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886A - 흡연 대체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흡연 대체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886A
KR20220092886A KR1020227014828A KR20227014828A KR20220092886A KR 20220092886 A KR20220092886 A KR 20220092886A KR 1020227014828 A KR1020227014828 A KR 1020227014828A KR 20227014828 A KR20227014828 A KR 20227014828A KR 20220092886 A KR20220092886 A KR 20220092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ank
component
vaporization chamber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 로드
조셉 펨버튼
피터 로마스
Original Assignee
네루디아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루디아 엘티디 filed Critical 네루디아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9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발생 시스템(예를 들어, 흡연 대체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가 개시되며, 상기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전구체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및 기화기를 수용하는 기화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는 상기 기화기와 유체 연통한다.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기화 챔버로부터 탱크 내로 방해받지 않는 기류 경로를 정의하는, 상기 기화 챔버로부터 상기 탱크로 연장되는 채널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연 대체 구성요소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전달 시스템(예를 들어, 흡연 대체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전달 장치에 수용되기 위한 소모품일 수 있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aerosol-delivery component)에 관한 것이다.
담배 흡연은 일반적으로 흡연자를 잠재적으로 유해한 물질에 노출시키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상당한 양의 잠재적 유해 물질이 담배 연기 자체에서 담배의 태움(burning) 및/또는 연소 및 태워진(burnt) 담배의 성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통해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담배와 같은 유기 물질의 연소는 타르 및 기타 잠재적으로 유해한 부산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담배의 흡연을 피하기 위한 다양한 흡연 대체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흡연 대체 시스템은 흡연을 중단하고 니코틴 의존도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니코틴 대체 요법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으로도 공지될 수 있는 흡연 대체 시스템은 입을 통하여 폐 내로 끌어들이고나서(흡입) 내뿜는 "증기(vapour)"라고도 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흡연 행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된 에어로졸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흡연과 관련된 냄새 및 건강 위험이 없거나 더 적은 니코틴 및/또는 향료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흡연 대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전통적인 흡연 및 담배 제품으로 경험한 경험 및 만족에 대한 유사한 경험 및 만족을 제공하면서, 흡연 절차에 대한 대체를 제공하는 것이 의도된다.
흡연 대체 시스템의 인기와 사용은 지난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하였다. 원래는 담배 흡연을 끊고자 하는 상습 흡연자를 돕기 위해 판매되었지만, 소비자들은 점점 더 흡연 대체 시스템을 바람직한 라이프스타일 액세서리로 보고 있다. 일부 흡연 대체 시스템은 전통적인 시가레트와 유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일단부에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원통형 형태이다. 다른 흡연 대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시가레트와 유사하지 않다(예를 들어, 흡연 대체 디바이스(smoking substitute device)는 일반적으로 상자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음).
흡연 대체 시스템에는 여러 범주가 있으며, 각각은 서로 다른 흡연 대체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흡연 대체 접근 방식은 사용자를 위해 대체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흡연 대체 시스템에 대한 한 가지 접근 방식은 소위 "베이핑(vaping)" 접근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e-액체(e-liquid)"로 지칭되는(또한 여기에서 언급된) 기화 가능한 액체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에어로졸 증기를 생성한다. e-액체는 일반적으로 기본 액체와 니코틴 및/또는 향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생성된 증기는 일반적으로 니코틴 및/또는 향료를 함유한다. 베이스 액체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식물성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베이핑 흡연 대체 시스템에는 마우스피스, 전원(일반적으로 배터리), e-액체를 담기 위한 탱크 또는 액체 저장소, 및 히터를 포함한다. 사용 시, 전기 에너지는 전원에서 히터로 공급되며, 이 히터는 e-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또는 "증기(vapour)")을 생성하고 이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
베이핑 흡연 대체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히터와 e-액체로 미리 채워져 있고 최종 사용자가 다시 채우도록 의도되지 않은 밀봉 탱크가 있는 "폐쇄 시스템(closed system)" 베이킹 대체 시스템이 있다. 폐쇄 시스템 베이핑 흡연 대체 시스템의 하나의 서브세트는 전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디바이스는 탱크 및 히터를 포함하는 소모성 구성요소에 물리적으로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소모성 구성요소의 탱크가 비워지면, 상기 디바이스가 새 소모성 구성요소에 연결하여 디바이스를 재사용될 수 있다. 폐쇄형 시스템 베이핑 흡연 대체 시스템의 또 다른 하위 집합은 완전히 일회용이며 1회용으로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다시 채우도록 구성된 탱크가 있는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 베이핑 흡연 대체 시스템도 있으므로, 상기 시스템을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
베이킹 흡연 대체 시스템의 일 예는 myblu™ e-시가레트이다. myblu™ e-시가레트는 디바이스와 소모성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폐쇄형 시스템이다. 디바이스와 소모성 구성요소는 소모성 구성요소를 디바이스에 밀어 넣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함께 결합된다. 디바이스는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한다. 소모성 구성요소에는 마우스피스, e-액체가 들어 있는 밀봉된 탱크, 기화기가 포함되고, 상기 기화기는 이 시스템에 대해 e-액체에 부분적으로 잠긴 심지(wick)의 일부 주위에 감겨 있는 가열 필라멘트이이다. 디바이스에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면 시스템이 활성화된다. 시스템이 활성화되면, 전원에서 기화기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고 탱크에서 e-액체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하는 증기를 생성한다.
베이핑 흡연 대체 시스템의 또 다른 예는 blu PRO™ e-시가레트이다. blu PRO™ e-시가레트는 디바이스, (재충전 가능) 탱크, 및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개방형 시스템이다. 상기 디바이스와 탱크는 서로 나사를 조여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함께 결합된다. 마우스피스와 재충전 가능 탱크는 하나를 다른 하나에 나사를 조여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재충전 가능 탱크에서 마우스피스를 분리하면 탱크에 e-액체를 재충전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버튼으로 활성화된다. 시스템이 활성화되면 전원에서 기화기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며, 이 기화기는 탱크에서 e-액체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하는 증기를 생성한다.
증기가 기화 위치에서 소모품의 출구(예: 마우스피스)로 소모품(기류에 동반됨)을 통과하면 증기가 냉각되고 응결되어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에어로졸에는 니코틴 및/또는 향료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e-액체가 기화됨에 따라, 탱크 내부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기화 챔버(chamber)의 공기가 심지를 통해 탱크로 통과함으로써 압력의 일부 균등화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적어도 일부 경우에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져 e-액체의 심지 내로의 후속 심지 작용(wicking)이 감소되어 사용자에게 불쾌한 "드라이 히트(dry hit)"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려사항에 비추어 고안된 것이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발생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가 제공되고, 상기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전구체(aerosol precursor)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기화기를 수용하는 기화 챔버로서, 탱크는 기화기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기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는 기화 챔버로부터 탱크로 연장되는 채널을 더 포함하고 기화 챔버로부터 탱크까지 방해받지 않는 기류 경로를 정의한다.
기화 챔버와 탱크 사이의 방해받지 않는 기류 경로는 심지에 의해 방해되는 통로를 통해 진행되는 공지된 균등화와 비교하여 탱크 압력의 개선된 균등화를 제공한다.
이제 선택적 기능이 설정된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어떤 양태와도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채널은 채널 입구(기화 챔버 내)와 채널 출구(탱크 내) 사이에서 연장된다. 채널은 방해받지 않는다, 즉, 채널 입구와 채널 출구 사이에 명확한 가시선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은 횡방향 채널, 즉 구성요소 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구성요소는 공기 입구에서 공기 출구로 연장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다. 공기 출구는 출구부, 예를 들어, 구성요소 하우징의 출구부에 제공된다.
공기 출구/출구부는 하우징의 제 1 측방향(상부)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반대쪽 측면(하부) 단부에 베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기류 경로는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 사이의 기화기를 통과한다. 기화기는 기화 챔버에 수용된다.
기류 경로는 공기 입구(베이스 부분의 최하 면에 제공될 수 있음)로부터 기화 챔버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구부(inlet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기류 경로의 입구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채널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세장면에 대해 횡단).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기류 경로는 기화 챔버를 통해 출구부로 통과하는 기화 챔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 부분은 분기되거나 환형일 수 있다.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편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 부분(기화 챔버를 통하여)은 기화기의 하류를 향하여 기류 경로의 입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적어도 하나의 편향, 예를 들어, 횡방향 제 2 부분으로의 횡방향(예를 들어, 90도) 편향을 포함할 수 있다. 편향(들)은 기화 챔버 내에 및 기화기의 하류에 제공된 횡방향 배플(예: 실리콘 배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기화 챔버 기류 경로는 배플 주위로 분기될 수 있다. 기화 챔버 기류 경로는 기류 경로의 출구부를 향해 가로 배플의 하류에서 더 편향될 수 있다.
기류 경로의 출구부는 공기 출구로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일 수 있다. 구성요소는 기화 챔버와 공기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고 기류 경로의 출구 기류 부분을 정의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기류 경로의 출구부에 대해/통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 출구에서 흡입함으로써(즉, 출구부에 부착되거나 일체화된 마우스피스 부분을 사용하여) 기류 경로를 따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기류 경로와 관련하여 "하류(downstream)"에 대한 참조는 공기 출구/출구부를 향한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화 챔버 및 기류 경로의 출구부는 기류 경로의 입구부의 하류에 있다. 반대로, "상류(upstream)"에 대한 참조는 공기 입구를 향한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류 경로의 입구부(및 공기 입구)는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출구부(및 공기 출구/출구부)의 상류에 있다.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전구체(예: 액체 에어로졸 전구체)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전구체는 예를 들면, 기본 액체 및 예를 들어 니코틴을 포함하는 e-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액체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식물성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는 베이핑 흡연 대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출구 기류 부분을 정의하는 통로는 탱크를 통해 기화 챔버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통로는 탱크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통로 벽은 탱크의 내벽, 예를 들어 탱크 상부 부분의 내벽을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탱크는 통로를 둘러쌀 수 있고, 예를 들어, 탱크는 환형일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 하우징은 제 1 측방향(상부) 단부에 출구부(공기 출구와 함께) 및 대향하는 측방향(하부) 단부에 기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출구부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측벽(예를 들어,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입구는 베이스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측방향으로 대향된 제 1 및 제 2 측벽에 의해 이격된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의 거리는 하우징의 폭을 정의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벽 사이의 거리는 하우징의 깊이를 정의할 수 있다. 하우징의 폭은 하우징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하우징의 길이는 하우징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하우징의 깊이는 폭 및 길이 각각보다 작을 수 있다.
"상부(upper)", "하부(lower)", "위(above)" 또는 "아래(below)"에 대한 참조는 직립/수직 방향에 있을 때, 즉 구성요소의 세장형(세로/길이) 축선이 수직으로 정렬되고 출구부가 수직으로 최상부 및 베이스 부분이 최하부에 있을 때 구성요소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탱크는 하우징의 측벽/전방/후방 벽과 통로 벽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의 상부 부분은 하우징의 벽과 통로 벽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탱크를 정의하는 하우징 벽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반투명하거나 투명할 수 있다. 즉, 탱크는 사용자가 탱크 내의 e-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을 포함할 수 있다. 탱크에 창이 포함된 경우 "클리어마이저(clearomizer)", 그렇지 않은 경우 "카토마이저(cartomizer)"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기류 경로는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 사이의 기화기를 통과한다. 기화기는 심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화기는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는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심지는 하우징의 측벽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될 수 있으며, 즉 구성요소의 폭(횡방향) 치수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심지는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 부분에서 기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채널은 심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채널은 하류 방향으로 심지로부터 수직/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심지는 채널, 예를 들어 채널의 하부 벽을 부분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화기는 기화 챔버에 배치된다. 기화 챔버는 기류 경로의 일부(즉,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 부분)를 형성할 수 있다.
기화 챔버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챔버 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채널은 챔버 벽을 통해(예: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심지는 제 1 및 제 2 대향 챔버 벽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챔버 벽은 기화 챔버를 탱크로부터 분리(즉, 부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챔버 벽은 각각 심지가 탱크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e-액체와 유체 소통하도록 심지의 각각의 단부가 돌출하는 각각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심지의 중앙 부분은 (기화 챔버 부분의) 기류 경로에서 공기에 노출될 수 있고 심지의 단부 부분은 탱크에 저장된 에어로졸 전구체/e-액체와 접촉할 수 있다. 심지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전구체는 탱크에서 심지의 노출된 부분까지 심지를 따라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끌어 당겨질 수 있다.
채널은 심지가 연장되는 챔버 벽의 구멍 중 하나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수직으로/축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 채널은 각각의 구멍과 유체 소통할 수 있다.
심지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심지는 원통형일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심지에 감긴 필라멘트의 형태일 수 있다(예를 들어, 필라멘트는 심지에 대해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음). 필라멘트는 심지의 노출된 부분(즉, 기류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심지의 부분) 주위에 감길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또는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중에, 전원은 가열 요소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요소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즉,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것은 심지에 저장된 액체(즉, 탱크에서 끌어온)가 가열되어 증기를 형성하고 기류 경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에 동반되게 할 수 있다. 이 증기는 이후 냉각되어 기류 경로(예: 기류 경로의 출구부를 정의하는 경로)에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
기화 챔버는 하우징의 개방(예를 들어, 하부) 단부에 수용된 삽입물(insert)(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리콘으로 형성된 삽입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챔버 벽은 삽입물의 벽일 수 있다. 따라서, 채널은 삽입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삽입물은 구성요소의 베이스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 삽입물은 탱크의 하부 단부를 정의하도록 하우징의 벽에 대해 밀봉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물은 기화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 부분과 협력하는 상부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물의 상부 부분은 탱크가 하우징의 벽과 삽입물의 상부 부분 사이에서 (하부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정의되도록 탱크에 대해 밀봉되는 하부 부분에 비해 폭 치수가 감소한다. 삽입물의 상부 부분은 기류 경로의 출구부를 정의하는 통로가 연장되는 보어(예를 들어, 축방향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물은 이를 통해 심지의 각각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삽입물/기화 챔버의 대향하는 벽에 형성된 2개의 구멍을 포함한다. 채널은 삽입물의 상부 내에서 정의되고 삽입물의 상부 부분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예: 가로로).
채널은 삽입물 상부 부분의 하부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이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의 상부 벽은 삽입물 상부 부분의 하부 표면 내에 정의될 수 있다. 채널의 상부 벽은 실질적으로 반-원통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채널의 상부 벽은 3 내지 7mm, 예를 들어, 약 5mm와 같이 4와 6mm 사이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은 삽입물 상부 부분의 하부 표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심지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삽입물의 상부 부분은 탱크를 향하는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한다. 채널의 출구는 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양태에서, 제 1 양태에 따른 구성요소 및 에어로졸 전달(예를 들어, 흡연 대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예를 들어, 흡연 대체 시스템)이 제공된다.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전달(예: 흡연 대용) 소모품일 수 있다. 즉, 일부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전달(예: 흡연 대체) 장치와 결합하여 에어로졸 전달(예: 흡연 대체)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한 소모성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소모성 구성요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와 소모성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성 구성요소는 디바이스와 소모성 구성요소 사이에 스냅 결합이 있도록 디바이스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디바이스와 소모성 구성요소는 하나를 다른 하나에 나사로 고정하거나 베이어닛 피팅(bayonet fitting)을 통해 물리적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소모성 구성요소는 디바이스와 맞물리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맞물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모성 구성요소의 한 단부(즉, 입구 단부)는 디바이스와 결합될 수 있는 반면, 소모성 구성요소의 반대측 단부(즉, 출구 단부)는 출구부를 정의할 수 있다(예를 들어, 마우스피스에 부착하거나 마우스피스를 포함하기 위한).
소모성 구성요소는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전기적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인터페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기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소모성 구성요소와 맞물릴 때, 전기 인터페이스는 전력을 전원으로부터 소모성 구성요소의 가열 요소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인터페이스는 공지된 타입의 리스트로부터 소모성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전기 인터페이스는 소모성 구성요소가 디바이스에 연결될 때를 식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RFID 판독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 판독기를 통해 소모성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소모품의 특성(예: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소모성 구성요소는 RFID 칩,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내부에 식별자가 있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사될 수 있는 메모리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전달(예를 들어, 흡연 대체)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전달(예를 들어, 흡연 대체) 디바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제(예: e-액체)는 (소모품을 교체하는 대신) 디바이스와 통합된 탱크를 재충전하여 보충될 수 있다. 탱크에 대한 접근(e-액체 재충전용)은 예를 들어 마개(예: 캡)로 밀봉할 수 있는 탱크의 입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추가 기능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은 소모성 부품을 수용하는 장치와 부품과 일체화된 장치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가 제공될 수 있고 제어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구현될 때 제어기가 방법의 특정 작업 또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와 무선으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블루투스®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 기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 WiFi®도 가능하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또한 원격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퍼프(즉, 사용자로부터의 흡입)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기류(즉, 퍼프)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기류 센서는 퍼프 상태(즉, 퍼프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기류 센서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또는 음향 센서의 형태일 수 있다. 제어기는 센서에 의한 기류 검출에 응답하여 발열 요소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는 검출된 기류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를 활성화하는 형태일 수 있다. 기류 센서는 디바이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3 양태에서, 제 1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예를 들어, 흡연 대체) 소모성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소모성 구성요소(즉, 소모성 구성요소의 기화기에)에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소모성 구성요소를 전원을 갖는 에어로졸-전달(예를 들어, 흡연 대체) 디바이스(상기 기재된 바와 같음)와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조합이 명백히 허용되지 않거나 명시적으로 회피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재된 측면 및 바람직한 특징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 추가 양태 및 특징이 인식될 수 있도록, 실시예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며, 여기서:
도 1a는 흡연 대체 시스템의 전면 개략도이고,
도 1b는 시스템의 디바이스의 전면 개략도이고,
도 1c는 시스템의 소모품의 전면 개략도이고,
도 2a는 디바이스의 구성요소의 개략도이고,
도 2b는 소모품의 구성요소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소모성 구성요소의 사시 단면도이고,
도 4는 구성요소의 하부 부분에 대한 사시 단면도를 보여주고,
도 5는 구성요소의 삽입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구성요소의 삽입물의 측면도이다.
양태 및 실시예는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추가 양태 및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흡연 대체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흡연 대체 시스템(100)은 디바이스(101) 및 에어로졸 전달 소모성 구성요소(102)를 포함한다.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대안적으로 "포드(pod)", "카트리지(cartridge)" 또는 "카토마이저(cartomizer)"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예(즉, 개방형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는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전달 구성요소의 탱크는 시스템을 재충전하기 위해 접근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흡연 대체 시스템(100)은 폐쇄 시스템 베이핑 시스템이고, 여기서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밀봉된 탱크(103)를 포함하고 일회용으로만 의도된다.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디바이스(101)와 제거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즉, 제거 및 교체를 위해). 도 1a는 디바이스(101)가 소모성 구성요소(102)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흡연 대체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도 1b는 소모성 구성요소(102)가 없는 흡연 대체 시스템(100)의 디바이스(101)를 도시하고, 도 1c는 디바이스(101)가 없는 흡연 대체 시스템(100)의 소모성 구성요소(102)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1)와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디바이스(101)와 소모성 구성요소(102) 사이에서 억지 끼워맞춤되도록 디바이스(101)의 상부 단부(104)에 있는 공동 내로 소모성 구성요소(102)를 밀어 넣음으로써 물리적으로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101) 및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하나를 다른 하나에 나사로 조임으로써 또는 베어어닛 피팅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베이스부(106)(하부 단부에서), 출구부(107)(상부 단부에서), 및 베이스부(106)로부터 출구부(107)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갖는 하우징(105)을 포함한다. 특히,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정면(108a) 및 대향하는 제 1 측벽(108c) 및 제 2 측벽(108d)에 의해 이격된 후방 벽을 포함한다. 전면(108a)과 후면(108b) 벽 사이의 거리는 하우징(105)의 깊이를 정의하고 측벽(108c, 108d) 사이의 거리는 하우징(105)의 폭을 정의한다. 하우징(105)의 폭은 하우징(105)의 깊이보다 크다.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탱크(103)는 탱크(103)에 남아 있는 e-액체의 양이 시각적으로 평가될 수 있게 하는 창(109)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1)는 슬롯(110)을 포함하여 소모성 구성요소(102)가 디바이스(101)의 상부 단부(108)에 있는 공동 내로 삽입될 때 탱크(103)의 나머지 부분이 시야에서 가려지는 동안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창(109)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디바이스(101)의 하부 단부(111)는 작은 반투명 커버 뒤에 위치한 조명(112)(예를 들어, LED)을 포함한다. 조명(112)은 흡연 대체 시스템(100)이 활성화될 때 조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전기 인터페이스, RFID 칩, 또는 바코드를 통해 디바이스(101)에 대해 자신을 식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디바이스(101) 및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은 소모성 구성요소(102) 및 디바이스(101)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의 개요를 제공한다. 도 2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1)는 전원(113), 제어기(114), 메모리(115), 무선 인터페이스(116), 전기 인터페이스(117), 및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추가 구성요소(118)를 포함한다.
전원(113)은 배터리(예를 들어,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이다. 제어기(114)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5)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5)는 구현될 때 제어기(114)로 하여금 특정 작업 또는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16)는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116)는 블루투스®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 WiFi®도 가능하다. 무선 인터페이스(116)는 또한 원격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1)의 전기 인터페이스(117)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기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인터페이스(117)는 디바이스(101)의 상부 단부(104)에 형성된 캐비티의 베이스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101)가 소모성 구성요소(102)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때, 전원(113)으로부터 소모성 구성요소(102)로의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즉, 흡연 대체 시스템(100)의 활성화 시).
전기 인터페이스(117)는 디바이스(101)가 소모성 구성요소(102)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대신 충전 스테이션에 결합될 때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인터페이스(117)는 또한 공지된 소모품의 리스트로부터 소모성 구성요소(102)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특정 향을 갖고 및/또는 특정 농도의 니코틴(전기 인터페이스(117)에 의해 식별될 수 있음)을 갖는 e-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소모성 구성요소(102)가 디바이스(101)에 연결될 때 디바이스(101)의 제어기(114)에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1)에 제공되는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소모성 구성요소(102)에서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어, 연결될 때, 소모성 구성요소(102)가 자체적으로 디바이스(101)에 대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디바이스(101)의 추가 구성요소(118)는 표시기(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조명(112)), 충전 부분, 배터리 충전 제어 회로, 센서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포트(예를 들어, USB 또는 마이크로-USB 포트)는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즉, 전원(118)이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때). 이것은 디바이스(101)의 하부 단부(111)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에서 논의된 전기 인터페이스(117)는 별도의 충전 포트가 필요하지 않도록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충전 포트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제어 회로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스테이션(있는 경우)에 동등하게 위치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출구부(107)에 끼워진 마우스피스 부착부(도시안됨)를 통해 흡입하는 사용자에 의해 유발된, 예를 들면 흡연 대체 시스템(100)의 기류를 검출하기 위한 기류(즉, 퍼프) 센서일 수 있다. 흡연 대체 시스템(100)은 기류가 기류 센서에 의해 검출될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센서는 대안적으로 소모성 구성요소(102)에 포함될 수 있다. 기류 센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구부(107)를 얼마나 세게 빨아들이는지(부착되거나 일체형 마우스피스를 통해) 또는 사용자가 특정 시간 기간에 출구부(107)를 얼마나 여러번 빨아들이는지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버튼일 수 있다. 흡연 대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과 상호작용할 때(예를 들어, 버튼을 누를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흡연 대체 시스템(100)을 활성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기류 센서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도 2b에 도시된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탱크(103), 전기 인터페이스(119), 기화기(120), 공기 입구(121), 공기 출구(122)(예를 들어, 출구부(107)에 형성됨),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추가 구성요소(123)를 포함한다.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전기 인터페이스(119)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기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1)의 전기 인터페이스(117)와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전기 인터페이스(119)는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베이스 부분(106)이 디바이스(101)의 상부 단부(104)에 형성된 공동 내로 삽입될 때(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음) 디바이스(101)를 소모성 구성요소(102)에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예를 들어, 전류의 형태)는 디바이스(101)의 전원(113)으로부터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기화기(120)로 공급될 수 있다.
기화기(120)는 전원(113)으로부터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탱크(103)에 포함된 e-액체를 가열 및 기화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화기(120)는 탱크(103)로부터 수신된 e-액체를 가열하여 e-액체를 기화시킨다. 공기 입구(121)는 사용자가 출구부(107)에 형성된 공기 출구(122)를 이용하여 흡입할 때 흡연 대체 시스템(10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되어, 기화된 e-액체가 사용자에 의해 흡입용 소모성 구성요소(102)를 통해 흡입되도록 한다.
작동 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1)의 사용자 입력 형성 부분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공기 출구(122)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흡연 대체 시스템(100)을 활성화한다. 활성화시, 제어기(114)는 전원(113)으로부터 기화기(12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전기 인터페이스(117, 119)를 통해), 기화기(120)가 탱크(103)로부터 끌어온 e-액체를 가열하여 출구부(107)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된 마우스피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증기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추가 구성요소(123) 중 하나의 예는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RFID 판독기, 바코드, QR 코드 판독기, 또는 소모성 구성요소(102)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소모성 구성요소(102)는 RFID 칩,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그 안에 식별자가 있고 디바이스(101)의 전자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메모리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흡연 대체 시스템(100)은 흡연 대체 시스템(100)의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그렇지 않으면 완전히 일회용(단일-사용) 시스템 또는 탱크가 재충전가능한(교체 가능한 것이 아닌) 개방형 시스템의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구성요소(102)의 하부 부분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공기 입구(121)는 하우징(105)의 베이스 부분을 형성하는 삽입물(130)의 하부 부분(130a)에 형성된 구멍의 형태이다. 삽입물(130)의 하부 부분(130a)은 하우징(105)의 대향하는 측벽(108a, 108b)에 대해 밀봉되고 e-액체를 포함하는 탱크(103)의 베이스를 정의한다.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부분(140)을 통해 공기 출구(122)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기류 경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 입구(121)로부터 출구부(107)에 형성된 공기 출구(122)로 연장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다.
기류 경로는 공기 입구(121)로부터 기화 챔버(127)로 연장되는 입구부(146)를 포함한다. 기화기(120)는 기화 챔버(127)에 위치하고 다공성 심지(128) 및 다공성 심지(128) 주위에 감긴 히터 필라멘트(129)를 포함한다. 심지(128)는 기화 챔버(127)를 가로질러 연장된다(챔버(127)를 통한 기류 방향에 수직). 즉, 심지(128)는 하우징(105)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류 경로는 기화 챔버(127)를 통해 기류 경로의 입구부(146)로부터 출구부(147)로 연장되는 기화 챔버 부분(148)을 포함한다. 출구부(147)는 구성요소(102) 내에서 일반적으로 종방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144) 내에 정의된다.
기류 경로의 기화 챔버 부분(148)은 심지(128)를 통해 연장되고 가로 배플(149) 주위에서 편향되도록 분기된다.
삽입물(130)은 탱크(103)의 하부 부분이 하우징 벽(108a, 108b) 및 삽입물(130)의 상부 부분(130b)에 의해 정의되도록 하부 부분(130a)에 비해 감소된 폭을 갖는 상부 부분(130b)을 더 포함한다. 삽입물의 상부 부분(130b)은 통로(144)를 둘러싸고 삽입물의 하부 부분(130a)과 협력하여 기화 챔버(127)를 형성한다.
삽입물(130)은 이를 통해 심지(128)의 각각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삽입물(130)의 대향하는 벽에 형성된 2개의 구멍(131)을 포함한다. 삽입물(130)의 구멍(131)을 통해 돌출하는 심지(128)의 단부는 탱크(103)에 저장된 에어로졸 전구체(e-액체)와 접촉한다. 이 e-액체는 심지(128)를 따라 (예를 들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기화 챔버(127)를 통해 흐르는 기류에 노출된 심지(128)의 중앙 부분으로 운반된다. 운반된 e-액체는 히터 필라멘트(129)에 의해 가열되며(예를 들어 흡입 검출에 의해 활성화될 때), 이는 e-액체가 기화되고 심지(128)를 가로질러 유동하는 공기에 혼입된다. 이 기화된 액체는 냉각되어 통로(144)에서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마우스피스 부분(14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삽입물(130)은 또한 소모성 구성요소(102)의 전기 인터페이스(119)를 수용한다. 전기 인터페이스(119)는 가열 필라멘트(1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2개의 전기 접점(136a, 136b)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모성 구성요소(102)가 디바이스(101)와 맞물릴 때 디바이스의 전원(113)으로부터 가열 필라멘트(129)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구성요소(102)는 출구부(107)에 장착된 마우스피스 부분(140)을 더 포함한다. 마우스피스 부분(140)과 출구부(107) 사이의 공간은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관통 보어(142)를 갖는 환형 필터 요소(141)를 수용한다.
마우스피스 부분(140)은 하우징 측벽(108a, 108b)에 제공된 대응하는 러그(145a, 145b)와 스냅 끼워맞춤 맞물림을 형성하는 대향 구멍(143a, 143b)을 포함한다.
삽입물(130)은 도 5 및 도 6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e-액체가 심지(128)로부터 기화됨에 따라, 탱크(103) 내의 e-액체가 고갈되고 e-액체의 추가 심지 작용을 제한하는 탱크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물(130)은 심지(128)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횡방향 채널(150)을 정의한다. 채널(150)의 상부 벽은 삽입물(130)의 상부 부분(130b)의 하부 표면에 의해 정의된다. 상부 벽은 실질적으로 약 5mm의 직경을 갖는 반원통형이다. 채널(150)의 하부 벽은 심지(128)에 의해 정의된다. 공기가 기화 챔버(127)에서 탱크(103)로 채널(150)을 통해 자유롭게 통과하여 압력을 균등화하고 따라서 e-액체의 지속적이고 일관된 심지 작용을 허용하여 채널(150)을 통한 확실하고 방해받지 않는 통과가 있다. 채널(150)은 삽입물(130)의 상부 부분(130b)에 제공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151) 내에서 탱크(103) 내로 개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주어질 때 많은 등가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후속하는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러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문맥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단어 "갖다(have)", 포함하다("comprise", 및 "include" 및 "갖다(having)", "포함하다(comprises, comprising, 및 including)"와 같은 변형은 언급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 또는 단계의 그룹을 포함하지만 다른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 또는 단계의 그룹을 제외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 "a", "an" 및 "the"는 문맥에서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범위는 본원에서 "약(about)" 하나의 특정 값 및/또는 "약" 다른 특정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될 때,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특정 값 및/또는 다른 특정 값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근사치로 표현될 때, 선행된 "약"의 사용에 의해, 특정 값이 다른 실시예를 형성함을 이해할 것이다. 수치와 관련된 "약"이라는 용어는 선택 사항이며, 예를 들어 +/- 10%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람직한(preferred)" 및 "바람직하게는(preferably)"이라는 단어는 일부 상황에서 특정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동일하거나 상이한 상황하에서 다른 실시예가 또한 바람직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언급은 다른 실시예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암시하지 않으며,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다른 실시예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14)

  1.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aerosol-delivery component)로서,
    에어로졸 전구체(aerosol precursor)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기화기를 수용하는 기화 챔버(chamber)로서, 상기 탱크는 상기 기화기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기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기화 챔버로부터 상기 탱크로의 방해받지 않는 기류 경로를 정의하는, 상기 기화 챔버로부터 상기 탱크로 연장되는 채널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채널 입구와 채널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채널 입구와 상기 채널 출구 사이에서 방해받지 않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횡방향 채널인,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공기 입구로부터 공기 출구로 연장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경로는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기화 챔버로 연장되는 입구부(inlet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기류 경로의 입구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경로는 통로 내의 공기 출구로 연장되는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통로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는 심지(wick)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심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심지로부터 하류에 수직/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 챔버는 삽입물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삽입물을 통해 상기 탱크로 연장되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은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상부 부분의 하부 표면과 상기 심지 사이에 정의되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부 벽은 상기 삽입물의 상부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상부 벽은 실질적으로 반-원형 횡방향 프로파일(semi-circular transverse profile)을 갖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반-원형 상부 벽은 3 내지 7 mm의 직경을 갖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의 상부 부분은 상기 탱크를 향하는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groove)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홈으로 개방되는,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연 대체 디바이스(smoking substitute device)에 수용되기 위한 소모성 구성요소인, 에어로졸-전달 구성요소.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요소, 및 전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전달 시스템.
KR1020227014828A 2019-10-02 2020-10-01 흡연 대체 구성요소 KR20220092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1000.7A EP3799742A1 (en) 2019-10-02 2019-10-02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EP19201000.7 2019-10-02
PCT/EP2020/077575 WO2021064130A1 (en) 2019-10-02 2020-10-01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886A true KR20220092886A (ko) 2022-07-04

Family

ID=6813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828A KR20220092886A (ko) 2019-10-02 2020-10-01 흡연 대체 구성요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18022A1 (ko)
EP (2) EP3799742A1 (ko)
KR (1) KR20220092886A (ko)
CN (1) CN114727669A (ko)
WO (1) WO2021064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8924A (zh) * 2020-04-10 2021-10-1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雾化器及电子烟
EP4155049A1 (en) * 2021-09-27 2023-03-29 Nerudia Limited Method and aerosol delivery component
EP4197367A1 (en) * 2021-12-16 2023-06-21 Imperial Tobacco Limited Holder
CN115251462A (zh) * 2022-09-07 2022-11-01 爱奇迹(香港)有限公司 一种具有平衡通气结构的雾化器及其电子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781A (zh) * 2013-09-29 2014-08-06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烟
US11478807B2 (en) * 2014-12-15 2022-10-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using the venturi effect to deliver substrate to a heating element
JP6937758B2 (ja) * 2015-12-22 2021-09-2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液体ポンプを備えた電気的に動作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US10285444B2 (en) * 2017-04-27 2019-05-14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ceramic wicking element
CN109007980B (zh) * 2018-09-05 2023-12-19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及电子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7512A1 (en) 2022-08-10
EP3799742A1 (en) 2021-04-07
CN114727669A (zh) 2022-07-08
US20220218022A1 (en) 2022-07-14
WO2021064130A1 (en)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68458A1 (en) Consumable for a smoking substitute device
KR20220092886A (ko) 흡연 대체 구성요소
WO2020200657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CN113966177A (zh) 气溶胶递送装置
EP3945897B1 (en) Aerosol delivery device
EP3838028A1 (en) Aerosol delivery device/system
EP3714711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CN113766847A (zh) 吸烟替代系统
EP3840166A1 (en) Aerosol delivery device/system
EP3791735A1 (en) Smoking substitute device
EP3714710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EP3714708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US20220202078A1 (en)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US20220202077A1 (en)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EP3864981A1 (en)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EP3794983A1 (en)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EP3791732A1 (en) Smoking substitute device/system
WO2023046503A1 (en) Aerosol delivery component
EP3794981A1 (en)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EP3791734A1 (en) Smoking substitute device/system
EP3791736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94995A1 (en)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EP3794994A1 (en)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EP3791737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94993A1 (en) Smoking substitute compo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