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835A -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835A
KR20220090835A KR1020200181742A KR20200181742A KR20220090835A KR 20220090835 A KR20220090835 A KR 20220090835A KR 1020200181742 A KR1020200181742 A KR 1020200181742A KR 20200181742 A KR20200181742 A KR 20200181742A KR 20220090835 A KR20220090835 A KR 2022009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trampoline
interactive play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토
Priority to KR1020200181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0835A/ko
Publication of KR2022009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7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a large display in a public venue, e.g. in a movie theatre, stadium or game aren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은 실내 공간의 일측에 장착되어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기; 구비된 측위 센서 및 생체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착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3차원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영상 출력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INTERACTIVE PLAY SYSTEM}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모션을 센싱하여, 그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서 놀이의 즐거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공간 내에서 움직이는 객체(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작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체험이나 놀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콘텐츠(예컨대, 게임 등)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인식장치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동작인식장치 중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된 키넥트(kinect)가 대표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상기 키넥트는 이전의 동작인식장치들과 달리 사용자가 별도의 센서 컨트롤러를 들거나 부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의 동작을 별도의 외부 가속도 센서 없이 직접 인식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적외선 센서, RGB 카메라, 깊이 센서 등의 세 가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비교적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여 응용범위가 빠르고 폭넓게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키넥트의 경우 기본적으로 비전기반의 영상인식을 실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공간에 대한 입체적인 인식에 한계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동작인식장치(예컨대, 키넥트)의 인식범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동작인식장치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인터랙션 공간은 상기 동작인식장치의 정면에 평면적으로 구성되게 되며, 입체적인 인식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 공간 내에 복수의 객체(예컨대, a, b)가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경우 즉, 어느 한 객체(예컨대, b)가 상기 동작인식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시야에서 가려지게 되는 경우 상기 동작인식장치는 해당 객체(예컨대, b)의 추적을 소실하게 되며, 상기 b를 더 이상 인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상기 동작인식장치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수가 한 명 또는 두 명으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특히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상기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들의 위치 역시 상기 동작인식장치의 정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지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즉, 사용자들의 위치는 사실상 고정적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놀이를 이용하여도 정확하게 이용자의 액션을 센싱하여 액션에 대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은 실내 공간의 일측에 장착되어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기; 구비된 측위 센서 및 생체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착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3차원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영상 출력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에 의하면, 여러 사람이 동시에 놀이를 이용하여도 정확하게 이용자의 액션을 센싱하여 액션에 대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의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상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은 실내 공간의 일측에 장착되어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기; 구비된 측위 센서 및 생체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착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3차원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영상 출력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서버는 상기 실내 공간 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트램펄린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출력기가 배치된 3차원 좌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호 태깅된 복수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그룹 태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아이디를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근접 태깅을 통해 상기 상호 태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제공방법은 상기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랙티브 놀이를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의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상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은 이용자에게 놀이의 즐거움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이용자의 모션을 센싱하여, 이용자의 모션과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은 트램펄린(100), 출력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트램펄린(100)을 이용하는 사용자(10)의 점프 동작을 카메라 모듈(20)로 인식하여, 사용자(10)의 동작에 의해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제어함으로써, 스포츠 게임의 플레이를 위하여 사용자(10)가 지속적으로 점프하게 되므로 지루함 없이 운동을 하도록 유도하고, 트램펄린(100)을 이용하는 사용자(10)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출력부(200)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10)가 스포츠 게임 내에서 플레이를 하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여 점프 동작을 정확하게 하도록 하고 추가적인 재미를 줄 수 있다.
트램펄린(100)은, 사용자(10)가 점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기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사각형의 탄력성 매트일 수 있으나, 여러 개의 탄력성 매트가 연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트램펄린(100)은, 탄력을 이용해 사용자(10)가 점프를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부(200)는, 트램펄린(100)을 이용하는 사용자(10)의 이미지와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증강현실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포츠 게임 콘텐츠는, 트램펄린(100)을 이용해 운동을 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스포츠와 게임을 결합한 게임 콘텐츠로서, 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각종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게임 콘텐츠는, 복수의 미션을 포함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플레이를 통해 사용자(10)가 운동을 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포츠 게임 콘텐츠는 사용자(10)의 수준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부(200)는, 카메라 모듈(20)을 이용해 촬영된 사용자(10)의 이미지와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합성하여 증강현실로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출력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스포츠 게임 콘텐츠 내에 들어가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부(200)는,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 기술을 이용하여, 트램펄린(100) 상 및 트램펄린(100) 주변에 설치된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부(200)는 증강현실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젝터와 스크린 또는 스크린 역할을 하는 벽면이나 트램펄린(10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물 위에 프로젝터의 컴퓨터 그래픽스 영상을 정합시키는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나안(bare-eye) 상태에서 사용자(10)의 이미지 및 스포츠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200)는,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스크린 뿐 아니라, 트램펄린(100) 위에도 스포츠 게임 콘텐츠의 출력이 가능하므로, 트램펄린(100)을 이용해 다양한 미션을 제공하는 스포츠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출력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면에 증강현실을 출력할 수 있으나, 트램펄린(100)의 측면에 구비된 여러 벽면/스크린에 증강 현실을 출력하거나, 트램펄린(100) 위 및 벽면/스크린을 모두 활용하여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트램펄린(100)을 이용하는 사용자(10)의 점프 동작을 이용하여 출력부(200)로 출력되는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10)의 점프 동작을 입력 신호로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하고 제어함으로써, 사용자(10)의 점프 동작에 의해 스포츠 게임이 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게임 콘텐츠가 제공하는 미션에 따라, 사용자(10)의 손의 위치, 발의 위치, 점프 높이, 점프 자세 등이 제어 신호로 추출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게임이 플레이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400)는, 사용자(10)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측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400)는 사용자(10)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형일 수 있으나, 발목 착용형, 스포츠 조끼에 삽입되는 소형의 원반 또는 사각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 손이나 다리에 착용하는 형태, 센서가 삽입된 신발, 모자, 헤어밴드, 복수의 센서가 부착된 수트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400)는 트램펄린(100)에서 점프를 하는 사용자(10)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경량화 된 소형의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기기(400)는, 심박 센서, 가속도 센서, 맥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400)에서 수집되는 신체 측정 데이터는, 적어도 심박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맥박, 체지방, 근육 수축 정도, 걸음 수, 위치, 이동 거리, 운동 시간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100)는 통신망(140)에 연결된 복수의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110 내지 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는 3개의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이 통신망(14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그보다 많거나 적은 개수가 상호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은 다른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1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110)은 실내 공간에 구성될 수 있으며, 트램펄린(111), 웨어러블 디바이스(112), 수신 단말기(113), 서버(114), 제1 내지 M 영상출력기(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12)는 손목 밴드 형태, 발목 밴드 형태, 목걸이 형태, 허리 벨트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특별히 형태나 파지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2)는 구비된 각종 생체 센서, 측위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센싱 정보를 수신 단말기(11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 정보는 3차원 좌표 정보, 맥박 정보, 체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2)에는 고유 아이디가 부여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12)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접 태깅을 통해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2)는 상호 태깅된 복수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그룹 태깅 신호를 수신 단말기로(113)로 전송할 수 있다.
실내 공간에 구비되는 트램펄린(111)의 개수 및 형태는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113)는 제1 내지 N 웨어러블 디바이스(112)로부터의 무선으로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에 복수 개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2)와 수신 단말기(113)는 UWB(UltraWideBand) 통신, 와이파이 통신,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5G NR(New Radio)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서버(113)는 수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2)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3차원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영상 콘텐츠는 제1 내지 M 영상 출력기(115)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112)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 출력기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113)는 적어도 하나의 트램펄린(111) 및 제1 내지 M 영상 출력기(115)가 해당 실내 공간 내 배치된 3차원 좌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M 영상 출력기(115)는 빔 프로젝트일 수 있으며, 서버(11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빔의 방향 및 초점이 제어될 수 있다. 서버(113)는 빔의 초점 제어를 통해 영상 콘텐츠가 출력되는 크기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M 영상 출력기(115)는 트램펄린(111)상에 영상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M 영상 출력기(115)는 실내 공간의 벽면에 영상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M 영상 출력기(115)는 홀로그램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홀로그램 출력 장치는 실내 공간의 3차원 공간에 영상 콘텐츠를 홀로그램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홀로그램 출력 장치는 홀로그램 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M 영상 출력기(115)는 드론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드론 형태의 영상 출력기는 실내 공간을 비행하여 영상 콘텐츠를 실내 공간의 벽면, 트램펄린 상면, 실내 공간의 3차원 공간에 빔 형태 또는 홀로그램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110)에 하나의 서버(1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 예는 게임을 위한 그래픽 정보를 영상 출력기로 제공하는 게임 서버와 수신 단말기(113)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산출된 3차원 위치 값을 생성하는 입출력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은 기존 아날로그 트램펄린 시설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명이 동시에 몰입감을 느끼며 실감나는 게임 및 스포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은 사용자가 HMD (head-mounted display)없이도 입체적이고 환상적인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환경을 경험 할 수 있으며, 멀티 프로젝션 기술을 적용하여 플레이어의 모션과 실시간 위치를 정밀하게 추적하여 전체 시야(바닥/벽면/3차원 공간)에 다양한 비주얼 효과를 생성하여 인터랙티브한 게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14)는 크게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하부 모듈(2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서버(114)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해당 실내 공간 내 배치된 영상 출력기들의 세부 위치 및 상세 기능에 관한 정보, 게임 콘텐츠 정보, 과금 정보, 각종 영상 콘텐츠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이 유지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서버(114)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유지될 수 있다.
하부 모듈(280)은 크게 개인 콘텐츠 제공부(230), 특수효과제공부(240), 그룹콘텐츠제공부(250), 영상출력기식별부(261), 게임콘텐츠제공부(262), 타임설정부(263), 과금부(264), 온라인대결설정부(265), 통신부(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수신 단말기(113)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271), 영상 출력기(115)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72) 및 타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3통신부(27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통신부(271)는 수신 단말기(113)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1)에 상응하는 위치 센싱 정보, 움직임 센싱 정보-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에 의한 센싱 정보-, 웨어어블 디바이스(111)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콘텐츠 제공부(23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트램펄린(111) 평면으로부터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112)의 수직 고도를 산출하는 수직고도산출부(231) 및 상기 산출된 수직 고도에 기초하여 영상 콘텐츠의 트램펄린(111) 평면상에의 출력 면적을 결정하는 출력면적산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영상 출력기(115)는 상기 결정된 출력 면적에 따라 해당 영상 콘텐츠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개인 콘텐츠 제공부(230)는 상기 산출된 수직 고도에 상응하는 제1 점수를 산출하는 제1점수산출부(233)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12) 별 상기 제1 점수를 누적하여 제2 점수를 산출하는 제2점수산출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점수 및 상기 제2 점수가 상기 영상 출력기를 통해 상기 트램펄린(111)의 표면 또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면 일측 또는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111)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3차원 공간상에 출력될 수 있다.
개인 콘텐츠 제공부(230)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트램펄린(111) 평면으로부터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112)의 수평 좌표를 산출하는 수평좌표산출부(235)와 상기 산출된 수평 좌표에 기초하여 해당 영상 콘텐츠의 해당 트램펄린(111) 평면상에의 출력 위치를 산출하는 출력위치산출부(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영상 출력기(115)는 상기 산출된 출력 위치에 따라 해당 영상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개인 콘텐츠 제공부(230)는 상기 산출된 출력 면적 및(또는) 출력 위치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개인영상콘텐츠생성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특수효과제공부(240)는 상기 제1 점수를 제1임계치와 비교하는 제1비교부(241)와 상기 제2 점수를 제2임계치와 비교하는 제2비교부(242) 및 상기 제1비교부(241) 및 제2비교부(242)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특수 효과 영상을 생성하는 특수효과영상생성부(24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콘텐츠제공부(25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11)의 아이디에 기반하여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식별부(251)과 상기 식별된 그룹에 상응하는 제3점수를 산출하는 그룹점수산출부(252) 및 상기 제3점수에 기반하여 그룹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그룹영상콘텐츠생성부(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 영상 콘텐츠는 해당 영상 출력기(115)를 통해 출력되며, 상기 그룹 영상 콘텐츠는 색깔 및(또는) 형태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이 식별될 수 있다.
그룹콘텐츠제공부(250)는 상기 그룹 별 상기 제3점수를 비교하여 승리 그룹을 결정하는 승리그룹결정부(256)와 상기 승리 그룹에 상응하는 승리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승리영상콘텐츠생성부(2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리 영상 콘텐츠는 복수의 영상 출력기(115)를 통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룹콘텐츠제공부(250)는 상호 태깅된 복수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그룹 태깅 신호를 수신 단말기(113)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아이디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2)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한 근접 태깅을 통해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영상출력기식별부(261)는 복수의 영상 출력기(115)는 어느 영상 출력기를 통해 해당 영상 콘텐츠가 출력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출력기식별부(261)는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112)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영상 콘텐츠를 출력해야 하는 영상 출력기를 결정할 수 있다.
게임콘텐츠제공부(262)는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게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타임설정부(26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게임 시간 또는 플레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면, 서비스는 자동 종료될 수 있다.
과금부(264)는 사용자 선택한 게임의 종류, 설정된 시간 등에 기초하여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대결설정부(265)는 타 몰입형 인터랙티브 트램펄린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온라인 대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온라인 대결이 설정된 경우, 서버(114)는 타 몰입형 인터랙티브 트램펄린 시스템과 온라인 게임 정보를 교환하고, 수집된 온라인 게임 정보에 기초한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여 실내 공간의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게임 정보는 상대 팀의 현재 점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몰입형 인터랙티브 트램펄린 시스템에서의 개인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상기 도 5의 도면 번호 310은 플레이어의 트램폴린(111)상에서의 점핑 높이에 따라 트램폴린(111) 상에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가 상이함을 보여준다. 즉, 점핑 높이가 높을수록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인터랙티브 트램펄린 시스템(110)은 플레이어의 점프 높이에 따른 차별화된 시각적 인터랙션을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의 집중력 및 재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프 높이에 따른 차별화된 스코어 또는 측정된 점핑 높이 값을 출력함으로써 플레이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경쟁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5의 도면 번호 320은 플레이어의 트램폴린(111)상에서의 점핑 위치에 따라 트램폴린(111) 상에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위치도 그에 따라 변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위치 변경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색깔은 상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입형 인터택트 트램폴린 시스템의 활용 방법을 보여준다.
상기 도 6의 도면 번호 410은 플레이어의 점핑 높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벽면 일측에 점핑 높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상기 도 6의 도면 번호 420은 플레이어의 점핑 높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벽면 일측에 점핑 높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영상 콘텐츠 뿐만 아니라 점핑 높이를 글자로 표시하고,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에 상응하는 음향 효과를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어의 위치에 따라 출력되는 스피커의 위치는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6의 도면 번호 430은 팀/개인 별 페인팅 게임을 보여준다. 개인 또는 팀(그룹) 플레이어(들)이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를 뛰어 바닥에 착지하면 그 위치에 자신의 팀 색깔이 칠해질 수 있다. 이때, 점프 높이에 따라 착지 시에 더 넓은 영역이 해당 개인 또는 팀의 색깔로 칠해질 수 있다. 정해진 시간이 종료되었을 때 더 많은 영역을 칠한 팀(또는 개인)이 승리할 수 있다.
상기 도 6의 도면 번호 440은 팀/개인 별 별 수집 게임을 보여준다. 개인 또는 팀(그룹) 플레이어(들)이 트램펄린 바닥에 뿌려진 별들을 점프해서 밟아 획득하는 게임 콘텐츠이다. 별을 획득하면 해당 개인/팀의 점수가 올라가며, 정해진 시간 안에 더 많은 별을 획득한 개인/팀이 승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 및/또는 스토리지)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네트워크
111: 트램펄린
112: 웨어러블 디바이스

Claims (4)

  1. 실내 공간에 구비되는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의 일측에 장착되어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기;
    구비된 측위 센서 및 생체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착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3차원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영상 출력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실내 공간 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트램펄린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출력기가 배치된 3차원 좌표 정보를 유지하는,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호 태깅된 복수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그룹 태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아이디를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근접 태깅을 통해 상기 상호 태깅되는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놀이를 제공하는 인터렉티브 놀이 제공방법.
KR1020200181742A 2020-12-23 2020-12-23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KR20220090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742A KR20220090835A (ko) 2020-12-23 2020-12-23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742A KR20220090835A (ko) 2020-12-23 2020-12-23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835A true KR20220090835A (ko) 2022-06-30

Family

ID=8221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742A KR20220090835A (ko) 2020-12-23 2020-12-23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08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52A1 (ko) 2021-07-30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습윤 접착력이 우수한 전극용 절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7945B1 (ko) * 2022-09-06 2023-05-02 주식회사 드림스페이스테크 메타버스 동굴놀이터 컨텐츠 제공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52A1 (ko) 2021-07-30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습윤 접착력이 우수한 전극용 절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7945B1 (ko) * 2022-09-06 2023-05-02 주식회사 드림스페이스테크 메타버스 동굴놀이터 컨텐츠 제공시스템
KR102527942B1 (ko) * 2022-09-06 2023-05-03 주식회사 드림스페이스테크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911B1 (ko) 트램펄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게임 시스템
KR101686576B1 (ko) 가상 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션 게임 시스템
US10432772B2 (en) Dual-mode eyeglasses
US9779633B2 (en) Virtual reality system enabling compatibility of sense of immersion in virtual space and movement in real space, and battle training system using same
Mueller et al. Exertion games
US10254827B2 (en) Electronic gaming machine in communicative control with avatar display from motion-capture system
US9372534B2 (en) Interactive wearable videogame through the use of wireless electronic sensors and physical objects
Tanaka et al. A comparison of exergaming interfaces for use in rehabilitation programs and research
CN103959094B (zh) 用于辅助运动训练的系统和方法
US20100035688A1 (en) Electronic Game That Detects and Incorporates a User's Foot Movement
KR102530747B1 (ko) 챌린지 게임 시스템
US200602236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on-screen/off-screen first person gaming experience
US20110184248A1 (en)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0033184A (ja) 全身動作入力型のゲ―ム及びイベント装置
KR20220090835A (ko)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CA28652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hysical and mental stimulus
US20220409942A1 (en) Hopscotch trampoline
US11458398B2 (en) Trampoline video game
WO2018158836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制御方法
JPH08131654A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装置に用いる運動測定装置
CN114253393A (zh) 信息处理设备、终端、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Dabnichki Computers in sport
KR102433084B1 (ko) 가상 현실 게임용 플레이어 감정 분석 방법, 플레이어 감정 기반 가상 현실 서비스 운용 방법 및 가상 현실 시스템
Nabiyouni How does interaction fidelity influence user experience in VR locomotion?
KR20210115868A (ko) 몰입형 인터렉티브 트램펄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