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707A -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 Google Patents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707A
KR20220098707A KR1020220080180A KR20220080180A KR20220098707A KR 20220098707 A KR20220098707 A KR 20220098707A KR 1020220080180 A KR1020220080180 A KR 1020220080180A KR 20220080180 A KR20220080180 A KR 20220080180A KR 20220098707 A KR20220098707 A KR 20220098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hole
stem
plant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희
Original Assignee
유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희 filed Critical 유인희
Priority to KR102022008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707A/ko
Publication of KR2022009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4Grafting-wax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나무 개체가 다른 하나의 나무 개체 줄기를 관통한 관계인 접합식물체의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나무 개체의 줄기 또는 가지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관통공형성단계; 및 제2나무 개체의 줄기 또는 가지를 제1나무 개체의 관통공으로 통과시키는 관통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Preparation Method for Grafted Plants and Grafted Plants thereby}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나무 개체가 다른 하나의 나무 개체 줄기를 관통한 관계인 접합식물체의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관상식물(觀賞植物)이란 주로 감상 즉, 시각적이고 심리적인 즐거움을 위해서 인위적으로 심어서 가꾸는 식물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목본에 속하는 식물을 관상수(觀賞樹)라 한다. 즉, 관상수란 나무에 피는 아름다운 꽃이나 잎사귀 열매 또는 독특한 나무의 모양(형태미)이나 빛깔(색채미)을 감상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심어서 가꾸는 나무이다. 형태미로는 수형, 수간, 수관, 지엽, 꽃, 열매 등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형태가 대상이며 색채미는 신록에서 단풍들 때까지와 꽃피어 결실하며 완숙하여 변색하여가는 색조의 변화와 상록 등이 대상이다.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지만, 관상수는 정원이나 공원, 도로, 옥상, 주택단지, 공업단지, 관광지 등 생활환경 주변의 정화와 미화 및 환경보전을 위해 심어지는 조경수와, 정원이나 건물 내의 환경 개선을 위한 화분류로 구분될 수도 있다. 화분류의 일종으로 분재(盆栽)가 있는데, 이는 뿌리, 줄기, 가지, 잎, 꽃, 열매 및 화분 등 각 부분의 멋이 적절히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전체적인 아름다움을 구성하는 것으로, 심산유곡, 들판이나 바닷가에서 자생하고 있는 운치 있는 노대 거목의 자태를 조그마한 화분 안에 이상적으로 축소시켜 재현하는 것이다.
종래 이러한 관상수는 시각적 대상이 되는 단위가 예를 들면 소나무면 소나무, 동백나무면 동백나무 등 단일 개체이기 때문에 그 다양성에 제약이 있어 왔다. 등록특허 제10-0807867호(아보카도 재배를 위한 아보카도와 참나무과의 접목방법)에는, 아보카도를 접지로 하고 참나무과 나무를 대목으로 하는 접목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심미적 개선의 의미가 없으며, 상호 접목친화성이 있는 나무들 사이에서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무생물인 바위 위나 옆구리에서 자라거나 바위를 뚫고 자라는 나무 사례가 있는데(도 1 참조) 이러한 사례들도 관상수라는 차원에서 상당한 심미적 의미가 있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것을 제작하거나 생산하는 사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등록특허 제10-0807867호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나무 개체가 다른 하나의 나무 개체 줄기를 관통한 관계인 접합식물체의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목친화성과 무관한 나무 개체들로부터 전술한 접합식물체의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나무 개체의 줄기 또는 가지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관통공형성단계; 및 제2나무 개체의 줄기 또는 가지를 제1나무 개체의 관통공으로 통과시키는 관통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체 이상의 나무를 외형적으로 볼 때 복수의 뿌리, 하나의 줄기, 복수의 줄기를 가지는 새로운 관상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목친화성이 없어 종래 상호 접목이나 접합을 생각할 수 없었던 두 종 이상의 나무가 물리적으로 일부 공간을 공유하는 특이한 개념의 관상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바위나 나무를 뚫고 자라는 나무를 보여주는 사진.
도 2a~2c는 본 발명에 의한 접합식물체의 생산방법의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3a 및 3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접합식물체 생산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죽은 나무 또는 돌의 예시적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통공형성단계 및 관통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도 2a~2c 참조).
본 발명에서 '접합식물체'란 둘 이상의 나무 개체가 관통-피관통 관계에 있어서 외형적으로 볼 때 둘 이상의 나무의 일부가 겹쳐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줄기(幹, stem)란 아래로는 식물의 뿌리와 연결되고 위로는 가지나 잎과 연결되어 있는 식물체의 영양기관이며, 가지(枝, branch)란 줄기로부터 생겨나와 매년 새로운 눈과 잎을 만들어내는 식물의 영양기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관통-피관통 관계가 있게 되는 부위가 줄기-줄기, 줄기-가지 및 가지-가지 등 어떠한 조합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줄기 또는 가지'를 단순히 '줄기'로 약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형성단계는, 관통되는 제1나무 개체의 줄기에 소정 직경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관통공은 드릴 등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관통공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10~20% 정도의 물관부와 체관부만 잔존할 수 있다면 나무의 생존이 가능하므로 이론적으로는 관통공의 직경은 줄기 직경의 80~90% 정도로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나무가 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관통공형성단계 전후에 줄기를 지지할 수 있는 부목을 대는 등 소정의 보강작업을 하는 것도 좋다.
상기 관통공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배치단계는, 제2나무 개체의 줄기를 제1나무 개체의 관통공으로 통과시키는 단계이다. 당연히 제2나무 개체의 줄기 직경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아야 할 것인데, 제2나무 개체의 부피생장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며, 대략 제2나무 개체의 줄기 직경은 관통공의 1/2 이하인 것이 좋다.
한편, 제2나무 개체의 줄기에 가지나 잎이 있어서 이를 최대한 압축하더라도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나무 개체 줄기의 잎이나 잔가지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는 정리단계를 추가하는 것이 좋다. 나무의 잎이나 잔가지가 제거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눈이 생기면서 새로운 잎이나 가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관통배치단계까지 종료된 접합식물체에 예를 들면 관통부위를 보호하고 보강하는 소정의 결속부재(예를 들면, 부목, 테이프, 비닐, 끈 등)로 결속시켜 지지되도록 한 다음 1~2년 경과하면 줄기의 일부가 합체된 새로운 개념의 접합식물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나무 개체 및 제2나무 개체는 동종 유무에 관계없다. 동종이라면 동종대로, 이종이라면 이종대로 새로운 미감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두 나무 개체 사이에 하나의 관통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두 나무 개체 사이에 복수개의 관통관계를 형성하거나, 셋 이상의 나무 개체 사이에 복수개의 관통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특수한 경우에는 일정 공간에 식재된 모든 나무들이 모두 직간접적으로 관통관계에 있도록 하는 것도 의미있을 것이다.
한편, 제1나무 개체에 형성된 관통공은 일종의 큰 상처고 나무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처는 병충해에 취약하기 때문에 제1나무 개체가 쇠약해지거나 심지어 고사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공형성단계 이후에, 노출된 관통공 내면에 소정의 나무 상처보호제를 도포하거나, 상기 관통배치단계 이후에, 관통공과 이를 통과하는 줄기 또는 가지 사이의 공간에 소정의 나무 상처보호제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 생략).
이때 사용되는 나무 상처보호제로는 예를 들면 특허공개 제10-2006-0002292호가 제시하고 있는 '나무의 수간 부위 도포용 충전도포제'일 수 있을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유형의 충전도포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합식물체의 손상부위나 공동화된 부위를 충전하고 도포하여 식물체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나무 개체 및 제2나무 개체가 이종인 경우 '친화성'이 없어 어느 한 개체가 생성한 물질이 타 개체의 생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관계가 있는 이종인 경우 관통공과 이를 통과하는 줄기 사이의 공간에 물질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재를 개재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나 필름 등이 차단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통공형성단계에서 제1나무 개체를 주로 설명하였으나, 제2나무 개체가 관통하게 될 개체는 반드시 살아있는 나무가 아닐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a에 예시된 것과 같이 이미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죽은 나무 또는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는 죽은 나무(토막)를 제1나무 개체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바위나 돌 등과 같은 무생물체에 관통공을 형성하거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위나 돌(도 3b 참조)에 제2나무 개체를 관통배치하는 방법,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제 구조물에 제2나무 개체를 관통배치하는 방법 등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물체나 무생물체와 또 다른 식물체가 공간적으로 특수한 관계가 되는, 새로운 심미적 특성을 보이는 다양한 유형의 관상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제1나무 개체의 줄기 또는 가지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관통공형성단계;
    제2나무 개체의 줄기 또는 가지를 제1나무 개체의 관통공으로 통과시키는 관통배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배치단계 이전에 제2나무 개체의 줄기 또는 가지의 잎이나 잔가지를 제거하는 정리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 개체 및 제2나무 개체는 종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형성단계 이후에, 노출된 관통공 내면에 소정의 나무 상처보호제를 도포하거나,
    상기 관통배치단계 이후에, 관통공과 이를 통과하는 줄기 또는 가지 사이의 공간에 소정의 나무 상처보호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공과 이를 통과하는 줄기 사이의 공간에 물질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무 개체의 줄기 또는 가지의 직경은 상기 관통공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7.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KR1020220080180A 2019-12-19 2022-06-30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KR20220098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180A KR20220098707A (ko) 2019-12-19 2022-06-30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77A KR20210079027A (ko) 2019-12-19 2019-12-19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KR1020220080180A KR20220098707A (ko) 2019-12-19 2022-06-30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077A Division KR20210079027A (ko) 2019-12-19 2019-12-19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707A true KR20220098707A (ko) 2022-07-12

Family

ID=766267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077A KR20210079027A (ko) 2019-12-19 2019-12-19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KR1020220080180A KR20220098707A (ko) 2019-12-19 2022-06-30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077A KR20210079027A (ko) 2019-12-19 2019-12-19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790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6363B (zh) * 2022-05-16 2023-12-01 广西壮族自治区林业科学研究院 一种简易高效的油茶大树换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67B1 (ko) 2006-05-20 2008-02-29 성옥 오 아보카도재배를 위한 아보카도와 참나무과의 접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67B1 (ko) 2006-05-20 2008-02-29 성옥 오 아보카도재배를 위한 아보카도와 참나무과의 접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27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8493C (zh) 一种仿古树快速成型法
KR101465056B1 (ko) 고령 포도나무를 이용한 포도나무 분재의 대량 생산 방법
US20130152465A1 (en) Methods for Rapidly Growing A Tree
CN104604627A (zh) 一种仿榕树森林式造型大树的栽培方法
CN106962028A (zh) 茶花扦插嫁接一体化快繁方法
KR20150108122A (ko) 종려피를 이용한 풍란 또는 석곡 재배방법
Oloyede Survey of ornamental ferns, their morphology and us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mprovement and management
KR20220098707A (ko) 접합식물체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접합식물체
CN103563665B (zh) 一种实现高山杜鹃古树桩一树多花的造型方法
JPS61500001A (ja) 配植着生植物の培養および輸送方法
KR101694513B1 (ko) 혼합 배양토를 이용한 실내식물용 황칠나무의 화분 재배방법
CN100508733C (zh) 刺老芽树与发财树、梧桐树嫁接方法
CN105830751A (zh) 一种侧柏粗枝嫁接制作仿古桩盆景的方法
CN103081725A (zh) 通干靠接法
CN108124623A (zh) 一种树木高接换头的培育方法
CN101176409B (zh) 根艺竹盆景的培育方法
Friday et al. Thespesia populnea (milo)
KR101943909B1 (ko) 관상용 연리지소나무 생산방법
Jashemski Gardens
KR20160112786A (ko) 블루베리 접목 방법
Warren Landscape vines for Southern Arizona
Wu Analysis and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Plant Configuration in Landscape Design
Sharma Threatened plants of Jammu region, North-West Himalaya and strategies for their conservation
DAUGHTER Development of Flowering in Uzbekistan and Application to Landscape Architecture
JPH0823765A (ja) 山吹の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