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968A -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968A
KR20220090968A KR1020200182016A KR20200182016A KR20220090968A KR 20220090968 A KR20220090968 A KR 20220090968A KR 1020200182016 A KR1020200182016 A KR 1020200182016A KR 20200182016 A KR20200182016 A KR 20200182016A KR 20220090968 A KR20220090968 A KR 2022009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gir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2707B1 (en
Inventor
이재수
김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Priority to KR102020018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07B1/en
Publication of KR2022009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9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외장플레이트; 및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튼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외장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결합시킨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거푸집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girde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inner side is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the curtain wall provided to form a blocking wall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exterior plate on the opening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provides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mprising a aim to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xterior plate is coupled to the girde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outside of the coupled exterior plat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inside forms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By configur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because the work of removing the formwork after curing the concrete is not required.

Description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본 발명은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형성하면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외장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wal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having an exterior plate that forms a formwork of concrete poured into a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while forming the exterior of a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일반적으로, 건물의 하중을 담당하는 주체구조는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이루어져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에 의한 수평하중 등을 지지하게 되고,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구실만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벽체를 '커튼월' 내지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호칭한다. In general, the main structure responsible for the load of the building consists of only the frame of columns and beams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and the horizontal load caused by the wind. are called 'curtain walls' or 'non-bearing partition walls'.

커튼월은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실을 하며, 현대적인 건축양식에서 외장용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Curtain walls block rain and wind from the outside, block noise and heat, and prevent columns and beam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perform an important function for exterior use in modern architectural styles.

이러한 커튼월은 특히 고층건물이나 초고층건물에서 많이 사용되며,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일정크기의 외벽패널을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으로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These curtain walls are particularly used in high-rise buildings or skyscrapers, and a method of lifting and attaching an exterior wall panel of a predetermined size manufactured in a factory in advance to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using a mechanical means is widely used.

이러한 외벽패널을 공장에서 대량으로 규격화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통일성이 있고, 또한 건물의 외관도 심미감을 일으키게 된다.Since these exterior wall panels are standardized and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ies at the factory, there is unity, and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also creates a sense of aesthetics.

한국등록특허 제10-1099368호 (2011.12.21 등록)Korean Patent No. 10-1099368 (Registered on December 21, 2011)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외장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결합시킨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거푸집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the background described above, and the exterior plate is coupled to the girde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outside of the coupled exterior plat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side is poure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curtain wall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of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s by eliminating the need for removing the formwork after concrete curing by configuring it to form the formwork of the

또한, 외장플레이트에 커튼월을 설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건물 내부의 불빛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개구부를 통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curtain wall on the exterior plate to form a blocking wall protruding outward of the exterior plate on the opening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light inside the concrete building is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curtain wall system that can block rainwater or wind from flowing into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opening.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외장플레이트; 및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튼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girder of a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is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external plate to be;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the curtain wall provided to form a blocking wall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exterior plate on the opening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provides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mprising a do.

또한, 상기 외장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거더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xterior plate, coupled to the girder,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the inner side is a lower plate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slab concrete poured on top of the girder; and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the outer sid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forming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outer wall concrete poured on top of the slab concrete; It provides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더의 상면에 결합하는 거더결합부; 및 상기 거더결합부로부터 상기 거더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단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the girder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nd an upper cover formed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irder from the girder coupling part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slab concrete; provides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mprising a.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상기 외벽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철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provides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outer wall concrete is provided.

또한, 상기 커튼월은,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는 선형프레임; 상기 선형프레임과 결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선형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형프레임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곡형부를 포함하는 곡형프레임; 및 상기 선형프레임과 상기 곡형프레임의 상기 곡형부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urtain wall, a linear fram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a curved frame including a joint portion coupled to the linear frame, and a curved portion formed to be bent outwardly of the linear frame from the join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linear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block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linear frame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curved frame; provides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외장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결합시킨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거푸집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ior plate is coupled to the girde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outer side of the coupled exterior plat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of the concrete formwork is poure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By configuring to achieve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because the work of removing the formwork after curing the concrete is not required.

또한, 종래 외벽 형성을 위해 거더 외측에 외벽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별도로 설치하던 것과 달리, 외장플레이트에 의해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separately installing an outer wall concrete pouring formwork on the outside of the girder for forming an outer wall, the outer wall concrete can be poured by means of an outer plat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workers.

또한, 외장플레이트에 커튼월을 설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건물 내부의 불빛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개구부를 통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curtain wall on the exterior plate to form a blocking wall protruding outward of the exterior plate on the opening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light inside the concrete building is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t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rainwater or win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op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하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상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커튼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커트월의 A-A 단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콘트리트 구조물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콘트리트 구조물의 예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3 is a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lower plate of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upper plate of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 view showing a curtain wall of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b) is a view of a cross section AA of the cut wall.
8 is a view showing the lower end of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form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하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상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커튼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커트월의 A-A 단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콘트리트 구조물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콘트리트 구조물의 예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3 is a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lower plate of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upper plate of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 view showing a curtain wall of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b) is a view of a cross section A-A of the cut wall. 8 is a view showing the lower end of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10)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외장플레이트(100); 및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튼월(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girder 10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outer side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is poure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exterior plate 100 is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20;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100, the curtain wall 200 provided to form a blocking wall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exterior plate 100 on the opening 30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characterized.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먼저, 외장플레이트(100)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10)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된다.First, the exterior plate 100 is coupled to the girder 10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the inner side is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20 poured into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되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은 H형강과 같은 철골부재로 기둥과 보를 형성하는 건축 구조물일 수 있다.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may be a building structure in which columns and beams are formed with steel members such as H-beams.

여기서, 외장플레이트(100)가 결합하는 거더(10)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설치된 거더(10)일 수 있으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는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21) 및 슬래브 콘크리트(21)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23)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irder 10 to which the exterior plate 100 is coupled may be a girder 10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concrete 20 poure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is pou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irder 10 . The slab concrete 21 and the slab concrete 21 may include an outer wall concrete 23 that is poured on the top.

본 발명에 따른 외장플레이트(100)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거더(10)의 일측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하고,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The exterior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girder 10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is a concrete formwork for pouring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constituted to be part of it.

종래의 경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10) 외측에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거더(10)의 외측에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시 거푸집을 제거하는 시공방법을 사용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ase, in order to construct an outer wall on the outside of the girder 10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 formwork wa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girder 10, the concrete was poure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moving the formwork was used.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경우, 거푸집 설치 및 제거를 위하여 공사기간이 늘어나고, 작업자가 거더(10)의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the case of this prior art, since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for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formwork, and the operator has to install the formwork on the outside of the girder 10,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본 발명의 경우, 거더(10)에 외장플레이트(100)를 결합시켜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구성하도록 하면서,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나 외벽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의 거푸집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ior plate 100 is coupled to the girder 10 to form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terior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concrete casting formwork for forming a slab or exterior wall of a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거더(10)에 결합하는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 및 내측이 각각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콘트리트 타설시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됨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다시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상당시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exterior plate 100 coupled to the girder 10 form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resp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a formwork when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formwork is removed again after pouring concrete Since there is no need to do it, it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아울러, 거더(10)에 외장플레이트(100)를 결합시키는 시공방법에 의해, 종래 거더(10) 외측에 거푸집을 형성하는 시공방법에 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upling the exterior plate 100 to the girder 1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forming a formwork on the outside of the girder 10.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플레이트(100)는 거더(10)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21)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슬래브 콘크리트(21)의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23)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exterior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girder 10 , and the exterior forms an exterior of a steel-concrete structure, and the interior surface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irder 10 . A lower plate 110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slab 21 to be poure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110,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the inner side is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outer wall concrete 23 poured on top of the slab concrete 21, the upper plate 130 );

즉, 외장플레이트(110)는 거더(10)에 결합하는 하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상부플레이트(130)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plate 110 may be composed of a lower plate 110 coupled to the girder 10 , and an upper plate 13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130 .

먼저, 하부플레이트(110)는 거더(10)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21)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된다.First, the lower plate 110 is coupled to the girder 10, and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is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slab concrete 21 po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10.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플레이트(110)는 거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거더(10)의 상면에 결합하는 거더결합부(111); 및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래브 콘크리트(21)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단커버(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s shown in Figure 5, the lower plat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0, the girder coupling portion 111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0; and an upper cover 113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irder 10 from the girder coupling part 111 and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slab concrete 21;

거더결합부(111)는 거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거더(10)의 상면에 결합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거더(10)가 H형강으로 구비되는 경우 거더결합부(111)는 하면이 거더(10)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girder coupling part 11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0. More specifically, when the girder 10 is provided with an H-shaped steel, the girder coupling part ( 111), the lower surface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10 in a manner such as welding.

이어서, 상단커버(113)는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top cover 113 may be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irder 10 from the girder coupling part 111 .

이로써, 상단커버(113)는 거더(10)의 끝단부에 거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벽을 형성할 수 있는데, 거더(10)에 데크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경우, 상단커버(113)는 데크 플레이트에 타설된 슬래브 콘트리트(21)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cover 113 can form a vertical wal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0 at the end of the girder 10. When forming a slab using a deck plate or the like on the girder 10, The top cover 113 may perform a stopper function to prevent the slab concrete 21 poured on the deck plat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플레이트(110)는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거더(1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하단커버(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lat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irder 10 from the girder coupling part 111, the lower cover 115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girder 10. ); may further include.

하단커버(115)는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하단커버(115)는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거더(1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거더(1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115 may be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irder 10 from the girder coupling part 111, and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cover 115 is a girder from the girder coupling part 111. It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wer direction of (1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irder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girder (10).

거더(10)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빗물 등에 의해 녹이 슬거나 페인트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플레이트(110)는 거더(10)를 커버하는 하단커버(115)를 형성하여, 거더(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하였다.When the girder 10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ince problems such as rusting or peeling of paint may occur due to rainwater, the lower plat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cover covering the girder 10 115 was formed to protect the girder 1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또한, 하단커버(115)가 거더(10)의 외측을 가려 외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In addition, the lower cover 115 covers the outside of the girder 10 to form an exterior,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can be improved.

한편, 하단커버(115)의 하측단부에는 하단커버(115)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1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커버(115)의 하측단부에 절곡부(115a)를 형성시킴으로써, 하부플레이트(110) 시공시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단커버(115)의 하측단부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bent portion 115a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lower cover 115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ver 115 , and by forming the bent portion 115a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ver 115 .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operator during construction of the lower plate 110, and to minimize damage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ver 115.

이어서, 상부플레이트(130)는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슬래브 콘크리트(21)의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23)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된다.Then, the upper plate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110,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the inner side is part of the formwork of the outer wall concrete 23 poured on top of the slab concrete 21. provided to achieve

상부플레이트(130)는 일예로 하부플레이트(110)에 대응하는 길이의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플레이트(130)는 하단부가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3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wer plate 110, and the upper plate 130 has a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110. To be coupl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can

상부플레이트(130)가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외측은 하부플레이트(110)의 외측과 함께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을 이루게 되고, 내측은 슬래브 콘크리트(21)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23)의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된다.By coupling the upper plate 130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110,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inner side is the outer wall concrete that is poured over the slab concrete 21. (23) will serve as a formwork.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플레이트(130)는 내측에 외벽 콘크리트(23)에 매립되는 매립철근부(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upper plat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131 embedded in the outer wall concrete 23 is provided on the inside.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철근부(131)는 상부플레이트(130)의 내측에서 기립 형성되는 연결재(133)와, 상부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상부플레이트(130)에 인접하게 연결재(133)에 결합하는 제1매립철근(135) 및 상부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제1매립철근(135)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연결재(133)에 결합하는 제2매립철근(13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the buried reinforcing bar 131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33 and the upper plate 130 which are formed to stand inside the upper plate 130 , The first buried reinforcing bar 135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33 adjacent to the upper plate 130 and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1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ried reinforcing bar 13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necting material It may be made of a second buried reinforcing bar 137 coupled to (133).

여기서, 슬래브 콘크리트(21)의 상부에 외벽 콘크리트(23)를 타설하는 경우, 상부플레이트(130) 내측에 구비된 매립철근부(131)는 외벽 콘크리트(23) 양생 후 철근 콘크리트조의 철근으로 기능할 수 있다.Here, when pouring the outer wall concrete 23 on top of the slab concrete 21, the buried reinforcing bar 131 provided inside the upper plate 130 serves as the reinforcing bar of the reinforced concrete group after the outer wall concrete 23 is cured. ca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장플레이트(100)는 상부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상부지지앵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ior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pport angle 15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130 .

상부지지앵글(150)은 일예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단면이 'ㄱ' 형상으로형성된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플레이트(130)에 상부지지앵글(150)을 결합시켰을 때, 절곡된 상단부가 상부플레이트(130)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upper support angle 15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a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ross-section formed in a 'L' shape, and when the upper support angle 150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30 , the bent upper e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130 so as to face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130 .

상부지지앵글(150)은 상부플레이트(130)의 보강재로써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상부지지앵글(150)이 구비됨으로써 외벽 콘크리트(23) 타설 시 상부플레이트(130)의 파손 내지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 upper support angle 1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130 by welding or the like as a reinforcing material of the upper plate 130 , and the upper support angle 15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130 . When the outer wall concrete 23 is poured,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upper plate 130 can be minimized.

이어서, 커튼월(200)은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Subsequently, the curtain wall 20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100 to form a blocking wall protruding outward of the exterior plate 100 on the opening 30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커튼월(200)은 다수개가 외장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urtain walls 20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ior plate 100 .

본 발명은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시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에 커튼월(200)을 구비시킴으로써,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빛 등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 환경에 따른 바람이나 빗물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를 통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curtain wall 200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100 to provide the curtain wall 200 to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so that the light generated inside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is removed from the opening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 30) and to block the inflow of wind or rainwater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o the inside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opening 30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200)은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하는 선형프레임(210); 선형프레임(210)과 결합하는 접합부(231)와, 접합부(231)로부터 선형프레임(210)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선형프레임(210)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곡형부(233)를 포함하는 곡형프레임(230); 및 선형프레임(210)과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플레이트(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the curtain wal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ar frame 21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100; A joint portion 231 coupled to the linear frame 210, and a curved portion 233 formed to be bent from the joint portion 231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linear frame 210 and spaced apart from the linear frame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including a curved frame 230; and a blocking plate 250 provided between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portion 233 of the curved frame 230 .

먼저, 선형프레임(210)은 일예로 단면이 사각형상인 각관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장플레이트(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한다.First, the linear frame 210 may be provided as an example of a rectangular tube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1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terior plate 100 .

이때, 선형프레임(210)은 일예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near frame 210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late 100 by welding, for example.

이어서, 곡형프레임(230)은 일예로 단면이 사각형상인 각관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선형프레임(210)에 결합하여,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되도록 구비된다.Subsequently, the curved frame 230 may be provided as a square tube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for example, and coupled to the linear frame 210 to protrude outward of the exterior plate 100 .

좀 더 구체적으로, 곡형프레임(230)은 선형프레임(210)과 결합하는 접합부(231)와, 접합부(231)로부터 선형프레임(210)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선형프레임(210)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곡형부(233)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urved frame 230 has a joint portion 231 coupled to the linear frame 210, and is formed to be bent outwardly from the joint portion 231 to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linear frame 210 and It may be formed of curved portions 233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여기서, 접합부(231)는, 선형프레임(210)의 외측에 결합하되, 곡형부(233)가 외장플레이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선형프레임(210)에 결합할 수 있다.Here, the joint portion 231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linear frame 210 , but the curved portion 233 is linear to be positioned in the opening 30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exterior plate 100 . It may be coupled to the frame 210 .

이로써, 후술하는 차단플레이트(250)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에 위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불빛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blocking plate 250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in the opening 30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so that the light inside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is emitted to the outside, or external rainwater or wind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be able to

한편, 곡형부(233)는 선형프레임(210)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하되, 휘어진 부분은 호형 내지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ved portion 233 is formed to be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linear frame 210, the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or a polygonal shape.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곡형부(233)는 접합부(231)가 선형프레임(210)에 결합하였을 때, 외장플레이트(100)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urved portion 233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on the opening 30 of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exterior plate 100 when the joint portion 231 is coupled to the linear frame 210 . do.

이어서, 차단플레이트(250)는 선형프레임(210)과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 사이에 구비되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차단벽을 형성한다.Subsequently, the blocking plate 250 is provided between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portion 233 of the curved frame 230 to form a blocking wall on the opening 30 of the steel-concrete structure.

차단플레이트(250)는 일예로 일부 둘레가 선형프레임(2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둘레가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blocking plate 250, for example, may be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whose perimet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remaining periphery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portion 233 of the curved frame 230.

차단플레이트(250)는 선형프레임(210)과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 사이에 구비되되,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위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불빛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The blocking plate 250 is provided between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portion 233 of the curved frame 230, and is located on the opening 30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so that the light inside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is emitted to the outside. Or, it will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or wind from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이때, 차단플레이트(250)는 외측 둘레가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구에 삽입되어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ing plate 25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233 of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frame 230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frame 230. can be coupled to

이와 같이, 차단플레이트(230)의 외측부를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의 외측부 직접 결합하지 않고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에 형성한 절개구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차단플레이트(230)의 외측부 형상이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의 형상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차단플레이트(230)를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 사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inserting and coupling the outer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230 into the cutout formed in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frame 230 without directly coupling the outer portions of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frame 230, Even if the outer shape of the blocking plate 230 does not match the shapes of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frame 230, the blocking plate 230 can be easily coupled between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frame 230. have.

또한, 차단플레이트(230)의 외측부를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의 외측부 직접 결합하는 것에 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차단플레이트(230)를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compared to directly coupling the outer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230 to the outer portion of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frame 230 , the blocking plate 230 is more firmly connected between the linear frame 210 and the curved frame 230 . can be coupled to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튼월(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rame support 270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urtain wall (200).

좀 더 구체적으로, 프레임지지부(270)는 커튼월(200) 선형프레임(210)의 하부 끝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앵글(271)과, 지지앵글(271)을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273)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rame support 270 includes a support angle 271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urtain wall 200 and the linear frame 210, and an anchor bolt 273 for fixing the support angle 271 to the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 may be included.

프레임지지부(270)가 구비됨으로써, 다수개의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에 더욱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개의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할 때에 커튼월(200)들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By providing the frame support 270 , a plurality of curtain walls 200 can be more easily installed on the exterior plate 100 , and a plurality of curtain walls 200 can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ior plate 100 .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urtain walls 200 may be easily adjusted.

일예로, 외장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프레임지지부(270)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한 후, 커튼월(200) 선형프레임(210)의 하부 끝단부를 프레임지지부(270)의 지지앵글(271)에 지지시켜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frame support parts 270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ior plate 100, the lower end of the linear frame 210 of the curtain wall 200 is connected to the frame support part 270 of the frame support part 270 . The curtain wall 200 may be coupled to the exterior plate 100 by welding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curtain wall 200 is positioned outside the exterior plate 100 by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angle 271 .

이때,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커튼월(200)은 상호 높이가 동일하게 외장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미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호 높이 다르게 하여 외장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8 and 9 , a plurality of curtain wall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exterior plate 100 to have the same height as each other, and also have different heights to further improve the aesthetics. to be coupled to the exterior plate 100 .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로 구비되어 커튼월(200)의 선형프레임(210) 내측에 결합하는 난간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urtain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 rail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inear frame 210 of the curtain wall 200. A member 300 may be further included.

난간부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로 구비되어, 외장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선형프레임(210)들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와 평행하도록 선형프레임(210)에 결합할 수 있다.The handrail member 300 is provided as a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inear frames 210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ior plate 100 ,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130 . It can be coupled to the linear frame 21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130 at a position spaced apart as much.

난간부재(300)는 선형프레임(210)들에 결합되어, 선형프레임(210)들을 상호 결속시킴으로써 커튼월(200)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으며, 또한 개구부(30)에 구비되는 안전난간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handrail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linear frames 210 to reinforce the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200 by binding the linear frames 210 to each other, and also the function of the safety handrail provided in the opening 30 . can also be per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외장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결합시킨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거푸집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ior plate is coupled to the girde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outside of the coupled exterior plat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side is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By composing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since the work of removing the formwork is not require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또한, 종래 외벽 형성을 위해 거더 외측에 외벽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별도로 설치하던 것과 달리, 외장플레이트에 의해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separately installing an outer wall concrete pouring formwork on the outside of the girder for forming an outer wall, the outer wall concrete can be poured by means of an outer plat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workers.

또한, 외장플레이트에 커튼월을 설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건물 내부의 불빛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개구부를 통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curtain wall on the exterior plate to form a blocking wall protruding outward of the exterior plate on the opening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light inside the concrete building is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It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rainwater or win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open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거더 20 : 콘크리트
21 : 슬래브 콘크리트 23 : 외벽 콘크리트
30 : 개구부
100 : 외장플레이트 110 : 하부플레이트
111 : 거더결합부 113 : 상단커버
115 : 하단커버 115a : 절곡부
130 : 상부플레이트 131 : 매립철근부
133 : 연결재 135 : 제1매립철근
137 : 제2매립철근 150 : 상부지지앵글
200 : 커튼월 210 : 선형프레임
230 : 곡형프레임 231 : 접합부
233 : 곡형부 250 : 차단플레이트
270 : 프레임지지부 271 : 지지앵글
273 : 앵커볼트 300 : 난간부재
10: girder 20: concrete
21: slab concrete 23: exterior wall concrete
30: opening
100: exterior plate 110: lower plate
111: girder coupling part 113: top cover
115: lower cover 115a: bent part
130: upper plate 131: buried reinforcing bar
133: connecting material 135: first buried reinforcing bar
137: second buried reinforcing bar 150: upper support angle
200: curtain wall 210: linear frame
230: curved frame 231: joint
233: curved part 250: blocking plate
270: frame support 271: support angle
273: anchor bolt 300: handrail member

Claims (5)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외장플레이트; 및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튼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The outer plate is coupled to the girde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outer side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the inner side is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a curtain wall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late to form a blocking wall protruding outward of the exterior plate on the opening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거더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plate,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girder, the outer sid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forming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slab concrete po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nd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the outer sid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teel-fram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forming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outer wall concrete poured on top of the slab concrete;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더의 상면에 결합하는 거더결합부; 및
상기 거더결합부로부터 상기 거더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단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plate,
a girder coupling part provid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nd
an upper cover extending from the girder coupling par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irder and provided to form a part of the formwork of the slab concrete;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상기 외벽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철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buried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outer wall concrete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은,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는 선형프레임;
상기 선형프레임과 결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선형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형프레임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곡형부를 포함하는 곡형프레임; 및
상기 선형프레임과 상기 곡형프레임의 상기 곡형부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urtain wall is
a linear fram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late;
a curved frame including a joint portion coupled to the linear frame, and a curved portion formed to be bent outwardly of the linear frame from the joint portion, the curved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inear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block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linear frame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curved frame;
A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mprising a.
KR1020200182016A 2020-12-23 2020-12-23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KR1025627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16A KR102562707B1 (en) 2020-12-23 2020-12-23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16A KR102562707B1 (en) 2020-12-23 2020-12-23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68A true KR20220090968A (en) 2022-06-30
KR102562707B1 KR102562707B1 (en) 2023-08-02

Family

ID=8221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016A KR102562707B1 (en) 2020-12-23 2020-12-23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0788A (en) * 2022-05-07 2022-07-26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Inclined-hanging clean water plate curtain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479A (en) * 1997-07-23 1999-02-09 Taisei Corp Clearance block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finished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JP2002021177A (en) * 2000-07-10 2002-01-23 Bunka Shutter Co Ltd Fitting and fitting structure of building attachment
KR101099368B1 (en) 2010-02-03 2011-12-29 (주)동양윈텍 Curtain Wall
JP2014136916A (en) * 2013-01-17 2014-07-28 Lixil Corp Vertical eaves type solar cell module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479A (en) * 1997-07-23 1999-02-09 Taisei Corp Clearance block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finished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JP2002021177A (en) * 2000-07-10 2002-01-23 Bunka Shutter Co Ltd Fitting and fitting structure of building attachment
KR101099368B1 (en) 2010-02-03 2011-12-29 (주)동양윈텍 Curtain Wall
JP2014136916A (en) * 2013-01-17 2014-07-28 Lixil Corp Vertical eaves type solar cell module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0788A (en) * 2022-05-07 2022-07-26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Inclined-hanging clean water plate curtain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4790788B (en) * 2022-05-07 2023-07-14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Obliquely-hung clean water plate curtain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707B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0238A1 (en) Refinement to the construction systems for structures in reinforced concrete or some other material of high-precision intergral modular forms
US20100058687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using prefabricated modular panels
US8631628B1 (en) Tilt-up concrete spandrel assemblies and methods
KR100721211B1 (en) A pannel in use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and working method therof
KR100731315B1 (en) Gang form climbing guid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562707B1 (en) 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KR100579440B1 (en) Mold-Reinforcing Rod One Body Type Precast Concrete Pannel and Fabrication Structure of The Same
KR101950954B1 (en) Variable connection structure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734187B1 (en) Pre-assembled re-bar column
JP6667940B2 (en) Exterior wall panel and column layout structure of exterior wall and layout construction method
EP1194657A1 (en) Structure
KR102011835B1 (en) Prefabricated re-bar column structure with detachable form
SK161099A3 (en) Building framework
JP6271399B2 (en) Exterior wall panel mounting structure
KR20210069209A (en) Precast Concrete Panel for exterio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676193B1 (en) Steel-frame stair structure
KR101862567B1 (en) Standardization of Mat Foundation assembling House system
KR200450899Y1 (en) Earthquake shelter
KR100452977B1 (en)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C beam and slab for slim floor system
KR102659857B1 (en) Precast Concrete Panel for exterio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JP3130008U (en) Strength structure
JP7484056B2 (en) Precast concrete components and buildings
JP2007092370A (en) Aseismatic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existing building
KR102335856B1 (en) Safety railing for steel beam installation
KR102386983B1 (en) Precast Concrete Panel for exterio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