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929A -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929A
KR20220093929A KR1020200185115A KR20200185115A KR20220093929A KR 20220093929 A KR20220093929 A KR 20220093929A KR 1020200185115 A KR1020200185115 A KR 1020200185115A KR 20200185115 A KR20200185115 A KR 20200185115A KR 20220093929 A KR20220093929 A KR 20220093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s
buckle
adjustment
knob
sexu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만
Original Assignee
한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만 filed Critical 한상만
Priority to KR102020018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3929A/ko
Publication of KR2022009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9/00Massage for the genitals; Devices for improving sexual intercourse
    • A61H19/30Devices for external stimulation of the genitals
    • A61H19/32Devices for external stimulation of the genitals for inserting the genitals therein, e.g. vibrating rings for males or breast stimu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61F2005/411Peni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61F2005/414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by constri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61H2201/0196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는, 반원 형상을 가지되, 상호 대칭되는 제1 및 제2링을 포함하는 링부, 제1 및 제2링이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일단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및,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의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조절부는 조절된 이동 범위내에서 링부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링부의 내경 사이즈를 조절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케겔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SEXUAL FUNCTION APPARATUS HELPING FOR MALE}
본 발명은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경의 혈액 흐름을 향상시켜 성기능 장애를 개선시킬 수 있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운동부족, 약물, 전자기파 및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발기부전 및 조루 등과 같은 성기능 저하 질환이 발생된다. 남성의 음경은 혈관이 확장되면서 많은 혈액이 음경으로 유입되어 발생된 압력에 의해 발기되나, 이러한 음경으로의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발기부전 또는 조루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남성 성기능 저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요법 또는 수술요법은 부작용이 동반되는 반면에, 유산소 운동과 함께 키겔 운동을 병행하는 운동요법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치료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남성의 성기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운동 요법을 보조하기 위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82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02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 흐름을 개선하여 남성의 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는, 반원 형상을 가지되, 상호 대칭되는 제1 및 제2링을 포함하는 링부, 상기 제1 및 제2링이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일단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의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조절된 상기 이동 범위내에서 상기 링부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링부의 내경 사이즈를 조절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일단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링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마련되는 버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조정핀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에 의해 간섭되는 위치까지만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버클에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 제1 및 제2이동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 버클의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에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버클이 상기 하부 버클에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을 커버하여 자세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마련되는 버클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조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은 내부에 탄성체가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에 안착되는 방향 및 분리되는 방향 사이에서 팽창 및 압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한 버클, 상기 버클에 마련된 노브홈을 따라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링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링 사이의 상기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정하는 조정노브, 상기 조정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링기어를 따라 롤링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롤링기어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버클에는 상기 롤링기어의 상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홈 및 상기 노브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 버클에는 상기 롤링기어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노브는 상기 제1링의 타단에 대해 너트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한 버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돌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향해 일체로 돌출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스크류를 포함하는 조정부재 및,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를 따라 상기 노브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절시키는 제1 및 제2이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체와 간섭되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이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상부 버클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노브는 상기 상부 버클의 중앙에 마련된 노브홈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은 상기 하부 버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과,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진입 또는 후퇴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내부에 마련되는 버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가 삽입되어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돌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와 접촉되는 지점까지 움직임 가능한 제1 및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의 이탈을 간섭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상호 마주하여 벌림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벌림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는, 상호 대칭되는 반원 형상의 제1 및 제2링을 포함하는 링부, 상기 제1 및 제2링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일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 사이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조절된 상기 이동 범위내에서 상기 링부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을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링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링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마련되는 버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조정핀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에 의해 간섭되는 위치까지만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버클에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 제1 및 제2이동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 버클의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에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버클이 상기 하부 버클에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을 커버하여 자세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마련되는 버클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조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은 내부에 탄성체가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에 안착되는 방향 및 분리되는 방향 사이에서 팽창 및 압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한 버클, 상기 버클에 마련된 노브홈을 따라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링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링 사이의 상기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정하는 조정노브, 상기 조정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링기어를 따라 롤링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롤링기어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노브에 의해 조절된 상기 이동 범위내에서 상기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가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버클에는 상기 롤링기어의 상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홈 및 상기 노브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 버클에는 상기 롤링기어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한 버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돌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향해 일체로 돌출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스크류를 포함하는 조정부재 및,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를 따라 상기 노브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절시키는 제1 및 제2이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체와 간섭되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이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가이드되며,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되,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상부 버클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노브는 상기 상부 버클의 중앙에 마련된 노브홈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은 상기 하부 버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과,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진입 또는 후퇴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내부에 마련되는 버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가 삽입되어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돌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와 접촉되는 지점까지 움직임 가능한 제1 및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의 이탈을 간섭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상호 마주하여 벌림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벌림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사용자에 따라 다단계로 이동 범위를 조절하여, 조절된 이동 범위내에서 링부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사이즈를 확장 축소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무의식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케겔 운동을 보조할 수 있어, 안전한 운동요법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약물로 인한 부작용 없이도 발기부전이나 조루와 같은 남성 질환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1단계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1단계 이동 범위에서 최대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2단계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2단계 이동 범위에서 최대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3단계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3단계 이동 범위에서 최대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중간으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가 중간의 이동 범위내에서 최대 사이즈로 확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2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이동 범위내에서 제3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가 최대 사이즈로 확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2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중간으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은 도 18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가 최대 사이즈로 확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는 도 17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중간으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은 도 23에 도시된 이동 범위내에서 제5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가 최대 사이즈로 확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5은 도 21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의 이동 범위가 중간으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1)를 설명한다.
도 1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1)는 링부(10), 연결부(20) 및 조절부(30)를 포함한다.
링부(10)는 반원 형상을 가지되, 상호 대칭되는 제1 및 제2링(11)(1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링(11)(12)은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원 형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 12의 도시에서는 제1 및 제2링(11)(12)이 각각 하나의 몸체인 것으로 예시하나, 제1 및 제2링(11)(12)이 복수의 몸체로 구획되고 구획된 몸체가 반원 형상으로 상호 연결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링(11)(12)의 몸체 형상은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제1 및 제2링(11)(12)을 포함하는 링부(10)에는 남성의 음경(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의 내주면이 음경의 외경에 밀착된다.
연결부(20)는 제1 및 제2링(11)(12)이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일단 사이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2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일단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로 마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0)는 일측은 제1링(11)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12)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종의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됨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의 결합된 상태를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연결부(2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링(11)(12) 사이를 탄성 지지한다. 즉, 연결부(2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20)는 제1 및 제2링(11)(12)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경우에는 탄성력이 압축되며, 압축된 탄성력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참고로, 연결부(20)의 형상 또한,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연결부(20)가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일단 사이에 복수개로 마련되거나, 와이어(Wire) 또는 판 스프링 형상을 가지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조절부(30)는 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절부(30)는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이동 범위(D1)(D2)를 다단계로 조정한 후에, 조절된 이동 범위(D1)(D2)내에서 링부(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간격이 축소 또는 확장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제1 및 제2링(11)(12) 타단 사이의 간격 변화는 제1 및 제2링(11)(12)의 내경 사이즈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의한 조절부(30)는 버클(40), 제1 및 제2조정핀(50)(60), 제1 및 제2스토퍼(70)(80)를 포함한다.
버클(40)은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다. 이러한 버클(40)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41)(42)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버클(41)(42)의 중심에는 결합체(43)가 관통 결합됨으로써, 상호 결합된다.
참고로, 버클(40) 중 하부 버클(42)에는 제1 및 제2조정홈(51)(61)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1 및 제2링(11)(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및 제이동레일(71)(81)이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조정홈(51)(61)과, 제1 및 제2이동레일(71)(81)의 구성은 제1 및 제2조정핀(50)(60)의 구성 및, 제1 및 제2스토퍼(70)80)의 구성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조정핀(50)(60)은 각각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1 및 제2링(11)(12)의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를 조정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조정핀(50)(60)은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이 삽입되는 상부 및 하부 버클(41)(42) 중에서 하부 버클(42)에 복수개 관통 형성된 제1 및 제2조정홈(51)(6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제1 및 제2조정홈(51)(61)은 하부 버클(42)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 관통 형성되되, 원주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참고로, 제1 및 제2조정홈(51)(61)은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3개씩 마련되어 3단계로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로 조절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및 제2조정홈(51)(61)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제1 및 제1조정핀(50)(60)은 제1 및 제2링(11)(12)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조정홈(51)(61)으로 삽입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조정핀(50)(60)은 하부 버클(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버클(41)이 커버한다. 이 후, 하부 버클(42)에 대해 상부 버클(41)을 결합체(43)로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조정핀(50)(6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여 자세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스토퍼(70)(8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하부 버클(42)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71)(81)을 따라 가이드된다. 이러한 제1스토퍼(70)는 제1링(11)의 타단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제2스토퍼(80)는 제2링(12)의 타단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조절부(30)는 제1 및 제2조정핀(50)(60)에 의해 조정된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이동 범위(D1)(D2)내에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스토퍼(70)(80)가 제1 및 제2이동레일(71)(81)을 따라 가이드되어,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시킨다.
제1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1)의 성기능 보조동작을 도 1 내지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및 제2조정핀(50)(60)을 하부 버클(42)에 마련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51)(61)들 중에서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제1 및 제2조정홈(51)(61)에 삽입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제1 및 제2조정핀(50)(60)을 상부 버클(41)로 커버한 후에 결합체(43)로 결합시켜, 상부 및 하부 버클(41)(42)을 상호 결합시킨다. 이렇게 제1 및 제2조정핀(50)(60)이 하부 버클(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버클(41)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동작 중 분리되지 않고 조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링(11)(12)은 연결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링(11)(12)의 내경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가 발생되기 전까지, 제1 및 제2링(11)(12)은 연결부(20)에 제1 및 제2조정핀(50)(60)에 의해 조절된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도 3 참조) 내에서 내경이 최소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경이 링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20)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팽창되면, 음경의 외경에 밀착된 제1 및 제2링(11)(12)의 내경도 확장되도록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링(11)(12)은 음경의 팽창에 연동하여 상호 벌어지는 방향 이동된다.
이때,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은 1단계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 내에서 최대 사이즈로 확대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스토퍼(70)(80)가 하부 버클(42)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71)(72)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스토퍼(70)(80)의 이동이 제1 및 제2조정핀(50)(60)에 의해 간섭되지 않음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이 벌어지는 간격이 최대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에 각각 3개씩 마련된 제1 및 제2조정홈(51)(61)들 중에서 가운데 위치한 제1 및 제2조정홈(51)(61)에 제1 및 제2조정핀(50)(60)이 삽입된 상태 즉, 2단계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 내에서의 동작이 도시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이동레일(71)(72)을 따라 이동이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70)(80)가 제1 및 제2조정핀(50)(60)에 간섭되는 위치로 2단계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가 제한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에 각각 3개씩 마련된 제1 및 제2조정홈(51)(61)들 중에서 제1 및 제2링(11)(12)의 일단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 제1 및 제2조정홈(51)(61)에 제1 및 제2조정핀(50)(60)이 삽입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1 및 제2조정핀(50)(60)에 의한 3단계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에서의 동작이 도시된다.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링(11)(12)이 연결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최소 간격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내주면에 밀착된 음경의 팽창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만큼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이동레일(71)(72)을 따라 이동이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70)(80)가 제1 및 제2조정핀(50)(60)에 간섭되는 위치로 제1 및 제2이동 범위(D1)(D2)가 제한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에 따라 3단계 즉, 다단계로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를 조절하여, 조절된 이동 범위(D1)(D2)내에서 링부(10)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사이즈를 확장 축소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최적화된 케겔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100)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100) 또한, 링부(10), 연결부(20) 및 조절부(130)를 포함하며, 링부(10) 및 연결부(20)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조절부(130)는 버클(140), 제1 및 제2조정핀(150)(160)을 포함한다. 참고로, 제2실시예에 의한 조절부(130)는 제1실시예에 의한 조절부(30)와 비교하여, 제1 및 제2스토퍼(70)(80)와 유사한 구성이 제1 및 제2조절부(150)(160)에 함께 마련된다.
버클(140)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및 하부 버클(141)(142)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이 출입된다. 버클(140) 중 하부 버클(142)은 제1 및 제2링(11)(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152)(162)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151)(161)이 마련된다. 참고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152)(162)이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151)(161)은 상부 버클(142)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1 및 제2조정홈(152)(162)의 직경은 제1 및 제2이동레일(151)(161)의 폭 보다 넓게 마련된다.
제1 및 제2조정핀(150)(160)은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181)(191)을 관통하여,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152)(162)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조정핀(150)(160)이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152)(162)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가 조절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조정핀(150)(160)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탄성체(150a)가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152)(162)에 안착되는 방향 및 분리되는 방향 사이에서 팽창 및 압축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조정핀(150)은 탄성체(150a), 탄성체(150a)를 감싸 지지하는 원통형 몸체(150b) 및, 탄성체(150a)를 사이에 두고 몸체(150b)의 개방된 양단으로부터 출입되는 한 쌍의 돌기(150c)가 돌출 마련되는 한쌍의 조정체(150d)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해, 제1조정핀(150)은 사용자에 의해 몸체(150b)의 내부를 향해 돌기(150c)가 가압됨에 연동하여 탄성체(150a)의 탄성력이 압축되고, 사용자의 간섭이 해제되면 돌기(150c)를 구비하는 조정체(150d)가 탄성체(150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몸체(150b)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1조정핀(150)은 사용자에 의해 몸체(150b)의 내부로 가압된 상태 즉, 탄성체(150a)가 압축된 상태로 제1이동레일(151)을 따라 이동된 후, 원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조정홈(15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가압력을 해제시킨다. 그로 인해, 제1조정핀(150)은 복수의 제1조정홈(15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자세가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돌기(150c)는 조정체(150d)보다 직경이 작음으로써, 제1조정홈(152)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너비를 가지는 제1이동레일(151)을 따라 제1조정핀(150)이 이동됨을 간섭하지 않음이 좋다. 또한, 조정체(150d)의 직경은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152)(162)에 대응함으로써, 제1 및 제2조정홈(152)(162)에 조정체(150d)가 안착되어 자세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제2조정핀(160)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조정핀(15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100)의 보조동작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이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181)(191)을 각각 관통하여 제1 및 제2조정핀(150)(160)이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152)(162)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조정홈(152)(162)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는 최대로 조절된다. 이때, 도 9에서는 연결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링(11)(12)에 의한 내경이 최소 사이즈를 유지한다.
링부(10)에 삽입된 음경이 확대되면,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링부(10)의 내경 사이즈가 확장된다(도 8 참조). 이때,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 내에서의 움직임은 제1 및 제2이동홈(153)(163) 내에서의 제1 및 제2조정핀(150)(160) 간섭에 의해 제한된다.
도 10는 도 8 및 도 9에 비해, 2단계로 링부(10)의 최대 이동범위(D1)(D2)가 조절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즉, 제1 및 제2조정핀(150)(160)이 도 8 및 도 9에 비해, 2칸 서로를 향해 전진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이동 범위(D1)(D2)만큼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가 변경됨으로써, 사용자의 조건에 따른 링부(10)의 내경 사이즈 조절이 용이하다.
참고로, 도 9에는 2단계로 링부(10)의 최대 이동범위(D1)(D2)가 축소된 상태에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링(11)(12)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200)는 링부(10), 연결부(20) 및 조절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링부(10) 및 연결부(20)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 의한 조절부(230)는 버클(240), 조정노브(250), 롤링기어(260), 제1 및 제2스토퍼(270)(280)를 포함한다.
버클(240)은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다. 이러한 버클(240)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241)(245)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하부 버클(245)의 상부 모서리에는 상부 버클(241)이 고정되는 버클홈(246)이 마련되고, 버클홈(246)에 대응하여 상부 버클(241)에는 버클돌기(242)가 마련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버클(241)(245)이 상호 결합된다.
조정노브(250)는 제1 및 제2링(11)(12)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마련되되, 상부 버클(241)의 상면에 마련된 노브홈(243)을 따라 위치가 가이드되어, 제1 및 제2링(211)(212) 각각의 타단 사이의 이동 범위(D1)(D2)를 다단계로 조정한다. 즉, 조정노브(250)가 노브홈(243)을 따라 가이드되어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의 최대 및 최소 간격 범위인 이동 범위(D1)(D2)가 조절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정노브(250)가 제1링(11)의 타단에 마련되고, 제1링(11)이 타단에 마련된 노브홈(243) 내에서 가이드된다. 이때, 도 14 및 도 15의 도시와 같이, 조정노브(250)가 노브홈(243) 중에서 도시 기준으로 좌측의 끝단에 위치할 경우,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이동 범위(D1)(D2)가 최대로 조절된이다. 또한, 도 16의 도시와 같이, 조정노브(250)가 노브홈(243)의 중간 위치로 고정될 경우,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가 중간 정도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노브(250)가 제1링(11)의 타단에 대해 너트(251)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조정노브(250)가 제2링(12)에 마련되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레일 형상의 노브홈(243)인 것으로만 도시 및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노브홈(243)이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링(1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에 복수개로 마련되어, 복수의 노브홈(243)들 중에 어느 하나에 조정노브(250)가 결합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롤링기어(26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링기어(261)(262)에 롤링 가능하게 개재되어,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를 상호 연결시킨다. 롤링기어(260)가 개재되는 제1 및 제2링기어(261)(262)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에 상호 대면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링기어(261)(262)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되는 롤링기어(260)의 롤링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간격이 축소 또는 확장된다. 이때, 조정노브(250)의 조정 동작에 연동하여, 롤링기어(260)가 제1 및 제2링기어(261)(262)를 따라 롤링된다.
한편, 롤링기어(260)는 상단이 상부 버클(241)에 마련된 제1고정홈(244)에 삽입되고, 하단이 하부 버클(245)에 마련된 제2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된다. 그로 인해, 롤링기어(260)는 상부 및 하부 버클(241)(245)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로, 롤링된다. 또한, 롤링기어(260)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하는 제1 및 제2링(11)(12)은 롤링기어(260)의 롤링에 의해 같은 길이로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1 및 제2스토퍼(270)(28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하부 버클(245)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271)(281)을 따라 가이드된다. 즉, 제1스토퍼(270)는 제1링(11)의 타단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제2스토퍼(280)는 제2링(12)의 타단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조절부(230)는 조정노브(250)에 의해 조절된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이동 범위(D1)(D2)내에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스토퍼(270)(280)가 제1 및 제2이동레일(271)(281)을 따라 가이드되어,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시킨다.
제3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200)의 성기능 보조 동작을 도 12 내지 1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조정노브(250)를 노브홈(243)을 따라 이동시켜,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를 설정한다. 이때,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는 하부 버클(245)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271)(281) 내에서 제1 및 제2스토퍼(270)(280)가 이동될 수 있는 범위에 대응된다. 즉, 제1 및 제2이동레일(271)(281) 내에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스토퍼(270)(280)가 조정노브(250)에 간섭되는 위치로 인해, 이동 범위(D1)(D2)가 조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링(11)(12)은 연결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링(11)(12)의 내경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가 발생되기 전까지, 제1 및 제2링(11)(12)은 연결부(20)에 조정노브(250)에 의해 조절된 이동 범위(D1)(D2) 내에서 내경이 최소인 상태를 유지한다.
도 14은 조정노브(250)가 노브홈(243) 내에서 제2링(12)에 대해 제1링(11)의 타단이 최대로 멀어지는 위치인 좌측의 끝단에 고정됨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가 최대인 이동 범위(D1)(D2)로 조절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경이 링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되면, 음경의 외경에 밀착된 제1 및 제2링(11)(12)의 내경도 확장되도록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링기어(261)(262)를 따라 롤링기어(260)가 회전됨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의 간격을 조정노브(250)에 의해 조절된 이동 범위(D1)(D2) 내에서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도 15 참조). 그로 인해, 링부(10)는 조절된 이동 범위(D1)(D2) 내에서 확장됨으로써, 최대의 내경 사이즈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링(11)(12)의 확장 동작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링(11)(12)으로부터 돌출된 제1 및 제2스토퍼(270)(280)가 하부 버클(245)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271)(281)을 따라 가이드된다. 이때, 제1 및 제2스토퍼(270)(280)는 조정노브(250)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및 제2스토퍼(270)(280)의 이동을 제한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링(11)(12)은 롤링기어(260)에 의해 상호 동일한 범위만큼 이동하게 된다.
또한, 팽창된 음경이 다시 수축되면, 연결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링(11)(12)은 초기 위치 즉, 도 14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추가 조작 없이도, 음경의 팽창 및 수축에 연동하여 링부(10)도 확장 또는 수축될 수 있어, 음경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도 16는 조정노브(250)가 노브홈(243)의 중간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 사이의 이동 범위(D1)(D2)가 중간 사이즈로 조절된 상태에서, 음경의 팽창에 의해 제1 및 제2링(11)(12)이 최대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 이 경우, 중간 사이즈의 이동 범위(D1)(D2) 내에서 제1 및 제2링(11)(12)의 내경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음경의 팽창 및 수축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이 조정노브(250)에 의해 조절된 이동 범위(D1)(D2)내에서 움직일 수 있어, 음경의 케겔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3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7의 도시와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300)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링부(10), 연결부(20) 및 조절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링부(10) 및 연결부(20)는 제3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 의한 조절부(330)는 버클(340), 제1 및 제2가이드돌기(350)(360), 조정부재(370), 제1 및 제2이동체(380)(390)를 포함한다.
버클(340)은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호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버클(341)(34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가이드돌기(350)(36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버클(342)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351)(361)을 따라 가이드된다.
조정부재(37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371) 및 노브(371)의 회전축으로부터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을 향해 일체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스크류(372)(3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스크류(372)(37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크류(372)는 왼나사이고 제2스크류(373)는 오른나사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조정부재(370)는 상부 버클(341)에 장착되며, 조정노브(371)는 상부 버클(341)의 중앙에 마련된 노브홈(34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다.
제1 및 제2이동체(380)(390)는 제1 및 제2스크류(372)(373)에 각각 개재되어, 노브(37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스크류(372)(373)를 따라 노브(371)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 이렇게 제1 및 제2스크류(372)(373)를 따라 이동되는 제1 및 제2이동체(380)(390)의 위치로 인해,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가 다단계로 조절된다.
또한, 제1 및 제2이동체(380)(390)는 제1 및 제2링(11)(12)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381)(391)에 삽입되며, 제1 및 제2이동홈(381)(391)과 제1 및 제2이동체(380)(390) 사이의 간섭에 의해 제1 및 제2링(11)(12)의 이동 범위(D1)(D2) 내에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4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300)의 보조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8과 같이, 사용자는 조정부재(370)의 노브(371)를 후방을 향해 회전시킨다. 이러한 노브(37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스크류(372)(373)를 따라 제1 및 제2이동체(380)(390)가 노브(371)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때, 제1 및 제2이동체(380)(390)는 제1 및 제2링(11)(12)의 타단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381)(391)에 의해 삽입된 상태되며, 제1 및 제2링(11)(12)은 연결부(20)의 탄성력에 의해 링부(10)의 내경이 최소 사이즈로 축소된 상태이다.
도 18의 상태에서, 링부(10)에 삽입된 음경이 확장되면 도 19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링(11)(12)이 음경의 외경에 밀착된 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링(11)(12)으로부터 돌출된 제1 및 제2가이드돌기(350)(360)가 하부 버클(342)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351)(361)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제1 및 제2링(11)(12)의 움직임이 가이드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링(11)(12)의 움직임은 제1 및 제2이동체(380)(390)가 삽입된 제1 및 제2이동홈(381)(391)의 끝단에 간섭되는 범위까지만 허용된다.
참고로,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삽입된 음경이 다시 축소되면, 연결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링(11)(12)은 도 18과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 20는 제1 및 제2이동체(380)(390)가 제1 및 제2스크류(372)(373)의 중간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중간 사이즈로 제1 및 제2링(11)(12)의 내경이 조절된 상태가 도시된다. 이때, 노브(371)는 도 18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 "?향?* 전방을 향해 회전됨으로써, 노브(37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이동체(380)(390)가 제1 및 제2스크류(372)(373)을 따라 노브(371)를 향해 이동한다. 도 20에는 제1 및 제2이동체(380)(390)가 제1 및 제2스크류(372)(373)의 대략 중간 정도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제1 및 제2이동체(380)(390)의 이동 위치는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
도 20와 같이 이동 범위(D1)(D2)의 중간 사이즈에서도, 음경의 확장 및 축소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링(11)(12)으로부터 돌출된 제1 및 제2가이드돌기(350)(360)가 제1 및 제2이동레일(351)(361)을 따라 가이드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가이드돌기(350)(360)의 움직임은 제1 및 제2가이드돌기(350)(360)에 의해 간섭되는 범위에 대응되는 이동 범위(D1)(D2) 내에서만 허용된다.
도 21 및 도 2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4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5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400)는 링부(410), 연결부(420) 및 조절부(430)를 포함한다.
링부(410)는 도 21의 도시와 같이, 상호 대칭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링(411)(412)을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일부 유사하다. 그러나, 제5실시예에서는 링부(410)의 제1 및 제2링(411)(412)이 각각 복수의 연결링(411a)(411b)(412a)(412b)으로 나눠져 상호 힌지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1링(411)은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링(411a)(411b)으로 연결되고, 제2링(412)은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3 및 제4연결링(412a)(412b)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링부(410)의 구성은 제1 및 제2링(411)(412)이 복수의 몸체로 구획되는 구성을 제외한 구성이 제1 내지 제4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420)는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링(411)(412)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지고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420)의 구성은 제1 내지 제2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절부(430)는 버클(440),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 제1 및 제2가이드레일(470)(480), 제1 및 제2스토퍼(451)(461)를 포함한다.
버클(440)은 제1 및 제2링(411)(412)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제1 및 제2링(411)(412) 각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441)(442)과, 제1 및 제2링(411)(412) 각각의 타단이 진입 또는 후퇴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이 내부에 마련된다. 여기서, 도 22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441)(442)은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에 대해, 각각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은 버클(440)의 양측에 원주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편, 버클(440)은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지 않고, 한 몸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이 또한 한정 사항은 아니다.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는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441)(44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는 도 22의 도시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441)(442)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체결됨으로써, 제1 및 제2링(411)(412)의 이동 범위(D1)(D2)를 조정한다.
제1 및 제2가이드레일(470)(480)은 제1 및 제2링(411)(412) 각각의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가이드레일(470)(480)은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가 삽입된 상태로, 제1 및 제2링(411)(412)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제1 및 제2스토퍼(451)(461)는 제1 및 제2링(411)(412)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스토퍼(451)(461)는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을 따라 가이드되며,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도 23 내지 도 25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스토퍼(451)(461)는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에 의해 조절된 이동 범위(D1)(D2) 내에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는 제1 및 제2링(411)(412)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이때, 제1 및 제2스토퍼(451)(461)가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와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의 끝단에 의해 접촉됨으로써, 제1 및 제2링(411)(412)의 움직임이 이동 범위(D1)(D2)로 제한된다.
참고로, 제1 및 제2스토퍼(451)(461)가 각각 제1 및 제2링(411)(412)의 타단에 돌출 마련됨으로써, 제1 및 제2링(411)(412)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스토퍼(451)(461)는 각각 마주한 상태에서 벌어짐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및 제2스토퍼(451)(461)가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마주한 상태에서 벌어짐 가능할 경우, 버클(440)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에 대해 제1 및 제2링(411)(412) 각각의 타단이 각각 벌림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5실시예에 의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400)의 보조동작을 도 23 내지 도 25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3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가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441)(442) 중에서 가장 일단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조정홈(441)(442)에 삽입되어, 이동 범위(D1)(D2)가 최대로 조절된다. 이때, 이동 범위(D1)(D2)는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의 끝단으로부터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까지의 간격에 대응된다. 참고로, 도 23은 제1 및 제2링(411)(412) 사이에 마련된 연결부(4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링(411)(412)의 내경이 최소 사이즈로 축소된 상태이다.
도 23의 상태에서, 삽입된 음경이 확대되면 도 24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링(411)(412)의 타단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최대 사이즈로 확대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링(411)(412)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스토퍼(451)(461)가 버클(440)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이때, 제1 및 제2스토퍼(451)(461)의 이동 범위(D1)(D2)는 제1 및 제2조정홈(441)(442)에 삽입된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와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링(411)(412)의 타단의 움직임은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가 삽입된 제1 및 제2가이드레일(470)(480)에 의해 가이드된다.
참고로, 제1 및 제2링(411)(412)의 움직임은 힌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연결링(411a)(411b), 제3 및 제4연결링(412a)(412b)의 힌지 동작에 의해 가이드된다.
반대로, 도 24의 상태에서 음경이 축소되면, 제1 및 제2링(411)(412)은 연결부(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인 도 23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제1 및 제2스토퍼(451)(461)는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을 따라 초기 위치로 복귀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의 끝단에 접촉되는 지점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 25에는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가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441)(442) 중에서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조정홈(441)(442)에 삽입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링(411)(412)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스토퍼(451)(461)는 제1 및 제2조정부재(450)(460)와 제1 및 제2이동레일(443)(444)의 끝단 사이의 이동 범위(D1)(D2)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제1 및 제2링(411)(412)을 수축 및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링(411)(412)의 수축 및 확장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1 및 제2가이드레일(470)(480)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200, 300, 400: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0, 410: 링부
11, 411: 제1링
12, 412: 제2링
20, 420: 연결부
30, 130, 230, 430, 430: 조절부

Claims (24)

  1. 반원 형상을 가지되, 상호 대칭되는 제1 및 제2링을 포함하는 링부;
    상기 제1 및 제2링이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일단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의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조절된 상기 이동 범위내에서 상기 링부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링부의 내경 사이즈를 조절시키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일단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링을 탄성 지지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마련되는 버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조정핀;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에 의해 간섭되는 위치까지만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제한시키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버클에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 제1 및 제2이동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 버클의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에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버클이 상기 하부 버클에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을 커버하여 자세 고정시키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마련되는 버클;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조정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은 내부에 탄성체가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에 안착되는 방향 및 분리되는 방향 사이에서 팽창 및 압축 가능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한 버클;
    상기 버클에 마련된 노브홈을 따라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링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링 사이의 상기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정하는 조정노브;
    상기 조정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링기어를 따라 롤링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롤링기어;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
    를 포함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버클에는 상기 롤링기어의 상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홈 및 상기 노브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 버클에는 상기 롤링기어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홈이 마련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노브는 상기 제1링의 타단에 대해 너트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한 버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돌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향해 일체로 돌출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스크류를 포함하는 조정부재; 및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를 따라 상기 노브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절시키는 제1 및 제2이동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체와 간섭되어 움직임이 제한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가이드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상부 버클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노브는 상기 상부 버클의 중앙에 마련된 노브홈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은 상기 하부 버클에 마련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과,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진입 또는 후퇴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내부에 마련되는 버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가 삽입되어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돌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와 접촉되는 지점까지 움직임 가능한 제1 및 제2스토퍼;
    를 포함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의 이탈을 간섭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상호 마주하여 벌림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벌림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4. 상호 대칭되는 반원 형상의 제1 및 제2링을 포함하는 링부;
    상기 제1 및 제2링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일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 사이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조절된 상기 이동 범위내에서 상기 링부에 삽입된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을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링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링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마련되는 버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조정핀;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에 의해 간섭되는 위치까지만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제한시키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버클에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 제1 및 제2이동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 버클의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에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버클이 상기 하부 버클에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조정홈을 커버하여 자세 고정시키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이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마련되는 버클;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조정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조정핀은 내부에 탄성체가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에 안착되는 방향 및 분리되는 방향 사이에서 팽창 및 압축 가능한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한 버클;
    상기 버클에 마련된 노브홈을 따라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링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링 사이의 상기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정하는 조정노브;
    상기 조정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링기어를 따라 롤링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롤링기어;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노브에 의해 조절된 상기 이동 범위내에서 상기 음경의 사이즈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가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버클에는 상기 롤링기어의 상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홈 및 상기 노브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 버클에는 상기 롤링기어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홈이 마련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한 버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버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돌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향해 일체로 돌출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스크류를 포함하는 조정부재; 및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를 따라 상기 노브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이동 범위를 다단계로 조절시키는 제1 및 제2이동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체와 간섭되어 움직임이 제한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이동홈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가이드되며,
    상기 버클은 상호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버클을 포함하되,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상부 버클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노브는 상기 상부 버클의 중앙에 마련된 노브홈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은 상기 하부 버클에 마련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출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과,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이 진입 또는 후퇴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이 내부에 마련되는 버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조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가 삽입되어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돌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와 접촉되는 지점까지 움직임 가능한 제1 및 제2스토퍼;
    를 포함하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조정부재의 이탈을 간섭하며,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에 상호 마주하여 벌림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링 각각의 타단을 벌림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KR1020200185115A 2020-12-28 2020-12-28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KR20220093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115A KR20220093929A (ko) 2020-12-28 2020-12-28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115A KR20220093929A (ko) 2020-12-28 2020-12-28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929A true KR20220093929A (ko) 2022-07-05

Family

ID=8240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115A KR20220093929A (ko) 2020-12-28 2020-12-28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39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205Y1 (ko) 2002-09-09 2002-12-16 김광준 내경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성기능 향상을 위한 링
KR101310270B1 (ko) 2013-01-17 2013-09-24 곽상용 내경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성기능 강화용 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205Y1 (ko) 2002-09-09 2002-12-16 김광준 내경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성기능 향상을 위한 링
KR101310270B1 (ko) 2013-01-17 2013-09-24 곽상용 내경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성기능 강화용 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140B1 (ko) 보철 및 장구의 자동 폐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11905B1 (ko)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9161872B2 (en) Gait rehabilitation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7275482A (ja) 膝関節補助装置
US20090182254A1 (en) Orthopedic brace of knee joint
US20050146176A1 (en) Massage chair
JP2005537887A (ja) ロック可能ヒンジ
EP3738555A1 (en) Hinge for a brace
JPWO2018117243A1 (ja) 伸展アシスト装置
US20110009788A1 (en) Orthotic Device with Removably Attachable Actuator
KR102383165B1 (ko) 독립 거동 다리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US3030634A (en) Prosthesis for below-knee amputees
KR20220093929A (ko)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US11357333B2 (en) Wearable chair with truss structure
CN109303630A (zh) 便携式腿部矫正装置
US1166650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ssisting pronation and/or supination
US4243027A (en) Hip stabilizer
KR20190109190A (ko) 효율적인 다리 지지가 가능한 다리 고정부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WO2006071019A1 (en) A utensil for controlling penial blood flows
KR102117876B1 (ko) 틸팅 제어가능한 다리 보조 장치
KR20190101274A (ko) 효율적인 다리 지지가 가능한 다리 고정부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TWM447230U (zh) 步行輔助裝置
CN108685670B (zh) 关节机构
KR100386700B1 (ko)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JP7464325B2 (ja) 歩行補助機構、および歩行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