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453A -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 Google Patents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453A
KR20220095453A KR1020200186970A KR20200186970A KR20220095453A KR 20220095453 A KR20220095453 A KR 20220095453A KR 1020200186970 A KR1020200186970 A KR 1020200186970A KR 20200186970 A KR20200186970 A KR 20200186970A KR 20220095453 A KR20220095453 A KR 2022009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nveyor
transfer
shaped objec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840B1 (ko
Inventor
김두형
Original Assignee
(주)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텍 filed Critical (주)새텍
Priority to KR102020018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8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는 봉 형태를 취하는 봉형물의 이송을 위해 상기 봉형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는 봉형물을 상기 제2컨베이어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1컨베이어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로 봉형물의 이송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와 수평을 이루는 제1높이와,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을 지지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로 봉형물의 이송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number selecting apparatus of rod-shaped article and number selecting method thereof}
봉 형태를 갖는 봉형물의 매수 선별을 위한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봉강의 운반시에는 리프팅 마그넷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봉강은 제조 후 적치된 상태에서 주문 수량에 맞게 차량에 상차되어 출하되고, 이때 봉강은 통상 자력을 이용하는 리프팅 마그넷에 부착된 상태에서 운반될 수 있다. 리프팅 마그넷은 크레인에 설치됨에 따라 봉강을 부착상태에서 운반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자력을 이용하는 리프팅 마그넷은 부착시킬 봉강의 숫자를 조절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봉강 매수를 선별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묶음 단위로 적치되어 있는 봉강의 경우, 주문량이 묶음 단위로 맞아 떨어지지 않으면, 묶음을 풀어서 개별 단위까지 봉강을 선별해야 하기 때문에, 선별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더욱 컸다.
또 봉강들은 안정적인 운반을 위해 그 중심이 리프팅 마그넷의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리프팅 마그넷에 부착되어야 하는데, 적치된 상태의 봉강들의 경우 상호 간의 간격이 다양한 상태로 벌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리프팅 마그넷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다수의 봉강들 중 일부만을 리프팅 마그넷을 이용하여 운반하고자 할 경우, 운반작업의 속도가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이어 늘어서 있는 봉강들 중 일부만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우선 리프팅 마그넷의 부착면 일측을 이용하여 원하는 숫자만큼의 봉강들을 부착시킨 상태로 이동시켜 다른 봉강들로부터 분리시키고, 이 상태에서 다시 리프팅 마그넷의 부착면의 센터가 봉강들의 중심에 맞도록 리프팅 마그넷의 위치를 조절하여 운반하게 되므로, 봉강의 운반작업시 소요시간이 길이질 수 있다.
또 운반하고자 하는 봉강을 다른 봉강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옮기는 과정에서 리프팅 마그넷은 부착면 일측으로 부착되는 봉강들에 의해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운반과정에서 일부 봉강이 리프팅 마그넷으로부터 탈락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리프팅 마그넷에 부착되기 전에 미리미리 봉강들을 정렬시키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이때는 수작업으로 인해 봉강의 운반작업이 지연될 우려가 커질 수 있다.
봉형물 매수를 요구 수량에 따라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봉형물이 리프팅 마그넷에 의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운반되도록 할 수 있는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봉형물 매수의 선별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는 봉 형태를 취하는 봉형물의 이송을 위해 상기 봉형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는 봉형물을 상기 제2컨베이어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1컨베이어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로 봉형물의 이송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와 수평을 이루는 제1높이와,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을 지지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로 봉형물의 이송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기 제2컨베이어의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기; 상기 감지부를 통해 획득하는 상기 봉형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와 상기 승강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일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방법은 상기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제2컨베이어가 상기 제2높이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에 공급되는 봉형물을 상기 제2컨베이어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이 상기 제2컨베이어에 지지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 상의 봉형물 사이가 밀착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 상의 봉형물이 상기 제2컨베이어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2컨베이어의 높이를 상기 제1높이로 조절하고;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이 상기 제2컨베이어로 이송되면, 봉형물의 이송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의 높이를 상기 제2높이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는 봉 형태를 취하는 봉형물의 이송을 위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상기 봉형물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이송부재의 일단에 봉형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은 허용하면서 봉형물의 이송을 제한하는 이송제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는 봉형물을 지지된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지지면의 높이가 서로 다른 제1이송구간과 제2이송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지지면의 높이는 상기 제2이송구간이 상기 제1이송구간보다 높게 마련되고, 제2이송구간의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구간과 제2이송구간 사이의 상기 이송지지면은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방법은 상기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이송지지면의 높이는 상기 제2이송구간이 상기 제1이송구간보다 높게 마련되되, 상기 컨베이어에 공급된 봉형물이 상기 이송제한부재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하고, 이송방향 선단의 봉형물이 상기 이송제한부재에 지지되고,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송구간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에 따르면, 봉형물 매수를 요구 수량에 따라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다.
또 일 실시 예에 의한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에 따르면, 봉형물이 리프팅 마그넷에 의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일 실시 예에 의한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에 따르면, 봉형물 매수의 선별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에 의한 봉형물의 매수 선별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에 의한 봉형물의 매수 선별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1)는 봉 형태를 취하는 봉형물(r) 매수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봉형물(r)은 봉강이나, 빌렛(billet) 또는 이들의 묶음을 포함할 수 있다.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1)는 봉형물(r)의 이송을 위해 봉형물(r)의 이송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10)와 제2컨베이어(20)를 구비한다.
제1컨베이어(10)와 제2컨베이어(20)는 봉형물(r)을 이송하는 이송부재(11,21)와, 이송부재(11,21)를 구동하는 구동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재(11,21)는 체인, 벨트, 로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컨베이어(10)와 제2컨베이어(20)는 체인식, 벨트식, 롤러식 등 봉형물(r)의 이송이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채용될 수 있다.
이송부재(11,21)는 봉형물(r)의 축방향을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기(12,22)는 모터(12a,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컨베이어(10)와 제2컨베이어(20)는 개별적으로 구동되고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컨베이어(10)와 제2컨베이어(20)는 구동축(13,23)과 종동축(14,24)을 각각 구비하고, 구동축(13,23)이 모터(12a,22a)에 의해 회전하거나 정지됨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동되거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10)는 봉형물(r)을 제2컨베이어(20)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되고, 제2컨베이어(20)는 제1컨베이어(10)에서 제2컨베이어(20)로 봉형물(r)의 이송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컨베이어(20)는 제1높이와 제2높이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높이에서 제1컨베이어(20)는 제1컨베이어(10)에서 제2컨베이어(20)로 봉형물(r)의 이송을 허용하도록 제1컨베이어(10)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2높이에서 제1컨베이어(20)는 제1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을 지지하여 제1컨베이어(10)에서 제2컨베이어(20)로 봉형물(r)의 이송을 차단하도록 제1높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컨베이어(10)와 제2컨베이어(2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봉형물(r)의 매수를 선별할 수 있다.
봉형물(r)의 매수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컨베이어(20)가 제2높이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컨베이어(10)에 공급되는 봉형물(r)을 제2컨베이어(20)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컨베이어(10)에 공급되는 봉형물(r)들은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지고 정렬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제1컨베이어(10) 상의 봉형물(r)은 제1컨베이어(10)의 구동에 따라 제2컨베이어(20)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이 제2높이에 있는 제2컨베이어(20)에 측단에 지지됨에 따라 봉형물(r)들은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부터 차례로 이송 동작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이어 이송되는 봉형물(r)들이 앞서 이송이 차단된 봉형물(r)에 지지되면서 봉형물(r)들은 그 사이가 벌어짐이 없이 밀착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이 제2컨베이어(20)의 측단에 지지되고 제1컨베이어(10) 상의 봉형물(r)들 사이가 밀착된 상태로 정렬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10) 상의 봉형물(r)이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되도록 제2컨베이어(20)의 높이를 제1높이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컨베이어(10)에 서로 밀착되도록 정렬되어 있던 봉형물(r)들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컨베이어(20)로 이송 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10)의 봉형물(r)들이 제2컨베이어(20) 상으로 이송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되는 봉형물(r)의 숫자를 카운팅 하고,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r)이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물(r)의 이송을 정지한 상태에서 제2컨베이어(20)의 높이를 제1높이에서 제2높이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제1컨베이어(10)에 공급된 봉형물(r)들 중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r)들은 제1컨베이어(10)에 남아 있는 봉형물(r)들과 구분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되어 선별될 수 있다.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1)는 제1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0)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3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1)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등 봉형물(r)의 거리변화를 측정하여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것들이 채용될 수 있다. 센서(31)는 봉형물(r)의 이송방향 반대 쪽으로 제1컨베이어(10)의 일 단부 주변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1)는 제2컨베이어(20)의 높이 조절을 위해 제2컨베이어(20)의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기(40)와,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1)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부(50)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구동기(40)는 실린더몸체(41a)와, 피스톤로드(41b)를 포함하는 실린더(4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41)는 피스톤로드(41b)의 단부가 제2컨베이어(20)의 프레임(20a)에 결합됨에 따라, 피스톤로드(41b)의 진퇴 동작에 의해 제2컨베이어(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제어부(50)는 감지부(30)를 통해 획득하는 봉형물(r)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20)와 승강구동기(40)를 제어함으로써, 봉형물 매수 선별작업이 자동화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제1컨베이어(10)에 봉형물(r)이 공급되면, 제1컨베이어(10)를 구동하기 전에 제2컨베이어(20)가 제2높이를 유지하도록 승강구동기(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부터 감지부(30)는 제1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제1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이 제2위치에 있는 제2컨베이어(20)에 측단에 지지되고, 제1컨베이어(10) 상의 봉형물(r)들 사이가 밀착되어 정렬되면,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되는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의 위치는 변화가 없게 되고, 이를 기초로 제어부(50)는 봉형물(r)들이 정렬된 상태에서 제2컨베이어(20)로 이송이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10) 상의 봉형물(r)이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될 수 있게 제2컨베이어(20)가 제1높이가 되도록 승강구동기(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컨베이어(20)의 높이가 제1높이로 전환됨에 따라 제1컨베이어(10) 상에 정렬되어 있는 봉형물(r)들은 제2컨베이어(20)로 이송이 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되는 이송방향 후단의 봉형물(r)의 위치는 변화되기 시작하고, 이를 기초로 제어부(50)는 제1컨베이어(10)에서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되는 봉형물(r)의 숫자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봉형물(r)들이 제1컨베이어(10) 상에서 상호 밀착되어 정렬된 상태를 기점으로 이송방향 후단의 봉형물(r)의 이송거리를 파악하고, 이를 봉형물(r)의 지름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제1컨베이어(10)에서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되는 봉형물(r)의 숫자를 정확히 계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50)는 제1컨베이어(10)에서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되는 봉형물(r)의 숫자를 카운팅 할 수 있다.
미리 입력되어 있는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r)이 제2컨베이어(20)로 이송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제1 및 제2컨베이어(10,20)가 정지하고 제2컨베이어(20)가 제2높이가 되도록 제1 및 제2컨베이어(10,20)와 승강구동기(4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봉형물(r)의 매수 선별 작업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에 따르면, 봉형물(r) 매수가 요구 수량에 따라 정확하게 선별되도록 함은 물론, 봉형물 매수 선별 작업이 자동화 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구성되는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은 리프팅 마그넷(200)에 의한 봉형물(r)의 운반작업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출하장에서 봉강 등의 봉형물(r)을 상차하는 경우 등 리프팅 마그넷(200)을 이용하여 봉형물(r)을 운반할 때는 크레인(미도시)에 설치된 리프팅 마그넷(200)을 이용하여 봉형물(r)을 부착된 상태에서 매달아 올려 운반할 수 있다.
이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물(r)들이 상호 간의 간격이 밀착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다른 봉형물(r)들로부터 위치가 구분되도록 선별되어 있을 경우, 선별된 봉형물(r)들은 그 중심이 리프팅 마그넷(200)의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리프팅 마그넷(200)에 바로 부착되어 운반될 수 있다. 따라서 봉형물(r)은 리프팅 마그넷(200)으로부터 분리될 우려 없이 안전한 상태에서 신속하게 운반이 가능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운반하고자 하는 봉형물(r)들의 중심이 리프팅 마그넷(200) 부착면의 센터에 맞춰진 상태에서는 봉형물(r)들의 운반과정에서 리프팅 마그넷(200)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 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운반과정에서 봉형물(r)의 탈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2) 및 선별방법이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에에 있어서,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2)는 봉형물(r)의 이송을 위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이송부재(70)를 구비하는 컨베이어(60)와, 봉형물(r)의 이송방향으로 이송부재(70)의 일단에 봉형물(r)의 이송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이송제한부재(8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부재(70)는 체인(80)이나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60)는 체인식, 벨트식 등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봉형물(r)을 이송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채용될 수 있다.
컨베이어(60)는 이송부재(7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61)과 종동축(62)을 포함하고, 구동축(61)은 모터(63)에 의해 회전하거나 정지되어 이송부재(70)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구동축(61)과 종동축(62)에는 스프로켓이 설치될 수 있다.
이송제한부재(80)는 봉형물(r)의 이송방향으로 이송부재(70)의 일단에 봉형물(r)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이송부재(70)의 회전은 허용하면서 봉형물(r)의 이송은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재(70)는 구동축(61)과 종동축(62)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이송제한부재(80)는 이송부재(70)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컨베이어(60)의 프레임에 이송부재(70) 상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70)는 봉형물(r)을 지지된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지지면(71)의 높이가 서로 다른 제1이송구간(70a)과 제2이송구간(7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지지면(71)의 높이는 제2이송구간(70b)이 제1이송구간(70a)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이송지지면(71)은 제1이송구간(70a)에 대응하는 제1이송지지면(71a)과, 제2이송구간(70b)에 대응하는 제2이송지지면(71b)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미도시)의 경우 제1이송구간(70a)과 제2이송구간(70b)에 대응하는 벨트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제1이송구간(70a)과 제2이송구간(70b)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81,82,83)를 링크방식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체인(80)의 경우, 제1이송구간(70a)과 제2이송구간(70b)은 해당구간을 구성하는 플레이트(81,82)의 두께를 다르게 마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2)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봉형물(r)의 매수를 선별할 수 있다.
봉형물(r)의 매수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60)에 공급된 봉형물(r)이 이송제한부재(80)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컨베이어(6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봉형물(r)을 보다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60)는 제2이송구간(70b)이 상부로 위치된 상태에서 봉형물(r)을 제공받아 이송시킬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60)의 구동 중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이 이송제한부재(80)에 지지되면, 뒤이어 이송되는 봉형물(r)들이 앞서 이송이 차단된 봉형물(r)에 차례로 지지되면서 봉형물(r)들은 그 사이가 벌어짐이 없이 밀착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60)는 구동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송부재(70)는 그 회전을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봉형물(r)들의 이송은 차단된 반면 이송부재(70)의 회전이 지속됨에 따라 컨베이어(60) 상의 봉형물(r)들은 제1이송구간(70a)에 지지되는 것들과 제2이송구간(70b)에 지지되는 것들이 상호 높이 차이를 갖도록 구분이 될 수 있다.
이때 제2이송구간(70b)에 위치되어 있던 봉형물(r)이 제1이송구간(70a)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제1이송구간(70a)과 제2이송구간(70b) 사이의 이송지지면(71)은 경사진 경사면(71c)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사면(71c)은 해당 플레이트(83)의 표면을 경사지게 마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r)들이 제2이송구간(70b)으로 위치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6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최초 컨베이어(60)에 공급된 봉형물(r)들 중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r)이 제1이송구간(70a)에 남아 있는 봉형물(r)들과 구분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제2이송구간(70b)에 위치된 상태로 선별될 수 있다.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2)는 제2이송구간(70b)의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90)를 포함하고, 감지부(90)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9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91)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등 거리 측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것들이 채용될 수 있다. 센서(91)는 봉형물(r)의 이송방향 반대 쪽으로 컨베이어(60)의 일 단부 주변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90)는 제1이송구간(70a)에 지지되는 봉형물(r)의 경우 감지 대상에서 제외하고 제2이송구간(70b)에 지지되는 봉형물(r)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00은 감지부(90)를 설치하기 위해 컨베이어(60)의 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가리킨다.
또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2)는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부(90)를 통해 획득하는 봉형물(r)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컨베이어(6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봉형물(r)의 매수 선별작업이 자동화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컨베이어(60)에 봉형물(r)이 공급되면, 봉형물(r)이 이송제한부재(80)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컨베이어(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부터 감지부(90)는 제2이송구간(70b)에 지지되어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60)의 구동 중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이 이송제한부재(80)에 지지되면, 뒤이어 이송되는 봉형물(r)들이 앞서 이송이 차단된 봉형물(r)에 지지되면서 봉형물(r)들은 그 사이가 벌어짐이 없이 밀착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컨베이어(60)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부재(70)가 그 회전을 지속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봉형물(r)들의 이송은 차단되는 반면 이송부재(70)의 회전은 지속됨에 따라 컨베이어(60) 상의 봉형물(r)들은 제1이송구간(70a)에 지지되는 것들과 제2이송구간(70b)에 지지되는 것들이 상호 높이 차이를 갖도록 구분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r)들이 제2이송구간(70b)으로 위치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컨베이어(6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최초 컨베이어(60)에 공급된 봉형물(r)들 중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r)이 제1이송구간(70a)에 남아 있는 봉형물(r)들과 구분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제2이송구간(70b)에 위치된 상태로 선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감지부(90)를 통해 제공되는 제2이송구간(70b)의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r)들이 제2이송구간(70b)으로 위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컨베이어(60)를 정시시킬 수 있다.
즉 제2이송구간(70b)의 봉형물(r) 중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r)이 이송제한부재(80)에 지지되고, 제2이송구간(70b)의 봉형물(r)들 사이가 상호 밀착되어 정렬된 상태에서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감지부(90)와 이송제한부재(80) 사이의 거리에서 감지부(90)를 통해 감지된 제2이송구간(70b) 후단의 봉형물(r)과 감지부(90) 사이의 거리를 뺀 거리를 봉형물(r)의 지름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제2이송구간(70b)에 위치하는 봉형물(r)의 숫자가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에 따르면, 봉형물(r)의 매수가 요구 수량에 따라 정확하게 선별되도록 함은 물론, 봉형물(r)의 선별작업이 자동화 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1: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10: 제1컨베이어
20: 제2컨베이어 30: 감지부
40: 승강구동기 50: 제어부

Claims (8)

  1. 봉 형태를 취하는 봉형물의 이송을 위해 상기 봉형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는 봉형물을 상기 제2컨베이어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1컨베이어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로 봉형물의 이송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와 수평을 이루는 제1높이와,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을 지지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로 봉형물의 이송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로 높이가 조절되는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기 제2컨베이어의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기;
    상기 감지부를 통해 획득하는 상기 봉형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와 상기 승강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제2컨베이어가 상기 제2높이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에 공급되는 봉형물을 상기 제2컨베이어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이 상기 제2컨베이어에 지지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 상의 봉형물 사이가 밀착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 상의 봉형물이 상기 제2컨베이어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2컨베이어의 높이를 상기 제1높이로 조절하고;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이 상기 제2컨베이어로 이송되면, 봉형물의 이송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의 높이를 상기 제2높이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봉형물 매수 선별방법.
  5. 봉 형태를 취하는 봉형물의 이송을 위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상기 봉형물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이송부재의 일단에 봉형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은 허용하면서 봉형물의 이송을 제한하는 이송제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는 봉형물을 지지된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지지면의 높이가 서로 다른 제1이송구간과 제2이송구간을 포함하는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지지면의 높이는 상기 제2이송구간이 상기 제1이송구간보다 높게 마련되고,
    제2이송구간의 이송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봉형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봉형물의 매수 선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구간과 제2이송구간 사이의 상기 이송지지면은 경사지게 마련되는 봉형물의 매수 선별장치.
  8. 제 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이송지지면의 높이는 상기 제2이송구간이 상기 제1이송구간보다 높게 마련되되,
    상기 컨베이어에 공급된 봉형물이 상기 이송제한부재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하고,
    이송방향 선단의 봉형물이 상기 이송제한부재에 지지되고, 목표로 하는 숫자만큼의 봉형물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송구간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봉형물 매수 선별방법.
KR1020200186970A 2020-12-30 2020-12-30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KR10247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70A KR102474840B1 (ko) 2020-12-30 2020-12-30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70A KR102474840B1 (ko) 2020-12-30 2020-12-30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453A true KR20220095453A (ko) 2022-07-07
KR102474840B1 KR102474840B1 (ko) 2022-12-07

Family

ID=8239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970A KR102474840B1 (ko) 2020-12-30 2020-12-30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8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53B1 (ko) * 2006-03-23 2006-11-23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마그네트타입 파이프 자동 포장장치
KR100821194B1 (ko) * 2007-10-09 2008-04-14 (주)와이제이테크 형강 자동 정렬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53B1 (ko) * 2006-03-23 2006-11-23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마그네트타입 파이프 자동 포장장치
KR100821194B1 (ko) * 2007-10-09 2008-04-14 (주)와이제이테크 형강 자동 정렬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840B1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4377B (zh) 配置为控制物体在运载机构上的旋转的装置和方法
JP5879443B2 (ja) 動的な荷下ろしを伴う仕分け機構
KR101691943B1 (ko) 팔레타이저 및 이를 이용한 팔레타이저의 팔레트 유닛 이송 방법
KR101769117B1 (ko) 자동 팔레타이저
US6430800B1 (en) Automatic pallet fabr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EP3551555B1 (en) Guide rail configuration, conveyor and method for conveying containers
US97649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quickly grouping picked goods for transport
JP2008532887A (ja) 傾斜ローラ型物品回転式ベルトコンベヤ
JP2000511148A (ja) コンベヤ仕分け機用の高速スマートダイバータ
KR101767868B1 (ko)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US10543618B2 (en) Pallet fe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n a concrete products machine
JP6621861B2 (ja) 秤量システム
KR101559349B1 (ko) 타이어의 이송을 위한 타이어 정렬 장치
JP2006327758A (ja) 方向転換装置
KR102199730B1 (ko) 비전센서를 이용한 인서트사출용 부품 이송장치
EA038874B1 (ru) Взве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звешивания продукта
CN107366459B (zh) 用于停车的装置和方法
KR101682743B1 (ko) 회전위치 결정방법 및 회전위치 결정시스템
KR20220095453A (ko) 봉형물 매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AU2008310931A1 (en) Improved plant product conveyor system and method
JP2007106546A (ja) 物品取出装置
KR101885866B1 (ko) 농산물 낙하 높이 제어 장치
KR102271804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롤러 컨베이어를 이용한 택배 물품 분류 시스템
KR100614208B1 (ko) 컨베이어 시스템
JP5506081B2 (ja) 方向転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