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775A - Photomask,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hotomask,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775A
KR20220092775A KR1020210114663A KR20210114663A KR20220092775A KR 20220092775 A KR20220092775 A KR 20220092775A KR 1020210114663 A KR1020210114663 A KR 1020210114663A KR 20210114663 A KR20210114663 A KR 20210114663A KR 20220092775 A KR20220092775 A KR 2022009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ilm
light
semi
photo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치에 타나카
타카시 사이토
아유미 야마다
쿠미코 모리야마
테루오 후쿠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케이 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케이 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케이 일렉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2022009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7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0E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0Mask blanks not covered by G03F1/20 - G03F1/34;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6Phase shift masks [PSM]; PSM blanks; Preparation thereof
    • G03F1/32Attenuating PSM [att-PSM], e.g. halftone PSM or PSM having semi-transparent phase shift portion;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4Absorbers, e.g. of opaqu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hotosensitive resist to gently incline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 photomask (1A) comprises on a transparent substrate: a plurality of pattern formation regions (A)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med by stacking a pattern of a semi-transmissive film and a pattern of a light-shielding film so as to partially overlap; and a transparent part (7) without the pattern formation regions (A).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a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s (A)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D1),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at an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s (A)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D2),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D2) is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D1).

Description

포토 마스크,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HOTOMASK,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A photomask,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포토 마스크,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mask,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포토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에 의해 레지스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마스크 기판의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계단식 패턴을 가지는 다계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 technique for forming a resist into a desired shape by exposure using a photomask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gradation photomask having a stepped pattern in at least on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mask substrate.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45016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8-45016

포토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에 의해 피전사 기판에 요철 형상 등의 레지스트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임의의 영역에서의 상기 레지스트에 대해, 상기 레지스트의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In the case of forming a resist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on a transfer target substrate by exposure using a photomask, it is desired to gently incline the resist in an arbitrary region from the center of the resist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피전사 기판의 감광성 레지스트에 대해서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포토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hotomask capable of forming a shape gently inclined with respect to a photosensitive resist of a transfer target substrat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e lik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포토 마스크는, 적어도 2개의 서로 투과율이 상이한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패턴 형성 영역을 투명 기판 상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하며,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높거나 또는 낮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hotomas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ttern formation regio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cluding at least two regions having different transmittances from each other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pattern formation A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gion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within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within the second region. Transmittance is high or 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막에 의한 반투과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적어도 상기 반투과막 및 차광막이, 상기 반투과막이 상기 차광막보다 상기 투명 기판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된 적층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명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에, 적어도 상기 반투과막 및 상기 차광막이, 상기 반투과막이 상기 차광막보다 상기 투명 기판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블랭크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노출된 상기 반투과막을 제거하는 공정과, 차광막을 포함하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과 상기 반투과막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외주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형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i-transmissive region by a semi-transmissive film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t least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comprising: a laminated region in which a semi-transmissive film is stack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rather than the light-shielding film; and a transparent region in which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A step of preparing a mask blank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is laminated so that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than the light-shielding film, a first photoresist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and the first photoresist film is A step of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by drawing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a drawing device, a step of removing a part of the light-shielding film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transflective film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a light-shielding film, and writing the second photoresist film with a writing apparatus to form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2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to remove a part of the light-shielding film, wherei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formed such that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막에 의한 반투과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차광막 및 상기 반투과막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명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투명 기판의 표면에 차광막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블랭크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차광막을 포함하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반투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투과막의 표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투과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과 상기 반투과막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외주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형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i-transmissive region by a semi-transmissive film on a transparent substrate, a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is ord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having a laminated region and a transparent region expos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method comprising: preparing a mask blank in which a light-shielding film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 first photoresist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A step of forming a film, a step of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by drawing on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a drawing apparatus, a step of removing a part of the light-shielding film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forming a semi-transmissive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on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a step of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and a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semi-transmissive layer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wherein a central portion of a pattern formation region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layer and the semi-transmissive layer is formed.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The pattern forming region is form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막에 의한 반투과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적어도 상기 반투과막 및 차광막이, 상기 반투과막이 상기 차광막보다 상기 투명 기판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된 적층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명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에, 적어도 상기 반투과막 및 상기 차광막이, 상기 반투과막이 상기 차광막보다 상기 투명 기판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블랭크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노출된 상기 반투과막을 제거하는 공정과, 차광막을 포함하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투과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과 상기 반투과막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외주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형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mi-transmissive region by a semi-transmissive film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t least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comprising: a laminated region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than the light-shielding film; and a transparent region in which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and preparing a mask blank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is laminated so that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than the light-shielding film, and a first photoresist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and the first photoresist film a step of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by drawing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a drawing device, a step of removing a part of the light-shielding film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and the exposed transflective film removing,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and writing the second photoresist film with a writing apparatus to form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2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to remove a portio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wherei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 the pattern forming region is formed such that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막에 의한 반투과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차광막 및 상기 반투과막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명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투명 기판의 표면에 차광막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블랭크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차광막을 포함하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반투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투과막의 표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투과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과 상기 반투과막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외주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형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i-transmissive region by a semi-transmissive film on a transparent substrate, a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is ord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having a laminated region and a transparent region expos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method comprising: preparing a mask blank in which a light-shielding film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 first photoresist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A step of forming a film, a step of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by drawing on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a drawing apparatus, a step of removing a part of the light-shielding film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forming a semi-transmissive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on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a step of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and a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semi-transmissive layer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wherein a central portion of a pattern formation region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layer and the semi-transmissive layer is formed.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region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The pattern forming region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피전사 기판의 감광성 레지스트의 임의의 영역에서의 상기 감광성 레지스트에 대해서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gently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photosensitive resist in an arbitrary region of the photosensitive resist of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a)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투명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상기 포토 마스크의 단면도.
도 3(a)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감광성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상기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c)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감광성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9(a)는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c)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감광성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a)는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0(b)는 상기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c)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감광성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a)는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상기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c)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감광성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a)는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2(b)는 상기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c)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감광성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a)는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3(b)는 상기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3(c)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감광성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a)는 상기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b)는 투명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상기 포토 마스크의 단면도.
도 15(a)는 상기 추가 변형예로서의 패턴 형성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감광성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9(b)는 투명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상기 포토 마스크의 단면도.
도 20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변형예로서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네거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6(b)는 투명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상기 포토 마스크의 단면도.
도 27은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포지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네거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2(b)는 투명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상기 포토 마스크의 단면도.
도 33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6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변형예로서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7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변형예로서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8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변형예로서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9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변형예로서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0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변형예로서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1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변형예로서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2은 상기 포토 마스크의 변형예로서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hoto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the photomask,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mask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a transparent substrate.
3(a)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and FIG. 3(b) is the photomask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being developed by exposing the photosensitive photoresist film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Fig. 8(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a modifica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nd Fig. 8(b) is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a modification example to irradiate the photoresist film with light. It is a figure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at the time, and FIG. 8(c) is a figure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the photomask.
Fig. 9 (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a further modifica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nd Fig. 9 (b) is a photoresist film through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the additional modification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when irradiated, and FIG. 9(c)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the photomask. drawing.
Fig. 10 (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a further modifica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nd Fig. 10 (b) is a photoresist film through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the additional modification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when irradiated, and FIG. 10( c )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the photomask. drawing.
Fig. 11 (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a further modifica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nd Fig. 11 (b) is a photoresist film through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the additional modification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when irradiated, and FIG. 10( c )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the photomask. drawing.
Fig. 12 (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a further modifica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nd Fig. 12 (b) is a photoresist film through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the additional modification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when irradiated, and FIG. 12(c)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the photomask. drawing.
Fig. 13 (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a further modifica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nd Fig. 13 (b) is a photoresist film through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the additional modification example. It is a view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when irradiated, and FIG. 13(c)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the photomask. drawing.
Fig. 14(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a pattern forming area of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forming area as the further modification example, and Fig. 14(b) is a photo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a transparent substrate. Cross section of the mask.
Fig. 15(a) is a view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s the additional modification example, Fig. 15(b)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the photomask.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19 (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b) is a view of the photo mask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Cross-section.
2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Fig. 2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Fig. 23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s a modification of the photomask.
Fig. 2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negative photoresist film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b) is a view of the photomask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Cross-section.
Fig. 27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being developed by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ositive photoresist film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Fig. 28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negative photoresist film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Fig. 2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3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Fig. 3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32(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a pattern formation area of a photomas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2(b) is a view of the photomask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Cross-section.
Fig. 3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Fig. 3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Fig. 3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Fig. 36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s a modification of the photomask.
Fig. 37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s a modification of the photomask.
Fig. 38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s a modification of the photomask.
Fig. 39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s a modification of the photomask.
Fig. 40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s a modification of the photomask.
Fig. 41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s a modification of the photomask.
Fig. 42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of a photomask as a modification of the photomask.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A)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투명 기판(2)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포토 마스크(1A)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2(b)는 후술하는 1개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hotomask 1A in the present embodiment. FIG. 2(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and FIG. 2(b) is a photomask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 (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other hand, Fig. 2(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one pattern formation region 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A)는 투명 기판(2), 반투과막(3), 에칭 스토퍼막(4), 및 차광막(5)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반투과막(3), 에칭 스토퍼막(4), 및 차광막(5)은 투명 기판(2)의 모든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형성 영역(A)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1 and 2, the photomask 1A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substrate 2, a semi-transmissive film 3, an etching stopper film 4, and a light blocking film 5 are stacked in this order. has been On the other h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the etching stopper film 4,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not arranged in all region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and as shown in Fig. 2(b),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 A) is properly placed.

투명 기판(2)은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이며, 예를 들면 석영 유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반투과막(3)은 조사된 빛의 일부를 투과하는 막이며, 예를 들어, 산화 크롬, 질화 크롬, 크롬산 질화물 등의 크롬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에칭 스토퍼막(4)은 차광막(5)을 에칭할 때에, 반투과막(3)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막이다. 에칭 스토퍼막(4)은 차광막(5)을 에칭하기 위한 용제에 의해서 에칭 되지 않는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다. 에칭 스토퍼막(4)로서 예를 들면, 티타늄, 니켈, 몰리브덴 실리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차광막(5)은 빛이 투과하지 않는 막이며, 광학 농도(OD)값은 2.7 이상이 적합하다. 차광막(5)으로서는 예를 들면, 크롬막을 사용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2 is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nd can be made of, for example, quartz glass.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a film that transmits a part of the irradiated light, and for example, a chromium-based material such as chromium oxide, chromium nitride, or chromium oxynitride may be used. The etching stopper film 4 is a film for preventing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rom being etched when the light shielding film 5 is etched. The etching stopper film 4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etched by the solvent for etch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 As the etching stopper film 4, for example, titanium, nickel, molybdenum silicide, or the like can be used. The light shielding film 5 is a film through which light does not transmit, and an optical density (OD) value of 2.7 or more is suitable. As the light-shielding film 5, for example, a chromium film can be used.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A)는 패턴 형성 영역(A)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패턴 형성 영역(A)은 상기 표시 장치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패턴 형성 영역(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7)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photomask 1A,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is arrange|positioned in the grid|lattice shape. The pattern formation regions A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pixels of the display device. The region in which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not formed serves as a light-transmitting portion 7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다음으로, 포토 마스크(1A)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후의 설명에서는, 포토 마스크의 패턴 디자인을 설명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투명 기판(2)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포토 마스크를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pattern design formed 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in the photomask 1A is demonstr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the case of demonstrating the pattern design of a photomask, the case where the photomask is planarly viewed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 side is demonstrated.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은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에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차광막(5)과 반투과막(3)이 중첩된 중첩 영역(10)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턴 형성 영역(A)에는,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형성된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비중첩 영역(11)은 중첩 영역(10)에 대해서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o Fig.2 (a),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of 1 A of photomasks has become circular shape.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hotomask 1A, an overlap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overlapped in a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has a circular shape. is formed with Further,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 non-overlapping region 11 in which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10 . In other words,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verlapping region 10 .

본 개시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에서의 각 부의 빛의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패턴 형성 영역(A)내의 소정 면적의 영역에서의 빛의 투과율을 이용한다.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D1)이라고 하고,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D2)라고 칭한다. 제 1 영역(D1) 및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와 바깥 가장자리부의 투과율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영역이다. 제 1 영역(D1)의 중앙부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 1 영역(D1)은 적어도 중첩 영역(10)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한편, 제 2 영역(D2)의 중앙부는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D1) 및 제 2 영역(D2)을 설정하기 때문에, 제 1 영역(D1)내의 투과율보다 제 2 영역(D2)내의 투과율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는, 패턴 형성 영역(A)이 원형인 경우에는 그 원의 중심 또는 그 중심 근방의 부분을 말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is used as an index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light transmittance of each part in the pattern forming area A. As shown in FIG.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called a first region D1,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called a second region D2. .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are conceptual regions for explaining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are the transmittances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The central part of the 1st area|region D1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center part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Therefore, the first region D1 is a region including at least the overlapping region 10 .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D2 is located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ccordingly, the second region D2 is a region including at least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s shown in FIG. Since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are set in this way,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D2 is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D1. In addi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is circular, the center part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means the center of the circle or the part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제 1 영역(D1) 및 제 2 영역(D2)이 직사각형인 경우, 이들 영역의 크기는 예를 들면, 1μm×1μm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포토 마스크에서의 패턴 영역(A)의 중첩 영역(10)의 직경은 10μm~60μm이며, 비중첩 영역(11)의 지름 방향의 폭은 3μm~20μm이다. 제 1 영역(D1) 및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설정되면 된다. 제 1 영역(D1)내 또는 제 2 영역(D2)내에 있어서, 투과율이 서로 상이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영역 내의 평균 투과율을 제 1 영역(D1) 또는 제 2 영역(D2)의 투과율로 한다.When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are rectangular, the size of these regions is, for example, 1 μm×1 μm or more. The diameter of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of the pattern area|region A in the photomask of one aspect|mode of this invention is 10 micrometers - 60 micrometers, and the width|variety of the radial direction of the non-overlapping area|region 11 is 3 micrometers - 20 micrometer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the 1st area|region D1 and the 2nd area|region D2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outside from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When regions with different transmittances exist in the first region D1 or the second region D2, the average transmittance in the region is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D1 or the second region D2. .

도 2(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영역(D1)은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서의 중첩 영역(10)만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영역이다. 제 2 영역(D2)은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만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도 2(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영역(D1) 및 제 2 영역(D2)을 직사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제 1 영역(D1) 및 제 2 영역(D2)은 원형, 다각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제 1 영역(D1) 및 제 2 영역(D2)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변형예 1~7 및 실시예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2 (a), the 1st area|region D1 is a rectangular area|region including only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in the center part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The second region D2 is a region including only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on the outer edge por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a),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are shown as rectangles, but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may be circular, polygonal, or the like. free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setting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is the same for Modifications 1 to 7 and Embodiment 2 described later.

도 3(a)는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포지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는 검은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9(a), 도 11(a), 도 13(a), 도 15(a), 도 17(a), 도 19(a), 도 21(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Fig. 3A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ositive photoresist film 20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1A. 3B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being developed by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20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1A. In FIG. 3A , the darker the black region, the smaller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In this regard, Fig. 9 (a), Fig. 11 (a), Fig. 13 (a), Fig. 15 (a), Fig. 17 (a), Fig. 19 (a), Fig. 21 (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lso The same is true.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음으로 인해,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작게 되어 있다. 또,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존재하고 있음으로 인해,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커지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변형예 1~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로써,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은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영역, 즉, 포토 레지스트막(20)의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a) , since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presen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20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xists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s if it surrounds the overlapping area 10, the photoresist film 20 goes outward from the center. The intensity of the light irradiated to it is increasing. About this point, it is the same also about the modification 1-7 mentioned later.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b),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i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hotomask 1A, that is, the photoresist film 20 ) has a gently sloping outer edg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을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포토 레지스트막(20)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토 레지스트막(20)을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gently incline the outer edge of the photoresist film 20 . In other words, the photoresist film 20 may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또,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A)에서는 비중첩 영역(11)이 중첩 영역(10)에 대해서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포토 레지스트막의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해서 동심원상으로 또한 단계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photomask 1A of this embodiment, the non-overlapping area|region 11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As shown in FIG. Thereby,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can be increased concentrically and stepwise from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toward the outside.

다음으로, 포토 마스크(1A)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도 7은 포토 마스크(1A)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A)의 제조에서는 우선, 투명 기판(2)의 표면에, 반투과막(3), 에칭 스토퍼막(4), 및, 차광막(5)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30)를 준비한다(이후에서는, 제 1 공정(P1)이라고 칭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1 A of photomasks is demonstrated. 4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1A. As shown in FIG. 4 , in the manufacture of the photomask 1A, first,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the etching stopper film 4 ,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formed in this order. to prepare a mask blank 30 formed by laminating wi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ep (P1)).

그 다음, 마스크 블랭크(30)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2 공정(P2)라고 칭한다). 그 후,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을 묘화 장치로 묘화한다(이후에서는, 제 3 공정(P3)이라고 칭한다). 제 3 공정(P3)에서는, 마스크 블랭크(30)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현상 후의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이 패턴 형성 영역(A)의 형상(즉, 대략 원 형상)이 되도록 묘화를 실시한다.Next, a first photoresist film 4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ocess P2). Thereafter, the first photoresist film 40 is drawn with a draw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step (P3)). In the third step (P3), when the mask blank 30 is viewed in a plan view, the first photoresist film 40 after development is drawn so that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has a shape (that i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do.

한편,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 3 공정(P3)에서는, 후술하는 제 10 공정(P10)에 있어서, 얼라이먼트라고 불리는 위치 맞춤을 하기 위해 위치 맞춤의 기준이 되는 얼라이먼트 마크를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기판(2)의 각 모퉁이에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in the 3rd process P3, in order to perform the alignment called alignment in the 10th process P10 mentioned later, you may form the alignment mark used as a reference|standard of alignment at the same time. More specifically, an alignment mark is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

다음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을 현상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 중에서 묘화를 실시한 영역(40A)을 제거함으로써,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4 공정(P4)라고 칭한다). 제 3 공정(P3) 및 제 4 공정(P4)은,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다.Next, the first photoresist film 40 is developed to remove the drawn region 40A in the first photoresist film 40 to form a first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a fourth step ( P4)). The third step (P3) and the fourth step (P4) are steps of form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즉,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차광막(5)을 에칭함으로써, 차광막(5)의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5 공정(P5)라고 칭한다). 제 5 공정(P5)에서는, 차광막(5)을 에칭하는 용제로서 에칭 스토퍼막(4)을 용해하지 않는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차광막(5)만이 에칭되어 제거된다.Next, as shown in FIG. 5 , using the patterned first photoresist film 40 (that is,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etched to form a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fth step (P5)). In the fifth step P5, only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etched and removed by using a solvent that does not dissolve the etching stopper film 4 as a solvent for etch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

다음에,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차광막(5)을 마스크로 해서, 에칭 스토퍼막(4)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6 공정(P6)이라고 칭한다). 그 후, 에칭 스토퍼막(4)이 제거됨으로써 노출된 반투과막(3)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7 공정(P7)이라고 칭한다). 그 다음, 잔존하고 있는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8 공정(P8)이라고 칭한다).Next,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nd the light blocking film 5 as masks, the etching stopper film 4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xth step (P6)). Thereafter,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xposed by removing the etching stopper film 4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venth step (P7)). Next,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film 40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ighth step (P8)).

그 다음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막(5)을 포함한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9 공정(P9)라고 칭한다). 그 후,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을 묘화 장치에 의해 묘화한다(이후에서는, 제 10 공정(P10)이라고 칭한다). 제 10 공정(P10)에서는, 포토 마스크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대략 원 형상으로 묘화를 실시한다. 또, 제 10 공정(P10)에서는, 제 3 공정(P3)에서 형성한 얼라이먼트 마크를 사용하여 묘화를 하기 위한 영역을 위치 결정한다.Next, as shown in FIG. 6 , a second photoresist film 41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inth step (P9)). Thereafter, the second photoresist film 41 is drawn by a draw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nth step (P10)). In the tenth process (P10), when the photomask is planarly viewed, it draws with respect to the outer edge part of the 2nd photoresist film 41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Moreover, in the tenth process P10, the area|region for drawing is positioned using the alignment mark formed in the 3rd process P3.

다음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을 현상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 중에서 묘화를 실시한 영역(41A)을 제거함으로써,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11 공정(P11)이라고 칭한다). 제 9 공정(P9), 제 10 공정(P10) 및 제 11 공정(P11)은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다.Next, the second photoresist film 41 is developed to remove the drawn region 41A in the second photoresist film 41 to form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in the eleventh step ( P11)). The ninth process P9, the tenth process P10, and the eleventh process P11 are processes of form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그런 다음, 패턴이 형성된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즉,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차광막(5)의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12 공정(P12)라고 칭한다). 제 12 공정(P12)에서는, 제 5 공정(P5)과 마찬가지로, 차광막(5)을 에칭하는 용제로서 에칭 스토퍼막(4)를 용해하지 않는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차광막(5)만이 에칭되어 제거된다.Then, using the patterned second photoresist film 41 (that is,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a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welfth step (P12)) . In the twelfth step (P12), as in the fifth step (P5), only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etched and removed by using a solvent that does not dissolve the etching stopper film 4 as a solvent for etch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 .

다음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차광막(5)를 마스크로 해서, 에칭 스토퍼막(4)를 제거하고, 반투과막(3)의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13 공정(P13)이라고 칭한다). 마지막으로, 잔존하고 있는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14 공정(P14)라고 칭한다).Next, as shown in Fig. 7,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s a mask, the etching stopper film 4 is removed, and a patter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hereinafter described). , referred to as a thirteenth step (P13)). Finally, the remaining second photoresist film 41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eenth step (P14)).

이상의 공정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중첩 영역(10)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된 패턴 형성 영역을 가지는 포토 마스크(1A)를 제작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overlapping region 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nd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10. Pattern formation A photomask 1A having a region can be manufactured.

한편, 차광막(5)을 에칭하는 용제로서 반투과막(3)을 용해하지 않는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에칭 스토퍼막(4)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마스크 블랭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막(5)와 반투과막(3)이 서로 상이한 에칭 내성을 가지는 물질로 마스크 블랭크를 구성함으로써, 에칭 스토퍼막(4)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서도 차광막(5)만을 선택적으로 에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olvent that does not dissolve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used as the solvent for etch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 a mask blank that does not include the etching stopper film 4 can be used. For example, by forming the mask blank of a material having different etching resistance between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only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selectively provided even when the etching stopper film 4 is not provided. can be etched.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A)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1A)의 용도에는 제한은 없다. 특히, 복수의 레이어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표시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1장의 포토 마스크(1A)에서 임의의 패턴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한 경사가 되는 레지스트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다계조의 포토 마스크에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는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photomask 1A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re is no restriction|limiting in the use of 1 A of photomasks of this invention. In particular, in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constitut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layers, a resist shape with a gentle slope from the center of an arbitrary pattern to the outside can be formed with one photomask 1A.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a photomask.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A)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포토 마스크(1A)를 준비하는 공정과, 포토 마스크(1A)를 이용하여 원하는 레지스트 형상을 형성하는 레지스트 형성 공정을 포함한다. 레지스트 형성 공정은 노광 장치를 이용하여, 포토 마스크(1A)가 가지는 전사용 패턴을, 피전사 기판 상에 전사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그 밖의 필요한 여러 가지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한다.For exampl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the photomask 1A in this embodiment, the steps of preparing the photomask 1A and forming a resist using the photomask 1A to form a desired resist shape includes the process. The resist formation step is a step of transferring the transfer pattern included in the photomask 1A onto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using an exposure apparatu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photomask 1A in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various other necessary step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1A)는,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패턴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완만한 경사가 되는 레지스트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임의의 위치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크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form a resist shape with a gentle inclination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pattern center to the outside in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refore,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that, for example, a desired pattern can be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1A)는, 액정 및 유기 EL용으로 알려진 노광 장치를 이용하여 노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광 장치로서 300nm~500nm에 피크를 갖는 단파장 혹은 브로드밴드 광원의 노광광을 이용해, 개구수(NA)가 0.08~0.12, 코히어런트 팩터(σ)가 종래 알려져 있는 정도의 등배 광학계를 가지는, 프로젝션 노광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수는 0.12이상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포토 마스크(1A)는 프록시미티 노광용의 포토 마스크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osed using an exposure apparatus known for liquid crystal and organic EL. For example, using exposure light from a short wavelength or broadband light source having a peak at 300 nm to 500 nm as an exposure apparatus, an equal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with a numerical aperture (NA) of 0.08 to 0.12 and a coherent factor (σ) of a conventionally known level For the branch, a projection exposure apparatus can be use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numerical aperture is 0.12 or more, it is applicable. Of course, the photomask 1A can also be applied as a photomask for proximity exposure.

<변형예 1><Modification 1>

실시예 1의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c)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A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of Example 1 is demonstrated. Fig. 8(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is modified example, and Fig. 8(b) is a light irradiated onto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is modified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whe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later.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반투과막(3)과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중첩 영역(10)과,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직사각형의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체크무늬 영역(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체크무늬 영역(12)의 외주에,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의 패턴 형성 영역(A)은, (1) 반투과막의 패턴과 차광막의 패턴이 중첩되도록 적층된 중첩 영역(10)과,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비중첩 영역(11)을 포함하는 혼재 영역과, (2) 상기 혼재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비혼재 영역을 가지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체크무늬 영역(12)의 내부에 존재하는 동시에, 또한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직사각형의 중첩 영역(10)을 적어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즉, 제 1 영역(D1)은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첩 영역(10)만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도 있고, 해당 중첩 영역(10)과 그 주위의 비중첩 영역(11)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체크무늬 영역(12)의 바깥쪽 영역, 즉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 내에 설정된다.As shown in Fig. 8(a), in this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a rectangular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overlapped. A checkered pattern region 12 is formed in which the non-overlapping rectangular regions 11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alternately arranged. Moreover, in this modification, the area|region where the light-shielding film|membrane 5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membrane 3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heckered area|region 12.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is modification, (1) the overlapping region 10 stacked so that the patter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overlap,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overlapp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t has a mixed region including a non-overlapping region 11, and (2) a non-hybrid region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mixed region and in which the light blocking film 5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so as to exist inside the checkered region 12 and also to include at least a rectangular overlapping region 1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 That is, the first region D1 may be a region including only the overlapping region 1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nd the overlapping region 10 and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around it It may be an area including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 the outer region of the checkered pattern region 12, that is,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음으로 인해, 차광막(5)의 면적비가 커짐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작아지고 있다. 또,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존재하고 있음으로 인해,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커지고 있다. 이로써,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은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사용함으로써, 포토 레지스트막(20)을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8(b), since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presen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the area ratio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increases, the photoresist film ( 20), the intensity of the light irradiated to the central part is decreasing. In addition, since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xists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s if it surrounds the overlapping area 10, the photoresist film 20 goes outward from the center. The intensity of the light irradiated to it is increasing. As a result, as shown in Fig. 8(c),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edge portion is gently inclined. That is, by using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photoresist film 20 can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변형예 2><Modification 2>

실시예 1의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는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c)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of Example 1 is demonstrated. Fig. 9(a)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is modified example, and Fig. 9(b) is a light irradiated onto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whe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later.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4)에 있어서, 반투과막(3)과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반투과막(3)과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10)과,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중첩 영역(11)을 가지는 영역(15)이 중앙 영역(14)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다. 영역(15)에서는 비중첩 영역(11)이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영역(15)의 외주에는,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앙 영역(14)의 내부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 내에 설정된다.As shown in Fig. 9(a) , in this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14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overlapped is formed. In addition, in this modification, the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overlapped, and a plurality of non-overlapping regions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not overlapped b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A region 15 having (11) is form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14). In the region 15 ,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to increase in area toward the outer edge. Moreov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rea|region 15, the area|region where the light-shielding film|membrane 5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membrane 3 is formed.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side the central region 14 .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레지스트막(20)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로써,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을,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토 레지스트막(20)을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9(b) ,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20 is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20 . has been Thereby, as shown in FIG.9(c),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the shape whose outer edge part is inclined gently. In other words, the photoresist film 20 may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변형예 3><Modification 3>

실시예 1의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는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0(b)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c)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of Example 1 is demonstrated. Fig. 10(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is modified example, and Fig. 10(b) is a light irradiated onto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is modified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whe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later.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를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는, 반투과막(3)과 차광막(5)가 중첩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중첩 영역(10)과, 차광막(5)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직사각형의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 직사각형의 중첩 영역(10)과 직사각형의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바깥쪽에는, 반투과막(3)만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반투과막(3)만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는, 차광막(5) 및 반투과막(3)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투광성 영역(1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첩 영역(10)과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된 영역인 동시에, 또한 적어도 일부에 중첩 영역(10)을 포함하는 영역이 되도록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영역이며, 적어도 일부에 투광성 영역(16)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0(a) , in this modified example,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cludes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 The overlapping rectangular overlapping regions 10 and the rectangular non-overlapping regions 11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not overlapped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ddition, a region in which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xists is formed outside the region in which the rectangular overlapping regions 10 and the rectangular non-overlapping regions 11 are alternately arranged. Further, on the outer edge of the region where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xists,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a plurality of rectangular light-transmitting regions 16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does not exist are formed.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to be a region in which the overlapping regions 10 and the non-overlapping regions 11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t least a region including the overlapping region 10 in at least a part do.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a region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is set to include the transmissive region 16 at least in part.

해당 구성에 의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작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진다. 이에 따라,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0(b),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the smallest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and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get bigger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c),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a shape that is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변형예 4><Modification 4>

실시예 1의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c)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of Example 1 is demonstrated. Fig. 11(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is modified example, and Fig. 11(b) is a light irradiated onto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is modified exampl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whe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later.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7)에 있어서, 반투과막(3)과 차광막(5)가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중앙 영역(17)으로부터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 중첩 영역(10)이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방사상 영역(18)이 형성되어 있다. 방사상 영역(18)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앙 영역(17)의 내부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의 영역으로서, 적어도 일부에 비중첩 영역(11)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즉, 본 변형예의 패턴 형성 영역(A)는, (1) 반투과막의 패턴과 차광막의 패턴이 중첩되도록 적층된 중첩 영역으로 이루어진 비혼재 영역과, (2) 상기 비혼재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반투과막의 패턴과 차광막의 패턴이 중첩되도록 적층된 영역과,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비중첩 영역을 포함하는 혼재 영역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1(a) , in this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17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overlapped is formed. Moreover,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radial area|region 18 in which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radially extends from the center area|region 17 toward the outer edge part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is formed. The radial region 18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s shown in FIG.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side the central region 17 . The second region D2 in this modified example is a region of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is set to include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at least in part. That is,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1) a non-hybrid region composed of an overlap region in which the patter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are stacked to overlap, and (2)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non-hybrid region. Thus, it has a mixed region including a region in which the patter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overlap each other and a non-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해당 구성에 의해,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작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진다. 이에 따라,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1(b),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the smallest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and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get bigger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1(c) ,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to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변형예 5><Modification 5>

실시예 1의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c)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of Example 1 is demonstrated. Fig. 12(a)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e present modification. Fig. 12(b)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c)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70)에 있어서, 반투과막(3)과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중앙 영역(70)으로부터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서 중첩 영역(10)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뻗어 있는 소용돌이 모양 영역(71)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소용돌이 모양 영역(71)의 사이에는,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 소용돌이 모양으로 뻗어 있다"라는 것은,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 곡선 형상으로 뻗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방사상 영역(18)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경우도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앙 영역(70)의 내부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는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의 영역으로서, 적어도 일부에 비중첩 영역(11)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2(a) , in this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70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overlapped is formed. Moreover, in this modification, the spiral area|region 71 in which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extends spirally from the center area|region 70 toward the outer edge part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is formed. A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piral regions 71 . In this specification, "extending in a spiral shape toward the outer edge" means "extending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outer edge". The radial region 18 may become narrower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some cases.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side the central region 70 .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a region of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is set to include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at least in part.

해당 구성에 의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작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진다. 이에 따라,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2(b),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the smallest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and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get bigger Thereby, as shown in Fig. 12(c),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to a shape that is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변형예 6><Modification 6>

실시예 1의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는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3(c)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of Example 1 is demonstrated. Fig. 13(a)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e present modification. 13(b)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c)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80)에 있어서, 반투과막(3)과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10)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영역(80)의 바깥쪽에는, 반투과막(3)과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10)과, 차광막(5) 및 반투과막(3)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복수의 투광성 영역(16)을 가지는 영역(81)이 형성되어 있다. 영역(81)은 투광성 영역(16)이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영역(81)의 외주에는 제 1 반투과부(82)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반투과부(82)의 외주에 제 2 반투과부(83)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반투과부(82)는, 제 2 반투과부(83)보다 투과율이 낮아지도록 설계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앙 영역(80)의 내부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내에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3(a) , in the present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80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overlapped is formed. Outside of the central region 80 , a plurality of overlapping regions 10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overlapped,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not present. A region 81 having a transmissive region 16 is formed. The area 81 is formed so that the area of the light-transmitting area 16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s shown in FIG. Fur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gion 81, the first transflective portion 82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addition, the second transflective part 83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82 .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82 is designed to have a lower transmittance than the second transflective part 83 .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side the central region 80 . The second region D2 in this modified example is set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작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진다. 이에 따라,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3(b),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the smallest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and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get bigger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c),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a shape that is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변형예 7><Modification 7>

실시예 1의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의 패턴 형성 영역(A)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투명 기판(2)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b)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of Example 1 is demonstrated. 14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and FIG. 14B is a plan view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 ,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Fig. 15(a)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b)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20 through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를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90)에 있어서, 반투과막(3)과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10)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영역(90)의 바깥쪽에는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가 이 순서대로 안쪽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는 반투과막(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 중에서 제 1 반투과부(91)의 막 두께가 가장 크고,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제 4 반투과부(94)의 순으로 막 두께가 작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반투과부(91)의 빛의 투과율이 가장 작게 되어 있고,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제 4 반투과부(94)의 순으로 빛의 투과율이 높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4(a) , in the present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90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overlappe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entral region 90 ,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91 , the second transflective part 92 , the third transflective part 93 , and the fourth transflective part 94 are ring-shaped from the inside in this order. is formed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are constituted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As shown in FIG. 14(b) ,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91 among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91 , the second transflective part 92 , the third transflective part 93 , and the fourth transflective part 94 . ) is the largest,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is decreased in this order. Accordingly,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is the smallest,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is increased in that order. is made high

해당 구성에 의해,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작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진다. 이로써,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5(a),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the smallest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and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get bigger Thereby, as shown in Fig. 15(b),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to a shape that is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반투과막(3)의 패턴과 차광막(5)의 패턴이 중첩되도록 적층된 중첩 영역(10)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에서는 빛의 투과율이 상이한 복수의 반투과부(즉,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가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패턴 형성 영역(A)의 외주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반투과부는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overlapping region 10 is stacked so that the patter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overlap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Have. In addition, in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a plurality of semi-transmissive portions having different light transmittances (that is,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 and the fourth The semi-transmissive portions 94) are formed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ing area A as if surrounding the overlapping area 10, and the plurality of semi-transmissive portions are formed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area A. transmittance is increasing.

한편 상술한 포토 마스크(1A)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90)에 형성되는 중첩 영역(10)이 원형이고,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가 링 모양인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해당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중첩 영역(10)을 가지며,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패턴 형성 영역(A)의 외주부를 향해 서서히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복수의 반투과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중첩 영역(10) 및 복수의 반투과부는 타원형, 직사각형 등이어도 상관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photomask 1A described above, the overlapping region 10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90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circular, and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91 , the second transflective part 92 , Although the third transflective part 93 and the fourth transflective part 94 have a ring-shaped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hotomask 1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has an overlapping region 1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the transmittance gradually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10 .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a some semi-transmissive part so that this may become high. For example, the overlapping region 10 and the plurality of transflective portions may be oval, rectangular, or the like.

또, 상술한 포토 마스크(1A)에서는,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는, 동일한 투과율을 가지는 반투과막(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1A)는, 해당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는 빛의 투과율이 서로 상이한 반투과막으로 구성됨으로써, 패턴 형성 영역(A)의 외주부를 향해 빛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hotomask 1A described above,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have the same transmittance. Although it was comprised by the transmission film 3, 1 A of photomasks of this mod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are formed of semi-transmissive films having different light transmittances, thereby forming a pattern forming region ( It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light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A).

다음에, 본 변형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A)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도 18은 포토 마스크(1A)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B)의 제조에서는, 우선, 투명 기판(2)의 표면에, 차광막(5)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50)를 준비한다(이후에서는, 제 1 공정(R1)이라고 칭한다). 다음에, 마스크 블랭크(50)에 형성되어 있는 차광막(5)의 패터닝을 실시한다(이후에서는, 제 2 공정(R2)라고 칭한다). 제 2 공정(R2)에서는, 차광막(5)가 중첩 영역(10)의 형상(즉, 원 형상)이 되도록 패터닝을 실시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otomask 1A in this modification is demonstrated. 16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mask 1A. As shown in Fig. 16, in the manufacture of the photomask 1B, first, a mask blank 50 in which a light-shielding film 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s prepared (hereinafter, a first step ( R1)). Next, the light shielding film 5 formed on the mask blank 50 is patter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ep R2). In the second step R2, patterning is performed so that the light-shielding film 5 has the shape of the overlapping region 10 (ie, a circular shape).

다음에, 차광막(5)을 포함한 투명 기판(2)의 전체면에 반투과막(3)을 성막한다(이후에서는, 제 3 공정(R3)이라고 칭한다). 그 후, 제 3 공정(R3)에서 성막한 반투과막(3)의 패터닝을 실시한다(이후에서는, 제 4 공정(R4)라고 칭한다). 제 4 공정(R4)에서는, 투명 기판(2)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반투과막(3)의 바깥 가장자리의 형상이 제 1 반투과부(91)의 바깥 가장자리의 형상이 되도록 패터닝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4 공정(R4)에서는 반투과막(3)의 표면에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해당 포토 레지스트막을 묘화 장치로 묘화한다. 그 후, 포토 레지스트막을 현상 및 노광함으로써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며, 해당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반투과막(3)을 에칭함으로써, 반투과막의 일부를 제거해 반투과막(3)의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잔존하고 있는 포토 레지스트막을 제거한다.Next, a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step R3). Thereafter,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third step R3 is patter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ourth step R4). In the fourth step R4 , patterning is per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becomes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s viewed in a plan view. Specifically, in the fourth step (R4), a photoresist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photoresist film is drawn with a drawing apparatus. After that, a photoresist pattern is formed by developing and exposing the photoresist film, and by etching the semi-transmissive film 3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a part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removed to form a patter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to form Thereafter, the remaining photoresist film is removed.

다음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기판(2)의 전체면에 반투과막(3)을 추가로 성막한다(이후에서는, 제 5 공정(R5)라고 칭한다). 한편 도 17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제 5 공정에서 성막한 반투과막(3)에 대해서, 제 3 공정(R3)에서 성막한 반투과막(3)과는 상이한 해칭을 실시하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의 공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이한 해칭을 한다. 그 후, 제 5 공정(R5)에서 성막한 반투과막(3)의 패터닝을 실시한다(이후에서는, 제 6 공정(R6)이라고 칭한다). 제 6 공정(R6)에서는, 투명 기판(2)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반투과막(3)의 바깥 가장자리의 형상이 제 2 반투과부(92)의 바깥 가장자리의 형상이 되도록 패터닝을 실시한다. 제 6 공정(R6)의 구체적인 방법은 제 4 공정(R4)의 공정과 동일하다.Next, as shown in FIG. 17 , a semi-transmissive film 3 is further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fth step R5). On the other hand, in Fig. 17, hatching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third step R3 is implemented for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fifth step for easy understanding. About this point, different hatching is performed similarly also about the following process. Thereafter,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fifth step R5 is patter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ixth step R6). In the sixth step R6 , patterning is per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becomes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s viewed in a plan view. The specific method of the sixth step (R6)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step (R4).

그 다음으로, 투명 기판(2)의 전체면에 반투과막(3)을 추가로 성막한다(이후에서는, 제 7 공정(R7)이라고 칭한다). 그 후, 제 7 공정(R7)에서 성막한 반투과막(3)의 패터닝을 실시한다(이후에서는, 제 8 공정(R8)이라고 칭한다). 제 8 공정(R8)에서는, 투명 기판(2)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반투과막(3)의 바깥 가장자리의 형상이 제 3 반투과부(93)의 바깥 가장자리의 형상이 되도록 패터닝을 실시한다. 제 8 공정(R8)의 구체적인 방법은, 제 4 공정(R4)의 공정과 동일하다.Next, a semi-transmissive film 3 is further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venth step (R7)). Thereafter,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seventh step (R7) is patter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ighth step (R8)). In the eighth step R8 , patterning is per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becomes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s viewed in a plan view. The specific method of the eighth step (R8)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step (R4).

다음에,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기판(2)의 전체면에 반투과막(3)을 추가로 성막한다(이후에서는, 제 9 공정(R9)라고 칭한다). 그 후, 제 9 공정(R9)에서 성막한 반투과막(3)의 패터닝을 실시한다(이후에서는, 제 10 공정(R10)이라고 칭한다). 제 10 공정(R1)0에서는, 투명 기판(2)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반투과막(3)의 바깥 가장자리의 형상이 제 4 반투과부(94)의 바깥 가장자리의 형상이 되도록 패터닝을 실시한다. 제 10 공정(R10)의 구체적인 방법은 제 4 공정(R4)의 공정과 동일하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 14(b)에 도시하는 포토 마스크(1A), 즉, 제 1 반투과부(91)의 막 두께가 가장 크고,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제 4 반투과부(94)의 순으로 막 두께가 작아지고 있는 포토 마스크(1A)를 제작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8 , a semi-transmissive film 3 is further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inth step (R9)). Thereafter,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ninth step (R9) is patter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enth step (R10)). In the tenth step (R1)0, patterning is per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becomes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s viewed in a plan view. . The specific method of the tenth process (R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process (R4).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film thickness of the photomask 1A shown in Fig. 14(b), that is,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is the largest, and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and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have the largest film thickness. , the photomask 1A whose film thickness is decreasing in the order of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can be manufactured.

다음에, 제 3 공정(R3), 제 5 공정(R5), 제 7 공정(R7) 및 제 9 공정(R9)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에 대해 설명한다. 막 두께의 설정에서는, 우선, 제 4 반투과부(94)의 빛의 투과율이 원하는 투과율이 되도록, 제 9 공정(R9)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가 설정된다. 여기서, 반투과막이 복수층 적층된 영역에서의 투과율은 하기 식 (1)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Next,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third step R3 , the fifth step R5 , the seventh step R7 , and the ninth step R9 will be described. In the setting of the film thickness, first,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ninth step R9 is set so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becomes a desired transmittance. Here,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in the area|region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membrane was laminated|stacked in multiple layers is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

T=T0×exp(-4πkz/λ) ··· (1) T=T 0 ×exp(-4πkz/λ) ... (1)

상기 식 (1)에 있어서, T는 투과율, T0는 기판 유리(즉, 투명 기판(2)) 및 반투과막의 광학적 성질로부터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값, λ은 노광광의 파장, k는 반투과막의 소쇠 계수, z는 반투과막의 막 두께이다. 상기 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0, λ, k가 일정한 경우, 반투과막이 복수층 적층된 영역에서의 투과율은, 반투과막의 막 두께에 의해서 정해진다. 제 9 공정(R9)에서는, 상기 식 (1)으로부터 산출되는 투과율이 제 4 반투과부(94)의 투과율이 되도록, 성막하는 반투과막의 막 두께가 설정된다. 한편, 제 4 반투과부(94)는 1층의 반투과막(3)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식 (1)에서의 λ는 제 9 공정(R9)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가 된다. 제 9 공정(R9)에서 형성된 제 4 반투과부(94)의 투과율이, 본 변형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A)의 투과율의 기준이 된다.In the formula (1), T is the transmittance, T 0 is a value uniquely determined from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substrate glass (ie, the transparent substrate 2)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λ is the wavelength of exposure light, and k is the transflective film The extinction coefficient of the membrane, z, is the membrane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As shown in the formula (1), when T 0 , λ, and k are constant, the transmittance in a region in which a plurality of semi-permeable films are laminated is determined by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In the ninth step (R9), the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to be formed is set so that the transmittance calculated from the formula (1) becomes the transmittance of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urth semi-permeable portion 94 is constituted by the one-layer semi-permeable film 3, λ in the above formula (1) is the amount of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ninth step (R9). becomes the film thickness. The transmittance of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formed in the ninth step R9 serves as a standard for transmittance of the photomask 1A in this modified example.

다음으로, 제 7 공정(R7) 및 제 9 공정(R9)에 대해 각각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의 합계의 막 두께에 의해서 정해지는 제 3 반투과부(93)의 빛의 투과율이 원하는 투과율이 되도록, 제 7 공정(R7)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가 설정된다. 즉, 제 3 반투과부(93)를 원하는 투과율로 하기 위해서, 제 9 공정(R9)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를 고려하여, 미리 제 7 공정(R7)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를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제 9 공정(R9)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와, 제 3 반투과부(93)이 원하는 투과율이 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를 구하고, 이러한 막 두께들로부터 제 7 공정(R7)에서 성막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를 계산해, 제 7 공정(R7)에서 반투과막(3)을 성막한다.Nex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determined by the film thickness of the sum of the film thicknesse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s 3 respectively formed in the seventh step (R7) and the ninth step (R9).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seventh step R7 is set so as to achieve this desired transmittance. That is, in order to make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a desired transmittance, the semi-transmissive film formed in advance in the seventh step R7 in consideration of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ninth step R9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film 3 is set. More specifically, using the above formula (1),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ninth step (R9)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 The film thickness of 3) is obtained,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seventh step R7 is calculated from these film thicknesses, and the semi-permeable film 3 is formed in the seventh step R7. .

그 다음, 제 5 공정(R5), 제 7 공정(R7) 및 제 9 공정(R9)에서 각각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의 합계의 막 두께에 의해서 정해지는 제 2 반투과부(92)의 빛의 투과율이 원하는 투과율이 되도록, 제 5 공정(R5)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가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제 7 공정(R7) 및 제 9 공정(R9)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와, 제 2 반투과부(92)가 원하는 투과율이 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를 구하고, 이러한 막 두께들로부터 제 5 공정(R5)에서 성막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를 계산해, 제 5 공정(R5)에서 반투과막(3)을 성막한다.Next,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R5), the seventh step (R7), and the ninth step (R9) determined by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to a film, respectively.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fifth step R5 is set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 step 92) becomes the desired transmittance. In more detail,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seventh step (R7) and the ninth step (R9) and the second semi-permeable portion 92 are desired using the above formula (1).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3 serving as the transmittance is obtained, and from these film thicknesses,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fifth step R5 is calculated, and the semi-permeable film 3 is obtained in the fifth step R5. A film 3 is formed.

마지막으로, 제 3 공정(R3), 제 5 공정(R5), 제 7 공정(R7) 및 제 9 공정(R9)에서 각각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의 합계의 막 두께에 의해서 정해지는 제 1 반투과부(91)의 빛의 투과율이 원하는 투과율이 되도록, 제 3 공정(R3)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가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제 5 공정(R5), 제 7 공정(R7) 및 제 9 공정(R9)에서 성막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와, 제 1 반투과부(91)이 원하는 투과율이 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를 구하고, 이러한 막 두께들로부터 제 3 공정(R3)에서 성막하는 반투과막(3)의 막 두께를 계산해, 제 3 공정(R3)에서 반투과막(3)을 성막한다.Finally, according to the film thickness of the sum of the film thicknesses of the semi-permeable films 3 formed in the third process R3, the fifth process R5, the seventh process R7, and the ninth process R9, respectively.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formed in the third step R3 is set so that the predetermined light transmittance of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becomes a desired transmittance. More specifically,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fifth step (R5), the seventh step (R7), and the ninth step (R9) using the formula (1), and the first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t which the semi-transmissive portion 91 has the desired transmittance is obtained, and from these film thicknesses,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3 formed in the third step R3 is calculated, and the third In the step (R3), the semi-permeable film 3 is formed.

〔실시예 2〕[Example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member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도 19(a)는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B)의 패턴 형성 영역(A)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9(b)는 포토 마스크(1B)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투명 기판(2)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포토 마스크(1B)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1에서의 포토 마스크(1A)는 보텀(bottom)형 포토 마스크였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B)는 톱(top)형 포토 마스크이다.Fig. 19(a)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B in this embodiment, and Fig. 19(b)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mask 1B. ,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mask 1B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 . Although the photomask 1A in Example 1 was a bottom-type photomask, the photomask 1B in this Example is a top-type photomask.

포토 마스크(1B)는,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기판(2), 차광막(5) 및 반투과막(3)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영역과 투명 기판(2)에 반투과막(3)이 적층된 영역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차광막(5) 및 반투과막(3)은 투명 기판(2)의 모든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패턴 형성 영역(A)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B)는 도 19(a)에 도시하는 패턴 형성 영역(A)을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변형예 1~7에 대해 설명한 패턴 형성 영역(A)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The photomask 1B is semi-transparent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and the region where the transparent substrate 2,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laminated in this order, as shown in Fig. 19(b). It ha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area|reg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film|membrane 3 was laminated|stacked. On the other h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not arranged in all region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but are appropriately arranged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addition, the photomask 1B in an Example is not limited to having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shown to Fig.19 (a), It has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demonstrated with respect to the said modification 1-7, even if it is free

포토 마스크(1A)와 마찬가지로, 포토 마스크(1B)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에서는, 투명 기판(2)의 표면에 원 형상의 차광막(5)이 위치하고 있고, 차광막(5)의 중심과 같은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차광막(5)보다 직경이 긴 원 형상의 반투과막(3)이 차광막(5)의 표면 및 투명 기판(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Similar to the photomask 1A,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e photomask 1B, a circular light-shielding film 5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and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A circular semi-transmissive film 3 having a diameter longer than that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 centering on the position.

이에 따라, 포토 마스크(1B)의 패턴 형성 영역(A)에는,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차광막(5)와, 반투과막(3)이 중첩된 중첩 영역(10)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패턴 형성 영역(A)에는,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형성된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hotomask 1B, as shown in Fig. 19(a),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portion in the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films 3 are overlappe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Further,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 non-overlapping region 11 in which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10 . In other words,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실시예 1에서의 포토 마스크(1A)와 마찬가지로,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있어서, 빛의 투과율이 낮게 되어 있음에 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있다. 다시 말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D1)이라고 하고,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D2)이라고 했을 경우에, 제 1 영역(D1)내의 투과율보다 제 2 영역(D2)내의 투과율이 높게 되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milarly to the photomask 1A in Example 1, the light transmittance is low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whereas in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light transmittance is low. ,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other words,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D1,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D2. ),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D2 is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D1.

다음에, 포토 마스크(1B)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도 22는, 포토 마스크(1B)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B)의 제조에서는, 우선, 투명 기판(2)의 표면에, 차광막(5)가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50)를 준비한다(이후에서는, 제 1 공정(Q1)이라고 칭한다). 다음에, 마스크 블랭크(50)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2 공정(Q2)라고 칭한다). 그 후,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3 공정(Q3)이라고 칭한다). 제 3 공정(Q3)에서는, 마스크 블랭크(50)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현상 후의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이 중첩 영역(10)의 형상(즉, 원 형상)이 되도록 묘화를 실시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otomask 1B is demonstrated. 20-22 are figures for demonstrat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otomask 1B. As shown in Fig. 20, in the manufacture of the photomask 1B, first, a mask blank 50 in which a light-shielding film 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s prepared (hereinafter, a first step ( Q1)). Next, a first photoresist film 6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ocess Q2). Thereafter, the first photoresist film 60 is drawn with a drawing apparatus to form a first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step (Q3)). In the third step (Q3), drawing is performed so that the first photoresist film 60 after development has the shape of the overlapping region 10 (ie, a circular shape) when the mask blank 50 is viewed in a plan view.

다음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을 현상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 중에서 묘화를 실시한 영역(60A)을 제거함으로써,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4 공정(Q4)라고 칭한다). 제 3 공정(Q3) 및 제 4 공정(Q4)은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다.Next, the first photoresist film 60 is developed to remove the imaged region 60A in the first photoresist film 60 to form a first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a fourth step ( Q4)). The third process Q3 and the fourth process Q4 are processes of form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이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즉,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차광막(5)을 에칭함으로써, 차광막(5)의 일부를 제거해 차광막(5)의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5 공정(Q5)라고 칭한다). 그 다음에, 잔존하고 있는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6 공정(Q6)라고 칭한다).Next, as shown in Fig. 21, by etching the light blocking film 5 using the patterned first photoresist film 60 (that is,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a part of the light blocking film 5 is removed. A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fth step (Q5)). Next,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film 60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xth step (Q6)).

다음에, 차광막(5)을 포함한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반투과막(3)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7 공정(Q7)이라고 칭한다). 그 후, 반투과막(3)의 표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8 공정(Q8)이라고 칭한다). 그 후,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을 묘화 장치로 묘화 한다(이후에서는, 제 9 공정(Q9)라고 칭한다). 제 9 공정(Q9)에서는, 포토 마스크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링 모양이 되도록 묘화를 실시한다.Next,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venth step (Q7)). Thereafter, a second photoresist film 6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ighth step (Q8)). Thereafter, as shown in Fig. 22, the second photoresist film 61 is drawn with a draw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inth step (Q9)). In the ninth step (Q9), drawing is performed so that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photoresist film 61 has a ring shape when the photomask is viewed in a plan view.

이어,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을 현상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 중에서 묘화를 실시한 영역(61A)을 제거함으로써,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10 공정(Q10)이라고 칭한다). 제 9 공정(Q9) 및 제 10 공정(Q10)은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다.Next, the second photoresist film 61 is developed to remove the drawn region 61A in the second photoresist film 61 to form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a tenth step (Q10) ) is called). The ninth process Q9 and the tenth process Q10 are processes of form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다음에, 패턴이 형성된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즉,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반투과막(3)의 일부를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11 공정(Q11)라고 칭한다). 마지막으로, 잔존하고 있는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12 공정(Q12)라고 칭한다).Next, using the patterned second photoresist film 61 (that is,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a part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venth step Q11). ). Finally, the remaining second photoresist film 61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welfth step (Q12)).

이상의 공정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중첩 영역(10)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된 패턴 형성 영역을 가지는 포토 마스크(1B)를 제작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overlapping region 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the pattern in which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10 . A photomask 1B having a formation region can be manufactured.

<변형예 8><Modification 8>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 또는 변형예로서 설명한 포토 마스크는, 차광막(5)로 반투과막(3)의 투과율의 차이, 차광막(5)와 반투과막(3)의 면적비에 따른 투과율 차이 등을 이용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투과막(3) 대신에, 또는, 반투과막(3)과 병용하여 위상 시프트막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상 시프트막의 적용은 투명 기판(2)에 대한 위상 시프트막의 위상차, 및, 위상 시프트막의 투과율을 조정하는 동시에, 위상 효과를 적용하는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The photomask described as any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or modifications is the light blocking film 5 and the transmissive film 3, the transmitt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rea ratio of the light block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tc. Although it was to use, the photomask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phase shift film instead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or in combination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Application of a phase shift film becomes possible by setting the area|region to which a phase effect is applied while adjusting the phase difference of the phase shift film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 and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of a phase shift film.

예를 들면, 도 2(a)에 나타내는 포토 마스크(1A)에 있어서, 투명 기판(2)에 대한 위상차가 100도 이하가 되도록 위상 시프트막의 막 두께를 조정하고, 투과율이 낮은 중첩 영역(10)과 투과율이 높은 비중첩 영역(11)의 사이에 위상 시프트막을 배치해, 중첩 영역(10)과 비중첩 영역(11)의 경계 근처를 투과하는 노광 장치의 노광광이 위상 효과에 의해 비중첩 영역(11) 측으로 시프트되도록 조정해도 된다.For example, in 1 A of photomasks shown to Fig.2 (a), the film thickness of a phase shift film is adjusted so that th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 may become 100 degrees or less, and the superimposition area|region 10 with a low transmittance|permeability. The exposure light of the exposure apparatus which arrange|positions a phase shift film between and the non-overlapping area|region 11 with high transmittance, and permeate|transmits the boundary vicinity of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and the non-overlapping area|region 11 is non-overlapping area by a phase effect (11) You may adjust so that it may shift to the side.

또, 도 14(a)에 도시하는 포토 마스크(1A)에 있어서, 중첩 영역(10)의 외주에 형성된 빛의 투과율이 상이한 복수의 반투과부(즉,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가 적어도 1 개 이상의 인접하는 반투과부의 사이, 및/또는 인접하는 반투과부의 경계의 근처에, 위상 시프트막을 형성해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photomask 1A shown in Fig. 14A, a plurality of transflective portions (that is,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verlapping region 10) having different transmittances of light. The transmissive portion 9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adjacent semi-transmissive portions, and/or near the boundary of the adjacent semi-transmissive portions, the phase shift film It is free to form

또, 도 8(a),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a) 등에 도시하는, 중첩 영역(10)과 비중첩 영역(11)에 의해서 패턴이 형성되는 포토 마스크(1A)에 있어서, 중첩 영역(10)과 비중첩 영역(11)의 경계 근처에 위상 시프트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Moreover, a pattern by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and the non-overlapping area|region 11 shown in FIG.8(a), FIG.9(a), FIG.10(a), FIG.11(a), FIG.12(a) etc. This photomask 1A formed WHEREIN: A phase shift film can also be formed in the boundary vicinity of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and the non-overlapping area|region 11.

이상과 같이, 위상 시프트막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투과율 조정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원의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형성되는 피전사 기판 측의 레지스트 형상을 보다 완만한 경사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finer transmittance|permeability adjustment becomes possible by forming a phase shift film.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shape of the resist on the side of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formed through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to a more gentle inclined shape.

한편, 위상 시프트막을 적용하는 경우일지라도, 위상 시프트막과 차광막(5) 및/또는 반투과막(3)의 재료를 동종 금속계로 함으로써, 상술한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 없이 위상 시프트막을 채용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applying a phase shift film, since the manufacturing method mentioned above can be applied by making the material of a phase shift film and the light shielding film 5 and/or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nto a metal system of the same type, there is no problem in particular a phase A shift film can be employed.

또,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포토 마스크(1A)에서는, 중첩 영역(10)을 차광막(5)과 반투과막(3)이 중첩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차광막(5) 대신에 상기 위상 시프트막을 적용해도 된다. 즉, 위상 시프트막을 형성하는 영역을, 비중첩 영역(11)보다 투과율이 낮은, 바꿔 말하면, 투과하는 노광광의 강도가 작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면 되고, 반투과막(3)과 위상 시프트막의 적층에 의해 광학 농도(OD)값이 2.7 이상을 만족할 수 있으면 적용이 가능하다.Further, for example, in the photomask 1A of the first embodiment, the overlapping region 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overlapped, but instead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the phase shift A membrane may be applied. That i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the area|region which forms a phase shift film to the area|region where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is lower than the non-overlapping area|region 11, in other words, the intensity|strength of the exposure light which transmits is small, In lamination|stacking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a phase shift film. It can be applied if the optical density (OD) value can satisfy 2.7 or more.

〔실시예 3〕[Example 3]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가 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표시 장치의 각 화소의 형상에 맞추어 패턴 형성 영역(A)을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hotomask in which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has a circular shap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adapted to the shape of each pixel of the display device. (A) can be made into a desired shap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 .

도 23은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C)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C)의 패턴 형성 영역(A)은 정오각형으로 되어 있다. 포토 마스크(1C)의 패턴 형성 영역(A)에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차광막(5)와 반투과막(3)이 중첩된 중첩 영역(10)이 정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패턴 형성 영역(A)에는,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형성된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첩 영역(10)내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내에 설정된다.Fig. 23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hotomask 1C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3,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of 1 C of photomasks has become a regular pentagon. In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of the photomask 1C,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overlapped in a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is a regular pentagon. formed in the shape. Further,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 non-overlapping region 11 in which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10 .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 the overlapping region 10 .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포토 마스크(1C)를 통해서 노광을 실시하면, 포토 레지스트막(20)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을,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토 레지스트막(20)을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exposure is performed through the photomask 1C,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outer edge of the photoresist film 20 is higher than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 get bigger As a result, as shown in Fig. 3(b),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have a shape in which the outer edge portion is gently inclined. In other words, the photoresist film 20 may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이 정오각형인 구성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포토 마스크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이 정오각형 이외의 오각형 모양이어도 되고, 오각형 이외의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포토 마스크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이 한 쌍의 대향하는 직선과, 그 한 쌍의 대향하는 직선의 양단부를 잇는 2개의 곡선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직선과 상기 2개의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포토 마스크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이 다각형 형상인 동시에, 또한 다각형의 적어도 1개의 모서리가 원호 등의 곡선에 의해 구성되는 형상이어도 무방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a regular pentag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hotomask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may have a pentagonal shape other than a regular pentagon, or may have a polygonal shape other than a pentagon (eg, a triangle, a rectangle, a hexagon, etc.). Further, in the photomask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has a pair of opposing straight lines and two curv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air of opposing straight lines, It may be a shape formed by a straight line and the two curves. Moreover, in the photomask of one aspect|mode of this invention, while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has a polygonal shape, at least one corner of a polygon may be a shape comprised by curves, such as an arc.

<변형예 9><Modification 9>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포토 마스크는 패턴 형성 영역(A)이 타원형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In the photomask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4 .

도 24는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D)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D)의 패턴 형성 영역(A)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포토 마스크(1D)의 패턴 형성 영역(A)에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차광막(5)과 반투과막(3)이 중첩된 중첩 영역(10)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패턴 형성 영역(A)에는,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형성된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첩 영역(10)내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내에 설정된다.24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4,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D has an elliptical shape.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hotomask 1D, an overlap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overlapped in a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has an elliptical shape. is formed with Further,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 non-overlapping region 11 in which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10 .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 the overlapping region 10 . The second region D2 in this modified example is set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포토 마스크(1D)에서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한 단면과 마찬가지로,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을,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바꿔 말하자면, 포토 레지스트막(20)을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photomask 1D,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20 is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20 . Thereby, similarly to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3(b), the developed photoresist film 20 can have a shape in which the outer edge portion is gently inclined. In other words, the photoresist film 20 can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실시예 4〕[Example 4]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포지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노광을 실시함으로써, 피전사 기판에 대해서 볼록 형상의 레지스트 형상을 형성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는, 네거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형성되는 레지스트 형상은, 피전사 기판에 대해서 오목 형상이 된다. 해당 오목 형상은,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을 갖게 된다. 해당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a convex resist shape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by exposing the positive photoresist film through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t can also be used about a negative photoresist film.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resist to be formed is concave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e concave shape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edge portion is gently inclined.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5는 실시예 1에 대해 설명한 포토 마스크(1A)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네거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84)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84)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A)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서는 투과율이 낮게 되어 있고, 중앙부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투과율이 높아지고 있다. 해당 구성을 가지는 포토 마스크(1A)를 이용해 네거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84)에 대해서 노광 및 현상을 실시함으로써,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84)은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작은 중앙부에서는 현상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중앙부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커지기 때문에, 포토 레지스트막(84)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져서 잔존하는 포토 레지스트막(84)의 두께가 커진다. 바꾸어 말하면, 네거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84)에 대해서 포토 마스크(1A)를 사용함으로써,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84)의 형상을, 피전사 기판에 대해서 오목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차광 영역과 투광 영역 사이의 영역이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Fig. 25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84 after developing and exposing the negative photoresist film 84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1A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 As explained about Example 1, in the photomask 1A,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is low in the center part of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and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is increasing as it goes outward from the center part. By exposing and developing the negative photoresist film 84 using the photomask 1A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In the central part where the intensity is small, it is removed by development. In addition, since the intensity of the irradiated light increases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outer edge portion, the solubility of the photoresist film 84 in the developer decreases and the remaining thickness of the photoresist film 84 increases. In other words, by using the photomask 1A for the negative photoresist film 84,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84 after development is made concave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and the light-shielding region and the light-transmitting area are used. The region between the regions may be formed in a gently inclined shape.

〔실시예 5〕[Example 5]

상술의 각 실시예에서는,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커지도록 패턴 형성 영역(A)이 형성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포토 마스크는,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작아지도록 패턴 형성 영역(A)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대해서, 도 26을 이용해 설명한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photomask in which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formed so that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side has been described. The photo mask is not limited thereto. The photomask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formed so that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sid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6 .

도 26(a)는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E)의 패턴 형성 영역(A)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6(b)는 투명 기판(2)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포토 마스크(1E)의 단면도이다. FIG. 26(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E in this embodiment, and FIG. 26(b) i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cut|disconnected photomask 1E.

도 2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E)의 패턴 형성 영역(A)은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포토 마스크(1E)의 패턴 형성 영역(A)에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85)가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형성 영역(A)에는, 투광부(85)를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형성된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D1)이라고 하고,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D2)이라고 했을 경우에, 제 1 영역(D1)내의 투과율보다 제 2 영역(D2)내의 투과율이 낮게 되어 있다.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쪽의 영역은, 차광막(5)와 에칭 스토퍼막(4)과 반투과막(3)이 중첩된 중첩 영역(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광 영역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6(a) ,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hotomask 1E has a circular shape.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hotomask 1E, a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for transmitting light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a circular shape. Further, as shown in Figs. 26(a) and 26(b), i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 non-overlapping region 11 in which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 is formed. Accordingly,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D1,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D2. ),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D2 is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D1. In the region outside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the etching stopper film 4,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overlapped is formed, and serves as a light-shielding region.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포토 마스크(1E)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투광부(85)가 존재하고 있음으로 인해,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크게 되어 있다. 또, 투광부(85)를 에워싸듯이,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작아지고 있다.In the photomask 1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is presen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20 is increased. have. In addition, since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transmissive portion 85,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side.

도 27은 포토 마스크(1E)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포지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E)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포지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노광하고, 현상함으로써,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은,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큰 중앙부에서는 현상에 의해 제거된다. 또,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잔존하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두께가 커진다. 다시 말해, 포지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20)에 대해서 포토 마스크(1E)를 사용함으로써,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피전사 기판에 대해서 오목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차광 영역과 투광 영역 사이의 영역이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Fig. 27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exposure and development of the positive photoresist film 20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1E. As shown in Fig. 27, by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ositive photoresist film 20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1E, the developed photoresist film 20 is formed of the irradiated light. In the central part where the intensity is large, it is removed by development. Further, since the intensity of the irradiated light decreases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outer edge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photoresist film 20 increases. In other words, by using the photomask 1E for the positive photoresist film 20,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is made concave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and the light-shielding region and the light-transmitting area are used. The region between the regions may be formed in a gently inclined shape.

도 28은 포토 마스크(1E)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네거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84)에 대해서 노광하여, 현상한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84)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E)를 통해서 피전사 기판 상의 네거티브형의 포토 레지스트막(84)에 대해서 노광하고, 현상함으로써,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84)을,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바꿔 말하자면, 포토 레지스트막(84)을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Fig. 28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84 after exposure and development of the negative photoresist film 84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through the photomask 1E. As shown in Fig. 28, the negative photoresist film 84 on the transfer target substrate is exposed through a photomask 1E and developed, so that the developed photoresist film 84 has a smooth outer edge. It can be made into a sharply inclined shape. In other words, the photoresist film 84 can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다음으로, 포토 마스크(1E)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도 31은, 포토 마스크(1E)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A)의 제조에서는, 우선, 투명 기판(2)의 표면에, 반투과막(3), 에칭 스토퍼막(4), 및, 차광막(5)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30)를 준비한다(이후에서는, 제 1 공정(S1)이라고 칭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otomask 1E is demonstrated. 29-31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otomask 1E. As shown in FIG. 29 , in the manufacture of the photomask 1A, first,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the etching stopper film 4 ,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 The mask blanks 30 stacked and formed in this order are prepa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ep (S1)).

이어, 마스크 블랭크(30)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2 공정(S2)라고 칭한다). 그 후,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을 묘화 장치로 묘화한다(이후에서는, 제 3 공정(S3)이라고 칭한다). 제 3 공정 S3에서는, 마스크 블랭크(30)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패턴 형성 영역(A)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이 현상에 의해 제거되도록 묘화를 실시한다. Next, a first photoresist film 4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ep S2). Thereafter, the first photoresist film 40 is drawn with a draw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step (S3)). In 3rd process S3, when the mask blank 30 is planarly viewed, writing is performed so that the 1st photoresist film 40 in the area|reg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may be removed by development.

다음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을 현상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 중에서 묘화를 실시한 영역(40A)을 제거함으로써,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4 공정(S4)라고 칭한다). 제 3 공정(S3) 및 제 4 공정(S4)은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다.Next, the first photoresist film 40 is developed to remove the drawn region 40A in the first photoresist film 40 to form a first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a fourth step ( S4)). The third process ( S3 ) and the fourth process ( S4 ) are processes of form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다음에,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즉,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차광막(5)을 에칭함으로써, 차광막(5)의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5 공정(S5)라고 칭한다). 제 5 공정(S5)에서는, 차광막(5)을 에칭하는 용제로서 에칭 스토퍼막(4)을 용해하지 않는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차광막(5)만이 에칭되어 제거된다.Next, as shown in Fig. 30, the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formed by etch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using the patterned first photoresist film 40 (that is,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fth step (S5)). In the fifth step ( S5 ), by using a solvent that does not dissolve the etching stopper film 4 as a solvent for etch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 only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etched and removed.

다음에,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차광막(5)을 마스크로 해서 에칭 스토퍼막(4)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6 공정(S6)이라고 칭한다). 그 후, 잔존하고 있는 제 1 포토 레지스트막(40)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7 공정(S7)이라고 칭한다). Next, the etching stopper film 4 is removed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nd the light shielding film 5 as mas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xth step (S6)). Thereafter,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film 40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venth step (S7)).

다음에, 차광막(5)을 포함한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8 공정(S8)이라고 칭한다).Next, a second photoresist film 41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ighth step (S8)).

다음에,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을 묘화 장치로 묘화한다(이후에서는, 제 9 공정(S9)라고 칭한다). 제 9 공정(S9)에서는, 포토 마스크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중첩 영역(10) 및 비중첩 영역(11)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만이 현상 후에 잔존하도록 묘화를 실시한다. 이 때 묘화 장치의 얼라이먼트 어긋남에 의한 패턴의 위치 어긋남을 고려한 마진을 미리 설계 패턴에 반영시켜, 패턴의 위치 어긋남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Next, as shown in FIG. 31 , the second photoresist film 41 is drawn with a draw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inth step (S9)). In the ninth step (S9), drawing is performed so that only the second photoresist film 41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10 and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remains after development when the photomask is viewed in a plan view. . At this time, it is also important to reflect the margin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shift of the pattern due to the alignment shift of the drawing device in advance to the design pattern, an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pattern position shift.

다음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을 현상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 중에서 묘화를 실시한 영역(41A)을 제거함으로써,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10 공정(S10)이라고 칭한다). 제 8 공정(S8), 제 9 공정(S9) 및 제 10 공정(S10)은,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다.Next, the second photoresist film 41 is developed to remove the drawn region 41A in the second photoresist film 41 to form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a tenth step ( S10)). The eighth step (S8), the ninth step (S9), and the tenth step (S10) are steps of form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다음에, 패턴이 형성된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즉,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반투과막(3)을 에칭함으로써, 반투과막(3)의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11 공정(S11)이라고 칭한다). 마지막으로, 잔존하고 있는 제 2 포토 레지스트막(41)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12 공정(S12)라고 칭한다).Next, the patter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by etching the semi-transmissive film 3 using the patterned second photoresist film 41 (that is, the second photo resist pattern) as a mask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referred to as an eleventh step (S11)). Finally, the remaining second photoresist film 41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welfth step (S12)).

이상의 공정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투광부(85)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투광부(85)를 에워싸듯이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된 패턴 형성 영역(A)을 가지는 포토 마스크(1E)를 제작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ing area A, and the non-overlapping area 11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A photomask 1E having the region A can be manufactured.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5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투광 영역을 가지며, 해당 투광 영역을 에워싸듯이 비중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보텀형의 포토 마스크(1E)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포토 마스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포토 마스크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투광 영역을 가지며, 해당 투광 영역을 에워싸듯이 비중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톱형의 포토 마스크이어도 된다. 이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In Example 5, a bottom-type photomask 1E having a light transmitting area in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nd a non-overlapping area surrounding the light transmitting area has bee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The photo mask is not limited thereto. The photomask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op-shaped photomask having a transmissive region in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in which a non-overlapping reg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transmissive reg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32(a)는 본 실시예에서의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2(b)는 투명 기판(2)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포토 마스크(1F)의 단면도이다.Fig. 32(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F in this embodiment, and Fig. 32(b) i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cut|disconnected photomask 1F.

도 3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에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85)가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2(a) 및 도 3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형성 영역(A)에는, 투광부(85)를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형성된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쪽에는, 비중첩 영역(11)을 에워싸듯이 차광막(5)와 반투과막(3)이 중첩된 중첩 영역(10)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2(a) , in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of the photomask 1F,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that transmits light is circled in a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formed in the shape. Moreover, as shown in FIGS. 32(a) and 32(b), 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the non-overlapping area 11 in which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light-transmitting part 85. is formed. Moreover, on the outsid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 overlapping region 10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overlapped so as to surround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해당 구성에 의해, 실시예 5에서의 포토 마스크(1E)와 마찬가지로,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서, 빛의 투과율이 높게 되어 있는 것에 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낮아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D1)이라고 하고,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D2)이라고 했을 경우에, 제 1 영역(D1)내의 투과율보다 제 2 영역(D2)내의 투과율이 낮게 되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milarly to the photomask 1E in Example 5, the light transmittance is high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whereas in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transmittance of light decreases as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goes outward. In other words,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D1,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D2. ),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D2 is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D1.

다음에, 포토 마스크(1F)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도 35는, 포토 마스크(1F)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마스크(1B)의 제조에서는 우선, 투명 기판(2)의 표면에, 차광막(5)가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50)를 준비한다(이후에서는, 제 1 공정(T1)라고 칭한다). 다음에, 마스크 블랭크(50)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2 공정(T2)라고 칭한다). 그 후,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3 공정(T3)이라고 칭한다). 제 3 공정(T3)에서는, 마스크 블랭크(50)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패턴 형성 영역(A)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이 현상에 의해 제거되도록 묘화를 실시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otomask 1F is demonstrated. 33-35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otomask 1F. As shown in Fig. 33, in the manufacture of the photomask 1B, first, a mask blank 50 in which a light-shielding film 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 is prepared (hereinafter, a first step T1). ) is called). Next, a first photoresist film 6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ep T2). Thereafter, the first photoresist film 60 is drawn with a drawing apparatus to form a first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step (T3)). In the 3rd process T3, drawing is performed so that the 1st photoresist film 60 in the area|reg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may be removed by development when the mask blank 50 is planarly viewed.

그 다음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을 현상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 중에서 묘화를 실시한 영역(60A)을 제거함으로써,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4 공정(T4)라고 칭한다). 제 3 공정(T3) 및 제 4 공정(T4)은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다.Next, the first photoresist film 60 is developed to remove the region 60A written in the first photoresist film 60 to form a first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a fourth step). (T4)). The third process T3 and the fourth process T4 are processes of form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다음에,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즉,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차광막(5)을 에칭함으로써, 차광막(5)의 일부를 제거하여 차광막(5)의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5 공정(T5)라고 칭한다). 다음에, 잔존하고 있는 제 1 포토 레지스트막(60)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6 공정(T6)이라고 칭한다).Next, as shown in FIG. 34 , a part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removed by etch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using the patterned first photoresist film 60 (that is,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This is removed to form a pattern of the light-shielding film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fth step (T5)). Next,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film 60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xth step (T6)).

그 다음에, 차광막(5)을 포함한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반투과막(3)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7 공정(T7)이라고 칭한다). 그 후, 반투과막(3)의 표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8 공정(T8)이라고 칭한다). 그 후,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을 묘화 장치로 묘화 한다(이후에서는, 제 9 공정(T9)라고 칭한다). 이 때, 묘화 장치의 얼라이먼트 어긋남에 의한 패턴의 위치 어긋남을 고려한 마진을 미리 설계 패턴에 반영시켜, 패턴의 위치 어긋남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제 9 공정(T9)에서는, 포토 마스크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중첩 영역(10) 및 비중첩 영역(11)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만이 잔존하도록 묘화를 실시한다.Next,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venth step (T7)). Thereafter, a second photoresist film 6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ighth step (T8)). Thereafter, as shown in Fig. 35, the second photoresist film 61 is drawn with a draw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inth step (T9)). At this time, it is also important to reflect the margin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shift of the pattern due to the alignment shift of the drawing apparatus in advance to the design pattern, an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pattern position shift. In the ninth process T9, drawing is performed so that only the 2nd photoresist film 61 in the area|reg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region 10 and the non-overlapping area|region 11 remains when the photomask is planarly viewed.

다음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을 현상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 중에서 묘화를 실시한 영역(61A)을 제거함으로써,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이후에서는, 제 10 공정(T10)이라고 칭한다). 제 9 공정(T9) 및 제 10 공정(T10)은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다.Next, the second photoresist film 61 is developed to remove the drawn region 61A in the second photoresist film 61 to form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hereinafter, a tenth step ( T10)). The ninth process ( T9 ) and the tenth process ( T10 ) are processes of form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다음에, 패턴이 형성된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즉,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반투과막(3)의 일부를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11 공정(T11)이라고 칭한다). 마지막으로, 잔존하고 있는 제 2 포토 레지스트막(61)을 제거한다(이후에서는, 제 12 공정(T12)라고 칭한다).Next, a part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removed using the patterned second photoresist film 61 (that is,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venth step T11). ). Finally, the remaining second photoresist film 61 is rem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welfth step (T12)).

이상의 공정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투광부(85)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첩 영역(10)을 에워싸듯이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된 패턴 형성 영역(A)을 가지는 포토 마스크(1F)를 제작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central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nd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10. A photomask 1F having the region A can be manufactured.

<변형예 10><Modification 10>

실시예 6의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6은,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를 평면에서 봤을 경우,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직사각형의 투광부(85)와, 반투과막(3)에 차광막(5)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직사각형의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체크무늬 영역(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체크무늬 영역(12)의 외주에,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의 패턴 형성 영역(A)은, (1)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85)와,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비중첩 영역(11)을 포함하는 혼재 영역과, (2) 상기 혼재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비혼재 영역을 가지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체크무늬 영역(12)의 내부에 존재함과 동시에, 또한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직사각형의 투광부(85)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즉, 제 1 영역(D1)은,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투광부(85)만을 포함하는 영역이어도 되고, 해당 투광부(85)와 그 주위의 비중첩 영역(11)을 포함하는 영역이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체크무늬 영역(12)의 바깥쪽의 영역, 즉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내에 설정된다. A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F of Example 6 is demonstrated. Fig. 36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e presen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36 , in the present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a rectangular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do not exist; A checkered pattern region 12 in which rectangular non-overlapping regions 11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not overlapped is alternately arrang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formed. Moreover, in this modification, the area|region where the light-shielding film|membrane 5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membrane 3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heckered area|region 1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1) the transmissive portion 85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not present,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A mixed region including the non-overlapping non-overlapping region 11 , and (2) a non-hybrid region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mixed region and in which the light blocking film 5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has a The first region D1 in this modified example is present inside the checkered pattern region 12 and includes at least a rectangular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is set That is, the first region D1 may be a region including only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nd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and the surrounding non-overlapping area 11 may be formed. The area may be included.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 the region outside the checkered pattern region 12, that is,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투광부(85)가 존재하고 있음으로 인해, 투광부(85)의 면적비가 커짐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커지고 있다. 또,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있어 체크무늬 영역(12)을 에워싸듯이 반투과막(3)만이 존재하고 있음으로 인해,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작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은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포토 레지스트막(20)을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Due to the configuration, since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is presen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area ratio of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increases as the light irradia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20 increases. intensity is increasing. In addition, since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xists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s if it surrounds the checkered pattern area 12, the photoresist film 20 go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 the intensity of the light irradiated to it is decreasing. Accordingly,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edge portion is gently inclined. That is, by using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photoresist film 20 can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변형예 11><Modification 11>

실시예 6의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7은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4)에 있어서,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85)와,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중첩 영역(11)을 가지는 영역(15)이 중앙 영역(14)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다. 영역(15)에서는 비중첩 영역(11)이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영역(15)의 외주에는,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앙 영역(14)의 내부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영역(15)의 바깥쪽의 영역, 즉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내에 설정된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F of Example 6 is demonstrated. Fig. 37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in the presen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37 , in the present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14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 in which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does not exist is form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transmissive portion 85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not present, and a plurality of non-overlapping portions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not superpos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A region 15 having a region 11 is form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14 . In the region 15 ,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to increase in area toward the outer edge. Moreov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rea|region 15, the area|region where the light-shielding film|membrane 5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membrane 3 is formed.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side the central region 14 .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 the region outside the region 15, that is,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중앙 영역(14)에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크게 되어 있다. 또, 중앙 영역(14)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비중첩 영역(11)의 면적비가 커지기 때문에,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가 작아진다. 이로써,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을, 바깥 가장자리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토 레지스트막(20)을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14 ,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20 is increased. Further, as the area ratio of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increases as it goes outward from the central region 14,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decreases. Thereby,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the shape where the outer edge part is inclined gently. In other words, the photoresist film 20 may be gent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변형예 12><Modification 12>

실시예 6의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8은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는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직사각형의 투광부(85)와,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직사각형의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 직사각형의 투광부(85)로 직사각형의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바깥쪽에는, 반투과막(3)만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반투과막(3)만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는, 차광막(5)와 반투과막(3)이 중첩되어 있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중첩 영역(8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투광부(85)와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된 영역인 동시에, 또한 적어도 일부에 투광부(85)를 포함하는 영역이 되도록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영역으로, 적어도 일부에 중첩 영역(86)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F of Example 6 is demonstrated. Fig. 38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e presen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38, in this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is viewed in a plan view,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is a rectangle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do not exist.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and the non-overlapping rectangular region 11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ddition, a region in which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xists is formed outside the region in which the rectangular non-overlapping regions 11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rectangular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 Furthermore, a plurality of rectangular overlapping regions 86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overlapped ar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region where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 exists. The first area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to be a region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and the non-overlapping area 11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t least a region includ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at least in part. .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a region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is set to include the overlapping region 86 at least in part.

해당 구성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투광부(85)와 비중첩 영역(1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반투과막(3)만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크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진다. 이로써,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and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is disposed on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Since the region in which the bay is formed,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greatest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Thereby,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the shape which inclines gently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part.

<변형예 13><Modification 13>

실시예 6의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9는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7)에 있어서,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중앙 영역(17)으로부터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서 투광부(85)가 방사상으로 뻗는 방사상 영역(87)이 형성되어 있다. 방사상 영역(87)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앙 영역(17)의 내부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의 영역으로, 적어도 일부에 비중첩 영역(11)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즉, 본 변형예의 패턴 형성 영역(A)는 (1)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비혼재 영역(투광부(85))과, (2) 상기 비혼재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영역과, 반투과막(3)에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비중첩 영역을 포함하는 혼재 영역(78)을 가지고 있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F of Example 6 is demonstrated. Fig. 39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in the presen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39 , in the present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17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 in which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does not exist is formed. Moreover, in this modification, the radial area|region 87 in which the light-transmitting part 85 radially extends from the center area|region 17 toward the outer edge part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is formed. The radial region 87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As shown in FIG.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side the central region 17 .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a region of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is set to include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at least in part. That is,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1) a non-mixed region (transmissive portion 85)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do not exist, and (2) the non-mixed region. A mixed region that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 and includes a region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do not exist, and a non-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5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78).

해당 구성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7)에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영역(17)으로부터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서 투광부(85)가 방사상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크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진다. 이에 따라,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17 of the pattern forming area A,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from the central area 17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area A. Since is extended radially,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greatest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Thereby,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the shape which inclines gently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part.

<변형예 14><Modification 14>

실시예 6의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0은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88)에 있어서,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중앙 영역(88)로부터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서 투광부가 소용돌이 모양으로 뻗는 소용돌이 모양 영역(8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소용돌이 모양 영역(89)의 사이에는 비중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소용돌이 모양 영역(89)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경우도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앙 영역(88)의 내부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의 영역으로, 적어도 일부에 비중첩 영역(11)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F of Example 6 is demonstrated. Fig. 40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e presen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40, in the present modificat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plan, in the central region 88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The non-existent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Moreover, in this modification, the spiral area|region 89 in which the light-transmitting part extends spirally from the center area|region 88 toward the outer edge part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region A is formed. A non-overlapping region 11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piral regions 89 . The spiral region 89 may become narrower in width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region A.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side the central region 88 .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a region of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is set to include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at least in part.

해당 구성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88)에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영역(88)으로부터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뻗는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크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진다. 이로써,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88 of the pattern-forming region A, and a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central region 88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forming region A in a spiral shape. Since the light portion 85 is formed,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greatest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Thereby,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the shape which inclines gently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part.

<변형예 15><Modification 15>

실시예 6의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1은 본 변형예에서의 패턴 형성 영역(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를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02)에 있어서,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영역(102)의 바깥쪽에는, 반투과막(3)과 차광막(5)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10)과, 차광막(5) 및 반투과막(3)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복수의 투광부(85)를 가지는 영역(103)이 형성되어 있다. 영역(103)은, 중첩 영역(10)이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영역(103)의 외주에는, 제 1 반투과부(100)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반투과부(100)의 외주에 제 2 반투과부(101)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반투과부(100)는, 제 2 반투과부(101)보다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설계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1 영역(D1)은 중앙 영역(102)의 내부에 설정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영역(D2)은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비중첩 영역(11)내에 설정된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F of Example 6 is demonstrated. Fig. 41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n the presen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41 , in this modified example,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102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 in which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does not exist is formed. Outside of the central region 102 , a plurality of overlapping regions 10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overlapped,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re not present. A region 103 having a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The region 103 is formed so that the area of the overlapping region 10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Moreov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rea|region 103, the 1st semi-transmissive part 100 is formed in the ring shape. In addition,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101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100 .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100 is designed to have a higher transmittance than the second transflective part 101 . The first region D1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side the central region 102 . The second region D2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set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11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해당 구성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02)에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영역(102)의 바깥쪽에 중첩 영역(10)과 투광부(85)를 가지는 영역(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영역(103)의 외주에 제 1 반투과부(10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크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진다. 이에 따라,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102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nd the region having the overlapping region 10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outside the central region 102 . Since 103 is formed and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1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gion 103 ,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at the center of the photoresist film 20 . It is the largest in ,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Thereby,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the shape which inclines gently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part.

<변형예 16><Modification 16>

실시예 6의 포토 마스크(1F)의 패턴 형성 영역(A)의 추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2는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의 패턴 형성 영역(A)에 형성된 패턴 디자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를 평면에서 봤을 경우,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10)에 있어서,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영역(11)0의 바깥쪽에는, 제 1 반투과부(111), 제 2 반투과부(112), 제 3 반투과부(113), 및 제 4 반투과부(114)가 이 순서대로 안쪽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반투과부(111), 제 2 반투과부(112), 제 3 반투과부(113), 및 제 4 반투과부(114)는, 반투과막(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반투과부(111), 제 2 반투과부(112), 제 3 반투과부(113), 및 제 4 반투과부(114) 중에서 제 1 반투과부(111)의 막 두께가 가장 작고, 제 2 반투과부(112), 제 3 반투과부(113), 제 4 반투과부(114)의 순으로 막 두께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반투과부(111)의 빛의 투과율이 가장 크게 되어 있고, 제 2 반투과부(112), 제 3 반투과부(113), 제 4 반투과부(114)의 순으로 빛의 투과율이 낮아지고 있다.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1F of Example 6 is demonstrated. Fig. 42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 design formed in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42 , in this modified example,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central region 110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 in which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does not exist is formed. Outside of the central region 11 0 ,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111 ,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11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11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114 are ring from the inside in this order. formed in the shape.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111 ,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11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11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114 are constituted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 . Among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111 , the second transflective part 112 , the third transflective part 113 , and the fourth transflective part 114 , the first transflective part 111 has the smallest thickness, and the second half The film thickness of the transmissive portion 11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11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114 increases in this order. Accordingly,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111 is the largest,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11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11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114 is the highest. is getting lower

해당 구성에 의해, 패턴 형성 영역(A)에 대해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반투과막의 막 두께가 커지고 있음으로 인해, 포토 레지스트막(20)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포토 레지스트막(20)의 중앙에서 가장 크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진다. 이에 따라, 현상 후의 포토 레지스트막(20)의 형상을, 중앙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Due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photoresist film 20 is ) is largest at the center,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Thereby,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film 20 after development can be made into the shape which inclines gently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part.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반투과막(3) 및 차광막(5)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85)를 가지고 있다. 또,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에서는, 빛의 투과율이 상이한 복수의 반투과부(즉, 제 1 반투과부(91), 제 2 반투과부(92), 제 3 반투과부(93), 및 제 4 반투과부(94))가 투광부(85)를 에워싸듯이 패턴 형성 영역(A)의 외주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반투과부는, 패턴 형성 영역(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낮아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the transmissive portion 85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 and the light-shielding film 5 are not presen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e photomask of this modification, a plurality of transflective portions having different light transmittances (that is,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91 ,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92 , the third semi-transmissive portion 93 , and the fourth semi-transmissive portion (94)) is formed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ing area (A) as if it surround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85), and the plurality of semi-transmissive portions are formed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ing area (A). The transmittance is decreasing.

한편, 상술한 포토 마스크(1A)에서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 영역(11)0에 형성되는 중첩 영역(10)이 원형이며, 제 1 반투과부(111), 제 2 반투과부(112), 제 3 반투과부(113), 및 제 4 반투과부(114)가 링 모양인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해당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변형예의 포토 마스크는, 패턴 형성 영역(A)의 중앙부에 투광부(85)를 가지며, 해당 투광부(85)를 에워싸듯이 패턴 형성 영역(A)의 외주부를 향해 서서히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복수의 반투과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투광부(85) 및 복수의 반투과부는 타원형, 직사각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hotomask 1A described above, the overlapping region 10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11 0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A is circular, and the first semi-transmissive portion 111 and the second semi-transmissive portion 112 are circular. ), the third transflective part 113 , and the fourth transflective part 114 have a ring-shaped configura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modification has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nd the transmittance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area A as if surrounding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 It is sufficient that a plurality of semi-transmissive portions are formed so as to For example,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85 and the plurality of semi-transmissive portions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예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indicated in the claims, and the embodiments obtain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technical means disclosed in the other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1A~1 F: 포토 마스크
2: 투명 기판
3: 반투과막
4: 에칭 스토퍼막
5: 차광막
7, 85: 투광부
10, 86, 103: 중첩 영역
11: 비중첩 영역
12: 체크무늬 영역
14, 17, 70, 80, 88, 90, 102, 110: 중앙 영역
16: 투광성 영역
20, 84: 포토 레지스트막
30, 50: 마스크 블랭크
40, 60: 제 1 포토 레지스트막
41, 61: 제 2 포토 레지스트막
A: 패턴 형성 영역
D1: 제 1 영역
D2: 제 2 영역
1A to 1 F: photo mask
2: Transparent substrate
3: semi-permeable membrane
4: Etching stopper film
5: shading screen
7, 85: light-transmitting part
10, 86, 103: overlapping area
11: Non-overlapping areas
12: checkered area
14, 17, 70, 80, 88, 90, 102, 110: central area
16: light transmitting area
20, 84: photoresist film
30, 50: mask blank
40, 60: first photoresist film
41, 61: second photoresist film
A: pattern forming area
D1: first area
D2: second area

Claims (19)

적어도 2개의 서로 투과율이 상이한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패턴 형성 영역을 투명 기판 상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하며,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높거나 또는 낮은, 포토 마스크.
It has a plurality of pattern forming regio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cluding at least two regions having different transmittances from each other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called a first region,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at the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called a second region,
A photomask, wherein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higher or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서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egion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의 바깥 가장자리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는 원호가 포함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photomask of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edge shap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n a plan view includes an ar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은 다각형 형상인, 포토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pattern forming region has a polygonal shape, a photomask.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은, 적어도 반투과막의 패턴과 차광막의 패턴이 일부 중첩되도록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투광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높은, 포토 마스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formed by laminating at least a pattern of a semi-transmissive film and a pattern of a light-shielding film to partially overlap,
has a light-transmitting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which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not formed;
A photomask having a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higher than a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상기 반투과막과 상기 차광막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이,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서 방사상 또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뻗어 있는, 포토 마스크.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viewed in a plan view, an 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overlap each other extends radially or spirally from a center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toward an outer edg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상기 반투과막에 상기 차광막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비중첩 영역을 가지며,
상기 비중첩 영역은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viewed in a plan view, it has a plurality of non-overlapping regio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is not overlapp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The non-overlapping region is formed to increase in area toward the outer edg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상기 반투과막과 상기 차광막이 중첩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중첩 영역과, 상기 반투과막에 상기 차광막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직사각형의 비중첩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체크무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크무늬 영역의 외주에, 상기 반투과막에 상기 차광막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viewed in a plan view, a rectangular 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overlap and a rectangular non-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is not overlapp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are alternately arranged A photomask comprising: a checkered pattern region having a lattice pattern formed thereon; and a reg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checkered pattern reg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상기 차광막 및 상기 반투과막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투광부가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
6. The method of claim 5,
A photomas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ight-transmitting port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do not exist is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viewed in a plan view.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은, 투광부와, 반투과막에 의해 형성되는 반투과부가 적어도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는, 상기 반투과막과 차광막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된 차광부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낮은, 포토 마스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ncludes at least a translucent portion and a semi-transmissive portion formed by a semi-transmissive film,
In a region where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not formed, a light blocking portion formed by laminating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 blocking film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 photomask, wherein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상기 차광막 및 상기 반투과막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투광부가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에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해서 방사상 또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뻗어 있는, 포토 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viewed in a plan view,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do not exist extends radially or spirally from a center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toward an outer edge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상기 반투과막에 상기 차광막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비중첩 영역을 가지며,
상기 비중첩 영역은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함에 따라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viewed in a plan view, it has a plurality of non-overlapping regio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is not overlapp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The non-overlapping region is formed to increase in area toward the outer edge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상기 차광막 및 상기 반투과막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투광부와, 상기 반투과막에 상기 차광막이 중첩되어 있지 않은 직사각형의 비중첩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체크무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크무늬 영역의 외주에, 상기 비중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viewed in a plan view, a light-transmitting port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do not exist, and a rectangular non-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light-shielding film is not overlapp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are alternately arranged. A patterned region is formed, and the non-overlapping region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checkered reg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상기 반투과막과 상기 차광막이 중첩되어 있는 중첩 영역이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포토 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viewed in a plan view, an 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overlap is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막에 의한 반투과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적어도 상기 반투과막 및 차광막이, 상기 반투과막이 상기 차광막보다 상기 투명 기판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된 적층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명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에, 적어도 상기 반투과막 및 상기 차광막이, 상기 반투과막이 상기 차광막보다 상기 투명 기판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블랭크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노출된 상기 반투과막을 제거하는 공정과,
차광막을 포함하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과 상기 반투과막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외주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형성하는, 포토 마스크의 제조방법.
a transflective region formed of a transflective film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aminate region in which at least the transflect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are stack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uch that the transflective film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rather than the light-shield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having a transparent region to which a substrate is exposed, comprising:
preparing a mask blank formed by laminating at least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o that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than the light-shielding film;
forming a first photoresist film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and drawing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respect to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a writing device to form a first photoresist pattern;
removing a part of the light-shielding film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removing the exposed semi-permeable membrane;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and writing the second photoresist film with a writing device to form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nd removing a portion of the light blocking film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a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and forming the pattern forming region so that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막에 의한 반투과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차광막 및 상기 반투과막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명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투명 기판의 표면에 차광막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블랭크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차광막을 포함하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반투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투과막의 표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투과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과 상기 반투과막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외주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형성하는, 포토 마스크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comprising: a transflective region on a transparent substrate by a transflective film; a laminate region in which a light blocking film and the transflective film are stacked in this order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s,
A step of preparing a mask blank in which a light-shielding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orming a first photoresist film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a step of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by drawing on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a drawing device;
removing a portion of the light-shielding film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forming a semi-transmissive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on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a step of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by drawing on the second photoresist film with a drawing device;
and removing a portion of the semi-transmissive layer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a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and forming the pattern forming region so that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막에 의한 반투과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적어도 상기 반투과막 및 차광막이, 상기 반투과막이 상기 차광막보다 상기 투명 기판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된 적층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명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에, 적어도 상기 반투과막 및 상기 차광막이, 상기 반투과막이 상기 차광막보다 상기 투명 기판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블랭크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노출된 상기 반투과막을 제거하는 공정과,
차광막을 포함하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투과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과 상기 반투과막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외주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형성하는, 포토 마스크의 제조방법.
a transflective region formed of a transflective film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aminate region in which at least the transflect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are stack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uch that the transflective film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rather than the light-shield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having a transparent region to which a substrate is exposed, comprising:
preparing a mask blank formed by laminating at least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shielding film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o that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than the light-shielding film;
forming a first photoresist film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and drawing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respect to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a writing device to form a first photoresist pattern;
removing a portion of the light-shielding film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removing the exposed semi-permeable membrane;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and drawing the second photoresist film with a writing device to form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and removing a portion of the semi-transmissive layer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a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and form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such that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막에 의한 반투과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차광막 및 상기 반투과막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영역과,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명 영역을 구비한 포토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투명 기판의 표면에 차광막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스크 블랭크의 표면에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차광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차광막을 포함하는 상기 포토 마스크의 전체면에 반투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투과막의 표면에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묘화 장치로 묘화하여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투과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과 상기 반투과막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 형성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의 외주부에서의 소정 면적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제 1 영역 내의 투과율보다 상기 제 2 영역 내의 투과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패턴 형성 영역을 형성하는, 포토 마스크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comprising: a transflective region on a transparent substrate by a transflective film; a laminate region in which a light blocking film and the transflective film are stacked in this order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s,
A step of preparing a mask blank in which a light-shielding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orming a first photoresist film on the surface of the mask blank;
a step of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by drawing on the first photoresist film with a drawing device;
removing a portion of the light-shielding film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forming a semi-transmissive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mask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ilm;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on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a step of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by drawing on the second photoresist film with a drawing device;
and removing a portion of the semi-transmissive layer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mask,
Whe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a central por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and forming the pattern formation region such that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region is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포토 마스크를 사용해 피전사 기판에 원하는 레지스트 형상을 형성하는 레지스트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레지스트 형성 공정은,
상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레지스트에 대해서 노광을 실시하는 노광 공정과,
노광한 상기 레지스트를 현상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레지스트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resist forming step of forming a desired resist shape on a transfer target substrate using the photomask of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resist forming process is
an exposure step of exposing the resist through the photomask;
and developing the exposed resist to form the desired resist shape.
KR1020210114663A 2020-12-25 2021-08-30 Photomask,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200927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7732 2020-12-25
JPJP-P-2020-217732 2020-12-25
JPJP-P-2021-094790 2021-06-04
JP2021094790A JP6993530B1 (en) 2020-12-25 2021-06-04 Photomask, photomask manufacturing metho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775A true KR20220092775A (en) 2022-07-04

Family

ID=8021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663A KR20220092775A (en) 2020-12-25 2021-08-30 Photomask,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93530B1 (en)
KR (1) KR20220092775A (en)
CN (1) CN114114827A (en)
TW (1) TW20222582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5016A (en) 2016-09-13 2018-03-22 Hoya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mask,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389B1 (en) * 1995-02-16 1999-01-15 윤종용 A mask and the method of pattern forming using the same
JP2001272769A (en) 2000-03-27 2001-10-05 Rohm Co Ltd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s well as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2202583A (en) 2000-11-06 2002-07-19 Nikon Corp Method for producing mask,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element using the same,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element, method for producing exposure system using optical element produced by this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aberration measuring device
JP4296943B2 (en) 2003-01-28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Exposure mask manufacturing method, exposure method, and three-dimensional shape manufacturing method
JP2006258930A (en) 2005-03-15 2006-09-28 Nikon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e for microlens
JP3898217B1 (en) 2006-05-30 2007-03-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35452B2 (en) 2007-03-26 2012-05-23 凸版印刷株式会社 Gray mask and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for gray mask
TWI446105B (en) 2007-07-23 2014-07-21 Hoya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method of transferring a pattern, photomask and database
TWI461833B (en) 2010-03-15 2014-11-21 Hoya Corp Multi-tone photomask,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tone photomask, and pattern transfer method
JP5917020B2 (en) 2010-06-29 2016-05-11 Hoya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mask blank and multi-tone mask
US10032757B2 (en) 2015-09-04 2018-07-24 Hong Kong Beida Jade Bird Display Limited Projection display system
JP6302502B2 (en) 2016-04-15 2018-03-28 Hoya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photo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photoma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5016A (en) 2016-09-13 2018-03-22 Hoya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mask,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14827A (en) 2022-03-01
JP2022103021A (en) 2022-07-07
TW202225825A (en) 2022-07-01
JP6993530B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678B1 (en) graytone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3348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ray tone mask
JP6335735B2 (en) Photomask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07003849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ray tone mask and gray tone mask
KR20080107242A (en) Photo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hotomask,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such photomask and mask data creating method
JP6259509B1 (en) Halftone mask, photomask bl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alftone mask
KR20080069923A (en) Graytone mask and pattern transfer method
JP2016071059A5 (en)
KR20110110010A (en) Multi-gray scale photomask,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gray scale photomask, blank for multi-gray scale photomask, and pattern transfer method
KR20160010322A (en) Photomask, the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mask, photomask blank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05911812B (en) Photomask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hoto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110081108A (en) Process for producing photomask, photo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JP2008116517A (en) Halftone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6156857A5 (en)
KR20220092775A (en) Photomask,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TWI777402B (en) Photomask for use in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7582396B2 (en) Hybrid phase-shift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1103338A (en) Photo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040069945A (en) Photo mask,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 mask
JP5907634B2 (en) Optical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JP7489358B2 (en) How to fix the pattern
JP2009037203A (en) Method for forming pattern,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hotomask
JPH0590130A (en) Phase difference exposure method and phase difference mask used therein
JPH08255737A (en) Resist pattern formation
JPH10123694A (en) Manufacture of phase shift mask, phase shift mask and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th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