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190A -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 Google Patents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190A
KR20220096190A KR1020200188418A KR20200188418A KR20220096190A KR 20220096190 A KR20220096190 A KR 20220096190A KR 1020200188418 A KR1020200188418 A KR 1020200188418A KR 20200188418 A KR20200188418 A KR 20200188418A KR 20220096190 A KR20220096190 A KR 2022009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information
detailed
assembly process
vali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021B1 (ko
Inventor
정유훈
이동욱
안찬묵
곽병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0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71/1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using computer simulation, e.g. finite element method [FEM] 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부조립공정 도면으로부터 도면정보를 추출하여 어셈블리에 대한 유효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S110)와, 선체 모델링을 분석하는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S120)와, 분석된 결과에 해당하는 트리정보를 트리 작성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트리정보 입력 단계(S130)를 포함하여,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과정을 로직화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자동으로 트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ADVANCED BLOCK ASSEMBLY PROCESS GENERATED FROM DETAILED ASSEMBLY PROCEDURE VALID DATA RECOGNITION AND HULL MODELING ANALYSIS}
본 발명은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과정을 로직화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트리정보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입력하여 설계원에 의한 도면분석 및 트리정보 수기입력의 인적오류를 방지하고,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트리작성을 위한 트리정보 입력시간을 최소화하고, 트리정보 반영체계를 간소화하며 변경사항의 반영 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선체 블록의 제작 프로세스 입력 방법은 인적자원인 설계원이 접수한 세부조립공정(DAP; Detailed Assembly Procedure) 도면과 이에 해당하는 구조 도면을 기초로 구현된 블록 모델링을 설계원이 분석하여 트리 작성 프로그램에 관련 정보를 수기로 직접 입력하였다.
예컨대, 종래의 선체 블록 제작 프로세스는, 설계원이 세부조립공정 도면을 독도하여, 소조와 중조와 대조의 조립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어셈블리 명칭 및 이에 해당하는 송선정보를 파악하고, 이후, 컴포넌트 어셈블리 분류 및 수량 집계와 T-바 어셈블리 분리 및 수량 집계와 컴포넌트 어셈블리 시공 스테이지를 결정하는 블록 제작 공법 분석으로 이루어진 선체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고, 이후, 어셈블리별 조립 시퀀스 입력과 어셈블리 수량 파악과 어셈블리 수량 카운팅과 어셈블리 조립 송선 입력으로 이루어진 트리 정보 입력을 수행하고, 이후, 선각 BOM 및 가공도면 부재와 연계하는 트리 계열 분리 및 저장을 수행한다.
한편, 소조 이상의 어셈블리는 세부조립공정 도면의 도면정보를 그대로 입력하지만, 컴포넌트 어셈블리는 설계원이 세부조립공정 도면의 내용을 직접 파악하고 트리 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설계원에 의한 도면분석 후 트리정보의 수기 입력에 따라 분석 및 입력과정에서 오류 문제가 수시로 발생하고, 트리 작성 프로그램과 연계된 설계 공정인 선각 BOM의 데이터 생성 및 가공도 작성 단계까지 영향을 미쳐 설계 재작업으로 인한 설계생산성 저하 및 품질문제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과정을 로직화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트리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여 설계원에 의한 도면분석 및 트리정보 수기입력의 인적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52166호(선박의 곡 외판 수율 향상을 위한 프리 네스팅 방법. 2014.05.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15152호(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2012.02.1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19559호(선박 부재의 조립 트리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2013.11.01)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과정을 로직화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트리정보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입력하여 설계원에 의한 도면분석 및 트리정보 수기입력의 인적오류를 방지하고,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트리작성을 위한 트리정보 입력시간을 최소화하고, 트리정보 반영체계를 간소화하며 변경사항의 반영 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세부조립공정 도면으로부터 도면정보를 추출하여 어셈블리에 대한 유효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 선체 모델링을 분석하는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 및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 및 상기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해당하는 트리정보를 트리 작성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트리정보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는, 호선번호 및 블록번호에 해당하는 대상 세부조립공정 도면 목록 및 도면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해당 세부조립공정 도면을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된 세부조립공정 도면으로부터 텍스트 분석을 통해 싱글 스트링과 멀티라인 스트링 및 크기와 회전과 위치의 텍스트 속성의 도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도면정보의 텍스트로부터 어셈블리 명칭과, 송선정보와, 포트사이드 또는 스타보드사이드의 구분정보와, 제조사에 특화된 특정 공법 지시정보의 유효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 데이터의 다중 어셈블리 정보를 분석하여, 1차 송선 및 2차 송선이 연계되고 특정 개수로 배열된 문자의 송선정보를 표준 송선정보로 등록하고, 포트사이드 또는 스타보드사이드를 구분하여, 상기 어셈블리에 송선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에 상기 도면정보가 표기되지 않은 어셈블리는 상위 어셈블리 명칭에 특정 접미어를 부여하여 구분하고, 상기 도면정보가 표기되지 않은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기 상위 어셈블리 명칭에 특정 접미어가 부여되어 구분된 어셈블리에 상응하는 상기 상위 어셈블리 명칭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위 어셈블리 명칭을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의 유효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어셈블리의 중량과 길이와 폭과 소속부재의 종류를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분석하여 구분하고, 제조사 설비에 특화된 설계지침과 생산공법에 따라 상기 어셈블리에 매칭되는 송선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성정보 분석에서는, T-바 어셈블리를 분류하고, 컴포넌트 어셈블리를 분류하고, 선행판계를 분석하고, 주판 및 종부재 조립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상기 어셈블리의 인접면의 용접장을 분석하여 후속 송선을 분석하고, 상기 선체 모델링의 무게중심을 분석하여 후속 송선을 분석하여, 상기 송선정보를 인적자원에 의해 직접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바 어셈블리를 평 T-바와 곡 T-바로 분류하고, 상기 T-바 어셈블리의 웹부재가 마킹되는 부재를 검색하고, 상기 마킹되는 부재의 어셈블리를 상위 어셈블리로 지정하고, 각각 상이한 송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포넌트 어셈블리를, 어셈블리 정의에 따라, 비정형 어셈블리와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로 분류하여 각각 상이한 송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에 대해서는, 웹부재가 마킹되는 부재를 검색하고, 마킹 길이가 최장인 어셈블리를 선택하여 해당 송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 작성 프로그램의 GUI는, 상기 트리정보 입력에 의한 어셈블리와 송선정보를 포함하는 트리 생성 결과를 표시하는 어셈블리 트리 윈도우, 상기 도면정보 중 상기 유효 데이터에 대해 색상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을 다중 표시하는 도면정보 윈도우, 및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에서 검색된 어셈블리 목록과,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에 표기되지 않고 모델링된 어셈블리 목록과, 트리 포함 여부와, 상기 어셈블리의 중량과 길이와 폭의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어셈블리 목록 윈도우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 및 상기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해당하는 상기 트리정보를 상기 트리 작성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과정을 로직화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트리정보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입력하여 설계원에 의한 도면분석 및 트리정보 수기입력의 인적오류를 방지하고,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트리작성을 위한 트리정보 입력시간을 최소화하고, 트리정보 반영체계를 간소화하며 변경사항의 반영 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의 구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의 도면 분석 단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의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의 T-바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의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의 송선정보 매칭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의 트리 작성 프로그램의 GUI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는, 세부조립공정 도면으로부터 도면정보를 추출하여 어셈블리에 대한 유효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S110)(도 2의 (a) 참고)와, 선체 모델링을 분석하는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S120)(도 2의 (b) 참고)와, 분석된 결과에 해당하는 트리정보를 트리 작성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트리정보 입력 단계(S130)(도 2의 (c) 참고)를 포함하여,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과정을 로직화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트리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S110)는 도면인식기법에 의해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을 로직화하는 단계로서, 세부조립공정(DAP; Detailed Assembly Procedure) 도면으로부터 도면정보를 추출하여 트리정보 입력에 유효한 어셈블리에 대한 유효 데이터(valid data)를 분류하고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S110)는, 호선번호(2496) 및 블록번호(212)에 해당하는 대상 세부조립공정 도면 목록의 도면번호 및 기술 도면(Technical Drawing) 또는 생산 도면(Production Drawing)의 도면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해당 세부조립공정 도면을 특정하는 단계(S111)(도 3의 (a) 참조)와, 앞서 특정된 세부조립공정 도면으로부터 텍스트 분석의 도면인식기법을 통해 싱글 스트링(single string)과 멀티라인 스트링(multiline string) 및 크기와 회전과 위치의 텍스트 속성의 도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12)(도 3의 (b) 및 (c) 참조)와, 앞서 추출된 도면정보의 텍스트로부터 어셈블리 명칭(FR75A,FR76A,FR75B,FR76B)과, 이에 해당하는 각각의 송선정보(E2H2)와, 포트사이드(port side) 또는 스타보드사이드(starboard side)의 구분정보와, PAS공법과 주판 및 종부재(longi.) 선조립공법 등의 제조사에 특화된 특정 공법 지시정보의 유효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S113)와, 유효 데이터의 다중 어셈블리 정보를 분석하여, 1차 송선 및 2차 송선이 연계되고 특정 개수로 배열된 문자의 송선정보를 표준 송선정보로 등록하고, 포트사이드 또는 스타보드사이드를 구분하여, 어셈블리에 송선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S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어셈블리 송선정보 매칭 단계(S114)에서는, 1차 송선정보 및 2차 송선정보가 함께 제시되어 1차 송선 및 2차 송선이 연계되어서 후속 송선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FR1A/B/C 또는 FR1A~FR5A와 같이 어셈블리 명칭이 제시된 경우에는 FR1A,FR1B,FR1C 또는 FR1A,FR2A,FR3A,FR4A,FR5A로 각각 인식하여 어셈블리를 매칭하고, 텍스트로부터 PORT, P 또는 P ONLY를 각각 인식하여 포트사이드 또는 스타보드사이드를 구분하여 송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다음,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S120)는 제조사 설비에 특화된 정보를 분석하며, 어셈블리 시퀀스(assembly sequence; 어셈블리 명칭 체계)를 분석하고, 어셈블리 속성정보를 분석하여서, 선체 모델링을 분석한다.
한편, 참고로, 세부조립공정 도면에는 조립샵 내에서 제작되는 소조(sub assembly)와 중조(unit assembly)와 대조(grand assembly)에 대한 도면정보가 표기되는데, 조립샵 투입 전 해당 전문작업장에서 제작되는 소조 이하의 어셈블리에 대한 도면정보는 표기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S120)에서는, 도 4를 참고하면, 세부조립공정 도면에 도면정보가 표기되지 않은 어셈블리는 상위 어셈블리 명칭(LB5A)에 특정 접미어(-N)를 부여하여 구분하고((a) 참조)), 도면정보가 표기되지 않은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위 어셈블리 명칭(LB5A)에 특정 접미어(-N)가 부여되어 구분된 어셈블리(LB5AN)에 상응하는 상위 어셈블리 명칭(LB5A)을 검색하고((a) 참조)), 검색된 상위 어셈블리 명칭을 세부조립공정 도면의 텍스트의 유효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어셈블리의 중량과 길이와 폭과 소속부재의 종류를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분석하여 구분하고, 제조사 설비에 특화된 설계지침과 생산공법(주판 및 종부재 선조립공법(P1M8))에 따라 어셈블리에 매칭되는 송선정보(M8G8)를 지정할 수 있다((b) 참조)).
여기서, 속성정보 분석에서는, T-바 어셈블리를 분류하고, 컴포넌트(component) 어셈블리를 분류하고, 선행판계를 분석하고, 주판 및 종부재 조립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어셈블리의 인접면의 용접장을 분석하여 후속 송선(2차 송선)을 분석하고, 선체 모델링의 무게중심을 분석하여 후속 송선을 분석하여, 송선정보를 인적자원에 의해 직접 매칭할 수 있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부조립공정 도면에는 소조 이상의 정규 어셈블리만 표기되는데, 표기되지 않은 어셈블리는 설계지침과 생산공법에 따라 인적자원인 설계원에 의해 직접 조립 순서인 송선정보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표기되지 않은 어셈블리는 상위 어셈블리 명칭과 특정 접미어를 부여하여 구분되도록 하되, 판계장에서 1차 판접 후 조립샵에 투입되는 선행판계 어셈블리에는 -Z 접미어를 부여하고, 중조 어셈블리 중 판계작업과 종부재 취부작업이 수행된 주판 및 종부재 어셈블리에는 -N 접미어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T-바 코드(예를 들면, 43,40)로 모델링된 T-바 어셈블리를 곡가공이 불필요한 평 T-바와 곡가공이 필요한 곡 T-바로 분류하고, T-바 어셈블리의 웹부재(web member)(도 5의 A)가 마킹되는 부재를 검색하고, 마킹되는 부재의 어셈블리를 상위 어셈블리로 지정하고, 평 T-바 어셈블리에는 T1,T4의 송선정보를 매칭하고, 곡 T-바 어셈블리에는 T2,T3의 송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소조 이하의 어셈블리인 컴포넌트 어셈블리를, 어셈블리 정의에 따라, 비정형 어셈블리와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built-up assembly)로 분류하여 각각 상이한 송선정보를 매칭할 수 있는데, 비정형 어셈블리에는 C1의 송선정보를 매칭하고,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에는 C5의 송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참고로, 비정형 어셈블리의 정의는 중량 6톤 미만이며, 길이 8.0m 이하이며, 폭(높이)는 턴오버(turn over)시 최대 3.5m, 턴오버 없을 시 최대 3.8m이며, 턴오버 횟수 제한이 없으며, 플랜지 브라켓(flange bkt) 포함가능하며, CORR.BHD.(Corrugated Bulkhead)와 스웨지 벽(swage wall)를 제외한 너클(knuckle) 부재 가능하고, 슬릿(SLIT) 적용 어셈블리를 제외한 빌트업 부재의 F/P가 너클 시공가능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의 정의는 직사각형 형상에 매우 근접하면서 길이는 1m 내지 11m이고, 폭은 0.3m 내지 1.1m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에 대해서는, 컴포넌트 어셈블리인지 판단하고(S121), 웹부재가 마킹되는 부재를 검색하고(S122), 후속하여 마킹되는 부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123), 후속하여, 이면 마킹 여부를 판단하고(S124), 이면 마킹이 없으면 마킹 길이가 최장인 어셈블리를 선택하여 송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S125).
다음, 트리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로직화되어 일관되게 분석된 결과에 해당하는 트리정보를 트리 작성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트리 작성 프로그램의 GUI는, 트리정보 입력에 의한 어셈블리와 송선정보를 포함하는 트리 생성 결과를 표시하는 어셈블리 트리 윈도우(A), 도면정보 중 유효 데이터에 대해 색상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세부조립공정 도면을 다중 표시하는 도면정보 윈도우(C), 및 세부조립공정 도면에서 검색된 어셈블리 목록과, 세부조립공정 도면에 표기되지 않고 모델링된 어셈블리 목록과, 트리 포함 여부와, 어셈블리의 중량과 길이와 폭의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어셈블리 목록 윈도우(B)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중 사용되는 정보인 유효 데이터는 녹색으로 표시되고, 텍스트 중 사용되지 않는 정보는 백색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고, 2장 이상의 도면을 동시에 검색할 경우 도면정보 윈도우(B)를 통해 도면정보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
이에, 이와 같이 앞서 일관되게 로직화된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과정에 따라, 후속하여 트리 작성 프로그램을 매개로 이와 연계된 선체 조립과 선각 BOM 데이터 생성과 가공도면에도 체계적으로 매칭된 송선정보가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에 의해서,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과정을 로직화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트리정보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입력하여 설계원에 의한 도면분석 및 트리정보 수기입력의 인적오류를 방지하고,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및 선체 모델링 분석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트리작성을 위한 트리정보 입력시간을 최소화하고, 트리정보 반영체계를 간소화하며 변경사항의 반영 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S110 :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
S111 : 세부조립공정 특정 단계
S112 : 도면정보 추출 단계
S113 : 유효 데이터 분류 단계
S114 : 어셈블리 송선정보 매칭 단계
S120 :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
S130 : 트리정보 입력 단계

Claims (9)

  1. 세부조립공정 도면으로부터 도면정보를 추출하여 어셈블리에 대한 유효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
    선체 모델링을 분석하는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 및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 및 상기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해당하는 트리정보를 트리 작성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트리정보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는,
    호선번호 및 블록번호에 해당하는 대상 세부조립공정 도면 목록 및 도면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해당 세부조립공정 도면을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된 세부조립공정 도면으로부터 텍스트 분석을 통해 싱글 스트링과 멀티라인 스트링 및 크기와 회전과 위치의 텍스트 속성의 도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도면정보의 텍스트로부터 어셈블리 명칭과, 송선정보와, 포트사이드 또는 스타보드사이드의 구분정보와, 제조사에 특화된 특정 공법 지시정보의 유효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 데이터의 다중 어셈블리 정보를 분석하여, 1차 송선 및 2차 송선이 연계되고 특정 개수로 배열된 문자의 송선정보를 표준 송선정보로 등록하고, 포트사이드 또는 스타보드사이드를 구분하여, 상기 어셈블리에 송선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에 상기 도면정보가 표기되지 않은 어셈블리는 상위 어셈블리 명칭에 특정 접미어를 부여하여 구분하고,
    상기 도면정보가 표기되지 않은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기 상위 어셈블리 명칭에 특정 접미어가 부여되어 구분된 어셈블리에 상응하는 상기 상위 어셈블리 명칭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위 어셈블리 명칭을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의 유효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어셈블리의 중량과 길이와 폭과 소속부재의 종류를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분석하여 구분하고, 제조사 설비에 특화된 설계지침과 생산공법에 따라 상기 어셈블리에 매칭되는 송선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 분석에서는,
    T-바 어셈블리를 분류하고, 컴포넌트 어셈블리를 분류하고, 선행판계를 분석하고, 주판 및 종부재 조립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상기 어셈블리의 인접면의 용접장을 분석하여 후속 송선을 분석하고, 상기 선체 모델링의 무게중심을 분석하여 후속 송선을 분석하여, 상기 송선정보를 인적자원에 의해 직접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T-바 어셈블리를 평 T-바와 곡 T-바로 분류하고, 상기 T-바 어셈블리의 웹부재가 마킹되는 부재를 검색하고, 상기 마킹되는 부재의 어셈블리를 상위 어셈블리로 지정하고, 각각 상이한 송선정보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어셈블리를, 어셈블리 정의에 따라, 비정형 어셈블리와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로 분류하여 각각 상이한 송선정보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T-바 제작기준 미충족 빌트업 어셈블리에 대해서는, 웹부재가 마킹되는 부재를 검색하고, 마킹 길이가 최장인 어셈블리를 선택하여 해당 송선정보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 작성 프로그램의 GUI는,
    상기 트리정보 입력에 의한 어셈블리와 송선정보를 포함하는 트리 생성 결과를 표시하는 어셈블리 트리 윈도우, 상기 도면정보 중 상기 유효 데이터에 대해 색상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을 다중 표시하는 도면정보 윈도우, 및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에서 검색된 어셈블리 목록과,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에 표기되지 않고 모델링된 어셈블리 목록과, 트리 포함 여부와, 상기 어셈블리의 중량과 길이와 폭의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어셈블리 목록 윈도우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세부조립공정 도면 분석 단계 및 상기 선체 모델링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해당하는 상기 트리정보를 상기 트리 작성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KR1020200188418A 2020-12-30 2020-12-30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KR10246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18A KR102464021B1 (ko) 2020-12-30 2020-12-30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18A KR102464021B1 (ko) 2020-12-30 2020-12-30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190A true KR20220096190A (ko) 2022-07-07
KR102464021B1 KR102464021B1 (ko) 2022-11-04

Family

ID=8239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18A KR102464021B1 (ko) 2020-12-30 2020-12-30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0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9665A (ja) * 2004-07-22 2006-02-09 Sharp Corp 作業指図書作成装置、作業指図書作成方法、作業指図書作成プログラム及び作業指図書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115152B1 (ko) 2004-02-20 2012-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KR20130119559A (ko) 2012-04-24 2013-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부재의 조립 트리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2166A (ko) 2012-10-22 2014-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곡 외판 수율 향상을 위한 프리 네스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152B1 (ko) 2004-02-20 2012-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JP2006039665A (ja) * 2004-07-22 2006-02-09 Sharp Corp 作業指図書作成装置、作業指図書作成方法、作業指図書作成プログラム及び作業指図書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30119559A (ko) 2012-04-24 2013-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부재의 조립 트리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2166A (ko) 2012-10-22 2014-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곡 외판 수율 향상을 위한 프리 네스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021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1736B2 (en) Detection of attributes in unstructured data
US105927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utomated printed circuit design
US20130061121A1 (en) Extracting Semantics from Data
CN109492106B (zh) 一种文本代码相结合的缺陷原因自动分类方法
US2021023292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systems during processing of a user data set
CN112163424A (zh) 数据的标注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8381164B2 (en) Method and system of intelligent interactive graphics electrical plug map to analyze text and distances between electrical contacts and physical layout file builder
Shri et al. Prediction of reusability of object oriented software systems using clustering approach
JP4998237B2 (ja) 論理構造モデル作成支援プログラム、論理構造モデル作成支援装置および論理構造モデル作成支援方法
CN112651378B (zh) 紧固件二维图纸的标注信息识别方法、设备及介质
CN113254507B (zh) 一种数据资产目录智能构建盘点方法
CN108304382A (zh) 基于制造过程文本数据挖掘的质量分析方法与系统
CN103902993A (zh) 文档图像识别方法和设备
CN110705283A (zh) 基于文本法律法规与司法解释匹配的深度学习方法和系统
KR101969482B1 (ko) 이기종 데이터를 전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12190434A (ja) 帳票定義装置、帳票定義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464021B1 (ko)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US90264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 legacy system based on trails through the legacy system
US11587330B2 (en) Visual analytics platform for updating object detection models in autonomous driving applications
CN111291562B (zh) 基于hse的智能语义识别方法
WO2021140594A1 (ja) 操作ログ取得装置および操作ログ取得方法
CN110377768A (zh) 一种智能识图系统及方法
CN11454771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US9224040B2 (en) Method for object recognition and describing structure of graphical objects
CN117608545B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标准作业程序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