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756A -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는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는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756A
KR20220098756A KR1020227019029A KR20227019029A KR20220098756A KR 20220098756 A KR20220098756 A KR 20220098756A KR 1020227019029 A KR1020227019029 A KR 1020227019029A KR 20227019029 A KR20227019029 A KR 20227019029A KR 20220098756 A KR20220098756 A KR 2022009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upper body
rotation
body component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미제라
카스텐 보겔
마르쿠스 투테만
에메세 파프
Original Assignee
오토복 에스에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복 에스에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오토복 에스에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22009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교정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 골반 구성요소(2), 상체 구성요소(48) 및 대퇴부 구성요소(4)를 구비하며,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는 대퇴부 구성요소(4)가 상체 구성요소(48) 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될 수 있고, 상기 상체 구성요소(48)는 두 개의 레일 요소(14)를 통해 골반 구성요소(2)에 배열되어 있으며, 제1 단부를 포함하는 레일 요소(1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골반 구성요소(2)에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16) 반대쪽에 있는 제2 단부(20)를 포함하는 또 다른 레일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체 구성요소(48)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는 교정장치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 골반 구성요소, 상체 구성요소 및 대퇴부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대퇴부 구성요소가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함으로써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다.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그러한 장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선행 기술에 공지되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특히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고 운반할 경우 등 아랫부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US 443, 113은 이미 판 스프링을 구비한 교정장치를 공지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판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사용자의 어깨 부위, 그리고 또 다른 단부는 대퇴부에 고정된다. 그러한 교정장치 착용자가 몸을 구부릴 때 상기 판 스프링은 휘어지고, 이로써 장력이 발생한다. 상기 판 스프링은 몸을 똑바로 세울 때 교정장치 착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힘을 가한다.
US 2017/0360588 A1은 또 다른 교정장치를 공지하고 있다. 상기 교정장치는 다리 지지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다리 지지 부품은 대퇴부 프런트 측에 부착하기 위한 다리 쉘을 포함한다. 스러스트 베어링은 흉갑(breastplate)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흉갑은 장치 착용자의 흉곽(ribcage) 쪽으로 압력을 가한다. 두 부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스프링 장치에 장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복원력이 생성되며, 이때 복원력은 교정장치 착용자가 똑바로 설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
WO 2014/195373 A1은 교정장치 착용자가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 착용자를 지지하는 또 다른 장치를 공지하고 있다. 이러한 교정장치는 착용자의 팔과 다리를 포함하는 신체 전체를 지지한다.
그러나 전술한 교정장치는 단지 사용자의 척추를 굽히고(flexion) 신전(extension) 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굽힘(flexion) 및 다시 신전(extension) 하는 모든 상황에서 충분한 움직임의 가능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러한 교정장치 착용자의 움직임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교정장치 사용 가능성이 제한되고 사용자의 장치 사용 호감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 또는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따른 교정장치를 통해 해결되며, 이때 상기 교정장치는 상체 구성요소가 두 개의 레일 요소를 통해 골반 구성요소에 배열되어 있으며, 제1 단부를 포함하는 레일 요소는 적어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골반 구성요소에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의 반대쪽에 있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또 다른 레일 요소는 적어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반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골반 벨트 또는 힙 벨트(hip belt)로서 형성되어 있고, 몸통 전체를 골반 또는 힙 높이로 에워 싸고 있다. 상기 골반 구성요소에 배열된 두 개의 레일 요소의 두 개의 제1 단부 사이에는 골반 구성요소의 부품이 뻗어 있으며, 이때 골반 구성요소의 부품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때 바람직하게는 길이 변화하지 않거나, 또는 거의 길이 변화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성적으로 용이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때 각각의 레일 요소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간격 또한 길이 변화를 하지 않거나, 또는 거의 길이 변화를 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레일 요소의 두 개의 제2 단부 사이의 간격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평행 사변형 형태가 제공되며, 개별 부품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됨으로써 이러한 평행 사변형 형태가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사용자 상체의 자유로운 움직임과 특히 사용자의 척추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거의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치수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치수는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각각의 치수는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치수는 조절 이후에 개인적으로 원하는 수치로 조절되고,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때 치수가 변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거의 변하지 않도록 고정, 예를 들어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치수,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모든 치수가 이러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 구성요소는 시상 면(sagittal plane)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척추의 가측 굴곡(lateral flexion) 및 척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골반 구성요소에 배열된다. 이 경우, 사용자 척추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어떠한 경우에도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교정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교정장치 없이 척추로 할 수 있는 모든 움직임을 상기 교정장치를 통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시상 면에 놓여 있는 회전축이란, 특히 수직 회전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직 회전축은 사용자가 똑바로 서 있을 때 정중 면(median plane), 즉 중앙 시상 면에 놓이게 된다. 상기 시상 면은 척추의 종축으로 불릴 수도 있으며, 인간의 척추는 구조적인 형태로 인해 수학적 의미에서 종축을 구비할 수 없다. 당연히, 이러한 축에 대해 평행하게 슬라이딩 된 회전축이 시상 면에 놓이게 된다.
사용자 척추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교정장치로 인해 제한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굴곡 및 신전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복부 굴곡(ventral flexion) 및 등 쪽 신전(dorsal extension) 또는 기울기(inklination) 또는 후굴(reklination)로도 불린다. 굴곡은 상체 및 척추와 머리가 앞으로 굽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신전은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우 상체 및 척추의 또 다른 움직임, 예를 들어 가측 굴곡 및 회전이 교정장치를 통해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교정장치로 인해 척추의 움직임, 특히 측면 및/또는 전방 및 후방으로 척추의 굴곡 및/또는 종축을 중심으로 척추의 회전이 억제,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그러한 교정장치가 굴곡과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도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움직임 폭과 움직임의 순서와 관련하여 전술한 교정장치의 이러한 모든 움직임은 제한되지 않는다.
대퇴부 구성요소가 상체 구성요소 쪽 제1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되며, 이때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는 예를 들어 탄성 소자, 예컨대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 방향은 계단을 오르기 위해 대퇴부 구성요소가 리프팅 되는 것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계단을 오를 때 상기 장치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계단을 오를 때 지지력이 제공되지 않는다. 상체를 앞으로 구부림(굴곡)으로써 상체 구성요소는 이에 대응하여 대퇴부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한다. 결국, 제1 방향은 회전을 통해 대퇴부 구성요소와 상체 구성요소 사이의 앵글 간격이 감소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에 충전되는 에너지는 예를 들어 탄성 에너지(elastic energy) 또는 위치 에너지(potential energy)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대퇴부 구성요소 및/또는 상체 구성요소에 힘을 가하며, 이러한 힘은 제1 방향의 반대쪽 제2 방향에 영향을 준다.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가 상체 구성요소 쪽 제2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가 방전되고 배출된 에너지는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대퇴부 구성요소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2 방향은 예를 들어 대퇴부 구성요소의 하강 또는 다리 펴기 또는 상체 세우기(extension)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상기 교정장치의 사용자가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경우 이를 위해 사용자는 무릎을 구부리고 물건을 움켜쥔다. 이때, 두 대퇴부 및 각각의 대퇴부 구성요소는 상체 및 상체 구성요소 쪽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퇴부와 상체 사이의 앵글 간격은 감소한다. 이로 인해,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에 위치 에너지가 충전된다.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교정장치 사용자는 다리를 펴야 하며, 대퇴부는 상체 쪽, 즉 제1 방향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위치 에너지가 배출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움직임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축은 적어도 하나의 관상 면(frontal plane),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관상 면에 뻗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축은 사용자의 고관절을 지나 뻗어 있기 때문에 상기 레일 요소의 제1 단부는 가측, 즉 바깥쪽으로 배열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레일 요소의 제2 단부는 상체 구성요소의 등쪽, 즉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부가 제2 단부 쪽으로 90°회전하도록 뻗어 있다. 이때, 상기 레일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 및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회전축은 적어도 시상 면에 뻗어 있다. 이때,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회전축은 등 쪽에서 복부 쪽, 즉 후방에서 전방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체 및 척추가 측면으로 굽을 수 있으며, 이때 자유로운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레일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서브 레일은 서로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상기 제3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시상 면에 뻗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교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이것은 교정장치 사용자가 몸을 똑바로 세울 경우에 해당한다. 서브 레일을 서로 마주보고 움직이게 하는 회전 조인트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레일 요소의 제2 단부 쪽보다 제1 단부 쪽에 가깝게 배열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조인트는 사용자 신체의 측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제3 회전축의 의도된 연장부가 사용자의 신체를 지나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요소의 제2 단부는 교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견갑골 영역,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견갑골 하단 앵글에 배열된다. 척추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구부릴 때 이러한 영역에서 가장 강력한 편차가 직선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영역에서 제2 단부를 상체 구성요소와 연결하는 조인트가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레일 요소의 제2 단부와 함께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된 조인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바람직하게는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것은 각각의 조인트가 슬라이더에 배열됨으로써 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가이드 요소, 예를 들어 긴 홀 또는 상체 구성요소 안쪽 또는 바깥쪽에 배열된 가이드 블록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요소의 제2 단부는 이러한 단부가 두 개의 서로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되며, 이때 두 개의 회전축 가운데 하나의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등쪽-복부-방향, 그리고 또 다른 회전축은 내측-가측-방향으로 뻗어 있다. 두 개의 회전축 가운데 제1 회전축은 교정장치 사용자가 상체를 우측과 좌측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두 개의 회전축 가운데 제2 회전축은 사용자의 상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부리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레일 요소의 제2 단부는 볼 조인트(ball joint)를 통해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된다. 이로 인해, 자유로운 움직임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사용자가 교정장치를 사용하게 하려는 호감이 계속해서 증가한다.
상기 상체 구성요소는 교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상체 전체를 에워 싸고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체를 구부릴 때 상체 구성요소의 지름이 내측-가측 방향으로 변하지 않거나, 또는 거의 변하지 않도록 형태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에 에너지가 충전되어야 할 경우, 상체 구성요소는 대퇴부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활성 장치(activation device)가 작동되어야 하며, 이러한 작동은 예를 들어 상체 구성요소가 골반 구성요소 쪽으로 움직임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품을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될 경우, 이를 위해 상체를 구부림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 힘이 가해져야 한다. 이어서, 상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체 구성요소에 장력을 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 구성요소는 흉부 섹션을 구비하며, 교정장치가 부착된 상태와 관련하여 상기 흉부 섹션은 사용자 흉골의 서로 다른 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점에서 사용자의 흉부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지점을 지나 상체로부터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힘이 전달된다. 이로 인해, 상체 구성요소가 유일한 한 지점 또는 두 지점을 초과하는 지점에서 사용자의 흉부와 접촉할 수도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해, 상체 및 교정장치의 사용자로 인한 장력이 상체 구성요소에 가해진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방전될 경우, 상체 구성요소를 통해 장력이 상체에 가해지며, 이때 이러한 장력으로 인해 예를 들어 몸을 똑바로 세웠을 때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이 지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요소로 인한 장력이 상체 구성요소, 그리고 이러한 상체 구성요소로부터 상체에 전달된다. 상기 레일 요소가 등, 즉 사용자의 등 쪽에 배열되기 때문에 장력이 상체 구성요소의 등 부분으로 전달되고, 상체 구성요소로부터 상체 구성요소의 전방 부로 전달된다. 이러한 전방 부와 상체,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흉골 우측 및 좌측과 접촉하는 지점을 지나 전술한 장력이 상체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상체 구성요소의 등 부분에 장력이 가해질 경우, 사용자의 상체를 압박하지 않도록 충분한 형태 안정성이 보장된다. 형태 안정성이 너무 낮을 경우, 장력이 가해지는 루프(loop)의 경우처럼 상체의 측면을 지나는 상체 구성요소의 일부를 통해 전방으로부터 등 쪽으로 장력이 상체에 가해 진다. 이때, 힘의 일부가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고통이 유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체를 에워싸는 상기 상체 구성요소의 부품은 완전하게 형태 안정적인 것이 아니라, 적은 탄력성, 바람직하게는 유연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교정장치 및 상체 구성요소가 상이한 가슴둘레를 갖는 상이한 사람에게 적합하게, 그리고 치수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휘지 않고 단단한 개별 요소를 유연하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인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스플리트 쉘 또는 상체 부품을 형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감싸는 쉘 요소를 사용하는 것도 경우에 따라 그러한 결합을 위해 충분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교정장치는 제1 및 제2 대퇴부 구성요소와 제1 및 제2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비한다. 이때, 제1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 제1 대퇴부 구성요소가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다. 제2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는 제2 대퇴부 구성요소가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할 경우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로 인해,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대퇴부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된 대퇴부에만 힘이 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대퇴부 구성요소는 조인트 장치를 통해 조인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골반 구성요소에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인트 장치는 조인트 축이 사용자의 고관절을 지나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는 대퇴부에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품과 상기 고정 부품을 조인트 장치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전달 요소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압력 전달 요소는 로드(rod) 또는 레일일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인체 공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품은 각각의 가장 긴 압력 전달 요소를 통해 각각의 조인트 장치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개별 레일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되어 있으며, 회전축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레일 요소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레일 요소는 볼 조인트를 통해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레일 요소는 볼 조인트를 통해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요소,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레일 요소는 운동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골반 구성요소에 배열된 개별 조인트 장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운동 축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조인트 장치의 조인트 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상이하게 움직일 수 있는 구현예에 따라, 상체 및 특히 사용자의 척추가 움직이고, 충전된 상태의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제공된 힘은 골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구성요소에 대한 상체 구성요소의 위치와 무관하게 작용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 요소는 길이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레일 요소는 길이 변화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교정장치가 상이한 치수의 사람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변화할 수 있는 레일 요소는 다양하게 길이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장치를 통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길이 조절되고 난 후 길이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품, 압력 저장장치, 공압식 및/또는 수압식 시스템 및/또는 수압식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케이블 형태의 탄성 부품으로서 예를 들어 고무 케이블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당연히, 또 다른 부품,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을 통해 제공된 압력으로부터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스 압축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전술한 것은 방향 전환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는 교정장치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위해 필요한 설치 공간이 존재하고, 사용자의 다리가 움직일 때 에너지 저장장치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예를 들어 대퇴부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어깨에 부착되는 어깨 구성요소는 상체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상체에 배열하기 위해 적합하며, 상기 어깨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백 팩 멜빵 또는 바지 멜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교정장치의 특히 콤팩트한 구성이 달성된다.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대퇴부 쉘을 구비하며, 상기 대퇴부 쉘은 바람직하게는 간격 유지 요소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간격 유지 요소는 대퇴부 구성요소의 일부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반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레일 또는 로드로서 형성된 압력 전달 요소와 경우에 따라 로드 또는 레일로서 형성된 간격 유지 요소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대퇴부의 가능한 움직임의 전체 앵글 범위를 커버 하도록 선택된다. 가능하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대퇴부 쉘은 바람직하게는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간격 유지 요소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수동형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며,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다리 지지 부품의 위치 및/또는 방향에 따라 상기 골반 구성요소 및/또는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사용자의 대퇴부에 부착되는 대퇴부 쉘은 대퇴부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모든 대퇴부 구성요소에 배열된다. 이러한 대퇴부 쉘은 바람직하게는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가능하면 쿠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대퇴부 쉘은 바람직하게는 볼 조인트를 통해 배열된다. 이로 인해, 장치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가능하면 광범위한 자유로운 움직임이 달성되며, 이러한 자유로운 움직임은 특히 사용자가 움직일 때 장점으로 작용한다. 상기 볼 조인트를 통해 상기 대퇴부 쉘은 레일 요소 또는 대퇴부 구성요소의 간격 유지 요소에 직접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것에 대해 선택적으로 대퇴부 쉘은 고정 클립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퇴부 쉘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퇴부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품의 힘에 대해 반대로 회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축은 내측-가측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것은 특히 고정 브래킷에 제공된 대퇴부 쉘의 배치를 통해 달성되며, 이때 상기 고정 브래킷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의 또 다른 부품에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장치는 상체 구성요소, 대퇴부 구성요소 및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대퇴부 구성요소 및/또는 상체 구성요소에 힘을 가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것은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와 상체 구성요소 사이의 앵글이 정해진 제1 앵글 범위에 놓일 경우에 해당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대퇴부 구성요소 및/또는 상체 구성요소에 힘을 가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것은 제1 앵글 범위와 상이하게 정해진 제2 앵글 범위에 놓일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1 앵글 범위와 제2 앵글 범위의 바람직한 선택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전술한 두 개의 움직임 경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정장치 착용자가 단지 약간 몸을 굽히거나, 또는 굽힌 자세로 일을 할 경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제1 앵글 범위에 대응하므로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가 필요한 힘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교정장치 착용자가 예를 들어 바닥으로부터 어떤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 몸을 구부릴 경우, 이때 대퇴부 구성요소와 상체 구성요소 사이에서 생성된 앵글은 제2 앵글 범위에 대응하기 때문에,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가 힘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앵글 범위와 제2 앵글 범위는 오버랩된다. 달리 표현하면, 두 개의 수동형 액추에이터가 힘을 제공하는 대퇴부 구성요소와 상체 구성요소 사이에 앵글이 존재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 및/또는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 및/또는 댐퍼를 구비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탄성 부품, 예를 들어 스프링 부품, 바람직하게는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 및/또는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앵글 범위에 제공된 힘을 이러한 앵글 범위를 지나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항력 스프링(constant force spring)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에 대해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액추에이터는 각각의 앵글 범위 내에 일정한 힘이 아니라, 예를 들어 감소 된 앵글로 증가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감소 된 앵글은 더욱 강력한 힘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 각각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공된 힘이 증가하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자는 더 아래로 몸을 굽히게 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제공된 각각의 앵글 범위 내의 앵글에서 최대 힘이 제공되고, 더욱 증가한 앵글과 더욱 감소 된 앵글에서 힘은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와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두 액추에이터의 탄성 부품은 상이한 탄성, 특히 상이한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 및/또는 상이한 댐핑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품은 상이한 길이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탄성 부품의 길이는 이완된 상태에서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와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대퇴부 구성요소 및/또는 상체 구성요소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지점에 배열되며, 이러한 접촉 지점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해진 각각의 앵글 범위, 즉 이러한 앵글 범위 내에서 각각의 액추에이터가 힘을 제공하는 그러한 앵글 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수동형 액추에이터의 초기 장력이 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제공될 힘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서로 다른 힘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와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가 대퇴부 구성요소 및/또는 상체 구성요소에 제공된 서로 다른 접촉 지점 및/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어떤 액추에이터가 어떤 앵글 범위에서 힘을 제공 및/또는 어떤 액추에이터가 크거나 또는 적은 힘을 제공하는지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당연히 두 개의 액추에이터가 동일한 접촉 지점에 접촉할 수 있거나, 또는 두 개의 액추에이터가 동일한 길이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두 개의 액추에이터가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 및/또는 탄성을 구비할 경우에 가능하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상체 구성요소는 제1 힘 전달 요소를 구비하고 대퇴부 구성요소는 제2 힘 전달 요소를 구비한다. 두 개의 힘 전달 요소는 맞물리거나, 또는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 및 제2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및 방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가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제1 힘 전달 요소가 제2 힘 전달 요소와 맞물릴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와 상체 구성요소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두 개의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 가운데 하나의 에너지 저장장치에는 에너지가 충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각각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에너지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대퇴부 구성요소가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장치, 즉 각각의 수동형 액추에이터에 의해 힘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것은 정해진 움직임 경로에 장점으로 작용한다. 장치의 사용자가 계단을 오를 때, 이를 위해 사용자는 대퇴부 및 대퇴부에 배열된 대퇴부 구성요소를 들어 올려야 한다. 달리 표현하면, 사용자는 대퇴부 구성요소를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두 개의 힘 전달 요소가 서로 맞물리는 반면, 대퇴부 구성요소를 들어올릴 때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에 에너지가 충전되고, 이어지는 높은 계단을 오르기 위해 다리를 펼 때 다시 방전된다. 그러나 계단을 오를 때 상기 장치가 지지력을 전달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움직임과 관련하여 두 개의 힘 전달 요소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종, 상기 교정장치를 통해 보장되는 지지력은 단지 물건을 들 때, 또는 쭈그리고 앉은 상태에서 일어설 때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을 보장하기 위해, 두 개의 힘 전달 요소는 단지 전술한 상태에서만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골반 구성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골반 구성요소 또는 골반 구성요소의 부품과 상체 구성요소 사이의 앵글이 정해진 임계 앵글을 초과하여 두 개의 힘 전달 요소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골반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상체 구성요소는 상기 골반 구성요소 쪽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 경우, 상체 구성요소가 골반 구성요소 쪽으로 움직임으로써 제1 힘 전달 요소와 제2 힘 전달 요소가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골반 구성요소와 상체 구성요소 사이의 앵글이 정해진 임계 앵글 미만일 경우, 두 개의 힘 전달 요소가 서로 맞물린다. 이어서, 앵글이 정해진 임계 앵글을 초과할 경우, 힘 전달 요소는 다시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와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가 힘 전달 레버에 제공된 힘 전달 지점에 배열된다. 이러한 힘 전달 지점은 골반 구성요소 또는 상체 구성요소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두 개의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대퇴부 구성요소에 맞물리도록 제공, 즉 전술한 액추에이터는 이러한 액추에이터의 단부 가운데 하나의 단부는 대퇴부 구성요소에 배열되고, 또 다른 단부는 각각의 힘 전달 레버에 배열된다. 두 개의 힘 전달 요소가 맞물리 않을 경우, 힘 전달 레버는 상기 골반 구성요소 쪽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가 골반 구성요소와 상체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할 경우,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힘 전달 레버가 작동하므로 상기 수동형 액추에이터 및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액추에이터에 포함된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에 에너지가 충전되지 않는다. 이로써 힘도 지지력도 발생하지 않는다.
두 개의 힘 전달 요소가 서로 맞물릴 경우, 힘 전달 레버는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골반 구성요소에 배치되고, 대퇴부 구성요소의 회전 운동이 더는 실시되지 않는다. 한편, 힘 전달 레버의 힘 전달 지점과 다른 한편 대퇴부 구성요소의 접촉 지점 사이의 간격은 움직일 때 증가하므로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에 기계식 에너지가 충전되고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힘 전달 레버의 방향 및/또는 위치가 서로 조절 및/또는 두 개의 힘 전달 지점 가운데 하나의 지점,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힘 전달 지점이 조절될 수 있다. 움직임, 예를 들어 두 개의 힘 전달 레버의 회전으로 인해 각각의 수동형 액추에이터가 힘을 제공하는 앵글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힘 전달 레버에 제공된 힘 전달 지점의 슬라이딩, 예를 들어 대퇴부 구성요소가 골반 구성요소 쪽 또는 골반 구성요소와 떨어진 대퇴부 구성요소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제공될 힘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힘 전달 레버에 제공된 힘 전달 지점의 또 다른 조절, 예를 들어 전술한 회전축과 관련하여 원주 방향으로 조절됨으로써 각각의 수동형 액추에이터의 초기 장력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액추에이터의 초기 장력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의 초기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해진 힘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해진 힘은 앵글의 영향을 받아 특히 곡선 형태,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인파 형태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해진 힘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해진 힘은 서로 다른 앵글에서 최대 힘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앵글 범위보다 작은 앵글에서 각각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해진 힘은 0, 또는 일반적으로 0이다. 이때, 앵글이 작아질수록 상체는 더욱 강력하게 대퇴부 쪽으로 굽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 및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힘 전달 레버에 맞물린다. 이때, 두 개의 힘 전달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공된 토크의 수치 또는 힘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것에 대해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힘 전달 레버가 서로 회전 및/또는 골반 구성요소 쪽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해진 제1 앵글 범위의 위치 및/또는 정해진 제2 앵글 범위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체 구성요소가 대퇴부 구성요소 쪽으로 구부려 질 때, 예를 들어 스프링 부품일 수 있는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기계식 에너지로 충전되고,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의 제1 단부와 액추에이터의 제2 단부 사이의 간격이 커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예를 들어 골반 구성요소에 배열될 수 있고, 각각의 힘 전달 레버가 특히 대퇴부 구성요소 쪽으로 정해진 위치에 도달할 경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 및/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가 상기 스토퍼에서 멈춘다. 이로써, 각각의 액추에이터가 이완되고 기계식 에너지가 충전되며, 이러한 기계식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스토퍼가 회전축에 배열될 경우 상체 구성요소와 대퇴부 구성요소 사이의 회전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이로써 힘이 가해지지만, 이러한 힘은 토크를 더는 야기하지 않고, 더는 등을 지지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장치는 제1 조인트 부품 및 이러한 제1 조인트 부품 쪽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조인트 부품을 포함하는 조인트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제1 조인트 부품은 제1 형상 끼워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제1 조인트 아암을 구비하고, 제2 조인트 부품은 제2 형상 끼워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제2 조인트 아암과 힘 전달 레버 및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힘 전달 레버와 제2 조인트 아암 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며, 제1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제2 형상 끼워 맞춤 요소와 맞물릴 경우 제1 조인트 아암이 제2 조인트 아암 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고정 장치를 구비하며, 충전된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에 의해 작용하는 힘이 제2 형상 끼워 맞춤 요소로부터 제1 형상 끼워 맞춤 요소로 전달되도록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이러한 고정 장치로 인해 제1 형상 끼워 맞춤 요소와 제2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위치와 무관하게 맞물린다. 이로 인해,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미끄러질 때 컨트롤 되지 않는 에너지 배출이 억제된다.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전술한 힘 전달 요소이다. 제1 조인트 부품 및 제2 조인트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상체 구성요소 및 대퇴부 구성요소에 배열되거나, 또는 역으로도 배열된다.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홈 및/또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형상 끼워 맞춤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어 휠, 특히 바람직하게는 프런트 기어 휠이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고정 장치의 목적을 해결하는 상이한 메커니즘이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장치는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맞물릴 때, 또는 맞물리고 난 후 상기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회전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맞물리는 시점에 상기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이 완전하게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작은 범위로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경우,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회전함으로써 이러한 상대 위치가 변하고, 완전한 맞물림 또는 적어도 대부분의 맞물림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형상 끼워 맞춤 요소 및 제2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프런트 측 돌출부 및/또는 홈을 구비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프런트 기어 휠에 제공된다. 프런트 기어 휠이란 기어 휠의 기어가 축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그러한 기어 휠로 이해할 수 있다. 종래의 기어 휠은 기어가 기어 휠의 바깥쪽에 배열되어 있고,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기어 휠은 회전축을 구비하며, 이것은 기어 휠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회전축과 관련하여 개념적으로 축 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프런트 기어 휠은 기어가 기어 휠의 프런트 면에 제공되고, 이로써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그러한 두 개의 기어 휠이 서로 맞물릴 경우, 바람직하게는 한쪽 기어 휠의 기어 전체가 또 다른 기어 휠의 기어에 맞물리게 되므로 종래의 기어 휠, 즉 기어가 바깥쪽에 배열되어 있는 그러한 기어 휠의 경우보다 접촉 범위가 현저하기 크다. 이로 인해, 더욱 큰 힘이 전달될 수 있다.
기어가 서로 최적으로 배치되지 않은 그러한 두 개의 프런트 기어 휠이 맞물릴 경우, 이것은 두 개의 기어 휠이 서로 회전함으로써 교정될 수 있다. 이때, 필요한 회전은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회전,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의 회전,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의 회전이다. 이것은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경우에도 해당하며, 이러한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휠이 아니라 또 다른 홈 및/또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장치는 형상 기워 맞춤 요소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한 가이드 스핀들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스핀들은 프런트 측 홈 및/또는 돌출부, 특히 프런트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프런트 기어는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와 함께 작용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스핀들은 형상 끼워 맞춤 요소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형상 끼워 맞춤 요소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스핀들은 축 방향 슬라이딩 시 이러한 가이드 스핀들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크가 상기 형상 끼워 맞춤 요소에 가해지고, 상기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가이드 스핀들의 프런트 측 돌출부 및/또는 홈과 함께 작용한다. 그러한 구현예에서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맞물리지 않을 경우,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 가운데 하나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프런트 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스핀들이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맞물릴 경우,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 가운데 하나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 즉 가이드 스핀들이 돌출해 있지 않은 그러한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각기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우선 프런트 측 돌출부 및/또는 홈, 특히 가이드 스핀들의 프런트 기어는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프런트 측 홈 및/또는 돌출부와 접촉한다. 이로 인해,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움직임이 가이드 스핀들이 제공된 형상 끼워 맞춤 요소를 통해 멈추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이드 스핀들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이러한 가이드 스핀들이 배열된 형상 끼워 맞춤 요소 안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런트 측 홈 및/또는 돌출부, 특히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프런트 기어를 포함하는 상기 프런트 측 돌출부 및/또는 홈, 특히 가이드 스핀들의 프런트 기어는 관통하는 기어 링을 형성하며, 이것은 유일하게 관통하는 프런트 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 스핀들이 이러한 가이드 스핀들의 기어 휠로 슬라이딩 될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가이드 스핀들 쪽으로 슬라이딩 된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이 최적으로 맞물리지 않을 경우, 토크가 가이드 스핀들을 통해 이러한 형상 끼워 맞춤 요소에 가해지고, 따라서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홈 및/또는 돌출부에 맞물리게 하기 위해 가이드 스핀들이 최적의 위치로 회전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최적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 스핀들이 이러한 가이드 스핀들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에 완전하게 삽입될 경우에 비로소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이 최적의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며, 이것은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맞물릴 경우 이러한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어느 위치에 제공되는지와 무관하게 실시된다.
전술한 것에 대해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제1 형상 끼워 맞춤 요소 및/또는 제2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서브 기어 휠을 구비하며, 상기 서브 기어 휠은 서로 무관하게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를 맞물리게 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겹쳐진 상태로 움직일 경우, 형상 끼워 맞춤 요소에 제공된 두 개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 가운데 하나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또 다른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맞물리기 전에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도는 홈에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서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 특히 기어는 서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지만, 인접해 있는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 특히 기어 사이에는 앵글 편자가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맞물릴 경우 서로 다른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이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에 서로 다르게 맞물린다.
상기 제1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이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에 최적으로 맞물릴 경우, 이것은 제공될 힘을 전달하기 위해 충분하다. 그러나 전술한 것이 상기 제1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이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홈 및/또는 돌출부와 예를 들어 팁(tip) 영역에서만 맞물리는 경우가 아니라면, 또 다른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은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에 맞물린다. 발생한 힘을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1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의 팁 사이에서 두 개의 형상 기워 맞춤 요소가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의 팁과 충분히 접촉하지 않을 경우, 상기 두 개의 형상 기워 맞춤 요소의 "미끄러짐"이 야기된다. 이것은 상대 운동 이후에 또 다른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 가운데 하나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으로 인해 몇 도(degree) 정도 발생하며, 상기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서로 다른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 사이의 앵글 편차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의 돌출부 및/또는 홈에 맞물린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이동된 적어도 두 개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동일한 돌출부 및/또는 홈, 특히 동일한 기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편차는 1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미만,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일한 기어는 기어가 동일한 깊이, 동일한 측면 형상 및 동일한 앵글 편차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제1 형상 끼워 맞춤 요소 및 제2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맞물리지 않을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간격을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 가운데 하나의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요소와 접촉하는 제1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로서 제공된다.
이때,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파이 조각처럼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두 개의 직선 에지(edge)와 원호 형태의 에지를 구비한다. 프런트 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원호 형태의 기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인트 부품은 상체 구성요소, 그리고 제2 조인트 부품은 대퇴부 구성요소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골반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맞물리고,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끼워 맞춤 요소에서 상체 구성요소는 골반 구성요소 쪽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는 예를 들어 착용자 상체의 흉부 영역 또는 등 영역에 배열된 상체와 착용자의 대퇴부 사이의 앵글이 정해진 앵글 미만일 경우, 즉 두 신체 부위가 서로 반대로 회전하게 될 경우 등 아랫부분에 언제나 지지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오히려, 상체, 예를 들어 착용자의 흉곽과 착용자의 골반 사이에서 회전이 발생할 경우에 비로소 지지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의 장치 형태로 인해, 착용자의 상체와 골반 사이에서 이러한 회전이 발생할 경우 언제나 지지력이 가해진다. 이와 반대로, 골반 쪽으로 상체의 움직임 없이 상체가 대퇴부 쪽으로 회전할 경우,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 두 기어 휠은 서로 맞물린 상태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반 구성요소와 대퇴부 구성요소에 적어도 두 개의 자석 및 또 다른 부품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배열되며, 상체 구성요소가 상기 골반 구성요소 쪽으로 움직일 때 앵글이 정해진 임계 앵글을 넘어설 경우, 자석이 힘을 가하여 힘의 방향이 바뀌도록 한다. 이러한 구현예에 따라, 슬라이딩 장치는 전술한 자석을 구비한다. 상체 구성요소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배열된 골반 구성요소에 상기 자석이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자석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N극,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자석은 S극이 교정장치의 또 다른 각각의 부품 쪽을 향한다는 것이다.
상기 상체 구성요소와 골반 구성요소 사이의 앵글이 정해진 임계 앵글을 초과할 경우,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는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자석을 통해 힘이 가해진다. 이것은 서로에게 힘을 가하는 자석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반발력일 수 있다. 이것은 골반 구성요소의 자석과 대퇴부 구성요소의 자석이 거의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석의 동일 극, 즉 각각의 S극 또는 각각의 N극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골반 구성요소가 대퇴부 구성요소 쪽으로 움직일 경우, 각각의 부품에 배열된 자석도 함께 움직인다. 이로 인해, 자석이 서로 마주보고 슬라이딩한다. 상기 상체 구성요소가 골반 구성요소 쪽으로 정해진 임계 앵글을 초과하는 순간, 바람직하게는 골반 구성요소 또는 대퇴부 구성요소의 제2 자석이 또 다른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 영역으로 움직인다. 이때,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며, 그 이유는 상기 두 개의 자석의 다른 극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기 때문이다.
상기 형상 끼워 맞춤 부품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형상 끼워 맞춤 부품,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부품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몇몇 돌출부 및/또는 홈,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돌출부 및/또는 홈은 언더 컷-기어를 구비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홈 및/또는 돌출부의 두 개의 측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전달된 힘을 통해서만 토크가 형상 끼워 맞춤 부품 가운데 하나의 형상 끼워 맞춤 부품에 가해질 수 있으며, 토크는 축 방향 구성 요소에 가해지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요소가 거의 겹쳐진 상태로 당겨지기 때문에, 기어, 즉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의 맞물림 강도가 증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 맞춤 부품은 서로 맞물릴 수 있으며, 이러한 맞물린 상태에서 형상 끼워 맞춤 부품 가운데 하나의 형상 끼워 맞춤 부품은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부품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또 다른 형상 끼워 맞춤 부품은 이것이 배열된 부품 쪽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플로팅 베어링이 제공되며, 상기 플로팅 베어링은 예를 들어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미세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해 두 개의 형상 끼워 맞춤 부품의 최적의 위치와 방향이 달성될 수 있도록 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래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과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부품을 측면도 및 배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와 도 4는 도 1과 도 3의 부품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부착된 상태의 교정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대퇴부 구성요소와 상체 구성요소 사이의 앵글 기능으로서 서로 다른 힘의 진행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부품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교정장치는 골반 구성요소(2), 대퇴부 구성요소(4) 및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를 구비한다.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는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 및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를 구비하며, 이러한 수동형 액추에이터는 두 개의 힘 전달 레버(12)를 통해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골반 구성요소(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골반 구성요소(2)에는 레일 요소(14)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 요소의 제1 단부(16)는 제1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골반 구성요소(2)에 배열되어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회전축(18)은 도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 단부(20)는 제2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상체 구성요소에 배열되어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클램핑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4)를 통해 레일 요소(14)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구현예에서 상기 조절 장치(24)가 해제될 경우 두 개의 부품(26)이 서로 마주보면서 슬라이딩 된다. 이어서, 상기 조절 장치가 다시 제동되고, 레일 요소(24)는 변화된 길이에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4)는 대퇴부 쉘(28)을 구비하며, 상기 대퇴부 쉘은 간격 유지 요소(30)에 배열되어 있다. 조인트 장치(32)는 대퇴부 구성요소(4)가 골반 구성요소(2) 쪽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조인트 장치(32)는 바람직하게는 비활성 지점 및 활성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비활성 지점에서 상기 힘 전달 레버(12)는 골반 구성요소(2)의 나머지 부품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대퇴부 구성요소(4)가 골반 구성요소(2) 쪽으로 회전할 경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와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를 통해 힘이 힘 전달 레버(12)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힘은 상기 힘 전달 레버(12)가 대퇴부 구성요소(4)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조인트 장치(32)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힘 전달 레버(12)는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골반 구성요소(2)와 연결된다. 따라서, 대퇴부 구성요소가 골반 구성요소(2) 쪽으로 움직일 경우, 상기 힘 전달 레버(12)가 대퇴부 구성요소(4)와 함께 회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수동형 액추에이터(8, 10)에 장력이 발생한다. 두 개의 수동형 액추에이터(8, 10)의 서로 다른 힘 전달 레버(12)와 서로 다른 길이로 인해,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이한 앵글 지점에서 상이한 힘을 제공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교정장치를 배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 및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를 포함하는 대퇴부 구성요소(4), 조인트 장치(32) 및 레일 요소(14)가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레일 요소(14)는 두 개의 서브 레일(34)을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서브 레일은 조인트(36)를 통해 제3 회전축(38)과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을 확대된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대퇴부 쉘(28)은 위치 지정 장치(40)를 통해 적어도 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간격 유지 요소(30)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대퇴부에 대해 대퇴부 쉘(28)의 최적의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조인트 장치(32)는 비활성 지점에 제공된다. 제1 힘 전달 부품 요소(42) 및 제2 힘 전달 요소(44)가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힘 전달 요소는 도시된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힘 전달 레버(12)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골반 구성요소(2)와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내지 도 7은 부착된 상태의 교정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사용자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대퇴부 구성요소(4), 골반 구성요소(2) 및 특히 레일 요소(14)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단부(20)에서 레일 요소는 볼 조인트(46)를 통해 상체 구성요소(48)에 배열되어 있다.
도 6은 부착된 상태의 교정장치를 배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레일 요소(2, 14)가 제2 단부(20)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체 구성요소(48)로부터 골반 구성요소(2) 쪽으로 뻗어 있고, 이러한 골반 구성요소에는 제1 단부(16)가 배열되어 있다. 제2 단부(20)는 등 쪽, 상기 상체 구성요소(48)의 등에 배열되어 있는 반면, 제1 단부(16)는 가측, 즉 골반 구성요소(2)에 측면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7은 우측으로 기울어진 척추를 포함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상체 구성요소(48)는 상체 쪽으로 약간 슬라이딩 되어 있고, 이것은 어깨 벨트로도 불릴 수 있는 두 개의 벨트(50)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레일 요소(14)가 골반 구성요소(2) 쪽으로 회전하며,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가 보장된다. 상체 구성요소(48)뿐 아니라 또한 상기 골반 벨트(52)를 포함하는 골반 구성요소(2)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다양한 사람에게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토크 곡선으로 해석될 수 있는 서로 다른 힘의 진행 방향, 즉 대퇴부 구성요소(4)와 상체 구성요소(48) 사이의 앵글의 기능으로서 제1 액추에이터(8) 및 제2 액추에이터(10)를 통해 제공된 힘의 진행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실선(54)은 좌표의 원점에서 시작하지 않는다. 결국, 제공된 힘은 앵글이 정해진 앵글 범위보다 클 경우, 정해진 앵글 범위 밖에서 0과 같지 않다. 예를 들어, 앵글은 사람이 똑바로 설 때 더 큰 앵글로 제공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는 초기 장력이 발생하고, 힘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증가한 굽힘 앵글(bending angle), 즉 대퇴부 구성요소(4)와 상체 구성요소(48) 사이의 더욱 작은 앵글과 함께 힘이 최댓값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 또 다른 굽힘, 즉 앵글 감소 시, P 지점의 힘이 증가할 때까지 힘이 다시 감소한다.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가 힘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범위에서 정해진 제2 앵글 범위가 시작된다. 실선(54)이 전역 최대에 도달할 때까지 힘이 증가한다. 이러한 굽힘 앵글에서 상기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뿐만 아니라,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의 힘은 같다. 이러한 힘은 단부에 더는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까지 또 다른 굽힘 앵글에서 감소한다.
파선 곡선(56)은 유사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실선(54)과 반대로 두 개의 힘 전달 레버(12) 사이의 앵글은 더욱 작아진 상태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것은 도 1 및 도 2에서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가 맞물려 있는 힘 전달 레버(12)가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가 맞물려 있는 제2 힘 전달 레버(12) 쪽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달성된다. 지점(P)이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는 결국 이미 더욱 작아진 굽힘 앵글, 즉 대퇴부 구성요소(4)와 상체 구성요소(48) 사이의 앵글이 더욱 큰 앵글일 때 힘을 형성한다.
파선(58)은 또 다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실선(54)과 비교하여 두 개의 힘 전달 레버(12)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 오히려, 두 개의 힘 전달 레버(12)가 연장됨으로써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와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에 의해 제공된 힘이 증가하며, 이것은 레버 아암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대시 포인트 라인(60)은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뿐만 아니라,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10)가 전체 범위에 걸쳐 힘을 제공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점선(62)은 평행하게 슬라이딩 된 실선(54)에 대응한다.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8)는 결국 초기 장력 없이 사용된다.
2 골반 구성요소
4 대퇴부 구성요소
6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
8 제1 수동형 액추에이터
10 제2 수동형 액추에이터
12 힘 전달 레버
14 레일 요소
16 제1 단부
18 제1 회전축
20 제2 단부
22 제2 회전축
24 조절 장치
26 부품
28 대퇴부 쉘
30 간격 유지 요소
32 조인트 장치
34 서브 레일
36 조인트
38 제3 회전축
40 위치 지정 장치
42 제1 힘 전달 요소
44 제2 힘 전달 요소
46 볼 조인트
48 상체 구성요소
50 벨트
52 골반 벨트
54 실선
56 파선 곡선
58 파선
60 대시 포인트 라인
62 점선

Claims (16)

  1.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교정장치로서, 이러한 교정장치는,
    -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
    - 골반 구성요소(2)
    - 상체 구성요소(48) 및
    - 대퇴부 구성요소(4)을 구비하며,
    상기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는 대퇴부 구성요소(4)가 상체 구성요소(48) 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는 그러한 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체 구성요소(48)는 두 개의 레일 요소(14)를 통해 골반 구성요소(2)에 배열되어 있으며, 제1 단부를 포함하는 레일 요소(1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골반 구성요소(2)에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16) 반대쪽에 있는 제2 단부(20)를 포함하는 또 다른 레일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체 구성요소(48)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18)은 적어도 관상 면, 바람직하게는 관상 면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22)은 적어도 시상 면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 요소(14)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 레일(34)을 구비하며, 상기 서브 레일은 제3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3 회전축(38)은 적어도 시상 면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요소(14)의 제2 단부(20)는 견갑골 영역,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견갑골 하단 앵글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인트, 즉 상기 레일 요소(14)의 제2 단부(20)가 이러한 조인트와 함께 상체 구성요소(48)에 배열되어 있는 그러한 조인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부(20)는 볼 조인트(46)를 통해 상체 구성요소(48)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체 구성요소(48)는 사용자의 상체 전체를 에워 싸고 있으며, 상체를 구부릴 때 상체 구성요소(48)의 지름이 내측-가측 방향으로 감소 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감소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체 구성요소(48)는 흉부 섹션을 구비하며, 교정장치가 부착된 상태와 관련하여 상기 흉부 섹션은 사용자 흉골의 서로 다른 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점에서 사용자의 흉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장치는 제1 및 제2 대퇴부 구성요소(4)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는 상기 제1 대퇴부 구성요소(4)가 상체 구성요소(48) 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6)는 제2 대퇴부 구성요소(4)가 상체 구성요소(48) 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대퇴부 구성요소(4)는 조인트 장치(32)를 통해 조인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골반 구성요소(2)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 요소(14)는 회전축(18, 22, 38)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체 구성요소(48)에 배열되어 있으며, 회전축(18, 22, 38)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 요소(14)는 볼 조인트(46)를 통해 상체 구성요소(48)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 요소(14)는 길이 방향으로 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46)를 통해 대퇴부에 부착하기 위한 대퇴부 쉘(28)은 대퇴부 구성요소(4)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쉘(28)은 대퇴부 구성요소(4) 쪽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품의 힘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축은 내측-가측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
KR1020227019029A 2019-11-11 2020-11-06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는 교정장치 KR20220098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30390.7A DE102019130390A1 (de) 2019-11-11 2019-11-11 Orthopädietechnische Einrichtung zum Unterstützen eines unteren Rückens eines Benutzers
DE102019130390.7 2019-11-11
PCT/EP2020/081296 WO2021094220A1 (de) 2019-11-11 2020-11-06 Orthopädietechnische einrichtung zum unterstützen eines unteren rückens eines benutz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756A true KR20220098756A (ko) 2022-07-12

Family

ID=7317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029A KR20220098756A (ko) 2019-11-11 2020-11-06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는 교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37721A1 (ko)
EP (1) EP4057954B1 (ko)
JP (1) JP2023501092A (ko)
KR (1) KR20220098756A (ko)
CN (1) CN114667120A (ko)
CA (1) CA3151892A1 (ko)
DE (1) DE102019130390A1 (ko)
WO (1) WO2021094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0436A (zh) * 2017-09-07 2022-07-29 重庆市牛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外骨骼
CN114406993B (zh) * 2022-03-31 2022-07-12 北京动思创新科技有限公司 链式伸缩髋关节外骨骼
FR3139988A1 (fr) * 2022-09-28 2024-03-29 Ergosante Technologie Exosquelette passif de soulagement de la colonne vertebra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13A (en) 1890-12-23 Spring body-brace
US654173A (en) * 1900-03-15 1900-07-24 Edgar C Mendenhall Shoulder-brace.
US4829989A (en) * 1985-06-17 1989-05-16 Deamer Richard M Stoop laborer's body support having hinge with adjustable spring biasing
JP3972119B2 (ja) * 2001-11-12 2007-09-05 徳太郎 武田 腰の屈伸補助具
CN101175456B (zh) * 2005-04-13 2013-03-27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半机动下肢外骨架
US7744552B1 (en) * 2007-02-12 2010-06-29 Michael Anthony Babcock Personal upper body support device for lower back muscles assist
US8066653B2 (en) * 2007-11-16 2011-11-29 Seon Dong Yun Scoliosis brace having angle adjustment unit
US7837639B2 (en) * 2008-09-12 2010-11-23 Carey Paul Jinright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US8568344B2 (en) * 2009-10-23 2013-10-29 Applied Neural Mechanics, Llc Torso assist orthotic device
JP5986629B2 (ja) * 2011-06-10 2016-09-06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胴体支持外骨格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9744066B2 (en) * 2011-06-10 2017-08-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runk supporting exoskeleton and method of use
US9216130B2 (en) * 2012-07-17 2015-12-22 James M. Killian Support device
WO2014195373A1 (de) 2013-06-07 2014-12-11 J. Schmalz Körpergetragene hebehilfe
ES2732661T3 (es) * 2013-09-20 2019-11-25 Laevo B V Estructura de soporte ponible y método de soporte del torso
DE102015211523A1 (de) * 2015-06-23 2016-12-2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m kraftunterstützten Aufrichten eines geneigten Oberkörpers einer Person
US10098778B1 (en) * 2016-06-20 2018-10-16 Boston Incubator Center, LLC Compliant body support system for crouching and kneeling work
NL2018730B1 (en) * 2017-04-18 2018-10-29 Laevo B V Wearable support structure for at least partly relieving a human body during leaning or bending over.
JP7095407B2 (ja) * 2018-05-28 2022-07-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アシ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37721A1 (en) 2021-05-13
DE102019130390A1 (de) 2021-05-12
CA3151892A1 (en) 2021-05-20
WO2021094220A1 (de) 2021-05-20
EP4057954A1 (de) 2022-09-21
CN114667120A (zh) 2022-06-24
JP2023501092A (ja) 2023-01-18
EP4057954B1 (de)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8756A (ko) 사용자의 등 아랫부분을 지지하는 교정장치
US11903862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of a user
CN111148606B (zh) 身体接合装置
US10449105B2 (en) System and method of bidirectional compliant joint torque actuation
JP7036408B2 (ja) 半能動ロボット関節
KR20200016302A (ko) 사용자의 적어도 한 팔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US20180257217A1 (en) Load-bearing exoskeleton
JP2016059763A (ja) 下肢動作支援装置
US11613001B2 (en) Le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CN111093571B (zh) 关节装置
CN109419607A (zh) 运动辅助设备
US11850179B2 (en) Orthopedic device
US10898350B2 (en) Dynamic linear adjustable prosthetic
US7837274B2 (en) Dynamic trunk support system
US20210137717A1 (en) Orthopedic device
US20140345625A1 (en) Dynamic trunk leaning support
KR102343391B1 (ko) 고관절 자유도 보상 기능을 구비한 슈트형 하지 로봇
US11337842B2 (en) Joint orthosis with movable pad
CN117015363A (zh) 用于改善在复杂运动期间用户重心的可移动性的负载分配装置
EP3600176A1 (en) Brace for aiding the handling of a limb of a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