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917A -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917A
KR20220091917A KR1020200183125A KR20200183125A KR20220091917A KR 20220091917 A KR20220091917 A KR 20220091917A KR 1020200183125 A KR1020200183125 A KR 1020200183125A KR 20200183125 A KR20200183125 A KR 20200183125A KR 20220091917 A KR20220091917 A KR 20220091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hemical liquid
chemical
vacuum clea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종
Original Assignee
지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917A/ko
Publication of KR2022009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본체에 집진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배기홀을 감싸면서 흡입 본체에 착탈할 수 있게 형성되며 흡입본체의 흡입팬 가동시 메인 유입구로부터 흡입구를 거쳐 배기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유입 받아 분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출로를 갖는 풍력생성하우징과, 풍력생성 하우징의 송출로와 연통되어 약액이 유입될 수 있는 약액 유입로를 갖되 송출로를 통해 공기가 분무 토출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약액 유입로를 통해 약액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된 약액 흡입관을 구비한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본체에 결합하여 약액 분무를 수행할 수 있어 자원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chemical sprayer for vaccun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에 결합하여 약제를 분무하여 방역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 본체에 내장된 흡입모터로부터 흡입력이 발생시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과정에서 집진장치를 통해 공기 중의 오물을 여과 포집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특히,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공기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공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해 오물을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집진장치로서, 먼지 봉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배터리를 장착하여 무선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진공 청소기가 국내 등록특허 제10-1804502호, 국내 등록특허 제10-2027386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흡입을 통한 오물 포집 또는 물걸레 청소용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생활환경을 주기적으로 소독제로 멸균하는 방역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방역처리를 위해 별도의 방역장비를 구입하는데 대한 부담을 경감하면서 기존 진공 청소기를 활용하여 방역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진공청소기에 결합하여 약액 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는 내부의 흡입팬에 의해 생성된 흡입력에 의해 집진하우징의 토출구에 대응되게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측면에 형성된 배기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본체에 상기 집진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홀을 감싸면서 상기 흡입 본체에 착탈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흡입본체의 상기 흡입팬 가동시 메인 유입구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거쳐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유입 받아 분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출로를 갖는 풍력생성하우징과; 상기 풍력생성 하우징의 상기 송출로와 연통되어 약액이 유입될 수 있는 약액 유입로를 갖되 상기 송출로를 통해 공기가 상기 분무 토출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약액 유입로를 통해 약액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된 약액 흡입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풍력 생성하우징은 전방에 상기 메인유입구를 갖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본체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게 상기 흡입본체의 배기홀을 밀착상태로 감싸도록 연장되되 상기 배기홀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기 송출로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유입구가 형성된 내통부분과; 상기 내통부분의 상기 배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공간을 갖게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에 결합된 외통부분과; 상기 메인 유입공간과 연통되게 상기 외통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되 제1내경을 갖게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종단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제2부분을 갖는 제1연장관부분과; 상기 제1연장관부분의 상기 제1부분의 외측에서 상기 제2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부분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보조공간을 갖게 형성된 제3부분과,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부분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게 연장된 제4부분을 갖는 토출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3부분에 상기 약액흡입관이 접속된다.
또한, 상기 토출어댑터는 상기 제1연장관부분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부분의 상기 제2부분의 종단과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선회류를 생성하도록 중앙을 향하여 나선상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나선띠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약액흡입관에 저수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통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약액통에 저수된 약액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초음파 진동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본체에 결합하여 약액 분무를 수행할 수 있어 자원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분사장치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본체와의 착탈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본체에 약제분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 및 약제 흐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약제분사장치를 확대하여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흡입본체에 약제분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어댑터를 절단하여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토출어댑터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분사장치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본체와의 착탈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본체에 약제분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 및 약제 흐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약제분사장치를 확대하여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흡입본체에 약제분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100)는 풍력생성 하우징(110)과 약액 흡입관(150)를 구비한다.
풍력생성 하우징(110)은 진공 청소기(200)의 흡입 본체(210)에 탈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풍력생성 하우징(110)이 적용되는 진공 청소기(200)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진공 청소기(200)를 먼저 설명하면, 흡입본체(210), 집진하우징(220), 흡입관(230) 및 바닥 브러쉬(240)를 구비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200)는 지면에 접촉되는 바닥브러쉬(240)에 의해 흡입된 먼지가 흡입관(230)을 통해 집진하우징(220)을 통해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집진하우징(220) 내의 필터(222)에 의해 여과처리된다. 여기서, 집진하우징(220)은 흡입본체(210)의 흡입관(230)과 접속되는 종단관(211)에 상방으로 형성된 중계홀(212)을 통해 공기를 유입될 수 있게 되어 있고 필터(222)를 거친 공기는 토출구(224)를 통해 배출되게 되어 있다. 또한, 흡입본체(210)는 집진하우징(220)을 탈착할 수 있게 원통형상의 흡입하우징(210a)이 파지바디(210b) 및 종단관(2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흡입하우징(210a) 내부의 흡입팬(218)에 의해 생성된 흡입력에 의해 집진하우징(220)의 토출구(224)에 대응되게 형성된 흡입하우징(210a)의 흡입구(214)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우징(210a)의 외측면에 형성된 배기홀(216)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219는 흡입팬(218)을 구동하는 모터이다.
또한, 흡입본체(210)의 파지바디(210b)에는 모터(219)의 가동 및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조작버튼(252)과, 모터(219)의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6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200)에 대해 약액 분무용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집진 하우징(220)을 흡입하우징(210a)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흡입하우징(210a)에 풍력생성 하우징(110)을 결합하면 된다.
풍력생성 하우징(110)은 흡입 본체(210)에 집진하우징(220)이 분리된 상태에서 흡입본체(210)의 배기홀(216)을 감싸면서 흡입 본체(210)에 착탈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흡입본체(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흡입본체(210)의 흡입팬(218) 가동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풍력생성 하우징(110)은 흡입본체(210)이 형상에 따라 외기의 흡입 및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 형성된 송출로(111)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면 된다. 여기서 송출로(111)는 흡입본체(210)의 흡입팬(218) 가동시 메인 유입구(112)로부터 흡입본체(210)의 흡입구(214)를 거쳐 배기홀(216)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유입 받아 분무 토출구(13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공기 이동경로를 말한다.
풍력 생성하우징(110)을 구분하면, 내통부분(121), 외통부분(125), 제1연장관부분(127), 토출어댑터(130)를 구비한다.
내통부분(121)은 전방에 메인유입구(112)를 갖게 형성되어 메인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입본체(210)의 흡입구(214)를 통해 유입되게 흡입본체(210)의 배기홀(216)을 밀착상태로 감싸도록 연장된 부분이다.
내통부분(121)을 구분하면, 메인유입구(112)를 형성하는 선단으로부터 흡입하우징(210a)의 전면에 인접되게 연장되며 흡입하우징(210a)의 전면 굴곡패턴에 대응되게 다단으로 굴곡된 전방밀착부분(121a)과, 전방밀착부분(121a)의 종단에서 흡입하우징(210a)의 배기홀(216)이 형성된 외주면을 밀착상태로 덮게 연장되되 배기홀(216)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통부분(125)으로 이동되게 배기홀(216)과 대향되는 부분에 메인 유입공간(126)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유입구(123)가 형성된 측면밀착부분(121b)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분(125)은 내통부분(121)의 배기 유입구(12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공간(126)을 갖게 내통부분(121)의 외측에 결합된 부분이다. 외통부분(125)은 내통부분(121)을 에워싸게 내통부분(121)의 외주면과 대향되면서 메인 유입공간(126)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외통부분(125)은 결합대상 흡입본체(210)의 형상에 맞추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면 되고, 도시된 예에서 외통부분(125)의 하부는 흡입하우징(210a) 하부의 네크부분에 간섭되지 않고 진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부분절개처리된 절개부분(129)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제1연장관부분(127)은 송출로(1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속이빈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외통부분(125)의 폐쇄된 전면에서 메인 유입공간(126)과 연통되게 외통부분(12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다.
제1연장관부분(127)은 제1내경을 갖게 연장된 제1부분(127a)과, 제1부분(127a)의 종단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제2부분(127b)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어댑터(130)는 제1연장관부분(127)의 제1부분(127a)의 외측에서 제2부분(127b)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부분(127b)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보조공간(130a)을 갖게 형성된 제3부분(133)과, 제3부분(133)으로부터 제3부분(13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게 연장된 제4부분(13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4부분(134)의 종단에 노출되는 개구가 분무 토출구(131)가 된다.
또한, 토출어댑터(130)는 제1연장관부분(127)에 제3부분(133)을 통해 일정길이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게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약액 흡입관(150)은 풍력생성 하우징(110)의 송출로(111)와 연통되어 약액이 유입될 수 있는 약액 유입로(152)를 갖되 송출로(111)를 통해 공기가 분무 토출구(13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약액 유입로(152)를 통해 약액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약액 흡입관(150)은 제3부분(133)에 접속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참조부호 170은 약액이 저정된 약액통이며, 도시된 예와 다르게 약액흡입관(150)과 약액통(170) 사이에 중계호스를 연결하여 약액이 공급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약액 흡입관(150)에 저수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통(170)이 접속된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약액통(170)에 저수된 약액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약액의 분출효율을 향상시키는 초음파 진동기(180)가 약액통(170)에 장착된 구조를 적용한다. 이 경우 초음파 진동기(180)는 충전이 가능하며 가동조작에 의해 내장된 배터리(182)에 의해 가동될 수 있게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초음파 진동기(180)는 가동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면서 진공 청소기(200)에 마련된 전력공급단자와 접속을 지원하는 전력공급케이블(미도시)을 갖는 구조로 구축된 것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연장관부분(127)의 제2부분(127b)을 공기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져 압력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보조공간(130a)에 연통되게 접속된 약액 흡입관(150)을 통해 접속된 약액통(170)으로부터 저수된 약액이 흡입되어 공기와 함께 혼합되고 약액이 혼합된 공기가 분무토출구(131)를 통해 분무된다.
한편, 보조공간(130a)을 통해 유입된 약액과 공기와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부분(134)의 제2부분(127b)의 종단과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선회류를 생성하도록 중앙을 향하여 나선상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나선띠(136)를 갖는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토출어댑터(130)와 제1연장관부분(127)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약액흡입관(150)이 접속되는 부분이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게 하면된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본체에 결합하여 약액 분무를 수행할 수 있어 자원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풍력생성 하우징 150: 약액 흡입관
170: 약액통 180: 초음파진동기
200: 진공 청소기 210: 흡입 본체

Claims (4)

  1. 내부의 흡입팬에 의해 생성된 흡입력에 의해 집진하우징의 토출구에 대응되게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측면에 형성된 배기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본체에 상기 집진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홀을 감싸면서 상기 흡입 본체에 착탈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흡입본체의 상기 흡입팬 가동시 메인 유입구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거쳐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유입 받아 분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출로를 갖는 풍력생성하우징과;
    상기 풍력생성 하우징의 상기 송출로와 연통되어 약액이 유입될 수 있는 약액 유입로를 갖되 상기 송출로를 통해 공기가 상기 분무 토출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약액 유입로를 통해 약액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된 약액 흡입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생성하우징은
    전방에 상기 메인유입구를 갖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본체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게 상기 흡입본체의 배기홀을 밀착상태로 감싸도록 연장되되 상기 배기홀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기 송출로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유입구가 형성된 내통부분과;
    상기 내통부분의 상기 배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공간을 갖게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에 결합된 외통부분과;
    상기 메인 유입공간과 연통되게 상기 외통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되 제1내경을 갖게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종단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제2부분을 갖는 제1연장관부분과;
    상기 제1연장관부분의 상기 제1부분의 외측에서 상기 제2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부분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보조공간을 갖게 형성된 제3부분과,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부분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게 연장된 제4부분을 갖는 토출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3부분에 상기 약액흡입관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어댑터는 상기 제1연장관부분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부분의 상기 제2부분의 종단과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선회류를 생성하도록 중앙을 향하여 나선상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나선띠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약액흡입관에 저수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통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약액통에 저수된 약액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초음파 진동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KR1020200183125A 2020-12-24 2020-12-24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KR20220091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125A KR20220091917A (ko) 2020-12-24 2020-12-24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125A KR20220091917A (ko) 2020-12-24 2020-12-24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917A true KR20220091917A (ko) 2022-07-01

Family

ID=8239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125A KR20220091917A (ko) 2020-12-24 2020-12-24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9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981B1 (en) Combined nasal spray and aspirator device
US6658693B1 (en) Hand-held extraction cleaner with turbine-driven brush
KR100879081B1 (ko) 표면처리기구
EP1604603B1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CN109124465A (zh) 手持式吸尘器及其组合件、推杆式吸尘器
TW201635968A (zh) 具有吸塵器及基座之系統、吸塵器、基座及清空吸塵器之集塵室之方法
CA2522159A1 (en) Upright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telescopic wand assembly
KR20070071406A (ko) 진공청소기
CA2479475C (en) Bagless vacuum clean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KR20100116860A (ko) 진공청소기의 노즐 조립체
EP1604602B1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DK2547463T3 (en) Surface cleaning head and surface cleaning device
KR20220091917A (ko) 진공 청소기용 약제분사장치
CN106939893A (zh) 风扇组件
KR2005001927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KR20060106236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N216602762U (zh) 一种刷头及清洁器
CN214433975U (zh) 带有柔性管的表面清洁装置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CN216364907U (zh) 真空吸尘装置
KR102570849B1 (ko) 차량용 청소장치
CN107348903A (zh) 具有改进的细尘导出装置的吸气嘴
KR100386256B1 (ko) 배기순환 진공청소기
CN115227137B (zh) 真空吸尘器
CN218074785U (zh) 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