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153A -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153A
KR20220096153A KR1020200188358A KR20200188358A KR20220096153A KR 20220096153 A KR20220096153 A KR 20220096153A KR 1020200188358 A KR1020200188358 A KR 1020200188358A KR 20200188358 A KR20200188358 A KR 20200188358A KR 20220096153 A KR20220096153 A KR 20220096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sulating layer
hol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혜
김태환
임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153A/ko
Priority to US17/521,527 priority patent/US20220208879A1/en
Priority to EP21213212.0A priority patent/EP4024175A3/en
Priority to CN202111660235.XA priority patent/CN114695487A/zh
Publication of KR2022009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11
    • H01L27/322
    • H01L51/5253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러필터가 제1 절연층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층간 접착력 저하로 인한 박리를 줄일 수 있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에는,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통상적인 입력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정보 혹은 명령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터치 기반의 입력방식을 제공하는 터치표시장치가 있다. 터치표시장치는 터치 기반의 입력방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터치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표시장치는 터치전극과, 색재현성을 높이기 위한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전극과 컬러필터는 표시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위하여 표시패널에 내장될 수 있다. 표시패널에 터치전극과 컬러필터를 내장하기 위하여 컬러필터의 발광소자 등을 형성한 후에 터치전극과 컬러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발광소자 등을 형성한 후에 발광소자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저온에서 터치전극 및 컬러필터를 형성할 경우, 층간 접착력이 떨어지고,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과정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컬러필터가 제1 절연층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층간 접착력 저하로 인한 박리를 줄일 수 있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기판과, 기판 상에 배치된 봉지층과,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브릿지와,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과,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터치전극과, 터치전극 상에 위치하는 터치버퍼층과, 터치버퍼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기판은, 발광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한다.
브릿지는 발광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한다.
제1 절연층은 브릿지에 대응되는 제1 홀을 포함한다.
터치전극은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제2 홀을 포함하며, 제1 홀을 통해 브릿지와 컨택한다.
터치버퍼층은 제2 홀 내에 위치하는 제3 홀을 포함한다.
컬러필터는 제3 홀을 통해 제1 절연층과 직접 접촉한다.
제1 절연층은 유기절연층이고, 터치버퍼층은 무기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층은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 및 제3 홀은 오목부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터치전극 상에 위치하며, 발광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는 브릿지와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터치전극 및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층간 접착력 저하로 인한 층간 박리를 줄일 수 있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3 홀을 통해 제1 절연층과 직접 접촉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함으로써, 층간 접착력 저하로 인한 층간 박리를 줄일 수 있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픽셀 구조의 예시들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메쉬 타입 터치전극의 영역과 서브픽셀 영역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이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액티브영역(A/A)과 논-액티브영역(N/A)을 포함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로서 게이트 구동 회로(GDC), 데이터 구동 회로(DDC) 및 컨트롤러(CT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되고,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하는 영역에 서브픽셀(SP)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00)은 액정패널일 수 있다. 액정패널은 화소전극,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고, 액정층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분자배열이 변형됨으로써 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GDC)는, 컨트롤러(CTR)에 의해 제어되며, 표시패널(100)에 배치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다수의 서브픽셀(SP)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DDC)는 컨트롤러(CTR)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DDC)는 게이트 라인(GL)을 통해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타이밍에 맞춰 데이터 전압을 각각의 데이터 라인(DL)으로 출력하여 각각의 서브픽셀(SP)이 영상 데이터에 따른 밝기를 표현할 수 있다.
컨트롤러(CTR)는 게이트 구동 회로(GDC)와 데이터 구동 회로(DDC)로 각종 제어 신호를 공급하며, 게이트 구동 회로(GDC)와 데이터 구동 회로(DDC)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10)는 표시패널(100), 게이트 구동 회로(GDC), 데이터 구동 회로(DDC)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관리 집적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표시패널(100)에 배열된 각 서브픽셀(SP)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 등의 회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서브픽셀(SP)을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종류 및 개수는, 제공 기능 및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기능과,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영상 표시를 위해,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1)는, 기능적으로 볼 때,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회로와,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와, 데이터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1)는,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는, 터치 센싱을 위해, 터치 센서(Touch Sensor)로서 다수의 터치전극들(TE)이 배치되고, 다수의 터치전극들(TE)의 전체 또는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터치라인들(TL)이 배치된 터치패널(TSP)과, 터치패널(TSP)을 구동하여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센싱하는 터치회로(T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회로(TC)는 터치패널(TSP)을 구동하기 위하여 터치패널(TSP)로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터치패널(TSP)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터치유무 및/또는 터치위치(터치좌표)를 센싱한다.
터치회로(TC)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품(예: 집적회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1)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회로(TC)의 전체 또는 일부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2) 또는 그 내부 회로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회로(TC)의 터치구동회로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1)의 데이터 구동 회로와 함께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는 터치전극들(TE)에 형성되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에 기반하여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의 표시패널(100)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OLED Panel), 액정표시패널(LCD Panel) 등의 다양한 타입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OLED Panel)을 주로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A)과, 액티브 영역(A/A)의 바깥 영역인 넌-액티브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이라고도 하고, 넌-액티브 영역(N/A)은 비 표시 영역이라고도 한다.
액티브 영역(A/A)에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들이 배열될 수 있다.
넌-액티브 영역(A/A)에는 액티브 영역(A/A)에서의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라인들 및 각종 신호배선들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1)와 연결시켜주기 위한 배선들 및 패드들이 존재할 수 있다.
터치패널(TSP)에는 다수의 터치전극들(TE) 및 다수의 터치라인들(TL)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터치전극들(TE)은 표시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대응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수의 터치라인들(TL)은 표시패널(100)의 넌-액티브 영역(N/A)에 대응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다수의 터치라인들(TL)은 다수의 터치전극들(TE)이 배치되는 터치전극 영역(액티브 영역(A/A) 또는 그 대응 영역)의 외곽에 존재한다.
터치패널(TSP)은 표시패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터치전극들(TE)이 배치되고, 표시패널(100)의 넌-액티브 영역(N/A)에 터치라인들(TL)이 배치됨으로써, 화면 표시 상태와 매칭 되는 터치 센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서브픽셀 구조의 예시들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서브픽셀 구조의 예시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각 서브픽셀은, 기본적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DRT: Driving Transistor)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에 해당하는 제1 노드(N1)로 데이터 전압을 전달해주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T1)와, 영상 신호 전압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 또는 이에 대응되는 전압을 한 프레임 시간 동안 유지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Storage Capacit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1전극(예: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 유기층 및 제2전극(예: 캐소드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층은, 하나 이상의 발광층을 포함하며 발광층 외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전하생성층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2전극에는 기저 전압(EVSS)이 인가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구동 전류를 공급해줌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해준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제1 노드(N1), 제2 노드(N2) 및 제3노드(N3)를 갖는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는 게이트 노드에 해당하는 노드로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일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3노드(N3)는 구동 전압(EVDD)이 인가되는 노드로서, 구동 전압(E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 라인(DVL: Driving Voltage Lin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일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데이터 라인(DL)과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 라인을 통해 스캔 신호(SCAN)를 게이트 노드로 인가 받아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트랜지스터(T1)는 스캔 신호(SCAN)에 의해 턴-온 되어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로 전달해줄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존재하는 내부 캐패시터(Internal Capacitor)인 기생 캐패시터(예: Cgs, Cgd)가 아니라,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외부에 의도적으로 설계한 외부 캐패시터(External Capacitor)이다.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의 전압 제어, 또는 서브픽셀의 특성치(예: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문턱전압 또는 이동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문턱전압 등)를 센싱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픽셀은 제2 트랜지스터(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와 기준 전압(Vref)을 공급하는 기준 전압 라인(R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 노드로 스캔 신호의 일종인 센싱 신호(SENSE)를 인가 받아 제어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센싱 신호(SENSE)에 의해 턴-온 되어 기준 전압 라인(RVL)을 통해 공급되는 기준 전압(Vref)을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에 인가해준다.
또한, 제2 트랜지스터(T2)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에 대한 전압 센싱 경로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스캔 신호(SCAN) 및 센싱 신호(SENSE)는 별개의 게이트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신호(SCAN) 및 센싱 신호(SENSE)는, 서로 다른 게이트 라인을 통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노드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노드로 각각 인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캔 신호(SCAN) 및 센싱 신호(SENSE)는 동일한 게이트 신호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캔 신호(SCAN) 및 센싱 신호(SENSE)는 동일한 게이트 라인을 통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노드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노드에 공통으로 인가될 수도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 각각은 n 타입 트랜지스터 또는 p 타입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에서, 메쉬 타입의 터치전극(TE)의 영역과 서브픽셀 영역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에서, 다수의 터치전극들(TE) 각각은 그물망 타입(메쉬 타입)으로 패터닝 되어 구멍들(OA)이 존재하는 전극 메탈(EM)일 수 있다. 여기서, 구멍(OA)을 오픈 영역이라고도 한다.
전극 메탈(EM)이 그물망 타입(메쉬 타입)으로 패터닝 되어 형성된 터치전극(TE)에서, 구멍들(OA)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의 발광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00)이 LCD 패널인 경우,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은 픽셀전극 또는 컬러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이 OLED 패널인 경우, 서브픽셀의 발광 부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 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컬러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터치전극(TE)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오픈 영역들(OA) 각각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의 발광 부가 대응되어 존재하도록, 터치전극(TE)의 전극 메탈(EM)이 패터닝 됨으로써, 전극 메탈(EM)이 불투명 물질로 되어 있더라도, 표시패널(100)의 발광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봉지층(120), 봉지층(120) 상에 위치하는 터치전극(150), 터치전극(150) 상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140), 제1 절연층(140)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170) 및 제1 절연층(140) 상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120)은 표시패널(100)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등의 회로소자를 외부의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층 또는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전극(150)은, 상술한 터치전극(TE) 및 터치라인(TL) 등의 터치센서메탈일 수 있다. 터치전극(150)은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구멍(OA)을 포함한다.
터치전극(150)은, 터치전극(150)과는 다른 층에 위치하는 브릿지(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터치전극(150)은, 단일층이거나 다중층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100)의 액티브영역의 일부와 논-액티브영역의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패널(100)은, 기판(110)과, 기판 상에 배치된 봉지층(120)과,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브릿지와(130),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140)과,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터치전극(150)과, 터치전극 상에 위치하는 터치버퍼층(160)과, 터치버퍼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17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발광영역(111a)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픽셀을 구성하는 회로소자들이 형성되는 기판으로서, 복수의 트랜지스터가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봉지층(120)은 기판(110)에 위치한 발광소자 등의 회로소자를 외부의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층으로서, 다수의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130)는 발광영역(111a)의 주변부에 위치한다. 브릿지(130)는, 예를 들면,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영역(111a)과 중첩되지 않도록 발광영역(111a)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40)은 브릿지(130)를 평탄화하는 층으로서, 예를 들면, 유기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130)는 터치전극(150)과 컨택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40)은 브릿지(130)에 대응되는 제1 홀(141)을 포함한다. 터치전극(150)은 제1 홀(141)을 통해 브릿지(130)와 컨택한다.
터치전극(150)은 발광영역(111a)에 대응되는 제2 홀(151)을 포함한다. 제2 홀(151)은, 앞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터치전극의 구멍(OA)일 수 있다. 터치전극(150)이 발광영역(111a)에 대응되는 제2 홀(151)을 포함함으로써, 터치전극(150)이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더라도 표시패널(100)이 높은 발광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버퍼층(160)은 터치전극(150) 상에 위치하는 층으로서, 터치전극(150)을 보호하는 무기층일 수 있다. 터치버퍼층(150)은, 단일층이거나 다중층일 수 있다.
터치버퍼층(160)은, 터치전극(150)의 제2 홀(151) 내에 위치하는 제3 홀(161)을 포함한다. 터치전극(150)이 제2 홀(151)을 포함하고, 터치버퍼층(160)이 제3 홀(161)을 포함함으로써, 제2 홀(151) 및 제3 홀(161)에 의하여 터치전극(150) 및 터치버퍼층(160)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140)이 노출될 수 있다.
컬러필터(170)는 서브픽셀의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 중 일부를 흡수하고 일부는 투과하는 것으로서, 유기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170)는 제3 홀(161)을 통해 제1 절연층(140)과 직접 접촉한다. 컬러필터(170)가 제1 절연층(140)과 직접 접촉할 경우, 예를 들면, 컬러필터(170)와 제1 절연층(140)이 유기재료인 경우 컬러필터(170)와 제1 절연층(140)간의 접착력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컬러필터(170)가 무기재료로 구성되는 터치버퍼층(160)과 접촉하는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의 제조공정에서 제1 절연층(140)과 제1 절연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층이 박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40)은 유기절연층이고, 터치버퍼층(160)은 무기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40)은 발광영역(111a)에 대응되는 오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40)이 발광영역(111a)에 대응되는 오목부(142)를 포함할 경우, 표시패널(100)의 제조공정에서 하프톤 마스크가 사용되어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제2 홀(151) 및 제3 홀(161)은 오목부(142)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터치전극(150) 상에 위치하며, 발광영역(111a)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18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80)는, 서로 다른 색을 표현하는 서브픽셀의 발광영역들에서 방출된 광이 혼색되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외부 광이 터치전극(150)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예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80)는 브릿지(130)와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80)가 브릿지(130)와 중첩되어 위치할 경우, 외부 광이 브릿지(130)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예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터치전극(150) 및 컬러필터(170)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1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90)은, 유기재료를 포함하는 유기절연막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과정에 따른 표시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표시패널(100)은, 봉지층(120)을 형성한 후에 브릿지(130)를 패터닝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표시패널(100)은, 제1 절연층(140)을 하프톤마스크로 형성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표시패널(100)은, 식각공정을 진행한 것이다. 식각공정에 의하여 패드부(PAD)의 전극이 오픈되었으며, 댐(DAM) 상부의 제1 절연층(140)의 테이퍼 각도가 완화되었다.
도 12는 터치전극(150)을 패터닝한 것이다. 터치전극(150)이 브릿지(130)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터치버퍼층(160)을 패터닝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홀(151) 및 제3 홀(161)에 의하여 제1 절연층(140)이 노출된다.
도 14는 블랙매트릭스(180)를 패터닝한 이후에, 컬러필터(160)를 패터닝한 것이다. 컬러필터(160)가 제2 홀(151) 및 제3 홀(161)을 통하여 제1 절연층(14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15는 제2 절연층(190)을 형성한 후, 패드부(PAD)에서 제2 절연층(190)을 오픈하는 패터닝 공정을 수행한 것이다.
도 16은 패드부(PAD)의 터치버퍼층(160)을 패터닝한 것이다.
상기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한 제조공정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을 형성할 경우, 컬러필터(170)가 제1 절연층(140)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패널(1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절연층(140)의 댐(DAM) 측 테이퍼가 완화된 표시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에 대한 사항은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표시장치
100: 표시패널
110: 기판
111: 서브픽셀
111a: 발광영역
120: 봉지층
130: 브릿지
140: 제1 절연층
141: 제1 홀
142: 오목부
150: 터치전극
151: 제2 홀
160: 터치버퍼층
161: 제3 홀
170: 컬러필터
180: 블랙매트릭스
190: 제2 절연층

Claims (14)

  1. 발광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브릿지;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브릿지에 대응되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제2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을 통해 상기 브릿지와 컨택하는 터치전극;
    상기 터치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홀 내에 위치하는 제3 홀을 포함하는 터치버퍼층; 및
    상기 터치버퍼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홀을 통해 상기 제1 절연층과 직접 접촉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유기절연층이고,
    상기 터치버퍼층은 무기절연막인 표시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은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표시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브릿지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표시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전극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8.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발광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브릿지;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브릿지에 대응되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제2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을 통해 상기 브릿지와 컨택하는 터치전극;
    상기 터치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홀 내에 위치하는 제3 홀을 포함하는 터치버퍼층; 및
    상기 터치버퍼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홀을 통해 상기 제1 절연층과 직접 접촉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유기절연층이고,
    상기 터치버퍼층은 무기절연막인 표시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은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표시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브릿지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표시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전극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00188358A 2020-12-30 2020-12-30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220096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358A KR20220096153A (ko) 2020-12-30 2020-12-30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US17/521,527 US20220208879A1 (en) 2020-12-30 2021-11-08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EP21213212.0A EP4024175A3 (en) 2020-12-30 2021-12-08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202111660235.XA CN114695487A (zh) 2020-12-30 2021-12-30 显示面板和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358A KR20220096153A (ko) 2020-12-30 2020-12-30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153A true KR20220096153A (ko) 2022-07-07

Family

ID=7882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358A KR20220096153A (ko) 2020-12-30 2020-12-30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08879A1 (ko)
EP (1) EP4024175A3 (ko)
KR (1) KR20220096153A (ko)
CN (1) CN114695487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758B1 (ko) * 2017-10-27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KR102488208B1 (ko) * 2017-11-20 202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장치
KR102498978B1 (ko) * 2018-05-02 2023-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4175A3 (en) 2022-07-13
EP4024175A2 (en) 2022-07-06
CN114695487A (zh) 2022-07-01
US20220208879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9580B2 (en) Touch display panel, method for driving touch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2411682B1 (ko) 터치표시장치 및 패널
EP330173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422664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54390A (ko) 터치표시장치
KR20220058700A (ko) 표시 장치
JP2023033150A (ja) 表示装置
KR10202477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TWI829365B (zh) 顯示裝置、電源供應裝置以及像素
KR20220096153A (ko)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2412010B1 (ko) 유기발광소자
WO2021207930A1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20220055922A (ko) 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US11644915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3007033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320253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147773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142681A1 (en) Display device
US20220208869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30200185A1 (en) Display Device
KR20180049360A (ko) 터치 패널 및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30163257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3507A (ko) 표시 장치
KR20230045735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40068390A (ko) 터치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