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762A -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 Google Patents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762A
KR20220090762A KR1020200181615A KR20200181615A KR20220090762A KR 20220090762 A KR20220090762 A KR 20220090762A KR 1020200181615 A KR1020200181615 A KR 1020200181615A KR 20200181615 A KR20200181615 A KR 20200181615A KR 20220090762 A KR20220090762 A KR 2022009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housing
impeller
fi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259B1 (ko
Inventor
오주형
송상홍
이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시스
Priority to KR102020018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2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59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8Machine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49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윤활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 상기 코일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되, 사출 성형에 의해 섬유 강화 복합재의 섬유 강화 튜브로 형성되는 구동 축; 상기 구동 축과 결합하는 내륜과, 하우징과 결합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의 각 레이스 사이에 구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름부재들을 포함하는 베어링부; 상기 구동 축에 결합되며, 구동 축 회전 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여, 상기 윤활유를 상기 베어링부에 제공하는 임펠라부;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ELECTRIC MOTOR FOR ELECTRIC VEHICLE INCLUDING DRIVE SHAFT MADE OF FIBER-REINFORCED COMPOSTE}
본 발명은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전기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모터는 고정자 철심(stator core)이 적층되어 있고 코일이 감겨져 있는 고정자 코일에 특정한 주 파수를 입력하면 코어를 적층하고 있는 회전자 측에 기전력이 발생하여 회전자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모터는 회전자의 전자기 유도로 인해 회전자에 항상 높은 열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전기 모터의 높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공냉식 혹은 열 전달에 의한 강제순환 냉각식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모터는 회전자에 방열핀을 만들어 공기를 통해 회전자 내부의 열을 하우징 내벽으로 이동시키고 축의 뒤쪽에는 팬을 부착함으로써 회전자가 회전 시 일으킨 바람을 통해 하우징 외벽의 열을 대기로 빠르게 이동시켜 방열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구조는 모터의 사이즈를 크게 제작해야 했고, 회전자의 방열핀에 의한 열 배출이 제한적이어서 모터의 출력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자 내부의 열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통하여 모터 하우징 내부에 냉각을 위한 유로를 만들어 강제 순환에 의한 냉각 방식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구조적 특성에 따라 회전자 내부에서 가지는 발열로 인한 방열 효과는 제한적으로 인하여 영구자석모터의 경우 자력이 감자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더하여, 전기 자동차에 전기 모터가 장착되는 경우, 차량의 동력원으로 제공되는 전기 모터는 안정적인 구동력을 얻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구리, 은, 철의 순금속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기저로 하는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금속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사용하였다.
고용량의 전기 모터는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고속 주행시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에서 상기한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금속 복합재는 심각한 경우에 손상될 우려를 갖고 있다.
특히, 전기 모터의 구동 축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절연, 누설, 접지 등 전기적 불평등이 흐트러지거나, 베어링의 파손 등 기구적 문제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전기적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었으며, 종래의 전기 모터의 구동 축은 금속 재질로 인해 사용환경이 열악한 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내식성, 내열성, 내마모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어 왔으나 소재적 한계성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기 모터의 구동 축은 중량이 적게 나가면서도 고응력, 고마모, 고열에도 손상이나 변형 없이 잘 견딜 수 있는 특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 모터의 구동 축을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하여 과도한 동작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베어링의 파손시에도 절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모터의 동력전달 형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산화, 부식, 변형 등에 대해 재질적으로 강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베어링의 윤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모터 및 베어링을 냉각할 수 있는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는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윤활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 상기 코일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되, 사출 성형에 의해 섬유 강화 복합재의 섬유 강화 튜브로 형성되는 구동 축; 상기 구동 축과 결합하는 내륜과, 하우징과 결합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의 각 레이스 사이에 구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름부재들을 포함하는 베어링부; 상기 구동 축에 결합되며, 구동 축 회전 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여, 상기 윤활유를 상기 베어링부에 제공하는 임펠라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복합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축은, 상기 베어링부와 결합되는 영역, 상기 임펠라부와 결합되는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으로 구분되되, 각각의 영역은 굽힘성, 내마모성 및 내식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서로 다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임펠라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된 제1임펠라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결합된 제2임펠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임펠라 및 상기 제2임펠라는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임펠라 및 상기 제2임펠라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윤활유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하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륜이 결합되는 채널 블록 및 선단이 상기 하부공간에 연통되고 후단이 상기 베어링부를 향한 윤활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는 전기 모터의 구동 축을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하여 과도한 동작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는 전기 모터의 구동 축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들이 굽힘성, 내마모성 및 내식성 중 어느 하나의 특성을 가지도록하여 구조적 안정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는 전기 모터의 구동 축의 강도와 중량에 있어서, 구동 축의 역학적 강도가 강철과 유사함과 동시에 중량을 20% 이상 줄일 수 있어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전기 모터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는 베어링의 윤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모터 및 베어링을 냉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윤활이 향상된 모터(100)는 하우징(110), 고정자(120), 회전자(130), 구동 축(140), 베어링부(150) 및 임펠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100)는 도시된 도면 이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순수 전기 자동차 또는 연료전지 자동차 등과 같은 친환경 차량의 전기동력 구동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한 모터는 엔진의 구동력과 전기 동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친환경 차량(예를 들면, HEV 또는 PHEV)의 전기동력 구동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모터(100)는 예를 들면, 영구자석형 동기모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를 포함할 수 있고, 계자권선형 동기모터(Wound Rotor Synchronous Motor: WRSM)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친환경 전기동력 구동 차량의 모터에 한정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는 모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터(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자(120)와, 고정자(120)와 일정 공극을 두고 배치되며 구동축으로서의 구동 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자(1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100)는 예를 들면 고정자(120)의 내측에 회전자(130)를 배치한 내전형 타입의 동기모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자(120)는 코일(121)이 권선되어 있으며, 구동 축(1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어링부(150)을 통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구동 축(14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섬유 강화 복합재의 섬유 강화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복합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합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유리 섬유와 탄소 섬유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섬유 강화 복합재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모터(100)에 있어서, 토크 전달 영역에서의 구동 축(140)은 최적의 기계적 특성에서 가능한 가장 낮은 질량으로 최적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 축(14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모터(100)에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동 축(140)은 경량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힘 및 토크 전달 영역 전체를 섬유 강화 튜브 형태로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더하여, 구동 축(140)은 상기 베어링부(150)와 결합되는 영역, 상기 임펠라부(160)와 결합되는 영역 및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으로 구분되되, 각각의 영역은 굽힘성, 내마모성 및 내식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서로 다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축(140)은 베어링부(150)와 결합되는 영역과 임펠라부(160)와 결합되는 영역과 같이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내마모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1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과 같이 축 정렬을 유지하고 내식성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굽힙성 및 내식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모터(100)에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동 축(140)은 안정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하우징(110)의 내외부 포인트마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기계적 문제로 인한 문제점들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베어링부(150)는 구동 축(140)에 슬라이딩 식으로 압입 설치되며, 하우징(110)에 끼워 맞춤 식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내부공간(111)과 내부공간(111)의 하부에서 양측에 배치되며, 윤활유 채널(113)을 형성하는 채널 블록(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공간(111)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자(120)가 담겨질 정도의 윤활유(10)가 수용될 수 있고, 윤활유 채널(113)은 내부공간(111)의 하부공간과 베어링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일측 및/또는 타측에 형성된 커버를 통해 내부공간(111)은 개폐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고정자(120)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따라 장착되며, 코일(121)이 권선된 코어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자(130)은 코일(121)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되며, 중심에 구동 축(140)이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부(150)는 구동 축(140)의 양단에 배치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구동 축(140)을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베어링부(150)는 구동 축(140)과 결합하는 내륜과,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외륜과, 내륜과 외륜의 각 레이스 사이에 구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름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륜은 하우징(110)의 채널 블록(112)에 결합될 수 있다.
임펠라부(160)는 구동 축(140)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1) 내에서 공기 또는 유체의 흐름을 강제로 생성할 수 있다.
임펠라부(160)는 구동 축(140)에서 회전자(130)의 일측에 배치된 제1임펠라(161)과 구동 축(140)에서 회전자(130)의 타측에 배치된 제2임펠라(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임펠라(161)와 제2임펠라(162)는 회전자(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는 제1임펠라(161)와 제2임펠라(162)가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 또는 유체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임펠라(161)와 제2임펠라(162) 모두는 일측 방향(도 1에서 우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도 1에서 좌측 방향)으로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00)의 동작에 의해 구동 축(140)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 축(140)에 고정된 제1임펠라(161)와 제2임펠라(162)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내부공간(111)에서 정해진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공간(111)의 하부에 수용된 윤활유(10)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채널(113)을 통해 베어링부(150)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베어링부(150)에 제공되고 남은 잉여의 윤활유(10)는 자중에 의해 채널블록(112)의 내측면을 따라 내부공간(111)의 하부 공간에 다시 수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순환 과정을 거쳐 윤활유는 내부공간(111)에서 정해진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모터(100)는 베어링의 윤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모터 및 베어링을 냉각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윤활이 향상된 모터(200)는 하우징(210), 고정자(120), 회전자(130), 구동 축(140), 베어링부(150), 필터(220, 230) 및 임펠라(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200)는 도 1의 모터(100)에 비해 하우징(210) 및 임펠라(260)의 구조가 상이하며,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하우징(210) 및 임펠라(26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 1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은 내부공간(111)과 내부공간(111)의 하부에서 양측에 배치되며, 윤활유 채널(113)을 형성하는 채널 블록(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공간(111)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자(120)가 정도의 윤활유가 수용될 수 있고, 윤활유 채널(113)은 내부공간(111)의 하부공간과 하우징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0)은 일측 및/또는 타측에 형성된 커버를 통해 내부공간(111)은 개폐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하우징(210)은 상단에 형성된 배기홀(2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220, 230)는 제1필터(220) 및 제2필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220)는 배기홀(211)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210)의 내부공간(111)의 방진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임펠라부(260)는 구동 축(140)에 결합되어, 하우징(210)의 내부공간(111) 내에서 공기 또는 유체의 흐름을 강제로 생성할 수 있다.
임펠라부(260)는 구동 축(140)에서 회전자(130)의 일측에 배치된 제1임펠라(261)과 구동 축(140)에서 회전자(130)의 타측에 배치된 제2임펠라(2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임펠라(261)와 제2임펠라(262)는 회전자(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200)는 제1임펠라(261)와 제2임펠라(262)가 서로 상이한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 또는 유체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임펠라(261)가 일측 방향으로 흐름을 생성하고 제2임펠라(262)가 타측 방향으로 흐름을 생성하거나, 제1임펠라(261)가 타측 방향으로 흐름을 생성하고 제2임펠라(262)가 일측 방향으로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200)의 동작에 의해 구동 축(140)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 축(140)에 고정된 제1임펠라(261)와 제2임펠라(262)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내부공간(111)에서 정해진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공간(111)의 하부에 수용된 윤활유(10)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채널(113)을 통해 베어링부(150)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베어링부(150)에 제공되고 남은 잉여의 윤활유(10)는 자중에 의해 채널블록(112)의 내측면을 따라 내부공간(111)의 하부 공간에 다시 수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순환 과정을 거쳐 윤활유(10)는 내부공간(111)에서 정해진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임펠라(261, 262)에 의해 내부공간(111) 중심측으로 공기가 모이며 내부공간(111)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어, 배기홀(211)을 통해 압력이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제2필터(230)는 윤활유 채널(113) 내에 배치되어 베어링부(140)를 거친 윤활유(10)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모터(200)는 베어링의 윤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모터 및 베어링을 냉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윤활이 향상된 모터(300)는 하우징(310), 고정자(120), 회전자(130), 구동 축(140), 베어링부(150) 및 임펠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300)는 도 1의 모터(100)에 비해 하우징(310)의 구조가 상이하며,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하우징(3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 1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0)은 내부공간(111)과 내부공간(111)의 하부에서 양측에 배치되며, 윤활유 채널(313)을 형성하는 채널 블록(3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공간(111)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자(120)가 정도의 윤활유가 수용될 수 있고, 윤활유 채널(313)은 내부공간(111)의 하부공간과 하우징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10)은 일측 및/또는 타측에 형성된 커버를 통해 내부공간(111)은 개폐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우징(310)의 채널 블록(312)은 하우징(310)의 중심을 향한 내측면(314)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채널 블록(312)의 상기 회전자(130)를 향한 측면을 경사면을 갖는다.
이를 통해, 베어링부(150)으로 제공되는 윤활유(10) 또는 베어링부(150)를 지난 윤활유(10)를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모터(300)는 베어링의 윤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모터 및 베어링을 냉각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 축(14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섬유 강화 복합재의 섬유 강화 튜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상기 구동 축(140)은 섬유 강화 복합재를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축(140)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복합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로 제공되되,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축(140)이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공됨으로써, 일반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강(Steel) 등의 금속 재질에 비해 성형이 쉽고 유연하며, 깨져도 파편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서로 혼합되는 탄소 섬유 및 수지의 종류 및 비율과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직조 방식 등에 따라 강성, 탄성, 유연성, 굽힘성, 내마모성 및/또는 내식성을 강화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의 구동 축(140)은 강성, 탄성, 유연성, 굽힘성, 내마모성 및/또는 내식성을 강화시킨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구동 축(140)은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되, 각각의 영역이 강성, 탄성, 유연성, 굽힘성, 내마모성 및/또는 내식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서로 다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축(140)의 복수개의 영역은 베이링부(150)와 결합되는 영역, 임펠라부(160)와 결합되는 영역 및 하우징(110, 210, 3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베이링부(150)와 결합되는 영역은 내마모성의 특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되고, 상기 임펠라부(160)와 결합되는 영역은 내마모성의 특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0,210,3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은 굽힘성 및 내식성의 특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윤활유
100, 200, 300: 모터
110: 하우징
111: 내부공간
112: 채널블록
113: 채널
120: 고정자
121: 코일
130: 회전자
140: 구동 축
150: 베어링부
160: 임펠라부
161: 제1임펠라
162: 제2임펠라

Claims (7)

  1.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윤활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
    상기 코일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되, 사출 성형에 의해 섬유 강화 복합재의 섬유 강화 튜브로 형성되는 구동 축;
    상기 구동 축과 결합하는 내륜과, 하우징과 결합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의 각 레이스 사이에 구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름부재들을 포함하는 베어링부;
    상기 구동 축에 결합되며, 구동 축 회전 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여, 상기 윤활유를 상기 베어링부에 제공하는 임펠라부;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복합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축은,
    상기 베어링부와 결합되는 영역, 상기 임펠라부와 결합되는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으로 구분되되, 각각의 영역은 굽힘성, 내마모성 및 내식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도록 강화된 서로 다른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임펠라부는 상기 구동 축의 일측에 결합된 제1임펠라 및 상기 구동 축의 타측에 결합된 제2임펠라를 포함하는 베어링의 윤활이 향상된 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펠라 및 상기 제2임펠라는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펠라 및 상기 제2임펠라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하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륜이 결합되는 채널 블록 및 선단이 상기 하부공간에 연통되고 후단이 상기 베어링부를 향한 윤활유 채널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KR1020200181615A 2020-12-23 2020-12-23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KR10257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615A KR102575259B1 (ko) 2020-12-23 2020-12-23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615A KR102575259B1 (ko) 2020-12-23 2020-12-23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762A true KR20220090762A (ko) 2022-06-30
KR102575259B1 KR102575259B1 (ko) 2023-09-06

Family

ID=8221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615A KR102575259B1 (ko) 2020-12-23 2020-12-23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2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834A (ko) * 2010-08-25 2014-02-13 클린웨이브 테크놀로지스, 인크. 전기 기계의 유체 냉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1682A (ko) * 2013-11-05 2015-05-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오일 냉각 방식 모터용 냉각 구조
KR20160065545A (ko) * 2014-12-01 2016-06-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공랭식 모터 냉각 장치
JP2016142219A (ja) * 2015-02-04 2016-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送風機及びこの電動送風機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170125030A (ko) * 2015-03-05 2017-11-13 아르부르그 게엠베하 엔 코 카게 전기 모터용 로터, 관련된 모터 샤프트, 상기 모터 샤프트와 로터를 생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834A (ko) * 2010-08-25 2014-02-13 클린웨이브 테크놀로지스, 인크. 전기 기계의 유체 냉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1682A (ko) * 2013-11-05 2015-05-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오일 냉각 방식 모터용 냉각 구조
KR20160065545A (ko) * 2014-12-01 2016-06-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공랭식 모터 냉각 장치
JP2016142219A (ja) * 2015-02-04 2016-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送風機及びこの電動送風機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170125030A (ko) * 2015-03-05 2017-11-13 아르부르그 게엠베하 엔 코 카게 전기 모터용 로터, 관련된 모터 샤프트, 상기 모터 샤프트와 로터를 생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259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3174B2 (en) Rotor for an electric machine
US10240637B2 (en) Bearing structure
US11114924B2 (en) Squirrel-cage rotor for an asynchronous machine
JP4640008B2 (ja) 車両用回転電機
EP3961875B1 (en) Electric-machine shaft
JP2017208874A (ja) 回転電機、回転電機駆動システム及び鉄道車両
CN115224879A (zh) 用于永久磁体马达内部的转子冷却组件和方法
RU2150609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компрессорный агрегат 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CN107437858B (zh) 电机转子冲片、电机转子、电机和电动汽车
US20240030763A1 (en) Rotor for electric motors
CN107437851B (zh) 永磁同步电机和电动汽车
CN113036968A (zh) 一种转子内部油路冷却结构
KR20220090762A (ko) 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 모터
CN218335566U (zh) 一种风水冷磁悬浮电机及具有其的风机
JP6072199B1 (ja) 回転電機
JP2011114986A (ja) 電動機の冷却構造
JP2014072921A (ja) 回転電機
CN214707323U (zh) 一种一体化屏蔽高功率密度高转速电动机
CN112713716B (zh) 一种设有内外冷却风路的封闭式电机及电机机座
JP7345759B2 (ja) 磁気歯車
KR102591684B1 (ko) 베어링의 윤활이 향상된 모터
KR20150068224A (ko) 구동모터의 냉각유닛
JP6751325B2 (ja) 軸受構造
CN113167331A (zh) 装配有结合了阻尼器的连接套筒的旋转电机
CN112671124B (zh) 一种电机内定子和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