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077A - 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077A
KR20220090077A KR1020200180914A KR20200180914A KR20220090077A KR 20220090077 A KR20220090077 A KR 20220090077A KR 1020200180914 A KR1020200180914 A KR 1020200180914A KR 20200180914 A KR20200180914 A KR 20200180914A KR 20220090077 A KR20220090077 A KR 2022009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overy device
reference value
dust recover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9484B1 (en
Inventor
이상기
김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플라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플라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플라워
Priority to KR102020018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484B1/en
Publication of KR2022009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4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34Diving chambers with mechanical link, e.g. cable, to a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부품부를 구비하는 진회수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진회수 장치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회수 장치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상기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진회수 장치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monitoring a dust recover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system for monitoring a dust recove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arts, comprising: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ust recovery device;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current state; and a notification unit for displaying,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trash recovery device in real time by using the control signal.

Figure P1020200180914
Figure P1020200180914

Description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회수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onitoring a dust recovery device.

해양 등에서 원격 잠수종(diving bell)이 운용될 수 있다. 잠수종은 해상의 설비나 선박에 위치한 구조물(A-frame)과 와이어 드럼(wire drum)을 이용하여 해상으로 내려서 바다에 방출하고 사용 후에 인양하는 설비를 배치하도록 설계하게 된다. 잠수종을 진수하고 회수하는 진회수 장치는 복수개의 부품들로 구성되어 작동되는데, 이러한 진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유지보수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Remote diving bells may be operated at sea, etc. Diving bells are designed to dispose of facilities that descend into the sea using A-frames and wire drums located on offshore facilities or ships, release them into the sea, and salvage them after use. A true recovery device that launches and recovers a diving bell is operated with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need for a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such a true recovery device is increas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회수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고장 발생 전에 부품의 수명 및 상태를 미리 파악하여 대처함으로써, 고장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장치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repairing failures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device management efficiency by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the lifespan and status of parts before failure occurs through monitoring of the dust recovery device. To provide a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개의 부품부를 구비하는 진회수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진회수 장치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회수 장치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상기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진회수 장치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 system for monitoring a dus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onitoring a dust recove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arts, and a sensor for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ust recovery device a module,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current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current state; and a notification unit displaying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in real time by using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개의 센서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는, 복수개의 상기 부품부에 각각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부품부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nd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component units to detect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 uni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 각각은, 상기 부품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와, 상기 부품부에 가해진 부하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may include a first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usage time of the component part, and a second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load applied to the componen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품부의 사용시간을 전달받고, 상기 사용시간을 미리 설정된 수명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부품부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usage time of the component part measured by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compares the usage time with a preset life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replace the component part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부의 사용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수명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부품부의 교체를 지시하는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to display a signal instructing replacement of the component when the usage time of the component exceeds the preset life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품부에 가해진 부하측정값을 전달받고, 상기 부하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부하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부품부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the component part measured by the second measurement unit, compares the load measurement value with a preset load reference value, whether the component part is overloaded can be jud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부에 가해진 부하측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부하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부품부가 과부하 상태인 것을 알리는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measured load applied to the component exceeds the preset load reference value,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to display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mponent is in an overload stat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수명기준값은 복수개 설정되고, 복수개의 상기 미리설정된 수명기준값은, 제1 수명기준값 및 상기 제1 수명기준값보다 큰 제2 수명기준값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eset life reference values are set, and the plurality of preset life reference values may include a first life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life referenc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부의 사용 시간이 상기 제1 수명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수명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부품부의 교체 예정을 알리는 제1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usage time of the component part is greater than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display a first signal informing the replacement schedule of the part part You can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부의 사용 시간이 상기 제2 수명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부품부의 교체를 지시하는 제2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to display a second signal instructing replacement of the component when the usage time of the component is greater than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은, 진회수 장치와 함께 선박 상에 설치되어 진회수 장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진회수 장치의 각 부품부 및 하위 부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해양에 위치한 선박의 진회수 장치의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의 사용 수명 또는 손상 문제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교체를 지시할 수 있다.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hip together with the dust recovery device to monitor the dust recovery device, so that the state of each part and sub-parts of the dust recovery device can be grasped in real time, , when replacement is required due to a service life or damage problem of a part or sub-part of the seismic recovery device of a ship located in the sea by this, immediate replacement can be orde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박에 저장된 스페어 부품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스페어 부품이 전부 소진되기 전에, 선박의 외부로 추가의 스페어 부품을 보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정량의 스페어 부품이 선박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교체가 필요한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을 신속한 교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grasping the status of spare parts stored in the ship in real time, before the spare parts are all exhausted, additional spare parts are sent to the outside of the ship. you can request Thereb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spare parts are provided in the ship, and thus it is possible to quickly replace parts or sub-parts requiring replacemen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센서 모듈에서 측정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에 구비된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에 구비된 각 부품부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에 구비된 각 부품부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에 구비된 각 부품부의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shows a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process of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of FIG. 1 .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signal measured by a sensor module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each part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each part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each part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part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apparatus is in an overloa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센서 모듈에서 측정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다.1 shows a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process of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of FIG. 1 , and FIG. 3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in which a signal measured by a sensor module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은 선박(ship) 또는 수상(水上) 구조물에 설치된 진회수 장치(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1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진회수 장치(10)는 잠수종(diving bell; D)과 연결됨으로써, 잠수종(D)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회수 장치(10)에 연결된 잠수종(D)은, 진회수 장치(10)에 의해 수상(水上)에서 수중(水中)으로 진입하거나, 수중에서 수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1 to 3 , the earth recovery apparatus monitoring system 1 may be a system for monitoring the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10 installed on a ship or a water structure. At this time, the true recovery device 10 may be a device for launching or recovering the diving bell (D) by being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In this case, the diving bell (D) connected to the dust recovery device 10 may enter or move from the water to the water surface from the water by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진회수 장치(1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진회수 장치(10)는 지지부(S)와, 권취 모듈(200)과, 중간 연결 유닛(300)과, 승강 유닛(500)과, 프레임 유닛(400)과 승강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회수 장치(10)는 가이드 유닛(G)을 더 포함할 수 있다.Before describing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to be monitored will be described. The dust recovery device 10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S, a winding module 200 , an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a lifting unit 500 , a frame unit 400 , and a lifting unit 500 . have. In addition, the dust recovery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G).

지지부(S)는 선박(ship; P) 또는 수상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수상 구조물은 예를 들어, 교각(橋脚), 해양 시추기, 해양 플랜트 등일 수 있다. 지지부(S)는 진회수 장치(10)가 선박(P)에 설치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S)는 선박(P)의 일부이거나 수상 구조물의 일부이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S)는 선박(P) 또는 수상 구조물에 별도로 설치된 구조물일 수 있다. 이때, 지지부(S)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S)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S may be installed on a ship (P) or an aquatic structure, where the aquatic structure may be, for example, a pier, an offshore drilling rig, an offshore plant, and the like. The support (S) may refer to a portion in which the dust recovery device 10 is installed in the vessel (P).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S) is a part of the ship (P) or a part of a water structure, as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S) may be a structure installed separately on the ship (P) or a water structure. 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S may include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rigidity.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S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권취 모듈(200)은 잠수종(D)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권취 모듈(200)은 지지부(S)에 배치될 수 있다. 권취 모듈(200)은 케이블이 권취(捲取)되거나, 또는 권취된 케이블이 권출(捲出)될 수 있다. 권취 모듈(200)은 케이블에 연결된 잠수종(D)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권취 모듈(200)은 제1 권취부(210)와, 제2 권취부(220)와 제3 권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ing module 200 may raise or lower the diving bell (D). At this time, the winding module 20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S). In the winding module 200 , a cable may be wound, or a wound cable may be unwound. The winding module 200 may raise or lower the diving bell (D) connected to the cable, and detailed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the winding module 200 may include a first winding unit 210 , a second winding unit 220 , and a third winding unit 230 .

제1 권취부(210)는 제1 케이블(r1)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제1 케이블(r1)은 제1 권취부(210)와 후술할 승강 유닛(5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케이블(r1)은 승강 유닛(500)을 거쳐 잠수종(D)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권취부(210)가 제1케이블(r1)을 감으면, 제1 케이블(r1)에 연결된 잠수종(D)이 상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권취부(210)가 제1 케이블(r1)을 풀면, 제1 케이블(r1)에 연결된 잠수종(D)이 하강할 수 있다. 즉, 제1 권취부(210)에 의해, 수저(水底)에 대한 잠수종(D)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권취부(210)는 일 예로, 윈치(winch)일 수 있으며, 이때 제1 권취부(210)를 메인 윈치(main winch)로 정의할 수 있다.The first winding unit 210 may wind or unwind the first cable r1. The first cable r1 may connect the first winding unit 210 and the lift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first cable (r1) may be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via the lifting unit (500). As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winding unit 210 winds the first cable (r1), the diving bell (D)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r1) may rise.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winding unit 210 unwinds the first cable (r1), the diving bell (D)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r1) may descend. That is, by the first winding unit 210, the height of the diving bell (D) with respect to the spoon (水底) can be adjusted. The first winding unit 210 may be, for example, a winch, and in this case, the first winding unit 210 may be defined as a main winch.

제2 권취부(220)는 제2 케이블(r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제2 케이블(r2)은 제2 권취부(220)와 승강 유닛(5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케이블(r2)은 승강 유닛(500)을 거쳐 가이드 유닛(G)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권취부(220)가 제2 케이블(r2)을 감으면, 제2 케이블(r2)에 연결된 가이드 유닛(G)은 상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권취부(220)가 제2 케이블(r2)을 풀면, 제2 케이블(r2)에 연결된 가이드 유닛(G)은 하강할 수 있다. 즉, 제2 권취부(220)에 의해, 수저(水底)에 대한 가이드 유닛(G)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권취부(220)는 일 예로, 윈치일 수 있으며, 이때 제2 권취부(220)를 서브 윈치(sub winch) 또는 가이드 윈치(guide winch)로 정의할 수 있다. The second winding unit 220 may wind or unwind the second cable r2. The second cable r2 may connect the second winding unit 220 and the lifting unit 500 . In this case, the second cable r2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unit G via the elevating unit 500 . As an embodiment, when the second winding unit 220 winds the second cable r2 , the guide unit G connected to the second cable r2 may rise.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econd winding unit 220 unwinds the second cable r2 , the guide unit G connected to the second cable r2 may descend. That is, the height of the guide unit G with respect to the spoon may be adjusted by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The second winding unit 220 may be, for example, a winch, and in this case, the second winding unit 220 may be defined as a sub winch or a guide winch.

한편, 가이드 유닛(G)은 잠수종(D)이 하강할 위치에 먼저 도달하여 잠수종(D)의 하부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2 권취부(220)에 연결된 가이드 유닛(G)은, 잠수종(D)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권취부(210)의 작동에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거나, 제1 케이블(r1)이 끊어지는 경우, 가이드 유닛(G)은 잠수종(D)과 결합하여 잠수종(D)이 상승할 수 있다. 즉, 잠수종(D)의 상부 이동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제2 권취부(220)가 제2 케이블(r2)을 감으면, 가이드 유닛(G)은 잠수종(D)에 결합되어 잠수종(D)을 상부로 지지하며 상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권취부(210)의 고장 또는 작동 오류에도 불구하고, 가이드 유닛(G)이 상승함에 따라 잠수종(D)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unit (G) can guide the lower movement of the diving bell (D) by first reaching a position to descend the diving bell (D). At this time, the guide unit (G) connected to the second winding unit 220 may be disposed under the diving bell (D). When an error or malfunction occurs 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winding unit 210, or the first cable r1 is cut, the guide unit G is combined with the diving bell D to cause the diving bell D to rise. can That is,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upper movement of the diving bell (D), when the second winding unit 220 winds the second cable (r2), the guide unit (G) is coupled to the diving bell (D) to dive It can ascend by supporting the bell (D) upwards. Accordingly, despite the failure or operation error of the first winding unit 210, as the guide unit (G) rises, the diving bell (D) may also rise together.

제3 권취부(230)는 제3 케이블(r3)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제3 케이블(r3)은 승강 유닛(500)을 거쳐 잠수종(D)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케이블(r3)은 통신선(network cable; 미도시) 및/또는 기체 공급 배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체 공급 배관은 기체를 잠수종(D)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체 공급 배관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는 일 예로, 산소 가스일 수 있다. 제3 권취부(230)는 일 예로 윈치일 수 있으며, 이때 제3 권취부(230)를 엄빌리컬 윈치(umbilical winch)로 정의할 수 있다.The third winding unit 230 may wind or unwind the third cable r3. The third cable (r3) may be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via the elevating unit (500). In this case, the third cable r3 may include a network cable (not shown) and/or a gas supply pipe (not shown). In this case, the gas supply pipe may supply gas to the diving bell (D). Here, the gas supplied through the gas supply pipe may be, for example, oxygen gas. The third winding unit 230 may be, for example, a winch, and in this case, the third winding unit 230 may be defined as an umbilical winch.

중간 연결 유닛(300)은 권취 모듈(200) 과 승강 유닛(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은 권취 모듈(200)로부터, 중간 연결 유닛(300) 및 승강 유닛(500)을 차례로 거쳐 잠수종(D)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중간 연결 유닛(300)은 연결 바디(310)와, 중간 풀리(32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inding module 200 and the elevating unit 500 . In this case, the cable may be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from the winding module 200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elevating unit 500 in turn.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310 and an intermediate pulley 320 .

연결 바디(310)는, 지지부(S)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바디(310)는, 연결 바디(310)의 하단이 지지부(S)의 상면에 결합되고, 연결 바디(310)의 상단은 지지부(S)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연결 바디(310)의 상단에는 상부 플레이트(3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330)는 연결 바디(310)의 상단으로부터, 연결 바디(310)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 바디(31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ody 31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S. Specifically, the connection body 310 may have a column shap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ody 3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S,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ody 310 extend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unit S. have. An upper plate 3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ody 310 . The upper plate 330 may extend from the top of the connection body 3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310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body 310 .

중간 풀리(320)는 상부 플레이트(3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풀리(320)는 상부 플레이트(33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중간 풀리(320)는 제1 케이블(r1), 제2 케이블(r2) 및 제3 케이블(r3)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pulley 3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late 330 .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pulley 32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330 .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ulley 32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able r1 , the second cable r2 , and the third cable r3 .

제1 케이블(r1)의 일단은 중간 풀리(320)와 승강 유닛(500)을 거쳐 잠수종(D)에 연결되고, 제1 케이블(r1)의 타단은 제1 권취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케이블(r2)의 일단은 중간 풀리(320)와 승강 유닛(500)을 거쳐 가이드 유닛(G)에 연결되고, 제2 케이블(r2)의 타단은 제2 권취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케이블(r3)의 일단은 중간 풀리(320)와 승강 유닛(500)을 거쳐 잠수종(D)에 연결되고, 제3 케이블(r3)의 타단은 제3 권취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cable (r1) is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via the intermediate pulley 320 and the elevating unit 5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r1)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winding unit 210 have. One end of the second cable r2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unit G via the intermediate pulley 320 and the elevating unit 500 ,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ble r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have. And, one end of the third cable (r3) is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via the intermediate pulley 320 and the elevating unit 500,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cable (r3) is in the third winding unit 230. can be connected

중간 연결 유닛(300)은 승강 유닛(500)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연결 유닛(300)에 의해, 제1 권취부(210)와 제2 권취부(220) 및 제3 권취부(230)는, 승강 유닛(500)과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중간 연결 유닛(300)에 의해, 진회수 장치(10)의 공간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elevating unit 500 . Due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the first winding unit 210 ,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and the third winding unit 230 may b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from the lifting unit 500 . That is, the space efficiency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may be increased by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프레임 유닛(400)은 후술할 승강 유닛(500)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400)은 지지부(S)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400)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레임 유닛(400)은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unit 400 may support the lift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rame unit 400 may be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part (S). The frame unit 40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As an embodiment, the frame unit 40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

제1 프레임(410)은 지지부(S)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410)의 일단은 지지부(S)에 연결되고, 제1 프레임(410)의 타단은 지지부(S)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420)은 제1 프레임(410)의 상기한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420)의 일단은 제1 프레임(410)의 상기한 타단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제1 프레임(410)에 대해 회전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420)의 타단은, 제1 프레임(41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10) 및 제2 프레임(420)은 강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 프레임(410) 및 제2 프레임(42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41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S). 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frame 41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S,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410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ortion S. In this case, the second frame 4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410 .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econd frame 420 may be hinge-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410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410 .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420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first frame 410 .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may include a rigid material, and for example,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프레임 유닛(400)은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2 프레임(420)이 제1 프레임(410)에 대해 회전 운동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에 의해,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은, 접힌 상태(folded status)일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420)은 제1 프레임(4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상태(이하, 제1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프레임(420)과 제1 프레임(410) 사이의 각도는, 180도(degree) 미만일 수 있다. The frame unit 4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The driving unit may generate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the second frame 420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410 .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unit. As an embodiment,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may be in a folded state. In this case, the second frame 42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4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ate). In this case,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frame 420 and the first frame 410 may be less than 180 degrees.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은, 펴진 상태(unfolded status)일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420)은 제1 프레임(410)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이하, 제2 상태)일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may be in an unfolded state. In this case, the second frame 420 may be in a st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frame 4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프레임 유닛(400)은 제1 상태에서, 제2 프레임(420)이 제1 프레임(41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2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2 프레임(420)의 적어도 일부는 해양(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rame unit 400 may be conver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by rotating the second frame 420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410 . In the second st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frame 420 may be located above the ocean 2 .

승강 유닛(500)은 프레임 유닛(400)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유닛(500)은 프레임 유닛(4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강 유닛(500)은 프레임 유닛(4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유닛(500)은 일 예로, 프레임 유닛(400)에 구비된 레일(rail)에 연결되어 선형이동 가능한 트롤리 장치(trolley apparatus)일 수 있다. The lifting unit 500 may move in the frame unit 400 . Specifically, the lifting unit 500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frame unit 400 . In this case, the lifting unit 500 ma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unit 400 . The lifting unit 500 may be, for example, a trolley apparatus connected to a rail provided in the frame unit 400 and capable of linear movement.

승강 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잠수종(D)과 가이드 유닛(G)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 유닛(500)은 승강 풀리(5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케이블(r1)의 일단은 중간 풀리(320)와 승강 풀리(510)를 거쳐 잠수종(D)에 연결되고, 제1 케이블(r1)의 타단은 제1 권취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블(r2)의 일단은 중간 풀리(320)와 승강 풀리(510)를 거쳐 가이드 유닛(G)에 연결되고, 제2 케이블(r2)의 타단은 제2 권취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권취부(210)가 작동하면, 제1 케이블(r1)에 연결된 잠수종(D)이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권취부(220)가 작동하면, 제2 케이블(r2)에 연결된 가이드 유닛(G)이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Elevating unit 500 may be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and the guide unit (G) through a cable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unit 500 may include a lifting pulley 510 . One end of the first cable (r1) is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via the intermediate pulley 320 and the elevating pulley 5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r1)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winding unit 210 have. And, one end of the second cable r2 is connected to the guide unit G via the intermediate pulley 320 and the lifting pulley 510 ,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ble r2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can be connected In this case, when the first winding unit 210 operates, the diving bell (D)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r1) may ascend or descend. And, when the second winding unit 220 operates, the guide unit G connected to the second cable r2 may be raised or lowered.

유사하게, 제3 케이블(r3)의 일단은 중간 풀리(320)와 승강 풀리(510)를 거쳐 잠수종(D)에 연결되고, 제3 케이블(r3)의 타단은 제3 권취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케이블(r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체 공급 배선을 구비하며, 이러한 기체 공급 배선을 통해 잠수종(D)에 산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Similarly, one end of the third cable (r3) is connected to the diving bell (D) via the intermediate pulley 320 and the lifting pulley 510,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cable (r3) is a third winding unit 230 . can be connected to The third cable (r3) is provided with a gas supply wir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ly oxygen gas to the diving bell (D) through this gas supply wiring.

승강 유닛(500)은, 제1 프레임(410)에서 제2 프레임(420)으로 이동하거나, 제2 프레임(420)에서 제1 프레임(4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상태에서, 승강 유닛(500)이 제1 프레임(410)에서 제2 프레임(420)으로 이동하면, 잠수종(D)과 가이드 유닛(G)은 제1 프레임(410)의 하부에서 제2 프레임(42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수종(D)과 가이드 유닛(G)은 선박(P) 외측의 해양(2)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진회수 장치(10)는 잠수종(D) 및 가이드 유닛(G)을 하강시켜 수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lifting unit 500 may move from the first frame 410 to the second frame 420 or move from the second frame 420 to the first frame 410 . As an embodiment,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lifting unit 500 moves from the first frame 410 to the second frame 420 , the diving bell D and the guide unit G are the first frame 410 . ) may be mov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rame 420 to the lower part. Accordingly, the diving bell (D) and the guide unit (G) may b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cean (2) outside the ship (P). In this state, the true recovery device 10 can move the diving bell (D) and the guide unit (G) down to the water.

승강 유닛(500)이 제2 상태인 프레임 유닛(400)에서 제2 프레임(420)에 위치한 상태인 경우, 케이블에 장력(tension)이 가해질 수 있다. 구제척으로, 가이드 유닛(G) 및/또는 잠수종(D)이 승강 유닛(50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가이드 유닛(G) 및/또는 잠수종(D)은 케이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에 형성되는 장력은, 가이드 유닛(G) 및/또는 잠수종(D)에 하방으로 가해지는 힘(예를 들어, 중력)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는, 가이드 유닛(G) 및/또는 잠수종(D)에 하방으로 가해지는 힘(예를 들어, 중력)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lifting unit 500 is positioned in the second frame 420 in the frame unit 400 in the second state, tension may be applied to the cable. As a relief,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unit (G) and/or the diving bell (D) is detached from the elevating unit 500, the guide unit (G) and/or the diving bell (D) may be supported by a cable. . In this case, the tension formed in the cable may correspond to a force (eg, gravity) applied downward to the guide unit (G) and/or the diving bell (D).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gnitude of the force (eg, gravity) applied downward to the guide unit G and/or the diving bell D.

구동 유닛(600)은 진회수 장치(10)가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구동 유닛(600)은 유압 발생 방식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 장치(Hydraulic Power Unit; HPU)일 수 있다. 이때, 구동 유닛(600)은 오일작동유를 저장하는 오일 탱크(미도시)와, 오일작동유를 이용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 및 펌프(미도시)와, 생성된 유압을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 유닛(600)은 오일 탱크에 저장된 오일작동유를 구동 모터 및 펌프로 구동하여 유압을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유닛(600)은 생성된 유압을 밸브 및 배관을 통해 진회수 장치(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진회수 장치(10)는 공급받은 유압을 이용하여, 진회수 장치(10)의 복수개의 부품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유닛(600)은 유압 발생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600 may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As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600 may be a hydraulic power unit (HPU)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hrough a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method.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600 includes an oil tank (not shown) for storing oil hydraulic oil, a driving motor (not shown) and a pump (not shown) for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using the oil hydraulic oil, and an accumulator for storing the generated hydraulic oil. (accumula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600 may generate hydraulic pressure by driving the hydraulic oil stored in the oil tank with a driving motor and a pump. The driving unit 600 may supply the generated hydraulic pressure to the dust recovery device 10 through a valve and a pipe. In this case, the dust recovery device 10 may operate a plurality of parts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using the supplied hydraulic press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iving unit 600 may generate the driving force through a method other than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진회수 장치(10)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잠수종(D)을 진수 및 회수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진회수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술한 진회수 장치(10)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dust recovery device 10 monitored by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types of dust recovery devices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the diving bell (D) can be monitored by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은, 전술한 바와 같은, 선박(P) 또는 수상 구조물(미도시)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부품부를 구비한 진회수 장치(1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진회수 장치(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품부는, 권취 모듈(200), 중간 연결 유닛(300), 프레임 유닛(400), 승강 유닛(500) 및 구동 유닛(600)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ship P or a water structure (not shown), and may be a system for monitoring the dust recovery device 10 having a plurality of parts. . Here, the plurality of parts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10 may be at least a part of the winding module 200 ,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the frame unit 400 , the lifting unit 500 , and the driving unit 600 . .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은 센서 모듈(100)과, 제어부(20)와, 알림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은 메모리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와, 알림부(30)와, 메모리부(40)는 선박(P)에 배치되되, 진회수 장치(10)와는 별도의 공간(O)에 배치될 수 있다.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may include a sensor module 100 , a control unit 20 , and a notification unit 30 . In addition,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4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 the notification unit 30 , and the memory unit 40 may be disposed in the ship P, but may be disposed in a space O separate from the true recovery device 10 .

센서 모듈(100)은 진회수 장치(10)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회수 장치(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품부, 예컨대 권취 모듈(200), 중간 연결 유닛(300), 프레임 유닛(400), 승강 유닛(500) 및 구동 유닛(600) 중 적어도 일부의 상태를 센싱하여, 각 부품부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00 may sense the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arts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for example, the winding module 200 ,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the frame unit 400 , the lifting unit 500 , and the driving unit 600 . By sensing the state of a part, it is possible to acquire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센서 모듈(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센서 모듈(100)은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와, 제3 센서부(130)와, 제4 센서부(140)와, 제5 센서부(150)와, 제6 센서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모듈(100)에 구비되는 센서부의 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서 모듈(100)이 제1 센서부(110) 내지 제6 센서부(160)를 구비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ensor modul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unit. As an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100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110 , a second sensor unit 120 , a third sensor unit 130 , a fourth sensor unit 140 , and a fifth sensor. A unit 150 and a sixth sensor unit 160 may be provided. Here, the number of sensor units provided in the sensor module 100 is not limited,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nsor module 100 includes the first sensor unit 110 to the sixth sensor unit 160 . It will be explained focusing on

제1 센서부(110)는 제1 권취부(210) 및/또는 제1 케이블(r1)를 센싱하여, 상태 정보(이하, 제1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10)는 제1 권취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부(110)는 제1-1 측정부(111)와, 제1-2 측정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unit 110 may sense the first winding unit 210 and/or the first cable r1 to obtain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first state information). The first sensor unit 1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winding unit 210 . In this case, the first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1-1 measurement unit 111 and a 1-2 measurement unit 112 .

제1-1 측정부(111)는 제1 권취부(210)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측정부(111)는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1 측정부(11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1-1 측정부(111)는,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위 부품들 각각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1 측정부(111)에 의해 사용시간이 측정되는 제1 권취부(210)의 하위 부품에는, 예를 들어 모터(motor), 리듀서(reducer), 베어링(bearing)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1-1 measuring unit 11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the first winding unit 210 . Specifically, the 1-1 measurement unit 11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the lower parts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 As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1-1 measurement units 111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1-1 measurement units 11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arts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 The sub-parts of the first winding unit 210 whose usage time is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1-1 measurement units 111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reducer, a bearing, and the like. can

제1-2 측정부(112)는 제1 권취부(210) 또는 제1 케이블(r1)에 가해진 힘 또는 부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1-2 측정부(112)는 일 예로, 로드셀(load cell)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2 측정부(11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1-2 측정부(112) 중 어느 하나는 제1 권취부(210)에 연결된 제1 케이블(r1)에 가해진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2 측정부(112) 중 다른 일부는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에 가해진 부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 측정하는 제1-2 측정부(112)를 제외한, 복수개의 제1-2 측정부(112) 중 어느 하나는 제1 권취부(210) 작동 시, 제1 권취부(210)에 구비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The 1-2 measurement unit 112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a force or load applied to the first winding unit 210 or the first cable r1 . The 1-2 measurement unit 112 may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a load cell. As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1-2 measurement units 112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1-2 measurement units 112 may measure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cable r1 connected to the first winding unit 210 .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1-2 measurement units 112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lower parts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 For example, when the first winding unit 210 operat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1-2 measurement units 112 except for the 1-2 measurement unit 112 for measuring the tension is the first winding unit 210 . ) can measure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provided.

제1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제1 상태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태 신호에는 제1-1 측정부(111) 및 제1-2 측정부(112)를 통해 측정된 제1 권취부(210) 또는 그 하위 부품의 사용 시간 및 각 하위 부품에 가해진 부하값이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state signal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 At this time, the first state signal includes the use time of the first winding unit 210 or its sub-parts measured through the 1-1 measuring unit 111 and the 1-2 measuring unit 112, and applied to each sub-part. Load values may be included.

제2 센서부(120)는 제2 권취부(220) 및/또는 제2 케이블(r2)를 센싱하여, 상태 정보(이하, 제2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20)는 제2 권취부(220) 또는 제2 권취부(2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센서부(120)는 제2-1 측정부(121)와, 제2-2 측정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120 may sense the second winding unit 220 and/or the second cable r2 to obtain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second state information). The second sensor unit 1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winding unit 220 or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in which case the second sensor unit 120 is the second winding unit 220 or the second winding unit 121 . and a 2-2 measurement unit 122 may be provided.

제2-1 측정부(121)는 제2 권취부(220)의 사용시간, 즉 제2 권취부(2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위 부품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1 측정부(121)에 의해 사용시간이 측정되는 제2 권취부(220)의 하위 부품에는, 예를 들어 모터, 리듀서, 베어링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2-1 measurement unit 12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that is, the usage time of a plurality of sub-parts constituting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In this case, the sub-parts of the second winding unit 220 whose usage time is measured by the 2-1 measurement unit 121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reducer, a bearing, and the like.

제2-2 측정부(122)는 제2 권취부(220) 또는 제2 케이블(r2)에 가해진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2 측정부(122)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제2-2 측정부(122) 중 어느 하나는 제2 권취부(220)에 연결된 제2 케이블(r2)에 가해진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2-2 측정부(122) 중 나머지 일부는 제2 권취부(220)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예를 들어, 제2 권취부(220)를 구성하는 모터]에 가해진 부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The 2-2 measurement unit 122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winding unit 220 or the second cable r2 . At this time, a plurality of 2-2 measurement units 122 are provided,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2-2 measurement units 122 measures the tension applied to the second cable r2 connected to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can be measured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plurality of 2-2 measurement units 122 is the load applied to the sub-parts constituting the second winding unit 220 (eg, the motor constituting the second winding unit 220). size can be measured.

제2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제2 상태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2 상태 신호에는 제2-1 측정부(121) 및 제2-2 측정부(122)를 통해 측정된 제2 권취부(220) 또는 그 하위 부품의 사용 시간 및 각 하위 부품에 가해진 부하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 외의 제2-1 측정부(121) 및 제2-2 측정부(122)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제1-1 측정부(111) 및 제1-2 측정부(112)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state signal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unit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 At this time, the second state signal includes the use time of the second winding unit 220 or its sub-parts measured through the 2-1 measuring unit 121 and the 2-2 measuring unit 122 and the applied time to each sub-part. Load values may be included. Other specific features of the 2-1 measurement unit 121 and the 2-2 measurement unit 12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1-1 measurement unit 111 and the 1-2 measurement unit 112, respectively. or similar,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 센서부(130)는 제3 권취부(230) 및/또는 제3 케이블(r3)를 센싱하여, 상태 정보(이하, 제3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센서부(130)는 제3 권취부(230) 또는 제3 권취부(23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3 센서부(130)는 제3-1 측정부(131)와, 제3-2 측정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sensor unit 130 may sense the third winding unit 230 and/or the third cable r3 to obtain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state information). The third sensor unit 1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hird winding unit 230 or the third winding unit 230 , and in this case, the third sensor unit 130 is the 3-1 measuring unit 131 . and a 3-2 measurement unit 132 may be provided.

제3-1 측정부(131)는 제3 권취부(230)의 사용시간, 즉 제3 권취부(23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위 부품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3-1 측정부(131)에 의해 사용시간이 측정되는 제3 권취부(230)의 하위 부품에는, 예를 들어 모터, 리듀서, 베어링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3-1 measurement unit 13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the third winding unit 230 , that is, the usage time of a plurality of sub-parts constituting the third winding unit 230 . In this case, the lower parts of the third winding unit 230 whose usage time is measured by the 3-1 measurement unit 131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reducer, a bearing, and the like.

제3-2 측정부(132)는 제3 권취부(230) 또는 제3 케이블(r3)에 가해진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3-2 측정부(13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2 측정부(132) 중 어느 하나는 제3 권취부(230)에 연결된 제3 케이블(r3)에 가해진 장력을 측정하고, 복수개의 제3-2 측정부(132) 중 나머지 일부는 제3 권취부(230)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 예컨대 모터에 가해진 부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The 3-2 measurement unit 132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third winding unit 230 or the third cable r3 . A plurality of 3-2 measurement units 132 may be provide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3-2 measuring units 132 measures the tension applied to the third cable r3 connected to the third winding unit 230 , and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3-2 measuring units 132 . Some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a load applied to a sub-part constituting the third winding unit 230 , for example, a motor.

제3 센서부(130)에서 측정된 제3 상태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3 상태 신호에는 제3-1 측정부(131) 및 제3-2 측정부(132)를 통해 측정된 제3 권취부(230) 또는 그 하위 부품의 사용 시간 및 각 하위 부품에 가해진 부하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 외의 제3-1 측정부(131) 및 제3-2 측정부(132)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제1-1 측정부(111) 및 제1-2 측정부(112)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hird state signal measured by the third sensor unit 13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 At this time, the third state signal includes the use time of the third winding unit 230 or its sub-parts measured through the 3-1 measuring unit 131 and the 3-2 measuring unit 132 and the applied time to each sub-part. Load values may be included. Other specific features of the 3-1 measurement unit 131 and the 3-2 measurement unit 13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1-1 measurement unit 111 and the 1-2 measurement unit 112, respectively. or similar,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4 센서부(140)는 승강 유닛(500)을 센싱하여, 승강 유닛(500)의 상태 정보(이하, 제4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4 센서부(140)는 승강 유닛(5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4 센서부(140)는 제4-1 측정부(141)와, 제4-2 측정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sensor unit 140 may sense the elevating unit 500 to obtain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fourth state information) of the elevating unit 500 . The fourth sensor unit 140 may be disposed in the elevating unit 500 , wherein the fourth sensor unit 140 includes a 4-1 measurement unit 141 and a 4-2 measurement unit 142 . can do.

제4-1 측정부(141)는 승강 유닛(500)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1 측정부(141)는 승강 유닛(500)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4-1 측정부(141)를 통해 사용시간이 측정되는 승강 유닛(500)의 하위 부품은, 예를 들어, 승강 풀리(510), 베어링일 수 있다. 그리고, 제4-2 측정부(142)는 승강 유닛(500) 또는 승강 유닛(500)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 예컨대 승강 풀리(510)에 가해진 부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4-2 측정부(142)는 일 예로, 로드셀(load cell)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4-1th measurement unit 14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the elevating unit 500 . Specifically, the 4-1 measurement unit 14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the lower parts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500 .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unit 500 whose use time is measured through the 4-1 measurement unit 141 may be, for example, a lifting pulley 510 or a bearing. In addition, the 4-2 measurement unit 142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lifting unit 500 or a sub-part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500 , for example, the lifting pulley 510 . The 4-2 measurement unit 142 may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a load cell.

제4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제4 상태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4 상태 신호에는 제4-1 측정부(141) 및 제4-2 측정부(142)를 통해 측정된 승강 유닛(500) 또는 승강 유닛(500)의 하의 부품들의 사용 시간 및 그에 가해진 부하값이 포함될 수 있다.The fourth state signal measured by the fourth sensor unit 14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 In this case, the fourth state signal includes the use time of the lifting unit 500 or the parts under the lifting unit 500 measured through the 4-1 measurement unit 141 and the 4-2 measurement unit 142 and the applied time. Load values may be included.

제5 센서부(150)는 구동 유닛(600)을 센싱하여, 구동 유닛(600)의 상태 정보(이하, 제5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5 센서부(150)는 구동 유닛(6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5 센서부(150)는 제5-1 측정부(151)와, 제5-2 측정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fth sensor unit 150 may sense the driving unit 600 to obtain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fth state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600 . The fifth sensor unit 150 may be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600 , wherein the fifth sensor unit 150 includes a 5-1 measurement unit 151 and a 5-2 measurement unit 152 . can do.

제5-1 측정부(151)는 구동 유닛(600)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1 측정부(151)는 구동 유닛(600)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 예커대 구동 모터 및 펌프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The 5-1 measurement unit 15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the driving unit 600 . Specifically, the 5-1 measurement unit 151 may measure the usage time of the sub-parts constituting the driving unit 600 , the example drive motor, and the pump.

제5-2 측정부(152)는 구동 유닛(600)에 가해진 부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2 측정부(15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5-2 측정부(152)는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제5-2 측정부(152) 중 하나는 구동 모터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5-2 측정부(152) 중 다른 하나는 펌프에 설치되어, 펌프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The 5-2 measurement unit 152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600 . Specifically, a plurality of 5-2 measurement units 152 may be provided. As an embodiment, a pair of 5-2 measurement units 152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one of the pair of 5-2 measurement units 152 may be installed in the driving motor to measure a load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In additi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5-2 measurement units 152 may be installed in the pump to measure the load applied to the pump.

제5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제5 상태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5 상태 신호에는 제5-1 측정부(151) 및 제5-2 측정부(152)를 통해 측정된 구동 유닛(600) 또는 구동 유닛(600)의 하위 부품들의 사용 시간 및 그에 가해진 부하값이 포함될 수 있다.The fifth state signal measured by the fifth sensor unit 15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 . At this time, the fifth state signal includes the use time of the driving unit 600 or the lower parts of the driving unit 600 measured through the 5-1 th measurement unit 151 and the 5-2 th measurement unit 152 and the applied time. Load values may be included.

제6 센서부(160)는 중간 연결 유닛(300)을 센싱하여, 중간 연결 유닛(300)의 상태 정보(이하, 제6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6 센서부(160)는 구동 유닛(6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6 센서부(160)는 제6-1 측정부(161)와, 제6-2 측정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xth sensor unit 160 may sens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to obtain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sixth state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The sixth sensor unit 160 may be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600 , wherein the sixth sensor unit 160 includes a 6-1 measurement unit 161 and a 6-2 measurement unit 162 . can do.

제6-1 측정부(161)는 중간 연결 유닛(300)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6-1 측정부(161)는 중간 연결 유닛(300)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 예컨대 중간 풀리(320)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The 6-1 measurement unit 161 may measure the use tim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Specifically, the 6-1 measurement unit 161 may measure the use time of the sub-parts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pulley 320 .

제6-2 측정부(162)는 중간 연결 유닛(300)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6-2 측정부(16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6-2 측정부(162)는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제6-2 측정부(162) 중 하나는 연결 바디(310)에 설치되어, 연결 바디(310)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6-2 측정부(162) 중 다른 하나는 중간 풀리(320)에 설치되어, 중간 풀리(320)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The 6-2 measurement unit 162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 Specifically, a plurality of 6-2 measurement units 162 may be provided. As an embodiment, a pair of 6-2 measurement units 162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one of the pair of 6-2 measuring units 162 may be installed on the connection body 310 to measure a load applied to the connection body 310 . In additi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6-2 measuring units 162 may be installed on the intermediate pulley 320 to measure the load applied to the intermediate pulley 320 .

제6 센서부(160)에서 측정된 제6 상태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6 상태 신호에는 제6-1 측정부(161) 및 제6-2 측정부(162)를 통해 측정된 중간 연결 유닛(300) 또는 중간 연결 유닛(300)의 하위 부품들의 사용 시간 및 그에 가해진 부하값이 포함될 수 있다.The sixth state signal measured by the sixth sensor unit 16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 . At this time, the sixth state signal includes the use time of the lower part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or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measured through the 6-1 measurement unit 161 and the 6-2 measurement unit 162 , and The load applied thereto may be included.

센서 모듈(100)은 전술한 제1 센서부(110) 내지 제6 센서부(160) 외에, 추가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추가 센서부는 구동 유닛(600)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센서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제어 모듈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 예를 들어 메인 페널(main panel),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컨트롤 콘솔(control console) 등에 각각 설치되어, 이러한 하위 부품 각각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센서부는, 검출된 하위 부품 각각의 정상 작동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sensor unit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first sensor unit 110 to the sixth sensor unit 160 described above. As an embodiment, the additional sensor unit may detect state information of a control module (not shown)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600 . Specifically, a plurality of additional sensor units are provided, and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sub-parts constituting the control module, for example, a main panel, a control panel, a control console, etc., and each of these sub-parts can detect whether it is operating normally. In this case, the additional sensor unit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normal operation of each detected sub-part to the control unit 20 .

제어부(20)는 센서 모듈(100)에서 검출한 진회수 장치(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진회수 장치(1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20 may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true recovery device 10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ue recovery device 10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0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 may be driven in a form included in a hardware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or a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Here, the 'processor'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hardware, for example, having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as a code or an instruction included in a program. As an example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the hardware as described abov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and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may be includ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20)는 센서 모듈(100)로부터 각 부품부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제1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제1 권취부(21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2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제2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제2 권취부(22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3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제3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제3 권취부(23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제4 센서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제4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승강 유닛(5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5 센서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제5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구동 유닛(6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may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from the sensor module 100 in real time, and generat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Specifically, the controller 20 may generat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first winding unit 210 by collecting the first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110 . The controller 20 may generat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winding unit 220 by collecting the second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unit 120 . The controller 20 may generat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third winding unit 230 by collecting the third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hird sensor unit 13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may generat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lifting unit 500 by collecting the fourth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ourth sensor unit 140 . The controller 20 may generat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600 by collecting the fifth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fth sensor unit 150 .

생성된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는, 해당 부품부의 총 사용 시간, 총 사용 사이클(cycle), 해당 부품부 또는 그 하위 부품에 가해지는 힘(예를 들어, 부하 또는 장력)의 크기 및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는,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들 각각의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ed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includes the total usage time of the part, the total use cycle, and the magnitude and change of the force (eg, load or tension) applied to the part or its sub-parts. may contai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part may includ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sub-parts constituting each part part.

구체적으로, 제1 권취부(210)의 현재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모터, 리듀서 및 베어링의 각각의 사용 시간과, 모터에 걸리는 부하 측정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권취부(220)의 현재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제2 권취부(220)를 구성하는 모터, 리듀서 및 베어링의 각각의 사용 시간과, 모터에 걸리는 부하 측정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권취부(230)의 현재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제3 권취부(230)를 구성하는 모터, 리듀서 및 베어링의 각각의 사용 시간과, 모터에 걸리는 부하측정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first winding unit 210 i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each use time of the motor, the reducer, and the bearing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and the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the motor. may include Similarly,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winding unit 220 is, for example, the use time of each of the motor, the reducer, and the bearing constituting the second winding unit 220, and a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the motor. may contai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third winding unit 230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on each use time of the motor, the reducer and the bearing constituting the third winding unit 230, and the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the motor. can do.

승강 유닛(500)의 현재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승강 유닛(500)을 구성하는 승강 풀리(510) 및 베어링 각각의 사용 시간 및 승강 풀리(510) 및 베어링 각각에 걸리는 부하측정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lifting unit 500 is,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usage time of each of the lifting pulleys 510 and bearings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500 and the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each of the lifting pulleys 510 and the bearings. may include

구동 유닛(600)의 현재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구동 유닛(600)을 구성하는 구동 모터와 펌프 각각의 사용 시간 및 구동 모터와 펌프 각각에 걸리는 부하측정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600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usage time of each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pump constituting the driving unit 600 and information on a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each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pump.

중간 연결 유닛(300)의 현재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중간 연결 유닛(300)을 구성하는 연결 바디(310) 및 중간 풀리(320) 각각의 사용 시간 및 연결 바디(310) 및 중간 풀리(320) 각각에 가해진 부하측정값에 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is, for example, the connection body 310 and the intermediate pulley 320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300, the use time of each and the connection body 310 and the intermediate pulley 320 )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each.

제어부(20)는 판단된 진회수 장치(1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알림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및 그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알림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30 to display the determined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10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cluding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unit and its sub-parts, and transmit it to the notification unit 30 .

제어부(20)는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메모리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제1 권취부(210)의 현재 상태 정보와, 제2 권취부(220)의 현재 상태 정보와, 제3 권취부(230)의 현재 상태 정보와, 승강 유닛(500)의 현재 상태 정보와, 구동 유닛(6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메모리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40)는 전술한 부품부들의 현재 상태 정보를 각각의 부품부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may transmit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unit to the memory unit 40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includes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first winding unit 210 ,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winding unit 220 ,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third winding unit 230 , and the lifting unit (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500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600 may be transmitted to the memory unit 40 . In this case, the memory unit 40 may classify and store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 units for each component unit.

제어부(20)는 센서 모듈(100)에서 검출된 진회수 장치(10)의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기초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생성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러한 제어 신호를 알림부(30)와, 메모리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 receives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of the true recovery device 10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00, and generates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based on this information. can do. The control unit 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part or each sub-part,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notification unit 30 and the memory unit 40 .

제어부(20)는 센서 모듈(100)에서 검출된 진회수 장치(10)의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교체 필요 여부 및/또는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판단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교체 필요 여부 및/또는 과부하 상태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러한 제어 신호를 알림부(30)와, 메모리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0)의 구체적인 특징에 대해선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replacement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is necessary and/or an overload stat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of the true recovery device 10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00 . can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unit 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each of the determined parts or each sub-part needs to be replaced and/or whether an overload condition is present, and transmits these control signals to the notification unit 30 and the memory unit ( 40) can be transferred. Specific features of the control unit 20 will be described later.

알림부(3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림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진회수 장치(10)에서 취합된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센서 모듈(1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각 부품부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알림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취합된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30 may externally display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20 using a display unit (not shown). Specifically,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of each part collect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10 from the control unit 20 and display the information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part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sensor module 100 and generate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part, and the notification unit 30 receiv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ontrol unit 20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each part can be received in real time and displayed externally.

알림부(30)는 진회수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품부들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알림부(30)는 구획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복수개의 부품부 별로 각각 구분하여 현재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는, 진회수 장치(10)의 각 부품부 별로 사용 시간 및 부하 상태 등의 현재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부품부 별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respective parts constituting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by dividing each part by a plurality of parts through a plurality of partitioned display areas. Accordingly,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can grasp current state information, such as usage time and load state, for each component part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for each part can be improved.

알림부(30)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제어부(20)에서 판단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교체 필요 여부 및/또는 과부하 상태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생성하고, 이러한 신호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30 uses the display unit to generate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each component unit or each sub-part needs to be replaced and/or whether an overload condition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20, and transmits these signals to an external device. can be displayed as

알림부(30)는 교체가 필요한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의 교체 지시 신호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교체 필요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을 파악하고, 교체 필요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을 선박(P) 내에 스페이 저장 공간(미도시)에 저장된 스페어 부품으로 교체하도록 선박측 작업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30 may notify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by externally displaying a replacement instruction signal of a part or sub-part requiring replacement. The manager can identify the replacement part or sub-par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instruct the ship-side operator to replace the replacement part or sub-part with the spare part stored in the space storage space (not shown) in the ship (P). have.

알림부(30)는 점검이 필요한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의 과부하 상태 신호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과부하 상태에 해당하여 점검이 필요한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을 파악하고, 이러한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의 부하 상태 및 손상 여부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도록 선박측 작업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30 may notify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by externally displaying an overload state signal of a part or sub-part requiring inspe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manager can identify the parts or sub-parts that are overloaded and require inspection, and instruct the ship-side operator to check the load status and damage of these parts or sub-parts.

메모리부(40)는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 정보와,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교체 필요 여부 및/또는 과부하 상태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40 may store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0 and information on whether each part or each sub-part needs to be replaced and/or whether it is in an overload state.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에 구비된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에 구비된 각 부품부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에 구비된 각 부품부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each part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each part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each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a part.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각 센서부는 각 센서부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각 부품부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S10). 그런 다음, 제어부(20)는 전달받은 상태 정보에 기초해,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여,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알림부(30)로 전달할 수 있다(S20). 이후, 알림부(30)는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S30).4 to 6 , each sensor unit may detect state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each sensor unit is installed,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20 ( S10 ). Then, the control unit 20 may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each part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is to the notification unit 30 ( S20 ). Thereafter,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to the outside ( S30 ).

제어부(20)는 센서 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진회수 장치(10)의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 중 사용 시간을 기초로, 각 부품부의 교체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 S200). 이때, 제어부(20)는 각 부품부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명기준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 may determine whether replacement of each part is necessary based on the usage time among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100 ( S100 and S20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may preset at least one life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time of each part.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별로, 또는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 별로 한 개의 수명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S110). 이때, 각 부품부에 대응하는 수명기준값은, 다른 부품부에 대응하는 수명기준값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각 하위 부품에 대응되는 수명기준값은, 다른 하위 부품에 대응하는 수명기준값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모터의 수명기준값과,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리듀서의 수명기준값 및 베어링의 수명기준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 the controller 20 may set one life reference value for each part or for each sub-part constituting each part ( S110 ). In this case, the lif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part part may be different from the lif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ther part part. In addition, the lif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sub-part constituting each part part may be different from the lif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other sub-parts. For example, the life reference value of the motor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the life reference value of the reducer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and the life reference value of the bearing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어부(20)는 각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각 부품부의 최초 작동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각 센서부에서 측정된 사용시간으로부터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의 총 사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20). 제어부(20)는 산출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시간을,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수명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The control unit 20, based on the initial operating time of each component unit measured by each sensor unit, calculates the total usage tim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unit or sub-parts constituting the component unit from the currently measured usage time by each sensor unit. can be calculated (S120). The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calculated total usag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with the life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sub-part, and determines whether re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sub-part is necessary. (S130).

제어부(20)는 산출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 시간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수명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알림부(30)는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의 교체 지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S140).If the calculated total usag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exceeds the lifetime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replacement of the current part or the sub-part is necessary. can do. Thereafter,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0 ,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a replacement instruction signal for the part or sub-part determined to be replaced ( S140 ).

반면에, 제어부(20)는 산출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 시간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수명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S130). 이후,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알림부(30)는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S150). 이에 의해,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는 진회수 장치(10) 및 이를 구성하는 각 부품부 및 각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culated total us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is less than the life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the control unit 20 says that the replacement of the current part or the sub-part is unnecessary. It can be determined (S130). Thereaft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0,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to the outside (S150). Thereby,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can grasp in real time the current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each component part constituting the same, and each sub-part.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 별로 수명기준값이 상이한 경우, 각 부품부 또는 한 개의 부품부를 구성하는 각 하위 부품 별로 교체 필요 여부에 관한 제어부(20)의 판단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모터와,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베어링 또는 리듀서의 교체 필요 시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모터와, 제3 권취부(230)를 구성하는 모터의 교체 필요 시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승강 유닛(500)의 교체 필요 시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승강 유닛(500)과, 제1 권취부(210) 자체의 교체 필요 시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When the life reference value is different for each part or each sub-part,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20 as to whether replacement is necessary for each part or each sub-part constituting one part may be different. As an example, the motor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and the bearing or reducer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may need to be replaced at different times. As another exampl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motor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and the motor constituting the third winding unit 23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placement required time of the elevating unit 50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nother example, the elevating unit 500 and the first winding unit 210 itself need to be replaced at different times.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 필요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신호를 생성하여, 알림부(30)로 전달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replacement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is necessary, the control unit 20 generates an instruc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need for re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sub-part, and transmits it to the notification unit 30 . can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별로, 또는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 별로 두개 이상의 수명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S210). 이때, 설정되는 수명기준값의 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 별로, 두개의 수명기준값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두개의 수명기준값을 각각, 제1 수명기준값 및 제2 수명기준값이라 칭하기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 the controller 20 may set two or more life reference values for each part or for each sub-part constituting each part ( S210 ). In this case, the number of set life reference values is not limited,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mbodiment in which two life reference values are set for each sub-part constituting each part will be mainly described. Here, the two life reference values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life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life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제1 수명기준값은 제2 수명기준값과 다른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명기준값은 제1 수명기준값 보다 더 큰 값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0)는 각 센서부에서 측정된 각 부품부의 최초 작동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각 센서부에서 측정된 사용시간으로부터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의 총 사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220). 이후, 제어부(20)는 산출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시간을,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수명기준값 및 제2 수명기준값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Specifically,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is based on the initial operating time of each component unit measured by each sensor unit, and the total use of the component unit or the sub-parts constituting the component unit from the usage time currently measured by each sensor unit. The time may be calculated (S220).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 sequentially compares the calculated total usag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with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and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corresponding par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sub-parts need to be replaced.

우선, 제어부(20)는 산출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 시간을,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수명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S230). 이때, 제어부(20)는 산출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 시간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수명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가 불필요하며, 교체 근접 시기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알림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각 부품부 및 각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31). 이에 의해 관리자는 진회수 장치(10) 및 이를 구성하는 각 부품부 및 각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First, the controller 20 may compare the calculated total usag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with a first life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sub-part (S230). At this time, when the calculated total use time of each part part or each sub-part is less than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of the part part or the sub-part, the control unit 20 does not need to replace the part part or the sub-part, , it can be judged that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lose period of replacement. Thereafter,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unit and each sub-componen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 ( S231 ). Accordingly, the manager can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and each part and each sub-part constituting it in real time.

제어부(20)는 산출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 시간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수명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순차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 시간을,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2 수명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S240). 이때,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 시간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수명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수명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는 불필요하나, 교체가 곧 필요한 시기(이하, 교체 근접 시기)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calculated total usag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exceeds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the control unit 20 sequentially controls the total us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can be compared with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corresponding sub-part (S240). At this time, if the total usag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exceeds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and is less than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the current replacement of the part or the sub-part is Although unnecessar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placement is immediately necessa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placement proximity time).

이에 따라, 알림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이 교체 예정 부품에 해당함을 알리는 신호(제1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S241). 이에 의해, 관리자는 진회수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품부 및 각 하위 부품 중, 가까운 시기에 교체가 필요하다고 예상되는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a signal (first signal) informing that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corresponding sub-part corresponds to the replacement scheduled par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0 ( S241 ). Accordingly, the manager can grasp information about the parts or sub-parts expected to need replacement in the near future, among the parts and sub-parts constituting the dust recovery device 10 .

한편, 교체 여정 부품에 해당하는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은 각 센서부에 의해 계속적으로 상태 정보가 검출되어 제어부(2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해당 부품부 및 해당 하위 부품의 현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는 갱신된 현재 상태 정보를 알림부(30)로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for the parts or sub-parts corresponding to the replacement itinerary part, the status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by each sensor unit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an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rresponding part unit and the sub-part. Status information can be updated in real tim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 may transmit the updated current state information to the notification unit 30 .

반면에,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총 사용 시간이 제2 수명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교체를 지시하는 신호(제2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S250).On the other hand, when the total usage tim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exceeds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20 may determine that re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sub-part is currently necessary. Accordingly,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a signal (second signal) instructing re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corresponding sub-par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0 ( S250 ).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수명기준값을 두개 또는 세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정함으로써,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교체 시기(또는 잔존 수명)을 세분화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진회수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품부 및 그 하위 부품의 교체 시기를 미리 예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품 노화로 인해 진회수 장치(10)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까운 시기에 교체가 예상되는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의 교체용 스페어(spare) 부품의 잔존 여부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life reference valu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to two or three or more, so that the replacement time (or remaining lif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is subdivided and determined. can Accordingly, the manager or operator of the monitoring system 1 can predict in advance the replacement timing of each component part constituting the dust recovery device 10 and its sub-parts, and accordingly, the dust recovery device 10 due to component aging. )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advance whether a spare part for replacement of a part part expected to be replaced in the near future or a lower part part remains.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회수 장치에 구비된 각 부품부의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part provided in the dust recovery device is in an overloa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0)는 센서 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진회수 장치(10)의 각 부품부의 현재 상태 정보 중 부하 정보를 기초로 각 부품부의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0). 이때, 제어부(20)는 각 부품부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하기준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ler 20 may determine whether each part is in an overload state based on load information among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part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100 ( S30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may preset at least one load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part is overloaded.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별로, 또는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 별로 적어도 하나의 부하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S310). 이때, 각 부품부에 대응하는 부하기준값은, 다른 부품부에 대응하는 부하기준값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각 하위 부품에 대응되는 부하기준값은, 다른 하위 부품에 대응하는 부하기준값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모터의 부하기준값과, 제1 권취부(210)를 구성하는 리듀서의 부하기준값 및 베어링의 부하기준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0 may set at least one load reference value for each component part or for each sub-part constituting each part part ( S310 ). In this case, the loa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part may be different from the loa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ther part. In addition, the loa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sub-part constituting each part may be different from the loa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ub-part. For example, the load reference value of the motor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the load reference value of the reducer constituting the first winding unit 210, and the load reference value of the bearing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어부(20)는 각 센서부에서 측정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측정값을,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부하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S330). The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load measurement value of each component part or each sub-part measured by each sensor unit with the load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art part or the sub-part to determine whether the part or the sub-part is overloaded. It can be (S320, S330).

제어부(20)는 측정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기준값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부하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가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load reference valu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exceeds the load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the control unit 20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part or the sub-part is in an overload state. have.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가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과부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신호를 생성하여, 알림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부(3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특정 부품부 또는 특정 하위 부품이 과부하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S340). 이에 의해, 관리자는 진회수 장치(10) 및 이를 구성하는 각 부품부 및 각 하위 부품의 과부하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each part or each sub-part is in an overload state, the control unit 20 generates an instruc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overload state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sub-part, and transmits it to the notification unit 30 have. Accordingly,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a signal indicating that a specific part or a specific sub-part is in an overload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S340). Accordingly, the manager can grasp in real time whether the dust recovery device 10, each component part constituting the same, and each sub-part is in an overload state.

반면에, 제어부(20)는 측정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기준값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부하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이 정상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에 가해진 부하값을 표시할 수 있다(S350).On the other hand, if the measured load reference valu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is less than the load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part or the sub-part is in a normal load state. can judge Accordingly,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the load valu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corresponding sub-par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0 ( S350 ).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별로, 또는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 별로 두개 이상의 부하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되는 부하기준값의 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부품부를 구성하는 하위 부품 별로, 두개의 부하기준값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두개의 부하기준값을 각각, 제1 부하기준값 및 제2 부하기준값이라 칭하기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20 may set two or more load reference values for each component part or for each sub-part constituting each part part. At this time, the number of set load reference values is not limited,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mbodiment in which two load reference values are set for each sub-part constituting each part will be mainly described. Here, the two load reference values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load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load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제1 부하기준값은 제2 부하기준값과 다른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하기준값은 제1 부하기준값 보다 더 큰 값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0)는 각 센서부에서 측정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측정값을,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부하기준값 및 제2 부하기준값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first load reference value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load reference value. Specifically, the second load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load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sequentially compares the load measurement value of each part part or each sub-part measured by each sensor part with the first load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load reference value of the part part or the sub-par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corresponding sub-part is overloaded.

우선, 제어부(20)는 측정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측정값을,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부하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측정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측정값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부하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가 과부하 상태에 해당하지 않고, 과부하 근접 상태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 unit 20 may compare the measured load measurement value of each component part or each sub-part with the first load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art part or the sub-part. At this time, when the measured load measurement valu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is less than the first load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the control unit 20 does not correspond to the overload state of the part or the sub-part.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does not correspond to an overload proximity state either.

이후, 제어부(2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알림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알림부(3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부품부 및 각 하위 부품에 가해진 부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는 진회수 장치(10) 및 이를 구성하는 각 부품부 및 각 하위 부품의 부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notification unit 30 .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load applied to each component unit and each sub-part through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can grasp the load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10 and each component part and each sub-part constituting the same in real time.

제어부(20)는 측정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측정값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부하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순차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측정값을,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2 부하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측정값이,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의 제1 부하기준값을 초과하나 제2 부하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가 과부하 상태는 아니지만, 과부하에 가까운 상태(이하, 과부하 근접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이 과부하 근접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제3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measured load measurement valu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exceeds the first load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the control unit 20 sequentially controls the load measurement valu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may be compared with the second load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art or the corresponding sub-part. At this time, if the load measurement valu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exceeds the first load reference value of the part or the sub-part but is less than the second load reference value, the part or the sub-part is not currently overloaded, but ,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corresponds to a state close to an overload (hereinafter, an overload proximity state). Accordingly,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a signal (third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part or sub-part is in an overload proximity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0 .

반면에,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측정값이 제2 부하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해당 부품부 또는 해당 하위 부품이 과부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이 과부하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제4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ad measurement value of each component part or each sub-part exceeds the second loa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0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part or the sub-part is in an overloaded state. Accordingly,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display a signal (fourth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unit or lower component is in an overloa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 .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부하기준값을 두개 또는 세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정함으로써,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과부하 상태 여부를 세분화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진회수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품부 및 그 하위 부품의 과부하 여부를 미리 예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해진 과도한 부하로 인해 진회수 장치(10)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load reference value of each part or each sub-part to two or three or more, the control unit 20 can subdivide whether each part or each sub-part is in an overload state. Accordingly, the manager or operator of the monitoring system 1 can predict in advance whether each part constituting the dust recovery device 10 and its sub-parts are overloaded, and accordingly, due to the excessive load applied, the dust recovery device ( 10)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20)에서 수명기준값과 부하기준값을 모두 설정하여, 센서 모듈(100)에서 측정된 각 부품부 또는 각 하위 부품의 상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교체 필요 여부 및 과부하 상태 여부를 동시에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는, 각 부품부 및 각 하위 부품의 사용 시간 및 부하에 가한 정보를 동시적으로 파악하여, 진회수 장치(10)를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both the life reference value and the load reference value in the control unit 20, each part or each subordinate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100 By comparing with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arts,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replacement is necessary and whether an overload state is present. Thereby,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can monitor and maintain the dust recovery apparatus 10 by simultaneously grasping the information applied to the usage time and load of each component part and each sub-part.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은, 진회수 장치(10)와 함께 선박(P) 상에 설치되어 진회수 장치(10)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진회수 장치(10)의 각 부품부 및 하위 부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해양(2)에 위치한 선박(P)의 진회수 장치(10)의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의 사용 수명 또는 손상 문제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교체를 지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hip P together with the dust recovery device 10 to monitor the dust recovery device 10, The status of each part and sub-parts of the recovery device 10 can be grasped in real time, whereby the service life of the parts or sub-parts of the true recovery device 10 of the ship P located in the ocean 2 or If a replacement is required due to a damage problem, an immediate replacement can be orde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을 이용하여, 선박(P)에 저장된 스페어 부품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스페어 부품이 전부 소진되기 전에, 선박(P)의 외부로 추가의 스페어 부품을 보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정량의 스페어 부품이 선박(P)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교체가 필요한 부품부 또는 하위 부품을 신속한 교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grasping the status of spare parts stored in the ship P in real time, before all the spare parts are exhausted, the You can request to send extra spare parts to the outside. Thereb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provided with a certain amount of spare parts in the ship (P), it is possible to quickly replace the parts or sub-parts that require replacemen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100: 센서 모듈
2: 해양 200: 권취 모듈
10: 진회수 장치 300: 중간 연결 유닛
20: 제어부 400: 프레임 유닛
30: 알림부 500: 승강 유닛
40: 메모리부 600: 구동 유닛
1: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100: sensor module
2: Marine 200: Winding module
10: dust recovery device 300: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20: control unit 400: frame unit
30: notification unit 500: elevating unit
40: memory unit 600: drive unit

Claims (10)

복수개의 부품부를 구비하는 진회수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진회수 장치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모듈;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회수 장치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상기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진회수 장치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A system for monitoring a dust recove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arts, the system comprising: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ust recovery device;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current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current state; and
and a notification unit for externally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dust recovery device in real time by using the control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개의 센서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는, 복수개의 상기 부품부에 각각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부품부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 plurality of the sensor units are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arts, respectively to detect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s,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 각각은,
상기 부품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부품부에 가해진 부하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a first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usage time of the component part; and
A second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load applied to the part; including, a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품부의 사용시간을 전달받고, 상기 사용시간을 미리 설정된 수명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부품부의 교체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A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for receiving the use time of the part part measured by the first measurement part, and comparing the use time with a preset life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part part needs to be replace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부의 사용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수명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부품부의 교체를 지시하는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usage time of the part part exceeds the preset life reference value,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controls the notification part to display a signal instructing replacement of the part par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부품부에 가해진 부하측정값을 전달받고, 상기 부하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부하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부품부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A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for receiving the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the component part measured by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comparing the load measurement value with a preset loa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onent part is overloade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부에 가해진 부하측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부하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부품부가 과부하 상태인 것을 알리는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load measurement value applied to the component exceeds the preset load reference value, controlling the notification unit to display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mponent is in an overload state,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수명기준값은 복수개 설정되고,
복수개의 상기 미리설정된 수명기준값은, 제1 수명기준값 및 상기 제1 수명기준값보다 큰 제2 수명기준값을 포함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et life reference value is set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preset life reference values include a first life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life referenc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부의 사용 시간이 상기 제1 수명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수명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부품부의 교체 예정을 알리는 제1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usage time of the part part is greater than the first life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controls the notification part to display a first signal notifying the replacement schedule of the part par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부의 사용 시간이 상기 제2 수명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부품부의 교체를 지시하는 제2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진회수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usage time of the parts part is greater than the second life reference value, the dust recovery device monitoring system controls the notification part to display a second signal instructing replacement of the parts part.
KR1020200180914A 2020-12-22 2020-12-22 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KR1024494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14A KR102449484B1 (en) 2020-12-22 2020-12-22 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14A KR102449484B1 (en) 2020-12-22 2020-12-22 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077A true KR20220090077A (en) 2022-06-29
KR102449484B1 KR102449484B1 (en) 2022-10-11

Family

ID=8227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914A KR102449484B1 (en) 2020-12-22 2020-12-22 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48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353B1 (en) * 2008-12-12 2009-08-20 (주)이노센싱 System for monitering state of marine construction
KR101413437B1 (en) * 2010-10-14 2014-07-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hip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081556A (en) * 2012-12-21 2014-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hip winch
KR101908914B1 (en) 2017-04-25 2018-10-17 주식회사 테크플라워 Telescopic boom crane and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for rov lars thereof
KR102019053B1 (en) 2018-04-30 2019-09-10 (주)테크플라워 Telescopic boom crane and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for rov lars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353B1 (en) * 2008-12-12 2009-08-20 (주)이노센싱 System for monitering state of marine construction
KR101413437B1 (en) * 2010-10-14 2014-07-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hip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081556A (en) * 2012-12-21 2014-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hip winch
KR101908914B1 (en) 2017-04-25 2018-10-17 주식회사 테크플라워 Telescopic boom crane and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for rov lars thereof
KR102019053B1 (en) 2018-04-30 2019-09-10 (주)테크플라워 Telescopic boom crane and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for rov lar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484B1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0209B2 (en) Deck crane system
US10843904B2 (en) Offshore crane heave compens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visual ranging
CN102815612B (en) The method of crane safety and hoisting crane and crane controller is monitored during setting up procedure
KR101246059B1 (en) Derrick load test method
JP5087853B2 (en) Elevator equipment
JP5135858B2 (en) Elevator diagnostic operation apparatus and diagnostic operation method
KR101456781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learning faults for the prediction of marine excavation and drilling equipment
JP5490662B2 (en) Ship elevator operating method
JP2015045329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load and stress of floating body facility
WO2014047449A1 (en) Boat deployment assembly and method
KR102449484B1 (en) System for monitor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JP5082803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repair method for existing elevator
KR102449483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intainin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JPH11348874A (en) Lighted buoy, remote inspection controller therefor, remote control transceiver therefor, and remote inspection control system therefor
US10968590B2 (en) Measurement system, leg guide, jack-up platform
CN215626268U (en) Counterweight monitoring system, boom monitoring system, hoisting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hoisting equipment
CN101683945A (en) Diagnosis operation device and method of elevator
KR102146251B1 (en) Launch and recovery apparaus having trolley
NO342704B1 (en) System for monitoring load on mooring lines of floating installations
JP2021181926A (en) Test system for elevating/low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