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550A - 과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과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550A
KR20220096550A KR1020200189107A KR20200189107A KR20220096550A KR 20220096550 A KR20220096550 A KR 20220096550A KR 1020200189107 A KR1020200189107 A KR 1020200189107A KR 20200189107 A KR20200189107 A KR 20200189107A KR 20220096550 A KR20220096550 A KR 20220096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packaging container
present
opening
fruit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693B1 (ko
Inventor
심석보
Original Assignee
심석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석보 filed Critical 심석보
Priority to KR102020018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6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일 포장용기는 사면체 또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탈부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부면 중 상기 안착부의 일측 및 타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용기는 본체부의 내부면에 배치된 과일의 꼭지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를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에 투입한 후,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따라 이동하면서 과일의 꼭지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절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용기는 본체부의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해 용기 내부에서 과일을 손쉽게 세척한 후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과일 포장용기{Packaging box for fruit}
본 발명은 과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딸기와 같이 꼭지가 달린 과일류에서 꼭지를 손쉽게 절단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과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러 미디어의 영향으로 남녀노소와 상관없이 각종 건강 식단 또는 다이어트 식단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식단에는 비타민 섭취를 위해 과일이 반드시 포함되지만, 세척과 손질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과일 섭취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백화점, 마트, 편의점 등에서는 1인 가구를 위해 각종 과일을 소포장 형태로 판매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포장 상품을 이용하더라도 사람이 과일을 섭취하기까지 과일을 꼼꼼히 세척하고, 꼭지를 절단하고, 껍질을 벗겨낸 후 먹기 좋은 크기로 소분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손질이 어려운 수박, 멜론, 파인애플 등의 과일과 달리, 비교적 손질이 쉬운 딸기 등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딸기 등의 과일류는 세척 후 과일에 붙은 꼭지만을 제거하면 비교적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처럼 과일에 붙은 꼭지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번거로움을 느껴 과일의 섭취를 포기하거나, 또는 꼭지 제거 과정에서 손을 다치는 경우가 많아, 사람의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과일에 붙은 꼭지를 손쉽고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8259호 (2013.07.26.)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일을 포장한 상태에서 과일에 붙은 꼭지 부분을 손쉽게 절단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과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과일 포장용기는 사면체 또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개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부면 중 상기 안착부의 일측 및 타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과일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과일의 꼭지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는 소정의 폭을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는 측면에 과일 세척용 액체가 배출되도록 개구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는 내측면에 다단으로 이격되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는 끝단이 ㄱ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끝단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용기는 본체부의 내부면에 배치된 과일의 꼭지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를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에 투입한 후,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따라 이동하면서 과일의 꼭지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절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용기는 본체부의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해 용기 내부에서 과일을 손쉽게 세척한 후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과일 세척용 액체가 본체부에 투입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과일 포장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과일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백화점, 마트, 편의점 등에서는 각종 과일류의 소포장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세척이나, 꼭지 제거에 번거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 이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과일의 꼭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과일 포장용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100)는 본체부(120) 및 안착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20)는 사면체 또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이 탈부착되고, 상기 상부면 중 상기 안착부(140)의 일측 및 타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는 본체부(120)의 상부면 중 상기 안착부(140)에 안착된 과일의 꼭지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소정의 폭을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는 과도가 투입 가능할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나, 그 폭은 손가락 두께 또는 과일의 크기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20)는 측면에 과일 세척용 액체(예를 들면, 물)가 배출되도록 개구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구(124)를 더 포함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의 상부면을 통해 과일 세척용 액체가 투입되어, 과일 세척 후 상기 배출구(126)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일 포장용기(100) 내부에서 과일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20)가 투명재료로 이루어짐에 따라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를 통해 과일의 꼭지 제거 시 제거 상태를 사람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안착부(140)는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과일이 안착된다. 이러한 안착부(140)는 상기 과일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일은 상기 안착부(140)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과일의 상부 일부만이 상기 안착부(14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40)는 과일이 안착되는 오목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메시(mesh) 형태로 이루어져, 과일 포장용기(100)의 내부에서 과일 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과일 세척용 액체를 보다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절단 가이드용 개구의 다양한 형성 위치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과일 포장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40)에 과일의 꼭지가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본체부(120)의 상부면 중 상기 꼭지와 대응하는 위치인 외측에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의 꼭지가 안착부(14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본체부(120)의 상부면 중 상기 꼭지와 대응하는 내측 즉, 상부면의 중앙에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40)가 본체부(120)의 내부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과일의 꼭지가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본체부(120)의 상부면 중 상기 꼭지와 대응하는 내측 즉, 상부면의 중앙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이 안착부(140) 내 가로 방향으로 다수 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 또한 과일 꼭지 부분과 대응하도록 본체부(120)의 상부면에 다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본체부(120)가 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안착부(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본체부(120)의 형태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안착부(14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40)에 안착되는 과일의 꼭지가 외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20)의 상부면 중 상기 꼭지와 대응하도록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가 외곽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부 내 과일의 꼭지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본체부의 외측, 내측 중앙, 대각선 중앙, 중앙 전체 및 외곽에 형성된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를 통해 과일의 꼭지가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과일 포장용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 내 배치되는 안착부(140) 상에 지지대(142)가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42)는 소정의 높이를 가짐으로써, 만약 외력에 의해 본체부(120)의 상부면이 눌리더라도 상기 본체부(120)의 상부면과 하부면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본체부(120) 내 안착부(140)에 위치한 과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술한 과일 포장용기는 안착부가 본체부 내부면에 단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단의 안착부가 본체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는 앞서 도 1을 통해 상술한 과일 포장용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본체부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안착부가 다단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과일 포장용기는 사면체 또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탈부착되는 본체부(120)와,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20)에는 상부면 중 상기 안착부(140)의 일측 및 타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20)는 내측면에 다단으로 이격되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12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착부(140)는 끝단이 ㄱ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끝단이 상기 본체부(120)의 고정돌기(126)에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본체부(120)와 안착부(140)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돌기(126)가 본체부(120)의 내측면에 다단으로 이격되며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26)는 ㄴ 자 형태 또는 내부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40)는 끝단이 ㄱ 자 형태로 형성되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40)의 끝단이 상기 고정돌기(126)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40)의 끝단은 상술한 ㄱ 자 형태 뿐만 아니라 고리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20)의 내측면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126)에 안착부(140)의 끝단이 삽입됨으로써, 본체부(120)와 안착부(140)가 상호 체결된다. 이러한 고정돌기(126)의 체결에 의해, 본체부(120)의 하부면에 안착부(140)를 배치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안착부(140)의 상부에 다른 안착부를 추가 배치해 고정함에 따라, 하나의 본체부(120) 내부에 다단의 안착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본체부(120)에 형성된 절단 가이드용 개구(122)로 투입된 과도가 한 번의 이동을 통해 다량의 과일 꼭지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26)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과일 포장용기(100)의 이송 과정에서 안착부(140)가 흔들릴 때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안착부(140)에 안착된 과일이 안착부(1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돌기를 통한 본체부와 안착부간의 체결을 통해, 과일 포장용기 내부에서 과일 세척 시, 세척 과정에서 안착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용기는 본체부의 내부면에 배치된 과일의 꼭지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를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에 투입한 후,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따라 이동하면서 과일의 꼭지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절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용기는 본체부의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해 용기 내부에서 과일을 손쉽게 세척한 후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20: 본체부 122: 절단 가이드용 개구
124: 배출구 126: 고정돌기
140: 안착부 142: 지지대

Claims (8)

  1. 사면체 또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탈부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부면 중 상기 안착부의 일측 및 타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절단 가이드용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과일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과일의 꼭지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가이드용 개구는
    소정의 폭을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측면에 과일 세척용 액체가 배출되도록 개구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면에 다단으로 이격되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끝단이 ㄱ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끝단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KR1020200189107A 2020-12-31 2020-12-31 과일 포장용기 KR10254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07A KR102541693B1 (ko) 2020-12-31 2020-12-31 과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07A KR102541693B1 (ko) 2020-12-31 2020-12-31 과일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550A true KR20220096550A (ko) 2022-07-07
KR102541693B1 KR102541693B1 (ko) 2023-06-12

Family

ID=8239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107A KR102541693B1 (ko) 2020-12-31 2020-12-31 과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69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5943A (ja) * 2009-07-22 2011-02-10 Oishi Sangyo Kk 果実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57416Y1 (ko) * 2009-05-15 2011-12-19 김범식 무화과 케이스
JP2012218739A (ja) * 2011-04-04 2012-11-12 Sk Technos Kk 青果物梱包容器
KR200468259Y1 (ko) 2012-07-09 2013-08-09 이세진 포도 포장 박스
JP2014084135A (ja) * 2012-10-23 2014-05-12 Kotaro Saito いちご収納トレー
KR101651841B1 (ko) * 2015-11-30 2016-09-01 김남희 다기능 버터 용기
US20170036852A1 (en) * 2015-08-07 2017-02-09 Donana 1998, S.L. Detachable Container for Strawberries
CN206915035U (zh) * 2017-07-10 2018-01-23 李玲 一种生姜的贮藏保鲜装置
KR20190135127A (ko) * 2018-05-28 2019-12-06 김영덕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CN210063732U (zh) * 2019-05-30 2020-02-14 浙江大学 一种低损伤率的立式草莓包装箱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16Y1 (ko) * 2009-05-15 2011-12-19 김범식 무화과 케이스
JP2011025943A (ja) * 2009-07-22 2011-02-10 Oishi Sangyo Kk 果実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18739A (ja) * 2011-04-04 2012-11-12 Sk Technos Kk 青果物梱包容器
KR200468259Y1 (ko) 2012-07-09 2013-08-09 이세진 포도 포장 박스
JP2014084135A (ja) * 2012-10-23 2014-05-12 Kotaro Saito いちご収納トレー
US20170036852A1 (en) * 2015-08-07 2017-02-09 Donana 1998, S.L. Detachable Container for Strawberries
KR101651841B1 (ko) * 2015-11-30 2016-09-01 김남희 다기능 버터 용기
CN206915035U (zh) * 2017-07-10 2018-01-23 李玲 一种生姜的贮藏保鲜装置
KR20190135127A (ko) * 2018-05-28 2019-12-06 김영덕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CN210063732U (zh) * 2019-05-30 2020-02-14 浙江大学 一种低损伤率的立式草莓包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693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8485A (en) Drain guard for contact lens
US7374117B2 (en) Container of a blender
CN100443270C (zh) 剃刀夹头存放装置
US20060254058A1 (en) Manual fruit slicer with interchangeable cutting and coring disks
US9486392B2 (en) Infant bottle assembly having a vented nipple
US11155400B2 (en) Pill-dispensing package
US20070170202A1 (en) Emergency medical pill dispenser
US2898911A (en) Ophthalmic dispenser
US2438844A (en) Basket
KR20220096550A (ko) 과일 포장용기
CN107758105A (zh) 配备针部件的化妆品容器
US20140360535A1 (en) Produce cleansing unit and method
KR102081211B1 (ko) 생리컵 세척장치
Yang et al. Peters' anomaly. A synopsis of surgical management and visual outcome.
KR101876211B1 (ko) 배출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용기
US6030137A (en) Glass cleaning apparatus having a fabric cleaning surface
US2257970A (en) Tray for watermelons
KR102138376B1 (ko) 신선도 유지 향상을 위한 농산물 포장 난좌판
KR20130007142U (ko) 과일절단기 세트
US20110189363A1 (en) Cherry pitter having safety and convenience
US5133485A (en) Liquid food pot
KR102449068B1 (ko)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KR101877798B1 (ko) 게의 사지 활동력을 유도하는 개별방식 육질개선용 축양통
US2503525A (en) Ice-cream container mouth guide
KR102459956B1 (ko) 알약 보관용 캡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