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752A -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752A
KR20220091752A KR1020200182777A KR20200182777A KR20220091752A KR 20220091752 A KR20220091752 A KR 20220091752A KR 1020200182777 A KR1020200182777 A KR 1020200182777A KR 20200182777 A KR20200182777 A KR 20200182777A KR 20220091752 A KR20220091752 A KR 2022009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ed car
information
service
vehicl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752A/ko
Priority to US17/331,111 priority patent/US20220204012A1/en
Publication of KR2022009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a selec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takes place i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차량 내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 내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제1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의 사용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커넥티드 카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현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 중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식별하고,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해 사용 방법을 안내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커넥티드 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CONNECTED CAR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능동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 적용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고객이 적용 중인 모든 기능/서비스를 인지하기 못해 일부 기능/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고객의 별도의 동의가 필요하거나, 고객이 부가 서비스에 별도로 가입해야 하는 경우, 또한, 고객이 특정 기능/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활성화 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 등은, 고객이 해당 기능/서비스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기/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기능/서비스가 추가되거나,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기/단말이 차량 양산 이후 추가로 장착되는 경우, 고객이 추가된 기능/서비스에 대해서 별도의 활성화 처리를 해야만 기능의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나, 고객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해당 기능/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 내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 내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제1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의 사용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현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 중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식별하고,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해 사용 방법을 안내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커넥티드 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은, 날씨정보, 교통정보, 재난정보, 및 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그리고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사용 중인 다른 사용자들의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 기능에 대한 사용패턴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이 상기 차량 내에서 비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 안내 정보에 더 포함시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플랫폼 또는 버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활성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앱의 메뉴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차량에 신규 차량 제어기/단말의 탑재 또는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 또는 상기 차량 내 차량 제어기/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인해 상기 차량 내에 신규 서비스/기능이 적용되면, 상기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을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차종, 상기 플랫폼, 상기 버전, 및 상기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서버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차량 내에 장착된 커넥티드 카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내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사용현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현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기능들 중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식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해 사용 방법을 안내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그리고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사용 중인 다른 사용자들의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 기능에 대한 사용패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및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최적 안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 안내 시점에 상기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날씨정보, 교통정보, 재난정보, 및 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안내 정보는,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이 상기 차량 내에서 비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 안내 정보에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내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제1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플랫폼 또는 버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활성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앱의 메뉴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에 신규 차량 제어기/단말의 탑재 또는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 또는 상기 차량 내 차량 제어기/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인해 상기 차량 내에 신규 서비스/기능이 적용됨에 따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부터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을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종, 상기 플랫폼, 상기 버전, 및 상기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해서는 능동적으로 사용을 유도하여,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완전한 이해 없이도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티드 카 서버(3)에 하나의 커넥티드 카 단말(1)이 연결되고, 하나의 커넥티드 카 단말(1)에 하나의 차량 제어기/단말(5)이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티드 카 서버(3)에는 하나 이상의 커넥티드 카 단말(1)이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의 커넥티드 카 단말(1)은 하나 이상의 차량 제어기/단말(5)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한 시스템에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차량에 탑재되며, 대응하는 차량 내의 차량 제어기/단말(5)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 커넥티드 카 서버(3) 또는 사용자 단말(4)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커넥티드 카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차량 제어기/단말(5)과 연동하여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주차 중, 주행 중, 탑승자 정보, 문 열림/닫힘), 대응하는 차량이 현재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등을 수집할 수도 있다.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등을 수집하면, 이를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전달할 수 있다.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자신이 탑재된 차량에 적용된, 즉 차량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의 리스트를 테이블화하여 관리하며,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리스트를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차량 제어기/단말(5)과의 연동을 통해 각 차량 제어기/단말(5)의 장착 여부, 및 자신이 탑재된 차량에 적용된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서비스/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단말(5)은 차량에 추가 장착되거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서비스/기능이 추가되는 경우, 새로 추가된 서비스/기능에 대한 정보를 커넥티드 카 단말(1)로 전달할 수 있다. 커넥티드 카 단말(1)은 또한 대응하는 차량 내 차량 제어기/단말(5)과 연동하여, 커넥티드 카 서비스 사용현황 즉,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현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아래 표 1은, 커넥티드 카 단말(1)이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전달하는 서비스/기능들의 리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다.
서비스/기능 활성화/비활성화 사용현황
a 활성화 사용
b 활성화 사용
c 활성화 미사용
d 활성화 미사용
e 활성화 사용
f 활성화 사용
z 활성화 사용
a+ 신규 추가, 활성화 사용
c+ 신규 추가, 활성화 사용
x 신규 추가, 별도 활성화 필요 미사용
y 신규 추가, 활성화 사용
t 신규 추가, 활성화 사용
표 1을 참조하면,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차량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의 리스트를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전달 시, 각 서비스/기능의 신규 추가 여부, 활성화 여부, 사용현황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커넥티드 카 서버(3)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 커넥티드 카 단말(1), 사용자 단말(4),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6)와 통신할 수 있다.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컨텐츠 제공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에 차량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컨텐츠 제공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34)는 컨텐츠 제공 서버(6)로부터 제공되는 날씨정보, 교통정보, 재난정보, 뉴스정보 등의 컨텐츠를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제공부(34)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6)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에 제공할 수 있다.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차종, 각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차량 제어기/단말(5)의 플랫폼 및 버전(하드웨어 버전 또는 소프트웨어 버전),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의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 등에 기초하여,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서비스/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31), 요금제정보 데이터베이스(32),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 및 서비스 관리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31)는, 차종, 플랫폼, 또는 버전(단말 버전 또는 소프트웨어 버전) 별로,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의 리스트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요금제정보 데이터베이스(32)는 요금제 별로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의 리스트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을 사용하여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고객 별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되는 고객정보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 가입된 각 사용자의 인구학적 정보(연령, 성별, 결혼 유무, 주소 등의 인구학적 정보 등), 차량정보(차량 모델정보, 승용/SUV 구분정보, 배기량정보, 연식정보, 엔진타입정보 등), 각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되는 고객정보는, 각 사용자의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대응하는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리스트,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현재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관리부(35)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해당 단말이 탑재된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리스트를 수신하며, 이를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35)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기능 리스트를, 서비스/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된 서비스/기능 리스트들과 비교하고,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기능 리스트에 대응하는 차종, 플랫폼, 또는 버전(단말 버전 또는 소프트웨어 버전)의 리스트에 없는 항목이 있을 경우, 해당 항목을 대응하는 차종, 플랫폼 또는 버전(단말 버전 또는 소프트웨어 버전)의 서비스/기능 리스트에 추가할 수도 있다.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기능들 중에는, 차종, 플랫폼, 버전(단말 버전 또는 소프트웨어 버전),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 등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는 항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관리부(35)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커넥티드 카 단말(1)에 대응하는 차종, 플랫폼, 버전(단말 버전 또는 소프트웨어 버전),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정보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커넥티드 카 단말(1)의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 중에서, 활성화가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을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35)는 커넥티드 카 단말(1)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 중 활성화가 가능한 것으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기능에 대해서는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35)는 커넥티드 카 단말(1)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4)로, 각 서비스/기능들의 활성화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4)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앱(app: application)(41)은 전체 메뉴 항목들 중 대응하는 커넥티드 카 단말(1)을 통해 사용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의 메뉴 항목들만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자신의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 중 커넥티드 카 서버(3)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커넥티드 카 서버(3)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의 서비스/기능 사용현황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의 사용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커넥티드 카 서버(3)는 빅데이터 분석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6)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사용현황정보,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6)는 이렇게 수집된 정보를 사용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6)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서비스 사용현황정보 등)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 결과와, 컨텐츠 제공 서버(6)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예를 들어, 날씨정보, 재난정보 등)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서비스/기능들 중 현재 미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식별하고,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한 사용 안내 정보의 최적 안내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6)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커넥티드 카 단말(1)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기능들 중 활성화된 상태이나 미 사용 중이거나, 비활성화된 상태인 서비스/기능에 대해 식별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6)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고객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각 서비스/기능 별로 해당 서비스/기능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의 사용패턴(예를 들어, 많이 사용하는 시점, 사용 시 주변환경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6)는 또한, 각 사용자의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차량의 위치정보, 상태정보 등)와 이에 따른 차량 주변환경정보(컨텐츠 제공 서버(6)로부터 제공되는 날씨정보, 재난정보, 교통정보 등)를, 각 서비스/기능에 대한 사용자들의 사용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해 대응하는 사용자가 미 사용 중인 각 서비스/기능에 대해 해당 서비스/기능의 필요 시점 또는 최적 사용 시점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부(36)는 이렇게 도출된 각 서비스/기능의 필요 시점 또는 최적 사용 시점 등을 토대로,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해 안내하기에 최적인 최적 안내 시점을 도출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6)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에서 활성화된 상태이나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 또는 이용 가능하나 비활성화 상태인 서비스/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획득한 최적 안내 시점에, 사용을 유도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대응하는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안내 정보는, 문자 메시지, 푸쉬(push) 메시지 등의 형태로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로 전달되며, 대응하는 서비스/기능에 정보와 사용 방법에 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안내 정보는, 대응하는 서비스/기능이 활성화되기 위해 별도의 가입 또는 기능 활성화가 필요한 상태이면, 가입 방법 또는 활성화 방법에 대한 안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안내 정보는, 대응하는 서비스/기능의 실행 메뉴, 대응하는 서비스/기능의 활성화 메뉴, 또는 대응하는 서비스/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가입 메뉴 등에 링크된 링크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4) 또는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커넥티드 카 서버(3)로부터 전술한 사용 안내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기능에 대해 확인한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기능을 사용하거나, 활성화가 필요한 기능/서비스인 경우에는 안내된 활성화 방법에 따라 활성화 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기/단말(5)은 대응하는 차량의 차량정보(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등), 또는 해당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대응하는 커넥티드 카 단말(1)에 전달할 수 있다(S10).
상기 S10 단계에서, 차량 제어기/단말(5)은 자신이 차량에 새롭게 장착되거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인해 자신이 지원하는 서비스/기능이 변경되면, 신규로 추가되거나 변경된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커넥티드 카 단말(1)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단말(5)로부터 차량정보 또는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이를 토대로 대응하는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 리스트를 생성하고(S11), 차량 제어기/단말(5)로부터 수집된 차량정보와,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 리스트를 커넥티드 카 서버(3)에 전달할 수 있다(S12).
상기 S11 단계에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초기에는 차량에 적용된 모든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리스트를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전달하고, 이후에는 차량에 신규로 추가되거나, 업데이트된 서비스/기능의 리스트만을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전달할 수 있다.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대응하는 차량의 차량정보와, 해당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 리스트를 수신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이들을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기능 리스트와, 대응하는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에 해당하는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S13). 또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활성화된 서비스/기능 리스트를 대응하는 커넥티드 카 단말(1)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4)로 전달할 수 있다(S14, S15).
상기 S13 단계에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에 대응하는 차종, 플랫폼, 버전(단말 버전 또는 소프트웨어 버전),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정보를 확인하고, 이들을 토대로 각 커넥티드 카 단말(1)의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 중에서, 자동으로 활성화가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 중 자동으로 활성화 가능한 것으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기능에 대해서는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커넥티드 카 서버(3)로부터 활성화된 서비스/기능의 리스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4)은, 이를 토대로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전체 메뉴 항목들 중 활성화된 서비스/기능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들만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여(S16)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커넥티드 카 서버(3)로부터 수신한 리스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기능들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S17). 이후,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차량 제어기/단말(5)과 연동하여 각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사용현황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현황정보를 커넥티드 카 단말(1)에 제공할 수 있다(S18).
이를 수신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기능들 중 미 사용된 서비스/기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19), 미 사용된 서비스/기능이 존재하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당 서비스/기능에 대한 사용 안내 정보의 최적 안내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S20).
상기 S19 단계에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각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커넥티드 카 단말(1)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기능들 중 활성화된 상태이나 미 사용 중이거나, 비활성화된 상태인 서비스/기능에 대해 식별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에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고객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각 서비스/기능 별로 해당 서비스/기능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의 사용패턴(예를 들어, 많이 사용하는 시점, 사용 시 주변환경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 또는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차량의 위치정보, 상태정보 등)와, 이에 따른 차량 주변환경정보(컨텐츠 제공 서버(6)로부터 제공되는 날씨정보, 재난정보, 교통정보 등)를, 각 서비스/기능에 대한 사용자들의 사용패턴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미 사용 중인 각 서비스/기능에 대해 최적 안내 시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이후,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상기 S19 단계를 통해 도출된 최적 안내 시점에 도달하면(S21),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의 사용을 유도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할 수 있다(S22).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4)은 수신된 사용 안내 정보를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앱(41)을 통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S23). 따라서, 이를 통해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기능에 대해 확인한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기능을 사용하거나, 활성화가 필요한 기능/서비스인 경우에는 안내된 활성화 방법에 따라 활성화 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에서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초기 설정 시, 차량 내 차량 제어기/단말(5)과 연동하여 자신이 탑재된 차량에서 적용 가능한 서비스/기능의 리스트를 아래의 표 2와 같이 생성한다.
서비스/기능 적용 유무(On/Off) 활성화 여부 (On/Off)
sos On Off
차량진단 On Off
원격시동 On Off
원격문열림 On Off
위 표 2를 참조하면, 커넥티드 카 단말(1)이 탑재된 차량에는 'sos', '차량 진단', '원격시동' 및 '원격문열림' 서비스/기능이 커넥티드 카 서비스 기능으로 적용되었으며, 초기 설정 시 이들 서비스/기능은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자신의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 리스트가 생성되면, 이를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전달한다. 이를 수신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에 대응하는 차종, 플랫폼, 버전, 가입 요금제 등을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확인한다. 또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에 대응하는 차종, 플랫폼, 버전,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 등에 기초하여, 커넥티드 카 단말(1)에서 활성화가 가능한 서비스/기능 리스트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기능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한다. 일 예로, 커넥티드 카 서버(3)는'sos', '차량 진단', '원격시동' 및 '원격문열림' 서비스/기능 모두 사용 가능한 경우,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아래의 표 3과 같이 sos', '차량 진단', '원격시동' 및 '원격문열림' 서비스/기능 모두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기능 적용 유무(On/Off) 활성화 여부 (On/Off)
sos On On
차량진단 On On
원격시동 On On
원격문열림 On On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설정이 완료되면, 활성화된 서비스/기능에 대한 정보를 커넥티드 카 단말(1) 및 사용자 단말(4)로 전달한다. 이를 수신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수신된 활성화 정보에 기초해 대응하는 서비스/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차량 제어기/단말(5) 또는 커넥티드 카 단말(1)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svm 연동 차량주변영상 확인' 및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이 신규로 차량에 적용됨에 따라,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아래 표 4와 같이 신규로 추가된 서비스/기능을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서비스/기능 리스트를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전달한다.
서비스/기능 적용 유무(on/off) 활성화 여부 (on/off)
sos On On
차량진단 On On
원격시동 On On
원격문열림 On On
svm 연동 차량 주변 영상 확인 On (신규 추가) Off
후석동승자알림 On (신규 추가) Off
이 때, 'svm 연동 차량주변영상 확인' 및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활성화 설정이 안된 상태이다.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업데이트된 서비스/기능 리스트를 수신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에 대응하는 차종, 플랫폼, 버전, 및 가입 요금제에서 활성화 가능한 서비스/기능들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신규로 추가된 서비스/기능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한다. 일 예로, 아래의 표 5에서와 같이 신규로 추가된'svm 연동 차량주변영상 확인'서비스/기능은 활성화가 가능하나,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은 고객의 별도의 동의, 활성화 처리, 또는 요금제 가입이 필요하여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기능 적용 유무(on/off) 활성화 여부 (on/off)
sos On On
차량진단 On On
원격시동 On On
원격문열림 On On
svm 연동 차량 주변 영상 확인 On (신규 추가) On
후석동승자알림 On (신규 추가) Off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규로 추가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설정이 완료되면, 활성화된 서비스/기능에 대한 정보를 커넥티드 카 단말(1) 및 사용자 단말(4)로 전달한다. 이를 수신한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수신된 활성화 정보에 기초해 신규 추가된 서비스/기능에 대해 활성화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즉,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신규로 추가된 서비스/기능들 중'svm 연동 차량주변영상 확인'서비스/기능은 활성화상태로 전환하고,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커넥티드 카 단말(1)은 자신의 차량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현황정보를 아래의 표 6에서와 같이 생성하여 커넥티드 카 서버(3)로 전달한다.
서비스/기능 적용 유무 (on/off) 활성화 여부 (on/off) 사용여부
sos On On 사용
차량진단 On On 사용
원격시동 On On 사용
원격문열림 On On 사용
svm 연동 차량 주변 영상 확인 On On 미사용
후석동승자알림 On Off 미사용
커넥티드 카 단말(1)로부터 서비스/기능들의 사용현황정보를 수신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현재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및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이 미 사용 중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티드 카 서버(3)는 활성화된 상태이나 미 사용 중인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서비스/기능과 관련하여,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서비스/기능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안내하는 사용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과 관련하여서는,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동의 방법, 활성화 처리 방법, 또는 요금제 가입 방법 등을 안내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커넥티드 카 서버(3)는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서비스/기능 및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을 사용 중인 다른 사용자들의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서비스/기능 및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 사용패턴과, 커넥티드 카 단말(1)이 적용된 차량의 차량정보(차량의 위치정보, 상태정보 등) 및 주변환경정보(컨텐츠 제공 서버(6)로부터 제공되는 날씨정보, 재난정보, 교통정보 등)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서비스/기능 및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과 관련된 사용 안내 정보의 전달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커넥티드 카 서버(3)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서비스/기능 및 후석동승자알림' 서비스/기능이 필요한 시점, 또는 사용 가능한 시점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안내 시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예로,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서비스/기능은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므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이 탑재된 차량의 주차 상태에 기초해 'svm 연동 차량주변 영상 확인' 서비스/기능에 대한 사용 안내 정보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후석 동승자 알림' 서비스/기능은 무더운 날씨, 또는 차량의 후석에 사람/애완동물이 탑승한 상태에서 주로 사용되므로, 커넥티드 카 서버(3)는 커넥티드 카 단말(1)이 탑재된 차량 주변의 날씨정보, 차량의 상태정보(동승여부) 등에 기초해 '후석 동승자 알림' 서비스/기능에 대한 사용 안내 정보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에 적용된 커넥티드 카 서비스/기능들 중에서, 대응하는 차종, 플랫폼, 버전, 가입 요금제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활성화가 가능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해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필요 시점, 사용 가능 시점 등을 예측하여, 사용자의 사용을 유도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서비스/기능 미사용을 줄여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기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커넥티드 카 단말
2: 통신 네트워크
3: 커넥티드 카 서버
4: 사용자 단말
5: 차량 제어기/단말
31: 서비스/기능 정보 데이터베이스
32: 요금제정보 데이터베이스
33: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
34: 컨텐츠 제공부
35: 서비스 관리부
36: 빅데이터 분석부
41: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앱

Claims (14)

  1. 차량 내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제1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의 사용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현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 중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식별하고,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해 사용 방법을 안내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커넥티드 카 서버를 포함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날씨정보, 교통정보, 재난정보, 및 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그리고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사용 중인 다른 사용자들의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 기능에 대한 사용패턴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이 상기 차량 내에서 비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 안내 정보에 더 포함시켜 전달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플랫폼 또는 버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활성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앱의 메뉴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을 활성화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차량에 신규 차량 제어기/단말의 탑재 또는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 또는 상기 차량 내 차량 제어기/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인해 상기 차량 내에 신규 서비스/기능이 적용되면,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을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커넥티드 카 서버는, 상기 차종, 상기 플랫폼, 상기 버전, 및 상기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 전달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시스템.
  8. 커넥티드 카 서버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커넥티드 카 단말로부터, 차량 내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사용현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현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기능들 중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식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에 대해 사용 방법을 안내하는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그리고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사용 중인 다른 사용자들의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 기능에 대한 사용패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및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최적 안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 안내 시점에 상기 사용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날씨정보, 교통정보, 재난정보, 및 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안내 정보는,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이 상기 차량 내에서 비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미 사용 중인 서비스/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 안내 정보에 더 포함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내에 적용된 서비스/기능들의 제1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의 플랫폼 또는 버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기능들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앱의 메뉴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을 활성화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신규 차량 제어기/단말의 탑재 또는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 또는 상기 차량 내 차량 제어기/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인해 상기 차량 내에 신규 서비스/기능이 적용됨에 따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부터 상기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을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종, 상기 플랫폼, 상기 버전, 및 상기 요금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 카 단말은,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에 대한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서비스/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82777A 2020-12-24 2020-12-24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220091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777A KR20220091752A (ko) 2020-12-24 2020-12-24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US17/331,111 US20220204012A1 (en) 2020-12-24 2021-05-2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nected car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777A KR20220091752A (ko) 2020-12-24 2020-12-24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752A true KR20220091752A (ko) 2022-07-01

Family

ID=8211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777A KR20220091752A (ko) 2020-12-24 2020-12-24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204012A1 (ko)
KR (1) KR20220091752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6223B2 (en) * 2017-06-16 2023-02-21 Honda Motor Co., Ltd. Vehicle and service manage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04012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013B2 (en) Methods for cloud processing of vehicle diagnostics
US11738659B2 (en) Vehicles and cloud systems for sharing e-Keys to access and use vehicles
US9680934B2 (en) Vehicle communication channel management
EP24821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emote location
US9426225B2 (en) Connected vehicle settings and cloud system management
US78491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exchange of vehicle related messages
US918990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igning e-keys to users to access and drive vehicles
US10251042B2 (en) Activity-triggered provisioning of portable wireless networks
US84680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access to vehicle data services through portals
US8258919B2 (en) Mobile device communications management
US20100131304A1 (en) Real time insurance generation
US77204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to a mobile vehicle
US20050227620A1 (en) Communication system
EP4128722B1 (en) Cloud-based real-time vehicle data sharing
IL264447B2 (en) Activity caused by the provision of mobile wireless networks
US95447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vehicle radio to control delivery of premium content to a smartphone
RU269390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с занимающими места людьми удале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dsrc
KR20220091752A (ko) 커넥티드 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N112541777A (zh) 一种用户行为数据分析方法及装置
US11941664B2 (en) Vehicle inventory and dealer-oriented advertisement campaign system
JP2019101452A (ja) 情報配信装置
CN116015774A (zh) 一种车机账户和生态应用账户联登联退方法和车机系统
JP4084225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20230281704A1 (en) Vehicle and method of guiding connected car service thereof
JP2018147245A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