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233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233A
KR20220096233A KR1020200188493A KR20200188493A KR20220096233A KR 20220096233 A KR20220096233 A KR 20220096233A KR 1020200188493 A KR1020200188493 A KR 1020200188493A KR 20200188493 A KR20200188493 A KR 20200188493A KR 20220096233 A KR20220096233 A KR 2022009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traffic
terminal
weak
assistan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1531B1 (en
Inventor
김범진
임종윤
이승일
Original Assignee
김범진
임종윤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진, 임종윤, 이승일 filed Critical 김범진
Priority to KR102020018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531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2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allow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a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person. The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determining a walking helper candidate for a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person by us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where a first terminal of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person exists and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person; and transmitt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terminal exists to a second terminal of a final walking helper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among walking helper candidates.

Description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mobility impaired

본 발명은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disabled.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교통 약자는 전체 인구의 약 30%인 1,522만 명에 달하며, 고령화 사회로 인해 이러한 추세는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As of 2019,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ransportation in Korea amounted to 15.22 million, about 30%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due to an aging society.

하지만, 교통 약자가 증가하는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교통 약자를 위한 서비스와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대부분의 교통 약자는 안내자에 의한 보행을 선호한다. 하지만 기존의 보행 안내 서비스만으로는 안내자에 의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However, in spite of this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is increasing, the reality is that the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are insufficient. Most of the transportation-disabled people prefer to walk by a guid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by a guide using only the existing walking guidance service.

따라서, 교통 약자에게 보행 안내자(보행 도우미)를 매칭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matching a walking guide (walking assistant) to the weak in traffic.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7891 호 (2015.07.3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87891 (2015.07.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가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공 방법은, 상기 교통 약자의 제1 단말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 중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제2 단말에 상기 제1 단말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in which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ffic weak. The provid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a walking helper candidate for the traffic weak by us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terminal of the weak in traffic exists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weak in traffic; and transmitt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nal walking assistant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정확도 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may have a higher accuracy than that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해 제1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보행 도우미 후보의 단말로부터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에 승낙하는지에 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정보에 기초해 제2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walking helper candidate may include: determining a first walking helper candidate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ing, from the terminal of the first walking helper candidate, response information on whether to accept the walking help service for the traffic weak; and determining a second walking assistant candidate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보행 도움 서비스에 관하여 상기 교통 약자가 선호하는 보행 도움 선호 정보 및 상기 제2 보행 도우미 후보에 관한 평가 정보를 고려하여 제3 보행 도우미 후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alking helper candidate, a third walking helper candidate is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walking help preference information preferred by the traffic weak person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walking helper candidate with respect to the walking help ser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commending.

상기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가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method, when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corresponds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weak in traffic.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교통 약자가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음을 알리는 위험 신고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may include sending a danger report informing that the traffic weak person is in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fails.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상기 교통 약자에게 제공된 보행 도움 서비스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보행 도움 서비스를 위한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authentication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pplying feedback information on the gait assistance service provided to the traffic weaker to a model for the gait assistance service.

상기 피드백 정보를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반한 보행 경로에 관련된 제1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평가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평가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ying the feedback information to the model may include: receiving first feedback information related to a walking path based 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receiv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final walking assistant from the first terminal or receiv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traffic vulnerable from the second terminal.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게 접근하는 정도를 상기 교통 약자의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roviding the degree of access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ffic weak;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erforming authentication with respect to the final walking assista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는, 상기 교통 약자의 제1 단말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후보 결정부; 및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 중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제2 단말에 상기 제1 단말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매칭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may include: a candidate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walking helper candidate for the traffic vulnerable us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of the traffic weak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traffic weak; and a matching unit for transmitt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nal walking assistant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 도움 서비스 요청을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부; 및 보행 도우미 후보가 상기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 중 최종 보행 도우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단말에 상기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매칭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tha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The terminal may include: a service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a request for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includ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where the weak in traffic exists and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weak in traffic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and when a walking assistant candidate is received from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selects a final walking assistant among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and provides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raffic weaker in the terminal of the selected final walking assistant It includes a matching unit that transmit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보행 도움 서비스를 항상 승낙하는 제1 모드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승낙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 상기 제2 모드의 경우에, 상기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에 기초해 결정되는 보행 도우미 후보에게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에 승낙하는지를 문의하는 승낙 요청을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승낙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를 상기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승낙부; 및 상기 교통 약자에 의해 최종 보행 도우미로 선택된 경우에, 상기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매칭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tha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The terminal may include: a mod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ich mode is set among a first mode for always accept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nd a second mode for selectively accept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In the case of the second mode, whether to accep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ffic vulnerable to a walking assistant candidat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traffic weak person exists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traffic weak person a service approval unit for receiving an inquiry approval request from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and transmitting response information to the approval request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and a match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raffic weaker from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when selected as the final walking helper by the traffic weak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may be provided.

기존의 교통약자를 위한 시스템은 지하철 역사에서 직원들이 교통 약자를 에스코트하는 정도에 불과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대중 시민들도 교통 약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적용 범위가 지하철 역사에 한정되지 않아 다양한 장소에서 교통 약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교통 약자와 일반인을 매칭시킴으로써, 교통 약자의 통행이 원활해질 수 있다.The existing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was only to the extent that the staff escorted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in subway stations.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 public citizens can also provide assistance to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ubway station,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ssistance to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in various places. That is, by matching the weak in traffic with the general public, the traffic of the weak in traffic can be facilitated.

또한, 현재 교통 약자를 위한 도시 인프라에 대하여 관리가 미흡한 상태이다. 교통 약자가 실제로 이러한 도시 인프라를 이용하면서 불편한 점들을 직접 신고함으로써, 기존의 방치된 교통 인프라들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들이 불편한 점을 신고하여 관련 데이터가 쌓이게 되면 이러한 데이터가 정책 제안을 위해 활용될 수 있고, 도시 인프라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management of urban infrastructur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s insufficient. Existing neglecte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an be improved by directly reporting inconveniences while using such urban infrastructure by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Specifically, when users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report inconveniences and related data accumulates, these data can be used for policy proposals and can be helpful in improving urban infrastructure.

또한, 교통 약자는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신고 서비스를 통해 교통 약자는 마음 편히 보행 도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인(보행 도우미)과 교통 약자가 만난 시점을 기준으로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간 범위 내에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는 경우에, 자동 경찰 신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교통 약자는 안전하게 보행 도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cr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utomatic reporting service, the traffic weak can use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comfortably. Specifically, by providing an automatic police report service when the general public (walking assistant) does not arrive at the destination within the expected arrival time range based on the meeting point, the traffic vulnerable can safely use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시스템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의 단말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우미의 단말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서비스를 위한 보행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의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우미의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가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0d, 및 도 10e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기반 보행 도움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alk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walking assistance system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terminal for the weak in traffic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terminal of a walking assistan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lking path for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of a walking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10B, 10C, 10D, and 10E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lication-based walking assista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도면(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hereinafter 'this specification'),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describ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describ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실시간 수요에 대응하여 교통 약자(서비스 이용자)와 보행 도우미(보행 안내자)를 매칭시키는 보행 도움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교통 약자'는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자이며, 장애인(예,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등), 일시적 교통 약자(예, 노약자, 영유아, 임산부, 짐이 많은 보행자, 해당 지역의 길을 잘 모르는 보행자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교통 약자는 서비스 이용자를 포함하며, 보행 도우미는 보행 안내자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that matches a traffic weaker (service user) and a walking helper (walking guide) in response to real-time demand. Here, 'transportation vulnerable' is a person who feels uncomfortable in moving, disabled (eg, visually impaired, hearing impaired, etc.) unknown pedestrians, etc.).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raffic vulnerable includes service users, and the walking helper includes a walking guide.

본 명세서에서, 보행 도움 서비스와 관련하여 교통 약자 또는 보행 도우미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 교통 약자의 단말(200), 또는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 도움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weak in traffic or a walking helper in relation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may be performed by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the terminal 200 of the traffic weak, or the terminal 300 of the walking helper. have.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pplication-based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행 도움 서비스는 보행 도움 시스템(10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 교통 약자의 단말(200), 및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교통 약자의 단말(200)은 교통 약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써,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다.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은 보행 도우미가 소지하는 단말로써,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it assistance service may be provided by the gait assistance system 1000 , and the gait assistance system 1000 includes a gait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 a terminal 200 for the weak in traffic, and a terminal 300 for a gait helper. can d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e terminal 200 for the weak in traffic is a terminal possessed by the weak in traffic, and is a terminal tha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The terminal 300 of the walking assistant is a terminal possessed by the walking assistant, and is a terminal tha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본 발명의 보행 도움 서비스는 1) 서비스 시작 단계(이하 '제1 단계'), 2) 교통 약자가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이하 '제2 단계'), 3) 교통 약자 주변에 위치하는 보행 도우미(예, 인근 반경 100m 내에 위치하는 보행 도우미)에게 교통 약자의 대략적 위치 및 최종 목적지를 전송하고 보행 도움 서비스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하 '제3 단계'), 4) 보행 도움 서비스에 수락한 보행 도우미 후보 중 교통 약자에게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보행 도우미(예, 보행 도우미의 개인 인적 사항 정보 등)를 교통 약자에게 추천(예, 교통 약자 개인의 선호도 및 기존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에 기반한 보행 도우미 추천)하는 단계(이하 '제4 단계'), 5) 교통 약자가 최종 보행 도우미를 결정하는 단계(이하 '제5 단계'), 6) 최종 보행 도우미에게 교통 약자의 정확한 위치를 전송하고 최종 보행 도우미와 교통 약자를 매칭시키는 단계(이하 '제6 단계'), 그리고 7) 교통 약자와 보행 도우미의 동행에 관한 평가 및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이하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a service start stage (hereinafter 'first stage'), 2) a step for the weak in traffic setting a destination (hereinafter 'second stage'), 3) a walking helper located around the weak in traffic (eg, a walking helper located within a 100m radius of the neighborhood) transmits the approximate location and final destination of the traffic weaker and decides whether to accep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3rd step'), 4)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mong the accepted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at least one walking assistant suitable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e.g.,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of the walking assistant, etc.) recommendation) step (hereinafter 'Step 4'), 5) Step of determining the final walking helper for the underprivileged in traffic (hereinafter 'Step 5'), 6) Transmitt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traffic weak person to the final walking helper and making the final walk It may include a step of matching the helper and the weak in transportation (hereinafter, 'sixth step'), and 7) performing evaluation and feedback on the companionship of the weak in traffic and the walking assistant (hereinafter, 'seventh step').

제1 단계는 교통 약자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이다. 교통 약자 및 보행 도우미는 자신의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에 동의하는지를 질문 받고 이에 동의하는 경우에 보행 도움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교통 약자 및 보행 도우미는 이에 동의하는 경우에, 자신이 교통 약자인지 보행 도우미인지를 설정한다. 또한, 교통 약자는 보행 도우미와의 매칭을 위해 어떠한 보행 도우미를 선호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보행 도움 선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The first stage is the stage in which the transportation-disabled person starts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alking helpers are asked whether they consent to the collection and use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if they agree to this, they can start the walking help service. When the traffic weak and walking helper agrees to this, they set whether they are the traffic weaker or a walking helper. In addition, the traffic weak person may input information (walking assistance preferenc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kind of walking assistant they prefer for matching with the walking assistant.

제2 단계는 교통 약자가 보행 도우미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도착 지점(목적지)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교통 약자는 보행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 자신의 보행 목적지를 설정한다. 보행 도움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할 때, 보행 목적지는 유동 인구가 많은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 상업 시설 밀집 지역, 특정 건물 인구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step is a step of setting an arrival point (destination) for the traffic weak person to request matching with a walking assistant. People with disabilities set their own walking destinations when they need assistance with walk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assistance service, the pedestrian destination may be set to a bus stop or subway station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 commercial area densely populated, a specific building population, and the like.

제3 단계는 보행 도우미에게 교통 약자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에 승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교통 약자의 안전을 위해서, 교통 약자의 개략적인 위치(예, 행정 구역 단위의 위치)가 보행 도우미에게 전송될 수 있다. 보행 도우미는 교통 약자의 위치 및 최종 목적지를 고려해서 해당 매칭을 승낙할지 거절할지를 결정한다. 만약 보행 도우미가 해당 매칭을 거절하는 경우에, 거절 사유를 피드백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보행 도움 서비스에 반영될 수 있다. 추후, 이러한 피드백 정보가 반영된 보행 도움 서비스가 교통 약자와 보행 도우미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third step is a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o a walking help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accep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For the safety of the traffic vulnerable, the approximate location (eg,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of the traffic weak person may be transmitted to the walking assistant. The walking assistant decides whether to accept or reject the matching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and final destination of the traffic weaker. If the walking assistant rejects the matching, the reason for rejection may be fed back. Such feedback information may be reflected in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In the future,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in which this feedback information is reflected may be provided to the weak in traffic and a walking assistant.

제4 단계는 교통 약자에게 적합한 보행 도우미를 추천하는 단계이다. 제1 단계에서 보행 도움 서비스에 관하여 설정된 정보(예, 보행 도움 선호 정보 등)에 기초해, 보행 도우미가 추천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보행 도움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에 의해 평가된 정보(예, 보행 도우미에 대한 만족도 정보 등)에 기초해, 보행 도우미가 추천될 수 있다. 또한, 보행 도움 선호 정보 및 만족도 정보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 보행 도우미가 추천될 수도 있다.The fourth step is to recommend a walking helper suitabl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 walking assistant may be recommended based on information set on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in the first step (eg, walking assistance preference information, etc.). In addition, a walking assistant may be recommended based on information previously evaluated by a user who used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eg, satisfaction information on the walking assistant, etc.). In addition, the walking helper may be recommended by considering the walking aid p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atisfaction information in a complex way.

제5 단계는 교통 약자가 자신의 보행에 함께 동행할 보행 도우미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이다. 추천된 보행 도우미 후보 중에서 교통 약자에게 가장 적합한 보행 도우미가 교통 약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보행 도우미 후보에게는 보행 도움 거절 메시지가 발송될 수 있다. 한편, 추천된 보행 도우미 후보 중에서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보행 도우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반경이 확장(예, 100m -> 300m)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300m 이내의 보행 도우미 후보의 단말(300)에게 승낙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The fifth step is the step of finally selecting a walking helper to accompany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in their walking. Among the recommended walking helper candidates, a walking helper most suitable for the weak in traffic may be finally determined by the weak in traffic. A walking aid rejection message may be sent to the remaining walking helper candidates who are not selected by the weak in traffic.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walking helper desired by the traffic weaker among the recommended walking helper candidates, the reference radius for determining the walking helper candidate may be extended (eg, 100m -> 300m). For example, an approval reques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of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 within a radius of 300 m from the matching start point.

제6 단계는 매칭이 성공한 보행 도우미와 교통 약자를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교통 약자와 보행 도우미가 서로 매칭을 승낙하는 경우에, 교통 약자의 정확한 위치가 보행 도우미에게 전송되며 보행 도우미의 정확한 위치가 교통 약자에게 전송된다. 제6 단계에서 전송되는 교통 약자의 위치 정보(상세한 위치 정보)는 제3 단계에서 전송되는 교통 약자의 위치 정보(개략적인 위치 정보) 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진다. 보행 도우미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보행 도우미가 상세한 위치 정보에 기초해 교통 약자에게 접촉한다.The sixth step is a step of connecting the walking assistant who has successfully matched and the weak in transportation. When the traffic-weakened person and the walking assistant agree to match each other, the precise location of the traffic-weakened person is transmitted to the walking assistant, and the exact location of the walking assistant is transmitted to the traffic-weakened person. The location information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ak in traffic transmitted in the sixth step has a higher accuracy than the location information (roug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ak in traffic transmit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walking assistan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walking assistant makes contact with the vulnerable in traffic based on the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제7 단계는 실제 동행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며, 서비스 이용이 완료된 후 해당 서비스에 관한 평가가 진행되는 단계이다. 동행이 완료된 후 교통 약자가 실제로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에, 교통 약자에 관한 인증(예,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한 동행 서비스가 보장될 수 있다. 만약 해당 인증이 수행되지 않으면(예,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 범위 내에 해당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위험 신고(예, 경찰 신고)가 자동적으로 발송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은 교통 약자의 단말(20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교통 약자는 보행 도우미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약자는 보행 도우미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서 별 1개부터 5개까지의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보행 도우미는 교통 약자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정보는 보행 도움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사용자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평가 정보가 참고될 수 있다. 한편, 보행 도우미는 실제로 보행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또는 교통 약자는 실제로 보행 서비스를 제공 받으면서, 교통 인프라 중에서 교통 약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아이템(예, 위협 시설 등)을 신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피드백 데이터는 추후 교통 인프라 정책에 반영될 수 있다. 보행 도우미에 관한 피드백 데이터는 교통 약자의 보행 도움 선호 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교통 인프라(또는 도로 인프라)에 관한 피드백 데이터는 보행 경로의 추천 및 제공에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약자의 보행 경로 상에 피드백된 도로 인프라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 교통 약자 및 보행 도우미는 이에 대한 안내를 메시지, 진동, 소리 알림 등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The seventh stage is the stage in which the actual companion service is performed, and the evaluation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carried out after the service use is completed. After the accompaniment is completed, when the traffic weak person actually arrives at the destination safely, authentication (eg, biometric authentication such as a fingerprint) may be performed. Through this, a safe companion service can be guaranteed. If the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is not performed (eg, if the authentication is not performed withi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at the destination), a danger report (eg, a police report) may be automatically sent. This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destination may be changed by the terminal 200 of the weak in traffic. The transportation-disabled person can perform a service evaluation for a walking assistant. For example, a person with disabilities in transportation may input an evaluation from 1 to 5 stars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walking assistant. Similarly, the walking assistant may input an evaluation for the weak in transportation. Such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applied to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When another user uses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Meanwhile, the pedestrian assistant may report items (eg, threat facilities, etc.) that cause inconvenience to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hile actually providing the walking service or while the traffic vulnerable person is actually provided with the walking service. The feedback data collected in this way can be reflected in futur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policies. The feedback data on the walking assistant may be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on the preference for walking assistance of the weak in traffic. Feedback data on the traffic infrastructure (or road infrastructure) may be reflected in the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of walking routes. For example, when there is a road infrastructure risk factor fed back on the walking path of the traffic weak person, the traffic weak person and the walking helper may be provided with guidance about this through a message, vibration, sound notification, etc.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의 단말(200)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terminal 200 for the weak in traffic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terminal 300 of a walking assistan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통 약자의 단말(200)이 보행 도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행 도움 서비스를 시작하고, 정보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동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for the weak in transportation may star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through the walking assistance application, and confirm whether or not consent to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is made.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 주변(예, 반경 100m 이내)에 보행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보행 도우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a walking assistant capable of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exists around the current location (eg, within a radius of 100 m) of the weak in traffic.

보행 도우미 후보 중에서 교통 약자가 가장 선호하는 보행 도우미가 교통 약자의 단말(200)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Among the walking helper candidates, the walking helper most preferred by the traffic-weakened may be selected by the terminal 200 of the traffic-weakened person.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교통 약자의 정확한 위치 정보(상세한 위치 정보)를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ak in traffic to the terminal 300 of the selected final walking assistant.

교통 약자와 최종 보행 도우미 간의 실제 만남이 성사되는 경우에, 교통 약자와 최종 보행 도우미는 목적지로 동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actual meeting between the poor in traffic and the final walking assistant, the poor in traffic and the final walking assistant may accompany them to the destination.

교통 약자와 최종 보행 도우미가 목적지에 도착하는 경우에, 보행 도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만족도 평가가 보행 경로 관련 교통 인프라에 대한 불만족 평가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를 신고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traffic-disabled person and the final walking assistant arrive at the destination, a satisfaction evaluation for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may be performed. When the satisfaction evaluation includes an evaluatio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pedestrian path-related traffic infrastructure, a service for reporting this may be provided.

만족도 평가가 보행 도우미에 대한 불만족 평가를 포함하는 경우에,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불만족 평가를 보행 도우미 추천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를 추천하는 경우에, 해당 교통 약자로부터 불만족 평가를 받았던 보행 도우미의 유형과 동일/유사한 유형을 가지는 보행 도우미를 추천 후보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When the satisfaction evaluation includes a dissatisfaction evaluation with respect to the walking helper, the gait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use the dissatisfaction evaluation to recommend the walking helper. For example, when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recommends a walking helper candidate for the traffic weak, a walking helper having the same / similar type as the walking helper who received a dissatisfaction evaluation from the traffic weaker is selected from the recommendation candidate. can be excluded.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이 보행 도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행 도움 서비스를 시작하고, 정보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동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terminal 300 of the walking assistant may star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through the walking assistance application, and confirm whether or not consent to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is made.

단말(300)이 보행 도우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300)이 교통 약자에 상관 없이 보행 도움 서비스를 항상 승낙하는 모드(항시적 수락 모드)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승낙하는 모드(선택적 수락 모드)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The terminal 300 may select a walking assistant mode. Specifically, the terminal 300 may set one of a mode for always accept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lways accepting mode) and a mode for selectively accept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selective acceptance mode) regardless of the weak in traffic.

선택적 수락 모드의 경우에, 단말(300)은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에 승낙하지를 문의하는 승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보행 도우미가 승낙 요청에 승낙하는 경우에, 보행 도우미는 해당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 리스트에 등록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lective acceptance mode, the terminal 300 may receive an acceptance request for inquiring whether to accep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hen the walking assistant agrees to the request for approval, the walking assistant may be registered in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 list for the traffic vulnerable.

항시적 수락 모드의 경우에, 보행 도우미는 상술한 승낙 요청 및 응답 과정이 생략되어 별도의 승낙 요청 및 응답 과정 없이, 해당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 리스트에 바로 등록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stant acceptance mode, the walking assistant may be directly registered in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 list for the traffic vulnerable without a separate consent request and response process because the above-described consent request and response process is omitted.

보행 도우미가 교통 약자의 단말(200)에 의해 최종 보행 도우미로 선택되는 경우에, 교통 약자의 단말(200)의 정확한 위치 정보가 최종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에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walking assistant is selected as the final walking helper by the terminal 200 of the weak in traffic,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of the weak in traffic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of the final walking help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서비스를 위한 보행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lking path for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통 약자는 목적지까지의 마지막 도보 이동(라스트 마일)에서 불편함을 많이 겪는다.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experience a lot of inconvenience in their last walking journey (last mile) to their destination.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교통 약자의 라스트 마일(last mile)을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왕십리역 주변에 거주하는 교통 약자가 서울시립대를 방문하는 경우에,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목적 통행의 라스트 마일인 회기역(경유지)으로부터 서울시립대(최종 도착지)까지의 동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교통 약자의 출발지가 왕십리역이고 경유지는 회기역이고 최종 도착지가 서울시립대 인 경우에, 경유지인 회기역이 교통 약자와 보행 도우미 간의 만남 시작점(매칭 시작점)이다.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may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last mile of the weak in transportation. For example, when a person with reduced mobility who lives near Wangsimni Station visits the University of Seoul,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provides an accompaniment service from Hoegi Station (waypoint), which is the last mile of the destination, to the University of Seoul (final destination). can do. In the case where the starting point is Wangsimni Station, the stopover is Hoegi St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is the University of Seoul, Hoegi Station, the stopover point, is the starting point (matching starting point) between the traffic weaker and the pedestrian assistant.

즉,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출발지(예, 왕십리역)부터 최종 도착지(예, 서울시립대)까지의 보행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교통 단절 지점(예, 회기역)으로부터 최종 도착지(서울시립대)까지의 보행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does not provide walking assist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eg, Wangsimni Station) to the final destination (eg, Seoul National University), but from the traffic disconnection point (eg, Hoegi Station) to the final destin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an provide assistance with walking.

교통 약자와 보행 도우미가 최초 출발지(orientation)로부터 최종 목적지(destination)까지 계속 동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유동 인구가 많은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근처에서는 교통 약자와 보행 도우미 간의 매칭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간 경유 지점(예,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 등)에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위한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It can be practically difficult for the disabled and pedestrians to accompany each other continuously from the initial orientation to the final destination. In the vicinity of subway stations or bus stop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matching between the weak in traffic and the walking assistant, so matching for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can be performed at intermediate stopover points (eg, place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etc.).

한편, 교통 약자의 단말(200)은 보행 도우미와의 매칭 시작 지점(만남 장소)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약자의 단말(200)이 현재 위치를 매칭 시작 지점으로 지정하는 경우에, 매칭 시작 지점 기준 반경 100m 이내의 보행 도우미 후보의 단말(300)에게 승낙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교통 약자의 단말(200)이 현재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를 매칭 시작 지점으로 지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200 for the weak in traffic may designate a matching starting point (meeting place) with a walking assistant.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200 of the weak in traffic designates the current location as the matching starting point, an approval reques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of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 within a radius of 100 m from the matching starting point. As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200 of the weak in traffic may designate a location other than the current location as the matching starting point.

한편,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교통 약자의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약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에,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음성 안내 및 진동 기능에 기반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교통 약자가 청각 장애인인 경우에,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이모티콘 및 진동 기능에 기반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may provide a differentiated ser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ffic weak. For example, when a person with disabilities in transportation is a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may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based on voice guidance and vibration functions. As another example, when a person with disabilities in transportation is hearing impaired,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may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based on emoticons and vibration functions.

한편,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가 교통 약자의 위치에 도착하는 예상 소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may provide an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final walking assistant selected by the weak in traffic to arrive at the location of the weak in traffic.

최종 보행 도우미가 교통 약자의 주변(예, 반경 10m 이내)에 근접한 경우에, 보행 도움 시스템(1000)에 의해 최종 보행 도우미의 위치가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통 약자는 주변 많은 사람들 중에서 최종 보행 도우미가 누구인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교통 약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에,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진동 또는 소리를 변화시켜서 최종 보행 도우미의 접근 정도를 교통 약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When the final walking assistant is close to the periphery (eg, within a radius of 10 m) of the weak in traffic, the location of the final walking assistant may be displayed on the map by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 Through this, the traffic weak person can accurately recognize who the final walking assistant is among many people around. When the traffic-impaired person is visually impaired,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may change the vibration or sound to inform the traffic-impaired person of the final approach level of the walking assistant.

최종 보행 도우미가 맞는지를 교통 약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인증(예, QR 코드 기반 인증, 인증번호 기반 인증, 문자 기반 인증, 안심번호 기반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traffic weak to check whether the final walking assistant is correct,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performs authentication (eg, QR code-based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number-based authentication, text-based authentication, safety number-based authentication, etc.) regarding the final walking assistant. can be done

한편, 교통 약자가 자주 보행하는 지역에서 신체적 불편함으로 인해 보행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해당 지역의 동선 또는 보행 경로를 인공지능 모델(예, 기계학습 모델, 인공신경망 모델, 딥러닝 모델 등)을 통해 추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problem in walking due to physical discomfort in an area where the traffic weak person frequently walks,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u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g, a machine learning mode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the movement or walking path of the area. , deep learning models, etc.) can be recommended.

한편,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들에 의해 수행된 교통 인프라 평가를 반영하여, 교통 인프라 내 보행 위험 요소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거나 적합한 보행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may reflect the evaluation of the traffic infrastructure performed by users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to provide a warning about the risk factors for walking in the traffic infrastructure or to recommend an appropriate walking route.

한편, 교통 약자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들에 의해 수행된 보행 도우미 평가를 교통 약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교통 약자는 보행 도우미 선택 시 이를 참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erson with disabilities in transportation request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may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evaluation performed by users who use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to the weak in transportation.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refer to this when selecting a walking assistan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의 단말(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200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300 of a walking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후보 결정부(110) 및 매칭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andidate determiner 110 and a matcher 120 .

후보 결정부(110)는 교통 약자의 단말(200)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candidate determiner 110 may determine a walking helper candidate for the weak in traffic by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 of the weak in traffic exists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weak in traffic.

매칭부(120)는 보행 도우미 후보 중에서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에 단말(200)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위치 정보(상세한 위치 정보)는 제1 위치 정보(개략적인 위치 정보) 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진다.The matching unit 120 may transmit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to the terminal 300 of the final walking assistant selected by the terminal 200 from among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has higher accuracy tha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rough location information).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교통 약자의 단말(200)은 서비스 요청부(210) 및 매칭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 the terminal 200 for the weak in traffic may include a service requesting unit 210 and a matching unit 220 .

서비스 요청부(210)는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 도움 서비스 요청을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rvice requesting unit 210 may transmit a request for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includ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where the weak in traffic exists and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weak in traffic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

매칭부(220)는 보행 도우미 후보에 관한 정보가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보행 도우미 후보 중 최종 보행 도우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부(220)는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에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on the walking helper candidate is received from the walking aid service apparatus 100 , the matching unit 220 may select a final walking helper from among the walking helper candidates. And the matching unit 220 may transmit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weak traffic to the terminal 300 of the selected final walking assistant.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은 모드 판단부(310), 서비스 승낙부(320), 및 매칭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 the terminal 300 of the walking assistant may include a mode determining unit 310 , a service accepting unit 320 , and a matching unit 330 .

모드 판단부(310)는 보행 도움 서비스를 항상 승낙하는 항시적 수락 모드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승낙하는 선택적 수락 모드 중 어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ation unit 310 may determine which mode is set among the constant acceptance mode for always accept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nd the selective acceptance mode for selectively accept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서비스 승낙부(320)는 선택적 수락 모드의 경우에, 보행 도우미 후보에게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에 승낙하는지를 문의하는 승낙 요청을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 도우미 후보는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 및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에 기초해 결정될 수 있다. 서비스 승낙부(320)는 승낙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를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lective acceptance mode, the service acceptor 320 may receive, from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 an approval request for inquiring whether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 agrees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Here, the walking helper candid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where the weak in traffic exists and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weak in traffic. The service acceptor 320 may transmit response information to the consent request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

매칭부(330)는 교통 약자에 의해 최종 보행 도우미로 선택된 경우에,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matching unit 330 may receiv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in which the weak in traffic exists from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when the person with the weak in traffic is selected as the final walking helper.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가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교통 약자의 단말(200)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해,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제1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해 제1 보행 도우미 후보(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제1 보행 도우미 후보의 단말(300)로부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에 승낙하는지에 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응답 정보(예, 승낙 또는 거절)에 기초해 제2 보행 도우미 후보(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보행 도움 서비스에 관하여 교통 약자가 선호하는 보행 도움 선호 정보 및 제2 보행 도우미 후보에 관한 평가 정보를 고려하여, 제3 보행 도우미 후보(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may determine a walking helper candidate for the traffic vulnerable by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 of the traffic weak person exists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traffic weak person (S100) . Specifically,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 first walking assistant candidate (at least one candidate)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receive response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o accep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ffic weak from the terminal 300 of the first walking assistance candidate.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 second walking assistance candidate (at least one candidate) based on response information (eg, acceptance or rejection). The gait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considers the gait assistance preference information preferred by the traffic weaker with respect to the gait assistance service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gait helper candidate, and sends a third gait helper candidate (at least one candidate) to the terminal ( 200) can be recommended.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보행 도우미 후보(예, 제3 보행 도우미 후보) 중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에 단말(200)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300)이 단말(200)에게 접근하는 정도를 교통 약자의 유형(예, 장애의 유형 및 정도, 보행 불편의 유형 및 정보 등)에 따라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300)의 위치가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예, 최종 보행 도우미가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 부근에 도착하는 경우 등)에,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한 사람이 최종 보행 도우미가 맞는지를 교통 약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인증(예, QR 코드 기반 인증, 인증번호 기반 인증, 문자 기반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교통 약자와 최종 보행 도우미 간의 동행이 이루어진다.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에,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보행 도움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시작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예, 교통 약자가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음을 알리는 위험 신고 등)를 발송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is a second loc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 exists in the terminal 300 of the final walking assistant selected by the terminal 200 among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eg, the third walking assistant candidat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S200). Specifically,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degree of access of the terminal 300 to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type of traffic weaker (eg, type and degree of disability, type and information of walking discomfort, etc.) 200) can be provided. Whe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eg, when the final walking assistant arrives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eak in traffic, etc.)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provides authentication (eg, QR code-based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number-based authentication, text-based authentication) regarding the final walking assistant so that the person who approaches can confirm whether the final walking assistant is correct. authentication, etc.). When the authentication on the final walking assistant is successful, the accompaniment between the weak in traffic and the final walking assistant is mad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final walking assistant fails,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has not started normally (eg, a risk report indicating that the traffic vulnerab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can be sent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예, 교통 약자가 목적지 부근에 도착하는 경우 등)에, 교통 약자에 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교통 약자에 관한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에,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보행 도움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예, 교통 약자가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음을 알리는 위험 신고 등)를 발송할 수 있다.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corresponds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eg, when the weak in traffic arrives near the destination, etc.),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regarding the weak in traffic (S300). ). Specifically, when the authentication for the weak in traffic fails,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is not normally completed (eg, a risk report indicating that the traffic vulnerab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etc.) ) can be sent.

교통 약자에 관한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교통 약자에게 제공된 보행 도움 서비스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보행 도움 서비스를 위한 모델(이하 '보행 도움 서비스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도움 서비스 모델은 인공지능 모델(예, 기계학습 모델, 인공신경망 모델, 딥러닝 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보행 도움 서비스 모델을 통해 보행 도우미 추천 또는 보행 경로 추천 등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authentication for the weak in transportation is successful, the gait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may apply the feedback information on the gait assistance service provided to the traffic vulnerable to a model for the gait assistance service (hereinafter, 'gait assistance service model'). have. For example,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model may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g, a machine learning mode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 deep learning model, etc.). The gait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perform a gait helper recommendation or a gait path recommendation through a gait assistance service model.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보행 경로에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보행 경로는 교통 약장의 위치 정보(예, 제2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related to a walking path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walking rou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e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ffic medicine book and destination information.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는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련된 피드백 정보(예,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평가 정보)를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거나 교통 약자에 관한 평가 정보를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may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e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final walking assistant) related to the final walking assistant from the terminal 200 or receive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weak in traffic from the terminal 300 . .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0d, 및 도 10e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기반 보행 도움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A, 10B, 10C, 10D, and 10E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lication-based walking assista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통 약자의 단말(200) 및 보행 도우미의 단말(300)에 의해 수행되는 보행 도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도 10a에는 개인 정보 입력에 관련된 서비스 화면이 예시되어 있고, 도 10b에는 보행 도우미(보행 안내자) 시나리오와 서비스 이용자(교통 약자) 시나리오에 관련된 서비스 화면이 예시되어 있고, 도 10c에는 추천 리스트(보행 도우미 추천 리스트) 등록 및 매칭에 관련된 서비스 화면이 예시되어 있고, 도 10d에는 보행 이동 시 위험 요소 알림에 관련된 서비스 화면이 예시되어 있고, 도 10e에는 목적지 도착 및 피드백에 관련된 서비스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In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lication performed by the terminal 200 of the traffic vulnerable and the terminal 300 of the walking assistant, a service screen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nput is exemplified in FIG. A service screen related to a scenario and a service user (transportation vulnerable) scenario is exemplified, FIG. 10c shows a service screen related to registration and matching of a recommendation list (walking assistant recommendation list), and in FIG. 10d, risk factor notification when walking A service screen related to , is illustrated, and a service screen related to destination arrival and feedback is illustrated in FIG. 10E .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보행 도움 시스템(1000)을 위한 장치(예,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 단말(200, 300) 등)일 수 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be a device for the walking assistance system 1000 described herein (e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100 , the terminals 200 and 300 , etc.).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 a transceiver device TN120 , and a memory TN130 .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 and the lik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TN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and method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ransceiver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ceiver TN12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한편, 단말(200, 300)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 일 수 있다. 단말(200, 30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보행 도움 서비스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s 200 and 300 include a display device and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be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PC (personal computer), a personal computer, and the like. . The terminals 200 and 300 may include an application (or program) for providing the function of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scribed herein.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위한 동작 또는 기능은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 또는 단말(200, 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의 기능들 중 일부는 단말(200, 3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단말(200, 300)의 기능들 중 일부는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or function for the gait assistance ser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gait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or the terminals 200 and 300 .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terminals 200 and 300 . Alternatively,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s 200 and 300 described herein may be performed by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aratus 1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약자와 보행 도우미를 매칭시킴으로써 교통 약자의 보행권이 보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 내의 교통 흐름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 to walk of the weak in traffic can be guaranteed by matching the weak in traffic with a walking assistant. Through this, traffic flow in the city can be made more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 도우미 매칭 기능을 통해 외부 활동이 불편한 교통 약자의 외부 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도시 거리가 활성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ity streets can be activated by activating the external activities of the traffic weak who are inconvenient for external activities through the walking assistant match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 교통 인프라 평가 시스템을 통해 교통 약자의 입장에서 교통 시설이 평가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들은 도시 계획 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서비스 평가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들이 빅데이터로 충분히 누적되면, 해당 데이터들은 교통 약자를 위한 도시 인프라 개선 관련 사업에 활용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portation facilities may be evalua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rough the urba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valuation system, and the collected data may be used as data for improving urban planning policies. In other words, when the data obtained through service evaluation are sufficiently accumulated as big data, the data can be utilized for projects related to urban infrastructure improvement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의 동행 서비스 평가를 통해 교통 약자의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of the traffic weak can be guarante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accompanying service of the service us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or method described so far, and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9)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가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통 약자의 제1 단말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 중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제2 단말에 상기 제1 단말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정확도 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제공 방법.
A method for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disabled, comprising:
determining a candidate for a walking helper for the weak in traffic by us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of the weak in traffic and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weak in traffic; and
Transmitt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nal walking assistant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has a higher accuracy than that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How to prov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해 제1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보행 도우미 후보의 단말로부터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에 승낙하는지에 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정보에 기초해 제2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alking helper candidate,
determining a first walking helper candidate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ing, from the terminal of the first walking helper candidate, response information on whether to accept the walking help service for the traffic weak; an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second walking helper candidate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How to prov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보행 도움 서비스에 관하여 상기 교통 약자가 선호하는 보행 도움 선호 정보 및 상기 제2 보행 도우미 후보에 관한 평가 정보를 고려하여 제3 보행 도우미 후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alking helper candidate,
The step of recommending a third walking helper candidate to the first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walking help preference information preferred by the traffic weaker with respect to the walking help service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walking helper candidate
How to prov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위치가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교통 약자가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음을 알리는 위험 신고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corresponds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weak traffic,
The step of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is
Comprising the step of sending a danger report notifying that the traffic weak person is in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fails
How to prov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상기 교통 약자에게 제공된 보행 도움 서비스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보행 도움 서비스를 위한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반한 보행 경로에 관련된 제1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평가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평가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is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the feedback information on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provided to the traffic vulnerable to a model for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The step of applying the feedback information to the model comprises:
receiving first feedback information related to a walking path based 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Receiv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final walking assistant from the first terminal or receiving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traffic weak from the second terminal
How to prov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게 접근하는 정도를 상기 교통 약자의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최종 보행 도우미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ransmitt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providing the degree of access by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ffic weak;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with respect to the final walking assistant
How to provide.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교통 약자의 제1 단말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우미 후보를 결정하는 후보 결정부; 및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 중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제2 단말에 상기 제1 단말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정확도 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
As a device for providing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 candid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walking helper candidate for the traffic weak us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of the traffic weak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traffic weak; and
A matching unit for transmitt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nal walking assistant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has a higher accuracy than that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 walking aid service device.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서,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 도움 서비스 요청을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부; 및
보행 도우미 후보가 상기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보행 도우미 후보 중 최종 보행 도우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종 보행 도우미의 단말에 상기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정확도 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단말.
As a terminal tha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 service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a request for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includ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where the weak in traffic exists and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weak in traffic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and
When a walking assistant candidate is received from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a final walking assistant is selected from among the walking assistant candidates, and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raffic weaker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selected final walking assistant. including a matching unit that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has a higher accuracy than that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서,
보행 도움 서비스를 항상 승낙하는 제1 모드와 보행 도움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승낙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
상기 제2 모드의 경우에, 상기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교통 약자가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에 기초해 결정되는 보행 도우미 후보에게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에 승낙하는지를 문의하는 승낙 요청을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승낙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를 상기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승낙부; 및
상기 교통 약자에 의해 최종 보행 도우미로 선택된 경우에, 상기 보행 도움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교통 약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정확도 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단말.

As a terminal that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 mod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ich mode is set among the first mode for always accept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and the second mode for selectively accepting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In the case of the second mode, whether or not to accept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for the weak in traffic to a walking helper candidat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weak in traffic exists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esired by the weak in traffic a service approval unit for receiving an inquiry approval request from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and transmitting response information to the approval request to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and
and a match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raffic vulnerable person from the walking assistance service device when selected as the final walking helper by the traffic weaker,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has a higher accuracy than that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KR1020200188493A 2020-12-30 2020-12-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 KR1024815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93A KR102481531B1 (en) 2020-12-30 2020-12-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93A KR102481531B1 (en) 2020-12-30 2020-12-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233A true KR20220096233A (en) 2022-07-07
KR102481531B1 KR102481531B1 (en) 2022-12-29

Family

ID=8239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93A KR102481531B1 (en) 2020-12-30 2020-12-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53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891A (en) 2014-01-22 2015-07-31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Experts Match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ies
KR101888542B1 (en) * 2017-05-22 2018-08-16 (주)바인테크 Companion system
KR101977111B1 (en) * 2018-08-14 2019-08-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 walking line solution system
KR102030373B1 (en) * 2018-07-19 2019-10-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n operating system for management of indoor sp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891A (en) 2014-01-22 2015-07-31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Experts Match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ies
KR101888542B1 (en) * 2017-05-22 2018-08-16 (주)바인테크 Companion system
KR102030373B1 (en) * 2018-07-19 2019-10-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n operating system for management of indoor space
KR101977111B1 (en) * 2018-08-14 2019-08-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 walking line solu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531B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266B1 (en) IoT-based Road Guid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and Method thereof
US94605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rgeted acquisition
CN108369672B (en) Presenting context-based guidance using electronic signs
JP2007172432A (en)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JP201921577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916382B2 (en) Information analyzer and information analysis method
Korbel et al. Mobile applications aiding the visually impaired in travelling with public transport
JP6488136B2 (en) Server device
KR101826041B1 (en) Intelligent Safety Navigation System for Traveler and Method thereof
KR101888542B1 (en) Companion system
JP6471551B2 (en) Report processing device, report processing system, and report processing method
KR102143596B1 (en) User assistanc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traffic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2020052856A (en) Rescue support server, rescue support system and program
KR202200962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
US20220373346A1 (en) Personalized route recommendation and navigation
KR20160100740A (en) Missing child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l-Fuqaha et al. Vehicle-to-device (V2D) communications: Readiness of the technology and potential applic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y
KR102178152B1 (en) Smart braille block system
KR20200130794A (en) Smart block guide system
JP202203006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9181327A1 (e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method
JP6795731B2 (en) Guidance information display device, guidan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3887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cility information to pedestrians
KR102381834B1 (en) Customized space guidance system and method
WO2023166660A1 (en) Rainfall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