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352A -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352A
KR20220098352A KR1020227016115A KR20227016115A KR20220098352A KR 20220098352 A KR20220098352 A KR 20220098352A KR 1020227016115 A KR1020227016115 A KR 1020227016115A KR 20227016115 A KR20227016115 A KR 20227016115A KR 20220098352 A KR20220098352 A KR 20220098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extruder
longitudinal axis
housing
ro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그라들-라미
만프레드 도베르스베르거
플로리안 그루버
클라우스 파이히팅거
Original Assignee
퓨어루프 게에스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어루프 게에스엠베하 filed Critical 퓨어루프 게에스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98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8Barrels or cylinders
    • B29C48/685Barrels o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inner surfaces, e.g. having grooves, projections or threads
    • B29C48/687Barrels o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inner surfaces, e.g. having grooves, projections or threads having projections with a short length in the barrel direction, e.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2Making preform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e.g. sheet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885Adding charges, i.e. additives with means for treating, e.g. milling, the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5Recovery or reuse of energy or materials
    • B29C48/277Recovery or reuse of energy or materials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7Raw material pre-treatment while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61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with the barrel or with a part thereof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7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 B29C48/38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using two or more serially arranged screws in separate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7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 B29C48/39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a first extruder feeding the melt into an intermediate location of a second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2Screws with an outer diameter vary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for obtaining different thread clearance
    • B29C48/525Conical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66Recycling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 디바이스는, - 재료를 파쇄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파쇄 유닛(1), 특히 단일 샤프트 파쇄기 ─ 상기 파쇄 유닛은 파쇄 하우징(2) ─ 상기 파쇄 하우징에서, 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의 회전시 구동될 수 있는, 특히 롤러의 형태의 회전자 본체(4)가 제공되며, 상기 회전자 본체(4)는 그의 둘레 상에 다수의 파쇄 공구들(14)을 지탱함 ─ , 및 파쇄될 재료가 회전자 본체(4)에 공급될 수 있는 이송 개구(5)를 가짐 ─ , - 파쇄 유닛의 출력 구역(6)에 인접하는 이송 유닛(19) ─ 이송 유닛은 하우징(15) 및 스크류(7)를 가지며, 스크류는 내부에 장착되고 그리고 파쇄 유닛(1)으로부터 출력되는 재료를 이송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회전시에 구동될 수 있으며, 파쇄 유닛(1) 또는 회전자 본체(4)는, 재료가 스크류(7)의 전방 측면 상에서, 출력 구역(6)으로 그리고 출력 구역(6)을 통해 회전자 본체(4)의 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회전자 본체(4)의 길이방향 축 및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특히 동축으로 배향됨 ─ , 및 스크류(7)에 인접한 압출기(9)를 포함하며, 압출기는 압출기 하우징(13), 및 내부에 장착되고 그리고 회전시 구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출기 스크류(11)를 가지며, 전방측 배출 개구(8)는 하우징(15)에 형성되고, 이 배출 개구(8)를 통해, 재료는 압출기(9)의 흡입 개구(16) 내로 압출기 스크류(11)로 이송될 수 있고, - 스크류(7)의 중심 길이방향 축(3)은 압출기 스크류(11)의 중심 길이방향 축(10)에 대한 각도로, 특히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배향되며, 그리고 -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배출 개구(8) 또는 흡입 개구(16)의 구역에서 또는 구역 내에서 압출기 스크류(11)의 회전 방향(12)의 방향으로 압출기 스크류(11)의 길이방향 축(10)에 대해 회전 방향(12)의 오프셋(v)만큼 오프셋된다.

Description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제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단일 샤프트 파쇄기들은, 파쇄될 재료들, 특히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재료들을 처리할 때 종종 적용된다. 이러한 단일 샤프트 파쇄기들은 다양한 분야들에서, 특히 재활용 목적들을 위해 미리 파쇄될 플라스틱 재료를 파쇄하기 위한 적용에 이른다. 이러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필름들 또는 압출 스타트-업 패드들, 병들 및 다른 용기들의 형태로 주로 더러운 상태로 나타난다.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부분적으로 절단을 통해 파쇄된 입자들을 가열하고, 그리고 단일 스크류로 형성되는 원뿔형 전이부로 추가로 이 입자들을 운송시키는 단일 샤프트 파쇄기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입자들은 대부분 원뿔형 부품에서 추가로 압축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추가로 가열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입자들의 일부는 본 프로세스에서 연화된다. 그 후, 압출기는 동일한 축 상에서 뒤따르고, 이러한 입자들을 추가로 압축하고 그리고 가열하고 그리고 입자들을 액체 상태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AT 407 971 B로부터 공지된다. 그러나, 특정 크기 초과에서, 이러한 설계는 더 이상 양호하게 작동될 수 없는 매우 크고 그리고 긴 시스템들로 이어진다.
또한, 보다 높은 처리량들 또는 크기들로의 스케일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단일 구동부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주로 그의 자체 구동부를 갖는 별도의 압출기를 또한 주로 그의 자체 구동부를 갖는 파쇄 유닛에 직접적으로 커플링시키는 것이 가능한다.
그러나, 전처리된 재료가 압출기로 공급되는 방식은 항상 매우 중요한 지점이다. 바람직하지 않은 공급은 종종 압출 스크류에서 불충분하고 그리고 불안정한 충전 레벨들로 이어지며, 이는 결국, 압출의 효율적인 또는 충분한 품질을 방해한다.
기본적으로, 압출기 내로의 모든 탬핑 프로세스 또는 충전 프로세스가 중요하다. 많은 경우들에서, 재료의 방향의 변경 및 압출기의 스크류 플라이트에 의한 흡입 개구의 부분 폐쇄가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이들은 2개의 주요 영향 요인들이다.
일부 디바이스들에서, 재료가 미립자, 유체 형태인 경우, 용기에서 회전하는 혼합 및 파쇄 공구들이 충전 압력을 생성시에 성공한다. 이는 또한, 압출기에 의해 테이크 업될(taken up) 수 없는 과도한 재료가 용기로 복귀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는 탬핑 스크류(tamping screw)로는 훨씬 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보다 높은 처리량들에서 합리적인 크기를 가지고 그리고 양호하게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동시에 압출기의 유리한 충전 및 효율적인 또는 고품질 압출을 보장하는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1 항의 특성화 특징들에 의해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따라서
- 스크류의 중심 길이방향 축은 압출기 스크류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대한 각도로, 특히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배향되며, 그리고
-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은, 배출 개구 또는 흡입 개구의 구역에서 또는 구역 내에서 압출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의 방향으로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방향의 오프셋(v)만큼 오프셋되는 것이 제공된다.
압출기에 대한 각도로의 스크류, 특히, 이송, 운송, 또는 응집 스크류의 커플링으로 인해, 재료는 압출기로 측방향으로 이송되며, 한편으로는 디바이스의 치수들이 심지어 보다 높은 처리량 속도들에서도 콤팩트한 것 및 시스템이 용이하게 작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의 특별한 오프셋으로 인해, 압출기의 보다 우수하고 그리고 보다 안정적인 충전이 보장된다. 특히 각도를 갖는 배열에 의해 유발되는 재료의 방향의 변화는 특히, 여기서 훨씬 더 특별한 요건들을 초래한다.
한편으로, 특별한 오프셋은, 재료가 압출기 흡입부에서 편향되도록 특정한 양의 공간을 생성한다. 그래서, 여기에 약간의 과잉공급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이미 이에 의해 어느 정도 완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커플링 구역의 특별한 기하학적 형상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크류로부터의 "코르크스크류(corkscrew)"는 압출기 디바이스에 대항하여 또는 압출기 디바이스의 방향으로, 즉, 압출기 스크류의 능동 플랭크에 대항하여 회전한다. 스크류는, 특히 재료가 아직 용융되지 않으며 그리고 스크류가 부분적으로 충전될 때, 수동 플랭크 상에서보다 능동 플랭크 상에서 항상 더 높은 밀도를 갖는다. 부분적으로 또한 서로 달라붙는, 이러한 보다 압축된 재료는, 이송 스크류를 떠난 후에 스크류 형상을 유지하고 그리고 이에 따라 압출기 스크류의 능동 플랭크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보다 안정적인 충전 외에도, 이는 일부 추가 압축을 유발시킨다.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 및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은 프로세스에서 단지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않는다. 이들은 소정의 각도로, 유리하게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고 그리고 x-축 및 y-축을 규정한다. 오프셋은 z-축에서, 따라서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그리고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오프셋의 방향은 필수적이다. 오프셋은, 압출기 스크류가 배출 개구의 영역에서 또는 바로 그 전방에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압출기 스크류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따라서, 예를 들어, 압출기의 구동부로부터 또는 뒤로부터 보는 경우, 스크류가 왼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압출기에 진입할 때, 오프셋이 아래로 발생하며 그리고, 또한 뒤로부터 또는 구동부로부터 보는 경우, 이에 따라 공급이 왼쪽으로부터 발생한다. z-축에서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의 오프셋이 의도된 방향으로 발생하는 한, 따라서, (압출기 스크류의 회전 및/또는 압출기 내로의 공급 측면의 방향에 의존하는) 스크류의 오프셋이 압출기 스크류와 비교하여 약간 위로 또는 아래로 발생하는지의 여부와 관련이 없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의 길이방향 축은 압출기의 길이방향 축 아래에 배열되며, 즉 디바이스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 스크류는 압출기 스크류보다 저부에 다소 더 가깝다. 따라서, 압출기의 공급은 저부에 다소 더 가까운 압출기 스크류의 구역 내로 발생한다.
스크류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스크류들을 가지는 압출기일지라도(특히 트윈-스크류 압출기), 압출기의 측방향 구역 내로 항상 개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크류는 유리하게는 압출기 스크류들의 길이방향 축들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 내로 대략 개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셋이 0 < v < R의 범위에 있고, R은 압출기 스크류의 반경인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출기의 특히 유리한 공급이 가능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출기의 흡입 개구가 오프셋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에 대한 각도(α)로 경사지고 그리고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저부 표면을 가지며, 각도 α는 0° < α < 20° 범위에 있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저부 표면은, 압출기에 공급되는 재료에 대한 한 종류의 넓은 접근 경사(ramp)가 생성되며, 재료가 압출기 스크류에 가까워짐에 따라, 이 넓은 접근 경사가 그 후 공급의 구역을 상승시키고 그리고 꾸준히 감소시키도록 슬로프된다(sloped).
특히 원통형의 파쇄 하우징은 스크류의 특히 원통형의 하우징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진다면, 추가로 유리하다. 이는, 재료의 사전압축을 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설계 이유들로, 또한, 파쇄기의 하우징을 위한 큰 유지 체적을 달성하기 위해 파쇄기의 하우징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스크류 하우징을 설계하는 것,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스크류가 보다 작도록 노력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요망가능하다.
이러한 내용에서, 하우징이 원통형이거나, 원뿔 형상을 가질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크류의 하우징이 회전자 본체의 하우징의 배출 개구에 동축으로 또는 등축으로 연결될 때 초래되며, 스크류의 하우징의 하나의 전방 측면은 스크류에 의해 재료가 이송되거나 가소화되도록 흡입 개구를 형성하며, 재료는, 그 후, 특히 부분적으로 가소화된 상태로, 이러한 하우징의 다른 전방 측면에서 나온다. 이는, 절단 프로세스 및 마찰로 인한, 파쇄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손실 없이 처리된 재료를 통해 가소화 구역 내로 즉시 운반되며, 이는 재료를 가소화하는 것에 대해 효과적으로 만들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이 보다 큰 파쇄 하우징 및 직경이 보다 작은 스크류의 하우징, 이에 따라, 파쇄 유닛 및 스크류가 원뿔형 전이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원뿔형 스크류가 재료를 이송하기 위해 그리고 무엇보다, 또한 재료를 압축하기 위해 원뿔형 전이 부분에 배열될 때, 특히 유리하다. 원뿔형 전이부에서의 압축으로 인해, 가열은 이러한 구역에서 발생한다. 더욱이, 재료의 부분적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처음에 탬핑 스크류로의 원뿔형 전이부에서 예열된 그리고 미리 압축된 재료를 발생시킨다. 이는, 방향의 변경을 간소화하고 그리고 압출기 스크류의 충전 레벨을 높게 유지한다. 재료의 압축은 이미 스크류의 상류에서 발생하며 ─ 플랜트 조합들과 대조적으로, 여기서, 단일 샤프트 파쇄기의 하류에서 특별한 사전압축 디바이스가 없는 탬핑 스크류들이 대체로 압축되지 않은 재료를 압출기로 이송하거나, 여기서 스크류가 단지 압출기에 진입하기 바로 전에 압축을 실행한다. 따라서, 재료의 압축 및 압출기로의 공급은 또한 국부적으로 분리된다. 이는, 압출 스크류의 충분한 그리고 안정적인 충전 레벨들을 초래하며, 따라서 특히 효율적이고 그리고 고품질인 압출을 보장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료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원뿔형 단일 스크류 내로 원뿔형 일부를 떠나가며, 이는 후속적으로 재료를 압출기로 이송하는 것이 이에 따라 제공된다. 이러한 동안, 재료는 추가로 가열되거나 템퍼되고(tempered) 그리고 압출기 스크류의 측면으로 공급된다.
스크류는 유리하게는 비압축 이송 스크류 또는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하고, 가소화하고 그리고/또는 응집하는 스크류, 특히 가소제 스크류로서 설계될 수 있다.
구동부를 위한 구조적으로 유리한 해결책은, 스크류가 스크류를 대면하는 회전자 본체의 전방 단부로 돌출하는 그의 코어의 연장부와 회전자 본체를 위한 지지부를 형성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스크류 하우징의 내벽과 접하는 스크류 플라이트들(screw flights)은 회전자 본체의 다른 단부에 대한 베어링(bearing)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자 본체의 배출 단부에 대해 상이한 유형의 베어링에 대한 필요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내용에서, 이는, 회전자 본체가 스크류 및 선택적으로 또한 원뿔형 스크류에 회전 잠금된 방식으로 커플링되고(coupled) 그리고 공통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때 특히 유리하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략적으로 그리고 예로써 실시예 예들에 의해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전체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위로부터의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섹션을 측면으로부터의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4는 동일한 섹션을 위로부터의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그의 전체가 도시된다. 디바이스는 주요 구성요소들로서, 파쇄 유닛(1), 스크류(7)를 가지고 그리고 하류에 또는 이송 방향으로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이송 유닛(19), 및 추가로 하류에 또는 이송 방향으로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압출기(9)를 포함한다.
파쇄 유닛(1)은 공급된 재료를 파쇄하고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파쇄 하우징(2)을 갖는 단일 샤프트 파쇄기이며, 단일 샤프트 파쇄기에서, 그 길이방향 축 중심으로의 회전시 구동될 수 있는 롤러 형상의 회전자 본체(4)가 제공된다. 회전자 본체(4)는 그 둘레 상에서 다수의 파쇄 공구들(14)을 지탱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들은 파쇄 하우징(2) 내부에 고정되어 배열되는 카운터 블레이드들과 협동한다.
파쇄 하우징(2)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그리고 그의 둘레의 대부분에 걸쳐 회전자 본체(4)를 에워싸며, 노출된 둘레 구역은 둘레의 상반부에 있고 그리고 재료가 처리되고 그리고 파쇄되도록 공급 개구(5)를 형성한다. 재료는 공급 개구(5)를 통해 회전자 본체(4)로 공급되고 그리고 이에 의해 파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쇄된 재료는 파쇄 하우징(2)의 전방 측면 상에 배열되는 출력 구역(6)에 대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하류에서 또는 재료 이송 방향으로, 파쇄 유닛(1)으로부터 재료 출력을 이송시키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하우징(15) 및 내부에 장착되고 그리고 회전시 구동될 수 있는 스크류(7)를 가지는 이송 유닛(19)은 파쇄 유닛(1)의 출력 구역(6)에 배열된다. 회전자 본체(4)의 길이방향 축 및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또는 등축으로 정렬된다. 파쇄 유닛(1)은, 재료가 회전자 본체(4)의 축 방향으로 스크류(7)에 대해 전방 측면에 있는 출력 구역(6)으로 그리고 출력 구역(6)을 통해 이송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모션의 이러한 구성요소를 회전자 본체(4)의 축 방향으로 재료에 부여하기 위해, 회전자 본체(4) 반대편에 있는 파쇄 하우징(2)의 내벽은 넓은 리브들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넓은 홈들을 운반한다.
원통형 파쇄 하우징(2)은 스크류(7)의 원통형 하우징(15)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다. 파쇄 하우징(2) 및 하우징(15)은 이에 따라 원뿔형 전이 부분(17)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원뿔형 스크류(18)가 재료를 운반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원뿔형 전이 부분(17)에 배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단일 샤프트 파쇄기들, 특히 파쇄 유닛 및 이송 유닛의 조합은 예를 들어 AT407971, 페이지 4 및 5에 설명되고 그리고 본 개시내용의 청구대상으로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압출기 하우징(13) 및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시 구동될 수 있는 압출기 스크류(11)를 갖는 압출기(9)는 스크류(7)의 하류 전방 측면에 연결된다. 전방측 배출 개구(8)가 하우징(15)에 형성되며, 전방측 배출 개구를 통해 재료는 압출기 스크류(11)를 향해 압출기(9)의 흡기 개구(16) 내로 이송된다.
스크류(7)의 중심 길이방향 축(3)은 압출기 스크류(11)의 중심 길이방향 축(10)에 직각으로 정렬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압출기 스크류(11)의 길이방향 축(10)에 대해 오프셋(v) 만큼, 다시 말해, 배출 개구(8)의 구역에서 또는 그 구역 내에서 또는 그 구역 전방에서 보이는, 압출기 스크류(11)의 특정 방향으로, 다시 말해, 회전 방향(12)으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 및 압출기 스크류(11)의 길이방향 축(10)은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않지만,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압출기 스크류(11)의 길이방향 축(10) 아래에서 도 1 및 도 2에 따른 디바이스의 저부에 또는 이 디바이스에 보다 가깝다.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x-축을 규정하고, 압출기 스크류(11)의 길이방향 축(10)은 y-축을 규정한다. 오프셋은 z-축을 따라, 따라서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에 대해 그리고 압출기 스크류(11)의 길이방향 축(10)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한다.
오프셋(v)의 방향은 필수적이다. 오프셋(v)은, 압출기 스크류(11)가 압출기의 배출 개구(8) 또는 흡입 개구(16)의 영역에서 또는 바로 그 전방에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회전 방향(12)). 도면들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압출기 스크류(11)는 압출기(9)의 구동부로부터 또는 뒤로부터 보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크류(7)는 후방으부터 또는 드라이브로부터 또한 보는 경우 왼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압출기(9)로 개방된다.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의 오프셋(v)은 이에 따라 아래로 발생하며, 즉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저부에 다소 보다 가까운 압출기 스크류(11)의 구역으로 개방된다.
압출기(9)의 흡기 개구(16)는 오프셋(v)의 방향으로 작동 동안 저부 구역에 위치되는 저부 표면(20)을 가지며, 이 저부 표면은 길이방향 축(3) 또는 수평선에 대해 약 15°의 각도(α)로 경사진다.

Claims (10)

  1.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 상기 재료를 파쇄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파쇄 유닛(shredding unit)(1), 특히 단일 샤프트 파쇄기 ─ 상기 파쇄 유닛은 파쇄 하우징(2) ─ 상기 파쇄 하우징에서, 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의 회전시 구동될 수 있는, 특히 롤러의 형태의 회전자 본체(4)가 제공되며, 상기 회전자 본체는 그의 둘레 상에 다수의 파쇄 공구들(14)을 지탱함 ─ , 및 파쇄될 상기 재료가 상기 회전자 본체(4)에 공급될 수 있는 이송 개구(5)를 가짐 ─ ,
    - 상기 파쇄 유닛의 출력 구역(6)에 인접하는 이송 유닛(conveying unit)(19) ─ 상기 이송 유닛은 하우징(housing)(15) 및 스크류(screw)(7)를 가지며, 상기 스크류는 내부에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파쇄 유닛(1)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재료를 이송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회전시에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파쇄 유닛(1) 또는 상기 회전자 본체(4)는, 상기 재료가 상기 스크류(7)의 전방 측면 상에서, 상기 출력 구역(6)을 향해 그리고 상기 출력 구역(6)을 통해 상기 회전자 본체(4)의 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회전자 본체(4)의 길이방향 축 및 상기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특히 동축으로 배향됨 ─ , 및
    상기 스크류(7)에 인접한 압출기(9)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기는 압출기 하우징(13), 및 내부에 장착되고 그리고 회전시 구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출기 스크류(11)를 가지며, 전방측 배출 개구(8)는 상기 하우징(15)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 배출 개구를 통해, 상기 재료는 상기 압출기(9)의 흡입 개구(16) 내로 압출기 스크류(11)로 이송될 수 있고,
    - 상기 스크류(7)의 중심 길이방향 축(3)은 상기 압출기 스크류(11)의 중심 길이방향 축(10)에 대한 각도로, 특히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배향되며, 그리고
    - 상기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은, 상기 배출 개구(8) 또는 상기 흡입 개구(16)의 구역에서 또는 상기 구역 내에서 상기 압출기 스크류(11)의 회전 방향(12)의 방향으로 압출기 스크류(11)의 길이방향 축(10)에 대해 오프셋(v)만큼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v)이 0 < v < R의 범위에 있으며, R은 상기 압출기 스크류(11)의 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7)의 길이방향 축(3)이, 상기 디바이스가 작동할 준비가 되게 설정될 때, 상기 오프셋(v)만큼 상기 압출기 스크류(11)의 길이방향 축(10)보다 상기 저부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9)의 흡입 개구(16)는, 상기 오프셋(v)의 방향으로 저부 표면(20)을 가지며, 상기 저부 표면은 상기 길이방향 축(3)에 대해 각도(α)로 경사지고 그리고 바깥쪽으로 개방되며, 상기 각도(α)는 0°< α < 2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원통형의 상기 파쇄 하우징(2)은 상기 스크류(7)의 특히 원통형의 상기 하우징(15)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5)은 원통형이거나 원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하우징(2) 및 상기 하우징(15)은 원뿔형 전이 부분(17)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뿔형 스크류(18)가 상기 재료를 이송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상기 원뿔형 전이 부분(17)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7)는 비압축 이송 스크류 또는 상기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하고, 가소화하고 그리고/또는 응집하는 스크류, 특히 가소제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7)는, 상기 스크류를 대면하는 상기 회전자 본체(5)의 전방 단부로 돌출하는 그의 코어의 연장부와 상기 회전자 본체(5)를 위한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본체(5)는 상기 스크류(7) 및 선택적으로 또한 상기 원뿔형 스크류(18)에 회전 잠금된 방식으로 커플링되고(coupled) 그리고 공통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227016115A 2019-10-16 2020-10-13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2200983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893/2019 2019-10-16
ATA50893/2019A AT523082B1 (de) 2019-10-16 2019-10-16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Material, insbesondere von Kunststoffmaterial
PCT/AT2020/060365 WO2021072465A1 (de) 2019-10-16 2020-10-13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material, insbesondere von kunststoff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352A true KR20220098352A (ko) 2022-07-12

Family

ID=7294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115A KR20220098352A (ko) 2019-10-16 2020-10-13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230001621A1 (ko)
EP (1) EP3883733B1 (ko)
JP (1) JP2022552848A (ko)
KR (1) KR20220098352A (ko)
CN (1) CN114728438B (ko)
AT (1) AT523082B1 (ko)
AU (1) AU2020367533A1 (ko)
BR (1) BR112022007303A2 (ko)
CA (1) CA3153768A1 (ko)
DE (1) DE202020105899U1 (ko)
DK (1) DK3883733T3 (ko)
ES (1) ES2937656T3 (ko)
HU (1) HUE061189T2 (ko)
MX (1) MX2022004600A (ko)
PL (1) PL3883733T3 (ko)
PT (1) PT3883733T (ko)
SI (1) SI3883733T1 (ko)
TW (1) TW202116516A (ko)
WO (1) WO2021072465A1 (ko)
ZA (1) ZA202203351B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1431A1 (de) * 1980-03-25 1981-10-01 Maschinenfabrik Heger GmbH & Co KG, 7033 Herrenberg Zerkleinerungsvorrichtung
AT375867B (de) * 1983-04-27 1984-09-2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gut
AT387747B (de) * 1986-10-10 1989-03-10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gut
EP0309410B1 (de) * 1987-09-25 1993-09-01 Ciba-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eisshärtbaren, schmelzbaren Mischung, Anlage zu seiner Durchführung, und zur Verwendung in letzterer geeignete Extrudereinlasskammer
DE8716077U1 (ko) * 1987-12-04 1988-02-11 Plastmachines Gelderland, 8039 Puchheim, De
US5462238A (en) * 1994-03-17 1995-10-31 Guaranteed Baffle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hredding insulation
AT407234B (de) * 1996-10-14 2001-01-25 Gerold Ing Barth Aufbereitungsvorrichtung zum zerkleinern und förder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AT407971B (de) 1999-07-07 2001-07-25 Bacher Helmut Einwellenzerkleinerer
AT407360B (de) * 1999-07-07 2001-02-26 Bacher Helmut Einwellenzerkleinerer
EP1343623B1 (de) * 2000-12-20 2004-07-14 Kreyenborg Verwaltungen und Beteiligungen GmbH & Co. KG Zuführaggregat einer extrusionsanlage für das recycling von kunststoffen
AT411662B (de) * 2002-03-12 2004-04-26 Starlinger & Co Gmbh Vorrichtung zur zerkleinerung von materialien
DE102006015851B4 (de) * 2006-04-03 2008-03-27 Büttel, Uli Extruder zur Plastifizierung von Kunststoff, insbesondere Abfallkunststoff, Anordnung zur Recyclierung von Abfallkunststoff
AT504326B8 (de) * 2006-10-30 2008-09-15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AT507856B1 (de) * 2009-02-03 2011-09-15 Starlinger & Co Gmbh Vorrichtung zur zerkleinerung von kunststoff
AT512148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09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07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DE102012101481A1 (de) * 2012-02-24 2013-08-29 Wolfgang Leitz Verfahren und Anordnung zum Recyclen von klebstoffbehafteten Folienresten
AT517262A2 (de) * 2015-06-03 2016-12-15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inen Gmbh Aufbereitungsanlage für Kunststoffmaterial
AT517756B1 (de) * 2015-09-22 2017-11-15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in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mit einer Blasvorrichtung für eine Transportschnec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883733T (pt) 2023-02-01
ZA202203351B (en) 2023-03-29
AU2020367533A1 (en) 2022-04-21
AT523082B1 (de) 2022-07-15
DE202020105899U1 (de) 2021-05-06
EP3883733A1 (de) 2021-09-29
DK3883733T3 (da) 2023-03-06
AT523082A1 (de) 2021-05-15
JP2022552848A (ja) 2022-12-20
CN114728438A (zh) 2022-07-08
US20230001621A1 (en) 2023-01-05
MX2022004600A (es) 2022-07-21
PL3883733T3 (pl) 2023-04-24
ES2937656T3 (es) 2023-03-30
HUE061189T2 (hu) 2023-05-28
CN114728438B (zh) 2024-02-27
TW202116516A (zh) 2021-05-01
SI3883733T1 (sl) 2023-05-31
CA3153768A1 (en) 2021-04-22
EP3883733B1 (de) 2022-12-21
WO2021072465A1 (de) 2021-04-22
BR112022007303A2 (pt)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1852B (zh) 用於製備塑料材料的裝置
CA2390199C (en) Apparatus for pre-treatment and subsequent plastification or agglomeration of synthetic plastic materials
TWI569942B (zh) 用於製備塑料材料的裝置
TWI501851B (zh) 用於製備塑料材料的裝置
TWI517957B (zh) 用於製備塑料材料的裝置
DK2766167T3 (e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plastics material
US7309224B2 (en) Device for preparation of plastic materials for recycling purposes
RU25850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DK2766160T3 (e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plastics material
MX2014004450A (es) Dispositivo para procesar material plastico.
KR20130051941A (ko)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MX2014004453A (es) Dispositivo para procesar material plastico.
JP2006526520A (ja) リサイクル用の合成樹脂材料を処理する装置
KR20220098352A (ko)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US20060034961A1 (en) Device for processing plastic waste
RU28104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а, в частности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RU25752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TW411312B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inuously agglomerating of synthetic plastics material, in particular for recycling purpo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