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236A -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236A
KR20220096236A KR1020200188496A KR20200188496A KR20220096236A KR 20220096236 A KR20220096236 A KR 20220096236A KR 1020200188496 A KR1020200188496 A KR 1020200188496A KR 20200188496 A KR20200188496 A KR 20200188496A KR 20220096236 A KR20220096236 A KR 20220096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user
routes
road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231B1 (ko
Inventor
김진서
나형환
홍윤성
이승일
Original Assignee
김진서
나형환
홍윤성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서, 나형환, 홍윤성, 이승일 filed Critical 김진서
Priority to KR102020018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2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각각에 대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도형의 색과 채도로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적게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를 가장 낮게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TH FOR PERSONAL MOBILITY USER}
본 발명은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은 목적지까지의 정확한 거리 및 소요시간을 확인하고, 미지의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위치 정보와 속성정보를 결합해 효율적인 활용과 정보 파악의 용의성을 위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서 일반적인 지도 데이터 레이어 상에 고도, 건물, 주소, 그 외 각종 지리/지형 데이터 레이어가 결합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위치 추적 기술이 조합되어 내비게이션을 구성하게 된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내비게이션의 기능은 교통정보와 길을 안내하고, 간단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더 정확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방법으로 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끊임없이 주고 받으면서 교통상황을 분석하고 그에 최적화된 길을 찾거나,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해 시간과 요일, 날짜 등에 맞춰 운전자가 스트레스 받지 않고 원하는 목적지로 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차량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및 교통체증이 심각해지고, 화석연료의 고갈 및 유가 급등에 따른 에너지 절감차원에서 근거리 이동 시 자전거나 전동 킥보드와 같은 개인 이동 수단의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자전거 전용도로, 개인 이동 수단의 대여시설도 증가하고 있다.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보편화되어 있으나 자전거나 전동 킥보드용 내비게이션은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바,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 이동 수단 주행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비게이션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0191호 (2018.07.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 킥보드와 같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경로를 생성하여 안내할 수 있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각각에 대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도형의 색과 채도로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적게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를 가장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경로는,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들 중 도로 형태에 따른 개인 이동 수단 운행 적합성과 안정성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제1 경로,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들 각각의 운행 적합성과 각 도로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최대 주행 속도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 중 자전거전용도로를 첫 번째로 선택하고, 자전거우선도로를 두 번째 선택하며, 자동차 주행 가능한 도로를 세 번째로 선택하여 상기 제1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은 안전 요인과 위험 요인으로 구분되며, 상기 안전 요인은 어린이 보호구역 및 노인 보호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요인은 경사로, 기 설정된 폭 이하의 도로, 교통사고 다발 지역, 교통 혼잡 지역, 횡단보도 및 교차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도형의 색과 상기 안전 정도를 나타내는 도형의 색이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각각에 대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산출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도형의 색과 채도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가 가장 높게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적게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가 가장 낮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이 모두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경로는,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들 중 도로 형태에 따른 개인 이동 수단 운행 적합성과 안정성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제1 경로,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최단 시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경로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도형의 색과 상기 안전 정도를 나타내는 도형의 색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상기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이동 수단은 전동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와 같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경로를 생성하여 안내할 수 있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하기에 적합한 경로를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개인 이동 수단 주행 시 고려하고 있은 안전 요인이나 위험 요인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경로 중 사용자 본인이 선택한 위험 요인이 적게 포함된 경로를 선택하거나 본인이 선택한 안전 요인이 많이 포함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이동 수단의 사용자가 자동차로부터 느끼는 위험과 보행자 배려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경로 별 위험 순위가 표시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동 킥보드와 같은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경로 안내 장치(200) 및 단말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300)가 경로 안내 장치(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200)는 개인 이동 수단 주행을 위한 경로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이동 수단은 차도 및 인도에서 모두 주행가능 한 1인용 이동 수단으로 자전거, 전동 킥보드, 전동 휠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0)는 경로 안내 장치(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과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스마트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경로 안내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서, 단말 장치(300)를 통하여 경로 안내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요청한 경로에 대한 답변을 제공받거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에는 경로 안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저(browser) 관련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200)는, 입력부(210), 경로 생성부(220), 표시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10), 경로 생성부(220), 표시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가 전부 경로 안내 장치(200)에 물리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경로 안내 장치(200)와 연동하는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10), 경로 생성부(220), 표시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단말 장치(3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경로 안내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단말 장치(300)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입력부(21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경로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경로 생성에 필요한 정보는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사용자가 기피하는 위험 요인, 사용자가 선호하는 요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에 구비된 키 패드,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300)에 제공된 정보 수집 화면의 입력 영역에 경로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로 생성부(22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경로 안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하기에 적합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 이동 수단은 차도 및 인도에서 모두 주행가능 한 1인용 소형 이동 수단으로 자전거, 전동 킥보드, 전동 휠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특히 전동 킥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전동 킥보드가 차도를 이용하는 경우 사고 발생 시 전동 킥보드 사용자에 대한 피해가 클 가능성이 높고, 인도를 이용하는 경우 보행자의 안전이 위험한 문제가 있다. 이에 전동 킥보드가 주행하기 적합한 경로를 추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로 생성부(22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전동 킥보드가 주행하기에 적합한 경로를 복수 개 생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경로는 제1 경로, 제2 경로 및 제3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경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활용하여 생성된 경로일 수 있다.
제1 경로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들 중 도로 형태에 따른 전동 킥보드 운행 적합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로는 현행법 상 전동 킥보드 운행이 가능한 도로인지 여부, 전동 킥보드 주행 위험도가 적은 도로인지 여부, 다른 수단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 도로인지 여부와 같은 평가 기준을 참조로 하여 생성된 경로일 수 있다.
상술한 평가 기준들을 참조하였을 때 다양한 도로들 중 자전거전용도로가 제1 순위로, 자전거우선도로가 제2 순위로, 차도, 이면도로 등과 같이 자동차 주행 가능한 도로가 제3 순위로, 보행자 전용도로가 제4 순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경로 생성부(220)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들 중 순위가 앞서는 도로로 이루어진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220)는 제1 경로를 생성함에 있어서 하이어라키 네트워크(Hierarchy network) 분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경로는 전동 킥보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도로를 연결한 경로들 중에서 가장 합법적이고 안전한 경로일 수 있다.
제2 경로는, 제1 경로 대비 거리가 짧고 제3 경로 대비 안정성 높은 도로를 많이 포함하는 경로로서, 전동 킥보드와 같은 개인 이동 수단의 운행 적합성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생성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로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하는 도로들 중 전동 킥보드가 운행하기에 적합한 도로와 각 도로에 대응되는 최대 주행 속도를 입력 값으로 한 후, 최단시간 네트워크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운행 적합 도로로, 자전거전용도로가 제1 순위로, 자전거우선도로가 제2 순위로, 차도, 이면도로 등과 같이 자동차 주행 가능한 도로가 제3 순위로, 보행 도로가 제4 순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순위(운행 적합성)가 높을 수록 전동 킥보드 주행에 방해가 되는 요인이 적어 높은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행 적합성이 높은 도로일수록 최대 주행 속도가 높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전거전용도로에서는 20km/h, 자전거우선도로에서 18km/h, 자동차 주행 가능 도로에서 12km/h, 보행 도로에서 5km/h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경로는 각 도로의 운행 적합성과 각 도로에 대응되는 최대 주행 속도를 모두 고려하여 산출되는데, 운행 적합성이 높은 도로일수록 빠른 주행 속도가 부여되므로, 운행 적합성과 그에 대응하는 최대 주행 속도 모두를 입력 값으로 하여 최단시간 네트워크 분석을 요청하는 경우, 운행 적합성이 높은 도로로만 구성되어 총 주행 거리가 긴 제1 경로와, 최단 거리지만 운행 적합성이 낮은 도로를 많이 포함하여 오히려 주행 소요 시간이 긴 제2 경로의 절충안이 될 수 있다.
경로 생성부(220)는 각 도로에 설정된 평균 주행 속도를 적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최단 시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인 제2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경로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경로 생성부(220)에서 생성한 제1 내지 제3 경로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표시하며,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에 표시된 제1 내지 제3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제1 내지 제3 경로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표시하기 전, 단말 장치(300)에 사용자가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에 대한 정보 확인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에 대한 정보 확인 거절을 선택한 경우, 표시부(230)는 제1 내지 제3 경로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에 대한 정보 확인을 선택한 경우, 표시부(230)는 사용자가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300)에 표시되는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은 아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에 표시되는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경로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제1 내지 제3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서 고려하고 싶은 요인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아래 <표 1>을 참조하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은 안전 요인과 위험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안전 요인은 전동 킥보드가 주행하기에 안전한 조건을 갖춘 도로로, 예를 들어 차도이지만 최대 주행 속도가 낮은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노인 보호구역이 안전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위험 요인은 전동 킥보드의 주행에 위엄이 되는 조건을 갖춘 도로로, 예를 들어 경사가 있는 도로나 폭이 좁은 차도 등이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은 선(線)적인 요인과 점(點)적인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선적인 요인은 길이에 따라 고려되는 요인이고 점적인 요인은 횟수에 따라 고려되는 요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적인 요인인 법정 기준 이하의 차도 폭을 가진 도로의 길이가 길수록 위험 요인이 많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점적인 요인인 교통사고 다발 지역의 횟수가 많은 도로일수록 위험 요인이 많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안전 요인 위험 요인
선(線)적인 요인 - 어린이 보호구역- 노인 보호구역 - 경사로
- 법정 기준 이하의 차도 폭
- 갓길 폭 및 상태
점(點)적인 요인 - 교통사고 다발 지역- 교통 혼잡 지역
- 횡단보도
- 교차로
표시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참조로 하여 각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색이나 채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요인이나 안전 요인이 많은 경로일수록 대응되는 도형의 채도를 높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요인이 선택된 경우 녹색으로 표시하고, 위험 요인은 붉은 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300)에 제공되는 경로 별 위험 순위 또는 안전 순위가 표시된 화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경로 별 위험 순위가 표시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이 ‘교통사고 다발 지역’과 ‘법정 기준 이하의 차도 폭’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교통사고 다발 지역’은 점적인 요인에 해당하므로 각 경로 별 교통사고 다발 지역 포함 횟수를 산출하고, 제1 경로에 교통사고 다발지역 횟수가 3회 포함되고, 제2 경로에 1회, 제3 경로에 2회 포함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면, 제1 경로를 나타내는 선에 가장 높은 채도의 붉은 색을 부여하고, 제2 경로를 나타내는 선에 가장 낮은 채도의 붉은 색을, 마지막으로 제3 경로를 나타내는 선에 가장 높은 채도와 가장 낮은 채도의 중간인 채도의 붉은 색을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법정 기준 이하의 차도 폭’은 선적인 요인에 해당하므로 해당 경로의 총 길이 대비 법정 기준 이하의 폭을 갖는 차도의 길이에 대한 비율(해당 경로를 구성하는 도로 중 법정 기준 이하의 폭을 갖는 차도의 길이를 해당 경로의 총 길이로 나눈 값)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경로 별 위험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산출 결과 제1 경로에 대한 의 비율이 0.2, 제2 경로에 대한 의 비율이 0.25, 제3 경로에 대한 의 비율이 0.1로 산출이 되었다면, 제2 경로에 가장 높은 채도의 붉은 색을, 제3 경로에 가장 낮은 채도의 붉은 색을, 제1 경로에 가장 높은 채도와 가장 낮은 채도의 중간인 채도의 붉은 색을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를 통해 각 경로가 위험한 정도 또는 안전한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동 킥보드를 주행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사용자 별로 위험한 것으로 느끼는 도로 상태나 안전한 것으로 느끼는 도로 상태가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들 중 자신에게 적합한 요인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 경로 중 자신이 선호하는 경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을 확인한 후 제1 내지 제3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표시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특정 경로를 안내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에 대한 정보(또는 경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300)가 소리나 진동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에 대한 정보(또는 경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이 위험 요인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함에 따라 도 3에는 붉은 색 도형만이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이 안전 요인에 포함되는 경우 녹색 도형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위험 요인을 나타내는 색이 붉은 색이고 안전 요인을 나타내는 색이 녹색인 것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험 요인 또는 안전 요인을 나타내는 색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40)는, 사용자 데이터, 지도 데이터, 경로 선택 요인들에 대한 데이터 등과 같이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하기 적합한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는 데이터베이스(240)가 경로 안내 장치(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40)는 경로 안내 장치(200)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40)는 복수 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4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40)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입력부(210), 경로 생성부(220), 표시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제어부(260) 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단말 장치(300)와 경로 안내 장치(200)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입력부(210), 경로 생성부(220), 표시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경로 안내 장치(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경로 안내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입력부(210), 경로 생성부(220), 표시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동 킥보드와 같은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입력부(21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경로 생성에 필요한 정보인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 받는 단계가 수행된다(S41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입력부(210)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 받는 단계 이전에 경로 안내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표시부(230)는 사용자가 개인 정보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단말 장치(30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210)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 받으면, 경로 생성부(220)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하기에 적합한 복수의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20). 복수의 경로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들 중 도로 형태에 따른 개인 이동 수단 운행 적합성과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제1 경로, 도로들 각각의 운행 적합성과 각 도로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최대 주행 속도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제2 경로 및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로 생성부(220)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를 생성하면, 표시부(230)가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단말 장치(300)에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30).
이 때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어느 것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 표시부(230)가 경로 생성부(220)가 생성한 복수의 경로를 단말 장치(300)에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50).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표시부(230)가 선택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화면을 단말 장치(300)에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되며(S450, S470), 사용자가 복수의 경로 중 어느 것도 선택하지 않는 경우 경로 생성 및 제공 단계가 종료될 수 있다(S450).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복수의 경로 중 어느 것도 선택하지 않은 경우 표시부(230)가 사용자가 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에 동의할 수 있는 화면을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에 동의하면 단계 S410가 다시 시작되도록 하며, 동의하지 않으면 경로 생성 및 제공 단계가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430에서,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표시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요인들을 참조하여 복수의 경로 각각의 위험 또는 안전 순위를 산출하여 단말 장치(300)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60). 즉 사용자는 표시부(230)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한 후, 경로 생성부(220)가 생성한 복수의 경로 중 본인이 선택한 위험 요인이 적게 포함된 경로를 선택하거나 본인이 선택한 안전 요인이 많이 포함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표시부(230)가 선택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화면을 단말 장치(300)에 표시하여 경로 안내가 시작되며, 이후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로 생성 및 제공 단계가 종료된다(S470, S48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경로 안내 장치(200), 단말 장치(300) 등) 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각각에 대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도형의 색과 채도로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적게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를 가장 낮게 설정하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로는,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들 중 도로 형태에 따른 개인 이동 수단 운행 적합성과 안정성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제1 경로,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들 각각의 운행 적합성과 각 도로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최대 주행 속도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경로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 중 자전거전용도로를 첫 번째로 선택하고, 자전거우선도로를 두 번째 선택하며, 자동차 주행 가능한 도로를 세 번째로 선택하여 상기 제1 경로를 생성하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은 안전 요인과 위험 요인으로 구분되며,
    상기 안전 요인은 어린이 보호구역 및 노인 보호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요인은 경사로, 기 설정된 폭 이하의 도로, 교통사고 다발 지역, 교통 혼잡 지역, 횡단보도 및 교차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도형의 색과 상기 안전 정도를 나타내는 도형의 색이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하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6.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개인 이동 수단이 주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각각에 대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산출된 위험 정도 또는 안전 정도를 도형의 색과 채도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가 가장 높게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상기 선택된 경로 선택 요인을 만족하는 도로를 가장 적게 포함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도형의 채도가 가장 낮게 표시되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경로 선택 요인이 모두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방법.
KR1020200188496A 2020-12-30 2020-12-30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56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96A KR102565231B1 (ko) 2020-12-30 2020-12-30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96A KR102565231B1 (ko) 2020-12-30 2020-12-30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236A true KR20220096236A (ko) 2022-07-07
KR102565231B1 KR102565231B1 (ko) 2023-08-09

Family

ID=8239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96A KR102565231B1 (ko) 2020-12-30 2020-12-30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2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668A (ko) * 2012-11-08 2014-05-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 주행 경로 탐색 장치 및 그 방법
JP2018112579A (ja) * 2017-01-06 2018-07-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サーバ、電子装置および地図提供方法
KR101880191B1 (ko) 2013-12-19 2018-07-19 인텔 코포레이션 주행 동안 사용자에게 안내 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200034914A (ko) * 2018-09-24 2020-04-01 이태범 거리, 시간, 비용 관점의 최적 순위 경로 선택 리스트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668A (ko) * 2012-11-08 2014-05-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 주행 경로 탐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0191B1 (ko) 2013-12-19 2018-07-19 인텔 코포레이션 주행 동안 사용자에게 안내 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JP2018112579A (ja) * 2017-01-06 2018-07-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サーバ、電子装置および地図提供方法
KR20200034914A (ko) * 2018-09-24 2020-04-01 이태범 거리, 시간, 비용 관점의 최적 순위 경로 선택 리스트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231B1 (ko)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9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a route to a user
US10710603B2 (en) Segment activity planning based on route characteristics
Olaverri-Monreal Autonomous vehicles and smart mobility related technologies
KR101725886B1 (ko) 자동으로 결정된 스타팅 포인트들과 선택된 목적지들 사이의 네비게이션 경로들
JP4603950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poi探索方法、情報配信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
JP4722554B2 (ja) Poi情報提供システム、poi情報提供方法、情報配信サーバ、端末装置
US201200165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nterest contents based on travel route information
US20170010118A1 (en) Transit Incident Reporting
US201501769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fied Directions
CN103700254A (zh) 一种基于位置服务的路况分享系统
CN102538806A (zh) 一种路径规划方法以及相关设备
JP2009093384A (ja) Poi検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poi検索方法
WO2015148064A1 (en) Selected driver notification of transitory roadtrip events
ITTO20110850A1 (it) Metodo per gestire una mappa di un dispositivo di navigazione personale e relativo dispositivo
WO2013181628A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converting sales opportunities
JP2020056739A (ja) 経路探索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231132A1 (en) System and methodologies for visual relevancy-grading of a navigation map
JP5315215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13064861A1 (en) Geographic route options based on different criteria
US9459102B2 (en) Managing navigation changes
JP452544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07016871A (zh) 交通路况提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65231B1 (ko) 개인 이동 수단 사용자를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483416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082690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여행지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