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798A -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연소통 장착 지그 - Google Patents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연소통 장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798A
KR20220098798A KR1020227021402A KR20227021402A KR20220098798A KR 20220098798 A KR20220098798 A KR 20220098798A KR 1020227021402 A KR1020227021402 A KR 1020227021402A KR 20227021402 A KR20227021402 A KR 20227021402A KR 20220098798 A KR20220098798 A KR 2022009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ylinder
spacer
combustion
mount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7073B1 (ko
Inventor
사토루 히구치
세이타로 무라나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9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7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60Support structures; Attaching or mou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6Fastening of diaphragms or stator-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23Transition ducts between combustor cans and first stage of the turbine in gas-turbine engines; their cooling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0Mounting or supporting of plant; Accommodating heat expansion or cre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46Combustion chambers comprising an annular arrangement of several essentially tubular flame tubes within a common annular casing or within individual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13Parts of 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60Assembly methods
    • F05D2230/64Assembly methods using positioning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ing or centring, e.g. pins
    • F05D2230/644Assembly methods using positioning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ing or centring, e.g. pi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r the alignment, e.g. wedges or eccen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72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02Transport and handling during maintenance and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17Assembling combustion chamber liners or sub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서는, 준비 공정, 제1 접촉 유지 공정, 제2 접촉 유지 공정, 연소통 고정 공정을 실행한다. 준비 공정에서는, 둘레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1 연소통과 제2 연소통의 상호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서부를 구비하는 연소통 장착 지그를 준비한다. 제1 접촉 유지 공정에서는, 케이싱의 정지부에 장착된 상기 제1 연소통에 상기 스페이서부를 접촉시켜 둔다. 제2 접촉 유지 공정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부에 상기 제2 연소통을 접촉시켜 둔다. 연소통 고정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연소통과 상기 제2 연소통이 상기 스페이서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연소통을 상기 정지부에 장착한다.

Description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연소통 장착 지그
본 발명은, 연소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소통을 가스 터빈의 케이싱에 장착하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이 방법의 실행에 사용하는 연소통 장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3월 1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20-041675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가스 터빈은,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와, 압축 공기 중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연료 가스를 생성하는 복수의 연소기와, 연소 가스로 구동하는 터빈을 구비한다. 복수의 연소기는, 모두, 연료를 분사하는 버너와, 연료의 연소로 생성된 연소 가스를 터빈에 보내는 연소통(또는 미통(尾筒))을 갖는다. 터빈은,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터빈 로터와, 이 로터를 덮는 터빈 케이싱과, 복수의 정익렬(靜翼列)을 갖는다. 복수의 연소통은, 축선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터빈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연소통의 터빈 케이싱으로의 장착을 지원하는 조립 지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립 지원 장치는, 연소통의 기단부(하류 측부)를 파지하는 파지 장치를 갖는다. 이 조립 지원 장치는, 복수의 연소통 중, 하나의 연소통을 파지하고 있는 파지 장치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하나의 연소통을 터빈 케이싱 중 목적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하나의 연소통이 목적의 위치로 이동하면, 작업자는, 이 하나의 연소통을 터빈 케이싱 중 목적의 위치에 장착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1737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립 지원 장치를 이용해도, 하나의 연소통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연소통을, 하나의 연소통에 대한 둘레 방향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1mm 이하의 정밀도로 배치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립 지원 장치를 이용해도, 작업원이, 다른 연소통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해진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연소통을 터빈 케이싱에 장착하는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에 관한 일 양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이 연소통의 장착 방법이 적용되는 가스 터빈은,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주를 덮는 케이싱을 갖는 터빈과, 상기 케이싱 내로 연소 가스를 보내는 복수의 연소기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 중에서, 상기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과 축선 하류 측 중, 상기 축선 상류 측의 부분에 위치하는 정지부(靜止部)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연소기는, 각각, 연소 가스가 흐르는 연소통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연소기마다의 연소통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선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기 정지부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상기 연소통은, 모두,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제1 측과 둘레 방향 제2 측 중, 상기 둘레 방향 제1 측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둘레 방향 제2 측을 향하는 제2 측면을 갖는다.
이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서는, 복수의 상기 연소통 중,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1 연소통과 제2 연소통의 상호 간이며, 상기 제1 연소통 및 상기 제2 연소통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소통과 상기 제2 연소통의 상호 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서부를 구비하는 연소통 장착 지그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정지부에 장착된 상기 제1 연소통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 중에서, 상기 제1 연소통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스페이서부를 접촉시켜 두는 제1 접촉 유지 공정과, 상기 제1 접촉 유지 공정 중의 상기 스페이서부에, 상기 제2 연소통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측면 중에서, 상기 제2 연소통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를 접촉시켜 두는 제2 접촉 유지 공정과, 상기 제1 연소통과 상기 제2 연소통이 상기 스페이서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연소통을 상기 정지부에 장착하는 연소통 고정 공정을 실행한다.
본 양태에서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연소통과 제2 연소통의 사이에, 연소통 장착 지그의 스페이서부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제2 연소통을, 제1 연소통에 대한 둘레 방향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연소통을, 제1 연소통에 대한 둘레 방향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하기 위한 미세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거나, 또는, 이 미세 조정 작업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복수의 연소통을 터빈 케이싱에 장착하는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에 관한 일 양태의 연소통 장착 지그는,
이 연소통 장착 지그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은,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주를 덮는 케이싱을 갖는 터빈과, 상기 케이싱 내로 연소 가스를 보내는 복수의 연소기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 중에서, 상기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과 축선 하류 측 중, 상기 축선 상류 측의 부분에 위치하는 정지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연소기는, 각각, 연소 가스가 흐르는 연소통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연소기마다의 연소통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선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기 정지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연소통 장착 지그는, 복수의 상기 연소통 중,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이웃하는 2개의 연소통의 상호 간이며, 상기 2개의 연소통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연소통의 상호 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서부와 상기 스페이서부에 고정되며, 상기 스페이서부를 상기 정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부에 장착 가능한 스페이서 장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서부는, 제1 방향으로 뻗는다.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스페이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두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 유지부를 갖는다. 상기 스페이서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연소통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의 상기 연소통의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는, 상기 스페이서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端)에 고정되어 있다.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연소통과 제2 연소통의 사이에, 본 양태의 연소통 장착 지그의 스페이서부를 개재시킴으로써, 제2 연소통을, 제1 연소통에 대한 둘레 방향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연소통을, 제1 연소통에 대한 둘레 방향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하기 위한 미세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거나, 또는, 이 미세 조정 작업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의 연소통 장착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연소통을 터빈 케이싱에 장착하는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양태에서는, 제1 연소통과 제2 연소통의 사이이며 직경 방향 외측의 부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연소통과 제2 연소통의 사이이며 직경 방향 내측의 부분의 간격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할 수 있다. 본 양태에서는, 또한, 스페이서부의 단에 스페이서 장착부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하나의 연소통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연소통을, 하나의 연소통에 대한 둘레 방향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연소통을 터빈 케이싱에 장착하는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요부(要部)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VI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4에 연소통 장착 지그를 추가한 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연소통 장착 지그를 추가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스 터빈의 실시형태>
가스 터빈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은, 공기(A)를 압축하는 압축기(20)와, 압축기(20)로 압축된 공기(A) 중에서 연료(F)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G)를 생성하는 복수의 연소기(30)와, 연소 가스(G)에 의하여 구동하는 터빈(40)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20)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압축기 로터(21)와, 압축기 로터(21)를 덮는 압축기 케이싱(25)과, 복수의 정익렬(28)을 갖는다. 터빈(40)은,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터빈 로터(41)와, 터빈 로터(41)를 덮는 터빈 케이싱(45)과, 복수의 정익렬(48)을 갖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축선(Ar)이 뻗는 방향을 축선 방향(Da), 이 축선(Ar)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간단히 둘레 방향(Dc)으로 하고, 축선(Ar)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직경 방향(Dr)으로 한다. 또, 축선 방향(Da)의 일방 측을 축선 상류 측(Dau), 그 반대 측을 축선 하류 측(Dad)으로 한다. 또, 직경 방향(Dr)에서 축선(Ar)에 가까워지는 측을 직경 방향 내측(Dri), 그 반대 측을 직경 방향 외측(Dro)으로 한다.
압축기(20)는, 터빈(40)에 대하여 축선 상류 측(Dau)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 로터(21)와 터빈 로터(41)는, 동일 축선(Ar) 상에 위치하고, 서로 접속되어 가스 터빈 로터(11)를 이룬다. 이 가스 터빈 로터(11)에는, 예를 들면, 발전기(GEN)의 로터가 접속되어 있다. 가스 터빈은, 추가로, 중간 케이싱(16)을 구비한다. 이 중간 케이싱(16)은, 축선 방향(Da)에서, 압축기 케이싱(25)과 터빈 케이싱(4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 케이싱(25)과 중간 케이싱(16)과 터빈 케이싱(45)은, 서로 접속되어 가스 터빈 케이싱(15)을 이룬다.
압축기 로터(21)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 방향(Da)으로 뻗는 로터축(22)과, 이 로터축(22)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렬(23)을 갖는다. 복수의 동익렬(23)은, 축선 방향(Da)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동익렬(23)은, 모두,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2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동익렬(23)의 각 축선 하류 측(Dad)에는, 복수의 정익렬(28) 중 어느 하나의 정익렬(28)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정익렬(28)은, 압축기 케이싱(25)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정익렬(28)은, 모두,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정익(29)으로 구성되어 있다.
터빈 로터(4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 방향(Da)으로 뻗는 로터축(42)과, 이 로터축(42)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렬(43)을 갖는다. 복수의 동익렬(43)은, 축선 방향(Da)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동익렬(43)은, 모두,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동익렬(43)의 각 축선 상류 측(Dau)에는, 복수의 정익렬(48) 중 어느 하나의 정익렬(48)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정익렬(48)은, 터빈 케이싱(45)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정익렬(48)은, 모두,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정익(49)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정익(49)은, 모두, 직경 방향으로 뻗는 익체(49b)와, 익체(49b)의 직경 방향 외측(Dro)에 접속되어 있는 외측 슈라우드(49o)와, 이 익체(49b)의 직경 방향 내측(Dri)에 접속되어 있는 내측 슈라우드(49i)를 갖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복수의 정익렬(48) 중, 가장 축선 상류 측(Dau)의 정익렬(48)을 초단 정익렬(48f)로 한다. 또, 이 초단 정익렬(48f)을 구성하는 복수의 정익(49)을 각각 초단 정익(49f)으로 한다.
터빈 케이싱(45)은, 복수의 익환(47)과, 케이싱 본체(46)를 갖는다. 복수의 익환(47)은, 모두,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이다. 복수의 익환(47)의 각각은, 복수의 정익렬(48) 중 어느 하나의 정익렬(48)을 직경 방향 외측(Dro)으로부터 지지한다. 케이싱 본체(46)는, 복수의 익환(47)의 직경 방향 외측(Dro)에 위치하여, 복수의 익환(47)을 직경 방향 외측(Dro)으로부터 지지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복수의 익환(47) 중, 초단 정익렬(48f)을 지지하는 익환(47)을 초단 익환(47f)으로 한다.
로터축(42)의 외주 측과 터빈 케이싱(45)의 내주 측의 사이이며, 축선 방향(Da)에서 정익(49) 및 동익(44)이 배치되어 있는 환상(環狀)의 공간은, 연소기(30)로부터의 연소 가스(G)가 흐르는 연소 가스 유로를 이룬다. 이 연소 가스 유로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을 이루고, 축선 방향(Da)으로 길다.
복수의 연소기(30)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고, 중간 케이싱(16)에 장착되어 있다. 연소기(30)는, 연소통(또는 미통)(35)과, 이 연소통(35) 내에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버너(31)와, 복수의 버너(31)를 지지하는 버너 프레임(32)을 갖는다. 연소통(35) 내에서는, 연료(F)가 연소됨과 함께, 이 연소로 생성된 연소 가스(G)가 흐른다.
연소통(35)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기 축선(Ca) 둘레에 통상의 통(36)과, 외측 출구 플랜지(37o)와, 내측 출구 플랜지(37i)와, 제1 사이드 플랜지(38s1)와, 제2 사이드 플랜지(38s2)와, 케이싱 장착판(39)을 갖는다. 연소기 축선(Ca)은, 축선 방향(Da)의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통(36)도, 축선 방향(Da)의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통(36)의 축선 상류 측(Dau)의 형상은, 축선 방향(Da)에서 보아 대략 원형이다. 한편, 통(36)의 축선 하류 측(Dad)의 형상은, 축선 방향(Da)에서 보아 등변 사다리꼴 형상이다. 이 때문에, 통(36)의 축선 하류 측(Dad)의 부분은, 등변 사다리꼴의 2개의 밑변 중 긴 쪽의 밑변에 상당하는 외측 판(36o)과, 2개의 밑변 중 짧은 쪽의 밑변에 상당하는 내측 판(36i)과, 등변 사다리꼴의 2개의 빗변 중 일방의 빗변에 상당하는 제1 측판(36s1)과, 2개의 빗변 중 타방의 빗변에 상당하는 제2 측판(36s2)을 가져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등변 사다리꼴의 2개의 밑변 중의 긴 쪽의 밑변에 상당하는 외측 판(36o)과, 2개의 밑변 중 짧은 쪽의 밑변에 상당하는 내측 판(36i)은, 모두 평판이 아니라,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의 원호판이다. 또, 제2 측판(36s2)은,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제1 측(Dc1)과 둘레 방향 제2 측(Dc2) 중, 제1 측판(36s1)에 대하여 둘레 방향 제2 측(Dc2)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측판(36s1)의 외면 중에서, 연소 가스(G)에 접하는 내면과 반대 측의 외면은, 통(36)의 제1 측면(36sp1)을 형성한다. 또, 제2 측판(36s2)의 외면 중에서, 연소 가스(G)에 접하는 내면과 반대 측의 외면은, 통(36)의 제2 측면(36sp2)을 형성한다.
외측 출구 플랜지(37o)는, 통(36)의 외측 판(36o)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Dro)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내측 출구 플랜지(37i)는, 통(36)의 내측 판(36i)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Dri)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사이드 플랜지(38s1)는, 통(36)의 제1 측판(36s1)으로부터 둘레 방향 제1 측(Dc1)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랜지(38s2)는, 통(36)의 제2 측판(36s2)으로부터 둘레 방향 제2 측(Dc2)으로 돌출되어 있다. 케이싱 장착판(39)은, 외측 출구 플랜지(37o)보다 축선 상류 측(Dau)의 위치에서, 통(36)의 외측 판(36o)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Dro)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단 정익(49f)의 외측 슈라우드(49o)와 연소통(35)의 외측 출구 플랜지(37o)는, 외측 출구 시일(60o)로 접속되어 있다. 또, 초단 정익(49f)의 내측 슈라우드(49i)와 연소통(35)의 내측 출구 플랜지(37i)는, 내측 출구 시일(60i)로 접속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플랜지(38s1)는, 둘레 방향 제1 측(Dc1)을 향하는 제1 플랜지 측면(38sp1)과, 이 제1 플랜지 측면(38sp1)으로부터 둘레 방향 제2 측(Dc2)을 향하여 오목하고 직경 방향(Dr)으로 뻗는 제1 시일 홈(38sg1)을 갖는다. 이 제1 플랜지 측면(38sp1)은, 상술한 제1 측면(36sp1)에 있어서의 축선 하류 측(Dad)의 부분을 형성한다. 제2 사이드 플랜지(38s2)는, 둘레 방향 제2 측(Dc2)를 향하는 제2 플랜지 측면(38sp2)과, 이 제2 플랜지 측면(38sp2)으로부터 둘레 방향 제1 측(Dc1)을 향하여 오목하고 직경 방향(Dr)으로 뻗는 제2 시일 홈(38sg2)을 갖는다. 이 제2 플랜지 측면(38sp2)은, 상술한 제2 측면(36sp2)에 있어서의 축선 하류 측(Dad)의 부분을 형성한다. 제1 플랜지 측면(38sp1) 및 제2 플랜지 측면(38sp2)은, 모두 평면이다. 또, 제1 플랜지 측면(38sp1)의 직경 방향(Dr)의 길이(L1)와 제2 플랜지 측면(38sp2)의 직경 방향(Dr)의 길이(L1)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둘레 방향(Dc)에서 이웃하고 있는 2개의 연소통(35) 중, 둘레 방향 제1 측(Dc1)에 위치하고 있는 일방의 연소통(35)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과, 일방의 연소통(35)에 대하여 둘레 방향 제2 측(Dc2)에 위치하고 있는 타방의 연소통(35)의 제1 플랜지 측면(38sp1)은, 둘레 방향(Dc)으로 서로의 간격을 두고,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일방의 연소통(35)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과 타방의 연소통(35)의 제1 플랜지 측면(38sp1)의 둘레 방향(Dc)의 간격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d)(도 5 참조)이 설정되어 있다. 이 미리 정해진 간격(d)은, 예를 들면, 1mm~8mm 이다. 일방의 연소통(35)의 제2 시일 홈(38sg2)과 타방의 연소통(35)의 제1 시일 홈(38sg1)에는, 사이드 시일(시일 부재)(5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사이드 시일(52)로부터, 일방의 연소통(35)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과 타방의 연소통(35)의 제1 플랜지 측면(38sp1)의 사이의 간극을 시일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장착판(39)에는, 축선 방향(Da)으로 관통한 볼트 구멍(39h)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 구멍(39h)에는, 통 장착 볼트(51)의 축부가 삽통된다. 초단 익환(47f)에는, 이 초단 익환(47f)에서 축선 상류 측(Dau)을 향하는 상류 측 단면(47pu)으로부터 축선 하류 측(Dad)으로 파인 복수의 통 장착 나사 구멍(47ha)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 장착 나사 구멍(47ha)은,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다. 연소통(35)은, 케이싱 장착판(39)의 볼트 구멍(39h)에 삽통되고, 초단 익환(47f)의 통 장착 나사 구멍(47ha)에 끼워 넣어진 통 장착 볼트(51)에 의하여, 초단 익환(정지부)(47f)에 장착되어 있다.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연소통 장착 지그의 실시형태>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연소통 장착 지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7~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소통 장착 지그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연소통 장착 지그(70)는, 스페이서부(71)와, 스페이서 장착부(75)와, 지그 장착 볼트(81)와, 인발(引拔) 금구(82)를 갖는다.
스페이서부(71)는, 스페이서부(71)는, 직사각형 판이다. 여기에서, 이 직사각형 판의 장변이 뻗는 방향을 제1 방향(D1), 이 직사각형 판의 두께 방향을 제2 방향(D2), 이 직사각형 판의 단변이 뻗는 방향을 제3 방향(D3)으로 한다. 또한, 제1 방향(D1), 제2 방향(D2), 제3 방향(D3)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다. 직사각형 판인 스페이서부(71)에서, 제2 방향(D2)에서 서로 상반되는 측을 향하고 있는 2개의 면 중, 일방이 제1 접촉면(73a)을 이루고, 타방이 제2 접촉면(73b)을 이룬다.
스페이서부(71)는, 둘레 방향(Dc)에서 이웃하는 2개의 연소통(35) 중 일방의 연소통(35)의 제2 측면(36sp2)과 타방의 연소통(35)의 제1 측면(36sp1)의 둘레 방향(Dc)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d)으로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72)를 갖는다. 이 스페이서부(71)의 제2 방향(D2)의 치수인 스페이서부(71)의 두께(t1), 바꾸어 말하면, 제1 접촉면(73a)과 제2 접촉면(73b)의 간격은,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치수이다. 또한,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치수란, 미리 정해진 간격(d)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부(71) 전체가, 간격 유지부(72)가 된다.
이 스페이서부(71)의 제1 방향(D1)의 길이(L2)는, 각 연소통(35)에 있어서의 제1 플랜지 측면(38sp1) 및 제2 플랜지 측면(38sp2)의 직경 방향(Dr)의 길이(L1)보다 길다.
스페이서 장착부(75)는, 슬릿(76)과, 볼트 삽통 구멍(78)과, 나사 구멍(79)을 갖는다. 슬릿(76)은, 제1 방향(D1)으로 파인 노치이다. 스페이서부(71)의 제1 방향(D1)의 단은, 스페이서 장착부(75)의 슬릿(76)에 삽입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부(71)의 제1 방향(D1)의 단부는, 슬릿(76)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부(77)에 의하여, 스페이서 장착부(75)에 고정되어 있다.
스페이서부(71)는, 연소통(35)과의 접촉으로 마모되기 쉽다. 이 때문에,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반복 사용하고 있으면, 스페이서부(71)의 두께가 얇아져, 2개의 연소통(35)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스페이서부(71)는,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71)와 스페이서 장착부(75)를 별도 부품으로서 제조하고, 그 후, 양 부품을 용접으로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 장착부(75)로부터, 스페이서부(71)를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이 스페이서부(71)를 교환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부(71)의 단을 스페이서 장착부(75)의 슬릿(76)에 삽입하고 나서, 스페이서부(71)와 스페이서 장착부(75)를 용접하므로, 스페이서부(71)의 교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스페이서부(71)를 스페이서 장착부(75)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스페이서 장착부(75)의 나사 구멍(79)은, 제3 방향(D3)으로 파인 나사 구멍이다. 이 나사 구멍(79)에, 인발 금구(82)가 끼워 넣어진다. 볼트 삽통 구멍(78)은, 스페이서 장착부(75)를 제3 방향(D3)으로 관통하여, 지그 장착 볼트(81)의 축부가 삽통 가능한 구멍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단 익환(47f)에는, 이 초단 익환(47f)의 상류 측 단면(47pu)으로부터 축선 하류 측(Dad)으로 파인 복수의 지그 장착 나사 구멍(47hb)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지그 장착 나사 구멍(47hb)은,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다. 연소통 장착 지그(70)는, 스페이서 장착부(75)의 볼트 구멍(39h)에 삽통되고, 초단 익환(47f)의 지그 장착 나사 구멍(47hb)에 끼워 넣어진 지그 장착 볼트(81)에 의하여, 초단 익환(정지부)(47f)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인발 금구(82)의 대표적인 예는, 아이볼트이다. 즉, 인발 금구(82)는, 스페이서 장착부(75)에 장착 가능하며, 또한, 스페이서 장착부(75)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통(35)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내는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준비한다(S1: 준비 공정).
다음으로, 복수의 연소통(35) 중, 어느 하나의 연소통(35)을 기준 연소통(35)으로 하고, 이 기준 연소통(35)을 초단 익환(정지부)(47f)에 장착한다(S2: 기준 연소통의 고정 공정). 이때, 기준 연소통(35)에 있어서의 케이싱 장착판(39)의 볼트 구멍(39h)에, 통 장착 볼트(51)를 삽통시킨다. 그리고, 초단 익환(47f)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통 장착 나사 구멍(47ha) 중, 초단 익환(47f) 중에서, 이 기준 연소통(35)을 장착하는 장착 영역에 존재하는 통 장착 나사 구멍(47ha)에, 이 통 장착 볼트(51)를 끼워 넣는다.
다음으로,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단 익환(47f)에 장착된 기준 연소통(35)을 제1 연소통(35a)으로 하고, 이 제1 연소통(35a)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에,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스페이서부(71)를 접촉시켜 둔다(S3: 제1 접촉 유지 공정). 이 제1 접촉 유지 공정 (S3)은, 지그 배치 행정 (S3a)와 지그 장착 공정 (S3b)를 포함한다.
지그 배치 행정 (S3a)에서는,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제1 접촉면(73a)이 제1 연소통(35a)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에 접촉하도록,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배치한다. 또한, 제2 플랜지 측면(38sp2)은, 이 제1 연소통(35a)에 있어서의, 제2 측면(36sp2) 중에서, 제1 연소통(35a)의 축선 방향(Da)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면이다. 지그 장착 공정 (S3b)에서는,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제1 접촉면(73a)이 제1 연소통(35a)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초단 익환(정지부)(47f)에 장착한다. 이때,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볼트 삽통 구멍(78)에, 지그 장착 볼트(81)의 축부를 삽통시킨다. 그리고, 초단 익환(47f)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지그 장착 나사 구멍(47hb) 중, 제1 익환(47) 중에서, 제1 연소통(35a)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에 접촉시키는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장착하는 장착 영역에 존재하는 지그 장착 나사 구멍(47hb)에, 이 지그 장착 볼트(81)를 끼워 넣는다. 이상으로, 제1 접촉 유지 공정 (S3)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제1 접촉 유지 공정 (S3) 중의 연소통 장착 지그(70), 즉 제1 연소통(35a)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연소통 장착 지그(70)에, 둘레 방향(Dc)에서 제1 연소통(35a)에 이웃시키는 제2 연소통(35b)을 접촉시킨다(S4: 제2 접촉 유지 공정).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스페이서부(71)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이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스페이서부(71)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연소통(35b)을 제1 익환(정지부)(47)에 장착한다(S5: 연소통 고정 공정). 이때, 상술한 기준 연소통(35)의 고정 공정 (S2)와 동일하게, 제2 연소통(35b)의 케이싱 장착판(39)의 볼트 구멍(39h)에, 통 장착 볼트(51)를 삽통시킨다. 그리고, 초단 익환(47f)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통 장착 나사 구멍(47ha) 중, 초단 익환(47f)의 상류 측 단면(47pu) 중에서, 이 제2 연소통(35b)을 장착하는 장착 영역에 존재하는 통 장착 나사 구멍(47ha)에, 이 통 장착 볼트(51)를 끼워 넣는다.
다음으로, 초단 익환(47f)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에 접촉하고 있는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스페이서부(71)가,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존재하지 않게 되도록,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이동시킨다(S6: 지그 제거 공정). 이때,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제1 익환(47)에 장착하고 있던 지그 장착 볼트(81)를, 제1 익환(47) 및 연소통 장착 지그(70)로부터 떼어낸다.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축선 하류 측(Dad)에는, 제1 익환(47) 등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축선 상류 측(Dau)으로 이동시킨다.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이동시킬 때, 연소통 장착 지그(70)와 제1 연소통(35a)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및, 연소통 장착 지그(70)와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커서,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스페이서 장착부(75)에 인발 금구(82)를 장착한다. 그리고, 이 인발 금구(82)에 와이어 등을 걸어, 이 와이어 등을 축선 상류 측(Dau)으로 당김으로써,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축선 상류 측(Dau)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다음에 초단 익환(47f)에 장착하는 연소통이 마지막 연소통(35)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7).
S7에서, 작업자는, 다음에 초단 익환(47f)에 장착하는 연소통이 마지막 연소통(35)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S3으로 되돌아가, S3~S6의 각 공정을 실행한다. S3으로 되돌아갔을 때, 작업자는, 연소통 고정 공정 (S5)에서 초단 익환(47f)에 장착한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으로 하고, 제1 접촉 유지 공정 (S3)을 실행한다.
S7에서, 작업자는, 다음에 초단 익환(47f)에 장착하는 연소통이 마지막 연소통(35)이라고 판단하면, 이 마지막 연소통(35)을 제1 익환(정지부)(47)에 장착한다(S8: 마지막 연소통의 고정 공정). 마지막 연소통(35)을 초단 익환(47f)에 장착하기 직전에는, 이 마지막 연소통(35)을 장착하는 영역의 둘레 방향 제1 측(Dc1)에, 제1 익환(47)에 장착되어 있는 연소통(35)(이하, 제1 측 연소통(35)으로 한다)가 존재함과 함께, 이 마지막 연소통(35)을 장착하는 영역의 둘레 방향 제2 측(Dc2)에도, 제1 익환(47)에 장착되어 있는 연소통(35)(이하, 제2 측 연소통(35)으로 한다)이 존재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지막 연소통(35)과, 그 전에 제1 익환(47)에 장착하는 연소통(35)의 사이에, 연소통 장착 지그(70)를 배치하지 않고, 마지막 연소통(35)을, 제1 측 연소통(35)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측 연소통(35)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마지막 연소통(35)의 둘레 방향(Dc)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면서, 이 마지막 연소통(35)을 제1 익환(47)에 장착한다.
마지막 연소통(35)의 고정 공정 (S8)이 종료되면, 복수의 연소통(35)의 상호 간에 사이드 시일(52)을 배치한다(S9: 사이드 시일 배치 행정). 이때, 둘레 방향(Dc)에서 이웃하는 하나의 연소통(35)의 제1 시일 홈(38sg1)과 다른 연소통(35)의 제2 시일 홈(38sg2)에 하나의 사이드 시일(52)을 직경 방향 외측(Dro)으로부터 삽입하여, 이 사이드 시일(52)을 양 연소통(35) 사이에 배치한다.
이상으로, 제1 익환(47)에 대한 복수의 연소통(35)의 장착이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스페이서부(71)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하기 위한 미세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거나, 또는, 이 미세 조정 작업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연소통(35)을 터빈 케이싱(45)에 장착하는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에서 제2 시일 홈(38sg2)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제2 연소통(35b)에서 제1 시일 홈(38sg1)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사이의 둘레 방향(Dc)의 간격을, 고정밀도로, 미리 정해진 간격(d)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 시일(52)에 의한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연소통(35b)은, 복수의 연소통(35) 중,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제1 연소통(35a)의 옆이며, 제1 연소통(35a)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연소통(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연소통(35a)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에 접촉시키는 연소통 장착 지그(70)에는,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가 제1 연소통(35a)의 제2 플랜지 측면(38sp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제1 연소통(35a)에 대한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접촉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제2 접촉면(73b)에 접촉시키는 제2 연소통(35b)에는, 이 제2 연소통(35b)이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제2 접촉면(73b)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연소통 장착 지그(70)에 대한 제2 연소통(35b)의 접촉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연소통(35)으로 함으로써,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연소통(35)으로 하는 경우, S2에서, 제1 익환(47)에 처음에 장착하는 연소통(35)인 기준 연소통(35)은, 제1 익환(47) 중에서 가장 아래의 위치에 장착하는 연소통(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익환(47)에 마지막에 장착하는 연소통(35)은, 제1 익환(47) 중에서 가장 위의 위치에 장착하는 연소통(35)이 된다.
<변형예>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형태의 각종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70)의 스페이서부(71)의 전체가 간격 유지부(72)이다. 그러나, 스페이서부의 일부가 간격 유지부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71a)는,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를 갖고, 이들이 스페이서부(71a)의 일부를 구성해도 된다.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는, 제1 방향(D1)으로 떨어져 있다. 단,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사이의 거리(L3)는, 각 연소통(35)에 있어서의 제1 플랜지 측면(38sp1) 및 제2 플랜지 측면(38sp2)의 직경 방향(Dr)의 길이(L1)보다 짧다.
제1 간격 유지부(72a) 및 제2 간격 유지부(72b)에서, 제2 방향(D2)에서 서로 상반되는 측을 향하고 있는 2개의 면 중, 일방이 제1 접촉면(73a)을 이루고, 타방이 제2 접촉면(73b)을 이룬다. 제1 간격 유지부(72a)에 있어서의 제1 접촉면(73a)과 제2 접촉면(73b)의 간격, 바꾸어 말하면, 제1 간격 유지부(72a)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치수인 두께(t1)는,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치수이다. 또, 제2 간격 유지부(72b)에 있어서의 제1 접촉면(73a)과 제2 접촉면(73b)의 간격, 바꾸어 말하면, 제2 간격 유지부(72b)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치수인 두께(t1)도,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치수이다.
스페이서부(71a) 중에서,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두께(t2)는, 제1 간격 유지부(72a) 및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제2 방향(D2)의 두께(t1)보다 좁다. 즉,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두께(t2)는, 미리 정해진 간격(d)보다 좁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의 연소통 장착 지그(70a)에서는, 스페이서부(71a)가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 사이에 끼워져 있을 때, 이 스페이서부(71a)와 제1 연소통(35a)의 접촉 면적, 이 스페이서부(71a)와 제2 연소통(35b)의 접촉 면적이, 상기 실시형태의 연소통 장착 지그(70)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로부터 연소통 장착 지그(70a)를 빼내기 쉬워진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71b)는,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와 제3 간격 유지부(72c)를 갖고, 이들이 스페이서부(71b)의 일부를 구성해도 된다.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는, 제1 방향(D1)으로 떨어져 있다. 단,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사이의 거리(L3)는, 각 연소통(35)에 있어서의 제1 플랜지 측면(38sp1) 및 제2 플랜지 측면(38sp2)의 직경 방향(Dr)의 길이(L1)보다 짧다. 또, 제3 간격 유지부(72c)는, 제1 방향(D1)에서,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간격 유지부(72c)의 제3 방향(D3)의 폭은, 제1 간격 유지부(72a)의 제3 방향(D3)의 폭 및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제3 방향(D3)의 폭의 폭보다 좁다.
제1 간격 유지부(72a), 제2 간격 유지부(72b), 및 제3 간격 유지부(72c)에서, 제2 방향(D2)에서 서로 상반되는 측을 향하고 있는 2개의 면 중, 일방이 제1 접촉면(73a)을 이루고, 타방이 제2 접촉면(73b)을 이룬다. 제1 간격 유지부(72a)에 있어서의 제1 접촉면(73a)과 제2 접촉면(73b)의 간격, 바꾸어 말하면, 제1 간격 유지부(72a)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치수인 두께(t1)는,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치수이다. 또, 제2 간격 유지부(72b)에 있어서의 제1 접촉면(73a)과 제2 접촉면(73b)의 간격, 바꾸어 말하면, 제2 간격 유지부(72b)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치수인 두께(t1)도,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치수이다. 또한, 제3 간격 유지부(72c)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치수인 두께(t1)도,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치수이다.
스페이서부(71b) 중에서,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사이에서, 제3 간격 유지부(73c)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두께(t2)는, 제1 간격 유지부(72a), 제2 간격 유지부(72b), 및 제3 간격 유지부(72c)의 제2 방향(D2)의 두께(t1)보다 좁다. 즉, 이 부분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두께(t2)는, 미리 정해진 간격(d)보다 좁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의 연소통 장착 지그(70b)에서도, 스페이서부(71b)가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 사이에 끼워져 있을 때, 이 스페이서부(71b)와 제1 연소통(35a)의 접촉 면적, 이 스페이서부(71b)와 제2 연소통(35b)의 접촉 면적이, 상기 실시형태의 연소통 장착 지그(70)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도,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로부터 연소통 장착 지그(70b)를 빼내기 쉬워진다.
각 지그 제거 공정 (S6)에 있어서,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축선 상류 측(Dau)으로 빼내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는, 인발 금구(8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스페이서 장착부(75)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79)은, 불필요해진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제2 연소통(35b)을 제1 익환(47)에 장착할 때마다, 지그 제거 공정 (S6)을 실행한다. 그러나, 모든 연소통(35)을 제1 익환(47)에 장착한 후에, 지그 제거 공정 (S6)을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제2 연소통(35b)을 제1 익환(47)에 장착할 때마다,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이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준비 공정 (S1)에서 복수의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연소통(35)을 제1 익환(47)에 장착한 후에, 사이드 시일 배치 행정 (S9)를 실행한다. 그러나, 하나의 제2 연소통(35b)을 제1 익환(47)에 장착할(연소통 고정 공정 (S5)) 때마다, 사이드 시일 배치 행정 (S9)를 실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연소통(35)의 고정 공정 (S2, S5, S8)에서는, 터빈 케이싱(4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익환(정지부)(47)에 연소통(35)을 직접 장착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지그 장착 공정 (S3b)에서는, 터빈 케이싱(4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익환(47)에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직접 장착한다. 그러나, 연소통(35)이나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의 장착 대상은, 터빈 케이싱(45) 중에서 축선 상류 측(Dau)의 부분에 위치하는 부재이면, 제1 익환(47)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연소통(35)이나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의 장착 대상은, 제1 익환(47)에 장착되어 있는 부품이어도 된다. 이 경우, 연소통(35)이나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의 장착 대상은,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을 이루고, 이 부품과 제1 익환(47)을 갖는 환부(정지부)라고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접촉 유지 공정 (S3)에서, 제1 연소통(35a)에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접촉시키는 지그 배치 행정 (S3a)과,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제1 익환(47)에 장착하는 지그 장착 공정 (S3b)를 실행한다. 그러나,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제1 익환(47)에 장착하지 않고, 제1 연소통(35a)에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접촉시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이 지그 장착 공정 (S3b)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연소통(35a)에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접촉시킨 후, 이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지지해도 된다. 이 경우,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의 스페이서 장착부(75)가 불필요해진다. 단, 지그 장착 공정 (S3b)를 실행하지 않고, 작업자가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유지하면, 제2 접촉 지지 행정 (S4) 중, 제2 연소통(35b)을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에 접촉시키는 작업에서,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지지하고 있는 작업자가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지그 장착 공정 (S3b)를 실행하는 것이 좋다.
<부기>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제1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이 연소통의 장착 방법이 적용되는 가스 터빈은,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41) 및 상기 로터(41)의 외주를 덮는 케이싱(45)을 갖는 터빈(40)과, 상기 케이싱(45) 내에 연소 가스(G)를 보내는 복수의 연소기(3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45)은, 상기 케이싱(45) 중에서, 상기 축선(Ar)이 뻗는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Dau)과 축선 하류 측(Dad) 중, 상기 축선 상류 측(Dau)의 부분에 위치하는 정지부(47f)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연소기(30)는, 각각, 연소 가스(G)가 흐르는 연소통(35)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연소기(30)마다의 연소통(35)은, 상기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선(Ar)에 대한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상기 정지부(47f)에 장착된다. 복수의 상기 연소통(35)은, 모두, 상기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제1 측(Dc1)과 둘레 방향 제2 측(Dc2) 중, 상기 둘레 방향 제1 측(Dc1)을 향하는 제1 측면(36sp1)과, 상기 둘레 방향 제2 측(Dc2)을 향하는 제2 측면(36sp2)을 갖는다.
이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서는, 복수의 상기 연소통(35) 중, 상기 둘레 방향(Dc)에서 이웃하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상호 간이며, 상기 제1 연소통(35a) 및 상기 제2 연소통(35b)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축선 방향(Da)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소통(35a)과 상기 제2 연소통(35b)의 상호 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서부(71, 71a)를 구비하는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 S1과, 상기 정지부(47f)에 장착된 상기 제1 연소통(35a)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36sp2) 중에서, 상기 제1 연소통(35a)의 상기 축선 방향(Da)에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스페이서부(71, 71a)를 접촉시켜 두는 제1 접촉 유지 공정 S3과, 상기 제1 접촉 유지 공정 S3 중의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에, 상기 제2 연소통(35b)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측면(36sp1) 중에서, 상기 제2 연소통(35b)의 상기 축선 방향(Da)에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를 접촉시켜 두는 제2 접촉 유지 공정 S4와, 상기 제1 연소통(35a)과 상기 제2 연소통(35b)이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연소통(35b)을 상기 정지부에 장착하는 연소통 고정 공정 S5를 실행한다.
본 양태에서는,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의 스페이서부(71, 71a)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하기 위한 미세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거나, 또는, 이 미세 조정 작업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복수의 연소통(35)을 터빈 케이싱(45)에 장착하는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2) 제2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 S1에서 준비하는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는,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에 고정되고, 상기 스페이서부(71, 71a)를 상기 정지부(47f)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부에 장착 가능한 스페이서 장착부(7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접촉 유지 공정 S3은, 상기 제1 연소통(35a)에 상기 스페이서부(71, 71a)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를 상기 정지부(47f)에 장착하는 지그 장착 공정 S3b를 포함한다.
제1 연소통(35a)에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접촉시킨 후, 이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지지해도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지지 하면, 제2 접촉 유지 행정 S4에서, 제2 연소통(35b)을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에 접촉시키는 작업 중,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지지하고 있는 작업자가 방해가 되어, 제2 접촉 유지 행정 (S4)에서의 작업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지그 장착 공정 S3b를 실행함으로써, 제2 접촉 유지 행정 (S4)에서의 작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3) 제3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 S1에서 준비하는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의 상기 스페이서부(71, 71a)는, 제1 방향(D1)으로 뻗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71, 71a)는,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인 제2 방향(D2)의 두께(t1)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간격 유지부(72)를 갖는다.
(4) 제4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상기 제3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의 상기 제1 방향(D1)의 길이(L2)는, 상기 연소통(35)의 상기 축선 방향(Da)에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연소통(35)의 상기 축선(Ar)에 대한 직경 방향(Dr)의 길이(L1)보다 길다.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는,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의 상기 제1 방향(D1)의 단에 고정되어 있다.
본 양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이며 직경 방향 외측(Dro)의 부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d)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이며 직경 방향 내측(Dri)의 부분의 간격도 미리 정해진 간격(d)으로 할 수 있다. 본 양태에서는, 또한, 스페이서부(71, 71a)의 단에 스페이서 장착부(75)를 고정할 수 있다.
(5) 제5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상기 제1 양태로부터 상기 제4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소통(35)의 상기 제1 측면(36sp1) 및 상기 제2 측면(36sp2)에는, 각각, 상기 축선(Ar)에 대한 직경 방향(Dr)으로 뻗어, 시일 부재(52)가 끼워지는 시일 홈(38sg1, 38sg2)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상기 연소통(35)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 방향(Da)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시일 홈(38sg1, 38sg2)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포함한다.
본 양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에서 시일 홈(38sg2)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제2 연소통(35b)에서 시일 홈(38sg1)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사이의 둘레 방향(Dc)의 간격을, 고정밀도로, 미리 정해진 간격(d)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양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재(52)에 의한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6) 제6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상기 제1 양태로부터 상기 제5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 고정 공정 S5 후에, 상기 정지부(47f)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1 연소통(35a)과 상기 제2 연소통(35b)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스페이서부(71, 71a)가, 상기 제1 연소통(35a)과 상기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존재하지 않게 되도록,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이동시키는 지그 제거 공정 S6을 실행한다.
(7) 제7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상기 제6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 제거 공정 S6에서는,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상기 축선 상류 측(Dau)으로 이동시킨다.
(8) 제8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상기 제6 양태 또는 상기 제7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 제거 공정 S6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에 인발 금구(82)를 장착하고, 상기 인발 금구(82)를 당겨,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이동시킨다.
본 양태에서는, 용이하게 지그 제거 행정 S6을 실행할 수 있다.
(9) 제9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은,
상기 제1 양태로부터 상기 제8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소통(35b)은, 복수의 상기 연소통(35) 중, 상기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연소통(35a)의 옆이며, 상기 제1 연소통(35a)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연소통(35)이다.
본 양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에 접촉시키는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에는,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가 제1 연소통(35a)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제1 연소통(35a)에 대한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의 접촉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양태에서는, 이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에 접촉시키는 제2 연소통(35b)에는, 이 제2 연소통(35b)이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에 대한 제2 연소통(35b)의 접촉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0) 제10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는,
이 연소통 장착 지그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은,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41) 및 상기 로터(41)의 외주를 덮는 케이싱(45)을 갖는 터빈(40)과, 상기 케이싱(45) 내에 연소 가스(G)를 보내는 복수의 연소기(3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45)은, 상기 케이싱(45) 중에서, 상기 축선(Ar)이 뻗는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Dau)과 축선 하류 측(Dad) 중, 상기 축선 상류 측(Dau)의 부분에 위치하는 정지부(47f)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연소기(30)는, 각각, 연소 가스(G)가 흐르는 연소통(35)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연소기(30)마다의 연소통(35)은, 상기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선(Ar)에 대한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상기 정지부(47f)에 장착되어 있다.
이 연소통 장착 지그는, 복수의 상기 연소통(35) 중, 상기 둘레 방향(Dc)에서 이웃하는 2개의 연소통(35)의 상호 간이며, 상기 2개의 연소통(35)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축선 방향(Da)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2개의 연소통(35)의 상호 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d)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서부(71, 71a)와,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에 고정되며, 상기 스페이서부(71, 71a)를 상기 정지부(47f)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부(47f)에 장착 가능한 스페이서 장착부(75)를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서부(71, 71a)는, 제1 방향(D1)으로 뻗고, 상기 스페이서부(71, 71a)는,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인 제2 방향(D2)의 두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d)에 대응하는 간격 유지부(72)를 갖는다.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의 상기 제1 방향(D1)의 길이(L2)는, 상기 연소통(35)의 상기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의 상기 연소통(35)의 상기 축선(Ar)에 대한 직경 방향(Dr)의 길이(L1)보다 길다.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는,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의 상기 제1 방향(D1)의 단에 고정되어 있다.
둘레 방향(Dc)에 있어서의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에, 본 양태의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의 스페이서부(71, 71a)를 개재시킴으로써,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연소통(35b)을, 제1 연소통(35a)에 대한 둘레 방향(Dc)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하기 위한 미세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거나, 또는, 이 미세 조정 작업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의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연소통(35)을 터빈 케이싱(45)에 장착하는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양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이며 직경 방향 외측(Dro)의 부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d)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이며 직경 방향 내측(Dri)의 부분의 간격도 미리 정해진 간격(d)으로 할 수 있다. 본 양태에서는, 또한, 스페이서부(71, 71a)의 단에 스페이서 장착부(75)를 고정할 수 있다.
(11) 제11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는,
상기 제10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72)는,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상기 제1 간격 유지부(72a)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떨어져 있는 제2 간격 유지부(72b)를 갖는다. 상기 스페이서부(71a)에서, 상기 제1 간격 유지부(72a)와 상기 제2 간격 유지부(72b)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D2)의 두께(t2)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d)보다 좁다.
본 양태에서는, 스페이서부(71a)가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 사이에 끼워져 있을 때, 이 스페이서부(71a)와 제1 연소통(35a)의 접촉 면적, 이 스페이서부(71a)와 제2 연소통(35b)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로부터 연소통 장착 지그(70a)를 빼내기 쉬워진다.
(12) 제12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는,
상기 제10 양태 또는 제11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는,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를 상기 정지부(47f)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81)가 삽통 가능한 볼트 삽통 구멍(78)을 갖는다.
(13) 제13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는,
상기 제10 양태로부터 상기 제12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에 있어서, 인발 금구(8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는, 상기 인발 금구(82)를 끼워 넣기 가능한 나사 구멍(79)을 갖는다.
본 양태에서는,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에 스페이서부(71, 71a)가 끼워져 있을 때, 스페이서 장착부(75)에 인발 금구(82)를 장착하여, 인발 금구(82)를 당김으로써, 제1 연소통(35a)과 제2 연소통(35b)의 사이로부터, 스페이서부(71, 71a)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14) 제14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는,
상기 제10 양태로부터 상기 제13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연소통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는, 외주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파인 슬릿(76)을 갖는다. 상기 스페이서부(71, 71a)의 상기 제1 방향(D1)의 단은, 상기 슬릿(76)에 삽입되어,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75)에 고정되어 있다.
스페이서부(71, 71a)는, 연소통(35)과의 접촉으로 마모되기 쉽다. 이 때문에, 연소통 장착 지그(70, 70a)를 반복 사용하고 있으면, 스페이서부(71, 71a)의 두께가 얇아져, 2개의 연소통(35)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스페이서부(71, 71a)는,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양태에서는, 스페이서부(71, 71a)와 스페이서 장착부(75)를 별도 부품으로서 제조하고, 그 후, 양 부품을 용접으로 접합한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 장착부(75)로부터, 스페이서부(71, 71a)를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이 스페이서부(71, 71a)를 교환하기 쉽다. 또한, 본 양태에서는, 스페이서부(71, 71a)의 단을 스페이서 장착부(75)의 슬릿(76)에 삽입하고 나서, 스페이서부(71, 71a)와 스페이서 장착부(75)를 용접하므로, 스페이서부(71, 71a)의 교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스페이서부(71, 71a)를 스페이서 장착부(75)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는, 하나의 연소통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연소통을, 하나의 연소통에 대한 둘레 방향의 목적의 상대 위치에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연소통을 터빈 케이싱에 장착하는 작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11: 가스 터빈 로터
15: 가스 터빈 케이싱
16: 중간 케이싱
20: 압축기
21: 압축기 로터
22: 로터축
23: 동익렬
24: 동익
25: 압축기 케이싱
28: 정익렬
29: 정익
30: 연소기
31: 버너
32: 버너 프레임
35: 연소통(또는 미통)
35a: 제1 연소통
35b: 제2 연소통
36: 통
36o: 외측 판
36i: 내측 판
36s1: 제1 측판
36sp1: 제1 측면
36s2: 제2 측판
36sp2: 제2 측면
37o: 외측 출구 플랜지
37i: 내측 출구 플랜지
38s1: 제1 사이드 플랜지
38sp1: 제1 플랜지 측면
38sg1: 제1 시일 홈(시일 홈)
38s2: 제2 사이드 플랜지
38sp2: 제2 플랜지 측면
38sg2: 제2 시일 홈(시일 홈)
39: 케이싱 장착판
39h: 볼트 구멍
40: 터빈
41: 터빈 로터
42: 로터축
43: 동익렬
44: 동익
45: 터빈 케이싱
46: 케이싱 본체
47: 익환
47f: 초단 익환(정지부)
47pu: 상류 측 단면
47ha: 통 장착 나사 구멍
47hb: 지그 장착 나사 구멍
48: 정익렬
48f: 초단 정익렬
49: 정익
49f: 초단 정익
49b: 익체
49o: 외측 슈라우드
49i: 내측 슈라우드
51: 통 장착 볼트
52: 사이드 시일(시일 부재)
60o: 외측 출구 시일
60i: 내측 출구 시일
70, 70a: 연소통 장착 지그
71: 스페이서부
72: 간격 유지부
72a: 제1 간격 유지부
72b: 제2 간격 유지부
73a: 제1 접촉면
73b: 제2 접촉면
75: 스페이서 장착부
76: 슬릿
77: 용접부
78: 볼트 삽통 구멍
79: 나사 구멍
81: 지그 장착 볼트
82: 인발 금구
A: 공기
F: 연료
G: 연소 가스
Ar: 축선
Ca: 연소기 축선
Da: 축선 방향
Dau: 축선 상류 측
Dad: 축선 하류 측
Dc: 둘레 방향
Dc1: 둘레 방향 제1 측
Dc2: 둘레 방향 제2 측
Dr: 직경 방향
Dri: 직경 방향 내측
Dro: 직경 방향 외측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Claims (14)

  1.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주를 덮는 케이싱을 갖는 터빈과, 상기 케이싱 내로 연소 가스를 보내는 복수의 연소기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 중에서, 상기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과 축선 하류 측 중, 상기 축선 상류 측의 부분에 위치하는 정지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연소기는, 각각, 연소 가스가 흐르는 연소통을 갖고,
    상기 복수의 연소기마다의 연소통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선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기 정지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상기 연소통은, 모두,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제1 측과 둘레 방향 제2 측 중, 상기 둘레 방향 제1 측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둘레 방향 제2 측을 향하는 제2 측면을 갖는, 가스 터빈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소통 중,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1 연소통과 제2 연소통의 상호 간이고, 상기 제1 연소통 및 상기 제2 연소통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소통과 상기 제2 연소통의 상호 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서부를 구비하는 연소통 장착 지그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정지부에 장착된 상기 제1 연소통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 중에서, 상기 제1 연소통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스페이서부를 접촉시켜 두는 제1 접촉 유지 공정과,
    상기 제1 접촉 유지 공정 중의 상기 스페이서부에, 상기 제2 연소통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측면 중에서, 상기 제2 연소통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를 접촉시켜 두는 제2 접촉 유지 공정과,
    상기 제1 연소통과 상기 제2 연소통이 상기 스페이서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연소통을 상기 정지부에 장착하는 연소통 고정 공정을 실행하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에서 준비하는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는, 상기 스페이서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페이서부를 상기 정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부에 장착 가능한 스페이서 장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촉 유지 공정은, 상기 제1 연소통에 상기 스페이서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를 상기 정지부에 장착하는 지그 장착 공정을 포함하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에서 준비하는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의 상기 스페이서부는, 제1 방향으로 뻗고,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스페이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두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 유지부를 갖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연소통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연소통의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는, 상기 스페이서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에 고정되어 있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소통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는, 각각,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으로 뻗어, 시일 부재가 끼워지는 시일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연소통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시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포함하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 고정 공정 후에, 상기 정지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1 연소통과 상기 제2 연소통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스페이서부가, 상기 제1 연소통과 상기 제2 연소통의 사이에 존재하지 않게 되도록,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를 이동시키는 지그 제거 공정을 실행하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그 제거 공정에서는,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를 상기 축선 상류 측으로 이동시키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그 제거 공정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에 인발 금구를 장착하고, 상기 인발 금구를 당겨, 상기 연소통 장착 지그를 이동시키는, 연소통의 장착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소통은, 복수의 상기 연소통 중,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연소통의 옆이며, 상기 제1 연소통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연소통인, 연소통의 장착 방법.
  10.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주를 덮는 케이싱을 갖는 터빈과, 상기 케이싱 내로 연소 가스를 보내는 복수의 연소기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 중에서, 상기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과 축선 하류 측 중, 상기 축선 상류 측의 부분에 위치하는 정지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연소기는, 각각, 연소 가스가 흐르는 연소통을 갖고,
    상기 복수의 연소기마다의 연소통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선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기 정지부에 장착되어 있는 가스 터빈에 있어서의,
    연소통의 장착 시에 이용하는 연소통 장착 지그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소통 중,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이웃하는 2개의 연소통의 상호 간이며, 상기 2개의 연소통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2개의 연소통의 상호 간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서부와,
    상기 스페이서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페이서부를 상기 정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부에 장착 가능한 스페이서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페이서부는, 제1 방향으로 뻗고,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스페이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두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연소통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의 상기 연소통의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는, 상기 스페이서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에 고정되어 있는, 연소통 장착 지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제1 간격 유지부와, 상기 제1 간격 유지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제2 간격 유지부를 갖고,
    상기 스페이서부에서, 상기 제1 간격 유지부와 상기 제2 간격 유지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의 두께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보다 좁은, 연소통 장착 지그.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는,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를 상기 정지부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를 삽통 가능한 볼트 삽통 구멍을 갖는, 연소통 장착 지그.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발 금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는, 상기 인발 금구를 끼워 넣기 가능한 나사 구멍을 갖는, 연소통 장착 지그.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파인 슬릿을 갖고,
    상기 스페이서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는, 연소통 장착 지그.
KR1020227021402A 2020-03-11 2021-02-04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연소통 장착 지그 KR102687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41675 2020-03-11
JP2020041675A JP7411458B2 (ja) 2020-03-11 2020-03-11 燃焼筒の取付方法、及び燃焼筒取付治具
PCT/JP2021/004096 WO2021181962A1 (ja) 2020-03-11 2021-02-04 燃焼筒の取付方法、及び燃焼筒取付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798A true KR20220098798A (ko) 2022-07-12
KR102687073B1 KR102687073B1 (ko) 2024-07-19

Family

ID=7767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402A KR102687073B1 (ko) 2020-03-11 2021-02-04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연소통 장착 지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013123B2 (ko)
JP (1) JP7411458B2 (ko)
KR (1) KR102687073B1 (ko)
CN (1) CN114901998B (ko)
WO (1) WO20211819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1737A (ja) 1997-02-18 1998-09-0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タービン燃焼器分解・組立支援装置
KR20100117659A (ko) * 2008-03-28 2010-11-0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소기 미통 안내 지그 및 가스 터빈의 연소기의 분리 방법, 그리고 장착 방법
JP2010265905A (ja) * 2005-08-23 2010-11-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シール構造
KR20140114449A (ko) * 2012-03-02 2014-09-26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터빈 케이싱의 조립 분해 지그, 이것을 구비하고 있는 가스 터빈, 가스 터빈 케이싱의 조립 방법 및 분해 방법
KR20160085842A (ko) * 2013-12-19 2016-07-18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결정 장치, 이것을 구비하고 있는 회전 기계 및 위치 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401A (en) * 1989-02-23 1990-05-0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asting for a rotary machine
US20070095071A1 (en) * 2003-09-29 2007-05-03 Kastrup David A Apparatus for assembling gas turbine engine combustors
JP5320177B2 (ja) * 2009-06-18 2013-10-2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EP2794182B1 (en) * 2011-12-23 2016-09-14 Volvo Aero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a gas turbine engine, corresponding gas turbine engine, aeroplane and method of constructing
US9399926B2 (en) * 2013-08-23 2016-07-26 Siemens Energy, Inc. Belly band seal with circumferential spacer
CN105276619B (zh) * 2014-06-12 2018-05-08 川崎重工业株式会社 适合多种燃料的燃气轮机燃烧器
CN104819483B (zh) * 2015-04-15 2017-03-0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压力波动传感器安装装置和安装有该安装装置的燃烧室
CN204648316U (zh) * 2015-04-15 2015-09-1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压力波动传感器安装装置和安装有该安装装置的燃烧室
KR101877170B1 (ko) * 2017-04-11 2018-08-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로터 디스크 실링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로터 조립체 및 가스터빈
CN209042440U (zh) * 2018-10-12 2019-06-28 威海凌锋航空科技有限公司 微型航空涡轮喷气发动机燃烧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1737A (ja) 1997-02-18 1998-09-0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タービン燃焼器分解・組立支援装置
JP2010265905A (ja) * 2005-08-23 2010-11-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シール構造
KR20100117659A (ko) * 2008-03-28 2010-11-0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소기 미통 안내 지그 및 가스 터빈의 연소기의 분리 방법, 그리고 장착 방법
KR20140114449A (ko) * 2012-03-02 2014-09-26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터빈 케이싱의 조립 분해 지그, 이것을 구비하고 있는 가스 터빈, 가스 터빈 케이싱의 조립 방법 및 분해 방법
KR20160085842A (ko) * 2013-12-19 2016-07-18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결정 장치, 이것을 구비하고 있는 회전 기계 및 위치 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43777A (ja) 2021-09-24
CN114901998B (zh) 2023-04-04
KR102687073B1 (ko) 2024-07-19
US20230043395A1 (en) 2023-02-09
JP7411458B2 (ja) 2024-01-11
CN114901998A (zh) 2022-08-12
WO2021181962A1 (ja) 2021-09-16
US12013123B2 (en) 202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1579B1 (en) Aft fairing sub-assembly for turbine exhaust case fairing
JP4749313B2 (ja) 燃焼器ドーム補修方法
CN109154438B (zh) 燃气涡轮环状燃烧器装置
EP1801348B1 (en) Method for repairing a turbine engine vane assembly and repaired assembly
US8646279B2 (en) Segment component in high-temperature casting material for an annular combustion chamber, annular combustion chamber for an aircraft engine, aircraft engin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n annular combustion chamber
EP3377819B1 (en) Method for reconditioning fuel nozzle assemblies
JPH09500188A (ja) 燃焼チャンバアッセンブリの修理方法
US9416969B2 (en) Gas turbine transition inlet ring adapter
CN113195873B (zh) 具有分度法兰的涡轮环组件
EP2184542A2 (en) Fuel nozzle assembly for use with a gas turbine engin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06307854A (ja) 改善された空力性能を備えた、容易に取り外しできる燃焼チャンバ
EP3214371B1 (en) Sleeve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966832B1 (en) Combustor
EP4310401A2 (en) Combustor assembly for a turbine engine
KR20220098798A (ko) 연소통의 장착 방법, 및 연소통 장착 지그
KR102414457B1 (ko) 보스와 환상 요소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연소실용 조립체
EP3473812B1 (en) Aft frame assembly for gas turbine transition piece
RU261489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зла топливной форсунк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льца топливной форсунки и кольцо топливной форсунки
US9566654B2 (en) Multipurpos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tool for a ring sector
CN114026365A (zh) 声音衰减器、筒组件、燃烧器、燃气轮机及筒组件的制造方法
CN113375188B (zh) 套筒组件及其制造方法
US11660711B2 (en) Radially outward orbital welding technique as a joining method used for inner tube to fitting connections in double wall tube configurations
US10808576B2 (en) Methods of replacing seals in exhaust frames of turbine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CN115539136A (zh) 涡轮导向器装配结构及其设计方法、航空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