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359A -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359A
KR20220099359A KR1020210001503A KR20210001503A KR20220099359A KR 20220099359 A KR20220099359 A KR 20220099359A KR 1020210001503 A KR1020210001503 A KR 1020210001503A KR 20210001503 A KR20210001503 A KR 20210001503A KR 20220099359 A KR20220099359 A KR 20220099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on chamber
water supply
pip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석
Original Assignee
김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석 filed Critical 김유석
Priority to KR1020210001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359A/ko
Publication of KR2022009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은,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오물을 하수구로 이송하는 변기본체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와 별도로 형성되고 오목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를 수집하는 오수 수집 챔버;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오수를 상기 좌변기와 연결된 하수구로 전달하는 배수 파이프; 상기 배수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수 수집 챔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급수 파이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환형관과, 상기 환형관과 연통되어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 및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급수 파이프에 세척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TOILET SYSTEM WITH EXTERNAL URINAL}
이 발명은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좌변기와 별도로 이루어진 소변기를 구비한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 및 남성이 소변을 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즉, 성인 남성이 선 자세로 소변을 볼 경우에는 소변이 좌변기에 고여 있는 물에 떨어지면서 튀어 올라 소변이 좌변기 주변으로 비산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유아는 키가 작아 좌변기에 앉거나 좌변기 앞에 서서 소변을 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성인 남성도 좌변기에 앉아서 소변을 보거나, 유아용 변기 시트를 좌변기에 별도로 설치하여 이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남성이 앉은 자세로 소변을 볼 경우 요도가 구부러져 소변 배출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고, 유아용 변기 시트를 사용하더라도 유아가 홀로 좌변기에 앉는 것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성인 남성 및 유아가 소변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구가 구비된 새로운 변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0487545 (2018.11.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인 남성 및 유아가 용이하게 소변을 볼 수 있는 소변기를 구비한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은, 오목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를 수집하는 오수 수집 챔버;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오수를 하수구로 전달하는 배수 파이프; 상기 배수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수 수집 챔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급수 파이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환형관과, 상기 환형관과 연통되어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 및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급수 파이프에 세척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 스위치;를 포함한다.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오물을 상기 하수구로 이송하는 변기본체를 포함하는 좌변기; 및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변기와 하수구 사이를 매개하여 오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며, 상기 배수 파이프와 연통되어 상기 배수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상기 하수구로 배출하는 씰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씰링모듈은, 상기 하수구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하부 플랜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 원판 형상의 걸림 플랜지; 및 일단부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림 플랜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내부로 액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되고, 그 타단에 상기 배수파이프가 연결되는 오수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부가 상기 좌변기의 물탱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세척수로서 공급받는 세척수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급수 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통제하며, 상기 급수 파이프는, 일단부가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오수 수집 챔버에 연결되며,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파이프의 일단부는 상기 오수파이프에 결합되되, 상기 오수파이프와 연통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급수 파이프의 일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급수 파이프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세척수 밸브가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10cm 이상 낮은 위치일 때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좌변기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 수집 챔버를 거치하되,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거치되도록 마련된 거치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거치모듈로부터 이탈된 이후,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거치모듈에 거치된 것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은, 성인 남성이 선 자세로 소변을 보거나, 유아가 소변을 볼 때 이용할 수 있는 별도의 소변기를 이용함으로써, 소변이 좌변기 주변에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변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의 씰링모듈과 좌변기의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은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의 씰링모듈과 좌변기의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의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은,
오목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를 수집하는 오수 수집 챔버(310)와, 오수 수집 챔버(31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오수를 하수구(S)로 전달하는 배수 파이프(330)와, 배수 파이프(3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오수 수집 챔버(31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340)와, 오수 수집 챔버(31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급수 파이프(34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환형관(312)과, 환형관(312)과 연통되어 오수 수집 챔버(310)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11) 및 오수 수집 챔버(310)의 위치에 따라 급수 파이프(340)에 세척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 스위치(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기(300)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소변기(300)는 바람직하게는 물탱크(110) 및 물탱크(1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오물을 하수구(S)로 이송하는 변기본체(120)를 포함하는 좌변기(100)와 동일한 하수구(S)에 오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되, 그 급수원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물탱크(110), 변기본체(120)를 포함하는 좌변기(1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하여 새로이 제작될 수도 있지만, 종래의 좌변기를 그대로 사용하되, 상기 오수 수집 챔버(310) 및 이에 연결되는 각 구성을 추가로 설치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좌변기(100)의 구조 자체는 S자 트랩을 활용한 일반적인 좌변기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자료가 공지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을 생략하도록 한다.
오수 수집 챔버(310)는 남성이 선 자세로 소변을 보기 위해 사용하거나, 유아가 좌변기 위에 오르지 않은 상태로 소변을 보기 위해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좌변기에 버리기에 부적합한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오수 수집 챔버(310)는 상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구체적인 형상은 상측이 절단된 구체나 다면체, 역원뿔대,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 중에 바람직하게는, 역원뿔 내지 역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변 등 오수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배수 파이프(330)는 오수 수집 챔버(310)에 투입된 오수를 하수구(S)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며, 급수 파이프(340)는 오수 수집 챔버(310)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오수 수집 챔버(310)를 세척하기 위한 구성이다.
배수 파이프(330)는 후술할 씰링모듈(200)에 형성된 오수 파이프(230)를 통해 하수구(S)로 연통되고, 급수 파이프(340)는 좌변기(100)의 물탱크(1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세척수 파이프(321)를 매개로 물탱크(110)와 연결된다. 이때, 필요나 설치 환경에 따라 급수 파이프(340)를 물탱크(110)에 접속시키지 않고, 별도의 상수도 배관에 직접 연결하여 깨끗한 물을 공급받는 방식을 사용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배수 파이프(330)와 급수 파이프(340)는 이중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 파이프는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두 파이프 모두 유연한 고무나 유연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어 오수 수집 챔버(310)의 각도 및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중관 형상으로 마련된 배수 파이프(330)와 급수 파이프(340) 중에서 배수 파이프(330)를 내관에, 급수 파이프를 외관에 배치한 이유는, 배수 파이프가 파열되어 오수가 유출되더라도, 이것이 직접적으로 바깥으로 유출되는 대신 급수 파이프 내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오수에 의한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배수 파이프(330)를 외관에 배치할 경우, 배수 파이프(330)가 파손되면 바로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오수가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오수 수집 챔버(310)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오수는 오수 수집 챔버(310)의 중앙부로 집약되어 배출되는데, 배수 파이프(330)를 내관에 설치하면 이렇게 모인 오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급수 파이프(340)의 일단부는 오수 파이프(230) 및 세척수 파이프(321)에 결합되는데, 이 중에서 오수 파이프(230)와는 연통되지 않고 세척수 파이프(321)에만 연통되도록, 세척수 파이프(321)의 타단부가 급수 파이프의 일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관(312)은 오수 수집 챔버(31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급수 파이프(34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세척노즐(311)은 환형관(312)과 연통되어 오수 수집 챔버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된다.
세척노즐(311)이 물을 분사하는 방향은 오수 수집 챔버(310)의 내측벽을 향하여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도록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물이 오수 수집 챔버(310)의 벽면을 세척하면서 그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 스위치(322)는 급수 파이프(340), 환형관(312) 및 세척노즐(311)을 거쳐 오수 수집 챔버(310)의 내부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러한 급수 스위치(322)를 이용함으로써, 오수 수집 챔버(310)에 필요할 때에만 세척용수를 공급하여 낭비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오수 수집 챔버(310)에 과도한 물이 공급되어 흘러 넘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급수 스위치(322)는 예를 들어 물탱크(110)와 세척수 파이프(321)의 결합부에 설치된 밸브일 수 있는 바, 이러한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세척수 파이프(321)에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앞서 급수 파이프(340)를 별도의 상수도 배관에 연결하였다면, 이러한 상수도 배관과 급수 파이프(340)의 결합부에 급수 스위치(3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씰링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좌변기(100)에서 배출되는 오물이 하수구(S)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좌변기(100)와 바닥면(F)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씰링모듈(200)은 좌변기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미도시)와 하수구(S) 사이를 매개하며, 특히 하수구(S) 내측면으로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하부 플랜지(210)와, 하부 플랜지(210)의 상단에서 바닥면(F)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 판재 형상의 걸림 플랜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 플랜지(220)는 환경에 따라 화장실 등 좌변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F)을 소정 범위 파낸 이후에 설치하여 바닥면(F)과 높이가 같도록 평탄화할 수도 있고, 바닥면(F) 위에 얹어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걸림 플랜지(220)가 바닥면(F) 위에 얹어지는 형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좌변기에 이와 대응되는 오목홈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오수 파이프(230)는 걸림 플랜지(2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일단부가 하부 플랜지(210)의 내부 공간에 개방되고, 타단부가 걸림 플랜지(220)의 상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는 단순히 L자의 형상으로 오수 파이프(230)가 표현되었지만, 필요할 경우 오수 파이프(230)의 소정 위치에 S자 트랩을 설치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오수 파이프(230)는 별도의 파이프를 가공하여 걸림 플랜지(220)의 내부에 삽입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걸림 플랜지(220)의 내부에 파이프 형상의 중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든지에 무관하게, 오수 파이프(230)는 소변기 (300)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하수구(S)로 전달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급수 스위치(322)는 오수 수집 챔버(310)가 세척수 파이프(321)의 일단부, 즉 급수 스위치(322)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세척수 파이프(321)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기압 환경 하에서 수면의 높이가 다른 두 챔버 사이를 파이프가 연결할 때, 두 챔버의 수면의 높이가 같아지도록 물이 유동하는 원리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오수 수집 챔버(310)가 급수 스위치(322)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면,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은 중력 및 대기압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세척수 파이프(321)를 거쳐 오수 수집 챔버(310)로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오수 수집 챔버(310)가 급수 스위치(322)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면, 오수 수집 챔버(31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나 압력이 저하되어 오수 수집 챔버(310) 내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기 어려워지거나, 오히려 물이 역류하여 세척수 파이프(321) 내의 물이 물탱크(110)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스위치(322)는 오수 수집 챔버(310)가 급수 스위치(322)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오수 수집 챔버(310)가 급수 스위치(322)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물을 공급함으로써, 한정된 물의 양으로 오수 수집 챔버(310)를 보다 확실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오수 수집 챔버(310)가 급수 스위치(322)보다 10cm 이상 낮은 위치일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 스위치(322)는 바람직하게 물탱크(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바, 물탱크(110)의 하단부부터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의 수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이에 10cm 이상의 간격을 추가로 둘 경우, 오수 수집 챔버(310)를 세척하기에 충분한 물의 압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급수 스위치(322)의 개방 시점을 보다 확실하게 설정하면서, 오수 수집 챔버(3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별도의 거치모듈(400)을 더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거치모듈(400)은 오수 수집 챔버(310)의 하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예를 들어 오수 수집 챔버(310)가 깔때기 형상일 경우, 거치모듈(400)은 링 형상의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지지대의 일측면에는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어 배수 파이프(330) 및 세척수 파이프(321)의 간섭 없이 오수 수집 챔버(3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모듈(400)은 상술한 지지대가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일체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기둥이나 지지 프레임 등이 지지대의 하부로 연장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거치모듈(400)에는 오수 수집 챔버(310)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센서(410)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감지센서(410)는 오수 수집 챔버(310)와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나, 오수 수집 챔버(310)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나, 비접촉식으로 적외선 등 빛을 이용하여 오수 수집 챔버(310)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센서 종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감지센서(410)를 이용하면, 오수 수집 챔버(310)를 포함하는 소변기(300)가 거치모듈(400)로부터 이탈된 이후, 다시 소변기(300)가 거치모듈(400)에 거치되는 것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급수 스위치(322)를 개방함으로써, 오수 수집 챔버(310)를 세척하기 위해 최적화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소변기(300)의 목적이나 오수 수집 챔버(310)의 용량 등, 필요에 따라 급수 스위치(322)의 개방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용도에 따른 최적화된 물의 양을 공급할 수도 있는 바, 소모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좌변기 110: 물탱크
120: 변기본체 121: 결합홈
122: 결합볼트 200: 씰링모듈
210: 하부 플랜지 220: 걸림 플랜지
230: 오수 파이프 240: 결합너트
300: 소변기 310: 오수 수집 챔버
311: 세척노즐 312: 환형관
321: 세척수 파이프 322: 급수 스위치
330: 배수 파이프 340: 급수 파이프
400: 거치모듈 410: 감지센서
F: 바닥면 S: 하수구

Claims (8)

  1. 상기 변기본체와 별도로 형성되고 오목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를 수집하는 오수 수집 챔버;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오수를 하수구로 전달하는 배수 파이프;
    상기 배수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수 수집 챔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급수 파이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환형관과, 상기 환형관과 연통되어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 및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급수 파이프에 세척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 스위치;를 포함하는,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오물을 상기 하수구로 이송하는 변기본체를 포함하는 좌변기; 및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변기와 하수구 사이를 매개하여 오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며, 상기 배수 파이프와 연통되어 상기 배수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상기 하수구로 배출하는 씰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씰링모듈은,
    상기 하수구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하부 플랜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 원판 형상의 걸림 플랜지; 및
    일단부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림 플랜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내부로 액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되고, 그 타단에 상기 배수파이프가 연결되는 오수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좌변기의 물탱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세척수로서 공급받는 세척수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급수 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통제하며,
    상기 급수 파이프는, 일단부가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오수 수집 챔버에 연결되며,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급수 파이프의 일단부는 상기 오수파이프에 결합되되, 상기 오수파이프와 연통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급수 파이프의 일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급수 파이프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개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세척수 밸브가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10cm 이상 낮은 위치일 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 수집 챔버를 거치하되,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거치되도록 마련된 거치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거치모듈로부터 이탈된 이후,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거치모듈에 거치된 것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KR1020210001503A 2021-01-06 2021-01-06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KR20220099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03A KR20220099359A (ko) 2021-01-06 2021-01-06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03A KR20220099359A (ko) 2021-01-06 2021-01-06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359A true KR20220099359A (ko) 2022-07-13

Family

ID=8240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503A KR20220099359A (ko) 2021-01-06 2021-01-06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3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45Y1 (ko) 2017-08-22 2018-11-21 정원모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45Y1 (ko) 2017-08-22 2018-11-21 정원모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186B1 (ko) 오물배출장치를 구비하는 소변기
US4137579A (en) Urine drain
US8082605B2 (en) Low flow hygienic apparatus and methods
KR101190006B1 (ko)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590158B1 (ko) 거품 세정식 양변기
JP2010007358A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JP3911000B1 (ja) 男子排尿補助具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KR102251074B1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KR20220099359A (ko)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KR20220099357A (ko)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JP5769682B2 (ja) 男性用水洗トイレ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985632B1 (ko) 악취차단트랩을 구비하는 소변기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KR20140000074A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남성 인식 소변기 세척장치
US20060230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toilet splash using water current and turbulence
KR102209000B1 (ko) 소변기
KR102237674B1 (ko) 소변기용 약품공급장치
KR102463540B1 (ko) 직수형 양변기
CN210086413U (zh) 一体式蹲便器
JP7227715B2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および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の洗浄方法
JP2004162505A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