이터의 상부에 장착되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전단부가 힌지 결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50)의 경우에도 로터베이터의 상부 중앙부분에 직접 연결되거나 써레 장착구조물의 중앙부분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250)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편의를 위해 트랙터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조작하여 써레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주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은 공지의 구성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부 구성인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는 써레를 받쳐주면서 지면에서 일정높이 이격시켜 주어 써레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터베이터와의 탈부착작업은 물론 써레의 분리보관시 용이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써레 받침부재(300)는 크게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써레판(200)에 설치되는 캐스터 브라켓(310)과, 이 캐스터 브라켓(31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20)과, 이 지지프레임(320)과 결합되는 캐스터 프레임(330)과, 고정브라켓(340)과, 프레임 고정축(350)과, 캐스터(3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써레 받침부재(300)는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서, 써레를 받쳐주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캐스터 프레임(330)과 지지프레임(320)이 일자형을 이루도록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미사용시에는 캐스터 프레임(330)을 지지프레임(320)에 접혀지게 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2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준 후 프레임 고정축(350)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에 설치된 써레 받침부재는 순수하게 지지프레임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고정하는 구조이나, 본 발명의 써레 받침부재는 지지프레임에 대해 캐스터 프레임이 회동되면서 접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캐스터가 로터베이터 방향이 아닌 써레판 방향에 근접되게 위치됨에 따라 써레작업 등의 과정에서 후방충돌이 발생되더라도 캐스터가 로터베이터의 후부커버(뒷문짝)과 접촉되면서 짓눌리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 캐스터는 물론 써레 받침부재를 이루는 부품 및 써레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써레 받침부재(300)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모두 합쳐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써레 받침부재가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져 접힘동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은 상기 써레연결대(100)나 써레판(200)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제1힌지홀(311)과 제1고정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써레 받침부재의 접힘동작이 가능하다면 상기 제1힌지홀(311)과 상기 제1고정홀(312)은 캐스터 브라켓(310)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 형성될 뿐만 아니라 좌측 및 우측 등으로도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일정길이의 프레임으로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힌지홀(311)과 제1고정홀(312)에 각각 제1힌지축(325)과 제1고정축(326)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1고정축(326)의 결합유무에 따라 회동되거나 또는 고정되게 구비된다.
즉, 제1고정축(326)이 결합해제된 상태에서는 제1힌지축(325)을 기준으로 힌지회동되게 구비되는 것이고, 제1고정축(326)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서로 다른 두 지점이 캐스터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회동동작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지지프레임(320)의 일측 단부에는 제1힌지축(325)이 결합되는 제1힌지축 고정홀(3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힌지축 고정홀(324)과 이격되는 위치에 제1고정축(326)이 결합되는 제2고정홀(32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프레임(320)의 타측 단부에는 캐스터 프레임(330)과 제2힌지축(335)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2힌지홀(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은 상기 제2힌지홀(322)에 제2힌지축(335)으로 힌지결합되어 있어 제2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되도록 구비되어 진다.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에 지지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고정축(326)으로 캐스터 브라켓(310)에 함께 고정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제2고정축(336)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진다.
캐스터 프레임의 결합위치에 따른 각 실시예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미설명부호 331은 제2고정축(336)의 결합을 위해 캐스터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4고정홀이고, 미설명부호 333은 제2힌지축(335)의 결합을 위해 캐스터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힌지축 고정홀이며, 미설명부호 323은 제2고정축(336)의 결합을 위해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제3고정홀이다.
고정브라켓(340)은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캐스터 브라켓(310)의 일측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것이고, 표면에는 프레임 고정홀(341)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브라켓(340)은 프레임 고정홀(341)을 형성시켜 놓은 금속편으로서, 써레연결대(100)나 캐스터 브라켓(310)의 일측에 용접결합되게 구성하였으나, 써레연결대나 써레판의 일측을 관통시켜 프레임 고정홀을 형성시켜 놓을 수도 있다.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캐스터 프레임(300)이나 지지프레임(320)을 상기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레임 고정축(350)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핀으로 고정되는 축으로 구성하거나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고정축(350)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상기 제1고정축(326)이나 후술되는 제2고정축(336)을 프레임 고정축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캐스터(360)는 캐스터 프레임(330)의 타측 단부에 캐스터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물론 캐스터에는 별도로 록킹수단이 구비되어 회전동작을 록킹시켜 주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캐스터 브라켓과 지지프레임 및 캐스터 프레임이 판판한 플레이트형태로 된 금속편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동작상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강도향상을 위해 두께가 두꺼운 금속편을 사용하여야 하고, 이 경우에도 강도향상에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형태가 아닌 각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캐스터 프레임(330)이 캐스터 브라켓(31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대해 접힘동작되게 구비되는 것임에 따라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의 폭은 지지프레임(320)과 캐스터 프레임(3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폭은 지지프레임(32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캐스터 프레임(330)이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대해 접힘동작되는 경우에 캐스터 프레임(330)의 내측공간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삽입되면서 접힘동작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은 상기 캐스터(360)의 전체 또는 후면부분이 내부로 수용되어 외부노출이 차단되도록 하방 또는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캐스터(360)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 또는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로터베이터나 써레판과의 접촉을 차단시켜 주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후술되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캐스터 브라켓은 캐스터의 후면부분만이 수용되어 커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형태이고, 제4실시예의 캐스터 브라켓은 캐스터 전체가 수용되어 커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써레 받침부재는 여러가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4가지 구조로 구성하였다.
제1실시예의 써레 받침부재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써레 받침부재의 구조는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써레연결대(100)에 설치되어 있고, 캐스터 프레임(330)이 캐스터 브라켓(310)의 형성부위까지 길게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1고정축(326)으로 지지프레임(320)과 함께 캐스터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에 캐스터 브라켓(31)에 형성된 제1고정홀(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고정홀(3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써레 받침부재는 미사용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 프레임(330)을 지지프레임(320)에 접혀지게 함은 물론 지지프레임(320)을 써레연결대(100)에 접혀지게 한 상태에서 프레임 고정축(350)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제1고정축(326)의 결합을 위해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4고정홀(331)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을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320)과 캐스터 프레임(330)의 접힘동작 상태가 유지된다.
제2실시예의 써레 받침부재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써레 받침부재의 구조는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써레연결대(100)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프레임(320)이 캐스터 브라켓(310)에 제1고정축(326)으로 고정되어 있고, 캐스터 프레임(330)은 제1실시예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캐스터 프레임의 일측 단부가 지지프레임(320)에 제2고정축(336)으로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지지프레임(320)의 타측에 제2고정축(336)의 결합을 위해 제3고정홀(323)이 형성되어 있고,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에는 제4고정홀(3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써레 받침부재는 미사용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 프레임(330)을 지지프레임(320)에 접혀지게 함은 물론 지지프레임(320)을 써레연결대(100)에 접혀지게 한 상태에서 프레임 고정축(350)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제2고정축(336)의 결합을 위해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4고정홀(331)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을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320)과 캐스터 프레임(330)의 접힘동작 상태가 유지된다.
제3실시예의 써레 받침부재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써레 받침부재의 구조는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캐스터 프레임(330)이 캐스터 브라켓(310)의 형성부위까지 길게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1고정축(326)으로 지지프레임(320)과 함께 캐스터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써레 받침부재는 미사용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 프레임(330)을 지지프레임(320)에 접혀지게 함은 물론 지지프레임(320)을 써레연결대(100)에 접혀지게 한 상태에서 프레임 고정축(350)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제1고정축(326)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고정홀(321)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0)을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게 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단부가 써레연결대(100)의 하면에 지지되면서 캐스터 프레임(330)의 접힘동작 상태가 유지된다.
제4실시예의 써레 받침부재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써레 받침부재의 구조는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의 전방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캐스터 프레임(330)이 캐스터 브라켓(310)의 형성부위까지 길게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1고정축(326)으로 지지프레임(320)과 함께 캐스터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 고정축(350)의 결합을 위해 제5고정홀(3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써레 받침부재는 미사용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 프레임(330)을 지지프레임(320)에 접혀지게 함은 물론 지지프레임(320)을 써레연결대(100)에 접혀지게 한 상태에서 프레임 고정축(350)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제5고정홀(332)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을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320)과 캐스터 프레임(330)의 접힘동작 상태가 유지된다.
제4실시예의 캐스터 브라켓(310)은 캐스터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캐스터(360)가 수용될 경우에 캐스터 축이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캐스터 브라켓(310)에는 축 안내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스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캐스터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시에는 접혀져 있는 지지프레임과 캐스터 프레임을 펼쳐 고정하여 사용하면 되고, 미사용시에는 캐스터 프레임을 지지프레임에 접어지게 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을 회동시켜 접어지게 한 상태로 고정해 놓으면 된다.
이때, 캐스터가 로터베이터가 구비된 방향이 아닌 써레판이 구비된 방향과 근접되게 위치되어 짐으로써 써레작업 중 후방충돌 등으로 외부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캐스터가 로터베이터와 접촉될 가능성이 없어 로터베이터에 짓눌려 발생될 수 있는 캐스터의 손상이나 파손을 원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써레연결대 200: 써레판
250: 실린더 300: 써레 받침부재
310: 캐스터 브라켓 311: 제1힌지홀
312: 제1고정홀 315: 축 안내홈
320: 지지프레임 321: 제2고정홀
322: 제2힌지홀 323: 제3고정홀
324: 제1힌지축 고정홀 325: 제1힌지축
326: 제1고정축 330: 캐스터 프레임
331: 제4고정홀 332: 제5고정홀
333: 제2힌지축 고정홀 335: 제2힌지축
336: 제2고정축 340: 고정브라켓
341: 프레임 고정홀 350: 프레임 고정축
360: 캐스터

Claims (7)

  1.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상부 또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써레연결대(100)와, 상기 써레연결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실린더(25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써레판(200)과,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써레판(200)에 설치되어 써레를 받쳐주는 써레 받침부재(3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는,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써레판(200)에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제1힌지홀(311)과 제1고정홀(312)이 형성된 캐스터 브라켓(310);
    상기 제1힌지홀(311)과 제1고정홀(312)에 일측 단부가 각각 제1힌지축(325)과 제1고정축(326)으로 결합되어 제1고정축(326)의 결합유무에 따라 회동되거나 또는 고정되게 구비되며, 타측 단부에 제2힌지홀(322)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320);
    상기 제2힌지홀(322)에 제2힌지축(335)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되도록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에 제1고정축(326)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제2고정축(336)으로 고정되는 캐스터 프레임(330);
    상기 써레연결대(100) 또는 캐스터 브라켓(3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표면에 프레임 고정홀(34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40);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캐스터 프레임(300) 또는 지지프레임(320)을 상기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축(350);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캐스터(3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의 폭은 지지프레임(320)과 캐스터 프레임(330)의 폭보다 넓고,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폭은 지지프레임(32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대해 캐스터 프레임이 접힘동작되는 경우에 캐스터 프레임(330)의 내측공간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삽입되면서 접혀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은 상기 캐스터(360)의 전체 또는 후면부분이 내부로 수용되어 외부노출이 차단되도록 하방 또는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캐스터(360)가 로터베이터 또는 써레판과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써레연결대(100)에 설치되고,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캐스터 브라켓(310)의 형성부위까지 길게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1고정축(326)으로 지지프레임(320)과 함께 캐스터 브라켓(3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에는 캐스터 브라켓(31)에 형성된 제1고정홀(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고정홀(331)이 형성되며,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의 미사용 시, 상기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4고정홀(331)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캐스터 프레임(330)을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써레연결대(100)에 설치되고,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가 제2고정축(336)으로 지지프레임(32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타측과 캐스터 프레임(330)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제2고정축(336)의 결합을 위해 제3고정홀(323)과 제4고정홀(331)이 형성되며,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의 미사용 시, 상기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4고정홀(331)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캐스터 프레임(330)을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경우,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의 미사용 시, 상기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축(326)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고정홀(321)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0)을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40)이 상기 캐스터 브라켓(310)의 전방 중간부분에 설치된 경우,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의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 고정축(350)의 결합을 위해 제5고정홀(332)이 형성되며,
    상기 써레 받침부재(300)의 미사용 시, 상기 프레임 고정축(350)은 상기 캐스터 프레임(330)이 지지프레임(320)에 접힘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5고정홀(332)을 통해 프레임 고정홀(341)에 끼움결합되어 캐스터 프레임(330)을 고정브라켓(340)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KR1020210002137A 2021-01-07 2021-01-07 트랙터용 써레 KR10250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37A KR102500244B1 (ko) 2021-01-07 2021-01-07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37A KR102500244B1 (ko) 2021-01-07 2021-01-07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810A true KR20220099810A (ko) 2022-07-14
KR102500244B1 KR102500244B1 (ko) 2023-02-16

Family

ID=8240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137A KR102500244B1 (ko) 2021-01-07 2021-01-07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2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696Y1 (ko) * 1989-10-04 1992-06-08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컴퓨터용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loppy disk drive)의 아답터 카드(adapter card)
KR20130085789A (ko) * 2012-01-20 2013-07-30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20150107463A (ko) 2014-03-14 2015-09-23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20160041219A (ko) * 2014-10-07 2016-04-18 정미영 써레용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696Y1 (ko) * 1989-10-04 1992-06-08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컴퓨터용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loppy disk drive)의 아답터 카드(adapter card)
KR20130085789A (ko) * 2012-01-20 2013-07-30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101347330B1 (ko) 2012-01-20 2014-01-02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20150107463A (ko) 2014-03-14 2015-09-23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20160041219A (ko) * 2014-10-07 2016-04-18 정미영 써레용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244B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6445B1 (en) Movable modular vehicle barrier
US6761228B2 (en) Locking wing lift mechanism for farm implements
KR101472066B1 (ko) 트랙터용 써레
US6206105B1 (en) Forwardly folding tool bar
CA2749704C (en) Three-point linkage systems
US6213219B1 (en) Compact hinge assembly for a folding implement
KR20220099810A (ko) 트랙터용 써레
US9554500B2 (en) Gravitational latch for wing lift wheels
KR101796278B1 (ko) 트랙터용 써레
US7010874B2 (en) Mounting frame unit for attaching working implements to a tractor body
EP2140748B1 (en) Tractor hitches
JP2013193617A (ja) コンテナの緊締装置
JP4387006B2 (ja) プラウ作業機などの農作業機
KR100863694B1 (ko) 차량용 토잉장치
JP3766611B2 (ja) トラクタ
EP2141978B1 (en) Device for frontmounting of an implement on a vehicle
US3580341A (en) Dozer for a farm tractor
FR1274580A (fr) Tracteur porte-outils agencé pour travaux publics
EP3569561B1 (en) Stabilizing leg to support and stabilize a motor vehicle
JP6076674B2 (ja) 代かき作業機
JP3418151B2 (ja) 農作業機
JP4532772B2 (ja) 農作業機
KR102650285B1 (ko) 작업기 연결유닛
KR20220006907A (ko)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JP2021094872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