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369A -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369A
KR20220099369A KR1020210001526A KR20210001526A KR20220099369A KR 20220099369 A KR20220099369 A KR 20220099369A KR 1020210001526 A KR1020210001526 A KR 1020210001526A KR 20210001526 A KR20210001526 A KR 20210001526A KR 20220099369 A KR20220099369 A KR 20220099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outer housing
rigidity
body part
module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명환
박주용
임지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369A/ko
Publication of KR20220099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은, 이차전지 셀을 보호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에워싸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강성 강화부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은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 금속을 단일 소재로 사용했을 때보다 강한 기계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철 금속을 단일 소재로 사용했을 때보다 무게가 절감되어 배터리가 장착되는 자동차의 연비 향상에 도움일 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BATTERY MODULE OUTER HOUSING}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외곽을 둘러싸서 모듈을 보호하는 하우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의 소재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하우징의 강성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하우징의 경량화 또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 대한 것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 또는 보조 전력장치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 더욱 고에너지 밀도의 이차전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차전지의 종류로서 종래에는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등의 니켈계 이차전지가 사용되었으나, 높은 작동 전압을 갖고 상기 니켈계 이차전지보다 약 3배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전지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구조를 가진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함침되어 있는 전해액을 포함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외장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캔형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가 금속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 케이스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되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통해 대용량의 전지팩을 구성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력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자동차와 ESS와 같은 장치에 이차전지가 이용되는 경우, 출력과 용량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이차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종래의 배터리 모듈의 경우 보편적으로 알루미늄 하우징을 통해 외곽 하우징을 구성한다. 알루미늄은 가볍다보니 차량 경량화 소재로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알루미늄의 기계적 성질, 특히 강성이 철에 비해 떨어지며 가격도 비싼 단점이 있다.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의 강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외부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받는 상황에서 알루미늄의 기계적 성질로서 버틸 수 있는 그 이상의 응력이 하우징에 발생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배터리 폭발 등의 큰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KR 10-108916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의 강성과 경량화를 동시에 갖추기 위해 최적화된 구조, 배치 및 재료 구성 비율을 갖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은, 이차전지 셀을 보호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에워싸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강성 강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서, 상기 본체부는 비철금속 또는 비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강화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서, 상기 본체부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 강화부는 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강성 강화부는 서로 브레이징 용접 또는 덧대기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 강화부는, 상기 돌출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홀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 강화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서, 상기 본체부에는 중공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강성 강화부는 상기 중공부에 인서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강성 강화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볼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서, 상기 볼트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강성 강화부를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볼트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볼트헤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서, 상기 볼트헤드부의 높이는 상기 안착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강성 강화부를 둘러싸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서, 상기 강성 강화부의 질량은 상기 본체부의 질량 대비 5% 내지 15%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은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 금속을 단일 소재로 사용했을 때보다 강한 기계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철 금속을 단일 소재로 사용했을 때보다 무게가 절감되어 배터리가 장착되는 자동차의 연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은 배터리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자동차의 연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이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분해도;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을 두께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의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을 두께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이 적용되는 배터리 모듈(m)의 분해도이다.
배터리 모듈(m)은 이차전지 셀(s)을 적층시켜 팩키징한 것으로서, 이차전지 셀(s)을 보호하고 작동시키기 위해 이차전지 셀(s)을 둘러싸는 많은 구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보면, 배터리 모듈(m)은 이차전지 셀(s)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p), 이차전지 셀을 위 아래로 덮는 커버(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은 배터리 모듈(m)의 측방향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 모듈(m)의 육면 어디든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은, 이차전지 셀(m)을 보호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셀(m)을 에워싸는 본체부(10) 및 상기 본체부(10)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강성 강화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서, 상기 본체부(10)는 비철금속 또는 비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강화부(2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서, 상기 본체부(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 강화부(20)는 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1)은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하우징(1)의 전체적인 프레임을 이룬다. 따라서 하우징(1)의 무게 중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강성 강화부(20)는 본체부(10)의 강성을 보조하기 위해 본체부(10)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0)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부(10)는 비철금속 또는 비금속(예를 들어, 플라스틱, 폴리머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성 강화부(2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하우징(1)에서 강성 강화부(20)가 본체부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하에 재질의 선택이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본체부(10)는 비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금속은 배터리 모듈(m)의 경량화 달성을 고려하여 보편적으로 알루미늄을 많이 사용한다. 강성 강화부(20)는 본체부(10)보다 강성이 강한 금속이 채택되며, 그에 따라 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하우징(1)을 AA'라인을 따라 잘랐을 때 두께 방향의 단면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2와 같이 하우징(1)의 단면이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가 서로 층을 이루며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본체부(10)의 내측에 강성 강화부(20)가 인서트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0)의 외측으로 강성 강화부(20)가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체부(10)의 외측으로 강성 강화부(20)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성 강화부(20)가 철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절연처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서,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강성 강화부(20)는 서로 브레이징 용접 또는 덧대기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는 금속 접합 기술이 활용되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금속 접합 기술로는 브레이징 용접 구조용 접착제가 활용되는 브레이징 용접 또는 덧대기 용접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금속 접합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부와 강성 강화부를 접합할 수 있다면 이외의 접합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가 서로 면적이 1:1 인 상태로 용접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0)의 필요로 하는 부위에 부분적으로 강성 강화부(20)가 용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결합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 강화부(20)는, 상기 돌출 결합부(11)와 결합되도록 관통홀(21a)이 형성된 홀 결합부(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 강화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1)의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는 용접 방식이 아닌 결합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냅 핏(snap 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프레임을 구성하는 본체부(10)의 높이 중심에 강성 강화부(20)가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즉, 강성 강화부(20)가 하우징(1)의 중심에서 하우징(1)의 응력 한계치를 높여줌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하우징(1)의 파손 및 이차전지 셀(m)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의 결합 구조는 돌출 결합부(11)와 홀 결합부(21)가 서로 결합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돌출 결합부(11)와 홀 결합부(21)의 결합이 스냅 핏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결합부(11)는 본체부(10)에서 돌출 형성된다. 홀 결합부(21)는 강성 강화부(20)에 관통홀(21a)이 형성된 것이다. 즉, 돌출 결할부(11)가 홀 결합부(21)의 관통홀(21a)을 관통 결합하면서 스냅 핏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강성 강화부(20)가 본체부(10)의 높이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강성 강화부(20)가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면에 상세히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강성 강화부(20)는 본체부(10)의 길이중심(또는 폭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강성 강화부(20)는 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서, 상기 본체부(10)에는 중공부(12)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강성 강화부(20)는 상기 중공부(12)에 인서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은,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강성 강화부(20)를 동시에 관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볼트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AA'라인을 따라 절단된 하우징(1)의 단면을 두께방향으로 바라본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하우징(1)의 단면을 보면, 본 발명의 본체부(10)는 내측으로 공간이 비워진 중공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중공부(12)에 강성 강화부(20)를 인서트시킴으로써 하우징(1)의 강성을 보강하려는 것이다.
도 5를 보면, 볼트부(30)는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를 동시에 관통하여 이 둘을 서로 고정시킨다. 볼트부(30)의 재질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서, 상기 볼트부(30)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강성 강화부(20)를 관통하는 관통부(32) 및 상기 본체부(10)에 고정되는 볼트헤드부(31)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볼트헤드부(31)가 안착되는 안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서, 상기 볼트헤드부(31)의 높이는 상기 안착부(1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부(30)는 볼트헤드부(31)와 관통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32)는 통상 볼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를 관통한다. 이때 본체부(10)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는 안착부(13)가 형성되어, 안착부(13)에 볼트헤드부(31)가 배치됨으로써 볼트헤드부(31)는 본체부(10)에 고정된다.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볼트헤드(31)의 높이가 안착부(13)의 높이 이상이 되어 본체부(10)로부터 돌출되면, 모듈 간 조립 시 하우징(1)에서 일정 높이만큼 볼트헤드부(31)가 돌출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 간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볼트헤드부(31)의 높이는 안착부(1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 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은,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강성 강화부(20)를 둘러싸는 절연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1)에서, 상기 강성 강화부(20)의 질량은 상기 본체부(10)의 질량 대비 5% 내지 15%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절연부(미도시)는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부(미도시)는 본체부(10)와 강성 강화부(20)를 모두 둘러싸서 하우징(1)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의 구성 재료 구성 강성 한계 재질 비율 전체 무게
본체부 알루미늄 100% 84.7kN - 320g
본체부 + 강성 강화부 철 금속 + 알루미늄 121.4kN 알루미늄 10 : 철 금속 1 540g
본체부 + 강성 강화부 철 금속 + 알루미늄 101.3kN 알루미늄 20 : 철 금속 1 430g
본체부 + 강성 강화부 철 금속 + 알루미늄 140.7kN 알루미늄 10 : 철 금속 1.5 650g
본체부 철 금속 100% 183kN - 928g
표 1은 본 발명의 본체부(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강성 강화부는 철 금속으로 이루어질 때, 본 발명의 재질 구성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 강성 한계 및 전체 무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자동차 운행시 충격을 충분히 견디기 위해서 표 1에서의 강성 한계가 100kN 이상인 것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하우징(1) 자동차의 연비를 고려하여 하우징(1)의 전체 무게가 650g 이하의 경우인 것으로 한정하였다.
강성 강화부(20)의 철 금속의 비율이 본체부(10)의 알루미늄에 대해 질량 대비 10%인 경우가 강성 한계와 전체 무게를 고려하였을 때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강성 강화부(20)의 철 금속의 비율이 본체부(10)의 알루미늄에 대해 질량 대비 5%인 경우는 강성 한계가 100kN를 넘으면서 하우징(1)의 전체 무게가 650g 이하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하우징(1)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강성 강화부(20)의 철 금속의 비율이 본체부(10)의 알루미늄에 대해 질량 대비 15%인 경우는 하우징(1)의 무게가 위에서 정한 한계인 650g이며, 강성 한계가 100kN 이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우징(1)의 철 금속이 비율이 15% 이상을 초과하는 것은 지나치게 하우징(1)의 무게를 크게 만들기 때문에 자동차의 연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하우징(1)에서는 해당 비율이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우징(1)의 강성 강화부(20)의 질량은 본체부(10)의 질량 대비 5% 내지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m : 배터리 모듈
s : 이차전지 셀
1 :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10 : 본체부
11 : 돌출 결합부
12 : 중공부
13 : 안착부
20 : 강성 강화부
21 : 홀 결합부
21a : 관통홀
30 : 볼트부
31 : 볼트헤드부
32 : 관통부

Claims (11)

  1. 이차전지 셀을 보호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에워싸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비철금속 또는 비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강화부는 금속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 강화부는 철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강성 강화부는 서로 브레이징 용접 또는 덧대기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 강화부는, 상기 돌출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홀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 강화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중공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강성 강화부는 상기 중공부에 인서트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강성 강화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볼트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강성 강화부를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볼트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볼트헤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부의 높이는 상기 안착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강성 강화부를 둘러싸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11. 청구항 3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강화부의 질량은 상기 본체부의 질량 대비 5% 내지 15%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KR1020210001526A 2021-01-06 2021-01-06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KR20220099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26A KR20220099369A (ko) 2021-01-06 2021-01-06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26A KR20220099369A (ko) 2021-01-06 2021-01-06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369A true KR20220099369A (ko) 2022-07-13

Family

ID=8240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526A KR20220099369A (ko) 2021-01-06 2021-01-06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3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4481A (ko) 2023-01-17 2024-07-2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40115522A (ko) 2023-01-19 2024-07-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68B1 (ko) 2010-02-10 2011-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68B1 (ko) 2010-02-10 2011-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4481A (ko) 2023-01-17 2024-07-2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4407769A1 (en) 2023-01-17 2024-07-31 SK On Co.,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40115522A (ko) 2023-01-19 2024-07-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24006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400090B1 (ko)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20100119931A1 (en) Power storage unit
KR101305218B1 (ko) 중공 구조의 고정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08192551A (ja) バッテリパック構造
US10367175B2 (en) Multicavity battery module
US12036878B2 (en) Power supply device, vehicle having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KR20200064761A (ko)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605859B2 (en) Battery module and vehicle equipped with same
US11817593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provided with power supply device
KR20220099369A (ko) 배터리 모듈 외곽 하우징
KR101381098B1 (ko) 저속 충격 하중에 대한 손상성 및 수리성을 향상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US20220320661A1 (en) Vehicle battery pack unit and vehicle including same
JP2019050170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CN113646956A (zh) 电源装置和使用该电源装置的电动车辆以及蓄电装置、电源装置用紧固构件、电源装置的制造方法、电源装置用紧固构件的制造方法
JP2022520411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JP2013243140A (ja) 外部衝撃に対する安全性が改良された電池モジュール
CN103811793A (zh) 可再充电电池
US10629877B2 (en) Battery pack
KR20220021866A (ko) 배터리 모듈
KR20220102303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711017B1 (ko) 배터리 팩
KR20140003909A (ko) 저속 충격 하중에 대한 손상성 및 수리성을 향상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JP7524893B2 (ja) 蓄電装置
US20240079694A1 (en) Cell stack end caps for use within traction battery p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