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699A - 광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광고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광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광고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699A
KR20220093699A KR1020200184695A KR20200184695A KR20220093699A KR 20220093699 A KR20220093699 A KR 20220093699A KR 1020200184695 A KR1020200184695 A KR 1020200184695A KR 20200184695 A KR20200184695 A KR 20200184695A KR 20220093699 A KR20220093699 A KR 20220093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unit
plate
led
protrus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230B1 (ko
Inventor
최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새
Priority to KR102020018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저비용으로 정확하게 구현 가능한 형태의 바디부를 갖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은, 바디부, 지지 모듈 및 LED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베이스 평판 및 테두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모듈은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LED 바 및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한다. 각 지지대에는, 상기 LED 바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설치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광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광고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ADVERTISING DEVIC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AND DURABILITY AND BACKLIGHT UNIT FOR USED THE SAME}
본 발명은 광고 장치 및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고 장치는 광 등을 이용하여 광고 내지는 홍보를 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이용하여 광고 장치를 구성하기도 하나, 광고의 내용이 변하지 않는 고정식 광고 장치는 아직까지도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주로 아크릴 내지는 금속재 등을 이용하여 단순히 글자를 새긴 간판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광원을 이용한 간판을 많이 이용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투광성 필름을 이용한 실사 출력물을 광원 앞에 배치하는 간판, 또는 투광성 플라스틱을 광원 앞에 배치하는 식으로 야간에도 잘 시인될 수 있는 간판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간판도 하나의 광고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광고 장치들은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ight Emitting Device)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형광 램프에 비해 LED는 소비 전력이 적고 휘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와 같은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은 LED 모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를 포함한다. 이 때 바디부는 플라스틱 진공성형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초경량의 바디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바디부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등으로 구성된 다소 복잡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형상의 금형을 필요로 하여 제조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진공성형 방법은 그다지 정밀하지 않은 공법으로 이와 같은 복잡한 형상은 정확하게 구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불량률을 높이고 제조 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8954호, 2014년 5월 27일, 초경량 광고판
또 특허문헌 1은 바디부에 LED 모듈이 직접 부착됨에 따라 안정성 및 방열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ED 모듈이 홈에 삽입됨에 따라 보다 함몰된 위치에서 광이 방사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광의 휘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1은 바디부에 투광성 필름이 접착제에 의해 단순 부착됨에 따라 접착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광고판은 외부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 예컨대 우천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광고판은 한번 바디부와 투광성 필름이 접착되면 재사용할 수 없어 투광성 필름을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광고판을 사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점포가 교체될 때마다 광고판을 새로이 제작 및 부착해야 하는 문제를 초래하며, 이는 사회 경제적으로 손실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라스틱 진공성형 방법으로도 비교적 저비용으로 정확하게 구현 가능한 형태의 바디부를 갖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LED 모듈이 바디부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안정성 및 방열 효율을 높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바디부와 투광성 필름의 접합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거나, 투광성 필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위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는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전방이 개방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부착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지지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에 부착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 모듈이 부착되는 베이스 평판; 및 상기 베이스 평판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모듈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LED 바; 및 각 LED 바에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고, 각 지지대에는, 상기 LED 바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설치홈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은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서 제1 길이(t1)만큼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LED 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LED 바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t2, t2>t1)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LED 바는 상기 베이스 평판과 이격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평판은 열가소성 수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LED 소자는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각 LED 바에 설치되는 LED 소자의 개수는 상기 지지대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설치홈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조 지지대는 상기 LED 바와 상기 베이스 평판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테두리판의 전단에서 상기 설치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판의 일 측에 부착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평판은 서로 중력 방향으로 이격된 제1 돌출판 및 제2 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평판은 상기 제1 돌출판과 상기 제2 돌출판 사이에 위치한 배선 홀을 가지고, 상기 제1 돌출판과 상기 제2 돌출판의 가로 방향의 폭은, 상기 베이스 평판의 가로 방향의 폭 보다 작고, 상기 배선 홀을 통해 LED 모듈의 배선이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는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설치공간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테두리판의 전단에서 상기 설치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거리는 상기 투광성 필름의 두께 보다 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투광성 필름 사이의 공간을 커버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는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설치공간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필름을 포함하는 광고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테두리판의 전단에서 상기 설치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장치는 상기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설치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름 설치부재는 'C' 클립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필름 설치부재는 상기 플랜지 및 상기 투광성 필름을 모두 커버하여, 상기 필름 설치부재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투광성 필름이 결합되도록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라스틱 진공성형 방법으로도 비교적 저비용으로 정확하게 구현 가능한 형태의 바디부를 갖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디부가 요철이 없는 단순한 형상으로 구현됨에 따라 저비용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LED 모듈이 바디부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안정성 및 방열 효율을 높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와 투광성 필름의 접합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더하여, 투광성 필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LED 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광고 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광고 장치의 가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지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광고 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광고 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광고 장치의 가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광고 장치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광고 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LED 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광고 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광고 장치의 가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고 장치(100)는 백라이트 유닛(1) 및 투광성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 다. 또,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1)은 바디부(10), 지지 모듈(20) 및 LED 모듈(30)을 포함한다.
투광성 필름(40)은 광이 투과되는 투과영역(R2)과 광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과 영역(R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하는 문구를 투과영역(R2) 또는 불투과 영역(R1)으로 구비하고, LED 모듈(30)에서 발광되는 광에 의해 광고 문구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투광성 필름(40)은 전체적으로 플랜지(16)의 외측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성 필름(40)은 사각형의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광성 필름(40)은 플랜지(16)에 접착제 등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전방이 개방된 내부 공간, 예컨대 설치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설치공간에 지지 모듈(20) 및 LED 모듈(30)이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베이스 평판(12) 및 테두리판(14)을 포함한다. 광고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투광성 필름(40)이 측면에서 시인되도록 배치된다. 즉, 바디부(10)는 개구가 측면을 향하도록 세워져서 사용되며, 광고 장치(100)의 기능 개선을 위한 중력의 영향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 방향(Y)을 중력 방향으로 정의한다.
베이스 평판(12)은 평평한 평판(flat plate)로 구비되며,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평판(12)은 가로 및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평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베이스 평판(12)은 직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 또는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평판(12)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내에 놓일 수 있다.
테두리판(14)은 베이스 평판(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틀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바디부(10)에 있어서, 전술한 베이스 평판(12)은 바닥부를 형성하고 테두리판(14)은 측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판(14)은 전후로 연장된 사각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두리판(14)이 베이스 평판(12)에서 전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전방이 개방된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개구는 제3 방향(Z)을 향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는 테두리판(14)의 전단에서 설치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16)는 테두리판(14)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틀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6)는 테두리판(14)의 제3 방향(Z) 단부에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더욱 확장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랜지(16)는 백라이트 유닛(1)과 투광성 필름(40)이 안정적으로 접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평판(12), 테두리판(14) 및 플랜지(1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디부(10)는 플라스틱, 더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바디부(10)는 플라스틱 진공성형, 소위 게또바시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부(10)의 두께는 약 0.2mm 내지 1cm, 또는 약 0.2mm 내지 5mm, 또는 약 0.2mm 내지 3mm, 또는 약 0.2mm 내지 1.5mm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평판(12), 테두리판(14) 및 플랜지(16)의 두께는 대략 균일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바디부(10)는 초경량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설치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평판(12) 등이 요철구조가 없는 평판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다 단순한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불투광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0)는 소정의 색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10)의 어느 일면에는 광차단층이 형성될 수 있다. 광차단층은 광을 차단하는 성질을 가진 광차단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차단 도료의 예로는 짙은 색의 안료 또는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광차단층을 추가로 형성하여 설치공간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광이 바디부(10)를 통해 외부로 세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모듈(20)은 베이스 평판(12)에 부착되어 설치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모듈(20)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대(22)를 포함한다. 즉, 지지 모듈(20)은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각 지지대(22)는 접착제 등에 의해 베이스 평판(12)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각 지지대(2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로, 베이스 평판(12)에 가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 지지대(22)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에 따라 오차 등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대(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광원으로 LED 모듈(30)을 이용할 수 있다. LED 모듈(30)은 소비 전력이 적고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다만, LED 모듈(30)은 열의 방출량이 상당하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0)를 플라스틱 진공성형법으로 제조하기 위해 바디부(10)의 재질로서 열가소성 수지 플라스틱 등을 채택할 경우, 지속적인 LED 모듈(30)의 열 방출로 인해 바디부(1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심지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바디부(10)가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22)를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충분한 방열 기능과 열 확산 기능을 갖도록 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각 지지대(2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된다. 지지대(22)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 즉 가로길이(W)는 베이스 평판(12)의 가로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22)가 베이스 평판(12)에 부착되는 경우, 지지대(22)의 양 단은 테두리판(14)에 접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지지대(22)의 가로길이(W)는 베이스 평판(12)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지지대(22)가 충분한 제1 방향(X)으로의 연장 길이를 갖도록 하여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지지대(22)는 제3 방향(Z)으로의 길이에 해당하는 소정의 두께(T)를 갖는다. 지지대(22)의 두께(T)는 테두리판(14)이 베이스 평판(12)에서 연장된 길이에 비해서는 매우 작은 수치에 해당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지지대(22)는 베이스 평판(12)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설치공간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22)에는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설치홈(24)이 형성된다. 설치홈(24)은 지지대(22)에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24)은 제1 길이(t1)만큼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지지대(22)의 전면에는 제1 길이(t1)의 함몰 깊이를 갖는 설치홈(24)이 구비된다. 당연히 제1 길이(t1)는 지지대(22)의 두께(T)보다 작다(T>t1). 또한, 설치홈(24)은 가로 방향 길이(g)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할 LED 바(32)의 가로 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하다. 즉, 설치홈(24)은 LED 바(3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LED 바(32)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LED 모듈(30)은 지지 모듈(20) 상에 부착되어 설치공간에 위치한다. 즉, LED 모듈(30)은 직접적으로 바디부(10)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LED 모듈(30)과 바디부(10)의 사이에는 지지 모듈(20)이 위치하며, 바디부(10)의 베이스 평판(12)의 일면과 LED 모듈(30)의 일면은 제3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베이스 평판(12)에 가해지는 충격 등이 LED 모듈(30)로 보다 적게 전달되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LED 모듈(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되어 LED 모듈(30)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LED 모듈(30)은, 세로 방향, 예컨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LED 바(32)를 포함한다. LED 바(32)는 그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34)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LED 기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LED 바(32)는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LED 바(32)는 접착제 등에 의해 복수의 지지대(2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각 LED 바(3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로, 지지대(22)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 LED 바(32)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에 따라 오차 등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22)와 LED 바(32)는 서로 교차하며 대략 격자(井)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각 LED 바(32)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된다. LED 바(32)의 세로길이(H)는 베이스 평판(12)의 세로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LED 바(32)가 지지대(22)에 부착되는 경우, LED 바(32)의 양 단은 테두리판(14)에 접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LED 바(32)의 세로길이(H)는 베이스 평판(12)의 세로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LED 바(32)는 전후방향, 즉 제3 방향(Z)의 길이에 해당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이하, 이를 제2 길이(t2)라 한다. 제2 길이(t2)는 테두리판(14)이 베이스 평판(12)에서 연장된 길이에 비해서는 매우 작은 수치에 해당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LED 바(32)는 베이스 평판(12)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설치공간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길이(t2)는 제1 길이(t1)보다 크다(t2>t1). 그에 따라, LED 바(32)가 설치홈(24)에 삽입되는 경우,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후술할 LED 바(32)에 설치되는 LED 소자(34)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LED 소자(34)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luminance)를 높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적은 LED 소자(34)를 설치하여도 필요로 하는 밝기의 광을 구현할 수 있어, 비용이 저감되며 설치공간의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2 길이(t2)와 제1 길이(t1)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길이(t2)가 제1 길이(t1) 보다 작을 경우 광고 장치(100)의 휘도가 감소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할 바와 같이 LED 소자(34)는 함몰된 돔 형상의 캡(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돔 형상의 캡(36)은 광을 확산시켜 마치 면발광과 같은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의 광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만일 제2 길이(t2)가 제1 길이(t1) 보다 충분히 크지 않을 경우, 측면 방향을 향하는 광이 금속 재질의 지지대(22)에 의해 반사되거나, 흡수될 수 있다. 만일 측면 방향을 향하는 광이 지지대(22)에 의해 반사될 경우 국부적인 휘도 불균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광이 지지대(22)에 의해 흡수될 경우 휘도 불균일 문제와 함께 광고 장치(100)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ED 바(32)의 가로 방향 길이(g)는 설치홈(24)의 가로 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하다. 그에 따라, LED 바(32)가 지지대(2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가로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2)는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어 바디부(10)의 뼈대로 기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바디부(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LED 바(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하여, 지지대(22)는 알루미늄 등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LED 모듈(30)의 방열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LED 모듈(30)은 각 LED 바(32)에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34)를 포함한다. 이때, LED 소자(34)는 설치홈(24)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LED 소자(34)는 LED 바(32)와 지지대(22)가 교차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 LED 바(32)에 설치되는 LED 소자(34)의 개수는 지지대의 개수(22)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LED 소자(34)가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하게 보호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LED 소자(34)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LED 소자(3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된다. LED 소자(34)는 발광부(35), 부착부(36) 및 캡(3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35)는 광을 방사하는 부분, 예컨대 다이오드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착부(36)는 발광부(35) 및 캡(36)이 설치되고 LED 바(32)에 설치되는 부분이며, 발광부(35)와 전원을 연결하는 부분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발광부(35)와 전원을 연결하는 회로기판 및 전선 등은 기재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캡(36)은 발광부(35)를 커버하여, 발광부(35)에서 방사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부착부(36)에 설치된다. 캡(36)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마련되며, 부착부(36)에 결합되어 발광부(35)를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그에 따라, 발광부(35)에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LED 소자(34)의 수명을 보장하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캡(36)은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함몰된 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앙부는 오목렌즈의 기능을 하여 광이 퍼지고, 주변부는 볼록렌즈의 기능을 하여 광이 모이게 한다. 따라서, 발광부(35)에서 방사되는 광이 전방을 향하여 직선으로 방사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방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고 장치의 전면에서 볼 때 눈이 부시는 현상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광고 장치(100)는 소정의 높이에 고정된 레벨을 가지고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장치(100)를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은 세로 방향, 즉 제2 방향(Y)으로는 대략 대동소이하고, 좌우 방향, 즉 제1 방향(X)에 따른 높은 시인성이 크게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LED 모듈(30)을 중력 방향, 즉 제3 방향(Z)으로 연장시키되, 다른 한편, 광고 장치(100)의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LED 바(32)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34)들은 그들의 출력이 각각 상이해지는 문제가 있다.
만일 본 실시예와 달리 LED 모듈(30)을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할 경우, 시간이 경과에 따라 이들의 출력이 상이해지고, 좌우 방향, 즉 제1 방향(X)에 따라 휘도 불균일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광고 장치(100)를 바라보는 사람에게 크게 시인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LED 모듈(30)을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할 경우, 광고 장치(100)를 바라보는 사람에게 휘도 불균일 문제를 상대적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1)을 바탕으로, 이하에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인용하고 생략한다. 즉,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1)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지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1a)은 바디부(10), 지지 모듈(20a) 및 LED 모듈(30)을 포함한다. 바디부(10)는 베이스 평판(12), 테두리판(14) 및 플랜지(16)를 포함한다. 지지 모듈(20a)은 결합홈(24)이 형성된 지지대(22)를 포함한다. LED 모듈(30)은 LED 바(32) 및 LED 소자(34)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 모듈(20a)은 복수의 지지대(22)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홈(24)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보조 지지대(26)를 더 포함한다. 지지 모듈(20a)은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모듈(20a)은 전체적으로 베이스 평판(12)의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대응하는 가로 길이(W) 및 세로 길이(H)를 가질 수 있다.
즉, 보조 지지대(26)는 세로 길이(H)만큼 연장된 막대로, 베이스 평판(12)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베이스 평판(1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력에 보다 견고하게 바디부(10)를 지지하며 LED 모듈(30)를 보호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26)는 전후방향 길이에 해당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이하, 이를 제3 길이(t3)라 한다. 제3 길이(t3)와 설치홈(24)이 함몰된 두께에 해당되는 제1 길이(t1)의 합은 지지대(22)의 두께(T=t1+t3)에 해당된다. 즉, 보조 지지대(26)는 설치홈(24)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설치홈(24)에서 매끈한 표면을 갖고 연장된다. 그에 따라, LED 바(32)는 전체적으로 보조 지지대(26)에 밀착되어 설치홈(24)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조 지지대(26)는 LED 바(32)와 베이스 평판(12)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LED 바(32)가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며, LED 바(32)와 지지 모듈(20a)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보조 지지대(26)를 통해 LED 모듈(30)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광고 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1b)은 바디부(10b), 지지 모듈(20) 및 LED 모듈(30)을 포함한다. 바디부(10b)는 베이스 평판(12), 테두리판(14) 및 플랜지(16)를 포함한다. 지지 모듈(20)은 결합홈(24)이 형성된 지지대(22)를 포함한다. LED 모듈(30)은 LED 바(32) 및 LED 소자(34)를 포함한다.
이때, 바디부(10b)는 플랜지(16)에서 전방, 예컨대 제3 방향(Z)으로 연장된 돌출부(18)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16)는 전후로 연장된 'ㄷ'자 형상의 틀로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베이스 평판(12)과 플랜지(16)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테두리판(14)과 돌출부(16)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돌출부(16)가 형성됨에 따라 바디부(10b)가 보다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6)를 포함하는 형상도 플라스틱 진공성형 방법으로 손쉽게 형성될 수 있다.
투광성 필름(40)은 전체적으로 플랜지(16)의 외측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성 필름(40)은 사각형의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광성 필름(40)은 플랜지(16)에 접착제 등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8)는 투광성 필름(40)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에 따라 플랜지(16)와 투광성 필름(40)의 접합 부분을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천시에 투광성 필름(40)과 플랜지(16)의 상부로 빗물이 떨어질 수 있다. 돌출부(18)가 없는 경우, 투광성 필름(40)과 플랜지(16)의 상부 접합 부분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접착력을 약화시키거나 설치공간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LED 모듈(30)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광고 장치(100b)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돌출부(18)가 있는 경우, 빗물은 돌출부(18)로 떨어져 플랜지(16)와 투광성 필름(40)의 접합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100b)를 제2 방향(Y)으로 절개한 단면에서, 돌출부(18)는 제2 방향(Y) 일측, 예컨대 중력 방향 상측에만 위치하고 제2 방향(Y) 타측, 예컨대 중력 방향 하측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돌출부(18)는 투광성 필름(40)과 바디부(10)의 사이를 커버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투광성 필름(40)의 교체 등을 번거롭게 하거나, 또는 투광성 필름(40)의 바디부(10)의 플랜지(16)와의 견고한 결합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빗물 등이 침투할 수 있는 중력 방향 상측 및 좌우측에는 돌출부(18)를 배치하되, 중력 방향 하측에는 돌출부를 배치하지 않고, 중력 방향 하측을 이용하여 투광성 필름(40)을 바디부(1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광고 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고 장치(100c)의 백라이트 유닛(1c)은 바디부(10), 지지 모듈(20) 및 LED 모듈(30)을 포함한다. 바디부(10)는 베이스 평판(12), 테두리판(14) 및 플랜지(16)를 포함한다. 지지 모듈(20)은 결합홈(24)이 형성된 지지대(22)를 포함한다. LED 모듈(30)은 LED 바(32) 및 LED 소자(34)를 포함한다.
이때,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1c)은 플랜지(16)의 외측 단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설치부재(50)를 더 포함한다. 필름 설치부재(50)는 플랜지(16)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ㅁ)으로 구성된 플랜지(16)의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필름 설치부재(50)는 평면상 'ㄷ'자 형상의 메인 설치부재(52) 및 직선(ㅡ)의 보조 설치부재(54)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설치부재(52) 및 보조 설치부재(54)의 각 단면은 모두 'ㄷ'자 형상의 클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메인 설치부재(52)는 플랜지(16)의 상단부 및 양단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설치부재(54)는 플랜지(16)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 일측에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필름 설치부재(50)는 플랜지(16)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 및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1c)은 플랜지(16)에 부착되어 설치공간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는 투광성 필름(40)을 더 포함한다. 투광성 필름(40)에 관하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를 인용한다. 다만, 투광성 필름(40)은 플랜지(16)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필름 설치부재(50)에 의해 결합된다. 필름 설치부재(50)는 끼움홈(53)이 형성된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끼움홈(53)은 투광성 필름(40) 및 플랜지(16)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끼움홈(53)에 투광성 필름(40) 및 플랜지(16)가 삽입되는 경우, 밀착되어 틈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투광성 필름(40)은 접착제 없이 플랜지(16)에 밀착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은 밀봉될 수 있다.
필름 설치부재(5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손쉽게 결합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필요에 따라 투광성 필름(40)을 교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필요한 투광성 필름(40)을 플랜지(16)의 전면에 밀착하고 필름 설치부재(50)를 결합한다. 그에 의해 투광성 필름(40)이 설치되고, 설치공간이 효과적으로 밀봉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필름 설치부재(50)를 제거하고 투광성 필름(40)을 교체하여 필름 설치부재(50)를 결합할 수 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해 자영업자가 폐업을 하고, 그에 따라 점포의 간판을 교체하는 일이 매우 빈번해지고 있다. 이 때 광고 장치(100c)를 이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내용은 투광성 필름(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만일 어느 자영업자가 폐업을 하고, 해당 점포에 다른 자영업자가 입점할 경우 매번 새로이 광고 장치(100c), 예컨대 간판을 부착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사회 경제적으로 매우 큰 손실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광고 장치(100c)의 백라이트 유닛(1c)은 벽면에 부착하여 고정적으로 사용하되, 자영업자에 따라 투광성 필름(40)만을 교체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필름(40)과 백라이트 유닛(1c)을 접착제 등을 이용해 접합시킬 경우 이를 제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들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클립 구조의 필름 설치부재(50)를 이용하여 손쉽게 투광성 필름(40)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광고 장치의 가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고 장치(100d)의 백라이트 유닛(1d)은 바디부(10), 지지 모듈(20) 및 LED 모듈(30)을 포함한다. 바디부(10)는 베이스 평판(12), 테두리판(14) 및 플랜지(16)를 포함한다.
이때,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1d)은 테두리판(14)의 일 측에 부착되어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반사판(60)을 포함한다. 즉, 반사판(60)은 바디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사판(60)은 투입된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판(60)은 테두리판(14)에 접착제 등을 통해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반사판(60)은 바디부(10)의 형성 후 후가공을 통해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반사판(60)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반사판(60)은 제1 방향(X) 양측에 위치하는 테두리판(14)의 세로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부는 베이스 평판(12)에 접하고 양 단부는 플랜지(16)에 접하도록 부등호(>)모양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광고 장치(100d)에 있어서, 휘도 불균일은 가장 큰 문제이다. 특히 백라이트 유닛(1d)의 가장자리 부분은 휘도가 낮고, 광고 장치(100d)를 바라보는 사람은 대략 'ㅁ'자 형상의 사각틀 형상으로 휘도가 낮은 부분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반사판(60)을 백라이트 유닛(1d)의 설치공간 가장자리 측에 배치하여 반사판(60)을 향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고,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휘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반사판특히 전술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광고 장치(100d)는 소정의 레벨에 고정되기 때문에 중력 방향으로의 시인성 보다 좌우 방향으로의 시인성이 더 문제되거나, 더 눈에 띄기가 쉽다. 따라서 바디부(10)의 좌우 방향에만 반사판(60)을 배치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휘도 불균일 문제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또, 제2 방향(Y)에 있어서, 제2 방향(Y) 대략 중앙부는 광의 밀집도 내지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제2 방향(Y)의 상하 가장자리부는 광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판(60)의 형상을 부등호 형상으로 구성하여 휘도 균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Y) 대략 중앙부는 가장자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의 밀집도가 높기 때문에 투광성 필름(40)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소정 거리 떨어지도록 반사판(60)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반면, 제2 방향(Y) 가장자리부는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의 밀집도가 낮기 때문에 투광성 필름(40) 측에 더 인접하도록 반사판(60)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실시예별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의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실시예별 특징을 조합한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실시예에 포함된 반사판은 제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광고 장치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광고 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장치(100e)의 백라이트 유닛(1e)의 바디부(10)는 베이스 평판(12), 테두리판(14) 및 플랜지(16)를 포함하되, 베이스 평판(12)의 배면 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판(12b) 및 제2 돌출판(1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평판(12) 중에 제1 돌출판(12b) 및 제2 돌출판(12c)이 아닌 부분은 베이스(12a)로 지칭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의 진공 성형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평판(12), 테두리판(14), 플랜지(16), 제1 돌출판(12b) 및 제2 돌출판(12c)의 두께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10% 내외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LED 모듈(30)들의 구동을 위한 회로 기판 등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광고 장치(100e)의 LED 모듈(30)의 동작을 위해서는 회로 기판(B)이 구비되어야 한다. 회로 기판(B)은 4개의 테두리판(14) 중 어느 하나의 중력 방향, 즉 제2 방향(Y)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B)은 테두리판(14) 상에 얹혀져 놓일 수 있다.
회로 기판(B)은 외부 벽면에 내설된 전원과 제1 배선(미도시)을 통해 연결되고, 각 LED 모듈(30)들과 제2 배선(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배선은 바디부(10)의 베이스 평판(12)에 형성된 배선 홀(12h)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1e)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배선 홀(12h)은 제1 돌출판(12b)와 제2 돌출판(12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광고 장치(100e)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으며, 우천시 등에 견고한 구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특히 회로 기판(B)으로부터 연결된 제1 배선은 광고 장치(100e)의 외부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누수 등에 취약한 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중력 방향, 즉 제2 방향(Y) 상측에 위치한 제1 돌출판(12b)가 상부에서 떨어지는 빗물로부터 제1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제2 돌출판(12c)는 배선 홀(12h)을 사이에 두고 제1 돌출판(12b)와 이격되어 평탄한 하면을 형성하고, 벽면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돌출판(12b)와 제2 돌출판(12c)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판(12b)와 제2 돌출판(12c)의 제1 방향(X)으로의 폭은 베이스 평판(12)의 제1 방향(X)으로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돌출판(12b)와 제2 돌출판(12c)는 테두리판(14)과 제1 방향(X)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격 부분 상에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지지대(22) 등이 놓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대(22)와 제1 돌출판(12b) 및 지지대와 제2 돌출판(12c)는 제3 방향(Z)으로 부분적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백라이트 유닛
10: 바디부
20: 지지 모듈
30: LED 모듈
40: 투광성 필름
100: 광고 장치

Claims (10)

  1. 전방이 개방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부착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지지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에 부착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 모듈이 부착되는 베이스 평판; 및
    상기 베이스 평판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모듈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LED 바; 및
    각 LED 바에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고,
    각 지지대에는, 상기 LED 바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설치홈이 형성되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서 제1 길이(t1)만큼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LED 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LED 바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t2, t2>t1)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 바는 상기 베이스 평판과 이격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평판은 열가소성 수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소자는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각 LED 바에 설치되는 LED 소자의 개수는 상기 지지대의 개수와 동일한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설치홈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조 지지대는 상기 LED 바와 상기 베이스 평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테두리판의 전단에서 상기 설치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판의 일 측에 부착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 형상을 갖는 광고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평판은 서로 중력 방향으로 이격된 제1 돌출판 및 제2 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평판은 상기 제1 돌출판과 상기 제2 돌출판 사이에 위치한 배선 홀을 가지고,
    상기 제1 돌출판과 상기 제2 돌출판의 가로 방향의 폭은, 상기 베이스 평판의 가로 방향의 폭 보다 작고,
    상기 배선 홀을 통해 LED 모듈의 배선이 관통하도록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
  9. 제1항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설치공간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테두리판의 전단에서 상기 설치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거리는 상기 투광성 필름의 두께 보다 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투광성 필름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광고 장치.
  10. 제1항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설치공간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필름을 포함하는 광고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테두리판의 전단에서 상기 설치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장치는 상기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설치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름 설치부재는 'C' 클립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필름 설치부재는 상기 플랜지 및 상기 투광성 필름을 모두 커버하여, 상기 필름 설치부재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투광성 필름이 결합되도록 하는 광고 장치.
KR1020200184695A 2020-12-28 2020-12-28 광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광고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51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695A KR102512230B1 (ko) 2020-12-28 2020-12-28 광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광고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695A KR102512230B1 (ko) 2020-12-28 2020-12-28 광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광고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699A true KR20220093699A (ko) 2022-07-05
KR102512230B1 KR102512230B1 (ko) 2023-03-21

Family

ID=8240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695A KR102512230B1 (ko) 2020-12-28 2020-12-28 광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광고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3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77U (ko) * 2008-01-17 2009-09-09 주식회사 이우애드 보행신호등
KR20100008601U (ko) * 2009-02-20 2010-08-30 민은홍 엘이디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스크린 도어용 광고판
KR20120113603A (ko) * 2011-04-05 2012-10-15 김덕용 엘이디 조명등
KR101398954B1 (ko) 2012-07-18 2014-05-27 이범희 초경량 광고판
KR101447437B1 (ko) * 2013-07-29 2014-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보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50126160A (ko) * 2014-05-02 2015-11-11 민병희 벽걸이 광고판
JP2016062765A (ja) * 2014-09-18 2016-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623708B1 (ko) * 2015-01-27 2016-05-25 (주)창조코프레이션 엘이디 조명구조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77U (ko) * 2008-01-17 2009-09-09 주식회사 이우애드 보행신호등
KR20100008601U (ko) * 2009-02-20 2010-08-30 민은홍 엘이디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스크린 도어용 광고판
KR20120113603A (ko) * 2011-04-05 2012-10-15 김덕용 엘이디 조명등
KR101398954B1 (ko) 2012-07-18 2014-05-27 이범희 초경량 광고판
KR101447437B1 (ko) * 2013-07-29 2014-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보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50126160A (ko) * 2014-05-02 2015-11-11 민병희 벽걸이 광고판
JP2016062765A (ja) * 2014-09-18 2016-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623708B1 (ko) * 2015-01-27 2016-05-25 (주)창조코프레이션 엘이디 조명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230B1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308B2 (en) Backlight module
CN102287683B (zh) 背光单元和具有该背光单元的显示装置
US8496371B2 (en) Backlight module
US20010021110A1 (en) Reflector,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eflector, and internal-lighting display device
US7448786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6680311B2 (ja) 発光装置および面発光光源
JP2019061929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2204337A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4038306A (ja) 表示装置
CN110824776A (zh) 直下式mini LED背光模组
KR20120099793A (ko) 에너지 효율적인 간판을 위한 광 지향성 복합 필름
JPWO2009104793A1 (ja) 導光体、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KR10094839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발광 조명장치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JP2009289506A (ja) 点光源を備えた両面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5547836B2 (ja) 導光部材
KR20220093699A (ko) 광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광고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591775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2258764A (ja) バックライトおよび表示装置
KR101747716B1 (ko) 액정 표시장치
CN215006180U (zh) 显示装置
US8152350B2 (en) Sidelight-type backlight module
KR101755673B1 (ko) 발광 장치
CN210090875U (zh) 背光模组和液晶模组
CN210803924U (zh) 一种用于解决亮边现象的反射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