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328A -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328A
KR20220091328A KR1020210074476A KR20210074476A KR20220091328A KR 20220091328 A KR20220091328 A KR 20220091328A KR 1020210074476 A KR1020210074476 A KR 1020210074476A KR 20210074476 A KR20210074476 A KR 20210074476A KR 20220091328 A KR20220091328 A KR 2022009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parator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영
오정수
하정민
김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PCT/KR2021/0145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39142A1/ko
Priority to US18/033,498 priority patent/US20230387449A1/en
Priority to EP21911209.1A priority patent/EP4210136A1/en
Priority to CN202180069617.7A priority patent/CN116325259A/zh
Publication of KR2022009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링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조립체 둘레부의 분리막 실링 시, 분리막이 컨트롤되지 않는 임의의 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며 실링되도록 하여, 타이트한 파우치 전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할 시 전극조립체 둘레부 분리막과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우수한 품질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실링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유닛은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조립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실링부에서 연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실링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며, 실링부는 실링 홈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 바닥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 및 바닥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ASSEMBLY, SEALING UNIT USED THEREFOR,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조립체 둘레부의 분리막 실링 시, 분리막이 컨트롤되지 않는 임의의 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며 실링되도록 하여, 타이트한 파우치 전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할 시 전극조립체 둘레부 분리막과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우수한 품질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화석 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 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지 등의 전력 저장 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전지를 사용하는 전자 모바일 기기와 전기 자동차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특히,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파우치형 전지의 경우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컵부가 형성된 파우치와 상기 컵부 내부로 삽입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전극조립체를 상기 컵부로 삽입 시 상기 전극조립체 둘레의 분리막과 상기 컵부 주변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둘레부, 특히 코너부에 대해서 실링 유닛을 이용하여 분리막을 실링한 후에 상기 컵부에 삽입을 하였다. 그런데 종래에는 민자 형상의 실링 블록을 이용하여 실링을 수행하였기에 전극조립체 둘레 분리막들이 컨트롤 되지 않는 임의의 방향으로 폴딩되면서 실링되었다.
그런데 다양한 최첨단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점점 더 높은 에너지 밀도가 요구되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파우치 케이스의 사이즈는 점점 더 타이트하게 변하게 되었고, 그 결과 종래의 실링을 통해 제작된 전극조립체는 파우치의 컵부에 삽입 시 둘레 분리막과 파우치 실링부 간의 간섭 발생이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이차전지의 품질 저하 문제가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전극조립체 둘레부의 분리막 실링 시, 분리막이 컨트롤되지 않는 임의의 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며 실링되도록 하여, 타이트한 파우치 전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할 시 전극조립체 둘레부 분리막과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우수한 품질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전극적층체를 제조하는 전극적층체 제조 단계,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을 준비하는 실링 유닛 준비 단계, 및 전극적층체의 둘레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리막을 실링홈 내로 삽입하고, 실링 유닛은 실링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리막을 실링하는 실링 단계를 포함한다.
실링 단계에서, 실링부는, 전극적층체의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전극적층체의 중앙부(O)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과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중앙부 쪽으로 모아 주면서 분리막을 실링할 수 있다.
실링 단계에서, 실링부는 전극적층체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분리막이 실링홈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막의 실링을 수행하고, 실링부는 실링 홈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 바닥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 및 바닥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을 이용하여 분리막을 실링할 수 있다.
실링 단계에서, 실링을 위해 전극적층체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분리막이 실링홈 내로 삽입 시, 전극적층체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경사면은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방향으로 폴딩시키고, 제2 경사면은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방향으로 폴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유닛은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적층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실링부에서 연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실링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며, 실링부는 실링 홈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 바닥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 및 바닥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을 포함한다.
바닥면의 길이(B)는 전극적층체 두께(H)의 80% ~ 90%에 해당하는 길이일 수 있다.
바닥면의 깊이(D)는 바닥면 길이의 40% ~ 50%에 해당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경사면이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α) 및 제2 경사면이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β)는 각각 120도 ~ 140도일 수 있다.
제1 경사면이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α) 및 제2 경사면이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β)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실링홈의 단면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링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선을 더 포함하고,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바닥면의 앞쪽 방향(F)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하고, 몸체부는 바닥면의 뒤쪽 방향(R)으로 연장하며, 에너지 공급선은 몸체부의 뒤편에서 몸체부의 내부 쪽으로 삽입되어 들어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고, 전극적층체의 둘레를 형성하는 복수의 분리막의 부분은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에 의하여 실링(Sealing)되어 있되, 전극적층체의 둘레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리막이 실링홈 내로 삽입되어 실링부에 의하여 실링처리 됨에 따라 복수의 분리막 부분이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을 수 있다.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앙부(O)의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의 부분인 상부 분리막 부분과, 중앙부(O)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의 부분인 하부 분리막 부분이 중앙부 쪽으로 모아지도록 폴딩되어 있을 수 있다.
실링(Sealing) 처리에 의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는 분리막의 부분은 둘레 중에서 코너부를 형성하는 분리막의 부분일 수 있다.
상부 분리막 부분이 중앙부쪽으로 폴딩되는 각도와, 하부 분리막 부분이 중앙부 쪽으로 폴딩되는 각도는 서로 대칭이 될 수 있다.
상부 분리막 부분과 하부 분리막 부분은 코너부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코너부는 모따기가 되어있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상기의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파우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은 전극조립체 둘레부의 분리막 실링 시, 분리막이 컨트롤되지 않는 임의의 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며 실링되도록 하여, 타이트한 파우치 전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할 시 전극조립체 둘레부 분리막과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우수한 품질의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전극적층체 및 전극적층체의 분리막을 실링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이 전극적층체의 코너부 분리막을 실링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의 실링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실링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에 의하여 분리막이 실링된 전극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파우치 리드 실링 과정과 추가 실링 과정을 통해 실링부를 형성하는 모습이 도시되는 이차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에 의하여 분리막이 실링된 또 다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실시예 1
도 1은 전극적층체 및 전극적층체의 분리막을 실링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이 전극적층체의 코너부 분리막을 실링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의 실링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전극적층체(10)를 실링하는 기구일 수 있다. 전극적층체(10)는 전극(11)과 분리막(12)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유닛(100)은 전극적층체(10)를 실링하는 실링부(110) 및 실링부(11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듯이 실링부(110)는 몸체부(130)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링부(110)에는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10)는 바닥면(113), 제1 경사면(111), 및 제2 경사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13)은 실링홈(114)의 바닥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경사면(111)은 바닥면(113)에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제2 경사면(112)은 바닥면(113)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전극적층체(10) 둘레부의 분리막(12) 실링 시, 분리막(12)이 컨트롤되지 않는 임의의 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적층체(10)는 복수의 분리막(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실링부(110)는 전극적층체(10)의 둘레부에서 복수의 분리막(12)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도록 실링할 수 있다. 즉, 분리막(12)이 폴딩되는 방향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일례로 실링부(110)는, 전극적층체(10)의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O)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12)과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을 중앙부 쪽으로 모아 주면서 분리막(12)을 실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100)이 전극적층체(10)의 코너부(13) 분리막(12)을 실링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인데, 도 2를 참조하면, 실링부(110)는 전극적층체(10)의 코너부(13)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이 실링홈(114)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막(12)의 실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110)의 바닥면(113), 제1 경사면(111), 및 제2 경사면(112)이 분리막(12)을 실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을 위해 전극적층체(10)의 코너부(13)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이 실링홈(114) 내로 삽입 시, 전극적층체(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경사면(111)은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을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 방향으로 폴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경사면(112)은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을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 방향으로 폴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딩되며 실링될 경우, 전극적층체(10) 코너부(13)에 위치하는 분리막(12)들이 컨트롤되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며 실링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리막(12)들은 전극적층체(10) 코너부(13)에서 전극적층체(10) 바디에 붙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분리막(12) 실링을 완료한 단정한 전극조립체(10-1)는 타이트한 파우치 전지 케이스(즉, 전극조립체(10-1) 사이즈에 거의 딱 맞는 전지 케이스)에 삽입될 시, 전극조립체(10-1) 둘레부(특히, 코너부(13)) 분리막(12)과 파우치 실링부(특히 파우치 컵부의 코너부에 인접하는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우수한 품질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100)에서, 실링홈(114)의 단면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이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바닥면(113)의 길이(B)는 전극적층체(10) 두께(H)의 80% ~ 90%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80%보다 작은 경우 실링홈(114)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워지는 것이 되므로 간섭이 방지되도록 확실한 폴딩이 이루어지는 정도가 일부 약할 수 있다. 그리고 90%보다 더 클 경우 확실하게 일정한 방향으로 폴딩되는 분리막(12)의 수가 일정량보다 적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113)의 깊이(D)는 바닥면(113) 길이의 40% ~ 50%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50%보다 더 깊은 경우 실링홈(114)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워지는 것이 되므로 간섭이 방지되도록 확실한 폴딩이 이루어지는 정도가 일부 약할 수 있다. 그리고 40%보다 작아 덜 깊을 경우 분리막(12)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경사면의 길이가 짧아지는 결과가 되어, 제1 및 제2 경사면의 분리막(12) 가이드 기능이 일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100)에서 제1 경사면(111)이 바닥면(113)과 이루는 각도(α)는 120도 ~ 140도 일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112)이 바닥면(113)과 이루는 각도(β) 역시 120도 ~ 140도 일 수 있다.
120도 보다 작은 정도로 경사면이 바닥면(113)과 이루는 각도가 작을 경우, 실링홈(114)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므로, 전극적층체(10)를 실링홈(114)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140도 보다 큰 정도로 경사면이 바닥면(113)과 이루는 각도가 클 경우는, 그에 비례하여 분리막(12) 폴딩의 각도가 줄어들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경사면(111)이 바닥면(113)과 이루는 각도(α) 및 제2 경사면(112)이 바닥면(113)과 이루는 각도(β)는 서로 동일할 수 있는데, 제1 경사면(111)이 바닥면(113)과 이루는 각도(α)와 제2 경사면(112)이 바닥면(113)과 이루는 각도(β)가 서로 동일할 경우 상하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폴딩되는 분리막(12)과 하측에서 상측으로 폴딩되는 분리막(12)이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균형 잡힌 전극적층체(10)가 제조 되어 안정적인 이차전지가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실링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실링부(210)와 몸체부(230)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직선 형태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에너지 공급선(250)이 몸체부(230)의 뒤편에서 몸체부(230)의 내부 쪽으로 삽입되는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1과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실시예 2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 실시예 1의 내용으로 간주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실링 유닛(200)은 실링부(210)가 전방으로 연장하고 몸체부(230)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인 후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실링부(210)와 몸체부(230)는 동일한 폭을 가지고, 하나의 가상의 직선 상에서 앞과 뒤로 연장되는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실링 유닛(200)에서 제1 경사면(211)과 제2 경사면(212)은 바닥면(213)의 앞쪽 방향(F)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경사면(211)은 바닥면(213)의 앞쪽 방향(F)에 대해서 상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경사면(212)은 바닥면(213)의 앞쪽 방향(F)에 대해서 하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230)는 바닥면(213)의 뒤쪽 방향(R)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실링 유닛(200)은 에너지 공급선(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공급선(250)은 실링부(210)를 가열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는 일례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선일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공급선(250)은 몸체부(230)의 뒤편에서 몸체부(230)의 내부 쪽으로 삽입되어 들어오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질 경우 실링홈(214) 내부로 삽입되는 움직이는 다양한 형상의 전극적층체(10)에 에너지 공급선(250)이 걸리지 않아(즉, 방해되지 않아) 원활할 실링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에 의하여 분리막이 실링된 전극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에 의하여 분리막이 실링된 전극조립체 및 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실시예 1과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실시예 3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실시예 3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 실시예 1의 내용으로 간주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조립체(10-1)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적층체(10)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적층체(10)의 둘레를 형성하는 복수의 분리막의 부분은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에 의하여 실링(Sealing)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전극적층체(10)의 둘레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리막이 실링홈 내로 삽입되어 실링부에 의하여 실링처리 됨에 따라 복수의 분리막 부분이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조립체(10-1)는 복수의 전극(11)과 분리막(12)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전극조립체의 둘레를 형성하는 분리막의 부분이 실링(Sealing) 처리에 의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조립체(10-1)는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앙부(O)의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의 부분인 상부 분리막 부분과, 중앙부(O)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의 부분인 하부 분리막 부분이 중앙부 쪽으로 모아지도록 폴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실링(Sealing) 처리에 의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는 분리막의 부분은 전극조립체(10-1)의 둘레 중에서 특히 코너부(13)를 형성하는 분리막의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분리막 부분(12-1)과 하부 분리막 부분(12-2)은 전극조립체(10-1) 코너부(13)에 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조립체(10-1)는 타이트한 파우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10-1)를 삽입할 시 전극조립체(10-1) 둘레부(특히, 코너부) 분리막과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수한 품질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조립체(10-1)는 상부 분리막 부분이 중앙부쪽으로 폴딩되는 각도와, 하부 분리막 부분이 중앙부 쪽으로 폴딩되는 각도는 서로 대칭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상측에서 하측으로 폴딩되는 분리막과 하측에서 상측으로 폴딩되는 분리막이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경우, 균형 잡힌 전극조립체(10-1)가 제조 되어 안정적인 이차전지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조립체(10-1)는 파우치 케이스에 삽입되어 이차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조립체(10-1) 및 전극조립체(10-1)가 삽입되는 파우치 케이스에 의하여 완성된 이차전지가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전극조립체(10-1) 코너부(13) 분리막과 파우치 케이스 내부 코너 사이에는 간섭 발생이 없게 될 수 있다.
특히,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추가 실링 영역이 형성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극조립체(10-1) 코너부 분리막과 파우치 케이스 실링부의 내부 코너 사이에 간섭이 없도록 하는데 본 발명은 현저히 효과적일 수 있다.
도 6은 파우치 리드 실링 과정과 추가 실링 과정을 통해 실링부(410)를 형성하는 모습이 도시되는 이차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최근 공간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밀도가 높도록 개량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과정에서 실링부(410)를 형성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2단계에 의한 실링일 수 있다. 2단계의 실링은 통상의 리드 실링 과정과 추가 실링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통상의 리드 실링 과정을 통해서는 통상 리드 실링 영역(S1)이 형성될 수 있고, 추가 실링 과정을 통해서는 추가 실링 영역(S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실링부(410)의 형태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링부의 일 끝부는 외장재의 컵(P)의 둘레(P-1)의 상부 끝부(TE)보다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컵의 둘레(P-1)와 상부 끝부(TE)가 구체적으로 도시 되고 있다. 컵의 둘레(P-1)는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컵(P)의 둘레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컵(P)의 바닥부의 둘레가 아닌 컵의 상부 둘레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는 이차전지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개량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추가 실링 영역(S2)이 존재하는 경우, 종래에는 전극조립체 코너부 분리막과 파우치 케이스 실링부의 내부 코너 사이에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에 의할 경우, 전극조립체 코너부 분리막과 파우치 케이스 실링부의 내부 코너 사이에 간섭(파우치 실링 시 분리막의 단부가 실링 영역에 끼어 들어가는 등의 문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에 의하여 분리막이 실링된 또 다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에 의하여 분리막이 실링되는 또 다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전극조립체(10-1)는 복수의 전극(11)과 분리막(12)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적층체(10)에서 , 상기 전극적층체(10)의 둘레를 형성하는 분리막의 부분이 실링(Sealing) 처리에 의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앙부(O)의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의 부분인 상부 분리막 부분과, 중앙부(O)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의 부분인 하부 분리막 부분이 중앙부 쪽으로 모아지도록 폴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실링(Sealing) 처리에 의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는 분리막의 부분은 전극조립체의 둘레 중에서 특히 코너부(13)를 형성하는 분리막의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코너부(13)는 모따기가 되어있는 형태인 것일 수 있고, 상부 분리막 부분(12-1)과 하부 분리막 부분(12-2)은 전극조립체 코너부(13)에 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조립체(10-1)는 타이트한 파우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할 시 전극조립체 둘레부(특히, 코너부) 분리막과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모서리 공간이 제한된 이차전지 삽입 공간에 삽입되기에 더욱 유리한 이차전지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 유닛을 이용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인다.
앞의 실시예들과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실시예 5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실시예 5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 앞의 실시예들의 내용으로 간주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전극적층체 제조 단계, 실링 유닛 준비 단계, 및 실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적층체 제조 단계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12)을 교대로 적층하여 전극적층체(10)를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링 유닛 준비 단계는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114)이 형성된 실링부(110)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100)을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실링 단계는 전극적층체(10)의 둘레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리막(12)을 실링홈(114) 내로 삽입하고, 실링 유닛(100)은 실링부(110)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리막(12)을 실링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링 단계는 분리막(12)이 중앙부 쪽으로 모이도록 폴딩하면서 실링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 단계에서, 실링부(110)는, 전극적층체(10)의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O)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12)과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을 중앙부 쪽으로 모아 주면서 분리막(12)을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단계에서, 실링부(110)는 전극적층체(10)의 코너부(13)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이 실링홈(114)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막(12)의 실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110)는 실링홈(114)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113), 바닥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111), 및 바닥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112)을 이용하여 분리막(12)을 실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 단계에서, 실링을 위해 전극적층체(10)의 코너부(13)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이 실링홈(114) 내로 삽입 시, 전극적층체(10)의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제1 경사면(111)은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O)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을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O) 방향으로 폴딩시키고, 제2 경사면(112)은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O)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12)을 전극적층체(10)의 중앙부(O) 방향으로 폴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딩되며 실링될 경우, 전극적층체(10) 측부 또는 코너부(13)에 위치하는 분리막(12)들이 컨트롤되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며 실링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리막(12)들은 전극적층체(10) 측부 또는 코너부(13)에서 전극적층체(10) 바디에 붙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분리막(12) 실링을 완료한 단정한 전극조립체(10-1)는 타이트한 파우치 전지 케이스(즉, 전극조립체(10-1) 사이즈에 거의 딱 맞는 전지 케이스)에 삽입될 시, 전극조립체(10-1) 둘레부(특히, 코너부) 분리막(12)과 파우치 실링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우수한 품질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전극적층체
10-1: 전극조립체
11: 전극
12: 분리막
12-1: 상부 분리막 부분
12-2: 하부 분리막 부분
13: 코너부
100, 200: 실링 유닛
110, 210: 실링부
111, 211: 제1 경사면
112, 212: 제2 경사면
113, 213: 바닥면
114, 214: 실링홈
130, 230: 몸체부
250: 에너지 공급선
O: 중앙부
B: 바닥면의 길이
D: 바닥면의 깊이
H: 전극적층체 두께
Y: 전극적층체의 두께 방향
α: 제1 경사면이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
β: 제2 경사면이 상기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
F: 바닥면의 앞쪽 방향
R: 바닥면의 뒤쪽 방향

Claims (18)

  1.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전극적층체를 제조하는 전극적층체 제조 단계;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을 준비하는 실링 유닛 준비 단계; 및
    상기 전극적층체의 둘레부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분리막을 상기 실링홈 내로 삽입하고,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실링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분리막을 실링하는 실링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 단계에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전극적층체의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적층체의 중앙부(O)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과 상기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상기 중앙부 쪽으로 모아 주면서 상기 분리막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 단계에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전극적층체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분리막이 상기 실링홈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막의 실링을 수행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 홈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 및 상기 바닥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막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링 단계에서,
    실링을 위해 상기 전극적층체의 상기 코너부에 위치하는 분리막이 상기 실링홈 내로 삽입 시,
    상기 전극적층체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위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상기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방향으로 폴딩시키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상기 전극적층체의 중앙부 방향으로 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5.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적층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서 연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 홈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 및 상기 바닥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길이(B)는 상기 전극적층체 두께(H)의 80% ~ 90%에 해당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유닛.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깊이(D)는 상기 바닥면 길이의 40% ~ 50%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유닛.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α) 및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β)는 각각 120도 ~ 1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α) 및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β)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유닛.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홈의 단면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유닛.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바닥면의 앞쪽 방향(F)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바닥면의 뒤쪽 방향(R)으로 연장하며,
    상기 에너지 공급선은 상기 몸체부의 뒤편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 쪽으로 삽입되어 들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유닛.
  12.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적층체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분리막의 부분은 내측으로 만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에 의하여 실링(Sealing)되어 있되,
    상기 전극적층체의 둘레부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분리막이 상기 실링홈 내로 삽입되어 상기 실링부에 의하여 실링처리 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리막 부분이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두께 방향(Y)을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앙부(O)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막의 부분인 상부 분리막 부분과, 상기 중앙부(O)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막의 부분인 하부 분리막 부분이 상기 중앙부 쪽으로 모아지도록 폴딩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실링(Sealing) 처리에 의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폴딩되어 있는 상기 분리막의 부분은 상기 둘레 중에서 코너부를 형성하는 상기 분리막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리막 부분이 상기 중앙부쪽으로 폴딩되는 각도와, 상기 하부 분리막 부분이 상기 중앙부 쪽으로 폴딩되는 각도는 서로 대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리막 부분과 상기 하부 분리막 부분은 상기 코너부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는 모따기가 되어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8. 청구항 12에 따른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파우치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0210074476A 2020-12-23 2021-06-08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KR20220091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4564 WO2022139142A1 (ko) 2020-12-23 2021-10-19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US18/033,498 US20230387449A1 (en) 2020-12-23 2021-10-19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Sealing Unit Used for the Same,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Sealing Unit
EP21911209.1A EP4210136A1 (en) 2020-12-23 2021-10-19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sealing unit used therein,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same sealing unit
CN202180069617.7A CN116325259A (zh) 2020-12-23 2021-10-19 制造电极组件的方法、其中使用的密封单元以及由密封单元制造的电极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82649 2020-12-23
KR1020200182649 2020-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328A true KR20220091328A (ko) 2022-06-30

Family

ID=8221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476A KR20220091328A (ko) 2020-12-23 2021-06-08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3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9122B2 (en)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bridge and accommodation grooves
CN108431986B (zh) 用于二次电池的袋外部、使用该袋外部的袋型二次电池及制造该袋型二次电池的方法
US9685679B2 (en) Stepwise electrode assembly having variously-shaped corner and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4919637B (zh) 具有圆状角部的电极组件
KR102505729B1 (ko) 이차전지
KR20170002140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9786874B2 (en) Electrode having round corner
KR20210025995A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00000321A (ko)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CN113348589B (zh) 二次电池及电池模块
CN108391453A (zh) 用于软包电池的穿墙集流体
KR20220091328A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사용되는 실링 유닛, 및 그 실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EP421013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sealing unit used therein,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same sealing unit
US11855296B2 (en) Battery cell having battery casing with receiving part and electrode lead groove
KR20210046337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0337749A (zh) 蓄电装置和蓄电装置的制造方法
KR20180069254A (ko) 스톱퍼를 포함하는 전지셀 수납용 트레이
EP3588604A1 (en) Pouch cas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994842B1 (ko) 내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의 전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또는 캐패시터
US2023030769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KR20220163206A (ko) 분리막 실링툴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KR20240009807A (ko)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23733B1 (ko)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40030810A (ko) 이차전지 파우치 성형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파우치
KR20240060271A (ko)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