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245A - A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245A
KR20220094245A KR1020200184524A KR20200184524A KR20220094245A KR 20220094245 A KR20220094245 A KR 20220094245A KR 1020200184524 A KR1020200184524 A KR 1020200184524A KR 20200184524 A KR20200184524 A KR 20200184524A KR 20220094245 A KR20220094245 A KR 20220094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abric
fiber
weft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3279B1 (en
Inventor
남성한
이귀연
Original Assignee
이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귀연 filed Critical 이귀연
Priority to KR102020018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279B1/en
Publication of KR2022009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2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protein-based, e.g. wool or sil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03D15/258Noble 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75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A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an irregular heating portion or a non-heating portion both of which cannot be achieved in conventional conductive fabrics to be formed in a desired part by partially removing conductive fibers through fil coupé process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processed parts and non-processed parts can be formed in a variable form without having a definite shape (e.g., square or rectangular) like general fabrics, and the processed parts may be a heating portion depending on materials of the supplied wefts or warps.

Description

도전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A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A conductive fabric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전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위사와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도전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섬유에 전류를 흘려보내 발열성을 가지되,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1
) 가공을 통해 발열체의 표면 중 원하는 일부에 도전성 섬유 또는 비도전성 섬유를 제거하여 도전부 및 비도전부를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부분에만 발열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fabric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include a conductive fiber in any one or both of a weft and a warp, and to have exothermic properties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nductive fiber,
Figure pat00001
) It relates to a conductive fabric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by removing conductive fibers or non-conductive fibers from a desired part of the surface of the heating element through processing, and forming a conductive part and a non-conductive part, heat generation is exhibited only in the desired part. .

일반적으로 발열체에 적용되는 철선은 전도성 좋은 재료를 실 형태로 만들어 이를 이용하여 그물망 형상의 발열체를 만들거나 또는 필름 상부에 전도성 물질을 스크린 인쇄하여 이를 발열체로 사용하였다.In general, the iron wire a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is made of a good conduc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thread and using it, a mesh-shaped heating element is made, or a conductive material is screen-printed on the film and used as a heating element.

그러나 상기의 전도성 재료를 실 형태로 만들어 사용한 발열체는 열효율 및 전기적 저항이 낮아 사용할 때 열선에 고열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과열로 위험성을 내포하고 발열체의 저항이 일정하지 않아 사용 시 발열체의 표면온도가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리고 상기의 필름에 전도성 물질을 인쇄하여 사용하는 발열체는 흔히 전극의 접합을 라미네이트로 함으로써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접합부분의 전극이 쉽게 단락되어 사용 시 안전에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heating element made of the above conduc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thread has low thermal efficiency and electrical resistance, so high heat is generated in the heating wire when used. There was a change problem, and the heating element used by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film is often laminated by bonding the electrode, so that the electrode at the bonding part is easily short-circuited over time, which is a safety hazard.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온저항의 유지를 위해 카본 등을 원단의 표면에 코팅한 종래의 발열체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07-0079770호에 카본제, 티탄산바륨,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바인더, 침투제, 물 등을 혼합한 혼합물에 원단을 함침시켜 발열체를 제조하는 망사발열체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Therefore, looking at the conventional heating element technology in which carbon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to maintain constant temperature resistance as a metho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07-0079770 made of carbon, barium titanat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sh heating element in which a heating element is manufactured by impregnating a fabric in a mixture of poly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binder, penetrant, water, and the like is known.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혼합물에 원단을 함침시켜 제조되는 발열체는 혼합물에 전도성 및 결합력이 저하되는 바인더, 침투제 등이 혼합됨으로 인해 전열체의 극선 간격의 한계로 다수의 극선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발열체를 장시간 사용 시에 전도성 물질인 카본제, 티탄산바륨이 낮은 결합력으로 인해 원단으로부터 단락되어 전도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heating element manufactured by impregnating the fabric into the mixture as described above requires the use of a large number of poles due to the mixture of binders and penetrants that reduce conductivity and bonding strength in the mixture.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when the heating element is used for a long time, the conductive material, made of carbon and barium titanate, is short-circuited from the fabric due to low bonding strength, thereby reducing the conductivity.

또한 원단 직조 시 도전성 섬유인 극선이 위사 또는 경사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므로 극선의 배열에 따른 발열체의 발열 정도만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발열되는 부분 또한 단순히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뿐이므로, 직물 설계 상 표면 중 일부가 곡선 등의 패턴을 형성하면서 발열되는 발열체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ole wire, which is a conductive fiber, must enter the weft or warp yarns when weaving the fabric, only the heat generation degree of the heating elemen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ole wires, and since the heated part also has a simple rectangular shape, some of the surface of the fabric design It is impossible to form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while forming a pattern such as a curv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9770호 (2007년 08월 08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9770 (August 08, 2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위사와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도전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섬유에 전류를 흘려보내 발열성을 가지되,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2
) 가공을 통해 발열체의 표면 중 원하는 일부에 도전성 섬유나 비도전성 섬유를 제거하여 도전부 및 비도전부를 형성함으로써 패턴 형상으로 원하는 부분에만 발열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specifically, it contains conductive fibers in any one or both of the weft and warp yarns, and has exothermic properties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nductive fibers, fil coup
Figure pat00002
) process to remove conductive fibers or non-conductive fibers from a desired part of the surface of the heating element to form a conductive part and a non-conductive part to provide a conductive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heat generation appears only in a desired part in a pattern shape do it with

본 발명은 도전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fabric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도전부, 비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직물로, 상기 도전성 직물은 표면에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3
) 가공을 진행하여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도전성 직물은 위사와 경사로 직조되어 형성되되, 상기 위사와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에 도전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부와 비도전부의 계면은 곡선 또는 직선 형태를 갖되, 상기 도전부 및 비도전부가 불규칙하게 혼재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성 직물은 하기 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ive fabric including a conductive part, a non-conductive part, and an electrode part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nductive part, wherein the conductive fabric has a fil coup on the surface.
Figure pat00003
) processing to selectively form a conductive part or a non-conductive part, and the conductive fabric is formed by weaving with a weft and a warp, and includes a conductive fiber in any one or all of the weft and the warp, and the conductive part and the non-conductive part The interface of has a curved or straight shape, the conductive part and the non-conductive part are irregularly mixed, and the conductive fabric relates to a conductive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식 1][Equation 1]

100㎚ < H1 < H2 < 1cm100nm < H1 < H2 < 1cm

[식 2][Equation 2]

0.1μm < S1 < 10 mm0.1μm < S1 < 10 mm

[식 3][Equation 3]

200본(pick/inch) < D1, D2 < 800본(pick/inch)200 pieces (pick/inch) < D1, D2 < 800 pieces (pick/inch)

[식 4][Equation 4]

D1 + 1 < D2 < D1 + 800D1 + 1 < D2 < D1 + 800

(상기 식 1 내지 4에서 H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부분의 두께, H2는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이며, S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섬유(필라멘트 다발)의 섬도이며, D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섬유의 가닥 수, D2는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섬유의 가닥 수를 뜻한다.)(In Equations 1 to 4, H1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applied, H2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not applied, S1 is the fineness of the fiber (filament bundle)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applied, and D1 is The number of strands of fibers with feel coupe treatment applied, D2 means the number of strands of fibers without feel coupe treatment)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성 직물은 위사와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도전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 상기 위사와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도전성 섬유에 비도전성 섬유를 커버링하거나, 비도전성 섬유에 도전성 섬유를 커버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 철, 금, 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을, 상기 비도전성 섬유는 면, 마, 견, 모,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을 포함하며, 표면에 절연 조성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ductive fabric, at least one or all of the plurality of fibers constituting the weft and warp may be made of conductive fibers, and more specifically, any one or all of the weft and warp may include non-conductive fibers in the conductive fibers. It may be formed by covering or covering a non-conductive fiber with a conductive fiber. In this case, the conductive fiber is made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stainless, and the non-conductive fiber is cotton, hemp, silk, wool, rayon, polyolefin, polyamide, poly It contains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1) 면, 마, 견, 모,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여 비도전성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a1) preparing a non-conductive fiber includ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fibers selected from cotton, hemp, silk, wool, rayon,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b1) 탄소, 철, 금, 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로 형성된 필라멘트를 합사 및 가연하여 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b1)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by braiding and twisting a filament formed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stainless steel;

c1) 상기 비도전성 섬유와 도전성 섬유를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상기 도전성 섬유를 위사,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포함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및c1) manufacturing a fabric by weaving the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and weaving the conductive fiber to be inclu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weft and warp yarns; and

d1) 상기 직조된 원단의 표면 중 일부를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4
) 가공하여 무정형의 비도전부를 형성하는 단계;d1) Part of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fil coup (fil coup)
Figure pat00004
) forming an amorphous non-conductive part by processing;

를 포함하거나, include, or

a2) 면, 마, 견, 모,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여 비도전성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a2) preparing a non-conductive fiber includ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fibers selected from cotton, hemp, silk, wool, rayon,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b2) 탄소, 철, 금, 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로 형성된 필라멘트를 합사 및 가연하여 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b2)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by braiding and twisting filaments formed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stainless steel;

c2) 상기 비도전성 섬유와 도전성 섬유를 합사하는 단계;c2) braiding the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d2) 상기 c2) 단계의 합사와 도전성 섬유, 비도전성 섬유를 위사,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포함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및d2) weaving the braided yarn, conductive fiber, and non-conductive fiber of step c2) to be inclu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weft yarn and the warp yarn; and

e) 상기 직조된 원단의 표면 중 일부를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5
) 가공하여 무정형의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를 형성하는 단계;e) fil coup (fil coup) part of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Figure pat00005
) forming an amorphous conductive part or non-conductive part by processing;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fabric comprising a.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은 필 쿠페 가공을 통해 도전성 섬유 중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도전성 직물에서 달성할 수 없는 비정형의 발열부(또는 도전부)나 비발열부(또는 비도전부)가 원하는 부분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제직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비정형의 도전성, 비도전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desired portion of an atypical heating part (or conductive part) or non-heating part (or non-conductive part) that cannot be achieved in conventional conductive fabrics by removing some of the conductive fibers through peel coupe processing.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it, it is possible to form atypical conductive and non-conductive patterns that cannot be achieved by weaving alone.

또한 간단한 가공만으로도 가공이 진행된 부분과 진행되지 않은 부분이 일반 직물처럼 일정한 형태(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를 가지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위사 또는 경사의 재질에 따라 가공이 진행되는 부분을 쉽게 선택하고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직물의 전면과 후면의 발열부, 비발열부의 형태를 다르게 가져갈 수 있다.In addition, even with simple processing, the processed part and the non-processed part do not have a regular shape (square or rectangular) like general fabrics, and can be formed in a free form. Because it can be easily selected and processed, the shape of the heating and non-heating parts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fabric can be taken differ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도전성 직물의 실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의 직조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을 이루는 위사 또는 경사의 커버링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real photograph of a conductive fabric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show the woven form of the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overing state of the weft or warp yarn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re only described to clarif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unless there are other definitions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t has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possible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Also, the singular fo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appended claims may also b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specifical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may be exaggerated to clarif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Also, the singular fo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appended claims may also b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specifical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form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에서 용어 ‘필라멘트’는 가늘고 길게 연속되며, 방사기의 노즐을 통해 방출된 장섬유를 뜻하며, 일반적으로는 장섬유를 일컫는 말이나,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노 필라멘트’, 즉, 일반적인 섬유를 이루는 필라멘트 다발 중 한 가닥의 필라멘트를 뜻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ilament' refers to a long fiber that is continuous and thin and emitted through a nozzle of a spinning machine, and generally refers to a long fib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monofilament', that is, It refers to one of the filament bundles constituting a general fiber.

본 발명에서 용어 ‘섬유’는 가는 분자가 모여 고분자 물질로 구성된 가늘고 긴 선상의 물질로, 일반적으로는 단섬유(스테이플)이나 장섬유(필라멘트) 등과 같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필라멘트가 다수 개 모여 합사된 것을 뜻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iber' refers to a long and thin linear material composed of a polymer material by gathering fine molecules, and is generally used in various meanings such as short fibers (staples) or long fibers (filament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al substrate Unless there is, it means that a plurality of the filaments are gathered and braided.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탄소, 철,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을 포함하는 도전성 섬유와, 면, 마, 견,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비도전성 섬유를 직조 또는 합사하여 원단을 제조한 후, 임의의 패턴 또는 무정형의 영역을 직조된 원단 표면에 설정하고 패턴 내의 도전성 섬유 또는 비도전성 섬유를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6
) 공법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도전부와 비도전부를 임의의 형태로 나눌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에만 발열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ive fiber compris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copper, nickel and stainless, cotton, hemp, silk, rayon, polyolefin, polyamide, and polyacrylic. , polyurethane and polyimide, after weaving or braid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non-conductive fibers to prepare a fabric, an arbitrary pattern or amorphous area is set on the woven fabric surface, and conductive fibers or non-conductive fibers in the pattern are set on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Fiber to fil coup
Figure pat00006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conductive part and the non-conductive part can be divided into arbitrary shapes by removing them using a method, and that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can be expressed only in the necessary parts.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When the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a1) 면, 마, 견, 모,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에 절연 조성물을 코팅하여 비도전성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a1) preparing a non-conductive fiber by coating an insulating composition on any one or a plurality of fibers selected from cotton, hemp, silk, wool, rayon,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b1) 탄소, 철, 금, 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로 형성된 필라멘트를 합사 및 가연하여 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b1)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by braiding and twisting a filament formed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stainless steel;

c1) 상기 비도전성 섬유와 도전성 섬유를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상기 도전성 섬유를 위사,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포함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및c1) manufacturing a fabric by weaving the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and weaving the conductive fiber to be inclu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weft and warp yarns; and

d1) 상기 직조된 원단의 표면 중 일부를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7
) 가공하여 무정형의 비도전부를 형성하는 단계;d1) Part of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fil coup (fil coup)
Figure pat00007
) forming an amorphous non-conductive part by processing;

의 단계를 포함하거나,comprising the steps of, or

a2) 면, 마, 견, 모,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에 절연 조성물을 코팅하여 비도전성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a2) preparing a non-conductive fiber by coating an insulating composition on any one or a plurality of fibers selected from cotton, hemp, silk, wool, rayon,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b2) 탄소, 철, 금, 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로 형성된 필라멘트를 합사 및 가연하여 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b2)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by braiding and twisting filaments formed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stainless steel;

c2) 상기 비도전성 섬유와 도전성 섬유를 합사하는 단계;c2) braiding the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d2) 상기 c2) 단계의 합사와 도전성 섬유, 비도전성 섬유를 위사,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포함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및d2) weaving the braided yarn, conductive fiber, and non-conductive fiber of step c2) to be inclu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weft yarn and the warp yarn; and

e) 상기 직조된 원단의 표면 중 일부를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8
) 가공하여 무정형의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를 형성하는 단계;e) fil coup (fil coup) part of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Figure pat00008
) forming an amorphous conductive part or non-conductive part by processing;

의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It can be prepared including the steps of

본 발명에서 상기 a1) 또는 a2) 단계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에 절연 조성물을 코팅하여 비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다.In the present invention, step a1) or a2) is a step of preparing a non-conductive fiber by coating an insulating composition on a natural fiber or synthetic fiber.

본 발명에서 상기 비도전성 섬유는 도전성 직물을 구성하는 직물의 위사 또는 경사를 구성하는 베이스 섬유로, 비도전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onductive fiber is a base fiber constituting the weft or warp of the fabric constituting the conductive fabric, and may include one or more non-conductive natural or synthetic fibers.

상기 비도전성 섬유를 구성하는 섬유로 바람직하게는 면, 마 등의 식물성 섬유; 견, 모 등의 동물성 섬유;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포함할 수 있다.As fibers constituting the non-conductive fibers, preferably, vegetable fibers such as cotton and hemp; animal fibers such as silk and wool; semi-synthetic fibers such as rayon;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and these may be included alone or two or more thereof may be included.

상기 비도전성 섬유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견(실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크섬유는 유연성,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섬유로 사용되는 피브로인과 상기 피브로인의 표면에 형성된 세리신에 의해 절연 조성물의 접착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직물의 마찰에도 섬유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non-conductive fiber may include silk (silk) fiber. The silk fiber is not only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heat resistance, but also can increase the adhesive properties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by fibroin used as a substantial fiber and serici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broin, and maintain the shape of the fiber even in the friction of the fabric it is preferable to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견섬유는 누에고치에서 채취된 직후에는 20 내지 30 중량%의 세리신을 포함한다. 상기 세리신은 아교질의 단백질로 가열된 습윤상태에서는 점착성을 나타내므로 후술할 절연 조성물을 쉽게 부착할 수 있으며, 발열체 자체의 유연성을 증가시켜 부드러운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typical silk fiber contains 20 to 30% by weight of sericin immediately after being collected from a cocoon. The sericin is a gelatinous protein, and since it exhibits adhesiveness in a heated wet state, an insulating compositio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attached thereto, and a soft touch can be provided by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the heating element itself.

다만 상기 세리신은 섬유의 합사, 합연 공정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지나치게 많은 양의 세리신을 남기면 촉감이 빳빳하고 광택이 좋지 않으므로 정련을 통해 일부 용해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sericin may interfere with the braiding and ply-twisting process of the fibers, and if an excessive amount of sericin is left, the feel is stiff and the gloss is poor, so it is preferable to dissolve and remove some through scouring.

상기 견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제조방법을 예로 들면 먼저 누에고치를 절단한 후, 이를 알칼리용액에 침지하고 이를 가열하여 세리신을 제거한다. 그리고 이를 세척 및 건조한 후, 타면, 소면 등의 방적공정을 거쳐 섬유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리신을 일부 남길 경우, 가열 시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므로 효소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ilk fiber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example, a general manufacturing method is first to cut a cocoon, then immerse it in an alkali solution and heat it to remove sericin. And after washing and drying it,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fibers through a spinning process such as other cotton and somen noodles.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part of sericin is left, it is preferable to remove it using an enzyme or the like because it can be completely removed when heated.

본 발명에서 상기 비도전성 섬유는 꼬임수 및 섬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섬유의 꼬임수는 100 내지 1,000 T/M이 바람직하며, 섬도는 10 내지 200 de(denier)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onductive fiber does not limit the number of twists and fineness, but the number of twists of the fiber is preferably 100 to 1,000 T/M, and the fineness is preferably 10 to 200 de (denier).

본 발명에서 상기 비도전성 섬유는 절연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비도전성 섬유를 제직하기 전에 절연 조성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onductive fiber is preferably coated with an insulating composition before weaving the non-conductive fiber to further increase insulation.

상기 절연 조성물은 비도전성 섬유의 절연성을 높임과 동시에 비도전성 섬유의 내열성, 화학적 안정성,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리콘을 베이스로 하여 실란, 가교제, 충전제,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composition serves to enhance the insulation of the non-conductive fiber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heat resistance, chemical stability, abrasion resistance, etc. of the non-conductive fiber, and may contain silane, a cross-linking agent, a filler, a solvent, etc. .

상기 실리콘은 알킬기를 가지(branch) 형태로 보유하거나, 산소 등이 실록산 결합으로 연결된 폴리머로서, 내열성, 내마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The silicone has an alkyl group in the form of a branch or is a polymer in which oxygen or the like is connected by a siloxane bond, and serves to increase hea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상기 충전제는 비도전성 섬유, 특히 견섬유의 열화를 억제하거나,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이산화티탄 등의 금속산화물 또는 카본블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산화티탄은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등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카본블랙은 수소, 산소 또는 질소 등과 공유결합을 안정적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단일결합, 이중결합, 삼중결합이 가능하고 사슬형과 고리형의 구조로도 형성되어 발열체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ller is added to suppress deterioration of non-conductive fibers, particularly silk fibers, or to improve thermal conductivity, and may includ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dioxide or carbon black. In particular, the titanium dioxide serves to reflect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and the carbon black can stably and easily form covalent bonds with hydrogen, oxygen, or nitrogen, and can form single bonds, double bonds, and triple bonds. It is also formed in a cyclic structure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ing element.

상기 충전제는 평균입경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제는 10 내지 1,000㎛의 평균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충전제의 분산성이 하락하여 상기 특성들이 부분적으로 발현되게 되거나 부착력이 하락할 수 있다.The filler does not limi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For example, the fill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000 μm, and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dispersibility of the filler may decrease so that the properties may be partially expressed or adhesion may decrease.

또한 상기 충전제는 상기 실리콘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0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 첨가하는 경우 상술한 열화 억제나 열전도율 향상 효과가 미비하며, 100 중량부 초과 첨가하는 경우, 비도전성 섬유의 도전성 향상으로 인해 도전성 직물의 발열특성을 제어하기 어렵다.In addition, the filler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10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When the content of the filler is added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above-described effect of suppressing deterioration or improving thermal conductivity is insignificant, and when added in excess of 100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heating properties of the conductive fabric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ductivity of the non-conductive fiber.

상기 실란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경우로, 이들의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에톡시실란, 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및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The silane is adde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vinyltrichlorosilane, and vinyltri(2-methoxyethoxy). Silane, 3-Aminopropylethoxysilane, 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2-(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 Cyd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 etc. are mentioned.

상기 실란은 상기 실리콘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내마모성 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이 급격하게 경화되어 가공성이 하락할 수 있다.The silane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 When the amount of the silane added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may decrease.

상기 가교제는 페놀계수지, 산화아연, 산화이트륨, 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실리콘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혼합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거나 발열체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include phenolic resin, zinc oxide, yttrium oxide, aluminum oxide, and the like, and may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and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ixture may be reduced or the flexibility of the heating element may be reduced.

상기 용매는 상술한 물질들을 용해하거나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류나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등의 일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실리콘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5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vent is for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above-mentioned substance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lcohol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or general solvents such as toluene, xylene, and methyl ethyl ketone. Although the amount of the solvent is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100 to 5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상기 a1) 또는 a2) 단계는 상술한 비도전성 섬유를 절연 조성물에 침지시킨 후 압착롤러로 비도전성 섬유를 압착하면서 조성물을 탈기시키고 이를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압축, 탈기, 건조 등의 조건을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가 섬유 표면에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Step a1) or a2) may be prepared by immersing the above-described non-conductive fiber in the insulating composition, degassing the composition while compressing the non-conductive fiber with a compression roller, and drying the non-conductive fiber. In this case, conditions such as compression, degassing, and drying are not limited,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general conditions for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on the fiber surface.

본 발명에서 상기 b1) 또는 b2) 단계는 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도전성 섬유는 필라멘트 형태의 다수의 금속사, 탄소섬유를 합연, 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tep b1) or b2) is a step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may be manufactured by plying and braiding a plurality of metal yarns and carbon fibers in the form of filaments.

상기 도전성 섬유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로 예를 들면 탄소, 철,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이외에도 열전도율이 좋은 니켈, 크롬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도전성 섬유는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금속사, 특히 철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ament constituting the conductive fiber may include, for example, carbon, iron, copper, nickel, and stainless steel, and may include nickel, chromium, and alloys thereof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in addition to the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in order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conductive fiber, it is preferable to use a metal yarn, particularly a wire, having a tensile str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상기 도전성 섬유는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의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다이에 금속막대를 삽입하고 인장시키는 인발법, 용융 상태의 금속을 방사구에서 사출하는 사출법, 유리관 주위에 분말 상태의 금속을 넣어 동시에 용융한 후, 가열된 섬유상태로 인장한 후에 권취하는 글라스 병용법, 고분자용액에 분말 상태의 금속을 분산시키고 이를 방사한 후, 고분자를 탄화시키는 에멀젼 방사법 등을 들 수 있다.The conductive fiber is not limited to a manufacturing method. Example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 a drawing method in which a metal rod is inserted into a diamond die and tensioned, an injection method in which a molten metal is injected from a spinneret, a powdered metal is put around a glass tube and melted at the same time, then heated fiber Examples include a glass combination method in which the metal is wound after being stretched in a state of tension, and an emulsion spinning method in which a powdered metal is dispersed in a polymer solution, spun, and then the polymer is carbonized.

상기 도전성 섬유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하나의 필라멘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발열체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가는 필라멘트 수십 가닥을 합사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합사되는 필라멘트의 수를 한정하지 않으며, 전압, 발열량, 직물의 두께, 밀도 등에 따라 적절한 필라멘트 수를 조절할 수 있고, 그 꼬임수 또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The conductive fib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filament having a certain thickness, but it is preferable to braid dozens of thin filaments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heating element.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filaments to be braided is not limited, and an appropriate number of filament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voltage, calorific value, thickness, density, etc. of the fabric, and the number of twists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섬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유연성 및 도전성을 유지하는 측면에서 섬도는 10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섬도는 필라멘트 한 가닥의 섬도를 뜻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ber does not limit the fineness, but in terms of maintaining flexibility and conductivity, the fineness is preferably 10 to 200 μm, and the fineness at this time refers to the fineness of one filament.

또한 상기 도전성 섬유는 세탁이 어려운 도전성 직물의 특성 상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므로 금속사 제조 시 표면에 은과 같은 항균금속이 코팅된 이중 구조의 금속사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항균금속은 파우더나 용액 형태로 욕조에 투입한 후, 상기 금속사를 욕조에 함침시키고 열을 가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ductive fiber needs to suppress the propagation of bacteria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ductive fabric that is difficult to wash, it is preferable to prepare it in the form of a double-structured metal yarn in which an antibacterial metal such as silver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yar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ut the antibacterial metal into the bath in the form of a powder or a solution, then impregnate the metal thread into the bath and apply heat to coat it.

다음으로 상기 c1) 단계와 같이 제조된 도전성 섬유 및 비도전성 섬유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조하거나, c2) 단계와 같이 상기 비도전성 섬유와 도전성 섬유를 합사할 수 있다.Next, the fabric may be manufactured by weaving the conductive fiber and the non-conductive fiber prepared as in step c1), or the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may be braided as in step c2).

상기 원단은 일반적인 제직방식인 위사와 경사를 교차시켜 면상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위사, 경사 또는 위사 및 경사 모두에 도전성 섬유를 공급하며, 비도전성 섬유 또한 위사, 경사 또는 위사 및 경사 모두에 공급하여 직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단은 후술할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09
) 가공으로 인한 위사 또는 경사의 손실을 고려하여 이중직 이상의 다중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bric is manufactured in a plane shape by crossing weft and warp, which is a general weaving method, and supplies conductive fibers to weft, warp or weft and warp, and non-conductive fibers are also supplied to weft, warp or weft and warp. can do. At this time, the fabric is a fil coup to be described later.
Figure pat00009
) Considering the loss of weft or warp due to processing, it is desirable to form a multi-weave weave of double weave or more.

도면을 바탕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1)은 전원부(400),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전성 직물의 폭방향 양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도전성 섬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부(500) 및 상기 도전성 섬유 또는 비도전성 섬유가 위사(100) 또는 경사(200)를 이루어 원단을 형성할 수 있다.If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drawings, the conductive fabric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400 and the power supply, and is locat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uctive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lectrode part 500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or the non-conductive fiber may form a weft yarn 100 or a warp yarn 200 to form a fabric.

상기 원단은 도 3 내지 4와 같이 기준경사(210)를 중심으로 위사(200)가 각각 상기 기준경사의 상부와 하부에 교호로 공급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들 위사들은 각각 두 가닥의 상부경사(220, 230) 또는 두 가닥의 하부경사(240, 250)와 제직되어 이중 구조의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The fabric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eft yarns 200 are alternately su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ference warp, respectively, around the reference warp 210 as shown in FIGS. 3 to 4 . Each of these weft yarns may be woven with the two upper warp yarns 220 and 230 or the two lower warp yarns 240 and 250 to form a fabric having a double structure.

즉 상기 위사들은 이중직을 기준으로 4개의 위사 및 5개의 경사가 하나의 단위를 형성하되, 상기 위사들은 순서대로 기준경사의 하부, 기준경사의 상부, 기준경사의 하부, 기준경사의 상부의 순으로 교호로 공급되는 것이다. That is, as for the wefts, 4 wefts and 5 warps form one unit based on the double weave, and the wefts are in the order of the lower part of the reference warp, the upper part of the standard warp, the lower part of the standard warp, and the upper part of the standard warp. are supplied alternately.

이렇게 각각 공급된 위사들은 기준경사의 상하부에 공급되는 상부경사들 또는 하부경사들이 상하로 교차하여 매듭지어져서 만들어진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각각 제직될 수 있다. 이때 기준경사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경사들이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을 교호로 통과하는 구조를 가진다. Each of the weft yarns supplied in this way can be woven by being arranged in a space made by knotting the upper and lower warp yarns su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ference warp by crossing them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warp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fabric and the lower fabric of the reference warp alternately pass through the upper fabric and the lower fabric so that the upper fabric and the lower fabric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하나의 반복단위(L)를 예로 들어 기준경사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경사들 중 제1상부경사(220)는 기준경사(210)의 상부에서만 위치하여 제2상부경사(230) 또는 기준경사와 교차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2번 위사와 4번 위사가 순서대로 공급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 taking one repeating unit L as an example, among the upper slopes located above the reference slope, the first upper slope 220 is located onl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ference slope 210 and the second upper slope 230 . ) or by intersecting the reference warp to form a space, and the No. 2 weft and No. 4 weft yarn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space.

또한 제2상부경사(230)는 상기 제1상부경사와 교차하여 첫 번째 공간을 형성하고 여기에 2번 위사가 위치한다. 2번 위사와 제직된 제2상부경사는 다시 기준경사를 지나 하부경사들 중 제2하부경사(250)와 교차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여기에 3번 위사가 공급된다.In addition, the second upper warp 230 intersects the first upper warp to form a first space, and the No. 2 weft yarn is located here. The second upper warp woven with the second weft yarn passes through the reference warp again and intersects the second lower warp 250 among the lower warps to form a space, and the third weft yarn is supplied thereto.

이와는 반대로 하부직물의 경우 제1하부경사(240)와 제2하부경사(250)가 교차하여 형성한 공간에 1번 위사가 위치하며, 제1하부경사는 다음 위사와 제직되지 않고 통과하며 대신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하부경사(250)와 제2상부경사(230)가 교차하여 형성한 공간에 3번 위사가 공급되며, 이러한 구조가 계속 반복됨으로써 상부와 하부가 물리적으로 서로 교락된 이중직물이 형성되는 것이다.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lower fabric, the first weft yarn is position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lower warp 240 and the second lower warp 250, and the first lower warp passes through the next weft without weaving,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As described above, No. 3 weft yarn is supplied to the space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lower warp 250 and the second upper warp 230, and as this structure is continuously repeated, the double fabric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physically entangled with each other is formed. will be formed

또한 후술할 필 쿠페 과정에서의 전도성 섬유 또는 기타 직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위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사(도면에서는 4번 위사)가 다른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부분을 다수 형성시켜 해당 위사가 다른 경사와 교차하는 횟수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conductive fibers or other fabrics in the peel coupe proces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4 , at least one of the weft yarns (the 4th weft in the drawing) forms a plurality of portions that do not intersect with the other warp yarns.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number of times the weft yarn intersects with another warp yarn.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위사, 경사 또는 위사 및 경사 모두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위사에 포함되는 것이 필 쿠페 가공에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structure, the conductive fiber may be included in weft, warp, or both weft and warp, an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n the weft yarn because it is advantageous to process the feel coupe.

예를 들어 도 3의 직물에서 상기 도전성 섬유를 4번 위사에만 투입하는 경우, 1번, 3번 위사는 자연스럽게 하부직을 형성하게 되며, 2번과 4번 위사는 상부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필 쿠페 가공으로 4번 위사를 절단하면 해당 반복단위에서는 도전성 섬유가 절단되었기 때문에 전류를 공급하여도 발열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필 쿠페 가공 과정에서 도전성 섬유를 포함하는 위사를 절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사에는 통전 시 발열이 되므로 위사의 절단 위치에 따라 발열부분과 비발열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abric of FIG. 3 , when the conductive fiber is put into only the 4th weft, the 1st and 3rd wefts naturally form a lower weave, and the 2nd and 4th wefts form the upper weave. At this time, if No. 4 weft is cut by peel coupe processing, since the conductive fiber is cut in the repeating unit, heat is not generated even when an electric current is supplied. In addition, if the weft yarn including the conductive fiber is not cut during the peel coupe processing process, the weft yarn generates heat when energized, so that the heating portion and the non-heating por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utting position of the weft yarn.

여기에 도 4에서 도전성 섬유를 4번 위사에만 투입하는 경우, 상기 4번 위사는 다른 위사들과 달리 경사와 교락되는 횟수가 최소화되므로 도 3의 직물에 비해 필 쿠페 가공을 통해 절단되는 비도전성 섬유를 최소화할 수 있어 직물의 기계적 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Here in FIG. 4 , when the conductive fiber is added to only the 4th weft, the 4th weft is cut through a peel coupe process compared to the fabric of FIG. 3 because the number of times of entanglement with the warp is minimized unlike other weft yarns.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abric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위사나 경사 또는 위사 및 경사 모두는 필라멘트 형태의 도전성 섬유와 비도전성 섬유가 합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발열 온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필 쿠페 공정을 통한 도전성 섬유 또는 비도전성 섬유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eft or warp or both the weft and the warp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ilament-type conductive fiber and a non-conductive fiber are braided, thereby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conductive fiber or the non-conductive fiber through the feel coupe process. can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상 발열체는 도전성 섬유에 비도전성 섬유를 커버링하거나, 비도전성 섬유에 도전성 섬유를 커버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심사와 커버링사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가져감으로써 필 쿠페 공정에서 커버링사를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위사가 도전성을 갖거나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covering the conductive fiber with the non-conductive fiber, or by covering the non-conductive fiber with the conductive fiber. That is, by taking different materials of the core and covering yarns, the corresponding weft yarns can be made to have conductivity or not by simply removing the covering yarns in the feel coupe process.

예를 들어 도전성 직물을 이루는 경사 또는 위사에서 커버링사(B)가 도전성 섬유이며, 심사(A)가 비도전성 섬유인 경우, 필 쿠페 가공 과정에서 커버링사를 제거하면 해당 경사 또는 위사는 도전성 섬유가 절단되었기 때문에 통전을 할 수 없다. 따라서 해당 섬유가 제직된 부분에서는 열이 발생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warp or weft yarn constituting the conductive fabric, if the covering yarn (B) is a conductive fiber and the core (A) is a non-conductive fiber, if the covering yarn is removed during the peel coupe processing process, the warp or weft yarn becomes conductive fiber. It cannot be energized because it has been cut. Therefore, no heat is generated in the part where the fiber is woven.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커버링사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일부만 제거했을 때 해당 부분는 발열의 주체인 커버링사가 다른 부분에 비해 적게 남으나, 통과하는 전류량은 동일하므로 발열 온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게 유지된다. 따라서 같은 위사 또는 경사 내에서도 가공 여부를 통해 발열 온도가 서로 다르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only a part of the covering yarn is removed without completely removing the covering yarn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covering yarn, which is the main body of heat, remains in the portion compared to other portions, but the amount of current passing through is the same, so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is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Therefore, even within the same weft or warp yarns, 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different through processing.

반대로 도 5에서 커버링사(B)가 비도전성 섬유이며, 심사(A)가 도전성 섬유인 경우, 필 쿠페 가공 과정에서 커버링사를 제거하면 해당 경사 또는 위사는 도전성 섬유를 덮고 있는 비도전성 섬유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제거된 부분 표면의 발열 온도가 제거되지 않는 부분의 발열 온도에 비해 바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도전성 직물 중 특정 부분의 온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아야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커버링사를 제거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Conversely, in FIG. 5 , when the covering yarn (B) is a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re (A) is a conductive fiber, if the covering yarn is removed during the peel coupe processing process, the non-conductive fiber covering the conductive fiber is removed from the corresponding warp or weft yarn. Because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removed part rises immediately compared to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part that is not removed.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of a specific part of the conductive fabric needs to be higher than that of other parts, it can be achieved by removing the covering yarn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은 필 쿠페 가공을 통해 도전성 섬유 중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발열부와 비발열부를 가공자가 원하는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와 같이 심사와 커버링사의 재질을 다르게 가져간 후에 커버링사만을 제거함으로 해당 위사 또는 경사는 일부만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심사는 그대로 존재하게 되므로 위사나 경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경우에 비해 직물의 인장강도나 파단강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심사와 커버링사의 재질에 따라 발열 여부나 특성을 조절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ing part and a non-heating part can be formed in the part desired by the processor by removing some of the conductive fibers through the peel coupe process. Here, by removing only the covering yarn after taking different materials of the core yarn and the covering yarn as described above, only a part of the corresponding weft or warp yarns can be removed. In this case, since the screening remains as it is, the tensile strength or breaking strength of the fabric may increas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weft or warp is completely removed,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heat 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ore and covering yarn. have.

또한 필 쿠페 가공의 특성 상 직물의 표면을 긁거나 뽑아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 쿠페 가공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가공이 진행된 부분(10)과 진행되지 않은 부분(20)이 일반 직물처럼 일정한 형태(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를 가지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위사 또는 경사의 재질에 따라 가공이 진행된 부분이 발열부일 수도 비발열부일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performed by scratching or pulling the surface of the fabric due to the nature of the feel coupe processing, the position of the feel coupe processing can be made freely.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processed part 10 and the non-processed part 20 do not have a regular shape (square or rectangle) like a general fabric and can be formed in a free form, and depending on the supplied weft or warp material Accordingly, the processed part may be a heating part or a non-heating part.

본 발명에서 상기 합사 공정은 통상적인 합연사 또는 커버링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커버링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섬유는 합사로 10 내지 100 TPI(Twist per inc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링사는 심사와의 길이비가 심사 : 커버링사 = 1 : 1 내지 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3을 유지하는 것이 상기 커버링사가 심사를 완전히 감싸도록 합사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ying process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conventional ply-twisted yarn or a covering manufacturing metho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ber manufactured through the covering manufacturing method is 10 to 100 TPI (Twist per inch) in braided yar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ratio of the covering yarn to the core is such that the screening: covering yarn = 1: 1 to 5, and more preferably 1: 2 to 3, so that the covering yarn can be braided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core. it is preferable to have

또한 상기와 같은 비율에 따라 커버링사를 제조하면 사용 과정에서 커버링사와 심사의 이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커버링사가 비도전성 섬유, 더욱 바람직하게 견섬유인 경우 견섬유의 특징인 광택과 부드러운 감촉, 견명 효과가 더욱 상승하여 도전성 직물이면서도 고급스러운 광택과 감촉, 보온성, 탄성 등을 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vering yarn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ratio, separation between the covering yarn and the core may occur in the course of use. As it rises, it can express luxurious luster, texture, warmth, elasticity, etc. while being a conductive fabric.

상기와 같이 비도전성 섬유와 도전성 섬유를 합사한 후(c2) 단계)에는 해당 섬유를 위사, 경사 또는 위사 및 경사에 공급함으로써 직물 형태로 제직할 수 있다(d2) 단계). 이때 제직방법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c1) 단계와 유사하게 위사와 경사가 교락하여 형성되는 직물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중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braiding the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as described above (step c2)), the fiber can be woven into a woven fabric by supplying the corresponding fiber to the weft, warp or weft and warp (step d2). At this time, the weaving method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o step c1), it is preferable to have a fabric form formed by entangled weft and warp yarns, more preferably a double weave form.

다음으로 상기 d1) 단계 또는 e) 단계와 같이 상기 직조된 원단의 표면 중 일부를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10
) 가공하여 무정형의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Next, as in step d1) or step e), part of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is applied to a fil coup
Figure pat00010
) to form an amorphous conductive part or a non-conductive part.

본 발명에서 상기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11
)’는 영어로 절단된 섬유를 의미하며, 직물 표면의 위사나 경사를 절단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함으로써 추가적인 무늬를 발현하거나 직물의 무게를 좀 더 가볍게 만드는 효과를 통칭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 coupe (fil coup
Figure pat00011
)' means the cut fiber in English, and it collectively refers to the effect of expressing additional patterns or making the weight of the fabric lighter by including an additional step of cutting the weft or warp of the fabric surface.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필 쿠페 가공을 통해 직물을 이루는 위사나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를 일부 또는 완전히 절단함에 따라 가공된 면이 일종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무늬는 직물의 조직에 따라 형성되는 무늬와는 완전히 상이한 것이며, 마치 프린팅과 같이 제직공정을 통해서는 발현할 수 없는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 쿠페 공정을 통해 상술한 도전성 섬유 또는 비도전성 섬유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를 무정형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partially or completely cutting any one of weft or warp or a plurality of fibers constituting the fabric through the peel coupe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ed surface may form a kind of pattern. This patter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attern formed according to the texture of the fabric,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pattern that cannot be expressed through the weaving process like printing. In addition, by selectively removing the conductive fiber or the non-conductive fiber through the fill coupe process, the conductive part or the non-conductive part can be formed in an amorphous form.

본 발명에서 상기 필 쿠페 가공은 일반적인 기모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후술할 기모기에 부착된 침포의 배열 위치나 배열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의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raising machine may be used for the peel coupe processing, and the shape of the conductive part or the non-conductive part can be freely adjust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r arrangement density of the chimneys attached to the raising machi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f necessary.

구체적으로, 상기 기모기는 직물 표면의 섬유를 침포가 긁어내어 모를 일으키는 장치를 뜻하며, 이는 직물과 침포 및 실린더 드럼과의 상호 표면 속도차에 의해 기모작용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침포는 기모를 하는 도구로서 두꺼운 바탕으로 된 포(침포)에 일정한 길이와 각도를 가진 침을 심어 놓은 것을 말하며 이 침포를 롤러 (파일롤러, 카운터 파일롤러)에 감아서 사용한다.Specifically, the raising machine refers to a device that causes hair by scraping fibers on the surface of a fabric, which causes a raising action by a difference in surface speed between the fabric, the chimney, and the cylinder drum. At this time, the chimney is a tool for raising the chimney, which means that needles with a certain length and angle are planted on a thick fabric (chimney), and the chimney is used by winding it around a roller (pile roller, counter pile roller).

상기 기모기로 예를 들면, 크게 유압식 기모기와 벨트식 기모기로 나눌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영식(영국) 기모기, 독식(독일) 기모기, 불식(프랑스) 기모기 로 구분된다. 상기 유압식 기모기는 유압모터에서 발생된 힘이 인터널기어를 통해 침 포 롤러의 기어에 전달되므로 초기에 발생된 힘이 조금도 손실이 없이 정확하게 침포에 전달되는 방식이며, 상기 벨트식 기모기는 메인 모터에서 발생된 힘이 엔드레스 벨트를 통해 침포에 전달되므로 벨트의 상태, 직물의 종류 및 조직, 실린더 드럼 내부에서의 텐션(tension), 침포의 마모도 등에 따라 엔드레스 벨트의 슬립이 발생되는 정도가 상이함으로써 침포까지 전달되는 도중에서 다소 힘의 손실이 발생할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최근에는 유압식 기모기와 벨트식 기모기를 혼용한 방식도 이용되고 있다.The raising machine, for exampl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hydraulic raising machine and a belt-type raising machine, and in detail, it is divided into English (UK) raising, German (Germany) raising, and French (France) raising. The hydraulic raising machine is a method in which the force generated from the hydraulic motor is transmitted to the gear of the chimney roller through the internal gear, so the initially generated force is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chimney without any loss, and the belt-type raising machine is the main Since the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chimney through the endless belt, the degree of slippage of the endless belt varies depending on the belt condition,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fabric, the tension inside the cylinder drum, and the abrasion of the chimney. It is a method in which some loss of power may occur during transmission to the chimney. Also, recently, a method in which a hydraulic raising machine and a belt raising machine are mixed is also used.

상기 기모기는 도전성 섬유의 제직 정도, 도전성 섬유 또는 비도전성 섬유의 필라멘트의 수, 섬유의 섬도, 도전부와 비도전부의 두께 차이,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의 무늬 형태에 따라 기모기에 설치된 각 구동부의 운전속도, 회전방향, 원단진행속도 등과 같은 세부적인 운전 조건을 수동으로 설정한 후 진행하는 것이 좋다.Each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rai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weaving degree of the conductive fiber, the number of filaments of the conductive fiber or the non-conductive fiber, the fineness of the fiber, the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conductive part and the non-conductive part, and the pattern shape of the conductive part or the non-conductive part It is recommended to proceed after manually setting detailed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the operation speed, rotation direction, and fabric travel speed.

구체적으로 상기 기모기는 상술한 직물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모터의 회전수, 기어비, 롤러의 직경 등에 의한 필 쿠페 정도의 계산값을 확정한 후, 직물을 기모기에 통과시켜 침포과 원단을 긁으면서 지나가도록 하여 필 쿠페 가공에 따른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1) 단계 또는 e) 단계는 필요에 따라 원단을 기모기에 여러 번 통과시켜 섬유의 절단 효과를 최대한 발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raising machine stores the data of the fabric described above, compares/analyses the stored data to determine the calculated value of the peel coupe degree by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gear ratio, and the diameter of the roller, and then raises the fabric The pattern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feel coupe processing by passing it through the filter and scraping the fabric and fabric. In this case, in step d1) or e), it is preferable to pass the fabric through a raising machine several times a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 of cutting the fibers.

상기와 같이 기모기를 통해 필 쿠페 가공을 진행한 후에는 후가공을 통해 절단된 섬유를 안정화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가공은 절단된 섬유의 끝단에 열을 가하거나 추가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섬유의 기모된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peel coupe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the rais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a process of stabilizing the cut fibers through post processing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In this case, the post-processing may include a process of removing the brushed portion of the fiber by applying heat to the end of the cut fiber or by additionally cutting it.

이는 직물 표면의 섬유 중 일부의 섬유가 절단되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잘려진 섬유가 외력에 의해 직물에서 이탈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전성 섬유의 경우 대부분 금속사이기 때문에 절단된 단면이 날카로운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자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기모된 섬유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s because some of the fibers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are cut, and in some cases, the cut fibers may be separated from the fabric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since most conductive fibers are metal threads, the cut cross-section is often sharp, so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brushed fibers so as not to injure the user.

본 발명에서 상기 후가공은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열을 통해 기모된 비도전성 섬유를 태움으로써 섬유의 이탈까지 방지할 수도 있으며, 절단기를 통해 섬유의 기모된 부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processing method is not limited. For example, by burning the non-conductive fibers that have been raised through heating, separation of the fibers can be prevented, and the raised portions of the fibers can be removed through a cut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도전성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성 직물은 상술한 필 쿠페 가공을 통해 발열부(도전부)와 비발열부(비도전부)를 형성하되, 상기 발열부와 비발열부는 필 쿠페 가공 형태에 따라 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불규칙(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ductive fabric manufactured thr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conductive fabric forms a heating part (conductive part) and a non-heating part (non-conductive part) through the above-described feel coupe processing, but the heating part and the non-heating part may have regular shapes or irregular shapes depending on the feel coupe processing form. It may have an (atypical) shap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직물은 도 2와 같이 위사와 경사가 직조되어 이루어진 도전성 직물과 제어장치(300), 전원부(400) 및 상기 직물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도전성 섬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ductive fabric includes a conductive fabric made of weft and warp weaving as shown in FIG. 2, a control device 300, a power supply 400, and an electrode part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conductive fiber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abric ( 500)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위사 및 경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섬유, 비도전성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도전성 섬유와 비도전성 섬유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필 쿠페 가공에 의해 도전성 섬유 또는 비도전성 섬유를 제거함으로써 도전부와 비도전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도전성 섬유와 비도전성 섬유의 계면(경계면)은 필 쿠페 가공 조건에 따라 곡선 또는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 및 2와 같이 상기 도전부 및 비도전부가 불규칙하게 혼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eft and warp yarns may include any one of conductive fibers and non-conductive fibers, or both conductive fibers and non-conductive fibers, as described above, and conductive fibers or non-conductive fibers are removed by the above-described fill coupe processing. Form wealth and non-conductive parts. The interface (interface) between the conductive fiber and the non-conductive fiber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curved or straight shape depending on the feel coupe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 conductive part and the non-conductive part may be irregularly mixed as shown in FIGS. 1 and 2 . .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인 직물에서 무늬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직물 디자인 툴을 통해 설계된 디자인 데이터와 이를 받아 제직을 수행하는 자카드 직기가 필요하다. 이때 제직 디자인 데이터는 가로셀과 세로 셀의 픽셀로 구분하며, 이 픽셀에 위부점(weft-raise) 또는 경부점(warp-raise)을 포함하는 교차점(stitch place)을 표시함으로써 무늬를 나타낼 수 있다.To describe this in detail, design data designed through a fabric design tool and a jacquard loom receiving the design data and weaving are required in order to represent patterns in general fabrics. At this time, the weaving design data is divided into pixels of horizontal cells and vertical cells, and a pattern can be expressed by displaying a stitch place including a weft-raise or warp-raise in this pixel. .

이러한 교차점은 디스플레이의 픽셀과 같이 작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교차점의 크기가 클수록, 다시 말하면 위사나 경사의 섬도가 굵을수록 교차점의 형태가 쉽게 인식이 되며, 교차점의 연결로 형성되는 무늬의 형태가 곡선처럼 보이지 않고 계단과 같이 보이게 되므로(aliasing), 세밀한 무늬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사나 경사의 섬도가 작을수록 좋다.These intersections have the shape of small rectangles like pixels on a display. Therefore, the larger the size of the intersection, that is, the coarser the fineness of the weft or warp, the easier the shape of the intersection is to be recognized. In order to express detailed patterns, the smaller the fineness of the weft or warp, the better.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이 필 쿠페 가공에 따라 형성된 도전성 직물은 하기 식 1 내지 4를 만족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conductive fabric formed by the feel coupe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may satisfy Equations 1 to 4 below.

[식 1][Equation 1]

100㎚ < H1 < H2 < 1cm100nm < H1 < H2 < 1cm

[식 2][Equation 2]

0.1μm < S1 < 10 mm0.1μm < S1 < 10 mm

[식 3][Equation 3]

200본(pick/inch) < D1, D2 < 800본(pick/inch)200 pieces (pick/inch) < D1, D2 < 800 pieces (pick/inch)

[식 4][Equation 4]

D1 + 1 < D2 < D1 + 800D1 + 1 < D2 < D1 + 800

(상기 식 1 내지 4에서 H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부분의 두께, H2는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이며, S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섬유의 섬도이며, D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섬유의 가닥 수, D2는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섬유의 가닥 수를 뜻한다.)(In Equations 1 to 4, H1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applied, H2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not applied, S1 is the fineness of the fiber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applied, and D1 is the feel coupe processing Number of strands of fiber applied, D2 is the number of strands of fiber without feel coupe treatment)

상기 식 1과 2는 필 쿠페 가공에 따른 직물의 두께에 관한 식으로, 가공에 의해 위사와 경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됨에도 직물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도식화한 것이다. 특히 식 2와 연계하여 상기 두께 이하의 실은 방사를 하기도 어려울뿐더러 상술한 커버링사에 적용 시 필 쿠페 가공 과정에서 커버링사뿐만 아니라 심사까지 함께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직물의 인장강도나 파단강도가 하락할 수도 있다.Equations 1 and 2 are expressions related t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according to the feel coupe processing, and schematically show the degree to which the shape of the fabric can be maintained even though some or all of the weft and warp yarns are removed by the processing. In particular, in connection with Equation 2, it is difficult to spun yarn with a thickness less than the above, and when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covering yarn, not only the covering yarn but also the core can be removed during the peel coupe processing process. As a result, the tensile strength or breaking strength of the fabric is reduced. may go down

상기 식 1과 같이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직성이 떨어져 직물의 유연성이나 굽힘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실용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식 2에서 섬유의 섬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직성이 떨어져 위사나 경사 모두에 투입하기도 어렵고, 금속사의 경우에도 생산 과정에서 사절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As in Equation 1, whe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not applied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weaving property may deteriorate and the flexibility or bendability of the fabric may be deteriorated. When the fineness of the fiber is out of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input both the weft and the warp due to poor weaving properties, and even in the case of metal yarn, yarn breakage may occur frequently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식 2와 관련하여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 섬유를 전도성 금속사와 합사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도성 금속사(필라멘트) 1 가닥의 단위길이(㎝) 당 전기 저항을 SR1이라 하고, 전도성 원사 1가닥의 두께(섬도)를 T라 하면 상기 전도성 원사를 다수 개(x) 합사한 섬유의 단위 길이 당 전기 저항(SRx)은 하기 식 5와 같다.In relation to Equation 2, when general fibers are braided with conductive metal yarns to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electrical resistance per unit length (cm) of one conductive metal yarn (filament) is called SR1, and the When the thickness (fineness) is T, the electrical resistance (SRx) per unit length of a fiber obtained by plying a plurality of the conductive yarns (x) is as shown in Equation 5 below.

[식 5][Equation 5]

SRx = SR1/(T×x)SRx = SR1/(T×x)

따라서 상기 식 5의 전기 저항값은 지수함수적인 성향을 띄게 되며, 일정 합수 이상에서 전기 전도도의 향상이 정체되어 실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물은 상기 식 2와 같이 섬유의 섬도를 일정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Equation 5 has an exponential function, and the improv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 is stagnant above a certain number, which may reduce practicality. Therefore, in the conductiv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fineness of the fiber to a certain range as in Equation 2 above.

상기 식 3과 식 4는 섬유의 밀도(본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 4는 위사나 경사를 이루고 있는 섬유다발의 필라멘트가 필 쿠페 가공에 의해 얼마나 절단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Equations 3 and 4 relate to the density (number of cores) of fibers, and in particular, Equation 4 represents how much the filaments of the fiber bundle forming the weft or warp are cut by the feel coupe process.

상기 식 3은 제직이 완료된 직물에서 길이방향이나 폭방향, 또는 위사방향이나 경사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방향의 1인치 당 섬유의 가닥수가 몇 본인지를 나타낸 것이다.Equation 3 shows the number of strands of fibers per inch in the lengthwise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r the weft direction or the warp direction in the finished fabric, based on any one of the directions.

예를 들어 상기 식 3에서 경사 방향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경사에 제직되는 위사의 본 수가 경사 1 인치 당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위사 방향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위사에 제직되는 경사의 본 수가 위사 1인치 당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식 3은 직물이 얼마나 조밀하게 또는 성기게 제직되었는지를 뜻한다고 볼 수 있다. For example, in Equation 3, when the warp direction is used as a reference, the number of weft yarns woven on the warp yarn indicates how many per inch of warp yarn, and when the weft yarn direction is used as a reference, the number of warp yarns weaving on the weft yarn yarn It indicates how much per inch of weft. That is, Equation 3 can be seen to mean how densely or sparsely the fabric is woven.

상기 식 3에서 섬유의 필라멘트 수(밀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실이 미어지기 때문에 도전성 직물 원단 조직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위사나 경사가 너무 두꺼워져 제직이 불가능하다.In Equation 3, when the number of filaments (density) of the fib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ductive fabric fabric structure because the yarn is pushed.

또한 식 4와 같이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섬유(위사, 경사)는 당연히 그렇지 않은 섬유에 비해 적은 필라멘트 수를 가지게 되는데, 1올 이하의 차이는 필 쿠페 가공의 의미가 없으며, 200본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직물을 이루는 위사 및 경사의 섬도가 크다는 의미이므로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의 직물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지며, 그만큼 유연성이나 굴곡성이 하락하게 되어 도전성 직물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Equation 4, fibers (weft yarns, warp yarns) to which feel coupe processing is applied naturally have fewer filaments compared to fibers that do not. In this case, it basically means that the fineness of the weft and warp yarns constituting the fabric is large, s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where the feel coupe process is not applied becomes quite thick, and the flexibility or flexibility decreases that much, making it difficult to use as a conductive fabric.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 도전성 직물
10 :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부분
20 :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
100 : 위사
200 : 경사
210 : 기준경사
220 : 제1상부경사
230 : 제2상부경사
240 : 제1하부경사
250 : 제2하부경사
300 : 제어장치
400 : 전원부
500 : 전극부
A : 심사
B : 커버링사
L : 반복단위
1: conductive fabric
10: Part with feel coupe processing applied
20: The part where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not applied
100: weft
200: slope
210: reference slope
220: first upper slope
230: second upper slope
240: first lower slope
250: second lower slope
300: control device
400: power supply
500: electrode part
A: Judging
B: covering yarn
L: repeat unit

Claims (7)

도전부, 비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직물로, 상기 도전성 직물은 표면에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12
) 가공을 진행하여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도전성 직물은 위사와 경사로 직조되어 형성되되, 상기 위사와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에 도전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부와 비도전부의 계면은 곡선 또는 직선 형태를 갖되, 상기 도전부 및 비도전부가 불규칙하게 혼재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성 직물은 하기 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
[식 1]
100㎚ < H1 < H2 < 1cm
[식 2]
0.1μm < S1 < 10 mm
[식 3]
200본(pick/inch) < D1, D2 < 800본(pick/inch)
[식 4]
D1 + 1 < D2 < D1 + 800
(상기 식 1 내지 4에서 H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부분의 두께, H2는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이며, S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섬유의 섬도이며, D1은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된 섬유의 필라멘트 수, D2는 필 쿠페 가공이 적용되지 않은 섬유의 필라멘트 수를 뜻한다.)
A conductive fabric including a conductive part, a non-conductive part, and an electrode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nductive part, wherein the conductive fabric has a fil coup on the surface.
Figure pat00012
) to selectively form a conductive part or a non-conductive part by processing,
The conductive fabric is formed by weaving with a weft and a warp, and includes a conductive fiber in any one or all of the weft and warp,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ductive part and the non-conductive part has a curved or straight shape, and the conductive part and the non-conductive part are irregularly mixed,
The conductive fabric is a conductive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Equation 1]
100nm < H1 < H2 < 1cm
[Equation 2]
0.1μm < S1 < 10 mm
[Equation 3]
200 pieces (pick/inch) < D1, D2 < 800 pieces (pick/inch)
[Equation 4]
D1 + 1 < D2 < D1 + 800
(In Equations 1 to 4, H1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applied, H2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not applied, S1 is the fineness of the fiber to which the feel coupe processing is applied, and D1 is the feel coupe processing The number of filaments of the applied fiber, D2 means the number of filaments of the fiber without the feel coupé proc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직물은 위사와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도전성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ive fabric is a conductive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all of the plurality of fibers constituting the weft and warp is made of conductive fib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와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도전성 섬유에 비도전성 섬유를 커버링하거나, 비도전성 섬유에 도전성 섬유를 커버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
The method of claim 1,
Any one or all of the weft and warp,
Conductive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covering the conductive fiber with the non-conductive fiber, or by covering the non-conductive fiber with the conductive fiber.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 철, 금, 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conductive fiber is a conductive fabric compris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stainless steel.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 섬유는 면, 마, 견, 모,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non-conductive fiber is a conductive fabric compris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otton, hemp, silk, wool, rayon,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a1) 면, 마, 견, 모,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여 비도전성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b1) 탄소, 철, 금, 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로 형성된 필라멘트를 합사 및 가연하여 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c1) 상기 비도전성 섬유와 도전성 섬유를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상기 도전성 섬유를 위사,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포함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및
d1) 상기 직조된 원단의 표면 중 일부를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13
) 가공하여 무정형의 비도전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 제조방법.
a1) preparing a non-conductive fiber includ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fibers selected from cotton, hemp, silk, wool, rayon,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b1)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by braiding and twisting a filament formed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stainless steel;
c1) manufacturing a fabric by weaving the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and weaving the conductive fiber to be inclu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weft and warp yarns; and
d1) Part of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fil coup (fil coup)
Figure pat00013
) forming an amorphous non-conductive part by processing;
Conductive fabric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a2) 면, 마, 견, 모,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여 비도전성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b2) 탄소, 철, 금, 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재질로 형성된 필라멘트를 합사 및 가연하여 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c2) 상기 비도전성 섬유와 도전성 섬유를 합사하는 단계;
d2) 상기 c2) 단계의 합사와 도전성 섬유, 비도전성 섬유를 위사,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포함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직조된 원단의 표면 중 일부를 필 쿠페(fil coup
Figure pat00014
) 가공하여 무정형의 도전부 또는 비도전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물 제조방법.
a2) preparing a non-conductive fiber includ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fibers selected from cotton, hemp, silk, wool, rayon,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ic, polyurethane, and polyimide;
b2)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by braiding and twisting a filament formed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carbon, iron,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stainless steel;
c2) braiding the non-conductive fiber and the conductive fiber;
d2) weaving the braided yarn, conductive fiber, and non-conductive fiber of step c2) to be inclu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weft yarn and the warp yarn; and
e) fil coup (fil coup) part of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Figure pat00014
) forming an amorphous conductive part or non-conductive part by processing;
Conductive fabric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00184524A 2020-12-28 2020-12-28 A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13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24A KR102513279B1 (en) 2020-12-28 2020-12-28 A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24A KR102513279B1 (en) 2020-12-28 2020-12-28 A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245A true KR20220094245A (en) 2022-07-06
KR102513279B1 KR102513279B1 (en) 2023-03-24

Family

ID=8240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524A KR102513279B1 (en) 2020-12-28 2020-12-28 A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2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3576A (en) * 2022-09-06 2022-11-11 江苏先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Polyimide conductive fabri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770A (en) 2006-02-03 2007-08-08 함창화 Method of manufacturing net heating element
KR20100114809A (en) * 2009-04-16 2010-10-26 문보영 Textile providing luminous pattern
KR101363458B1 (en) * 2012-09-28 2014-02-19 주식회사 유엠에스 Heating fabric for roll scree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heating roll screen using the same
KR20150122861A (en) * 2014-04-23 2015-11-03 벤텍스 주식회사 A 24 hours keep-warm fabric
KR101847562B1 (en) * 2016-11-17 2018-04-17 주종현 Optical Fiber Fabrics Having High Luminous Intensity And High Brightness And Process Of Producing Thereof
KR20190124008A (en) * 2018-04-25 2019-11-04 주식회사 엠셀 Heating tex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770A (en) 2006-02-03 2007-08-08 함창화 Method of manufacturing net heating element
KR20100114809A (en) * 2009-04-16 2010-10-26 문보영 Textile providing luminous pattern
KR101363458B1 (en) * 2012-09-28 2014-02-19 주식회사 유엠에스 Heating fabric for roll scree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heating roll screen using the same
KR20150122861A (en) * 2014-04-23 2015-11-03 벤텍스 주식회사 A 24 hours keep-warm fabric
KR101847562B1 (en) * 2016-11-17 2018-04-17 주종현 Optical Fiber Fabrics Having High Luminous Intensity And High Brightness And Process Of Producing Thereof
KR20190124008A (en) * 2018-04-25 2019-11-04 주식회사 엠셀 Heating tex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3576A (en) * 2022-09-06 2022-11-11 江苏先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Polyimide conductive fabri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279B1 (en)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0349B2 (en) Conductive and elastically stretchable hybrid yar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textile product using this type of hybrid yarn
EP1537264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thread
JP2007063742A5 (en)
US7775029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igital yarns using hybrid metal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and digital yarns thereof
US20090056300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igital yarns using metal filaments for info-communications and digital yarns produced by said process
WO1987002855A1 (en) Stringy heating element, its production and planar heating element obtained from said stringy heating element
DE102006017340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for textile use comprises a flexible core thread, a conductive thread wound around the core thread, and a nonconductive multifilament yarn wound over the conductive thread
CN1427104A (en) Belt for safety belt and mfg. method thereof
KR102513279B1 (en) A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297184C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cover
DE10242785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has a stretch core filament,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and a bonding filament wound around it to restrict the core stretch
CN111254536A (en) Waterproof conductive yarn
JP2014132128A (en) Woven fabric
CN1126833C (en) Antistatic cashmerre product and its production process
KR20190037721A (en) Conductive embroidery thread,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embroidery fabric and fiber typ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08368189U (en) A kind of resistance to conductor wire waved
DE102008037488A1 (en) Conductive textile fabric with leno weave
JP2000212853A (en) Production of electroconductor-woven tape
CN211284690U (en) Flax-cotton blended jean yarn
CN204667935U (en) Flexible flat cable
CN218372670U (en) Controllable yarn that discolours
KR102234800B1 (en) Polyester blended filament yarn with natural thin and thick effect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17231060U (en) Silkworm pupa protein cotton yarn with anti pincher trees
CN215440823U (en) Blended knitting yarn containing gypsum rubrum fibers
CN216514378U (en) Composite chemical fiber fil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