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942B1 -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942B1
KR102527942B1 KR1020220155410A KR20220155410A KR102527942B1 KR 102527942 B1 KR102527942 B1 KR 102527942B1 KR 1020220155410 A KR1020220155410 A KR 1020220155410A KR 20220155410 A KR20220155410 A KR 20220155410A KR 102527942 B1 KR102527942 B1 KR 10252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ground
play
metaverse
quiz
sli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일
김이선
최호준
박종범
임세준
임준홍
김연수
이건우
오윤지
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스페이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스페이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스페이스테크
Priority to KR102022015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02Input by manu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83Other characteristics
    • A63F2009/2488Remotely playable
    • A63F2009/2489Remotely playable by radio transmitters, e.g. usin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64Quiz

Abstract

본 발명은 마치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처럼 테마형 놀이터를 탐험하며 보다 실감나는 환경에서 새로운 장소를 탐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문객의 놀이 체험을 위해 설치되는 테마형 놀이터;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놀이 체험을 위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테마형 놀이터에서 놀이를 체험 중인 사용자의 체험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놀이 체험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 및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놀이 체험 콘텐츠의 미션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놀이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Next-generation operating system for a themed metaverse playground}
본 발명은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치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처럼 테마형 놀이터를 탐험하며 보다 실감나는 환경에서 새로운 장소를 탐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의 건전한 여가활동을 유도하고, 신체발달과 체력증진, 사회성 함양 등을 위해서는 스마트폰 게임이나 PC게임보다 짜릿하고 재미있으면서도 활발한 신체 활동이 수반되며, 다른 아이들과 함께 어울려 즐길 수 있는 건전한 게임형 놀이터가 필요하다.
놀이공원 등의 경우 대부분의 어트랙션이 아이들의 신체활동 필요없이 동력으로 움직이는 탈것 종류(RIDE류)나 관람형이 대부분이고, 신장제한, 연령제한 등이 있어 12 개월 이상 미취학 아이들을 위한 어트랙션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 등장한 고급형 그물놀이터는 넘어지고, 뒹굴고, 부딪히는 등의 과격한 신체활동 중에도 안전 확보가 용이하여 아이들이 안전하고 재미있게 놀이에 집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한 자리에서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진보하여 사용자가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이 되어 실감나는 환경에서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고, 뛰고, 엎드리고, 구르는 등의 흥미롭고 활동적인 놀이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7411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바닥에 낮게 설치 가능한 고급형 그물망을 마치 동굴처럼 석순, 석주 등의 환경을 가미하여 조성하고, 동굴 곳곳에 메타버스 기술과 다양한 부가 요소들을 사용하여 마치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처럼 테마형 놀이터를 탐험하며 보다 실감나는 환경에서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고, 퍼즐을 풀고, 이색적인 식물, 곤충, 몬스터 등을 사냥하여 탐험 점수를 쌓을 수 있도록 구현한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은, 방문객의 놀이 체험을 위해 설치되는 테마형 놀이터;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놀이 체험을 위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테마형 놀이터에서 놀이를 체험 중인 사용자의 체험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놀이 체험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 및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놀이 체험 콘텐츠의 미션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놀이 단말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놀이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몬스터를 타격하는 것을 미션 성공의 목표로 하는 놀이 체험 콘텐츠의 한 종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너프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은, 하나의 놀이 체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수의 각 사용자가 착용하여 각 사용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놀이 단말기의 미션 수행 정보를 상기 놀이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조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마형 놀이터는, 방문객이 퀴즈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퀴즈 부스;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퀴즈 게임 진행을 위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퀴즈 부스의 일 벽면에 설치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퀴즈 게임에 대한 정답 입력을 위해 상기 퀴즈 부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형 입력부; 상기 퀴즈 부스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상기 퀴즈 부스에 설치되는 탈출구; 및 상기 탈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키가 수납되며, 방문객이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퀴즈 게임을 모두 풀어 낸 경우 개방되는 키 수납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는, 상기 퀴즈 부스로 진입하는 방문객의 연령에 대응하여 제공될 퀴즈 게임을 게임 참자가의 연령대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방문객이 상기 퀴즈 부스로 진입 시 방문객의 연령을 확인한 후 방문객의 연령에 대응하는 퀴즈 게임을 검색 후 상기 표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은,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에서 생성된 놀이 콘텐츠 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크린;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천장형 레일; 및 상기 천장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놀이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놀이 단말기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천장형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에서 생성된 놀이 콘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투사 장치는, 상기 천장형 레일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놀이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놀이 단말기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는 추적형 슬라이더; 다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하단이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을 향하도록 구동되는 다축 회전 모듈; 및 상기 다축 회전 모듈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다축 회전 모듈의 하단이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을 향하도록 구동되면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놀이 콘텐츠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적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휠; 상기 제1 구동휠과 대향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3 구동휠; 상기 제2 구동휠과 대향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4 구동휠;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단에 상기 다축 회전 모듈이 설치되는 모듈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일측에 상기 제1 구동휠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3 구동휠이 연결 설치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2 구동휠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4 구동휠이 연결 설치되는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전 구체; 상기 제1 회전 구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블록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전 구체; 전단이 상기 제1 회전 구체에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2 회전 구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지지하며, 중단 하측에 상기 모듈 지지대가 설치되는 간격 지지대; 및 상기 제1 블록의 후단의 상부 일측과 상기 제2 블록의 전단의 상부 일측, 상기 제1 블록의 후단의 상부 타측과 상기 제2 블록의 전단의 상부 타측, 상기 제1 블록의 후단의 하부 일측과 상기 제2 블록의 전단의 하부 일측, 및 상기 제1 블록의 후단의 하부 타측과 상기 제2 블록의 전단의 하부 타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4 개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단순히 한 자리에서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진보하여 사용자가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이 되어 동굴속을 탐험하며 직접 몸을 움직여 뛰고, 엎드리고 구르게 하는 ‘놀이체육형’ 기구이므로 신체발달, 체력발달, 체력단련, 사회성?t양 등의 효과를 기대할수 있어 플레이파크 이외 교육시장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다.
또한, 어려운 지형을 스스로 통과하며 이색적인 식물, 곤충, 몬스터 등을 사냥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단순한 재미위주의 디지털 놀이터에 비해 활동적이고 능동적인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여 체력증진 효과 뿐만 아니라 아이들로 하여금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자신감 향상 등 자기주도적 사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형 놀이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1의 테마형 놀이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영상 투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추적형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10)은, 테마형 놀이터(100), 디스플레이(200),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 및 놀이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테마형 놀이터(100)는, 방문객의 놀이 체험을 위해 설치되며, 테마형 놀이터로서 동굴탐험, 밀림탐험 또는 사막탐험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테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테마에 제한이 있는 것도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테마형 놀이터(100)는, 바닥에 낮게 설치 가능한 고급형 그물망을 마치 동굴처럼 석순, 석주 등의 환경을 가미하여 조성하고, 동굴 곳곳에 영상장치(프로젝터, LED 디스플레이 등), VR, 각종 센서, 인터렉티브 미디어기술, LED 아티팩트 등의 메타버스 기술과 다양한 부가 요소들을 사용하여 마치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처럼 온몸으로 전진하거나 동굴 여기저기를 뛰고 구르면서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고, 퍼즐을 풀고, 이색적인 식물, 곤충, 몬스터 등을 사냥하는 방법으로 탐험점수를 쌓고 동료들과 경쟁하는 방식의 차세대 놀이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형 놀이터(100)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전동으로 움직이는 RIDE 기구를 탄 채 괴물을 퇴치하는 모습인데, 새로 개발하고자 하는 융합형 놀이터는 RIDE 타지 않고 안전한 환경에서 직접 몸을 움직여 이동하면서 괴물을 퇴치하는 등의 놀이 시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테마형 놀이터의 구현을 통해, 참여도와 몰입도, 흥미도를 훨씬 제고하여 사용자들의 체험욕구를 자극할 것으로 예상되며, 21세기 유망사업인 실내 테마파크 중 플레이 파크(놀이형 테마파크)의 인기 높은 핵심 놀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놀이터나 놀이기구들이 동력을 이용하는 탈것(ride) 중심인데 비해, 본 테마형 놀이터(100)는 직접 자기 몸을 움직여 뛰고 엎드리고 구르도록 만드는 ‘놀이체육형’ 기구이므로 신체발달, 체력단련, 사회성함양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플레이 파크 이외 교육시장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놀이 체험을 위한 영상을 출력한다.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테마형 놀이터(100)에서 놀이를 체험 중인 사용자의 체험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놀이 체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시켜 준다.
놀이 단말기(400)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에 의해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 중인 놀이 체험 콘텐츠의 미션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놀이 단말기(400)는,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되는 몬스터(예를 들어, 이색적인 식물, 곤충, 몬스터 등)를 타격하는 것을 미션 성공의 목표로 하는 놀이 체험 콘텐츠의 한 종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너프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놀이 단말기(400)를 통해 발사되는 총알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되는 몬스터에 타격이 성공되었다고 판독되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스코어를 누적시켜 사용자의 미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실시간으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서버와 단말 간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고도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놀이 체험을 구현함으로써 빠르고 정확도 높은 놀이 체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도 5에 예시된 맵을 통한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 사용자의 게임의 진행에 따라 시간에 따라 혹은 각 구역에서의 과제해결 여부에 따라 다양한 특수효과(예를 들어, 조명, 사운드, 안개, 바람 등) 발생, 각 구역의 게이트 여닫이 조절, 해결난이도 조절(예를 들어, 투입 인원에 따라 몬스터 HP 및 몬스터 수 등을 자동 조정), 퀴즈문제해결용 단계적 단서(clue) 자동제공, 이에 따른 탐험점수 분야 조정, 참가자들에 대한 자동 안내방송 송출(예를 들어, "이제는 몬스터를 잡아도 점수가 주어지지 않습니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특정 이벤트(event) 발생 시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각종 기기(예를 들어, 특수효과발생장치, 조명기기, 사운드기기, 미스트발생기기, 윈드발생기기, 방송기기, 게이트조정기 등)들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각 기기들의 제어 및 연동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구축을 위한 서버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10)은, 디지털 조끼(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조끼(500)는, 하나의 놀이 체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수의 각 사용자가 착용하여 각 사용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놀이 단말기(400)의 미션 수행 정보를 놀이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받아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10)은, 아날로그 시설 측면에서는 다양하고 이색적인 지형지물의 동굴환경을 그물, 폼, 매트, 폼핏 등의 소프트 소재를 사용하여 조성(특히, 바닥이나 측면에 당사의 특수 강화섬유 그물망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마음대로 구르거나 부딪혀도 안전하도록 조성)하고, 기본적으로 각종 장애물통과형 놀이기구, 레이저선 장애물, 특수조명(바닥조명 포함), 특수 음향효과를 위한 시설, 실내 공기질 관리시스템 등이 필요하고, 디지털 시설 측면에서는 동굴환경을 보다 실감나게 만들어 주거나,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 바람, 그림자, 괴물(영상) 등이 동작하는 비교적 정교한 대화형(interactive) 기술들(예를 들어, 동작센서, 프로젝터, LED 스크린 및 프로젝션 스크린, VR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CT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지털 조끼를 착용하여 몬스터의 공격을 감지하고 너프건 등을 이용하여 몬스터 사냥을 하며, 공격성공 등은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점수화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10)은, 단순히 한 자리에서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진보하여 사용자가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이 되어 실감나는 환경에서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고, 뛰고, 엎드리고, 구르면서 몬스터를 사냥하는 등의 보다 흥미롭고 활동적인 놀이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어려운 지형을 스스로 통과하며 이색적인 식물, 곤충, 몬스터 등을 사냥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단순한 재미위주의 디지털 놀이터에 비해 활동적이고 능동적인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여 체력증진 효과 뿐만 아니라 아이들로 하여금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자신감 향상 등 자기주도적 사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테마형 놀이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테마형 놀이터(100)는, 퀴즈 부스(110), 표시부(1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형 입력부(130), 탈출구(140) 및 키 수납함(150)을 포함한다.
퀴즈 부스(110)는, 방문객(P)이 퀴즈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표시부(1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형 입력부(130), 탈출구(140) 및 키 수납함(15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표시부(120)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퀴즈 게임 진행을 위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퀴즈 부스(110)의 일 벽면에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형 입력부(130)는, 표시부(120)에 출력 중인 퀴즈 게임에 대한 정답 입력을 위해 퀴즈 부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탈출구(140)는, 퀴즈 부스(110)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퀴즈 부스(110)에 설치되며, 키 수납함(150)에 수납되는 키(K)에 의해 개폐된다.
키 수납함(150)은, 탈출구(140)를 개방시키기 위한 키(K)가 수납되며, 방문객(P)이 표시부(120)에 출력 중인 퀴즈 게임을 모두 풀어 낸 경우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퀴즈 부스(110)로 진입하는 방문객(P)의 연령에 대응하여 제공될 퀴즈 게임을 게임 참자가의 연령대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사켜 저장해 두며, 방문객(P)이 퀴즈 부스(110)로 진입 시 방문객(P)의 연령을 확인한 후 방문객(P)의 연령에 대응하는 퀴즈 개임을 검색 후 표시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1) 5 내지 7세의 경우에는 난이도 하(3 문제) 2) 8 세 내지 9세의 경우에는 난이도 중(3 문제) 3) 10세부터 성인의 경우에는 난이도 상(2 문제) 등과 같이 연령대 별로 난이도 또는 문제의 개수를 달리하여 퀴즈 게임을 달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각 테마 별로 문제 3 ~ 5 개씩 준비하고, 총 6 ~ 15의 문제 중 2 ~ 3 개가 랜덤으로 출현할 수 있도록 하며,
발판형 입력부(130)의 개수에 따라 사지선다 혹은 오지선다로 문제를 선별하며, 문제를 모두 맞추면 왼쪽 뒤에 키 수납함(150)이 열려 지정된 곳에 키(K)를 부착하면 탈출구(140)가 개방되어 보스방 입장이 가능하도록 테마를 설정하고, 제한 시간 내에 문제를 모두 풀지 못하거나 오답이 발생한 경우 제한시간이 끝나야지만 보스방으로 가는 탈출구(140)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20)은, 테마형 놀이터(100), 놀이 단말기(200),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 다수 개의 스크린(500-1 내지 500-3), 천장형 레일(6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투사 장치(700-1 내지 700-3)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마형 놀이터(100), 놀이 단말기(200) 및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수 개의 스크린(500-1 내지 500-3)은, 영상 투사 장치(700)에 의해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에서 생성된 놀이 콘텐츠 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천장형 레일(600)은, 영상 투사 장치(700)가 천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테마형 놀이터(100)의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투사 장치(700-1 내지 700-3)는, 천장형 레일(600)에 연결 설치되며, 놀이 단말기(200)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놀이 단말기(200)가 이동함에 따라 천장형 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P)가 위치하고 있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스크린(500)으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에서 생성된 놀이 콘텐츠 영상을 투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20)은, 사용자(P)가 위치하고 있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사용자(P)가 체험하고 있는 테마에 맞는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P)가 현재 체험하고 있는 테마에 보다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영상 투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투사 장치(700)는, 추적형 슬라이더(710), 다축 회전 모듈(720) 및 영상 투사기(730)를 포함한다.
추적형 슬라이더(710)는, 천장형 레일(600)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610)에 연결 설치되며, 놀이 단말기(200)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놀이 단말기(200)가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이동한다.
다축 회전 모듈(720)은, 다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하단이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스크린(500)을 향하도록 구동된다.
영상 투사기(730)는, 다축 회전 모듈(720)의 하단에 설치되며, 다축 회전 모듈(720)의 하단이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스크린(500)을 향하도록 구동되면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놀이 콘텐츠 영상을 스크린(500)으로 투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영상 투사 장치(700)는, 천장형 레일(600)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으로써, 사용자(P)를 따라 이동하거나, 혹은 사용자(P)가 자신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접근하면 사용자(P)가 위치하고 있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사용자(P)가 체험하고 있는 테마에 맞는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P)가 현재 체험하고 있는 테마에 보다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추적형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추적형 슬라이더(710)는, 슬라이딩 블록(800), 제1 구동휠(711), 제2 구동휠(712), 제3 구동휠(713), 제4 구동휠(714) 및 모듈 지지대(715)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800)은, 슬라이딩홈(610)에 안착되며, 제1 구동휠(711), 제2 구동휠(712), 제3 구동휠(713), 제4 구동휠(714) 및 모듈 지지대(71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구동휠(711)은, 슬라이딩 블록(800)의 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0)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800)을 이동시켜 준다.
제2 구동휠(712)은, 슬라이딩 블록(800)의 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0)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800)을 이동시켜 준다.
제3 구동휠(713)은, 제1 구동휠(711)과 대향하면서 슬라이딩 블록(800)의 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0)의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800)을 이동시켜 준다.
제4 구동휠(714)은, 제2 구동휠(712)과 대향하면서 슬라이딩 블록(800)의 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0)의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800)을 이동시켜 준다.
모듈 지지대(715)는, 슬라이딩 블록(8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홈(61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단에 다축 회전 모듈(720)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추적형 슬라이더(710)는, 사용자(P)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영상 투사기(730)를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800)은, 제1 블록(810), 제2 블록(820), 제1 회전 구체(830), 제2 회전 구체(840), 간격 지지대(850) 및 4 개의 지지 스프링(860)을 포함한다.
제1 블록(810)은, 일측에 제1 구동휠(711)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3 구동휠(713)이 연결 설치된다.
제2 블록(820)은, 제1 블록(8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일측에 제2 구동휠(712)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4 구동휠(714)이 연결 설치된다.
제1 회전 구체(830)는, 제1 블록(8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회전 구체(840)는, 제1 회전 구체(830)와 대향하면서 제2 블록(820)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간격 지지대(850)는, 전단이 제1 회전 구체(830)에 설치되고 후단이 제2 회전 구체(840)에 설치되어 제1 블록(810)과 제2 블록(8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중단 하측에 모듈 지지대(715)가 설치된다.
4 개의 지지 스프링(860)은, 제1 블록(810)의 후단의 상부 일측과 제2 블록(820)의 전단의 상부 일측, 제1 블록(810)의 후단의 상부 타측과 제2 블록(820)의 전단의 상부 타측, 제1 블록(810)의 후단의 하부 일측과 제2 블록(820)의 전단의 하부 일측, 및 제1 블록(810)의 후단의 하부 타측과 제2 블록(820)의 전단의 하부 타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블록(810)과 제2 블록(8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800)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1 블록(810)과 제2 블록(820) 간의 간격을 변형시켜 가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10)은, 테마형 놀이터(100), 디스플레이(200),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 및 놀이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테마형 놀이터(100)는, 방문객의 놀이 체험을 위해 설치되며, 테마형 놀이터로서 동굴탐험, 밀림탐험 또는 사막탐험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테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테마에 제한이 있는 것도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테마형 놀이터(100)는, 바닥에 낮게 설치 가능한 고급형 그물망을 마치 동굴처럼 석순, 석주 등의 환경을 가미하여 조성하고, 동굴 곳곳에 영상장치(프로젝터, LED 디스플레이 등), VR, 각종 센서, 인터렉티브 미디어기술, LED 아티팩트 등의 메타버스 기술과 다양한 부가 요소들을 사용하여 마치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처럼 온몸으로 전진하거나 동굴 여기저기를 뛰고 구르면서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고, 퍼즐을 풀고, 이색적인 식물, 곤충, 몬스터 등을 사냥하는 방법으로 탐험점수를 쌓고 동료들과 경쟁하는 방식의 차세대 놀이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형 놀이터(100)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전동으로 움직이는 RIDE 기구를 탄 채 괴물을 퇴치하는 모습인데, 새로 개발하고자 하는 융합형 놀이터는 RIDE 타지 않고 안전한 환경에서 직접 몸을 움직여 이동하면서 괴물을 퇴치하는 등의 놀이 시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테마형 놀이터의 구현을 통해, 참여도와 몰입도, 흥미도를 훨씬 제고하여 사용자들의 체험욕구를 자극할 것으로 예상되며, 21세기 유망사업인 실내 테마파크 중 플레이 파크(놀이형 테마파크)의 인기 높은 핵심 놀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놀이터나 놀이기구들이 동력을 이용하는 탈것(ride) 중심인데 비해, 본 테마형 놀이터(100)는 직접 자기 몸을 움직여 뛰고 엎드리고 구르도록 만드는 ‘놀이체육형’ 기구이므로 신체발달, 체력단련, 사회성함양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플레이 파크 이외 교육시장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놀이 체험을 위한 영상을 출력한다.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테마형 놀이터(100)에서 놀이를 체험 중인 사용자의 체험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놀이 체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시켜 준다.
놀이 단말기(400)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에 의해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 중인 놀이 체험 콘텐츠의 미션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놀이 단말기(400)는,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되는 몬스터(예를 들어, 이색적인 식물, 곤충, 몬스터 등)를 타격하는 것을 미션 성공의 목표로 하는 놀이 체험 콘텐츠의 한 종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너프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놀이 단말기(400)를 통해 발사되는 총알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출력되는 몬스터에 타격이 성공되었다고 판독되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스코어를 누적시켜 사용자의 미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실시간으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서버와 단말 간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고도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놀이 체험을 구현함으로써 빠르고 정확도 높은 놀이 체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도 5에 예시된 맵을 통한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 사용자의 게임의 진행에 따라 시간에 따라 혹은 각 구역에서의 과제해결 여부에 따라 다양한 특수효과(예를 들어, 조명, 사운드, 안개, 바람 등) 발생, 각 구역의 게이트 여닫이 조절, 해결난이도 조절(예를 들어, 투입 인원에 따라 몬스터 HP 및 몬스터 수 등을 자동 조정), 퀴즈문제해결용 단계적 단서(clue) 자동제공, 이에 따른 탐험점수 분야 조정, 참가자들에 대한 자동 안내방송 송출(예를 들어, "이제는 몬스터를 잡아도 점수가 주어지지 않습니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특정 이벤트(event) 발생 시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각종 기기(예를 들어, 특수효과발생장치, 조명기기, 사운드기기, 미스트발생기기, 윈드발생기기, 방송기기, 게이트조정기 등)들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각 기기들의 제어 및 연동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구축을 위한 서버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10)은, 디지털 조끼(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조끼(500)는, 하나의 놀이 체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수의 각 사용자가 착용하여 각 사용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놀이 단말기(400)의 미션 수행 정보를 놀이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받아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10)은, 아날로그 시설 측면에서는 다양하고 이색적인 지형지물의 동굴환경을 그물, 폼, 매트, 폼핏 등의 소프트 소재를 사용하여 조성(특히, 바닥이나 측면에 당사의 특수 강화섬유 그물망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마음대로 구르거나 부딪혀도 안전하도록 조성)하고, 기본적으로 각종 장애물통과형 놀이기구, 레이저선 장애물, 특수조명(바닥조명 포함), 특수 음향효과를 위한 시설, 실내 공기질 관리시스템 등이 필요하고, 디지털 시설 측면에서는 동굴환경을 보다 실감나게 만들어 주거나,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 바람, 그림자, 괴물(영상) 등이 동작하는 비교적 정교한 대화형(interactive) 기술들(예를 들어, 동작센서, 프로젝터, LED 스크린 및 프로젝션 스크린, VR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CT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지털 조끼를 착용하여 몬스터의 공격을 감지하고 너프건 등을 이용하여 몬스터 사냥을 하며, 공격성공 등은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점수화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10)은, 단순히 한 자리에서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진보하여 사용자가 아케이드 게임의 주인공이 되어 실감나는 환경에서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고, 뛰고, 엎드리고, 구르면서 몬스터를 사냥하는 등의 보다 흥미롭고 활동적인 놀이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어려운 지형을 스스로 통과하며 이색적인 식물, 곤충, 몬스터 등을 사냥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단순한 재미위주의 디지털 놀이터에 비해 활동적이고 능동적인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여 체력증진 효과 뿐만 아니라 아이들로 하여금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자신감 향상 등 자기주도적 사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테마형 놀이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테마형 놀이터(100)는, 퀴즈 부스(110), 표시부(1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형 입력부(130), 탈출구(140) 및 키 수납함(150)을 포함한다.
퀴즈 부스(110)는, 방문객(P)이 퀴즈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표시부(1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형 입력부(130), 탈출구(140) 및 키 수납함(15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표시부(120)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퀴즈 게임 진행을 위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퀴즈 부스(110)의 일 벽면에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형 입력부(130)는, 표시부(120)에 출력 중인 퀴즈 게임에 대한 정답 입력을 위해 퀴즈 부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탈출구(140)는, 퀴즈 부스(110)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퀴즈 부스(110)에 설치되며, 키 수납함(150)에 수납되는 키(K)에 의해 개폐된다.
키 수납함(150)은, 탈출구(140)를 개방시키기 위한 키(K)가 수납되며, 방문객(P)이 표시부(120)에 출력 중인 퀴즈 게임을 모두 풀어 낸 경우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퀴즈 부스(110)로 진입하는 방문객(P)의 연령에 대응하여 제공될 퀴즈 게임을 게임 참자가의 연령대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사켜 저장해 두며, 방문객(P)이 퀴즈 부스(110)로 진입 시 방문객(P)의 연령을 확인한 후 방문객(P)의 연령에 대응하는 퀴즈 개임을 검색 후 표시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1) 5 내지 7세의 경우에는 난이도 하(3 문제) 2) 8 세 내지 9세의 경우에는 난이도 중(3 문제) 3) 10세부터 성인의 경우에는 난이도 상(2 문제) 등과 같이 연령대 별로 난이도 또는 문제의 개수를 달리하여 퀴즈 게임을 달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각 테마 별로 문제 3 ~ 5 개씩 준비하고, 총 6 ~ 15의 문제 중 2 ~ 3 개가 랜덤으로 출현할 수 있도록 하며,
발판형 입력부(130)의 개수에 따라 사지선다 혹은 오지선다로 문제를 선별하며, 문제를 모두 맞추면 왼쪽 뒤에 키 수납함(150)이 열려 지정된 곳에 키(K)를 부착하면 탈출구(140)가 개방되어 보스방 입장이 가능하도록 테마를 설정하고, 제한 시간 내에 문제를 모두 풀지 못하거나 오답이 발생한 경우 제한시간이 끝나야지만 보스방으로 가는 탈출구(140)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20)은, 테마형 놀이터(100), 놀이 단말기(200),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 다수 개의 스크린(500-1 내지 500-3), 천장형 레일(6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투사 장치(700-1 내지 700-3)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마형 놀이터(100), 놀이 단말기(200) 및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수 개의 스크린(500-1 내지 500-3)은, 영상 투사 장치(700)에 의해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에서 생성된 놀이 콘텐츠 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천장형 레일(600)은, 영상 투사 장치(700)가 천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테마형 놀이터(100)의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투사 장치(700-1 내지 700-3)는, 천장형 레일(600)에 연결 설치되며, 놀이 단말기(200)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놀이 단말기(200)가 이동함에 따라 천장형 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P)가 위치하고 있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스크린(500)으로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에서 생성된 놀이 콘텐츠 영상을 투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20)은, 사용자(P)가 위치하고 있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사용자(P)가 체험하고 있는 테마에 맞는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P)가 현재 체험하고 있는 테마에 보다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영상 투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투사 장치(700)는, 추적형 슬라이더(710), 다축 회전 모듈(720) 및 영상 투사기(730)를 포함한다.
추적형 슬라이더(710)는, 천장형 레일(600)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610)에 연결 설치되며, 놀이 단말기(200)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놀이 단말기(200)가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이동한다.
다축 회전 모듈(720)은, 다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하단이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스크린(500)을 향하도록 구동된다.
영상 투사기(730)는, 다축 회전 모듈(720)의 하단에 설치되며, 다축 회전 모듈(720)의 하단이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스크린(500)을 향하도록 구동되면 메타버스 구현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놀이 콘텐츠 영상을 스크린(500)으로 투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영상 투사 장치(700)는, 천장형 레일(600)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으로써, 사용자(P)를 따라 이동하거나, 혹은 사용자(P)가 자신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접근하면 사용자(P)가 위치하고 있는 테마형 놀이터(100)의 벽면에 사용자(P)가 체험하고 있는 테마에 맞는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P)가 현재 체험하고 있는 테마에 보다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추적형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추적형 슬라이더(710)는, 슬라이딩 블록(800), 제1 구동휠(711), 제2 구동휠(712), 제3 구동휠(713), 제4 구동휠(714) 및 모듈 지지대(715)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800)은, 슬라이딩홈(610)에 안착되며, 제1 구동휠(711), 제2 구동휠(712), 제3 구동휠(713), 제4 구동휠(714) 및 모듈 지지대(71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구동휠(711)은, 슬라이딩 블록(800)의 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0)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800)을 이동시켜 준다.
제2 구동휠(712)은, 슬라이딩 블록(800)의 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0)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800)을 이동시켜 준다.
제3 구동휠(713)은, 제1 구동휠(711)과 대향하면서 슬라이딩 블록(800)의 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0)의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800)을 이동시켜 준다.
제4 구동휠(714)은, 제2 구동휠(712)과 대향하면서 슬라이딩 블록(800)의 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0)의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800)을 이동시켜 준다.
모듈 지지대(715)는, 슬라이딩 블록(8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홈(61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단에 다축 회전 모듈(720)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추적형 슬라이더(710)는, 사용자(P)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영상 투사기(730)를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800)은, 제1 블록(810), 제2 블록(820), 제1 회전 구체(830), 제2 회전 구체(840), 간격 지지대(850) 및 4 개의 지지 스프링(860)을 포함한다.
제1 블록(810)은, 일측에 제1 구동휠(711)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3 구동휠(713)이 연결 설치된다.
제2 블록(820)은, 제1 블록(8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일측에 제2 구동휠(712)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4 구동휠(714)이 연결 설치된다.
제1 회전 구체(830)는, 제1 블록(8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회전 구체(840)는, 제1 회전 구체(830)와 대향하면서 제2 블록(820)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간격 지지대(850)는, 전단이 제1 회전 구체(830)에 설치되고 후단이 제2 회전 구체(840)에 설치되어 제1 블록(810)과 제2 블록(8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중단 하측에 모듈 지지대(715)가 설치된다.
4 개의 지지 스프링(860)은, 제1 블록(810)의 후단의 상부 일측과 제2 블록(820)의 전단의 상부 일측, 제1 블록(810)의 후단의 상부 타측과 제2 블록(820)의 전단의 상부 타측, 제1 블록(810)의 후단의 하부 일측과 제2 블록(820)의 전단의 하부 일측, 및 제1 블록(810)의 후단의 하부 타측과 제2 블록(820)의 전단의 하부 타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블록(810)과 제2 블록(8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800)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홈(61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1 블록(810)과 제2 블록(820) 간의 간격을 변형시켜 가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100: 테마형 놀이터
200: 디스플레이
400: 놀이 단말기
300: 메타버스 구현 서버
500: 디지털 조끼
600: 천장형 레일
700: 영상 투사 장치

Claims (5)

  1. 방문객의 놀이 체험을 위해 설치되는 테마형 놀이터;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놀이 체험을 위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테마형 놀이터에서 놀이를 체험 중인 사용자의 체험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놀이 체험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 및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놀이 체험 콘텐츠의 미션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놀이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테마형 놀이터는,
    방문객이 퀴즈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퀴즈 부스;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퀴즈 게임 진행을 위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퀴즈 부스의 일 벽면에 설치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퀴즈 게임에 대한 정답 입력을 위해 상기 퀴즈 부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형 입력부;
    상기 퀴즈 부스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상기 퀴즈 부스에 설치되는 탈출구; 및
    상기 탈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키가 수납되며, 방문객이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퀴즈 게임을 모두 풀어 낸 경우 개방되는 키 수납함;을 포함하며,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는,
    상기 퀴즈 부스로 진입하는 방문객의 연령에 대응하여 제공될 퀴즈 게임을 게임 참자가의 연령대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사켜 저장해 두며, 방문객이 상기 퀴즈 부스로 진입 시 방문객의 연령을 확인한 후 방문객의 연령에 대응하는 퀴즈 개임을 검색 후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몬스터를 타격하는 것을 미션 성공의 목표로 하는 놀이 체험 콘텐츠의 한 종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너프건으로 이루어지는,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놀이 체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수의 각 사용자가 착용하여 각 사용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놀이 단말기의 미션 수행 정보를 상기 놀이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조끼;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에서 생성된 놀이 콘텐츠 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크린;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천장형 레일; 및
    상기 천장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놀이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놀이 단말기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천장형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에서 생성된 놀이 콘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투사 장치는,
    상기 천장형 레일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놀이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놀이 단말기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는 추적형 슬라이더;
    다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하단이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을 향하도록 구동되는 다축 회전 모듈; 및
    상기 다축 회전 모듈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다축 회전 모듈의 하단이 상기 테마형 놀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을 향하도록 구동되면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놀이 콘텐츠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추적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휠;
    상기 제1 구동휠과 대향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3 구동휠;
    상기 제2 구동휠과 대향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4 구동휠;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단에 상기 다축 회전 모듈이 설치되는 모듈 지지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KR1020220155410A 2022-09-06 2022-11-18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KR10252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727A KR102527945B1 (ko) 2022-09-06 2022-11-23 메타버스 동굴놀이터 컨텐츠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2870 2022-09-06
KR1020220112870 2022-09-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727A Division KR102527945B1 (ko) 2022-09-06 2022-11-23 메타버스 동굴놀이터 컨텐츠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942B1 true KR102527942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410A KR102527942B1 (ko) 2022-09-06 2022-11-18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KR1020220158727A KR102527945B1 (ko) 2022-09-06 2022-11-23 메타버스 동굴놀이터 컨텐츠 제공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727A KR102527945B1 (ko) 2022-09-06 2022-11-23 메타버스 동굴놀이터 컨텐츠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79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118A (ko) 2005-11-18 2008-08-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광전변환장치
KR101689330B1 (ko) * 2016-02-22 2016-12-26 조세희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910516B1 (ko) * 2018-04-18 2018-10-22 (주)브로틴 Non hmd 기반의 3차원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90136529A (ko) * 2018-05-31 2019-12-10 모젼스랩(주) 혼합 현실 게임 생성 및 제공 시스템
KR20220090835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뉴토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00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퍼즐스페이스 가상현실을 이용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118A (ko) 2005-11-18 2008-08-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광전변환장치
KR101689330B1 (ko) * 2016-02-22 2016-12-26 조세희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910516B1 (ko) * 2018-04-18 2018-10-22 (주)브로틴 Non hmd 기반의 3차원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90136529A (ko) * 2018-05-31 2019-12-10 모젼스랩(주) 혼합 현실 게임 생성 및 제공 시스템
KR20220090835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뉴토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945B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5168B2 (en) Amusement ride and video game
US6634949B1 (en) Multi-media interactive play system
RU2676667C2 (ru) Видеоигровое катание
Mitchell Game design essentials
ES2344590T3 (es) Juego interactivo a traves de decodificadores.
Hutchison Video games and the pedagogy of place
US10857467B2 (en) Network gaming ride attraction
Chaloner This is esports (and How to Spell it)–LONGLISTED FOR THE WILLIAM HILL SPORTS BOOK AWARD 2020: An Insider’s Guide to the World of Pro Gaming
Salmond Video Game Level Design: How to Create Video Games with Emotion, Interaction, and Engagement
Moldoveanu et al. Sound of vision 3D virtual training environments-a gamification approach for visual to audio-haptic sensory substitution
WO2019168937A1 (en) Network gaming ride attraction
KR102527942B1 (ko) 메타버스 놀이공간 운영을 위한 차세대 융합놀이터 운영시스템
Nitta et al. Shepherd pass: ability tuning for augmented sports using ball-shaped quadcopter
Badique et al. Entertainment applications of virtual environments
Haahr Everting the Holodeck: Games and Storytelling in Physical Space
KR102535258B1 (ko) 자율주행 연계 게임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Höysniemi et al. Children's and parents' perception of full-body interaction and violence in a martial arts game
Cohen et al. 'Guilty bystanders': VR gaming with audience participation via smartphone
JP2001269484A (ja) 遊戯装置
Yoon et al. DeBugger Game: Mobile Virtual Lab for Introductory Computer Programming Courses
Samji Analysing immersion, presence, and interaction and its effects in augmented reality (ar) mobile games
Zhang et al. AReal-TIME MULTIPLAYER FPS GAME USING 3D MODELING AND AI MACHINE LEARNING
Taylor Positive features of video games
Roman Interactive Audience-Controlled Live Storytelling Technologies
Fu et al. Digital Baseball Sport Design Based on DMC Gamification The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