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360A -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 Google Patents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360A
KR20220098360A KR1020227017189A KR20227017189A KR20220098360A KR 20220098360 A KR20220098360 A KR 20220098360A KR 1020227017189 A KR1020227017189 A KR 1020227017189A KR 20227017189 A KR20227017189 A KR 20227017189A KR 20220098360 A KR20220098360 A KR 20220098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utes
forsythia
astragalus
gold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오송 구
춘캉 탕
레이레이 공
위 장
치옹 청
시아오밍 양
시아오민 왕
Original Assignee
난통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난통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난통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22009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3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8Saposhnikov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2Agastache, e.g. giant hyss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8Ophiopogon (Lilytur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이 개나리-황기 복방제제의 바이러스형 유행성 감기 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 약물 제조에 대한 응용에 관한 것으로, 이 개나리-황기 복방제제는 드링크제、과립제、침제(浸劑)、정제(錠劑)로 제조할 수 있고, 그 조제 처방은 아래와 같이, 금은화 9 내지 11분(parts), 개나리 9 내지 11분,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9 내지 11분, 청호(Artemisia carvifolia) 9 내지 11분, 생황기 9분 내지 11분, 볶은 백출 9 내지 11분, 배초향(Agastache rugosa) 9 내지 11분,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 5 내지 7분, 맥문동 9 내지 11분, 감초 5 내지 7분 질량분율의 원료 또는 원료 추출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본 발명은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의약 기술분야에 속한다.
유행성 감기(유행 감기라 약칭)는 주로 유행 감기 바이러스로 발생한 호흡기 감염으로서, 그는 전염성이 강하고 전파 속도가 빠르다. 전형적인 임상 증상은 발열, 두통, 사지통, 재채기, 인두 건조, 인후통, 기침, 무력감이 있다.
현재 임상적으로 유행 감기를 치료하는 특효약이 없고, 유행 감기가 유행되면 사회의 공공 위생 안전에 위해를 가하고 국민들의 건강을 해치므로, 바이러스형 유행성 감기의 신약을 연구해 개발하는 것은 현재 사회의 중대한 수요일 뿐만 아니라, 민생 건강의 중대한 수요이다.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기술방안을 이용한다.
제1 측면에서, 중의약 조제법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의약 조제법 성분은 금은화 9 내지 11분(parts), 개나리 9 내지 11분,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9 내지 11분, 청호(Artemisia carvifolia) 9 내지 11분, 생황기 9 내지 11분, 볶은 백출 9 내지 11분, 배초향(Agastache rugosa) 9 내지 11분,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 5 내지 7분, 맥문동 9 내지 11분, 감초 5 내지 7분 질량분율의 원료 또는 원료 추출물로 구성된 개나리-황기 복방제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개나리-황기 복방제제의 상기 중의약 조제법 성분은 금은화 10분, 개나리 10분, 황금 10분, 청호 10분, 생황기 10분, 볶은 백출 10분, 배초향 10분, 방풍 6분, 맥문동 10분, 감초 6분 질량분율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개나리-황기 복방제제는 유효량의 상기 중의약 조제법 성분과 약학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보조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나리-황기 복방제제의 제형은 드링크제, 과립제, 침제(浸劑), 정제(錠劑)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1) 금은화 10분, 개나리 10분, 황금 10분, 청호 10분, 생황기 10분, 볶은 백출 10분, 배초향 10분, 방풍 6분, 맥문동 10분, 감초 6분의 조제법 비율에 따라 원료를 준비하고; 약재를 물로 세척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2) 25℃에서 120분 동안 탈이온수로 담그는 단계;
(3) 100℃에서 20분 동안 달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4) 달인 약액을 꺼내 4℃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하고, 여과해 농축하고, 벤조산 또는 벤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5) 용기에 부어넣어 밀봉하고 멸균해 완제품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나리-황기 드링크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3 측면에서,
(1) 금은화 10분, 개나리 10분, 황금 10분, 청호 10분, 생황기 10분, 볶은 백출 10분, 배초향 10분, 방풍 6분, 맥문동 10분, 감초 6분의 조제법 비율에 따라 원료를 준비하고; 약재를 물로 세척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2) 25℃에서 120분 동안 탈이온수로 담그는 단계;
(3) 100℃에서 20분 동안 달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4) 달인 약액을 꺼내 4℃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하고, 여과해 농축하고, 벤조산 또는 벤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5) 건조시켜 과립을 제조하고, 밀봉 포장하고, 멸균해 완제품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나리-황기 과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4 측면에서, 상기 개나리-황기 복방제제의 바이러스형 유행성 감기 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 약물 제조에 대한 응용을 제공한다.
본 조제법은 주요 약재가 금은화, 개나리, 황금, 청호이고; 보조 약재가 황기, 볶은 백출, 배초향이고; 보완 약재가 방풍, 맥문동이고; 조화 약재가 감초이다.
본 조제법의 기능은 청열해독, 바이러스 활력 억제, 양음 및 기침 진정, 폐 보익 및 비장 보양, 부정청온(扶正淸瘟)이 있다. 유행성 감기의 증상인 발열, 두통, 사지통, 인후통, 기침, 무력감에 적용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는 종래의 정시호음(正柴胡飮)과립, 판람근과립, 연화청온(連花淸瘟)캡슐, 쌍황련(雙黃連, shuanghuanglian)드링크제 등 중의약에 비해 아래의 효과를 이룬다.
1. 본 조제법에 따른 약물의 구성 성분은 종래의 관련 중의약과 달라 약물 제조법의 구성이 특이하고 참신하며;
2. 본 조제법에 따른 약물의 효능이 혁신을 이룬 점은 약물 조제법의 구성을 통해 약물 합동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능이 비교적 강한 동시에, 인체의 면역 기능을 향상시켜 통합 협동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비교적 우수하게 실현하는 데 있으며, 예를 들어, 금은화, 개나리,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단방약은 모두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고, 본 조제법은 3개의 중의약을 합동 사용해 약물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증강시키고, 이와 동시에, 본 조제법 중의 황기와 감초는 인체의 면역 기능에 대한 조절을 통해 통합 협동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더 우수하게 실현할 수 있고, 바이러스의 활력에 대한 효과적인 제어를 통해 환자의 증상를 완화시켜 부정거사(扶正祛邪) 효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3. 본 조제법이 유행 감기를 변증법적으로 치료하는 이론은 특이하고 혁신적으로서, 그가 혁신을 이룬 점은 종래의 청열해독에 기반해 “양음 및 기침 진정, 폐 보익 및 비장 보양, 부정청온(扶正淸瘟)”을 제출한 데 있으며, 예를 들어, 금은화, 개나리, 황금, 청호(Artemisia carvifolia)는 폐, 위, 간장, 담낭, 대장경에 진입해 청열해독, 청폐(淸肺) 및 기침 진정 효능을 이루고; 황기, 볶은 백출, 배초향(Agastache rugosa)은 기를 보충하고 비장을 보익하는 효능을 이루어 인체의 저항 능력을 증강시키고;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을 황기, 백출과 배합하면 옥병풍산(玉屛風散)으로 되어 기 보충, 고표(固表), 인체 면역 기능 증강을 실현해 부정고원(扶正固元) 효능을 이루고; 청호는 해열시키고, 배초향은 향으로 화탁(化濁)하여 청폐(淸肺) 및 기침 진정을 실현하고; 맥문동은 양음생진(養陰生津), 윤폐지해(潤肺止咳)의 효능이 있고; 감초는 비장을 보양하고 기를 보익하며, 청열해독하고, 여러 약재가 조화를 이루도록 해 협동 효능을 실현한다.
이하, 실시예를 결합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개나리-황기 드링크제의 제조:
원처방 조제 원료: 금은화 100분(parts), 개나리 100분,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100분, 청호(Artemisia carvifolia) 100분, 생황기 100분, 볶은 백출 100분, 배초향(Agastache rugosa) 100분,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 60분, 맥문동 100분, 감초 60분.
제조방법과 단계:
(1) 약재를 물로 세척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2) 1000체적분으로 조제하고, 25℃에서 120분 동안 탈이온수로 담그는 단계;
(3) 100℃에서 20분 동안 달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4) 달인 약액을 꺼내 4℃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하고, 여과해 농축하고, 벤조산 또는 벤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5) 용기에 부어넣어 밀봉하고 멸균해 완제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 개나리-황기 과립의 제조:
원처방 조제 원료: 금은화 100분, 개나리 100분, 황금 100분, 청호 100분, 생황기 100분, 볶은 백출 100분, 배초향 100분, 방풍 60분, 맥문동 100분, 감초 60분.
제조방법과 단계:
(1) 약재를 물로 세척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2) 1000체적분으로 조제하고, 25℃에서 120분 동안 탈이온수로 담그는 단계;
(3) 100℃에서 20분 동안 달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4) 달인 약액을 꺼내 4℃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하고, 여과해 농축하고, 벤조산 또는 벤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5) 건조시켜 과립을 제조하고, 밀봉 포장하고, 멸균해 완제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3: 개나리-황기 과립이 유행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마우스의 폐 병리 변화에 대해 미치는 영향
재료: 개나리-황기 과립으로 제조한 원액(15.6g생약/kg); 리바비린(ribavirin)(양성 대조약, 0.075g/kg); 닭 배아, 갑형 유행 감기 바이러스 FM 1주, ICR마우스.
방법: 마우스를 4개의 군으로 무작위 구분하고, 1개의 군에 6마리 배치하고, 정상군, 모델군, 리바비린군, 개나리-황기 과립군을 설치한다. 위에 매일 2번 약물을 투여하고, 매번 0.3 밀리리터를 투여하고, 정상군은 같은 양의 재증류수를 투여하고, 연속 5일 진행한다. 바이러스를 증식시킨 요막 액을 비강에 떨구어 감염시키고, 마우스마다 15개의 LD50 공격량을 갖도록 한다. 여섯 번째 날에 마우스를 경추 탈골로 희생시키고, 10%의 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시료를 적출하고, 탈수시키고, 파라핀으로 감싸 매설하고, HE 염색을 실시하고, 광 렌즈로 시료를 관찰한다. 병리 변화의 경미, 보통, 심각 정도별로 각각 0, 1, 2, 3, 4의 값을 메기고, 병리 변화 평점을 계산해 통계학적 분석을 진행한다. 순위합 검증을 이용하고, 이용하는 통계 소프트웨어는 SPSS13.0이다.
결과:
표: 개나리-황기 과립이 유행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마우스의 폐 병리 변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n=6)
Figure pct00001
주석: (1) 서로 다른 조직 병리 변화에서, 모델군, 리바비린군, 개나리-황기 과립군을 정상군과 대조할 경우, 그의 차이점은 통계학적 의미가 많다(P<0.05). (2) 리바비린군과 개나리-황기 과립군 간의 차이점은 통계학적 의미가 없다(P>0.05).
결과는 개나리-황기 과립이 유행 감기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의 폐 병리 변화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4:
일반 자료에 따르면, 2019년9월부터 2020년2월까지 유행성 감기 임상 환자가 아래 증상(발열, 두통, 사지통, 인두 건조, 인후통, 기침)이 나타나면 군에 편입시키고 개나리-황기 과립 침제(浸劑)로 경구 투여해 치료하였다. 환자는 인원수가 30명이고, 연령이 19세 내지 60세이다. 매일 중의약 한 첩을 투여하고, 조석에 2번 경구 투여하고, 연속 3일 내지 5일 복용시킨다. 대조군은 인원수가 30명이고, 개방형 평행식으로 전통 치료와 대조되도록 설치한다.
임상 치료 효과 표준: 약물을 연속 복용한 3일 내에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두통, 사지통, 인두 건조, 인후통, 기침의 증상이 뚜렷하게 완화되었고, 혈액 소견이 정상이고, 흉부 투시 사진의 이미지가 정상이다. 효험과 완화의 합병이 효과적이고 유효율이 87%에 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공개하였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균등 치환 또는 등가적 변환방식으로 획득한 기술방안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7)

  1. 개나리-황기 복방제제에 있어서,
    중의약 조제법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의약 조제법 성분은, 금은화 9 내지 11분(parts), 개나리 9 내지 11분,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9 내지 11분, 청호(Artemisia carvifolia) 9 내지 11분, 생황기 9 내지 11분, 볶은 백출 9 내지 11분, 배초향(Agastache rugosa) 9 내지 11분,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 5 내지 7분, 맥문동 9 내지 11분, 감초 5 내지 7분 질량분율의 원료 또는 원료 추출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싱기 중의약 조제법 성분은 금은화 10분, 개나리 10분, 황금 10분, 청호 10분, 생황기 10분, 볶은 백출 10분, 배초향 10분, 방풍 6분, 맥문동 10분, 감초 6분 질량분율의 성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상기 중의약 조제법 성분과 약학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보조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개나리-황기 복방제제의 제형이 드링크제, 과립제, 침제(浸劑), 정제(錠劑)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5. 개나리-황기 드링크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금은화 10분, 개나리 10분, 황금 10분, 청호 10분, 생황기 10분, 볶은 백출 10분, 배초향 10분, 방풍 6분, 맥문동 10분, 감초 6분의 조제법 비율에 따라 원료를 준비하고; 약재를 물로 세척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2) 25℃에서 120분 동안 탈이온수로 담그는 단계;
    (3) 100℃에서 20분 동안 달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4) 달인 약액을 꺼내 4℃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하고, 여과해 농축하고, 벤조산 또는 벤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5) 용기에 부어넣어 밀봉하고 멸균해 완제품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나리-황기 드링크제의 제조방법.
  6. 개나리-황기 과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금은화 10분, 개나리 10분, 황금 10분, 청호 10분, 생황기 10분, 볶은 백출 10분, 배초향 10분, 방풍 6분, 맥문동 10분, 감초 6분의 조제법 비율에 따라 원료를 준비하고; 약재를 물로 세척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2) 25℃에서 120분 동안 탈이온수로 담그는 단계;
    (3) 100℃에서 20분 동안 달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4) 달인 약액을 꺼내 4℃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하고, 여과해 농축하고, 벤조산 또는 벤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5) 건조시켜 과립을 제조하고, 밀봉 포장하고, 멸균해 완제품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나리-황기 과립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나리-황기 복방제제의 바이러스형 유행성 감기 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 약물 제조에서의 응용.
KR1020227017189A 2020-03-12 2020-07-14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KR20220098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168799.0A CN111249390A (zh) 2020-03-12 2020-03-12 一种翘芪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202010168799.0 2020-03-12
PCT/CN2020/101945 WO2021179505A1 (zh) 2020-03-12 2020-07-14 一种翘芪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360A true KR20220098360A (ko) 2022-07-12

Family

ID=7094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189A KR20220098360A (ko) 2020-03-12 2020-07-14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66848A4 (ko)
JP (1) JP2023508675A (ko)
KR (1) KR20220098360A (ko)
CN (1) CN111249390A (ko)
WO (1) WO2021179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9390A (zh) * 2020-03-12 2020-06-09 尧舜泽生物医药(南京)有限公司 一种翘芪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3577140A (zh) * 2021-07-28 2021-11-02 黑龙江中医药大学附属第一医院(黑龙江中医药大学第一临床医学院) 一种用于治疗新冠肺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925835A (zh) * 2021-09-29 2022-01-14 孙鲁英 固表清肺颗粒及其制备方法
CN114606236B (zh) * 2022-04-21 2024-01-05 南通大学 一种翘芪复方中药汤剂来源的微小核糖核酸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6752B (zh) * 2009-02-26 2011-08-31 河南天纳图生物科技有限公司 预防治疗禽流感的中药
CN101574407B (zh) * 2009-06-24 2011-04-13 贾高增 一种预防感冒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1708275B (zh) * 2009-11-27 2012-11-28 北京市卫生局临床药学研究所 一种治疗由甲型h1n1等流感病毒引起的流感的中药
CN104740370A (zh) * 2013-12-26 2015-07-01 孔辉 一种预防和治疗禽流感的药物
CN104013678B (zh) * 2014-05-24 2016-02-17 潍坊市富言畜禽病诊疗中心 一种用于防治禽流感、新城疫的中药组合物
CN104840786B (zh) * 2015-05-14 2019-02-15 北京康华远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防禽流感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939152A (zh) * 2017-12-20 2019-06-28 广东恒诚制药有限公司 一种感冒止咳颗粒的制备方法及应用
CN111249390A (zh) * 2020-03-12 2020-06-09 尧舜泽生物医药(南京)有限公司 一种翘芪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9505A1 (zh) 2021-09-16
JP2023508675A (ja) 2023-03-03
US20230040479A1 (en) 2023-02-09
CN111249390A (zh) 2020-06-09
EP4066848A4 (en) 2023-01-04
EP4066848A1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8360A (ko) 개나리-황기 복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CN101095736B (zh) 一种治疗急慢性咽炎、扁桃体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724040A (zh) 治疗小儿感冒及反复感冒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CN102319294B (zh) 双香草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169891A (zh) 一种新型维c银翘片
WO2021208335A1 (zh) 解毒化湿利咽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210047C (zh) 治疗感冒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2698068A (zh) 一种预防化疗所致口腔黏膜炎的口腔护理液制备方法
CN102284022A (zh) 一种止咳药物及其制备方法
CN111202827A (zh) 一种预防流感、sars、禽流感及新冠肺炎的中药
CN111569035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在制备治疗新冠肺炎尤其是无症状感染者药物中的应用
CN116139237B (zh) 一种防治新型冠状病毒等所致呼吸道感染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11840456A (zh) 用于治疗呼吸系统疾病的中药组合物
CN102641335A (zh) 一种治疗上呼吸道病毒感染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193061A (zh) 一种治疗或预防儿童流感病毒感染的中药颗粒剂的制备及应用
WO2011143844A1 (zh) 一种治疗甲型流感病毒亚型感染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486488A (zh) 一种用于普通食品的茶饮组合物及其应用
CN106236895A (zh) 一种治疗咳嗽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11184854A (zh) 一种预防病毒感染的中药方剂
CN102451401A (zh) 一种维c银翘的处方
CN103394064A (zh) 一种治疗感冒轻症的中药组合物
US11998583B2 (en) Fructus forsythiae and radix astragali compoun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CN102805810A (zh) 一种治疗艾滋病的中药制剂及相应的制备方法
CN105250435A (zh) 一种治疗流行性感冒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491662A (zh) 一种治疗麻疹初期的中药制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