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479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479A
KR20220091479A KR1020227013360A KR20227013360A KR20220091479A KR 20220091479 A KR20220091479 A KR 20220091479A KR 1020227013360 A KR1020227013360 A KR 1020227013360A KR 20227013360 A KR20227013360 A KR 20227013360A KR 20220091479 A KR20220091479 A KR 20220091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imaging
holding
module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타카 시라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9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G03B19/22Double camer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0Mountings or securing means for detachabl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 fixed by friction, plugs o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01L23/467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by flowing gases, e.g. a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258
    • H04N5/24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2개의 촬상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소형화가 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촬상 장치는, 제1 및 제2 촬상 모듈과, 프레임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은,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렌즈부와,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를 투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1 및 제2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방위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외부 환경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및 긴 변을 갖는 제1 및 제2 촬상 영역을 각각 촬상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본 기술은, 복수의 촬상 모듈을 갖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우로 배열하여 배치된 한 쌍의 촬상 모듈을 갖는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촬상 장치는, 예를 들어 깊이 방향의 정보를 취득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나, 서로 다른 2개의 촬상 영역의 화상을 동시에 취득 가능한 멀티 카메라 등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09724호 공보
상기의 촬상 장치에서는, 2개의 촬상 모듈의 간격을 작게 하면, 비네팅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의 촬상 장치에서는, 각 촬상 모듈에 대하여 각각 렌즈 플레어를 방지하기 위한 후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사정에 의해, 상기와 같은 촬상 장치에서는,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기술의 목적은, 2개의 촬상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소형화가 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는, 제1 및 제2 촬상 모듈과, 프레임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은,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렌즈부와,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를 투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1 및 제2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방위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외부 환경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및 긴 변을 갖는 제1 및 제2 촬상 영역을 각각 촬상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를 갖는다.
이 촬상 장치에서는, 2개의 촬상 모듈을 촬상 영역의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2개의 촬상 모듈의 간격을 작게 해도 비네팅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 촬상 장치에서는, 그 성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영역에서는, 상기 짧은 변이 연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긴 변이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부보다도 연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광축이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겹쳐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렌즈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가져도 된다.
이들의 구성에서는, 제1 촬상 모듈의 전방측의 공간이, 제2 촬상 모듈측에서 차폐된다. 이에 의해, 제1 촬상 모듈의 화각으로부터 제2 모듈측으로 벗어난 외광이 제1 렌즈부에 입사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접속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이 단일의 프레임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이 촬상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 거리가 상기 제2 렌즈부보다도 길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후방에 위치하는 제1 촬상 모듈의 제1 렌즈부의 초점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비네팅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촬상 장치는, 관통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전방측의 공간을 상기 긴 변을 따른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 한 쌍의 후드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후드부는, 상기 관통 구멍부를 통과한 외광이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에 입사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후드부는, 전방을 향하여 상기 긴 변을 따른 방향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관통 구멍부는, 상기 후드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관통 구멍부는,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의 구성에서는, 후드부에 관통 구멍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부의 흐림의 원인이 되는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전방측 공간에 있어서의 공기의 체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관통 구멍부를 마련한 것에 의한 외광의 영향이 제1 및 제2 촬상 모듈에 미치기 어렵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전방측의 공간을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의 상기 제1 촬상 모듈측으로부터 덮는 셰이드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화각으로부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의 제1 촬상 모듈측으로 벗어난 외광이 제1 및 제2 렌즈부에 입사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상기 촬상 장치는, 차량 탑재 카메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촬상 장치는, 프런트 센싱 카메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촬상 장치의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촬상 장치의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촬상 장치의 도 1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촬상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촬상 장치를 탑재한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운전 보조 기능을 실현 가능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상기 구동 제어 시스템에 의한 구동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상기 구동 제어 시스템의 산출 처리부에 의한 선행 차량과의 차간 거리의 산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구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자동 운전 기능을 실현 가능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상기 구동 제어 시스템에 의한 구동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촬상 장치(1)의 개략 구성]
이하,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는, 공통의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이 도시되어 있다. X축, Y축 및 Z축은, 전체 도면에 있어서 공통이다. 각 도면에 도시되는 촬상 장치(1)의 자세로는, XY 평면이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Z축이 연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는, 촬상 장치(1)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촬상 장치(1)의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촬상 장치(1)의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촬상 장치(1)의 도 1의 C-C'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촬상 장치(1)는, 자동차에 탑재 가능한 차량 탑재 카메라이고, 보다 상세하게, 자동 운전이나 운전 지원 등에 이용 가능한 화상을 생성하는 프런트 센싱 카메라로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1)는, X축 방향의 전방을 촬상 방위로 하고, 즉 X축 방향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외부 환경(E)을 촬상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상 장치(1)는, 전형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윈드실드(M01)의 내측에 전방을 향하여 설치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는, 전방으로 펼쳐지는 외부 환경(E)을 윈드실드(M01) 너머로 촬상 가능하다. 촬상 장치(1)는, 외부 환경(E)을 촬상하기 위한 제1 촬상 모듈(30) 및 제2 촬상 모듈(40)을 구비한다.
제1 촬상 모듈(30)은,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광축(P30)을 갖고, 제1 통 형상부(31)와, 제1 렌즈부(32)와, 제1 촬상 소자 기판(33)을 포함한다. 제1 통 형상부(31)는, 광축(P30)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 부재이다. 제1 통 형상부(31)에는, 전단부에 제1 렌즈부(32)가 마련되고, 후단부에 촬상 소자 기판(33)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촬상 소자 기판(33)은, YZ 평면을 따라 연장되고, 전방을 향한 주면에 마련된 제1 촬상 소자(33a)를 갖는다. 제1 촬상 소자 기판(33)은, 제1 촬상 소자(33a)가 제1 통 형상부(31) 내에 수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촬상 모듈(30)은, 제1 렌즈부(32)를 투과한 광이 제1 촬상 소자(33a)에 있어서 결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촬상 모듈(40)은, 광축(P30)의 상방에 겹치는 위치에서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광축(P40)을 갖고, 제2 통 형상부(41)와, 제2 렌즈부(42)와, 제2 촬상 소자 기판(43)을 포함한다. 제2 통 형상부(41)는, 광축(P40)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 부재이다. 제2 통 형상부(41)에는, 전단부에 제2 렌즈부(42)가 마련되고, 후단부에 제2 촬상 소자 기판(43)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촬상 소자 기판(43)은, YZ 평면을 따라 연장되고, 전방을 향한 주면에 마련된 제2 촬상 소자(43a)를 갖는다. 제2 촬상 소자 기판(43)은, 제2 촬상 소자(43a)가 제2 통 형상부(41) 내에 수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촬상 모듈(40)은, 제2 렌즈부(42)를 투과한 광이 제2 촬상 소자(43a)에 있어서 결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 소자 기판(33, 43)에 마련하는 촬상 소자(33a, 43a)는, 특정 종류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 소자(33a, 43a)로서,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촬상 장치(1)의 구성은, 촬상 소자(33a, 43a)가 세로 4.32mm, 가로 8.64mm의 사이즈(1/1.7형)로 수M 픽셀 이상(특히, 7M 픽셀 이상)의 화소수를 갖고, 또한 렌즈부(32, 42)의 초점 위치 어긋남의 허용 범위가 수㎛(예를 들어, ±3㎛) 이내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기술의 촬상 장치(1)의 구성은, 촬상 소자(33a, 43a)가 1/1.7형으로 화소수가 7M 픽셀의 구성보다도 화소의 밀도가 높고, 또한 렌즈부(32, 42)의 초점 위치 어긋남의 허용 범위가 수㎛(예를 들어, ±3㎛) 이내인 경우에도 특히 적합하다.
또한, 촬상 소자 기판(33, 43)에는, 촬상 소자(33a, 43a) 이외의 각종 부품이 실장되어 있어도 된다. 촬상 소자 기판(33, 43)에는, 예를 들어 촬상 모듈(30, 40)에 의해 촬상한 화상에 대하여 자동 운전이나 운전 지원에 이용 가능하도록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 등을 실장할 수 있다.
촬상 장치(1)에서는, 제1 촬상 모듈(30)의 제1 렌즈부(32)와 제2 촬상 모듈(40)의 제2 렌즈부(42)가 서로 다른 초점 거리의 고정 초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부(32)의 초점 거리는, 제2 렌즈부(42)의 초점 거리보다도 길다. 즉, 제1 촬상 모듈(30)의 화각은, 제2 촬상 모듈(40)의 화각보다도 작다.
촬상 장치(1)는, 제1 촬상 모듈(30)에 의해 외부 환경(E)에 있어서의 먼 거리의 영역 화상을 생성 가능하고, 제2 촬상 모듈(40)에 의해 외부 환경(E)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부근 영역 화상을 생성 가능하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에서는, 외부 환경(E)에 있어서의 먼 거리 및 부근의 상세한 정보를 동시에 취득 가능하게 된다.
또한, 촬상 모듈(30, 40)의 렌즈부(32, 42)는, 도 2 내지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일의 렌즈를 포함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렌즈가 조합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각 촬상 모듈(30, 4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일례로서, 반사 미러나 프리즘 등의 다른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5에는, 외부 환경(E)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가 촬상 가능한 영역으로서, 제1 촬상 모듈(30)에 의해 촬상 가능한 제1 촬상 영역(R1)과, 제2 촬상 모듈(40)에 의해 촬상 가능한 제2 촬상 영역(R2)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외부 환경(E)이 타원 형상의 영역으로서 모식적으로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촬상 모듈(30, 40)의 촬상 영역(R1, R2)은 모두, Z축을 따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짧은 변(QS)과 Y축을 따른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변(QL)을 갖는 직사각 형상이다. 제1 촬상 모듈(30)의 제1 촬상 영역(R1)의 짧은 변(QS) 및 긴 변(QL)은 모두, 제2 촬상 모듈(40)의 제2 촬상 영역(R2)의 짧은 변(QS) 및 긴 변(QL)보다도 작다.
촬상 장치(1)에서는,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모듈(30, 40)이, 상하 방향, 즉 촬상 영역(R1, R2)의 짧은 변(QS)을 따른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촬상 모듈(30, 40)에서는, 모두 짧은 변(QS)을 따른 방향으로 화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서로 화각이 차단되기 어려워진다.
즉,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 모듈(30, 40)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작게 해도 비네팅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 모듈(30, 40)의 간격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에서는, 운전자에 있어서의 전방의 시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촬상 장치(1)의 상세 구성]
촬상 장치(1)는, 프레임부(10)와, 하우징부(20)를 더 구비한다. 프레임부(10)는, 하우징부(20) 및 촬상 모듈(30, 40)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로서 구성된다. 프레임부(10)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를 사용한 사출 성형법이나, 금속 재료를 사용한 판금 가공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부(20)는,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부재로서 구성되고, 그 내부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부(20)는, 프레임부(10)의 후방측의 약 절반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프레임부(10)를 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부(20)의 내부에는, 프레임부(10)에 의해 폐색된 폐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10)는, 제1 보유 지지부(11)와, 제2 보유 지지부(12)와, 접속부(13)를 갖는다. 보유 지지부(11, 12)는, YZ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 형상이다. 접속부(13)는, XY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 형상이다. 프레임부(10)에서는, 보유 지지부(11, 12) 및 접속부(13)가 모두 하우징부(20)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프레임부(10)에서는, 제2 보유 지지부(12)가, 제1 보유 지지부(11)의 상측의 위치에, 제1 보유 지지부(11)에 대하여 전방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13)는, 하방에 위치하는 제1 보유 지지부(11)의 상단부와, 상방에 위치하는 제2 보유 지지부(12)의 하단부를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고, 보유 지지부(11, 12) 사이에 전후 방향의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보유 지지부(11)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개구부(1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보유 지지부(12)에는, X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개구부(12a)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11a, 12a)는, 보유 지지부(11, 12)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촬상 모듈(30, 40)의 삽입 관통 구멍으로서 구성된다.
촬상 모듈(30, 40)은, 보유 지지부(11, 12)의 후방측부터 전방을 향하여, 개구부(11a, 12a)에 삽입 관통된다. 촬상 모듈(30, 40)에서는, 통 형상부(31, 4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부(31a, 41a)가 마련되고, 통 형상부(31, 41)가 플랜지부(31a, 41a)에 있어서 보유 지지부(11, 12)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촬상 모듈(30, 40)은, 통 형상부(31, 41)가 보유 지지부(11, 12)에 의해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촬상 모듈(30, 40)에서는, 렌즈부(32, 42)가 보유 지지부(11, 12)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촬상 소자 기판(33, 43)이 보유 지지부(11, 12)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1 촬상 모듈(30)의 제1 렌즈부(32)는, 제2 보유 지지부(1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상방으로부터 접속부(13)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촬상 모듈(30)에서는, 화각으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난 외광이, 접속부(13)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제1 렌즈부(32)에 입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프레임부(10)에서는, 적어도 보유 지지부(11, 12) 및 접속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즉 일련의 일체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 모듈(30, 40)이 프레임부(10)에 의해 일괄하여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촬상 모듈(30, 40)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프레임부(10)는, 촬상 모듈(30, 40)의 전방측의 공간(V)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차폐하는 제1 셰이드부(14) 및 제2 셰이드부(15)를 더 갖는다. 제1 셰이드부(14)는 제1 보유 지지부(11)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2 셰이드부(15)는 제2 보유 지지부(12)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1 셰이드부(14)는, 전방으로의 연장 돌출량이 크고, 전형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윈드실드(M01)의 내면까지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 모듈(30, 40)의 화각보다도 하측으로부터의 반사광 등의 외광이 렌즈부(32, 42)에 입사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화각이 작은 제1 렌즈부(32)를 갖는 제1 촬상 모듈(30)을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제1 셰이드부(14)에 의한 비네팅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다. 또한, 촬상 모듈(30, 40)에서는 모두, 상하 방향의 화각이 작기 때문에, 제1 셰이드부(14)를 근접하여 배치 가능하다.
제2 셰이드부(15)는, 전방으로의 연장 돌출량이 작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에서는, 화각이 큰 제2 렌즈부(42)를 갖는 제2 촬상 모듈(40)에 있어서의 제2 셰이드부(15)에 의한 비네팅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다. 제2 셰이드부(15)의 연장 돌출량은, 제2 촬상 모듈(40)의 화각을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결정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부(10)는, 촬상 모듈(30, 40)의 전방측 공간(V)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각각 차폐하는 한 쌍의 후드부(16a, 16b)를 더 갖는다. 후드부(16a, 16b)는, 셰이드부(14, 15)를 상하 방향으로 접속하고, 보유 지지부(11, 12)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좌우 방향으로 광폭으로 되는 테이퍼상으로 연장된다.
후드부(16a, 16b)는, 촬상 모듈(30, 40)의 화각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벗어난 외광이 렌즈부(32, 42)에 입사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또한, 후드부(16a, 16b)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광폭으로 되는 테이퍼상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촬상 모듈(30, 40)의 화각을 가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후드부(16a, 16b)에는, 촬상 모듈(30, 40)의 전방측 공간(V)을 외부와 접속하는 관통 구멍부(17a, 17b)가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부(17a, 17b)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S)으로 구성된다. 관통 구멍부(17a, 17b)의 각 슬릿(S)은, X축 방향을 따라서 후드부(16a, 16b)를 관통하고 있다.
촬상 장치(1)에서는, 관통 구멍부(17a, 17b)에 의해 후드부(16a, 16b) 사이에 있어서의 공간(V)의 통기가 확보되기 때문에, 공간(V)에 있어서의 공기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 모듈(30, 40)에 있어서의 렌즈부(32, 42)의 흐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드부(16a, 16b)에서는, 관통 구멍부(17a, 17b)가 슬릿(S)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 구멍부(17a, 17b)를 통과한 광이 공간(V)에 있어서 퍼지기 어렵다. 또한, 후드부(16a, 16b)에서는, 슬릿(S)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슬릿(S)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통과한 광이 촬상 모듈(30, 40)에 입사하기 어렵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후드부(16a, 16b)가, 관통 구멍부(17a, 17b)를 통과한 외광이 촬상 모듈(30, 40)의 렌즈부(32, 42)에 입사하지 않는 구성이면 된다. 즉, 관통 구멍부(17a, 17b)는, 복수의 슬릿(S)을 포함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단일의 슬릿(S)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복수의 원형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촬상 장치(1)는, 회로 기판(50)을 더 구비한다. 회로 기판(50)은, 예를 들어 접속부(13) 상에 배치할 수 있다. 회로 기판(50)에는, 촬상 장치(1)에 필요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회로 기판(50)에는, 예를 들어 촬상 모듈(30, 40)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송신하기 위한 차내 통신부 등을 실장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시스템(100)]
(개략 설명)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을 탑재한 자동차(M)의 사시도이다. 자동차(M)는, 투명한 유리 창으로서, 전방에 배치된 윈드실드(프런트 윈도우)(M01)와, 후방에 배치된 리어 윈도우(M02)와, 양측방에 배치된 사이드 윈도우(M03)를 갖는다.
도 7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1)는, 윈드실드(M01)의 내측에 설치된 프런트 센싱 카메라로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1)는, 윈드실드(M01)의 폭 방향 중앙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는, 운전자의 시계를 가리는 일 없이, 자동차(M)의 전방의 풍경을 양호하게 촬상할 수 있다.
촬상 장치(1)가 탑재되는 자동차(M)는, 주행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그 내부에, 엔진이나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력 발생 기구(M11), 제동 기구(M12), 스티어링 기구(M13) 등을 구비한다. 또한, 자동차(M)는, 주위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주위 정보 검출부나,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측위부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의 촬상 장치(1)를 사용하여 자동차(M)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구동 제어 시스템(100)은,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사용하여, 자동차(M)의 구동력 발생 기구(M11), 제동 기구(M12), 스티어링 기구(M13) 등을 제어한다.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은, 압축 부호화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고화질의 화상 데이터(raw image data)의 상태에서, 구동 제어 시스템(100)에 보내진다.
구동 제어 시스템(100)은, 자동차(M)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실현 가능한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어 운전 보조 기능이나 자동 운전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운전 보조 기능 및 자동 운전 기능을 실현 가능한 구동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 보조 기능)
운전 보조 기능이란, 전형적으로는, 충돌 회피, 충격 완화, 추종 주행(차간 거리의 유지), 차속 유지 주행, 충돌 경고, 레인 일탈 경고 등을 포함하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기능이다. 구동 제어 시스템(100)은, 이들의 운전 보조 기능을 실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운전 보조 기능을 실현 가능한 구동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구동 제어 시스템(100)은, 촬상 장치(1)와, 처리부(110)와, 정보 생성부(120)와, 구동 제어부(130)를 갖는다. 처리부(110)는, 화상 처리부(111)와, 인식 처리부(112)와, 산출 처리부(113)를 갖는다.
구동 제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은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FlexRay(등록 상표) 등의 임의의 규격에 준거한 차량 탑재 통신 네트워크이면 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구동 제어 시스템(100)에 의한 구동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제어 방법은, 촬상 스텝 ST11, 화상 처리 스텝 ST12, 인식 처리 스텝 ST13, 물체 정보 산출 스텝 ST14, 구동 제어 정보 생성 스텝 ST15 및 구동 제어 신호 출력 스텝 ST16을 포함한다.
촬상 스텝 ST11에서는, 촬상 장치(1)가 자동차(M)의 전방의 풍경을 윈드실드(M01) 너머로 촬상하여 미처리 화상을 생성한다. 촬상 장치(1)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50)에 실장된 차내 통신부에 의해 미처리 화상을 처리부(110)에 송신한다.
처리부(110)는, 전형적으로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구성되고, 촬상 장치(1)가 생성한 미처리 화상을 처리한다. 보다 상세하게, 처리부(110)에서는, 화상 처리부(111)가 화상 처리 스텝 ST12를 행하고, 인식 처리부(112)가 인식 처리 스텝 ST13을 행하고, 산출 처리부(113)가 물체 정보 산출 스텝 ST14를 행한다.
화상 처리 스텝 ST12에서는, 화상 처리부(111)가 미처리 화상에 화상 처리를 추가하여 처리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111)에 의한 화상 처리는, 전형적으로는, 미처리 화상 중의 물체를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한 처리이고, 예를 들어 자동 노출 제어,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합성 등이다.
또한, 화상 처리 스텝 ST12에서는, 화상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촬상 장치(1)의 회로 기판(50)에 실장된 화상 처리부에 의해 행해도 된다. 또한, 화상 처리 스텝 ST12에 있어서의 모든 화상 처리를 촬상 장치(1)의 화상 처리부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처리부(110)에는 화상 처리부(111)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인식 처리 스텝 ST13에서는, 인식 처리부(112)가 처리 화상에 대하여 인식 처리를 행함으로써 처리 화상 중의 물체를 인식한다. 또한, 인식 처리부(112)가 인식하는 물체로서는, 3차원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차량, 보행자, 장애물, 신호기, 교통 표지, 도로의 차선(레인), 보도의 연석 등이 포함된다.
물체 정보 산출 스텝 ST14에서는, 산출 처리부(113)가 처리 화상 중의 물체에 관한 물체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 처리부(113)가 산출하는 물체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물체의 형상, 물체까지의 거리, 물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등을 들 수 있다. 산출 처리부(113)는, 동적인 물체 정보의 산출에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처리 화상을 사용한다.
산출 처리부(113)에 의한 물체 정보의 산출 방법의 일례로서, 선행 차량(MF)과의 차간 거리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화상 처리부(111)가 생성하는 처리 화상(G)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 화상(G)에는, 선행 차량(MF)과, 주행 레인을 규정하는 2개의 차선(L1, L2)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처리 화상(G) 중에서 2개의 차선(L1, L2)이 교차하는 소실점(U)을 구한다. 또한, 소실점(U)은, 차선(L1, L2)에 구애되지 않고, 다른 물체로부터 구해도 된다. 예를 들어, 산출 처리부(113)는, 보도의 연석이나, 복수의 처리 화상에 있어서의 교통 표지 등의 고정물의 이동 궤적 등을 사용하여 소실점(U)을 구할 수도 있다.
이어서, 처리 화상의 하부 에지부(G1)로부터 소실점(U)까지의 거리(D0)(화상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처리 화상의 하부 에지부(G1)로부터 선행 차량(MF)까지의 거리(D1)(화상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구한다. 선행 차량(MF)과의 차간 거리는, 거리(D0, D1)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D0)와 거리(D1)의 비율을 사용함으로써, 선행 차량(MF)과의 차간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중의 선행 차량(MF) 등의 대상물의 화소 위치에 기초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경우, 초점이 맞지 않는 화상에서는 물체의 검출 위치가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정밀도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 점, 본 기술에 관한 촬상 장치(1)에서는, 렌즈부(32, 42)의 초점 위치 어긋남의 허용 범위가 작은 구성에 의해, 대상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 가능하게 된다.
처리부(110)는, 스텝 ST12 내지 ST14에서 얻어진 처리 화상 및 물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정보 생성부(120)에 송신한다. 또한, 처리부(110)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상 처리부(111), 인식 처리부(112) 및 산출 처리부(113)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동 제어 정보 생성 스텝 ST15에서는, 정보 생성부(120)가 자동차(M)에 필요한 구동 내용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정보 생성부(120)는, 처리부(11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차(M)에 실행시켜야 할 구동 내용을 판단하고, 이 구동 내용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자동차(M)의 구동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어 속도의 변경(가속, 감속), 진행 방향의 변경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 정보 생성부(120)는, 자동차(M)와 선행 차량(MF)의 차간 거리가 작은 경우에는 감속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자동차(M)가 레인을 일탈할 듯한 경우에는 레인 중앙 근처로의 진행 방향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정보 생성부(120)는, 구동 제어 정보를 구동 제어부(130)에 송신한다. 또한, 정보 생성부(120)는, 구동 제어 정보 이외의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120)는, 처리 화상으로부터 주위 환경의 밝기를 검출하고, 주위 환경이 어두운 경우에 자동차(M)의 전조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구동 제어 신호 출력 스텝 ST16에서는, 구동 제어부(130)가 구동 제어 정보에 기초한 구동 제어 신호의 출력을 행한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130)는, 구동력 발생 기구(M11)에 의해 자동차(M)를 가속시키고, 제동 기구(M12)에 의해 자동차(M)을 감속시켜, 스티어링 기구(M13)에 의해 자동차(M)의 진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자동 운전 기능)
자동 운전 기능이란, 운전자의 조작에 구애되지 않고, 자동차(M)를 자율적으로 주행시키는 기능이다. 자동 운전 기능의 실현을 위해서는, 운전 보조 기능보다도 고도의 구동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구동 제어 시스템(100)은, 고화질의 미처리 화상을 생성 가능한 촬상 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자동 운전 기능을 실현 가능한 고도의 구동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실행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자동 운전 기능을 실현 가능한 구동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구동 제어 시스템(100)은, 도 8에 도시하는 각 구성에 추가하여, 처리부(110)에 포함되는 매핑 처리부(114) 및 패스 플래닝부(115)를 더 갖는다. 이하, 도 8에 도시하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구동 제어 시스템(100)에 의한 구동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구동 제어 방법은, 도 9에 나타내는 각 스텝에 추가하여, 매핑 처리부(114)에 의한 매핑 처리 스텝 ST21과, 패스 플래닝부(115)에 의한 패스 플래닝 스텝 ST22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핑 처리 스텝 ST21 및 패스 플래닝 스텝 ST22는, 물체 정보 산출 스텝 ST14와 구동 제어 정보 생성 스텝 ST15 사이에 실행한다. 패스 플래닝 스텝 ST22는, 매핑 처리 스텝 ST21의 후에 실행한다.
매핑 처리 스텝 ST21에서는, 매핑 처리부(114)가 처리 화상 및 물체 정보를 사용하여 공간 매핑을 행함으로써 디지털 지도를 제작한다. 매핑 처리부(114)가 제작하는 디지털 지도는, 자동 운전에 필요한 정적 정보 및 동적 정보가 조합되어 구성된 3차원 지도이다.
구동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촬상 장치(1)에 의해 고화질인 미처리 화상을 얻음으로써, 매핑 처리부(114)에 의해 고정밀의 디지털 지도를 제작 가능하다. 또한, 매핑 처리부(114)는, 촬상 장치(1)에 의한 미처리 화상 이외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정보량이 더 많은 디지털 지도를 제작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매핑 처리부(114)는, 자동차(M)에 구비된 주위 정보 검출부나 측위부 등으로부터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매핑 처리부(114)는, 차 밖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 밖 통신부를 통해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기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여러가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주위 정보 검출부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레이더 장치,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Laser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 장치 등으로서 구성된다. 매핑 처리부(114)는, 촬상 장치(1)로부터는 얻어지기 어려운 자동차(M)의 후방이나 측방 등의 정보도 주위 정보 검출부로부터 취득 가능하다.
측위부는, 예를 들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GNSS 신호(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측위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매핑 처리부(114)는, 측위부에서 자동차(M)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 가능하다.
차 밖 통신부는, 예를 들어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s), WiMAX(등록 상표), LTE(등록 상표)(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무선 LAN(Wi-Fi(등록 상표)라고도 함), Bluetooth(등록 상표) 등을 사용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패스 플래닝 스텝 ST22에서는, 패스 플래닝부(115)가 디지털 지도를 사용하여 자동차(M)의 진행 경로를 결정하는 패스 플래닝을 실행한다. 패스 플래닝에는, 예를 들어 도로 상의 빈 공간의 검출이나, 차량이나 인간 등의 물체의 이동 예측 등의 다양한 처리가 포함된다.
처리부(110)는, 패스 플래닝 스텝 ST22의 후에, 스텝 ST12 내지 ST14에서 얻어진 처리 화상 및 물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추가하여, 스텝 ST21, ST22에서 얻어진 디지털 지도나 패스 플래닝의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정보 생성부(120)에 일괄하여 송신한다.
구동 제어 정보 생성 스텝 ST15에서는, 정보 생성부(120)가 패스 플래닝 스텝 ST22에서 결정된 패스 플래닝과 같은 진행 경로에서 자동차(M)를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 내용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생성부(120)는, 생성한 구동 제어 정보를 구동 제어부(130)에 송신한다.
구동 제어 신호 출력 스텝 ST16에서는, 구동 제어부(130)가 구동 제어 정보에 기초한 구동 제어 신호의 출력을 행한다. 즉, 구동 제어부(130)는, 자동차(M)가 패스 플래닝과 같은 진행 경로에서 안전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구동력 발생 기구(M11), 제동 기구(M12) 및 스티어링 기구(M13) 등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물체 위치 검출, 측거, 디지털 지도 작성, 패스 플래닝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 초점이 맞지 않은 화상에서는 물체의 검출 위치가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정밀도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 점, 본 기술에 관한 촬상 장치(1)에서는, 렌즈부(32, 42)의 초점 위치 어긋남의 허용 범위가 작은 구성에 의해, 이러한 처리를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1)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모듈(30, 40)의 배치가 상기 실시 형태와는 반대여도 된다. 즉, 촬상 장치(1)에서는, 초점 거리가 긴 제1 렌즈부(32)를 갖는 제1 촬상 모듈(30)을 제2 보유 지지부(12)에 마련하고, 초점 거리가 짧은 제2 렌즈부(42)를 갖는 제2 촬상 모듈(40)을 제1 보유 지지부(11)에 마련해도 된다.
촬상 모듈(30, 40)의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는, 촬상 장치(1)의 구성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촬상 모듈(30, 40)의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는, 예를 들어 접속부(13)의 전후 방향의 치수나, 촬상 모듈(30, 40)에 있어서의 플랜지부(31a, 41a)의 광축(P30, P40)에 따른 위치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셰이드부(14, 15) 및 후드부(16a, 16b)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1)의 다른 구성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후드부(16a, 16b)는, 전방을 향하여 테이퍼상이 아닌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관통 구멍부(17a, 17b)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셰이드부(14, 15) 및 후드부(16a, 16b)의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부(10)로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즉 보유 지지부(11, 12) 및 접속부(13)와는 별체여도 된다. 게다가, 촬상 장치(1)에서는, 설계의 사정 등에 의해, 적절히, 셰이드부(14, 15) 및 후드부(16a, 16b)의 적어도 하나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프레임부(10)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1)의 다른 구성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부(11, 12)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단차를 형성하는 접속부(13)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또한 전후 방향의 단차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서 접속부(13)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촬상 모듈(30, 40)의 광축(P30, P40)의 적어도 한쪽은, 전방의 외부 환경(E)을 촬상 가능한 범위 내에 있어서 X축에 대하여 상하 좌우로 기울어 있어도 된다. 또한, 촬상 모듈(30, 40)에서는, 전방의 외부 환경(E)의 범위 내에 있어서 촬상 영역(R1, R2)의 짧은 변(QS) 및 긴 변(QL)이 Z축 및 Y축에 대하여 기울어 있어도 된다.
또한, 촬상 장치(1)는, 자동차에 한하지 않고, 여러가지 이동체에 적용 가능하다. 촬상 장치(1)를 적용 가능한 이동체로서는, 예를 들어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자동 이륜차, 자전거, 퍼스널 모빌리티, 비행기, 드론, 선박, 로봇, 건설 기계, 농업 기계(트랙터) 등을 들 수 있다.
게다가, 촬상 장치(1)는, 프런트 센싱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론트 뷰 카메라, 리어 센싱 카메라, 리어 뷰 카메라 등의 다른 차량 탑재 카메라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상 장치(1)는, 차량 탑재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촬상 영역(R1, R2)을 동시에 촬상하는 용도에 있어서 널리 이용 가능하다.
또한, 촬상 장치(1)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1)는, 3개 이상의 촬상 모듈을 갖고 있어도 되고, 즉 촬상 모듈(30, 40) 이외의 촬상 모듈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촬상 장치(1)는, 다른 기능을 갖는 장치와 조합되어서 일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8, 도 11에서는, 구동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으로서, 촬상 장치(1)와 다른 구성(블록)이 다른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구동 제어 시스템(100) 내의 임의의 블록은 촬상 장치(1) 내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촬상 장치(1) 내의 회로 기판(50)(또는 회로 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른 회로 기판) 상에 각 블록의 기능을 갖는 회로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부(111)가 촬상 장치(1) 내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촬상 장치(1) 내의 회로 기판(50)(또는 회로 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른 회로 기판) 상에 화상 처리부(111)의 기능을 갖는 회로가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처리부(110)가 촬상 장치(1) 내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촬상 장치(1) 내의 회로 기판(50)(또는 회로 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른 회로 기판) 상에 처리부(110)에 포함되는 각 블록의 기능을 갖는 회로가 배치된다.
또한, 구동 제어 시스템(100)을 하나의 장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촬상 장치(1) 내의 회로 기판(50)(또는 회로 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른 회로 기판) 상에 구동 제어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각 블록의 기능을 갖는 회로가 배치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1)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렌즈부와,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를 투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1 및 제2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방위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외부 환경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및 긴 변을 갖는 제1 및 제2 촬상 영역을 각각 촬상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촬상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를 갖는 프레임부
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2)
상기 (1)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영역에서는, 상기 짧은 변이 연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긴 변이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촬상 장치.
(3)
상기 (2)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부보다도 연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광축이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에 겹치는
촬상 장치.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
(6)
상기 (5)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렌즈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
(7)
상기 (6)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갖는
촬상 장치.
(8)
상기 (7)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접속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촬상 장치.
(9)
상기 (5)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 거리가 상기 제2 렌즈부보다도 긴
촬상 장치.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관통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전방측 공간을 상기 긴 변을 따른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 한 쌍의 후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후드부는, 상기 관통 구멍부를 통과한 외광이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에 입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촬상 장치.
(11)
상기 (10)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한 쌍의 후드부는, 전방을 향하여 상기 긴 변을 따른 방향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상이고,
상기 관통 구멍부는, 상기 후드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촬상 장치.
(12)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관통 구멍부는,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촬상 장치.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전방측 공간을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의 상기 제1 촬상 모듈측으로부터 덮는 셰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1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차량 탑재 카메라로서 구성되는
촬상 장치.
(15)
상기 (14)에 기재된 촬상 장치이며,
프런트 센싱 카메라로서 구성되는
촬상 장치.
1: 촬상 장치
10: 프레임부
11, 12: 보유 지지부
13: 접속부
14, 15: 셰이드부
16a, 16b: 후드부
17a, 17b: 관통 구멍부
20: 하우징부
30, 40: 촬상 모듈
31, 41: 통 형상부
32, 42: 렌즈부
33, 43: 촬상 소자 기판
33a, 43a: 촬상 소자
50: 회로 기판
P30, P40: 광축
R1, R2: 촬상 영역
QS: 짧은 변
QL: 긴 변

Claims (15)

  1.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렌즈부와,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를 투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1 및 제2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방위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외부 환경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및 긴 변을 갖는 제1 및 제2 촬상 영역을 각각 촬상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촬상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를 갖는 프레임부
    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영역에서는, 상기 짧은 변이 연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긴 변이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부보다도 연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광축이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에 겹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렌즈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갖는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유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접속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촬상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 거리가 상기 제2 렌즈부보다도 긴
    촬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전방측 공간을 상기 긴 변을 따른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 한 쌍의 후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후드부는, 상기 관통 구멍부를 통과한 외광이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에 입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촬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드부는, 전방을 향하여 상기 긴 변을 따른 방향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상이고,
    상기 관통 구멍부는, 상기 후드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촬상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부는,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촬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전방측 공간을 상기 짧은 변을 따른 방향의 상기 제1 촬상 모듈측으로부터 덮는 셰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차량 탑재 카메라로서 구성되는
    촬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프런트 센싱 카메라로서 구성되는
    촬상 장치.
KR1020227013360A 2019-11-07 2020-10-26 촬상 장치 KR20220091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2492 2019-11-07
JPJP-P-2019-202492 2019-11-07
PCT/JP2020/040114 WO2021090722A1 (ja) 2019-11-07 2020-10-26 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479A true KR20220091479A (ko) 2022-06-30

Family

ID=7584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360A KR20220091479A (ko) 2019-11-07 2020-10-2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052481B2 (ko)
EP (1) EP4057058A4 (ko)
JP (1) JPWO2021090722A1 (ko)
KR (1) KR20220091479A (ko)
CN (1) CN114616519B (ko)
WO (1) WO2021090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02957A1 (ja) * 2023-03-28 2024-10-0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複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724A (ja) 2017-01-06 2018-07-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7923A (ja) 2000-03-14 2001-09-21 Denso Corp 撮像装置
US8581982B1 (en) * 2007-07-30 2013-11-12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vehicle integration systems and methods
US9573525B2 (en) * 2012-08-27 2017-02-21 Gentex Corporation Mirror mounting assembly
JP2014216730A (ja) 2013-04-24 2014-11-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室内灯ユニット
WO2015186002A2 (en) * 2014-06-03 2015-12-10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 object
JP2016014564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ユニット
KR101724299B1 (ko) * 2015-02-04 2017-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리플 카메라
JP6519355B2 (ja) 2015-06-30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JP6288034B2 (ja) 2015-10-08 2018-03-0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補機装置
EP4283563A3 (en) * 2016-06-27 2024-05-29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Controlling host vehicle based on detected parked vehicle characteristics
US10356300B2 (en) * 2016-12-23 2019-07-16 Mediatek Inc. Seamless zooming on dual camera
US10232800B1 (en) * 2017-11-10 2019-03-19 Denson Corporation Camera module
US11181816B2 (en) 2017-11-10 2021-11-23 Denso Corporation Windshield-mounted camera module
US10406995B2 (en) * 2017-11-10 2019-09-10 Denso Corporation Camera module
JP6922705B2 (ja) 2017-12-06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ンサー搭載構造
JP6622332B2 (ja) 2018-02-13 2019-12-18 株式会社Subaru 車外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724A (ja) 2017-01-06 2018-07-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16519B (zh) 2024-09-13
JPWO2021090722A1 (ko) 2021-05-14
US20220345603A1 (en) 2022-10-27
EP4057058A1 (en) 2022-09-14
CN114616519A (zh) 2022-06-10
US12052481B2 (en) 2024-07-30
EP4057058A4 (en) 2022-12-21
WO2021090722A1 (ja)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9782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촬상 장치
CN110574357B (zh) 成像控制设备、用于控制成像控制设备的方法以及移动体
US11539868B2 (en) Imaging system and vehicle window used for the same
CN110603458A (zh) 光学传感器和电子设备
CN110073652B (zh) 成像装置以及控制成像装置的方法
US10882464B2 (en) Vehicle-mounted camera, vehicle-mounted camera apparatus, and method of supporting vehicle-mounted camera
JP4661339B2 (ja) 車両用移動物体検出装置
US20130342658A1 (en) Camera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210114949A (ko) 차량 탑재 카메라
US20240270179A1 (en) Vehicle-mounted camera
JP731096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11851007B2 (en) Vehicle-mounted camera and drive control system using vehicle-mounted camera
CN114616519B (zh) 成像设备
CN114175614B (zh) 车载相机及其制造方法
US11523070B2 (en) Solid-state imaging element,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lid-state imaging element
WO2020009172A1 (ja) カメラ
CN113454418A (zh) 车辆用传感系统及车辆
US2023037580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optical structure body
WO2024195323A1 (ja) 発光装置、及び測距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