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185A -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185A
KR20220098185A KR1020227019008A KR20227019008A KR20220098185A KR 20220098185 A KR20220098185 A KR 20220098185A KR 1020227019008 A KR1020227019008 A KR 1020227019008A KR 20227019008 A KR20227019008 A KR 20227019008A KR 20220098185 A KR20220098185 A KR 2022009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ata
data frame
frame
transmiss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안동 동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9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bear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75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to or through Device to Device [D2D] links, e.g. direct-mode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83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33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load-splitting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04W28/0967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고,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본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지만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특히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학회는 스터디 그룹(SG, Study Group)을 설치하여 차세대 주류 Wi-Fi 기술을 연구하고, 연구 범위는, 320MHz 대역폭의 Wi-Fi 전송,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 집합 및 협력 기술 등이고, 제출된 비전은 종래의 IEEE802.11ax에 대비해 적어도 4배의 속도 및 처리량으로 향상시킨다. 새 기술의 주요 응용 장면은 비디오 전송,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및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등이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집합 및 협력 기술은 Wi-Fi 기기 간이 2.4GHz, 5.8GHz 및 6-7GH 등 부동한 주파수 대역, 또는 같은 주파수 대역의 부동한 대역폭에서 동시에 통신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제1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통신 식별자(TID, Traffic Identifier)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음 - ; 및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제2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고, 각 전송 링크에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제1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생성 모듈 및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으며;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제2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모듈은,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고, 각 전송 링크에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5 측면에 따르면, 통신 기기 장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 가능한 수행 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수행 가능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될 경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의 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는,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로써,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TID를 구비함으로,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전송될 경우,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구비하여, 각 전송 링크가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모두 예상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이 만족되도록 하고, 부동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의 실제 QoS가 불안정한 현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복수의 전송 링크를 이용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일반적 설명 및 후문의 세부 설명은 예시적인 것과 설명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의 도면은 명세서에 통합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 실시예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MAC 프레임 구조 개략도이다.
도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처리량 제어 영역 개략도이다.
도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처리량 제어 미들 서브 영역 개략도이다.
도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 다중 링크 집합 전송 개략도이다.
도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 다중 링크 집합 전송 개략도이다.
도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당해 예시는 도면에서 나타나고, 하기의 설명이 도면에 관한 것일 경우, 다른 표시가 없으면,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수자는 동일한 또는 비슷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 방식은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면, 그들은 부가된 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콘텍스트에서 기타 함의를 표시하는 명확한 설명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 실시예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하는 홀수 형식의 "하나의" , "상기" 및 "당해"는 다수의 형식도 포함한다. 본 설명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또는 복수의 관련된 열거 프로젝트의 어느 하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점을 더 이해해야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용어 "제1", "제2", "제3" 등으로 각 정보를 설명할 수 있으나, 당해 정보들은 당해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상황에서, 제1 정보는 제2 정보로 불릴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정보는 제1 정보로 불릴 수도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여기서 사용하는 단어 "만약" 은 "... 경우", "... 때" 또는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수행 주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Wi-Fi 네트워크의 IEEE802.11a/b/g/n/ac 기준 및 차세대 Wi-Fi 네트워크의 IEEE802.11be 기준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기기는, Wi-Fi 라우터 등 무선(AP, 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기기, 무선 스테이션(STA, Station), 사용자 단말, 사용자 노드, 모바일 단말 또는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일 응용 장면은, 데이터 프레임 전송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확보하기 위해, 부동한 상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부동한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정의해야 한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집합 및 협력 기술 데이터 통신에 대해, 현재는 아직 부동한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정의 방식이 없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 방법은 무선 통신의 제1 통신 단말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단계101 내지 102를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TID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다.
단계102에서,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무선 통신은 IEEE802.11be 등 기준을 사용한 Wi-Fi 통신일 수 있고; 제1 통신 단말 및 제2 통신 단말은 Wi-Fi 통신의 무선 스테이션(STA, Station)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일 수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각각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프레임(MPDU,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또는 통합 미디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프레임(A-MPDU, Aggregation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등일 수 있다.
각 전송 링크는 각각 1개의 전송 주파수 대역을 점용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는 복수의 전송 주파수 대역을 점용하고, 전송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Wi-Fi작동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2.4GHz, 5.8GHz 및 6-7GHz 등일 수 있고; 전송 주파수 대역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의 주파수 범위일 수도 있다. 각 전송 주파수 대역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의 주파수 범위는 동일한 Wi-Fi 작동 주파수 대역에 속할 수 있고, 부동한 Wi-Fi 작동 주파수 대역에 속할 수도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각각 전송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2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STA 등 제1 통신 단말은 MAC 계층에서 상위의 데이터 콘텐츠를 일정한 프레임 구조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으로 캡슐화하고, 물리 계층 수렴 프로토콜(PLCP,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서브 계층에 의해 처리된 후 포트 물리 계층(PHY)을 통해 송신한다.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는, 같은 유형을 구비한 데이터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실시간성 요구가 비교적 높은 데이터 콘텐츠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하고, 고신뢰성 요구의 데이터 콘텐츠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같은 데이터 콘텐츠 유형에 의해 생성된 제1 데이터 프레임에 같은 TID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콘텐츠에 대응되는 유형은, 음성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기타 데이터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데이터 유형은 고신뢰성, 저지연성 통신(URLLC,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업무 데이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콘텐츠 Wi-Fi 멀티미디어는 부동한 상위 데이터의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다양한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 큐를 정의하였고,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음성 우선 순위, 비디오 우선 순위, 최대 노력(Best Effort) 우선 순위 및 배경(Back Ground) 우선 순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동한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부동하고, 전송 실시간성 요구가 비교적 높은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음성 우선 순위일 수 있고, 대량 데이터의 데이터 콘텐츠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비디오 우선 순위일 수 있으며, 고신뢰성이 요구된 데이터 콘텐츠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최대 노력 우선 순위일 수 있고, 일반 전송이 요구된 데이터 콘텐츠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배경 우선 순위일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 큐에 따라 송신된다. 예를 들면,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 프레임이 먼저 송신된다.
상위 데이터가 MAC 계층에서 데이터 프레임으로 캡슐화될 경우, 데이터 프레임에 트래픽 식별자(TID)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데이터 콘텐츠 유형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TID를 설정할 수 있고, 부동한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데이터 프레임은 부동한 TID를 구비한다. 부동한 TID는 부동한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같은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구비한다.
MAC 프레임 헤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TID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C 프레임 헤드의 예약된 비트에 TID를 설정할 수 있다. TID는 3개의 비트를 점용할 수 있고, 부동한 값을 사용하여 부동한TID를 나타냄으로, 부동한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제1 통신 단말은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TID를 먼저 판독할 수 있음으로,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 송신 큐에 배치하여 송신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제1 통신 단말은 각 송신 큐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의 높음에서 낮음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제1 통신 단말에 의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고, 제2 통신 단말에 의해 수신된다. 제2 통신 단말은 Wi-Fi 통신의 STA 및 AP 등일 수 있다. 복수의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의 커버리지 범위는 부동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는 데이터 프레임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음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로써,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TID를 구비함으로,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전송할 경우,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구비하여, 각 전송 링크가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모두 예상의 QoS을 만족할 수 있고, 부동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의 실제 QoS가 불안정한 현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다중 전송 링크를 이용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제1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과 부동하다.
부동한 전송 링크의 통신 하중은 부동하다. 제1 통신 단말은 복수의 전송 링크의 1개의 전송 링크에서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당해 전송 링크의 통신 상태 등이 더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의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전송 링크의 다른 1개의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 링크를 전환할 경우, TID는 변하지 않는다.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은 제1 전송 링크의 통신 상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전송 링크가 외계의 방해를 받을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던 데로부터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도록 전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물리 액세스 제어 다중 링크 논리 엔티티(MAC MLLE, Multi-Link Logic Entity)에 의해 제1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전송 링크의 전환을 수행하고, 제1 전송 링크에서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의 TID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 링크를 전환할 경우,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전환 후의 전송 링크를 선택하고, 전송 링크를 전환한 후 당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가 구비되지 않아,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의 실제 QoS가 불안정한 현상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당해 방법은,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제1 데이터 프레임 전에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이다. 제1 데이터 프레임 및 제2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제2 전송 링크를 구비하고, 제2 통신 단말이 제2 데이터 프레임 후에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후속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2 통신 단말은 제2 데이터 프레임에 구비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한 후, 주파수 대역 정보에 따라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제2 전송 링크에서 제2 데이터 프레임 후에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제1 데이터 프레임 전에 송신된 제2 데이터 프레임에 구비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통해, 제2 통신 단말이 제2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이로써, 사용자 기기는 제2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해야 하는 것을 미리 알 수 있고, 사용자 기기가 전환하지 않거나 제때에 전환하지 못함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이 실패되는 경우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대역 정보는, 제2 데이터 프레임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1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도2에 도시된 MAC 계층 데이터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에 미리 설정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정보는 고처리량(HT, High-Throughput) 제어 미들(Control Middle) 서브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VHT는 초고 처리량(Very High Throughput)을 나타내고; AC는 액세스 범주(Access Category)를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 제어 미들 서브 영역의 B25 내지 B284개의 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전환되려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한다. 즉,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정보를 식별한다. HT NDP는, 고처리량 데이터 패킷(High Throughput Null Data Packet)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하기의,
제1 전송 링크의 하중이 하중 역치보다 높은 것;
제1 전송 링크의 통신 품질이 품질 역치보다 낮은 것;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전송 링크의 하중이 하중 역치보다 높을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송 링크의 통신 품질이 품질 역치보다 낮을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 품질은, 통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당해 방법은,
제2 통신 단말에서 송신된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이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지시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통신 단말 및 제2 통신 단말이 다중 전송 링크의 데이터 전송을 하기 전에, 제1 통신 단말 및 제2 통신 단말은 서로 관리 프레임 또는 데이터 프레임에 구비된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통해, 상대가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대가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결정한 후, 다중 전송 링크 전송 및/또는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예시적으로, 제1 통신 단말이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통해,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제1 통신 단말은 여전히 제1 전송 링크를 통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제1 통신 단말이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결정할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A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인증 요청 프레임 등 관리 프레임에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할 수 있고, AP는 비콘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 연관 응답 프레임 또는 인증 응답 프레임 등 관리 프레임에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통신 단말은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후,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에 따라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유형을 결정한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일 경우, 당해 제1 데이터 프레임 및 기타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을 함께 조합 및 디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2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예시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 제어 미들 서브 영역의 B20 및 B21와 같은 2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HT제어 미들 서브 영역은, QoS 영역의 HT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TID는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서비스 품질(QoS) 영역의 제3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도2에 도시된 MAC 계층 데이터 프레임의 QoS 영역에 TID를 설정할 수 있고, QoS 영역은 MAC 계층 데이터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드 위치에 위치한다. TID는 3개의 비트를 점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송 링크는, 도6에 도시된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 및 도7에 도시된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각 전송 링크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단독 전송되고, 단독 전송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이 사용하는 복수의 전송 링크는 시간 영역에서 각 스케줄링 수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동기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각 전송 링크 사이에서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때의 동기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각 전송 링크에서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의 송신 및 수신 시간은 일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 방법은 무선 통신의 제2 통신 단말에 적용되고, 단계201을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고, 각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다.
무선 통신은 IEEE802.11be 등 기준을 사용한 Wi-Fi 통신일 수 있고; 제1 통신 단말 및 제2 통신 단말은 Wi-Fi 통신의 STA 및 AP 등일 수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각각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MPDU 또는 A-MPDU 등일 수 있다.
각 전송 링크는 각각 1개의 전송 주파수 대역을 점용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는 복수의 전송 주파수 대역을 점용하고, 전송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Wi-Fi작동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2.4GHz, 5.8GHz 및 6-7GHz 등일 수 있고; 전송 주파수 대역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의 주파수 범위일 수도 있다. 각 전송 주파수 대역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의 주파수 범위는 동일한 Wi-Fi 작동 주파수 대역에 속할 수 있고, 부동한 Wi-Fi 작동 주파수 대역에 속할 수도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각각 전송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2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STA 등 제1 통신 단말은 MAC 계층에서 상위의 데이터 콘텐츠를 일정한 프레임 구조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으로 캡슐화하고, PLCP 서브 계층에 의해 처리된 후 PHY을 통해 송신한다.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는, 같은 유형을 구비한 데이터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실시간성 요구가 비교적 높은 데이터 콘텐츠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하고, 고신뢰성 요구의 데이터 콘텐츠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같은 데이터 콘텐츠 유형에 의해 생성된 제1 데이터 프레임에 같은 TID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콘텐츠에 대응되는 유형은, 음성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기타 데이터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데이터 유형은 URLLC 업무 데이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콘텐츠 Wi-Fi 멀티미디어는 부동한 상위 데이터의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다양한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 큐를 정의하였고,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음성 우선 순위, 비디오 우선 순위, 최대 노력 우선 순위 및 배경 우선 순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동한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부동하고, 전송 실시간성 요구가 비교적 높은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음성 우선 순위일 수 있고, 대량 데이터의 데이터 콘텐츠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비디오 우선 순위일 수 있으며, 고신뢰성이 요구된 데이터 콘텐츠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최대 노력 우선 순위일 수 있고, 일반 전송이 요구된 데이터 콘텐츠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배경 우선 순위일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 큐에 따라 송신된다. 예를 들면,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 프레임이 먼저 송신된다.
상위 데이터가 MAC 계층에서 데이터 프레임으로 캡슐화될 경우, 데이터 프레임에 트래픽 식별자(TID)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데이터 콘텐츠 유형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TID를 설정할 수 있고, 부동한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데이터 프레임은 부동한 TID를 구비한다. 부동한 TID는 부동한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같은 데이터 콘텐츠 유형의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구비한다.
MAC 프레임 헤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TID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C 프레임 헤드의 예약된 비트에 TID를 설정할 수 있다. TID는 3개의 비트를 점용할 수 있고, 부동한 값을 사용하여 부동한TID를 나타냄으로, 부동한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제1 통신 단말은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TID를 먼저 판독할 수 있음으로,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 송신 큐에 배치하여 송신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제1 통신 단말은 각 송신 큐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의 높음에서 낮음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제1 통신 단말에 의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고, 제2 통신 단말에 의해 수신된다. 제2 통신 단말은 Wi-Fi 통신의 STA 및 AP 등일 수 있다. 복수의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의 커버리지 범위는 부동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는 데이터 프레임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음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로써,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TID를 구비함으로,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전송할 경우,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구비하여, 각 전송 링크가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모두 예상의 QoS이 만족될 수 있고, 부동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의 실제 QoS가 불안정한 현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다중 전송 링크를 이용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에서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미리 구성된 것이다.
제1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과 부동하다.
제1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과 부동하다.
부동한 전송 링크의 통신 하중은 부동하다. 제1 통신 단말은 복수의 전송 링크의 1개의 전송 링크에서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당해 전송 링크의 통신 상태 등이 더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요구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전송 링크의 다른 1개의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 링크를 전환할 경우, TID는 변하지 않는다.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은 제1 전송 링크의 통신 상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전송 링크가 외계의 방해를 받을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던 데로부터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물리 액세스 제어 다중 링크 논리 엔티티(MAC MLLE)에 의해 제1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전송 링크의 전환을 수행하고, 제1 전송 링크에서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의 TID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 링크를 전환할 경우,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전환 후의 전송 링크를 선택하고, 전송 링크를 전환한 후 당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가 구비되지 않아,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의 실제 QoS가 불안정한 현상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당해 방법은,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제2 데이터 프레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제1 데이터 프레임 전에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이다. 제1 데이터 프레임 및 제2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제2 전송 링크를 구비하고, 제2 통신 단말이 제2 데이터 프레임 후에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후속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2 통신 단말은 제2 데이터 프레임에 구비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한 후, 주파수 대역 정보에 따라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제2 전송 링크에서 제2 데이터 프레임 후에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제1 데이터 프레임 전에 송신된 제2 데이터 프레임에 구비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통해, 제2 통신 단말이 제2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이로써, 사용자 기기는 제2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해야 하는 것을 미리 알 수 있고, 사용자 기기가 전환하지 않거나 제때에 전환하지 못함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이 실패되는 경우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대역 정보는, 제2 데이터 프레임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1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도2에 도시된 MAC 계층 데이터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에 미리 설정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정보는 HT 제어 미들 서브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 제어 미들 서브 영역의 B25 내지 B284개의 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전환되려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한다. 즉,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정보를 식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송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당해 밥법은,
제1 통신 단말에 관리 프레임 또는 제3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통신 단말에 송신된 관리 프레임 또는 제3 데이터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하고;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는,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2 통신 단말에서 송신된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이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지시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통신 단말 및 제2 통신 단말이 다중 전송 링크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제1 통신 단말 및 제2 통신 단말은 서로 관리 프레임 또는 데이터 프레임에 구비된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통해, 상대가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대가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결정한 후, 다중 전송 링크 전송을 수행하거나, 및/또는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예시적으로, 제1 통신 단말이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을 통해,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제1 통신 단말은 여전히 제1 전송 링크를 통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제1 통신 단말이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결정할 경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전송 링크로 전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A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인증 요청 프레임 등 관리 프레임에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할 수 있고, AP는 비콘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 연관 응답 프레임 또는 인증 응답 프레임 등 관리 프레임에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당해 방법은,
제1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가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할 경우, 수신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조합 및 디코딩한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통신 단말은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후,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에 따라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유형을 결정한다.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일 경우, 당해 제1 데이터 프레임 및 기타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을 함께 조합 및 디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제1 데이터 프레임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서비스 품질(QoS) 영역의 제2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예시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QoS 영역의 HT 영역의 HT 제어 미들 서브 영역의 B20 및 B21와 같은 2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ID는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3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도2에 도시된 MAC 계층 데이터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에 TID를 설정할 수 있다. TID는 3개의 비트를 점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하기의,
제1 통신 단말이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제1 통신 단말이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복수의 전송 링크는, 도6에 도시된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 및 도7에 도시된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각 전송 링크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단독 전송되고, 단독 전송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이 사용하는 복수의 전송 링크는 시간 영역에서 각 스케줄링 수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동기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각 전송 링크 사이에서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때의 동기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각 전송 링크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의 송신 및 수신 시간은 일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아래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1개의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한다.
1. 다중 링크 통신 TID의 설정
기기 또는 스테이션이 다중 전송 링크의 전송을 하는데 도6에 도시된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 및 도7에 도시된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과 같은 2종의 방식을 포함한다.
스테이션이 상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MAC 계층에서 처리하고, 상위에서 획득한 데이터 콘텐츠가 같으므로, 액세스 전송에서 같은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를 구비할 경우, 각 당해 상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TID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에 TID를 설정할 수 있고, TID는 3개의 비트를 점용할 수 있다. 이로써, 각 전송 링크에서 당해 상위 데이터를 기반을로 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일치하다.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링크 통합 데이터 프레임인 것을 식별하기 위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 제어 미들 서브 영역의 B20 및 B21과 같은 2개의 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당해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링크 통합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할 수 있다. HT 제어 미들 서브 영역은, QoS 영역의 HT에 위치한다.
2. 다중 링크에서 TID의 동적 전환
(1) 기기 또는 스테이션이 데이터 교환을 하기 전에, 관리 프레임에 동적 서포트하는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 즉, 다중 링크 TID 전환의 능력 정보값을 구비하고,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인증 요청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고,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는 beacon 비콘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 연관 응답 프레임 또는 인증 응답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2) 기기 또는 스테이션은 1개의 전송 링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 링크의 통신 하중을 감안할 경우, 예를 들면 본 전송 링크의 하중이 너무 높을 경우, 통신이 두절될 확률이 매우 높고, 통신 품질 저하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MAC MLLE는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하나의 전송 링크에서 다른 전송 링크로 전환하고,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링크의 전송 전후에 같은 TID를 사용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 제어 미들 서브 영역의 B25 내지 B28에 의해 점용된 4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전환 링크를 식별하고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전환하려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의 제1 통신 단말에 적용되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생성 모듈(110) 및 제1 송신 모듈(120)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110)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으며;
상기 제1 송신 모듈(120)은,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모듈(120)은,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서브 모듈(12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00)는, 제2 송신 모듈(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는,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1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하기의,
상기 제1 전송 링크의 하중이 하중 역치보다 높은 것;
상기 제1 전송 링크의 통신 품질이 품질 역치보다 낮은 것;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00)는,
상기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상기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제2 통신 단말에서 송신된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상기 관리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듈(120)은,
상기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이 상기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지시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상기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서브 모듈(12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2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ID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서비스 품질(QoS) 영역의 제3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모듈(120)은 하기의,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서브 모듈(123);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4 송신 서브 모듈(1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하고, 무선 통신의 제2 통신 단말에 적용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200)는, 제2 수신 모듈(2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모듈(210)은,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고, 각 전송 링크에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수신 모듈(210)은,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에서 제2 전송 링크에 의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서브 모듈(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미리 구성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에서 제2 전송 링크에 의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전송 링크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2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는,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1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200)는,
제2 전송 링크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제1 통신 단말에 관리 프레임 또는 제3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모듈(2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에 송신된 관리 프레임 또는 제3 데이터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200)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240); 및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할 경우, 수신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조합 및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250); 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서비스 품질(QoS) 영역의 제2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ID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3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210)은 하기의,
상기 제1 통신 단말이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송신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서브 모듈(212);
상기 제1 통신 단말이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송신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서브 모듈(2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성 모듈(110), 제1 송신 모듈(120), 제2 송신 모듈(130), 제1 수신 모듈(140), 제2 수신 모듈(210), 제3 수신 모듈(220), 제3 송신 모듈(230), 획득 모듈(240) 및 디코딩 모듈(250) 등은 하나 또는 복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P, baseband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복합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소자(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Micro Controller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도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30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당해 장치(30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징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 휴대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장치(30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데, 처리 컴포넌트(3002), 메모리(3004), 전원 컴포넌트(30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08), 오디오 컴포넌트(30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3012), 센서 컴포넌트(3014) 및 통신 컴포넌트(3016)가 포함된다.
처리 컴포넌트(3002)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되는 장치(30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3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이외에, 처리 컴포넌트(3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어, 처리 컴포넌트(3002)와 기타 컴포넌트 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처리 컴포넌트(30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08)와 처리 컴포넌트(3002)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한다.
메모리(3004)는 장치(3000)에서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에는 장치(3000)에서 작동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이 포함된다. 메모리(30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과 같은 것들이다.
전원 컴포넌트(3006)는 장치(300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컴포넌트(30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30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08)는 장치(30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터치 패널 (TP)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는 터치 패널의 터치, 슬라이딩 및 제스처를 감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가 포함된다.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08)는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3000)가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작동 모드에 있을 경우,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30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컴포넌트(30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장치(3000)가 통화 모드, 기록 모드,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30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30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30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3012)는 처리 컴포넌트(30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에는 홈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3014)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3000)에 다양한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센서 컴포넌트(3014)는 장치(3000)의 온/오프 상태, 장치(30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와 같은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컴포넌트(3014)는 장치(3000) 또는 장치(3000)의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3000)사이의 접촉 유무, 장치(3000)의 방향 및 위치 또는 가속/감속, 장치(30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30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데 이는 물리적 접촉이 없을 경우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센서 컴포넌트(3014)는 CMOS 또는 CCD이미징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미징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30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3016)는 장치(3000)와 기타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장치(3000)는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30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3016)는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하여 단거리 통신을 촉진한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협회 (IrDA) 기술, 초 광대역 (UWB) 기술, 블루투스 (BT) 기술 및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30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 (PLD),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부품에 의해 상기 방법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3004)이고, 상기 명령은 장치(3000)의 프로세서(3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개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 실시예의 기타 실시예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괄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 실시예에 공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 실시예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하기의 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이미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30)

  1. 제1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음 - ; 및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는,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1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상기 제1 전송 링크의 하중이 하중 역치보다 높은 것;
    상기 제1 전송 링크의 통신 품질이 품질 역치보다 낮은 것;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2 통신 단말에서 송신된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상기 관리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이 상기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지시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2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ID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서비스 품질(QoS) 영역의 제3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2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고, 각 전송 링크에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에서 제2 전송 링크에 의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미리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에서 제2 전송 링크에 의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전송 링크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는,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1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전송 링크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1 통신 단말에 관리 프레임 또는 제3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에 송신된 관리 프레임 또는 제3 데이터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할 경우, 수신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조합 및 디코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2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ID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 MAC 프레임 헤드의 QoS 영역의 제3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이 단독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송신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이 동시 다중 링크 통합 전송을 사용하여 송신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제1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생성 모듈 및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송 링크에서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으며;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제2 통신 단말에서 송신된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데이터 프레임 또는 상기 관리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상기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이 상기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함을 지시하고, 전송 링크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구성된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2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4. 제20항 또는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5. 제2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모듈은, 제1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한 같은 통신 식별자(TID)를 구비한 복수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고, 각 전송 링크에서 상기 같은 TID를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액세스 매체 우선 순위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에서 제2 전송 링크에 의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의 제1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미리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에서 제2 전송 링크에 의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전송 링크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제2 전송 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제2 전송 링크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제1 통신 단말에 관리 프레임 또는 제3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에 송신된 관리 프레임 또는 제3 데이터 프레임은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 전송 링크 전환 능력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단말이 전송 링크를 전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9. 제25항 또는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및
    상기 프레임 유형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의 상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 통합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할 경우, 수신된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조합 및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0. 통신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될 경우, 제1항 내지 제10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KR1020227019008A 2019-11-04 2019-11-04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KR20220098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15387 WO2021087674A1 (zh) 2019-11-04 2019-11-04 数据传输方法、装置和通信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185A true KR20220098185A (ko) 2022-07-11

Family

ID=7584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008A KR20220098185A (ko) 2019-11-04 2019-11-04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00406A1 (ko)
EP (1) EP4057682A4 (ko)
KR (1) KR20220098185A (ko)
CN (1) CN115552956A (ko)
BR (1) BR112022008364A2 (ko)
WO (1) WO2021087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17583A (zh) * 2021-10-21 2023-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优先级确定方法以及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4794B2 (en) * 2002-01-17 2008-07-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ffic identifier field usage in a polling frame in a packet-based wireless network
WO2016081442A1 (en) * 2014-11-18 2016-05-26 T-Mobile Usa, Inc. Application-based multi-band transmission
CN106060875A (zh) * 2016-05-12 2016-10-26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通信装置和站点
CN107613526B (zh) * 2016-07-12 2021-04-23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通信装置、接入点和站点
US10856203B2 (en) * 2017-01-19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link aggregation setup and reconfiguration
US10827519B2 (en) * 2017-08-03 2020-11-03 Mediatek Singapore Pte. Ltd. Multi-TID A-MPDU transmission
US10959153B2 (en) * 2017-09-11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ulti-link aggregation signaling
US11202286B2 (en) * 2018-07-11 2021-12-14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multi-link setup between a multi-link access point (AP) logical entity and a multi-link non-AP logical ent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8364A2 (pt) 2022-07-26
EP4057682A4 (en) 2023-07-19
WO2021087674A1 (zh) 2021-05-14
JP2023500081A (ja) 2023-01-04
EP4057682A1 (en) 2022-09-14
US20220400406A1 (en) 2022-12-15
CN115552956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59252A1 (zh) 传输调度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98185A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WO2021016771A1 (zh) 信道检测方式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122893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2534914A (zh) 资源分配方法及装置、消息帧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2022015876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mission
WO2022006757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1142662A1 (zh) 资源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EP40901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network allocation vector, and storage medium
WO2021109141A1 (zh) 通信连接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1077266A1 (zh) 网络接入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RU279999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JP7495492B2 (ja) データ伝送方法
US20220408469A1 (e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021190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2052122A1 (zh) 资源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EP4145786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1114149A1 (zh) 重关联指示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3261211B (zh) 资源分配方法、资源分配装置及存储介质
US2024002295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287364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2023039639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279243A1 (zh) 连接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21179179A1 (zh) 传输数据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2789806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