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152B1 -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152B1
KR101115152B1 KR1020040011500A KR20040011500A KR101115152B1 KR 101115152 B1 KR101115152 B1 KR 101115152B1 KR 1020040011500 A KR1020040011500 A KR 1020040011500A KR 20040011500 A KR20040011500 A KR 20040011500A KR 101115152 B1 KR101115152 B1 KR 10111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
production
processing cost
department
establi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892A (ko
Inventor
권영구
이병모
임영섭
박익진
조준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1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 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수주 후 TOP-DOWN 방식으로 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외주 구매 품목, 물량과 자체생산 품목에 대한 세부 지원생산의 연간 계획을 수립하여 이에 따른 세부 실행 계획을 지원 생산 부서에서 분석하고 사업 계획 주관 조직으로 송부하여 현실성있는 사업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한 선박 건조 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 구매 품목, 물량과 자체생산 품목에 대한 세부 지원생산의 1년간 계획을 수립할 때 블록별, 공종별, 행동단계별로 형성된 가공비 CG를 사용하여 수립하고, 이에 따른 세부 실행 계획을 지원 생산 부서에서 분석하고 사업 계획 주관 조직으로 송부하여 현실성있는 생산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한 선박 건조 시 생산계획 수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사업계획 지침서에 따라 장기 계획인 선표를 작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선표 및 부서별/공종별로 미리 서버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가공비 CG에 따라 기준 계획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기준 계획의 수립 후 생산의 세부달성대책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한 기준 계획의 수립 후 전사적으로 현행 시나리오의 지원을 위한 구매/생산 품목을 각 부서별/공종별로 결정하여 구매 품목의 재료비 산출 및 자체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와,
자체 생산 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위해 필요한 인력 계획을 수립함과 아울러 생산되는 품목들의 가공비를 산출하고 상기한 구매 품목과 함께 자료로 활용하면서 전사적인 지원 생산에 따른 연간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한 지원을 위한 연간 사업 계획 및 기준 계획에 따른 세부달성대책을 이용하여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 건조 연간 생산 계획 수립방법

Description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Establishment method of producting plan when vessel is construct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적용된 가공비 CG의 생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수주 후 TOP-DOWN 방식으로 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외주 구매 품목, 물량과 자체생산 품목에 대한 세부 지원생산의 연간 계획을 수립하여 이에 따른 세부 실행 계획을 지원 생산 부서에서 분석하고 사업 계획 주관 조직으로 송부하여 현실성있는 사업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한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수주된 선박의 종류별(상선, 특수선등), 크기별(배수량)등에 따라 영업 설계를 시작함과 아울러 생산 계획에서 대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영업 설계가 수립되면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다시 상기한 구매 일정과 연동하도록 중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상세 설계 및 중일정 계획이 수립되면 다시 생산에 필요한 생산 설계를 함과 아울러 생산에 필요한 소일정 계획을 부서별, 공종별로 수립함과 아울러 구매 자재가 입고됨과 아울러 생산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연간 생산 계획의 수립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사업 계획 수립 지침서를 통해서 장기간의 계획인 선표(대일정)를 작성한 상태에서, 다시 이를 세분화한 중일정 계획(1년)을 수립하게 된다.
상기한 중일정 계획을 세운 후에는 다시 인력, 재료, 설비등의 사용 및 각 부서별 세부 계획에 관련된 세부달성계획을 수립하게 되는바, 이는 투자/인력 운용등에 중점을 두고 수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세부달성계획을 세울 때는 중일정 계획에서 수립된 계획에 맞춰서 각호선별, 공종별 물량, 시수에 준하여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세부달성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근거로 전체적인 생산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바, 상기한 중일정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각각의 건조 대상인 호선별 목표 시수를 확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생산계획을 수립할 때 각각의 부서별/공종별로 수립된 중일정 수립시의 결과인 시수, 물량만을 활용하게 되면, 물량과의 연동 관계 가 없을 뿐만 아니라 TOP-DOWN 방식으로 사업 계획을 수립하게 됨으로써, 현실성이 미흡한 사업계획을 수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중일정계획을 수립하고 다시 이를 부서별/공종별/행동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세부 계획을 세울 때 단순히 시수와 물량만을 근거로 하기 때문에, 이를 통한 생산 계획이 정확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현실성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생산 계획의 수립 후 이를 직접 적용하여 선박을 건조할 때 현실성이 미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선박 건조시의 효율성 저하등의 요인이 되고 선박 건조 비용의 상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주 구매 품목, 물량과 자체생산 품목에 대한 세부 지원생산의 1년간 계획을 수립할 때 블록별, 공종별, 행동단계별로 형성된 가공비 CG(Cost Generator;원가발생인자)를 사용하여 수립하고, 이에 따른 세부 실행 계획을 지원 생산 부서에서 분석하고 사업 계획 주관 조직으로 송부하여 현실성있는 사업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한 선박 건조 시 사업계획 수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사업계획 지침서에 따라 장기 계획인 선표를 작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선표 및 부서별/공종별로 미리 서버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가공비 CG에 따라 기준 계획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기준 계획의 수립 후 생산의 세부달성대책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한 기준 계획의 수립 후 전사적으로 현행 시나리오의 지원을 위한 구매/생산 품목을 각 부서별/공종별로 결정하여 구매 품목의 재료비 산출 및 자체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와,
자체 생산 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위해 필요한 인력 계획을 수립함과 아울러 생산되는 품목들의 가공비를 산출하고 상기한 구매 품목과 함께 자료로 활용하면서 전사적인 지원 생산에 따른 연간 사업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한 지원을 위한 연간 사업 계획 및 기준 계획에 따른 세부달성대책을 이용하여 사업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시 가공비 CG의 생성예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예를 들어 조립1과에서의 코스트 제네레이터(CG) 생성예를 설명하면, 먼저 조립1과에서 송선 조립 단계의 WBS(WORK BREAKDOWN STRUCTURE)요소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게 된다.
즉, 조립1과의 WBS 명칭을 101블럭으로 지정한 상태에서, 조립1과의 송선 단계 WBS 요소의 고유번호를 "90401"로 부여하며, 행동단계를 "20", CG시수를 "단위당 30", 코스트 센터는 "조립1과", 작업센터는 "3DS SHOP", 행동형태는 "평블럭"으로 생성하여, 조립1과의 전체 WBS 블록인 101블럭에서, 보다 상세하게 구분된 송선단계의 WBS 요소를 만들어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송선단계의 WBS 요소가 생성되면 송선 단계에서의 CG 테이블을 생성하게 되는바, 이는 WBS 요소에 해당하는 고유번호 90401과 행동단계 20을 입력한 후, CG 코드를 작업 단계별로 입력하고, CG 물량변수인 길이, 중량, 재질 등을 입력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WBS 요소에서 생성된 시수는 서버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인바, CG 테이블에 CG시수가 "단위당 30"으로 입력된다.
CG 테이블이 WBS 요소에 관련하여 입력되면, 조립1과에서의 비용/시수 총량을 계산해야 하는 바, 2가지 WBS 요소(평블럭, 곡블럭)만을 예로 들면, 평블럭과 곡블럭의 시수 총량과 수량당 원가를 곱해서 가공비를 구한 후, 이를 더해서 조립1과의 전체의 가공비 CG(400,000원)를 구하게 된다.
또한, 조립1과의 전체 시수(단위당 300)을 구할 수 있게 되는바, 결과적으로 종래에는 중일정 계획 수립시에 수작업으로 생성된 물량, 시수를 중심으로 일정계획을 수립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재료라도 각 부서별/공종별로 상이하게 되는 가공비 CG를 적용하여 일정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정확하고 효용성이 높은 일정 계획 수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된 가공비 CG를 사용하여 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되면 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업 계획을 지침서에 따라 수립한 후, 장기 계획인 선표를 작성하게 된다.
선표를 작성하게 되면 상기한 가공비 CG를 사용하여(서버 컴퓨터에 가공비 CG를 입력하여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비 CG를 기준 계획에 적용) 각 부서별/공정별 기준 계획을 수립하게 되고, 상기한 기준 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기준으로 생산의 세부달성대책을 수립하게 되는바, 상기한 생산의 세부달성대책을 통해 사업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기준 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통해 전사적으로 현행 시나리오의 지원을 위한 구매/생산 품목을 각 부서별/공종별로 결정하게 되는바, 상기한 품목 결정에 따라 구매 품목의 재료비를 산출하고, 자체 생산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자체 생산 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위해 필요한 인력 계획을 수립함과 아울러 생산되는 품목들의 가공비를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한 구매 품목과 함께 자료로 활용하면서 전사적인 지원 생산에 따른 연간 사업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즉, 상기한 가공비 CG를 이용한 기준 계획에 따라 생산 계획을 수립함과 아울러 상기한 기준 계획에 전사적으로 현행 진행되는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한 구매, 생산을 별도로 설정하여, 상기한 사업 계획 및 지원 생산, 구매 정보를 전략 계획 수립 부서에 송부하여 이를 포함한 사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가공비 CG를 생성할 때에도 서버 컴퓨터에 각 부서별/공종별 자료를 입력한 후 가공비 CG를 생성하지만, 상기한 기준 계획을 수립할 때에도 상기한 가공비 CG를 서버 컴퓨터에서 불러내어 기준 계획에 입력함으로써, 기준 계획의 수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산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기준 계획에 전사적인 지원 계획(구매, 생산)을 포함하여 일정을 수립하게 되면, 상기한 가공비 CG가 각 부서별/공종별로 재료비(인력/설비에 따른)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상세하고 실제적인 생산 계획의 수립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및 3에서 경관은 경영관리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 부서별/공종별로 가공비 CG를 생성함과 아울러 이를 기준으로 1년의 기준계획을 수립하고, 상기한 기준 계획과 함께 전사적인 지원(구매, 생산)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상기한 기준 계획과 지원 계획으로 생산 계획을 수립하여 보다 현실성 있는 생산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선박 건조시 생산계획 수립방법으로서,
    선박 건조시 블록별, 공종별 및 행동단계별로 고유번호, 행동단계, 가공비 CG시수, 코스트센터, 작업센터, 행동형태를 포함하는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요소가 생성되어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블록별, 공종별, 및 행동단계별 WBS 요소가 생성된 후, 고유번호, 행동단계, CG코드, 길이, 중량 및 재질을 포함하는 CG 물량변수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에 의해 상기 블록별, 공종별, 및 행동단계별 WBS 요소의 가공비 CG 시수가 자동 계산, 입력되어 상기 블록별, 공종별 및 행동단계별 가공비 CG(Cost Generator) 테이블이 서버 컴퓨터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가공비 CG에 따른 세부 실행계획이 지원 생산부서 컴퓨터의 전사적 자원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고 사업계획 주관조직의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블록별, 공종별 및 행동단계별 시수 총량과 수량당 원가가 곱해져서 가공비가 구해진 후 상기 시수 총량과 수량당 원가가 더해져서 전체 가공비 CG가 상기 서버 컴퓨터를 통해 구해지는 단계;
    상기 블록별, 공종별 및 행동단계별로 상이하게 되는 가공비 CG가 적용되어 서버 컴퓨터에 의해 일정 계획이 수립되는 단계;
    사업 계획이 지침서에 따라 수립된 후, 생산계획용 선표가 서버 컴퓨터에 의해 작성되는 단계;
    서버 컴퓨터에 상기 가공비 CG가 입력되어 미리 저장된 상기 전사적 자원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가공비 CG를 이용한 목표 시수가 기준 계획에 적용되어 상기 서버 컴퓨터를 통해 각 부서별 및 공정별 기준 계획이 수립되고, 수립된 기준 계획을 기준으로 생산의 세부달성대책이 수립되는 단계;
    상기 서버 컴퓨터에 의해 지원생산 구매 및 생산 품목이 각 부서별 및 공종별로 결정되고, 상기 결정에 따라 구매 품목의 재료비가 산출되고 자체생산 연간생산계획이 수립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컴퓨터에 의해 자체 생산 연간생산계획이 수립된 후 필요한 지원생산 인력계획이 수립됨과 동시에 생산되는 품목들의 가공비가 산출됨과 아울러 구매 품목과 함께 자료로 활용되면서 상기 기준 계획에 전사적으로 현재 진행되는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한 구매, 생산을 별도로 설정하여 사업 계획 및 지원 생산 구매 정보가 전략 계획 수립 부서의 컴퓨터로 송부되어 상기 전략 계획 수립 부서의 컴퓨터에서 전사적 자원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사업 계획이 수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시 연간 생산 계획 수립 방법.
KR1020040011500A 2004-02-20 2004-02-20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KR10111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500A KR101115152B1 (ko) 2004-02-20 2004-02-20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500A KR101115152B1 (ko) 2004-02-20 2004-02-20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92A KR20050082892A (ko) 2005-08-24
KR101115152B1 true KR101115152B1 (ko) 2012-03-08

Family

ID=3726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500A KR101115152B1 (ko) 2004-02-20 2004-02-20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1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759A (ko) 2018-09-11 2020-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선박 구조생산설계 프로세스
KR20200029758A (ko) 2018-09-11 2020-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선박제작 프로세스
KR20200071895A (ko) 2018-12-11 2020-06-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3d캐드기반 단일 설계통합db를 통한 구조설계프로세스
KR20210008988A (ko) 2019-07-15 2021-0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듈기반 베이스 스트럭처 모델링 설계 프로세스
KR20220094281A (ko) 2020-12-28 2022-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3d캐드기반 구조설계 선급승인 프로세스
KR20220096190A (ko) 2020-12-30 2022-07-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07B1 (ko) * 2007-12-14 2011-07-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단위생산작업 체계 관리시스템
KR101895784B1 (ko) * 2012-04-24 2018-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부재의 조립 트리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346A (ja) * 2000-04-03 2001-10-12 Class Technology Co Ltd 生産管理システム、生産管理方法および生産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229624A (ja) * 2001-01-30 2002-08-16 Mitsubishi Heavy Ind Ltd 造船用生産計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346A (ja) * 2000-04-03 2001-10-12 Class Technology Co Ltd 生産管理システム、生産管理方法および生産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229624A (ja) * 2001-01-30 2002-08-16 Mitsubishi Heavy Ind Ltd 造船用生産計画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759A (ko) 2018-09-11 2020-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선박 구조생산설계 프로세스
KR20200029758A (ko) 2018-09-11 2020-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선박제작 프로세스
KR20200071895A (ko) 2018-12-11 2020-06-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3d캐드기반 단일 설계통합db를 통한 구조설계프로세스
KR20210008988A (ko) 2019-07-15 2021-0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듈기반 베이스 스트럭처 모델링 설계 프로세스
KR20220094281A (ko) 2020-12-28 2022-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3d캐드기반 구조설계 선급승인 프로세스
KR20220096190A (ko) 2020-12-30 2022-07-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세부조립공정 유효 데이터 인식 및 선체 모델링 분석을 통해 개선된 블록 제작 프로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92A (ko)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ng et al. A study of measures to improve constructability
Leopoulos et al.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moving from function to organisation/decision view
Brooks et al. A study to support BIM turnover to facility managers for use after construction
KR101115152B1 (ko) 선박 건조 시 연간 생산계획 수립 방법
Muralidharan et al. Six Sigma marketing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Ozcan Deniz An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model to examine LEED-certified buildings’ operational performance
Vepsäläinen et al. Assessing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and adoption potential of the AUKOTON model driven control application engineering approach
Patil et al.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phases and approach
Kataev et al. Enterprise diagnostics for evaluation of enterprise business processes
Longo et al. Design processes for sustainable performances: a model and a method
Singh et al. Analytical study of agile methodology in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
Thomas Creating sustainable small to medium enterprise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Scheihing et al. Superior Energy Performancecm: A roadmap for continual improvement in energy efficiency
Stefan et al. Supporting sustainability decisions in large organisations
Farah Strategies for deploying business applications on the cloud
Zhang et 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ynamic balanced scorecard in the service industry
Eckartz et al. A design proposal for a benefits management method for enterprise system implementations
Hathiwala et al. Application of 5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construction management
KR20130001757A (ko) 중일정 평가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Verdecho et al. Assessing supplier sustainabilit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Hermida et al. ROADMAP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ROJECT MANAGEMENT MODEL IN A SME OF ENGINEERING AND TURN-KEY SUPPLY OF INDUSTRIAL EQUIPMENT.
Martin Overview of an emerging standard on architecture processes—iso/iec/ieee 42020
KR20080004247A (ko) 선박의 중장기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구축 방법
Sirshar et al. A study analysis on effect of software scope management and scope creeping factors in software project management
JP2005284386A (ja) プロジェクト立案支援方法及びプロジェクト立案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